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22:57:18

통영시

통영관광개발공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53F80>
파일:통영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산양읍 광도면 도산면 사량면
욕지면 용남면 한산면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c6272b>
행정동
||<-4> 법정동 ||
<colbgcolor=#253F80> 도천동 당동 인평동 도천동 평림동
명정동 명정동 서호동
무전동
시청
무전동
미수동 미수동
봉평동 도남동 봉평동
북신동 북신동
정량동 동호동 정량동
중앙동 문화동 중앙동 태평동 항남동
}}}}}}}}} ||
경상남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統營市
Tongyeong City
}}}
<colbgcolor=#253F80><colcolor=#fff> 시청 소재지 <colcolor=#fff> 제1청사 통영해안로 515 (무전동)
제2청사 해미당1길 33 (무전동)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6 8
면적 240.21㎢
인구 118,751명[1]
인구밀도 494.36명/㎢[2]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천영기 (초선)
시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석[3]

파일:zsdkl3gasdg.svg
4석[4]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점식
상징 시화 동백꽃
시목 동백나무
시조 갈매기
지역번호 055-6XX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
6.1.1. 농업6.1.2. 수산업6.1.3. 제조업 및 무역업
6.2. 상권6.3. 금융
7. 관광
7.1. 주요 관광지
8. 생활문화
8.1. 교육8.2. 주거환경8.3. 음식8.4. 문화시설8.5. 의료기관8.6. 스포츠8.7. 기타
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13. 대중문화에서 등장하는 통영14. 출신 인물15. 자매도시
15.1. 국내15.2. 국외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남해안 중앙부에 있는 .

통영(統營)은 삼도수군(三道水軍)을 줄인 말로, 삼도수군통제영은 조선 시대의 해군본부라고 볼 수 있으니 통영시는 당시의 '군항 도시', '군사 도시'였던 셈이다. 한국에서 군영의 명칭이 공식 지명의 유래가 된 흔하지 않은 경우이다.[6] 기록상으로는 선조 37년 (1604년) 삼도수군통제사 이경준이 통제영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통영이란 명칭이 최초로 등장하였다.[7] 통제영이 자리잡기 전에는 두룡포라 불렸다고 한다. 통제영이 있을 당시에는 수도인 한양과의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했다. 수도와의 활발한 교류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안도시의 장점이 결부되어 맛있는 먹거리가 가득하기로 유명하다. 경상남도의 시·군 중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곳이다.[8]

별명은 동양의 나폴리(또는 한국의 나폴리). 박경리의 『김약국의 딸들』에서 통영을 소개하는 부분에 쓰였을 정도로 꽤 오래된 표현이다.

병튜브 영상.

2010년대 들어선 '바다의 땅'이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실제로 통영은 고성 반도 끝자락에 위치한 육지부와 바다 위에 떠있는 150여 개의 섬을 가지고 있다. 통영의 모습을 잘 반영한 슬로건인 셈이다.
파일:통영시 슬로건.svg
통영시의 슬로건.[9]

그리고 최근 천영기 시장의 집권 이후 약속의 땅, 미래 100년의 도시라는 문구를 밀고있다.
파일:external/www.ityb.co.kr/2014051610017695.jpg
통영시청사. 통합 전의 충무시청사[10]를 그대로 쓰고 있다(1991년 완공).[11]

2. 역사

통영시 행정구역 변천사
진남군
鎭南郡
1900
용남군
龍南郡
1909 {{{#!wiki style=""
거제군
巨濟郡
1895
}}} 통영군
統營郡
1914
충무시
忠武市
1955
통영시
統營市
1995
통영군
統營郡
1955
삼국시대부터 경상남도 고성군에 속한 지역이었다. 고려 시대1018년거제현으로 이관되었다. 1275년부터 1308년까지 잠시 남해현에 속했다가 다시 거제현 소속이 되었다. 1604년에 현재 통영시역에 해당하는 거제현 두룡포(頭龍浦)에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수군을 지휘하는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었으며, 통영(統營)이란 이름도 "삼도수군"에서 따왔다. 1617년에 거제현에서 고성현으로 회귀하며 고성현 춘원면(春元面)이 되었다. 1870년에 고성현이 고성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23부제가 시행되며 진주부에 속한 고성군과 거제군으로 각각 개편되었고, 이듬해인 1896년에 13도제가 시행되며 경상남도 고성군, 거제군이 되었다. 1900년에 고성군 춘원면(春元面)·광삼면(光三面)·도선면(道善面)·하일면(下一面)과 거제군 둔덕면 일부 지역이 분리되어 '진남군'(鎭南郡)으로 독립, 신설되었다. 이후 1909년에 '용남군'(龍南郡)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이는 평안남도진남포와 이름이 비슷했기 때문이라고.

일제강점기1914년부군면 통폐합으로 용남군과 거제군이 통합되어 통영군이 설치된 동시에 광이면 일부분 이었던 현)동해면과 거류면이 고성군으로 편입 되었다. 1917년에 통영면에서 무전리, 동달리, 원평리, 화삼리, 장평리, 삼화리, 장문리, 지도리, 어의리, 창호리 10개 리가 용남면으로 분면이 된 동시에 통영면이 지정면으로 승격되었으며 서부 당동리, 인평리, 평림리 3개 리가 산양면에 편입되었다. 1929년 4월 1일에 통영면 창호리가 사등면에 편입되었다. 1939년 4월 1일에 통영면에 산양면 미수리, 봉평리, 도남리, 당동리, 인평리, 평림리가 편입되고 통영읍으로 승격되었다. 1938년 거제도 이운면이 장승포읍으로 승격되었다.

해방 직후에 일본식 행정구역을 다음과 같이 청산하였다.
개정 전 개정 후
대화정(大和町, 다이와초) 문화동
부도정(敷島町, 시키시마초) 중앙동
서정(曙町, 아케보노초) 동호동
조일정(朝日町, 아사히초) 태평동
길야정(吉野町, 요시노초) 항남동
신정(新町, 신마치) 서호동

1950년 6.25 전쟁 당시 북한군에게 점령당했으나 김성은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해병대 부대가 처음 단독으로 수행한 상륙작전으로 탈환하였다. 1953년에 거제군이 다시 분리되었으며, 1955년에 통영읍이 충무시로 분리 승격되었다. 1973년에 용남면 무전리가 충무시에 편입되었다.

이후 1995년에 전국적인 도농통합(시군 통폐합) 당시 충무시통영군이 다시 통영시로 통합되었다. 통합된 충무시는 통영의 별미 요리인 충무김밥 명칭 유래로 남아 있다.

3. 지리

북쪽으로는 고성군통영대전고속도로, 남해안대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로교통이 발전한 요즈음은 대개 많은 사람들이 이 경로로 통영으로 들어온다. 동쪽으로는 섬인 거제시14번 국도 소속인 신거제대교, 거제대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서쪽으로는 남해군이 위치하고 있는데 육로로 연결되어 있진 않고[12], 배를 통해 갈 수 있다.[13] 남쪽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이다. 반도와 많은 섬의 지리적 특성상 육로보다는 해로교통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부산에서 여수를 잇는 항로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육로교통의 발전이 우선시 되고 우리나라의 자동차 보유대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부산광역시·마산·삼천포·여수 간의 연안여객선은 차츰 사양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육로 교통여건은 굉장히 좋은 편인데,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상정대로의 확장, 마산에서 고성, 통영을 이어주는 남해안대로가 왕복 4차로로 확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굉장히 편해졌다.

육지부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고, 150여 개의 섬이 있다. 해안선이 구불구불한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므로, 이 굉장히 많다. 그리고 이런 곳을 이용해 간척한 곳도 여기저기 있어서, 원래는 세병관 앞 도로부터 바다였는데, 지금은 건물들에 가려 바다가 많이 가린다. 그리고 포켓비치와 헤드랜드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주요 해수욕장으로는 수륙터해수욕장(통영공설해수욕장)[14], 비진도에 있는 비진도해수욕장이 있다. 윗 동네 경상남도 고성군은 평지가 많으나 통영은 평야가 많지 않고 시역의 대부분이 산지와 바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마치 부산광역시처럼 산을 타고 구불구불 돌아가는 도로인 산복도로가 지역을 관통하고 있다.

동지역 남부는 미륵도에 위치하며, 썰물때 간신히 육지와 연결되는 정도이긴 했지만 일제강점기 통영운하를 파고 완전히 단절돼 지금은 교량으로만 연결되어 있다. 중심부에 미륵산이 있다. 높이는 462m로서 통영시에서는 벽방산에 이어 2째로 높은 산이다. 미륵산 위에 올라서면 통영의 산지, 해안가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날이 맑아 시야가 잘 트이는 날에는 대마도도 수평선에 걸쳐서 언뜻언뜻 보인다.

구글 어스 같은 위성지도로 번갈아 보면 홍콩과 통영의 지형이나 시가지 분포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다.

이외 한산도, 사량도, 욕지도 등이 주요 섬이다. 이중 한산도 교량 연결 계획이 그나마 추진 중이다.

4. 인구

파일:통영시 CI.svg 경상남도 통영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4,741명[1966통영시]
1970년 132,602명[1970통영시]
1973년 7월 1일 통영군 용남면 무전리충무시 편입
1975년 144,053명[1975통영시]
1980년 141,146명[1980통영시]
1985년 145,851명[1985통영시]
1990년 138,365명[1990통영시]
1995년 1월 1일 충무시 + 통영군 → 통영시로 통합
1995년 131,717명
2000년 123,842명
2005년 125,255명
2010년 140,297명
2015년 139,168명
2020년 128,293명
2024년 10월 118,7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도면 30,569명
무전동 13,180명
용남면 11,824명
미수동 10,354명
북신동 9,993명
봉평동 9,388명
도천동 8,288명
정량동 8,120명
산양읍 4,352명
중앙동 3,489명
도산면 2,686명
명정동 2,598명
한산면 1,882명
욕지면 1,881명
사량면 1,359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

1975년을 정점으로 인구가 증감을 반복하며 14만 가량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0년 이후로 14만 선이 무너지더니 2015년 이후로 급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2020년 5월 13만 선이 무너졌고, 현재도 한달에 200명 가량씩 꾸준히 빠져나가며 2024년 2월엔 12만 선도 무너졌다. 도시 내부로 들어가면 죽림지구의 인구가 약 2.5만 명, 신시가지의 무전동의 인구가 1.4만 명 정도로 통영시민 ⅓ 꼴로 무전동과 죽림지구에 거주하고 있다. 원도심[21]과 읍면지역의 인구는 도농통합 직후까지만 해도 원도심 지역은[22] 총 21,053명이 살았고, 읍면지역 역시 개발로 인구가 증가한 광도면과 용남면을 제외하면 21,656명[23]이나 살았으나, 원도심 지역은 현재 7,694명[24]으로 줄어 도농통합 직후와 비교해서 63.45%나 감소했고, 읍면지역 역시 광도면과 용남면을 제외하면 12,160명[25]으로 역시 도농통합 직후와 비교하여 43.85%가 감소하였다.

===# 읍면동별 인구 #===
파일:통영시 CI.svg 산양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419명
1970년 16,370명
1975년 16,229명
1980년 13,910명
1985년 12,265명
1990년 10,041명
1995년 3월 2일 통영시 산양면 → 산양읍 승격[26]
1995년 7,721명
2000년 6,473명
2005년 6,134명
2010년 5,801명
2015년 5,203명
2020년 4,677명
2024년 2월 4,3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용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529명
1970년 11,097명
1973년 7월 1일 통영군 용남면 무전리 → 충무시 북신동 편입
1975년 10,176명
1980년 9,217명
1985년 9,205명
1990년 7,747명
1995년 6,986명
2000년 9,741명
2005년 10,750명
2010년 11,302명
2015년 11,597명
2020년 12,668명
2024년 2월 11,8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도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742명
1970년 8,967명
1975년 8,917명
1980년 7,666명
1985년 6,944명
1990년 5,254명
1995년 4,396명
2000년 3,679명
2005년 3,511명
2010년 3,394명
2015년 3,193명
2020년 2,933명
2024년 2월 2,6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광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372명
1970년 10,442명
1975년 10,254명
1980년 9,093명
1985년 8,881명
1990년 8,240명
1995년 7,084명
2000년 6,915명
2005년 10,170명
2010년 22,877명
2015년 29,350명
2020년 31,088명
2024년 2월 30,5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욕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517명
1970년 12,242명
1975년 12,000명
1980년 9,899명
1985년 7,767명
1990년 5,186명
1995년 3,267명
2000년 2,664명
2005년 2,410명
2010년 2,306명
2015년 2,076명
2020년 2,018명
2024년 2월 1,8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한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955명
1970년 12,216명
1975년 12,329명
1980년 10,055명
1985년 8,351명
1990년 5,851명
1995년 3,525명
2000년 2,676명
2005년 2,597명
2010년 2,483명
2015년 2,223명
2020년 2,025명
2024년 2월 1,8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사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696명
1970년 7,313명
1975년 7,297명
1980년 5,796명
1985년 4,979명
1990년 3,869명
1995년 2,747명
2000년 2,143명
2005년 1,920명
2010년 1,791명
2015년 1,587명
2020년 1,506명
2024년 2월 1,3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통영시 CI.svg 도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도천동, 당동(법정동) →도천동(행정동)
평림동 → 평림1동, 평림2동 분리
인평동 → 인평1동, 인평2동 분리
당동(법정동) → 당동(행정동)
1966년 8,827명[1966도천동]
1970년 9,547명[1970도천동]
1975년 11,596명[1975도천동]
1980년 12,956명[1980도천동]
1985년 14,262명[1985도천동]
1985년 12월 18일 인평1동 + 인평2동 → 인평동 합동
1990년 15,341명[1990도천동]
1995년 5월 1일 평림1동 + 평림2동 → 평림동 합동(舊 평림1동 인구 일시 제외)
1995년 14,719명[1995도천동]
1998년 1월 1일 도천동 + 당동 → 도천동 합동
인평동 + 舊 평림1동 → 인평동 합동
2000년 15,102명[2000도천동]
2005년 13,493명[2005도천동]
2010년 12월 31일 도천동 + 인평동 → 도천동 합동
2010년 12,580명
2015년 11,447명
2020년 8,932명
2024년 2월 8,2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명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서호동, 명정동 → 서호동, 명정동(행정동)
평림동 → 평림1동, 평림2동 분리
1966년 9,464명[1966명정동]
1970년 9,958명[1970명정동]
1975년 12,260명[1975명정동]
1980년 12,990명[1980명정동]
1985년 12,532명[1985명정동]
1990년 10,334명[1990명정동]
1995년 5월 1일 평림1동 + 평림2동 → 평림동 합동
1995년 8,333명[1995명정동]
1998년 1월 1일 서호동 + 명정동 + 舊 평림2동 → 명정동 합동
2000년 6,068명
2005년 4,861명
2010년 4,911명
2015년 3,917명
2020년 2,993명
2024년 2월 2,59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항남동, 중앙동, 문화동, 태평동(법정동) → 항남동, 중앙동, 문화동, 태평동(행정동)
1966년 15,884명[1966중앙동]
1970년 16,144명[1970중앙동]
1975년 17,234명[1975중앙동]
1980년 16,164명[1980중앙동]
1985년 15,390명[1985중앙동]
1990년 12,695명[1990중앙동]
1995년 5월 1일 중앙동 + 문화동 → 문화동 합동
1995년 9,614명[1995중앙동]
1998년 1월 1일 항남동 + 문화동 + 태평동 → 중앙동 합동
2000년 8,318명
2005년 6,305명
2010년 6,597명
2015년 5,452명
2020년 4,044명
2024년 2월 3,4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정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동호동, 정량동(법정동) → 동호동, 정량동(행정동)
1966년 8,776명[1966정량동]
1970년 9,244명[1970정량동]
1975년 11,160명[1975정량동]
1980년 12,773명[1980정량동]
1985년 13,945명[1985정량동]
1990년 14,786명[1990정량동]
1995년 15,203명[1995정량동]
1998년 1월 1일 동호동 + 정량동정량동 합동
2000년 13,157명
2005년 11,215명
2010년 11,667명
2015년 11,005명
2020년 9,043명
2024년 2월 8,1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북신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북신동(법정동) → 북신동(행정동)
1966년 2,941명
1970년 3,834명
1973년 7월 1일 통영군 용남면 무전리 → 충무시 북신동 편입
1975년 7,294명
1980년 10,514명
1985년 15,281명
1985년 12월 18일 북신동북신동, 무전동 분동
1990년 12,148명
1995년 15,230명
2000년 13,880명
2005년 12,083명
2010년 10,257명
2015년 9,902명
2020년 10,658명
2024년 2월 9,9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미수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미수동 → 미수1동, 미수2동 분리
1966년 1,751명[1966미수동]
1970년 1,958명[1970미수동]
1975년 2,502명[1975미수동]
1980년 3,091명[1980미수동]
1985년 4,267명[1985미수동]
1990년 6,273명[1990미수동]
1995년 13,376명[1995미수동]
2000년 13,667명[2000미수동]
2005년 12,795명[2005미수동]
2010년 12월 31일 미수1동 + 미수2동 → 미수동 합동
2010년 13,640명
2015년 13,157명
2020년 11,347명
2024년 2월 10,3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봉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일자미상 충무시 행정동제 실시
봉평동(법정동) → 봉평동(행정동)
도남동 → 도남1동, 도남2동 분리
1966년 2,836명[1966봉평동]
1970년 3,270명[1970봉평동]
1975년 4,788명[1975봉평동]
1980년 7,032명[1980봉평동]
1985년 11,782명[1985봉평동]
1990년 15,324명[1990봉평동]
1995년 5월 1일 도남1동 + 도남2동 → 도남동 합동
1995년 14,828명[1995봉평동]
2000년 14,981명[2000봉평동]
2005년 14,018명[2005봉평동]
2010년 12월 31일 봉평동 + 도남동 → 봉평동 합동
2010년 14,267명
2015년 13,330명
2020년 10,441명
2024년 2월 9,3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통영시 CI.svg 무전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2월 18일 북신동 → 북신동, 무전동 분동
1990년 5,276명
1995년 4,688명
2000년 4,378명
2005년 12,993명
2010년 14,424명
2015년 15,679명
2020년 13,920명
2024년 2월 13,1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5.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53f8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53f80>
파일:통영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253f80> <colbgcolor=#ffffff,#191919> 기호로 · 견내량로 · 공단로
덕포로 · 도남로 · 도산일주로 · 동문로 · 동호로 · 두억로
미수로 · 미수해안로 · 미우지해안로
발개로 · 법송로 · 봉수로 · 북신로
산양일주로 · 산양중앙로 · 상도일주로 · 서문로 · 세병로
안개로 · 안정로 · 여황로 · 옥동로 · 욕지일주로 · 용남해안로 · 용호로 · 원문로
장문로 · 장좌로 · 죽림1로 · 죽림2로 · 죽림3로 · 죽림4로 · 죽림5로 · 죽림해안로 · 중앙로 · 지도해안로
천왕로 · 추도일주로 · 추봉로 · 춘원1로 · 춘원2로 · 춘원3로 · 충렬로
통영터널로 · 통영해안로
평인일주로 · 풍화일주로
하도일주로 · 한산일주로
경상남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영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로는 통영대전고속도로, 5번 국도, 14번 국도, 77번 국도, 67번 지방도가 있다. 시외로 나갈 때는 주로 통영종합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5번 국도가 거제도에서 한산도를 거쳐 통영시내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산이 많고 시가지가 좁은 도시 특성상 구시가지의 도로 여건은 최악이다. 대부분 도로의 차로 수가 왕복 2~4차로로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도로가 구불구불하고 차로 하나의 폭도 좁은 경우가 많다. 운전하기 어렵다는 부산의 도로보다 훨씬 심각하고, 비슷한 규모의 도시들과 비교해도 상황이 매우 열악하다. 시내버스와 관련된 내용은 항목 참조.

해상교통이 발달되어 있다. 서호동의 통영여객선터미널의 경우 인근 섬의 대부분을 경유한다. 제주도로 가는 항로도 있었으나 재정상의 문제로 폐지되었다. 항남동 여객선터미널 외에도 삼덕항에 여객선이 취항한다. 영동해운과 욕지해운 두 선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영동해운은 직항로를, 욕지해운은 연화도 경유 항로로 취항하고 있다. 삼덕항의 여객선 터미널은 예전부터 두 터미널을 합쳐 하나로 만들 계획이었다. 하지만 어촌계 간의 갈등과 당계당국의 미온적인 태도 등은 진행이 지지부진하다. 그렇기 때문에 여객들의 잠재적인 불만이있다. 대표적인 것이 화장실.

비행기를 이용하려면 사천시에 위치한 사천공항으로 온 다음 사천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통영까지 들어오는 방법이 있다. 예전에는 이런 방식으로 수도권에서 오는 당일치기 관광객들도 꽤 있었다고 하나 요새는 국내선 운항 감소 및 거가대교가 생기면서 김해공항에서 거가대교를 거쳐서 거제를 경유하여 오는 경우가 편리하다.

6. 경제

농수산업이 주업이며 전국 유수의 수산도시다. 좋은 어장도 있고 기후가 온난하여 연중 어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어획고가 많고 김·굴의 양식과 통조림·우무 등의 제조도 성하다. 특히 군내 해역은 수하식 굴 양식장으로 덮여 있고, 전국 제일의 굴 생산지가 되고 있다. 공업으로는 수산물 가공업과 소규모 조선 공업이 행해지며, 기타 조선·피혁·전분 등 공업도 성하지만 무엇보다도 나전칠기(자개)는 특산물이다. 다이아스포어(diaspore)의 매장이 많고 품질이 좋아 알루미늄·도자기 기타 내화물(耐火物) 제조에 유망하다.

통영시는 평야가 없고, 해안선을 따라 반농반어의 촌락이 형성되었는데, 그나마 비탈진 언덕에 밭농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에 수온이 적당하고 동해 난류가 흘러 수산업의 보고라고 할 수 있어 일찍부터 어업이 발달하였다.

6.1. 산업

6.1.1. 농업

대부분 구릉지와 매립지로서 경지 면적은 19.72㎢로 시 면적의 8.4%를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농가 가구는 6,192가구로 시 전체가구에 대한 농가 가구의 비율은 14%에 불과하다. 농산물은 쌀과 보리를 비롯하여 두류·서류 등 주곡작물이나, 지역에 따라 관광 농원을 조성하여 올리브·유자 등을 재배해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2000년도 식량작물생산량은 미곡 3,605t, 맥류 98t, 잡곡 139t, 두류 570t, 서류 1만 502t으로 미곡과 서류가 많이 생산된다. 근래에는 비닐하우스 재배에 의한 감귤류.바나나·파인애플 등 열대작물 농업에 성공하여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6.1.2. 수산업

남해안 최대의 수산도시이자 경남 남해안 수산업의 중심 지역이다. 흑산도·나로도·청산도·거문도·성산포·울릉도·미조도·욕지도·지세포 등과 함께 어업전진기지로 활약해 왔다. 넓은 간석지와 대륙붕의 발달로 각종 난류성 어족의 어장을 이루며, 특히 멸치 어획고가 높아 전국 생산의 약 80%를 차지한다. 멸치·고등어·도미·전갱이 등의 어획량이 많다. 리아스식 해안선은 천연양식장을 이루어 조개류·굴진주·해조류 등의 양식이 어느 곳보다 활발하다.

통영 해역은 FDA 점검 결과에서 양호 평가를 받아 청정해역으로 인증되었다.# 육·해상 오염원 관리 실태, 관리기록의 적정성, 정전 등 비상상황 대처 능력과 해역관리 상황 등에 대해 점검한 결과로, 이는 바다 생물 등이 살기에 좋고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해역이라는 뜻이며 물이 맑아서 바닥까지 보이거나 하는 건 아니다.[75]

바다양식 수산물은 미역·김·파래·바닷말·바지락·새꼬막·홍합·굴 등이며, 이 가운데 굴양식이 가장 활발하여 연간 생산량은 전국 생산의 30%에 이른다. 2000년도 수산물 생산량은 어류 6만 4525t, 연체류 17만 2167t, 해조류 1,130t, 갑각류 3t, 기타수산물 3,333t으로 연체류 수산물이 71%를 차지한다.

어업인이 많고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고 있어 다른 지역과 대조적으로 여러 수산업협동조합이 설립되어 있다. 굴수하식수협과 멍게수하식수협, 멸치권현망수협, 근해통발수협(장어, 꽃게) 등의 단위수협과 통영수협, 사량수협, 욕지수협 등의 본소가 있으며, 이 외에도 잠수기어업수협 등의 지소가 곳곳에 있다.

양식 산업도 굉장히 활성화 되어있다. 통영에서 생산되는 은 대부분 양식산이며 전국 생산량 7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의 황복 양식장에서 다양한 복어를 양식하고 있다.# 고등어 양식장은 국내에선 제주도욕지도 단 두 곳에만 존재한다.[76] 2018년부터는 욕지도에서 국내 최초 참다랑어 양식에 성공하였다. 원양어선산 냉동 참치보다는 훨씬 비싼 가격이지만 국산 생참치임을 내세워 직영 참치요리 전문점[77]에서 판매하고 있다.[78] 광어, 우럭, 참돔, 돌돔 같은 익숙한 횟감 생선# 이외에도 멍게, 피조개, 홍합,# , 미역, 다시마, 전복 등 다양한 수산물이 양식을 통해 생산된다. 생산량이 많은 만큼 저렴한 시세를 형성하여 타지인이 중앙시장의 활어시장에서 막썰어회를 사러 가면 놀라는 수준이다. 심지어 통영 동네 구석의 일개 허름한 분식집에서 파는 순두부찌개조차 해물탕처럼 해산물을 고봉으로 쌓아서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국내 멸치 생산량 70% 이상, 건멸치 50% 이상을 담당하고 있을 만큼 대부분 멸치조업은 통영시 해역에서 일어난다. 이와 관련된 국제 유일의 업종별 수협 중 하나인 멸치권현망수산업협동조합[79]이 설립되어있다. 특히 단일품목을 취급하는 업종별 수협 중 1,000억원 이상의 위판고를 기록한 조합은 이곳이 유일하다.

낚시어선의 경우 인접한 지역인 고성, 거제 간의 다툼이 심하다. 낚시어선에 관한 조례로 법적 근거는 어느 정도 마련되었지만, 관습이라는 것이 있기에 아직까지도 분쟁이 심하다. 심한 경우 구역 침해 등으로 해경에 고소·고발하기도 한다. 과거 낚시어선의 조업기간이 하루[80]였던 경우, 불법이었던 갈치잡이[81] 어선이 합법화되었다.[82]

6.1.3. 제조업 및 무역업

공업은 수산물 가공업이 대부분이고 특히 통조림·소건품(素乾品)·자건품(煮乾品)·염신품(鹽辛品)·냉동품·해초 제품 기타 식용품·비식용품 등 수산 제조업이 자못 성하다. 또한 어망·어선 건조·양조·전분 등 공업과 어망 공업은 전국에서 가장 성하며 그 제품은 국내 수요를 채우고 수출도 한다.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굴 등의 어패류를 가공하여 국내 시판은 물론 수출이 매우 활발히 이루어진다. 특히 나전칠기는 명산물이고 가구와 장식품 제조업도 성한 편이다. 제조업체는 2000년 기준 약 153개소로 2,227명의 종업원을 두고 있다. 광업은 2000년 기준 3개 업체가 있으며 종업원 65명으로 규모가 매우 작다.

통영항은 마산지방해양항만청 소속의 개항(開港; 정식명칭 무역항)으로 외국선적의 배가 자주 입항하며, 이는 항남동 여객선터미널 옆의 화물선부두에서 자주 볼 수 있다.[83]

2000년대 들어 통영을 지탱해 온 산업은 조선업이었으며 중소규모 조선소들이 많은 동네이기도 하다. SPP조선, 성동조선해양, 신아SB, 삼호조선, 21세기조선, 가야중공업 등 상당히 많았지만 성동조선해양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다 망했고 성동조선해양의 역시 2018년 법정관리에 들어갔다가 2020년 HSG중공업에 인수되어 HSG성동조선으로 겨우 유지 중이다.

산업단지는 안정국가산업단지, 안정일반산업단지, 법송일반산업단지, 법송제2일반산업단지, 덕포일반산업단지, 충무선박기관협동화단지등이 소재해 있다. 농공단지는 한군데도 없다.

한국가스공사 통영생산기지가 북동쪽 끝 광도면에 소재하며 남부지방 도시가스를 책임진다.

현재 기존공단 및 시가지내 해안변에 산재한 공장을 집단화하고, 남해안 공단과의 연계계획을 수립하여 공업벨트를 형성하는 안정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었고 청정해역의 수자원을 보호하고 지역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무공해 산업단지지역으로 새로이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6.2.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상권 문서
5.7.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통영시의 상권은 크게 3군데로 나눌수 있다.

6.3. 금융

통영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통영우체국 (10)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4)
시중은행
우리은행 (1)
하나은행 (1)
국민은행 (1)
지방은행
경남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통영농협 (6) 통영축협 (4) 한산농협 (1) 산양농협 (4)
새통영농협 (5) 산양농협 (2)
수산업협동조합
통영수협 (4) 욕지수협 (1) 사랑수협 (1) 경남정치망수협 (1)
서남해수어류양식수협 (1) 멍게수하식수협 (2) 멸치권현망수협 (1) 근해통발수협 (3)
새마을금고
새통영새마을금고 (4) 미륵도새마을금고 (5) 도천새마을금고 (3) 성심새마을금고 (3)
도봉새마을금고 (2) 동통영새마을금고 (2) 통영중앙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통영복음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통영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조흥저축은행 (1) 진주저축은행 (1)

7. 관광

통영시는 남해안의 대표적인 관광 도시이다. 2018년 관광객이 감소하기 전에 수요가 가장 많았던 시기에는 2016년 약 649만 명, 2017년 약 734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실제로 이곳에 오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이다. 이러한 오버투어리즘 기조로 휴가철 관광 시즌과 주말이 오면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된다.

특히 2014년 여름에 교통체증이 아주 심각했을 때는 도남관광단지에서 중앙시장까지 나오는 데 소요시간이 약 4시간이었다. 이 시간은 대통패황이 통영~서울을 편도로 한 번 찍는 시간과 비슷하다고 봐도 무방하다.[89] 관광객이 급증한 2015년에 들어서면서 이런 현상은 가속화 되었다가 2016년 시내를 우회하면서 바로 통영대교로 이어지는 국가지원지방도 67호선 통영터널과 통영터널로의 개통으로 점차 완화되고 있다. 하지만 통영에서 관광 수요가 가장 높은 곳은 동피랑과 중앙시장 부근이기에 시내 교통체증은 여전히 심한 편이다.

7.1. 주요 관광지

파일:통영시 CI_White.svg 통영8경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동호동 남망산 조각공원
산양읍 달아공원에서 바라본 석양
봉평동 미륵산에서 바라본 한라수도 공암풍벽
사랑면 낙대폭포 사랑도 옥녀봉
한산면 소매물도에서 바라본 등대섬 제승당 앞바다
욕지면 연화도 용머리
당동 통영운하 야경
}}}}}} ||
파일:external/image.tongyeong.go.kr/043-%EC%9E%85%EC%84%A0-%EC%9D%B4%EA%B0%95%EC%84%9D-%ED%86%B5%EC%98%81%EB%8C%80%EA%B5%90%20%EC%95%BC%EA%B2%BD-%ED%86%B5%EC%98%81.jpg
충무교에서 촬영한 야경과 통영대교

통영대교 일대는 통영 8경으로도 꼽히는 등 야경으로 유명하다.
파일:통영케이블카.jpg
한려수도 조망케이블카

2008년 4월 운행을 시작해 전국에 해상케이블카 열풍을 불러 일으킨 통영의 대표적 관광명소이다.[90] 관련영상 통영관광개발공사가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영업시간 및 요금은 홈페이지 참고.

여름철 성수기에는 현지인보다 관광객이 더 많을 정도이다. 이외에도 서바이벌 체험과 해상 체험 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광도면 종합버스터미널에서부터 1시간 거리이지만 성수기 때엔 교통체증으로 그 이상 소요되는 것이 다반사다. 바로 앞에 주로 해양소년단 경남남부연맹이 운영하는 청소년수련원이 위치해 있다,
파일:통영해저터널.jpg
해저터널

동양 최초의 해저 터널이며 일제강점기에 일본군의 물자 보급을 위해서 설치한 터널이다. 당시 기술력의 한계와 단순한 교통 목적으로 설치되었기에 바닷속 풍경이 보이는 것은 아니다.[91] 섬과 육지를 잇는 터널인 만큼 걸어서 건너보면 묘한 느낌을 준다. 여름에 들어가면 에어콘이 없는데도 시원하기 때문에 은근히 나가기 싫어진다. 겨울에는 히터도 없이 따뜻해지는 신비한 장소. 차량 통행은 불가능하지만 바로 옆을 지나는 충무교를 이용할 수 있으니 불편하지는 않을 것이다.
파일:통영루지3.jpg
스카이라인 루지

2017년 2월 10일에 개장한 곳으로 이는 뉴질랜드(2곳), 캐나다(2곳), 싱가포르(1곳) 이후에 세계에서 6번째로 개장된 사례이다. 루지를 타고 정해진 트랙을 내려오면 된다. 리프트를 타고 올라간 후 정상에서 카트를 타고 내려올 때 경치가 꽤 멋지다. 위치는 한려수도조망케이블카 맞은 편에 있다. 국내에 있는 루지 중에서 가장 스릴이 넘친다는 평이 많다.홈페이지
파일:욕지도.jpg
욕지도
파일:디피랑 입구.jpg
디피랑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6px -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강원권 원대리 자작나무 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남망산조각공원에 들어선 나이트 워크 테마파크로 통영의 새로운 야간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다. 통영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동피랑과 서피랑의 지워진 벽화들이 디피랑에 모여 축제를 벌인다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실감컨텐츠 기업인 닷밀과 통영관광개발공사[92]가 합작하여 개발했다.
파일:동피랑2.jpg
동피랑

중앙시장 뒤편 언덕에 자리잡은 마을. 벽화로 유명하다. 2년마다 벽화가 교체된다고 한다.
파일:서피랑.jpg
서피랑
동피랑과 마주보고 있는 마을이다.서피랑 정상에 위치한 서포루에서는 통제영과 통영의 중심항인 강구안, 맞은편 동피랑 등이 한눈에 들어오는 비경을 자랑한다.
파일:강구안.jpg
강구안
중앙시장과 동피랑과 인접한 항구이다. 한때는 여객선 터미널이 존재하여 여수 등지로 이동할수 있었으나 바로 옆으로 이전하였다. 또한 거북선 3척과 판옥선 1척이 정박하여 관광용으로 쓰였으나 항만의 공사로 인해 도남광관단지로 넘겨버렸다.
한산도 대첩이 일어났던 시기가 되면 한산대첩축제가 열였으나
거북선과 같은 이유로 현재는 도남관광단지에서 개최중이었다.
하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개최가 중단된 상태였으나 2023년 다시 강구안을 중심으로 축제를 개최했다. 그리고 지금은 항만 입구 양쪽끝을 읻는 보도교도 있다.
파일:윤이상기념관.jpg
윤이상기념관
파일:external/www.ksilbo.co.kr/556180_234540_453.jpg
한산대첩 병선마당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tongyong_mark_liv.png경상남도 통영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광도초등학교 남포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두룡초등학교 벽방초등학교
사량초등학교 산양초등학교 산양초등학교곤리분교장 산양초등학교풍화분교장 산양초등학교학림분교장
용남초등학교 원량초등학교 원량초등학교연화분교장 원평초등학교 유영초등학교
인평초등학교 제석초등학교 죽림초등학교 진남초등학교 충렬초등학교
충무초등학교 통영초등학교 한려초등학교 한산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tongyong_mark_liv.png경상남도 통영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도산중학교 동원중학교 사량중학교 산양중학교
욕지중학교 충렬여자중학교 충무여자중학교 충무중학교
통영여자중학교 통영중앙중학교 통영중학교 통영한산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tongyong_mark_liv.png경상남도 통영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동원고등학교 충렬여자고등학교 충무고등학교 통영고등학교 통영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북신만 매립지 개발로 통영초등학교가 이전하고, 그 앞에 통영중앙중학교가 생겼는데 규모는 작은 편이다. 운동장이 실제로 통영의 중학교 중에서 제일 작다. 중앙중에서 운동장이 큰 통영고등학교로 넘어온 학생들은 놀랄 정도이다.

2022년 기준으로 중앙중학교보다 충무고등학교 운동장이 작아졌다. 원래는 체육대회를 할 수 있는 크기였는데 씨름장(충무관)이 건설되면서 운동장은 작아졌다.

경상남도 거점국립대학인 경상국립대학교 통영캠퍼스가 인평동에 위치하고 있다. 이원화 캠퍼스이며, 해양도시인 통영에 걸맞게 해양 분야로 특화되어 있다.

8.2. 주거환경

파일:통영시가지1.jpg
파일:통영시가지2.jpg

사진은 통영의 원도심인 중앙동

시가지의 중심이 중앙동, 항남동, 서호동에서 무전동과 죽림으로 이전하고 있다.[93] 롯데마트 통영점(무전동)과 이마트 통영점(죽림)이 개점하였으며, 롯데시네마와 CGV 통영이 무전동에 있다. 그럼에도 죽림은 베드타운의 성격이 너무 강하다. 원룸과 아파트가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주민들에게 점점 그런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이는 죽림의 위치 문제가 강한데, 예전에는 죽림으로 넘어가는 길이 타 지역으로 가는 길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 또한 죽림은 땅값이 비싸기 때문에 어느 정도 빈부격차의 시선도 생겼고, 그로 인해 죽림 주민과 그 외의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서로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도 왕왕 있다.

2015년부터 북신동의 일부가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로 유영초등학교 등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인 해모로오션힐아파트단지가 2019년 완공되었고, 그 덕분에 은행을 포함한 주변 상가들이 모두 철거되었다. 덕분에 경치 좋은 통영은 근처 언덕에서 내려다보면 멋진 풍경을 볼 수 있었으나 2015년 말부터 해모로가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면서 산복도로는 볼 수 없게 되었다.[94]

8.3. 음식

이곳에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요리로 충무김밥이 있다. 여타 김밥과는 달리 속에 반찬을 넣지 않고 따로 곁들이는 것이 특징이다. 여름에 김밥 속이 쉽게 쉬어버리는 것 때문에 밥과 속을 분리해서 판 것에서 비롯되었다.[95] 김밥+오징어(혹은 꼴뚜기) 무침+석박지로 구성되어 있다. 항남동 강구안 거리에는 충무김밥 음식점이 줄줄이 늘어서 있다.

단팥소가 든 반죽을 튀겨 물엿을 입혀낸 꿀빵도 이색 먹거리로 손꼽힌다. 최근에는 속재료로 고구마, 녹차 등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거나 딸기, 초코 등을 첨가하여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 밖에 멸치, , 멍게, 유자차, 욕지도 고구마 등이 유명한데 이 고구마[96]를 쑤어 만든 죽이 빼때기죽[97]이다. 예전 보릿고개 시절에 구황작물인 고구마로 어떻게든 연명해 왔던 역사를 지니고 있다.[98] 사실 욕지도 명물로는 해물짬뽕도 있다. 욕지농협 근처에 있는데, 두 노부부가 운영하고 있지만, 예전에 비해 맛이 떨어진다.[99] 최근에는 해풍내음 이라는 통영 전용 브랜드를 만들어 각종 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앞에 있는 것들도 포함해 고구마 줄기, 고구마 술, 파프리카 등이 있다. 기후가 좋아 바닷가임에도 맛있는 채소들이 많이 나는 편이다.[100]

술꾼들에게는 통영 다찌집이 유명하다.[101]

도다리 쑥국도 유명하다. 그리고 우짜면도 있는데, 이는 짜장면에 우동 국물을 부어 먹는 것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맛있다.[102] 미수동 부근에는 횟집이 줄지어선 횟집거리가 유명했지만 재건축되면서 옛말이 되었다.[103] 대신 싸게 회를 먹으려면 중앙시장에 있는 막썰이를 찾아가면 된다.[104] 진짜 막 썰어주는 게 막썰이회 맛이니 모양 별로라고 타박하지 말자.

통영은 멸치가 많이 잡히는 곳으로 멸치쌈밥, 멸치회무침 등의 음식도 맛볼 수 있다. 말리지 않은 생 멸치로 만든 음식으로, 통영-거제 일대가 국내 멸치 어업의 중심지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지역 특산물을 재료로 하는 음식으로 쳐줄 수 있다. 특히 멸치회무침은 타 지역에선 확실히 맛보기 힘든 음식이다.[105]

제주도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고등어 양식이 이루어진 곳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고등어회를 맛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고등어 회가 내륙지방에선 1마리 30,000원 꼴인데, 통영에선 1마리 15,000원에 포장 판매되고 있다. 물론 포장이 아니라 횟집에서 먹으면 더 비싸다. 양식장이 위치한 욕지도에선 상당수 식당에서 고등어회를 판매하며, 2021년 현재 통영 중앙시장에 포장 위주로 고등어를 판매하는 가게가 2개, 고등어회 전문 식당이 중앙시장-서호시장 사이에 2개 있다. 고등어 전용 수조를 들여놔야 해서 취급하는 가게가 그렇게 많진 않다.

중앙시장에서 고등어회를 처음 판매하기 시작한 원조격 가게에서 고등어와 맛이 유사한[106] 전갱이[107] 회를 끼워팔기 식으로 파는데, 전갱이는 원래 이쪽 지역 토박이들에게 인기있는 고급 어종은 아니고 잡어 취급 받는 생선이다. 아무거나 잘 먹고 번식도 잘 해서 많이 잡히는데다 잘 상하기도 한다고. 그래서인지 지역 상인들이 본격적으로 취급하진 않으나, 내륙지방 출신 관광객들 상대로는 조금씩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동네에서 흔한 어종인 만큼 양식 고등어보다 가성비가 좋다.

멍게가 많이 나는 만큼 멍게비빔밥을 판매하는 식당이 정말 많은데, 멍게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먹어보자. 품질 좋은 멍게를 사용해 많이 비리지도 않고 매우 고소하고 맛있다. 만약 멍게비빔밥이 마음에 든다면 서호시장 부근 멍게수협 공판장에 가보자.[108]. 멍게비빔밥용으로 가공된 멍게를 병 포장으로 판매한다.[109]

그리고 깔끔하게 끓인 건어물 육수 기반 우거지된장국 베이스에 곱게 간 장어가 들어간 '시락국'도 저렴한 편[110]이면서 지방색 돋보이는 맛있는 메뉴다. 서호시장 등 시장골목 안에 맛있는 집이 많다. 시락국의 경우 아주 오래 푹 끓일 경우 배추 우거지 특유의 단 맛이 국물에 배이게 되는게 이게 산초를 넣어 맛을 내는 칼칼함을 좋아하는 경우에는 약간의 불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감안해 볼것. 김 무침을 넣어보시라는 권유를 받을 수 있는데, 김 무침 맛을 한 번 보고 시도해 보자. 이것도 통영 토박이가 아니라면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단맛 덜 나는 짭짤한 시락국도 기호에 맞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2010년대 SNS 시대 이후로는 동피랑 벽화마을에 있는 울라봉이란 카페에서 파는 쌍욕라떼도 유명해졌는데 이것의 정체는 바로 초코라떼, 녹차라떼, 카페라떼 등 라떼 메뉴들 위에 초코 시럽으로 쌍욕을 한사바리 적어서 주는 것이다. 게다가 주문하고 나면 손님에게 이것저것 물어보거나 손님의 행동을 살펴보기에 전부 다 다른 욕이 쓰여지게된다. 내어주면서 재미로 하는 거라고 강조하면서 미안하다고도 해주니 자기 라떼 위에 써진 욕을 보고 너무 상심하진 말자. 참고로 19세 미만에게는 욕을 써 주지 않는다고 한다. 2016년 5월쯤 츄리닝이나 슬리퍼 등을 착용하고 오지 말라는 문구가 붙혀져 논란이 된 적이 있다.

8.4. 문화시설

전통예술로는 통영 나전칠기로 알려진 옻칠예술이 유명하며, 옻칠예술은 선사시대 이래 우리나라에서 천 년 동안 통일신라시대 채화칠기, 고려시대 나전칠기를 통해 계승발달하였다. 통영에는 전통적 나전칠기부터 현대옻칠예술까지 볼 수 있는 통영옻칠미술관이 있으며, 전통공예관과 전통문화원을 통해서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통영옻칠미술관은 김성수 작가가 2006년이 건립한 미술관으로 전통예술인 옻칠공예뿐 아니라 이를 응용한 옻칠회화까지 폭 넓은 옻칠예술을 보여주는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옻칠미술관이다.

전혁림(1916년 1월 21일 ~ 2010년 5월 25일)은 유치진, 유치환, 윤이상, 김춘수와 함께 통영문화협회를 창립해 문예 활동을 했고 "가장 통영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개념을 작품에 투영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통영의 문화와 예술을 실천해왔다. 전혁림미술관은 전혁림 화백의 개인 미술관이다. 그의 작품을 도자기 타일에 옮겨 외벽을 장식한 미술관 1층은 그의 작업 현장이자 신작 전시실이며 2층은 1950~70년대 작품, 3층은 근현대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20세기 현대음악 역사를 빛낸 한국 출신의 세계적 작곡가 윤이상이 통영에서 초창기 활동을 했으며, 이를 기리기 위해 2002년부터 '통영국제음악제'(TIMF)가 매년 봄 개최되고 있다. 도천동 도천 사거리 주변에는 윤이상 공원이 건립되어 있으며 야외 공연장 또한 공원 부지 안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도남동 스탠포드 호텔 바로 옆에 통영국제음악당이 건립되어 현재는 국제음악제 공연과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경연이 이 건물에서 이루어진다[111]

영화관은 상술했듯 롯데시네마 통영이 유일하게 있다.

8.5. 의료기관

종합병원은 새통영병원(294병상) 하나 있으며, 그 외 5개 병원급이 있다.[112] 문제가 생기면 창원이나 진주로 가는데, 진주 경상대학교병원이 더 가깝다.

8.6. 스포츠

통영시를 연고로 하는 프로 스포츠 구단은 없지만 프로 스포츠 컵대회를 2회 개최한 이력이 있다.

8.7. 기타

대순진리회 계열인 청우일신회라는 종교단체가 '국도'라는 섬[113]에 위치하고 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영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욕지도에 해군기지가 있다. 예비군훈련장은 평림동에 있다. 1974년 대한민국 해군흑역사급 사건 중 하나인 YTL30호 침몰 사건이 일어난 적이 있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영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13. 대중문화에서 등장하는 통영


그 외 <하하하> (2010년作) 홍상수 감독의 영화 촬영 배경지로 나왔다. 또 <빠담빠담... 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 (2011~2012) JTBC 드라마 속 촬영 장소로 나왔고, 후아유 - 학교 2015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항목 참고.

14. 출신 인물

15. 자매도시

거제와 고성이 있다. 특히 고성은 통영과 통합될 뻔 하였지만 고성군민의 반대로 무산된 적이 있다.

15.1. 국내

15.2. 국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0월 기준.[3] 통영시 가선거구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박상준, 전병일
통영시 나선거구 (산양읍,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미수동, 봉평동): 노성진, 조필규
통영시 다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배도수, 신철기
통영시 라선거구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김미옥, 김태균
통영시 비례대표: 김희자
[4] 통영시 가선거구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배윤주
통영시 나선거구 (산양읍,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미수동, 봉평동): 김혜경, 정광호
통영시 비례대표: 최미선
[5] 통영시 제1선거구 (산양읍, 용남면, 도산면, 광도면, 욕지면, 한산면, 사량면, 미수동, 봉평동): 강성중 (초선)
통영시 제2선거구 (도천동, 명정동, 중앙동, 정량동, 북신동, 무전동): 김태규 (초선)
[6] 비슷하게 군영에서 유래한 지명은 경상좌수영에서 유래한 부산광역시 수영구와 그 산하의 수영동, 전라병영에서 유래한 강진군 병영면, 경상좌병영에서 유래한 울산광역시 중구 병영동 등이 있다.[7] 원래 삼도수군통제영은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처음 임명됐을 때도 이곳(한산도)에 있었지만 칠천량 해전 이후에 고금도로 자리를 옮겼었다.[8]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은 합천군이다.[9] 섬이 많다는 것을 차용한 것이다. 잘 보면 통영이라는 글자가 보인다.[10] 죽림만 매립지로 청사를 옮기려고 시도는 했으나, 시기를 놓치고 옮길까말까 갈등하는 사이 굵직한 다른 관공서들이 매립지에 자리를 잡아 끝내 옮기지 못하고 그대로 쓰고 있다. 그래서 죄없는 청사가 뜯고 짓고 증축당해 힘들어한다. 밤 10시 이후로 가면 건물이 을씨년스럽다.[11] 나름 시청인데 코앞에 가는 버스가 거의 없다.[12] 남해군과 육로로 연결되어 있는 곳은 하동군사천시이다.[13] 육로 교통으로 가려면 고성군사천시를 거쳐서 갈 수 있는데 오히려 배로 가는 것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14] 수질이 좋지 않다. 통영으로 여행을 와서 해수욕장을 가고 싶다면 배를 타고 섬으로 가서 해수욕을 즐기자. 물이 안까지 보일 정도로 정말 맑다.[1966통영시] 충무시 50,506명 + 통영군 84,235명[1970통영시] 충무시 53,955명 + 통영군 78,647명[1975통영시] 충무시 66,838명 + 통영군 77,215명[1980통영시] 충무시 75,510명 + 통영군 65,636명[1985통영시] 충무시 87,459명 + 통영군 58,392명[1990통영시] 충무시 92,177명 + 통영군 46,188명[21] 당시 기준 서호동, 명정동, 항남동, 문화동, 태평동, 동호동[22] 서호동 3,343명, 명정동 4,076명, 항남동 2,346명, 문화동 2,924명, 태평동 4,343명, 동호동 4,021명[23] 산양읍 7,721명, 도산면 4,396명, 욕지면 3,267명, 한산면 3,525명, 사량면 2,747명[24] 서호동 984명, 명정동 1,311명, 항남동 997명, 문화동 809명(중앙동+문화동 합산), 태평동 1,683명, 동호동 1,910명[25] 산양읍 4,352명, 도산면 2,686명, 욕지면 1,881명, 한산면 1,882명, 사량면 1,359명[26] 도농복합시의 면중 1개는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1966도천동] 도천동 4,667명 + 평림1동 880명 + 인평1동 1,862명 + 인평2동 13명 +당동 1,405명[1970도천동] 도천동 5,319명 + 평림1동 846명 + 인평1동 1,034명 + 인평2동 766명 +당동 1,582명[1975도천동] 도천동 6,635명 + 평림1동 871명 + 인평1동 1,286명 + 인평2동 811명 +당동 1,993명[1980도천동] 도천동 7,411명 + 평림1동 835명 + 인평1동 1,536명 + 인평2동 823명 +당동 2,341명[1985도천동] 도천동 8,094명 + 평림1동 758명 + 인평1동 2,000명 + 인평2동 801명 +당동 2,609명[1990도천동] 도천동 7,358명 + 평림1동 664명 + 인평동 4,769명 +당동 2,550명[1995도천동] 도천동 7,145명 + 인평동 5,731명 +당동 1,843명[2000도천동] 도천동 8,529명 + 인평동 6,573명[2005도천동] 도천동 7,324명 + 인평동 6,169명[1966명정동] 서호동 5,333명 + 명정동 3,369명 + 평림2동 762명[1970명정동] 서호동 5,272명 + 명정동 3,923명 + 평림2동 763명[1975명정동] 서호동 6,205명 + 명정동 5,247명 + 평림2동 808명[1980명정동] 서호동 5,757명 + 명정동 6,532명 + 평림2동 701명[1985명정동] 서호동 5,360명 + 명정동 6,582명 + 평림2동 590명[1990명정동] 서호동 4,396명 + 명정동 5,435명 + 평림2동 503명[1995명정동] 서호동 3,343명 + 명정동 4,076명 + 평림동 914명[1966중앙동] 항남동 4,977명 + 중앙동 1,839명 + 문화동 2,952명 + 태평동 6,116명[1970중앙동] 항남동 4,818명 + 중앙동 2,043명 + 문화동 3,283명 + 태평동 6,000명[1975중앙동] 항남동 4,963명 + 중앙동 2,276명 + 문화동 3,674명 + 태평동 6,321명[1980중앙동] 항남동 4,174명 + 중앙동 2,153명 + 문화동 3,364명 + 태평동 6,473명[1985중앙동] 항남동 3,692명 + 중앙동 2,048명 + 문화동 3,228명 + 태평동 6,422명[1990중앙동] 항남동 3,071명 + 중앙동 1,543명 + 문화동 2,406명 + 태평동 5,675명[1995중앙동] 항남동 2,346명 + 문화동 2,924명 + 태평동 4,344명[1966정량동] 동호동 4,029명 +정량동 4,747명[1970정량동] 동호동 4,276명 + 정량동 4,968명[1975정량동] 동호동 4,717명 + 정량동 6,443명[1980정량동] 동호동 4,661명 + 정량동 8,112명[1985정량동] 동호동 4,829명 + 정량동 9,116명[1990정량동] 동호동 4,256명 +정량동 10,530명[1995정량동] 동호동 4,021명 + 정량동 11,182명[1966미수동] 미수1동 883명 +미수2동 868명[1970미수동] 미수1동 909명 + 미수2동 1,049명[1975미수동] 미수1동 1,103명 + 미수2동 1,396명[1980미수동] 미수1동 1,151명 + 미수2동 1,940명[1985미수동] 미수1동 1,912명 + 미수2동 2,355명[1990미수동] 미수1동 3,897명 +미수2동 2,376명[1995미수동] 미수1동 7,417명 + 미수2동 5,959명[2000미수동] 미수1동 7,125명 + 미수2동 6,542명[2005미수동] 미수1동 6,905명 + 미수2동 5,890명[1966봉평동] 봉평동 1,066명 + 도남1동 910명 + 도남2동 860명[1970봉평동] 봉평동 1,374명 + 도남1동 996명 + 도남2동 900명[1975봉평동] 봉평동 1,907명 + 도남1동 1,637명 + 도남2동 1,244명[1980봉평동] 봉평동 2,675명 + 도남1동 2,885명 + 도남2동 1,472명[1985봉평동] 봉평동 5,734명 + 도남1동 4,377명 + 도남2동 1,671명[1990봉평동] 봉평동 7,491명 + 도남1동 6,536명 + 도남2동 1,297명[1995봉평동] 봉평동 6,830명 + 도남동 7,998명[2000봉평동] 봉평동 6,198명 + 도남동 8,783명[2005봉평동] 봉평동 6,304명 + 도남동 7,714명[75] 해류 때문에 통영항을 비롯한 몇몇 곳은 물이 더러운 곳도 있다. 안까지 보이는 아주 맑은 물을 보려면 배를 타고 섬으로 나가자. 해수욕장도 비진도 해수욕장같은 섬에 속해 있는 해수욕장들이 물이 맑고 좋다. 연대도 섬 뒤쪽으로 가면 몽돌해수욕장이 있는데, 사람이 별로 알지 못하는 곳이다. 한 번쯤 가보길 권한다.[76] 양식 고등어는 횟감으로 주로 소비된다. 자연산 고등어보다 비싸지만 수조에서 훨씬 더 잘 생존하기 때문에, 바다에서 먼 육지에서 고등어 활어회를 맛보려면 현실적으론 양식산 말고는 답이 없다.[77] 상호명은 '문참치'이다. 거제, 통영 쪽에 점포가 몇 개 있다.[78] 해당 양식장은 유튜버 쯔양이 다녀간 뒤 더욱 유명해지기도 했다. 쯔양이 다녀간 이후 아예 욕지도 가는 배편이 늘었다.[79] 기선권현망수산업협동조합에서 2016년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칭을 변경하였다. 기선권현망은 멸치를 잡는 어구·어법이며 '권현'은 만선과 풍요를 상징하는 일본 바다 수호신의 이름인 '권현신'에서 유래됐다. 현재는 불법 개조 선박 등 문제로 기선권현망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논쟁이 잦으며 행정소송이 계속 잇따르고 있다.[80] 정확히는 새벽에 낚시영업 금지[81] 현지어: 갈치바리[82] 하지만 영업시간의 제한은 풀렸지만, 이 낚시 어선들이 승객을 싣고 근해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역시도 문제이다.[83] 사실 이보다 욕지도 부근에 피항하고 있는 외국적선들이 많다.[84] 통영시에서 가장많은 인구인 2만 5,000명 정도 된다. 이는 신시가지인 북신동과 무전동을 합치면 비슷한 인구이다.[85] 안정공단을 중심으로 한 공장 노동자와 그 노동자를 위한 아파트, 원룸 위주의 주거시설이 들어서있고, 상주인구에 맞춰서 어느정도 상권이 형성돼있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89] 사실 봉평 오거리에서 북신 사거리까지 걸어서 1시간 30분 밖에 안 걸린다. 차가 정말 밀리는 거 같으면 느긋하게 걸어 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하다. 통영의 북신동 거리에서 도남동으로 쭉 걸으면서 윤이상 기념 공원에도 들려보고 그 앞에 있을 해저 터널을 넘으면 꽤 색다른 느낌이 든다.[90] 현재는 다른 지자체들도 앞다퉈 케이블카를 설치하면서 경쟁이 심해졌고, 결국 2019년에는 탑승객 수가 100만 명을 넘지 못하게 되었다.[91] 실제로 기대하고 갔다가 외견을 보고 일단 실망하는 사람이 많은데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은 내부에서 사진이 잘받는 것을 보고 다시 좋아한다.[92] 통영관광개발공사의 사장은 국내에서 테마파크 전문가로 알려져 있는 김혁이다. 디피랑에 굉장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93] 실제로 통영에 사는 젊은 사람과 중장년층에게 시내가 어디냐 물어보면 각각 다르게 답한다.[94] 여담으로 주영라이프와 그 주변 주택에 살던 사람들은 이제 파리바게트가 재개발로 일찌감찌 영업을 종료하여 빵 하나 먹으려면 멀리까지 가야 한다. 사실 통영이 원체 좁아 멀리는 좀 과장이고 그냥 걸어서 10~20분 정도면 충분히 갔다올 수 있다.[95] 충무김밥이 처음 만들어진 계기는 한번 바다를 나가면 오랜 시간 걸리는 어부의 아내가 속재료가 든 김밥은 빨리 상하기에 김에 밥만 따로 싸고, 반찬을 따로 담아 바다로 가져가게 한 것이라 한다.[96] 생고구마를 쑤는 게 아니라 말려서 딱딱해진 고구마로 만든다.[97] 1박 2일에서 방송되면서 통영명물로 급부상했다. 바짝 마른사람을 통영에서는 빼때기라고도 부른다. 그 덕에 통영에 고구마값이 비싸졌다.[98] 욕지도에 유명한 말로 욕지처녀가 시집갈 때까지 쌀 3말도 못 먹는다는 말이 있다. 육지가 먼 섬은 어딜가나 물자가 부족하니 이런 말이 나온 것이다.[99] 재료가 냉동 해물로 바뀌었다. 더군다나 예전에는 짜장면을 수타로 뽑았다. 하지만 지금은 이하생략이다. 사실 주인 내외분들의 연세를 생각한다면 어쩔 수 없다.[100] 바닷가에서 자라는 채소들이 맛있는 이유는, 옛어른 말씀을 따르자면 해풍을 맞았기 때문이란다. 확실히 바닷바람 맞고 자란 채소(특히 시금치)는 나물로 무치게 되면 채소 자체의 단맛과 향이 더 강하고 뛰어나다.[101] 남해 지역에는 저마다 이런 방식의 선술집을 부르는 이름이 있다. 진주는 실비집, 부산/마산/창원은 통술집. 선술집의 서다는 한자立을 일본어로 발음하면 바로 "다찌" 다. 주의할 점은 현지인 분들이 자주 가시는 곳으로 추천받은 다찌집에서는 의외로 해물 비율이 생각보다 적다고 느껴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해산물의 신선도와 품질은 최고일 것이다. 이유는 해산물이 일상이고 친구분들과 한 잔 하러 가시는게 이벤트인지라 현지에서 자주 못 드시는 음식이 나와야 해서 그러하며 녹두전이 안주로 나올 때도 있을 정도다.[102] 통영 사람들도 의외로 안 먹어 본 사람들이 많다. 제발 자기 통영 지인한테 우짜 맛있냐고 묻지말고 먹어봤냐고 먼저 물어보자.[103] '23년 12월 26일 저녁 확인결과 거북선호텔에서 미수해안로 초입으로 가는 길 부근 줄지어 있던 오래된 횟집들은 전부 헐렸다.[104]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싸지 않지만 그래도 내륙인들에게는 싸게 느껴질 수 있다.[105] 멸치라는 생선이 횟감으로서 특별한 맛을 자랑하는 생선은 아니다. 매콤새콤한 양념 맛으로 먹는 것에 가깝다. 먹어본 소감을 말하자면 굳이 찾아서 먹을 정도로 독특한 맛이 있는게 아닌데 선도 유지 및 유통도 어렵다보니, 타 지역에서 수요도 별로 없고 식당도 별로 없는 걸로 보인다.[106] 광어연어 같은 여타 횟감 생선과 비교하면 전갱이 쪽이 훨씬 유사하다는 거지, 맛이 다르긴 다르다. 그래도 굉장히 기름진 등푸른 생선이라는 측면에서, 고등어회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전갱이회도 입에 맞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107] 통영 앞바다에서 잡히는 전갱이는 고급 일식집에서 취급하는 '줄무늬 전갱이'와는 품종이 아예 다른 일반 전갱이이다.[108] 서호시장에서 나와 바다쪽을 바라보고 나서 우향우 해서 쭉 가면 있다. 서호시장 바로 옆이라는 말씀. 부근 길 하나 건너편에 농협 하나로 마트도 있다. 농협 주차장은 1시간 무료니 거기에 주차하면 된다. 단, '2023년 12월 28일 기준으로 멍게수협 공판장은 오전 12시부터 오후 1시까지는 점심시간으로 영업 안 한다.[109] 제철 멍게로 가공해서 냉동한 다음 1년내내 판매하는 제품으로 보인다.[110] '23년 12월 27일 현재 6,000원 선이다.[111] 건립 이전에는 통영시민문화회관의 대극장과 소극장을 무대로 이용했다.[112] 통영중앙병원, 고려병원, 통영서울병원, 신세계로병원, 적십자병원[113] 경상남도 최남단 섬이다.[114] 통영고등학교 정문에도 있다.[115] 통영시에 교류협회가 존재하며 이름은 통영국제교류협회(TIFA) 3박 4일 정도로 사야마의 교류협회와 홈스테이를 하는데 1년마다 홈스테이를 가기도 하고 오기도 한다.[116] 세관, 해경, 어업지도사무소 등 당연한 곳은 제외하더라도 대부분 행정기관은 배를 가지고 있다. 심지어 병원선까지 있다.[117] 2018년[118] 큰 비중으로 언급과 촬영이 되었다. 고은별 학교로 전학간 이은비 학교폭력가해자인 강소영에게도 큰비중으로 언급이 되었다.[119] 1화에 사랑의집에 온 택배가 경상남도 통영시 무전동이라는 세세한 행정동명까지 언급이 되었다.[120] 주요촬영지는 한산대첩전망대(통영케이블카), 통영금호마리나리조트, 통영시청, 통영대전고속도로 통영영업소, 통영중앙시장, 강구안문화마당, 문화동[121] 2016년[122] 2019년[123] 2002년[124] 지역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125] 18대: 비례대표 / 20대: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22대: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갑[126] 통영 출신이라고 본인이 맘마미아에서 밝혔다. 허경환이 다녔던 통영고등학교의 후배라서 개그맨 합격당시 통영고 학생들 대학교 합격 플랜카드 옆에 정찬민 개그맨 합격이라는 플랜카드가 있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둘다 중학교도 같은 학교(충무중) 출신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