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인명이 아닌 지명, 단체명 등의 개명 사례를 다루는 문서이다.2. 목록
2.1. 개명을 한 동물
- 러바오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웬신(园欣)이었으나 한국으로 오면서 러바오(乐宝)로 개명했다.
- 아이바오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화니(华妮)였으나 한국으로 오면서 아이바오(爱宝)로 개명했다.
- 리리 - 우에노동물원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이름은 비리(比力)였으나 일본으로 오면서 리리(力力)로 개명했다.
- 신신 - 우에노동물원에서 사육 중인 자이언트판다. 중국에서 쓰던 이름은 셴뉘(仙女)였으나 일본으로 오면서 신신(真真)으로 개명했다.
- 레시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레서판다. 일본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토우야(とうや)였다.
- 레아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레서판다. 캐나다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로즈(Rose)였다.
- 레몬 - 에버랜드 판다월드에서 사육 중인 레서판다. 일본에서 쓰던 원래 이름은 미루키(みるき)였다.
2.2. 개명을 한 장소들
2.2.1. 역
자세한 내용은 역명이 바뀐 역 문서 참고하십시오.2.2.1.1. 대한민국
2.2.1.1.1. 수도권 전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노선별 보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373a3c,#ddd> 노선명 | 현재 역명 | 구 역명 | |
<rowcolor=#ddd> 1호선 | 양주 | 주내 (2006.12.15.~2007.12.27.) | ||
<rowcolor=#ddd> 가능 | 의정부북부 (1987.10.5.~2006.12.14.) | |||
<rowcolor=#ddd> 광운대 | 성북 (1974.8.15.~2013.2.24.) | |||
<rowcolor=#ddd> 외대앞 | 휘경 (1974.8.15.~1995.12.31.) | |||
<rowcolor=#ddd> 가산디지털단지 | 가리봉 (1974.8.15.~2005.6.30.) | |||
<rowcolor=#ddd> 금천구청 | 시흥 (1974.8.15.~2008.12.28.) | |||
<rowcolor=#ddd> 의왕 | 부곡 (1974.8.15.~2004.6.24.) | |||
<rowcolor=#ddd> 성균관대 | 율전 (1979.2.1.~1983.12.31.) | 성대앞 (1984.1.1.~1994.11.30.) | ||
<rowcolor=#ddd> 평택지제 | 지제 (2006.6.30.~2020.11.23.) | |||
2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서울운동장 (1983.9.16.~1985.10.23.) | 동대문운동장 (1985.10.24.~2009.10.28.) | |
건대입구 | 화양 (1980.10.31.~1985.2.28.) | |||
잠실나루 | 성내 (1980.10.31.~2010.5.26.) | |||
잠실새내 | 신천 (1980.10.31.~2016.12.14.) | |||
구로디지털단지 | 구로공단 (1984.5.22.~2004.9.30.) | |||
용답 | 기지 (1980.10.31.~1992.3.19.) | |||
3호선 | 경복궁 | 중앙청 (1985.10.18.~1987.4.30.) | ||
4호선 | 불암산 | 당고개 (1993.4.21.~2024.10.30.) | ||
미아사거리 | 미아삼거리 (1985.4.20.~2013.12.25.) | |||
한성대입구 | 삼선교 (1985.4.20.~1985.10.23.)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서울운동장 (1985.10.18.~1985.10.23.) | 동대문운동장 (1985.10.24.~2009.10.28.) | ||
총신대입구 (이수) | 이수 → 총신대입구 → 이수 이수역/역명 논란 문서 참조. | |||
경마공원 | 경마장 (1994.4.1.~1999.12.31.) | |||
정부과천청사 | 제2종합청사 (1994.4.1.~1998.5.14.) | |||
평촌 | 벌말 (1993.1.15.~1996.12.15.) | |||
초지 | 공단 (1994.1.10.~2012.6.29.) | |||
5호선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동대문운동장 (1996.12.30.~2009.10.28.) | ||
청구 | 광희문 (1996.12.30.~1997.3.25.) | |||
개롱 | 개농 (1996.3.30.~2000.4.30.) | |||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2000.12.15.~2009.5.27.) | ||
<rowcolor=#eee> 7호선 | 자양 | 뚝섬유원지 (2000.8.1.~2024.2.28.) | ||
<rowcolor=#eee> 가산디지털단지 | 가리봉 (2000.2.29.~2005.6.30.) | |||
<rowcolor=#eee> 광명사거리 | 광명 (2000.2.29.~2004.3.28.) | |||
<rowcolor=#eee> 8호선 | 산성 | 남한산성 (1996.11.23.~1998.9.30.) | ||
<rowcolor=#eee> 남한산성입구 | 단대 (1996.11.23.~1998.9.30.) | |||
경의·중앙선 | 한국항공대 | 화전 (2009.7.1.~2023.11.20.) | ||
서강대 | 서강 (2012.12.15.~2014.3.16.) | |||
응봉 | 성수 (1978.12.9.~1980.7.9.) | |||
수인·분당선 | 가천대 | 경원대 (1994.9.1.~2011.12.27.) | ||
수내 | 초림 (1994.9.1.~2002.9.24.) | |||
정자 | 백궁 (1994.9.1.~2002.9.24.) | |||
서해선 | 시우 | 원곡 (2018.6.16.~2020.11.23.) | }}}}}}}}} |
서술기준 |
- 가산디지털단지역: 원래는 가리봉역이었으나 가산동이 디지털산업단지로 변모하자 이에 맞추기 위해 2005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가능역: 원래 의정부북부역이라는 임시역으로 개통되었으나 2006년 경원선 전철의 소요산역 연장과 동시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가천대역: 본래는 경원대역이었다. 경원대학교가 가천의과학대학교와 통합하여 가천대학교가 되면서 2011년 가천대역으로 개명하였다.
- 건대입구역: 본래는 화양역이었다가 1985년 변경되었다.
- 경마공원역: 경마장역으로 개통 후 2000년 1월 변경되었다.
- 경복궁역: 원래 인근의 중앙청에서 유래한 중앙청역이었다가 1987년 변경되었다.
- 광명사거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구간 개통 당시(2000년 2월)부터 원래 이름은 광명역이었으나 2004년 KTX 광명역의 개통을 앞두고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광운대역: 본래는 성북역이었으나 성북구가 아닌 노원구에 있어서 2013년에 광운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사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는 성북구였으나, 이 일대가 도봉구를 거쳐 노원구로 분구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로공단역이었으나 공단이 디지털산업단지로 변화하자 이에 맞추기 위해 2004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금천구청역: 본래는 시흥역이었는데, 이 시흥이 경기도 시흥시가 아닌,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을 뜻해서[1] 시흥시를 찾는 사람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꽤 있었다. 그래서 금천구의 이름도 알릴 겸 해서 마침 금천구청 신청사가 옮겨 오면서 2008년 말에 금천구청역으로 바꿨다. 개명되기 이전에도 명칭을 바꾸기 위해 서명운동을 했었다.
- 남한산성입구역: 1996년 11월 개통 당시에는 단대역이었으나 1998년 10월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983년 서울운동장역으로 개통, 1985년 4호선 개통 직후 동대문운동장역으로 개명하였다가 2009년 동대문운동장 철거로 현 역명으로 바뀌었다.
- 동두천역: 본래 동두천역이었으나 1984년에 동안역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에 1호선 전철이 들어옴과 동시에 동두천역으로 환원되었다. 동시에 (구)동두천역(1984~2006)은 동두천중앙역으로 바뀌었다.
- 동두천중앙역: 본래 어수동역이었건 것을 1984년에 동두천역으로 바꾸었고[2] 2006년에 1호선 전철 연장개통과 동시에 동두천중앙역으로 재변경하였다.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본래 수색역이었으나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수색역 역명이 쓰이게 되면서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2009년 개명되었다. 광명사거리역과 비슷한 맥락.
- 미아사거리역: 본래 미아삼거리역이었으나 정작 역명의 유래가 된 교차로는 삼거리가 사거리로 바뀐지 오래여서 2013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불암산역: 본래 당고개역이었으나 2024년 10월 31일 불암산역으로 개명하였다.
- 산성역: 본래 산성역은 남한산성역이었다. 1998년 10월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성균관대역: 원래는 율전역이었으나 1984년 1월 1일 성대앞역을 거쳐 1994년 12월 1일 지금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서강대역: 본래 서강역이었으나 서강대 학생들의 요구로 인해 2014년 3월 17일부터 지금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수내역: 본래 수내역은 초림역이었다. 성남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2002년 초림역은 수내역으로 개명하였다.
- 시우역: 본래 원곡역이었으나 2020년 시우역으로 바뀌었다.
- 양주역: 본래 주내역이었으나 2007년 양주역으로 바뀌었다.
- 외대앞역: 원래 휘경역이었으나 휘경동이 아닌 이문동에 위치하며 옆의 회기역이 휘경동에 위치하여 인근 한국외국어대학교의 명칭을 붙였다.
- 용답역: 처음 개통될 당시의 이름은 군자차량기지에서 유래한 기지역이었으나, 지역명을 반영하지 못하는데다 양천구에 새로운 차량기지(신정차량기지)를 설치하게 됨에 따라 혼동을 줄 우려가 제기되어 1992년 3월 20일부로 이 역이 위치한 행정동인 용답동을 따라 용답역으로 변경되었다.
- 응봉역: 처음 개통될 당시의 이름은 성수역이었으나, 개통을 앞두고 있던 2호선의 성수역과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1980년 7월에 응봉역으로 변경되었다.
- 의왕역: 본래 부곡역이였으나 의왕시의 유일한 역임을 강조하기 위해 2004년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의왕역이었던 화물역은 오봉역으로 바뀌었다.
- 자양역: 개통 이전 임시역명이 자양역이었으나 정식 개통은 뚝섬유원지역으로 하였다. 2024년 2월 29일에 자양역으로 변경되며 24년만에 비로소 공식 역명이 되었다.
- 잠실나루역: 성내역에서 2010년에 역명을 바꾸었다. 성내역이라는 이름은 이 근처를 흐르는 성내천에서 유래되었으나, 역이 강동구 성내동과 전혀 관계없는 잠실동에 위치하여 문제가 되었다.
- 잠실새내역: 본래 신천역이었으나, 신촌역과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워 2016년 12월 15일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신천역은 2018년, 서해선이 가져갔다.
- 정부과천청사역: 제2종합청사역이었으나 제2종합청사가 정부과천청사로 바뀌면서 1998년에 개명했다.
- 정자역: 1994년 개통 당시 백궁역이었으나 2002년 9월 행정구역 개편에 맞추어 정자역으로 개명되었다.
- 청구역: 광희문역이었으나 정작 광희문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당시에는 동대문운동장역)에서 가까운데다가 같은 노선에 광화문역도 있어 혼동의 여지가 있어서 1997년에 청구역으로 개명하였다.
- 초지역: 처음 이름은 공단역이였다. 역명과 지역의 괴리감 문제로, 2012년 6월 30일부로 현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총신대입구(이수)역: 이수역으로 개통했다가 총신대의 요청으로 총신대입구(이수)역이 되었다. 2000년 7호선 개통으로 총신대와 가까운 남성역이 생겨 이수역으로 바뀌었으나 이수역/역명 논란 때문에 6개월 만에 4호선만 총신대입구(이수)역으로 환원되었다.(7호선은 이수역)
- 평촌역: 1993년 개통 당시에는 경전선 평촌역과의 역명 중복 문제로 벌말역으로 개통되었는데, '벌말' 의 어감이 촌스럽다는 이유로 이유로 1996년 말 한자 역명인 평촌으로 바뀌었다.
- 평택지제역: 2006년 지제역으로 개통했다가 2020년에 평택지제역으로 변경되었다.
- 한국항공대역: 개통 당시에는 화전역으로 개통했다가 2023년 11월 21일 한국항공대역으로 변경되었다. 역명 변경 전에도 부역명에 한국항공대가 있긴 했다. 부역명이 주역명으로 바뀐 사례.
- 한성대입구역: 1985년 4월 삼선교역으로 개통했다가 그해 10월 전 구간 개통에 맞추어 총신대입구역과 같은 이유로 한성대입구(삼선교)역이 되었다.
2.2.1.1.2. 부산 도시철도
- 동(洞)과 앞이 들어가는 1호선 17개역 : 본래는 노포동역, 동대신동역, 교대앞역, 부산대학앞역 등 '동' 자가 들어간 역명들이 많았고 '앞'이 들어간 대학 역명도 있었으나, 2010년 2월 25일에 동과 앞으로 끝나는 역들의 '동'과 '앞'을 삭제하는 것으로 일괄 개정되었다. 외자 동인 중동역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1년 후 개통한 4호선의 서동역도 외자라 동명을 넣었다.
- 시청역 : 본래는 연제역이었으나, 1998년 1월 2일에 부산광역시청이 시청역 인근으로 이전하면서 한 동안 연제(시청)역으로 쓰이다 이후 주역명과 부역명을 바꿔서 시청(연제)역으로 개명되었다.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 본래는 문전역이었으나, 부근에 문현금융단지가 개발되고 역명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어남에 따라, 2014년 11월 5일 현재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벡스코(시립미술관)역 : 2호선 한정. 본래는 시립미술관역이었으나, 이역과 환승통로로 직접연결되는 동해선 광역전철역이 벡스코역으로 확정됨에 따라 2016년 11월 22일 현재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거제해맞이역 : 본래는 거제역으로 도시철도 3호선 거제역과 중복역명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거제역 : 코레일측 역은 과거 동해남부선의 남문구역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센텀역 : 본래는 수영역으로 도시철도 2, 3호선 수영역과 중복역명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신해운대역 : 본래는 과거 동해남부선의 해운대역이었고 지금의 위치로 이설 이후에도 한동안 해운대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과의 혼동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개명하였다.
- 개운포역 : 선암역에서 이름을 바꿨다.
- 윗반송역 : 본래는 동부산대학역이었으나 인근의 동부산대학교가 폐교됨에 따라 혼동의 여지를 막고자 2021년 1월 1일경 윗반송역으로 개명하였다. 이는 국내 최초로 대학이 폐교되어 역명이 변경된 사례이다. 동부산대학역 시절에는 윗반송역이 부역명이었으며, 동부산대학교 폐교 이후 주역명이 된 케이스.
2.2.1.1.3. 대구 도시철도
- 성서산업단지역: 본래는 성서공단역이었으나, 2012년에 성서산업단지역로 바뀌었다.
- 청라언덕역: 본래는 서문시장역이었으나,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이 서문시장에 더 가깝게 되는 바람에 2014년 신남역으로 개명하였고, 2019년에 청라언덕역으로 또 개명하게 되었다.
- 동구청역: 원래는 큰고개역이었으나 2017년 3월 1일부터 큰고개는 부역명이 되고 동구청이 정식 역명이 되었다.
- 서부정류장역: 본래는 성당못역이였으나, 2019년에 서부정류장역으로 개명되었다.
- 칠성시장역: 개통 당시엔 칠성역이였으나, 2008년에 칠성시장역으로 개명되었다.
- 어린이세상역: 본래는 어린이회관역이었으나, 2023년에 어린이세상역으로 개명되었다. 변경된 명칭에 대한 내용은 대구어린이세상 문서를 참고.
2.2.1.1.4. 일반철도
- 계룡역: 본래는 두계역이었으나 계룡시의 역이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아 계룡역으로 개명되었다.
- 광주송정역: 본래는 송정리역이었으나 호남선의 경우는 광주광역시의 역이라는 것이 알려지지 않아 광주송정역으로 개명되었고,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는 먼저 개명된 호남선의 역명을 따라 개명되었다.
- 굴봉산역: 본래 서천역이었으나 장항선의 서천역과 중복된다고 경강역으로 바꾸었고, 수도권 전철 개통 이후 굴봉산역으로 고쳤다.
- 금곡역: 본래 금곡리역이었으나 미금시 승격 이후 리를 떼고 금곡역으로 고쳤다.
- 김유정역: 본래는 신남역이었으나 이 역 인근에 김유정 문학촌이 있어서 2004년 김유정역으로 개명되었다.
- 단성역: 초기에는 충북단양역이었으나 후에 단양역으로 바뀌고, 충주댐으로 인해 구단양 일대가 수몰되어 단양역이 신단양으로 옮겨 가면서 구단양역이 되었다가 단양군 단양읍 구단양출장소가 단성면으로 승격되면서 단성역으로 개명되었다.
- 도담역: 본래는 매포역이었으나 1946년 경부선에 매포역이 신설되고 이 역은 도담역으로 개명되었다.
- 동백산역: 본래는 태백신호장역이었으나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개칭되면서 동백산역으로 개명되었다.
- 동익산역: 원래 이리의 구시가지에 있어서 구이리역이라고 하였다가 동이리역으로 개명한 후, 이리역이 익산역으로 개명할 때 동시에 동익산역으로 개명하였다.
- 동해역: 본래는 북평역이었으나 소재지인 삼척군 북평읍이 명주군 묵호읍과 함께 동해시로 승격하면서 시의 이름을 따서 동해역으로 개명되었다.
- 무안역: 본래는 사창역이었으나 호남선 철도가 무안군 무안읍을 지나지 않아 '무안'이라는 이름을 쓸 역이 없어서 그나마 무안읍에서 가까운 사창역이 무안역으로 개명되었다.
- 미호역: 본래는 월곡역이었으나 1955년에 개명하였다.
- 민둥산역: 2009년 증산역에서 바꾸었다.
- 봉화역: 본래는 경북내성역이었으나 소재지인 봉화군 내성면을 봉화면[3]으로 개칭하면서 면의 이름을 따라 봉화역이 되었다.
- 부전역: 본래는 서면역이었으나 1943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 상동역: 본래는 유천역이었으나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 서경주역: 본래는 금장역이었으나 동대구에서 포항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경주역에 서지 않게 되면서 경주의 역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개명되었다.
- 서울역: 본래 남대문역, 이후 경성역이었으나 일제 패망 이후 서울역으로 바뀌었다.
- 센텀역 : 동해선 기차역 시절에는 수영역이었으나, 동해선 광역전철이 개통되면서 부산 지하철 2.3호선 수영역과 역명이 중복되고, 역세권의 센텀파크 주민들이 행정구역의 불일치 및 역명 중복으로 인해 개명을 요구하게 되면서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센텀역으로 개명되었다.
- 신해운대역 : 구 역사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과 인접하여 철도 역명도 해운대역이었고, 동해선 복선전철화와 함께 역이 좌동으로 이설되고 나서도 역명이 변경되지 않았으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인해 도시철도 역과의 중복방지를 위해 신해운대역으로 개명되었다.
- 여수엑스포역 : 본래는 여수역이었으나 2012 여수 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여수엑스포역으로 개명되었다.
그리고 여수엑스포가 끝났는데도 도로 여수역으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 - 영등포역 : 일제 시대 말기에 잠시 남경성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 왕십리역: 1911년 경원선 개통과 동시에 개업한 왕십리역의 당시 명칭은 '뚝섬'의 한자 표기인 독도에서 유래된 '독도역'이었다. 이후 1914년 현재의 역명인 왕십리역으로 개명하였다.
- 익산역: 본래 이리역이었으나 이리시와 익산군이 익산시로 통합되면서 익산역으로 개명되었다.
- 일신역, 삼산역 : 본래 구둔역, 판대역이었다. 소재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설 후 개명하였다.
- 정읍역: 초기에는 정읍역이었으나 정읍군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정주역(井州)이 되었다가 정주시와 정읍군을 정읍시로 통합하면서 정읍역으로 환원되었다.
- 죽림온천역: 개통 당시에는 죽림역이었으나 얼마 후 남관역이 되었다가 전라선 이설과 함께 죽림온천 인근으로 옮기면서 죽림온천역으로 개명하였다.
- 증평역: 청안역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본래 이 지역이 청안군 근서면이었으나 여러 번 행정구역 변경 끝에 증평군 증평읍으로 되고, 새 행정구역명을 따라 개명되었다.
- 청량리역 : 일제 말기에 잠시 동경성역이었던 적이 있었다.
- 청소역: 본래 진죽역이었으나 진주역과 혼동되기 쉬워 청소역으로 개명되었다.
- 청주역: 본래 정봉역이었으나 정봉역과 오근장역 사이를 직선화하면서 그 사이에 있던 청주역이 없어지자 청주역으로 개명하였다(일단 공식적으로는 '청주역의 이전'으로 보긴 한다).
- 탄부역: 1996년 두평역에서 바뀌었다.
- 태백역: 본래 황지역이었으나 삼척군 황지읍, 장성읍이 태백시로 승격되면서 태백역으로 개명하였다.
- 태화강역 : 본래 울산역이었으나 경부고속선의 울산 소재 역이 울산역을 쓰게 됨에 따라 현재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평내호평역 : 본래 평내역이었으나 역이 평내동이 아닌 호평동에 있는 데다 호평동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면서 평내역에 호평을 붙여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함평역: 본래는 학교역이었으나 호남선 이설에 따라 함평역으로 개명되었다.
2.2.1.2. 그 외 국가
2.2.1.2.1. 일본
- JR난바역: 본래 미나토마치역(湊町)이었다.
- 가고시마츄오역: 개통 초기에는 타케(武), 그 이후 니시카고시마였다가 규슈 신칸센의 개업에 따라 니시카고시마(西鹿児島)에서 개칭.
- 고호쿠역: 니시큐슈 신칸센의 개업에 따라 히젠야마구치(肥前山口)에서 개칭.
- 나가오카쿄역: 본래 코타리역(神足)이었으나 나가오카쿄 시를 홍보하기 위해 1995년 8월 1일에 개명하였다.
- 네야가와시역: 본래 네야가와역(寝屋川)였으나 1955년 시가 되면서 네야가와시역이 되었다.
- 니시노미야역: 본래 니시노미야의 한자 표기는 西ノ宮였으나 2009년 ノ를 빼고 西宮로 바꾸었다.
- 류가사키시역: 2020년에 사누키(佐貫)에서 이름을 변경했다.
- 메이테츠나고야역: 본래 신나고야(新名古屋)였다.
- 무라야마역: 1999년 다테오카(楯岡)에서 역명을 바꾸었다.
- 미나미치토세역: 본래 치토세공항(千歳空港)였으나 1990년 신치토세 공항이 개업하고 역이 개업하면서 이 역이 미나미치토세(南千歳)로 이름을 바꿨다.
- 미나미후쿠오카역: 원래 잣쇼노쿠마(雑餉隈)였다.
- 미사키코엔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미나미탄노와(南淡輪)였다.
- 사쿠라기쵸역: 본래는 이 역이 요코하마(横浜)였다. 1915년 현재의 요코하마역이 개업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스미요시타이샤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스미요시 공원역(住吉公園)이었다.
- 시오미바시역: 시오미바시선 소속. 본래 도톤보리역(道頓堀)이었다.
- 신바시역: 본래 카라스모리역(烏森)이었으나 초대 신바시 역이 시오도메(汐留)로 개명함에 따라 이 역의 이름이 신바시로 개명되었다.
- 신시라카와역: 본래 이와키니시고역(磐城西鄕)이었으나 도호쿠 신칸센 개업과 함께 기존선의 역명을 바꾸었다. 동시에 히가시나스노역(東那須野)도 나스시오바라역으로 바꾸었다.
- 신쿠라시키역: 신칸센 개업 이전에는 타마시마(玉島)였으나 산요 신칸센 개업과 동시에 이름을 고쳤다.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본래 혼고역(本郷)이었으나 1942년 오시마오노역(渡島大野)으로 바꾸었다.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따라 신하코다테호쿠토(新函館北斗)로 개명.
- 오쿠츠가루이마베츠역: 본래 츠가루이마베츠역(津軽今別)이었다.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역명을 오쿠츠가루이마베츠(奥津軽いまべつ)로 개명하였다. 여기서 いまべつ 부분은 한자를 히라가나로 고친 것.
- 와카야마역: 본래 히가시와카야마(東和歌山)였다. 당시 와카야마역은 키와역이었다.
- 이와테누마쿠나이역: 본래 누마쿠나이역(沼宮內)이었으나 도호쿠 신칸센의 개업에 맞추어 본래 역명 앞에 히라가나 いわて를 붙여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 이와테카와구치역: IGR 이와테 은하철도선의 역. 본래 카와구치(川口)였으나 사이타마현의 가와구치마치역이 가와구치역으로 바뀌면서 앞에 岩手를 붙였다.
- 이즈미오츠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오츠역(大津)이었으나 1942년 소재지인 센보쿠군 오츠초가 이즈미오츠시로 승격되면서 이 역의 이름도 앞에 泉자를 붙여서 이즈미오츠(泉大津)로 개명하였다.
- 이즈미사노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사노역(佐野)이었으나 1948년 소재지인 센난군 사노초가 이즈미사노시로 승격되면서 이 역의 이름도 앞에 泉자를 붙여서 이즈미사노(泉佐野)로 개명하였다.
- 조에츠묘코역: 본래 와키노다였다가 2015년 3월 14일 호쿠리쿠 신칸센의 개업과 함께 개명하였다.
- 치쿠고후나고야역: 본래 이 역은 후나고야(船小屋)였다. 큐슈 신칸센 개업에 따라 치쿠고후나고야로 개명.
- 카와구치역: 도호쿠 본선 소속. 본래 카와구치마치(川口町)였으나 시 승격으로 町를 떼 버렸다. 이 때문에 원래 카와구치역이었던 이와테현의 역은 앞에 岩手를 붙일 수밖에 없었다.
- 카와치나가노역: 난카이 고야선 소속. 본래 나가노역(長野)였으나 소재지인 미나미카와치 군 나가노 정이 주변 정촌을 병합한 뒤 카와치나가노 시로 승격되면서 카와치나가노로 개명하였다.
- 키타카미역: 본래 쿠로사와지리역(黒沢尻)이었다. 쿠로사와지리정이 주변 촌을 병합해서 키타카미시가 되면서 역명을 키타카미(北上)로 바꾸었다.
- 타카이시역: 난카이 본선 소속. 개통 당시에는 쿠즈노하(葛葉)였다가 소재지를 따라 타카이시초(高石町)로 바꾸었다. 1966년 소재지인 센보쿠 군 타카이시 정이 타카이시 시로 승격되면서 뒤의 町자를 빼고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 하마데라코엔역: 난카이 본선 소속. 본래 하마데라(浜寺)였다.
- 하치노헤역: 본래 시리우치(尻內)였다.[4] 당시 하치노헤역은 현재의 혼하치노헤역.
- 히가시하고로모역: 본래 한와하마데라(阪和浜寺)였다가 야마테하고로모(山手羽衣)를 거쳐 국철이 난카이 전기철도에서 야마테선을 인수하면서 히가시하고로모가 되었다.
2.2.1.2.2. 홍콩
- 야우마테이역: 본래 워털루역(Waterloo)이었다.
- 몽콕역: 본래 아가일역(Argyle)이었다.
- 몽콕이스트역: 본래는 이 역이 몽콕이었고 몽콕역은 아가일이었다. MTR 개통 이후에도 이름을 유지하다가 KCR이 MTR에 합병되면서 몽콕이스트가 되었다.
- 센트럴역: 본래 체이터역(Chater)이었다.
2.2.1.2.3. 대만
2.2.2. 공항
- 원주(횡성)공항
원래는 원주공항 였으나 활주로가 횡성에 있다는 횡성군의 주장을 근거로 괄호에 횡성을 집어넣었다.
- 포항경주공항
인근 도시인 경주시의 반발로 포항공항에서 포항경주공항으로 개명하였다.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 본래 뉴욕 국제공항이었으나 존 F. 케네디 암살 후 그를 기려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5]
- 나리타 국제공항 : 본래 신도쿄 국제공항이었으나 도쿄 도가 아닌 치바 현에 소속되는 등 소재지와 괴리감을 느낀다는 이유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 후쿠오카 공항 : 본래 이타즈케 공항이었으나 후쿠오카 시의 이름을 따서 후쿠오카 공항이 되었다.
-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 : 본래 호놀룰루 국제공항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고 살아있을 때 명예 훈장까지 수훈받은 일본계 미국인 상원의원 대니얼 이노우에의 사망 직후 그의 이름을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린든 핀들링 국제공항 : 본래 나소 국제공항이었으나 바하마의 국부(國父)로 여겨지는 린든 핀들링 총리를 기리는 의미에서 2006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2.2.3. 국가
- 고구려: 장수왕 시기에 나라 이름을 '고려'로 바꾸었다.
- 고조선: 본래는 '조선'이었으나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후세 사람들이 1392년에 건국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이전의 조선을 '고조선'으로 바꿨다.[6]
- 말레이시아 : 본래는 말라야였으나 1963년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 가입하면서 섬을 뜻하는 -sia를 넣어 '말레이시아'로 고쳤다.
- 백제: 성왕 이후 나라 이름을 '남부여'로 바꿨다.
- 부르키나파소: 본래는 오트볼타였으나 1984년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토마스 상카라를 위시한 장교들에 의한 국가개혁에 착수해 토마스 상카라가 오트볼타의 대통령직에 올랐는데 이 때 토마스 상카라는 국가명을 '정직한 사람들의 나라'라는 뜻의 부르키나 파소로 바꿨다.
- 북마케도니아: 본래는 마케도니아였으나, 국호 문제로 그리스와 갈등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의 합의로 2019년부터 북마케도니아로 바꾸었다.
- 에스와티니: 2018년 독립 50주년을 맞아 스와질란드에서 이름을 고쳤다. 여기에 이 나라가 스위스(Switzerland)와 혼란이 있다는 이유도 있었다.
- 영국: 본래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였는데 아일랜드의 독립으로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가 되었다.
- 이란: 대내 명칭은 이란, 대외 명칭은 페르시아였다가 1933년 대외 명칭까지 '이란'으로 고쳤다.
- 청나라: 본래 금나라(후금)이었다.
- 캄보디아: 프랑스에서 독립할 당시에는 지금과 같은 캄보디아였으나 크메르 공화국을 거쳐 캄푸치아로 바꿨다. 공산주의 퇴진 이후 캄푸치아를 캄보디아로 개명했다.
- 타이: 본래 시암이었으나 1933년 국명을 태국어로 '자유'라는 뜻의 타이로 고쳤다.
- 태봉 : 본래 고구려의 장수왕이 개명한 이름을 따라 고려였으나, 궁예가 마진을 거쳐 태봉으로 나라 이름을 바꿨다.
- 튀르키예 : 본래 영문 국호는 '터키(Turkey)'였지만 2022년 자국어 명칭인 '튀르키예'를 대외 국호로도 활용하기로 했다. 한국어 명칭 역시 변경되었다.
- 콩고민주공화국 : 독립 당시에는 지금과 비슷한 콩고 공화국으로 불렀으나, 1971년에 자이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7] 그러다가 1997년에 반군들이 국가를 장악하면서 콩고민주공화국로 이름이 고쳐졌다.
2.2.4. 정당
참고로 대한민국/정당들은 지지율이 떨어지고 선거에서 질 때마다 이미지 세탁 겸 쇄신을 이유로 정당명과 정당색을 자주 바꾼다.- 국민의힘: 대한민국 보수정당 항목 참조. 창당할 당시에는 미래통합당이었으나 이후 국민의힘으로 바꾸었다.
- 더불어민주당: 민주당계 정당 항목 참조. 창당할 당시에는 새정치민주연합이었으나 이후 더불어민주당으로 바꾸었다.
2.2.5. 지역
개명/지명 참고.2.3. 개명을 한 기업
법인명을 바꾸기도 하고, 법인명은 유지한 채 브랜드만 바꾸기도 한다. 인수합병이나 역합병 문서도 참조할 수 있다.- Apple Inc.
iPhone을 발표하면서 원래의 'Apple Computer Inc.'에서 '컴퓨터' 부분을 떼어내고 'Apple Inc.'로 개명하였다. 컴퓨터만 취급한다고 보기에는 사업 영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 KFC
캔터키 프라이드 치킨이었으나 1995년 미국정부가 기업명에 지역 이름을 붙이는 걸 금지하면서 KFC로 개명했다.
- 테슬라
Tesla Motors 였으나 소프트웨어, 에너지 사업, 배터리 생산도 하기 때문에 Motors 를 뺐다.
- 알파벳(기업)
구글과 같은 기업을 A부터 Z까지 채워넣겠다는 의미에서 구글을 산하회사였던 알파벳에 종속시켜 개명했다. - 메타 플랫폼스
원래 페이스북이 였으나 플랫폼 확장으로 메타 플랫폼스로 개명했다.
- 기아
테슬라와 유사한 케이스. 기아자동차였으나 모빌리티 기업으로 나가기 위해 테슬라와 동일하게 자동차를 사명에서 빼고 로고까지 교체했다.
- 크라운해태
크라운제과 였다가 해태제과를 인수하면서 크라운 해태로 변경하였다.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원래는 이마트 트레이더스 였으나 부분적으로 회원제를 도입하면서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으로 개명했다
- 현대자동차그룹
원래 현대기아차그룹이었으나 2010년 현대건설 인수를 맞춰서 현대자동차그룹으로 개명했다.
- DB그룹
원래 동부그룹 이었으나 적자를 메꾸기위해 동부라는 이름의 상표권을 가진 동부건설을 매각하면서 강제적으로 개명했다.
- DL(기업)
기존 대림그룹의 이니셜을 따서 DL로 개명했다.
- HD현대
원래 현대중공업그룹이었으나 HD현대로 개명했다.
- SK그룹
본래 선경그룹 이었으나 글로벌화에 맞춰 선경그룹을 이니셜을 따 SK그룹으로 변경 했다.
- KT
공기업 출신 기업이었다시피 원래는 '한국전기통신공사'였다가 '한국통신'을 거쳐 민영화 된 뒤 현재의 이름인 'KT'로 변경하였다.
- KG모빌리티
1954년 하동환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신진자동차 계열사에서 독립한 뒤 동아자동차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가 쌍용그룹에 매각하면서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쌍용자동차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여러 기업을 거치면서 KG그룹에 매각한 뒤 사명을 쌍용자동차에서 KG모빌리티로 변경하였다.
2.4. 기타
2.4.1. 스포츠 구단
2.4.1.1. 축구
- 제주 유나이티드: 대한민국의 축구단. 본래 부천 SK였으나 제주도로 연고를 이전하면서 개명하였다.
- 김천 상무: 대한민국의 축구단. 본래 광주 상무 불사조였으나 상주시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상주 상무 피닉스로, 이어 상주 상무 축구단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김천시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김천 상무가 되었다.
- 울산 HD FC: 대한민국의 축구단. 원래 울산 현대 였으나 모기업이 HD현대로 개명하면서 구단명을 바꿨다.
- 쇼난 벨마레: 일본의 축구단. 창단 초기에는 벨마레 히라츠카였다.
- 도쿄 베르디: 일본의 축구단. 창단 당시에는 베르디 가와사키였으나 도쿄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베르디를 뒤로 뺐다.
- 워리어즈 FC: 싱가포르의 축구단. 본래는 싱가포르 암드 포시즈 FC였다.
- FC 분요드코르: 우즈베키스탄의 축구단. 본래는 PFC 쿠루브치였다.
- 멜버른 시티 FC: 호주의 축구단. 본래는 멜버른 하트였다. 시티 그룹이 인수하면서 멜버른 시티로 개명.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잉글랜드의 축구단. 본래는 뉴튼 히스였다.
- 아스널 FC: 잉글랜드의 축구단. 본래는 다이얼 스퀘어였다.
- 맨체스터 시티 FC: 잉글랜드의 축구단. 본래는 아드윅이었다.
- FC 바르셀로나: 스페인의 축구단. 프랑코 정권 때 카탈루냐를 탄압하면서 팀의 이름이 잠시 CF 바르셀로나로 바뀐 적이 있었다.
- FC 댈러스: 미국의 축구단. 본래는 댈러스 번이었다.
- 스포팅 캔자스시티: 미국의 축구단. 본래는 캔자스 시티 위저즈였다.
- 알 두하일 SC: 카타르의 축구단. 본래 레크위야였으나 2017년 알두하일로 변경됐다.
2.4.1.2. 야구
- 두산 베어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OB 베어스였으나 원래 OB맥주를 매각하면서 현재 구단명으로 이름을 바꿨다.
- 키움 히어로즈: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우리 히어로즈였다. 이후 히어로즈, 서울 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를 거쳐 2018년 12월 현재의 키움 히어로즈로 개명하였다.[9]
- 현대 유니콘스: 대한민국의 前 야구단. 창단 당시 삼미 슈퍼스타즈로 시작 했다가 청보식품이 인수 하면서 1985년 후기시즌 부터 청보 핀토스로 개명 했다가 2년만에 1987년 2년만에 태평양그룹이 인수하여 태평양 돌핀스로 바꼈다가 12년 동안 운영하다 현대그룹이 인수하면서 현대 유니콘스가 되었다가 2007년 해체 되었다.
- SSG 랜더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원래 SK 와이번스 였으나 2021년 신세계그룹이 인수하면서 SSG 랜더스로 개명했다.
- LG 트윈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MBC 청룡이었으나 럭키금성그룹(現 LG그룹)이 인수하여 LG 트윈스로 개명했다.
- KIA 타이거즈: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해태 타이거즈였으나 경제난으로 인수했다.
- 마이애미 말린스: 미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플로리다 말린스였다.
- 한화 이글스: 대한민국의 야구단. 창단 당시에는 빙그레 이글스였으나 빙그레를 매각하면서 이름을 바꿨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일본의 야구단. 창단 초기에는 고쿠테츠 스왈로즈였으나 산케이 스왈로즈, 산케이 아톰즈, 아톰즈, 야쿠르트 아톰즈,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거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총 6번 이름을 바꿨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일본의 야구단. 창단 초기에는 난카이 호크스였으나 후쿠오카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2번 이름을 바꿨다.
2.4.1.3. 농구
- 브루클린 네츠 : 미국의 농구단. 본래 뉴저지 네츠였다가 뉴욕주 브루클린으로 연고를 이전하면서 팀명도 같이 바꾸었다.
- 워싱턴 위저즈 : 미국의 농구단. 본래 워싱턴 불리츠였지만 총알이라는 이름의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2.4.1.4. 미식축구
- 시카고 베어스 : 창단 당시 디케이터 스털리스였다. 이후 시카고 스털리스를 거쳐 현재의 시카고 베어스로 고쳤다.
2.4.2. 학교
2.4.2.1. 대학교
- 가천대학교 : 경기도 성남시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소재의 대학교. 본래 성남시에 소재한 경원대학교,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가천의과학대학교가 통합하여 가천대학교로 개명하였다.
- 경희대학교: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용인시 소재의 대학교. 본래는 신흥대학이었다.
- 연세대학교: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원주시 소재의 대학교. 본래 연희대학교였으나 세브란스의과대학을 병합하면서 두 대학에서 앞글자를 딴 연세대학교로 바꾸었다.
- 상명대학교: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천안시의 대학교. 본래 상명여자대학교였으나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이 되면서 '여자'를 떼고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 성운대학교: 경상북도 영천시의 전문대학. 성덕대학에서 성덕대학교를 거쳐 성운대학교가 되었다.
- 신라대학교: 부산광역시의 대학교. 본래 부산여자대학교[10]였다가 남녀공학이 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 유원대학교: 충청북도 영동군과 충청남도 아산시 소재의 대학교. 원래는 영동대학교였다.
- 강서대학교: 서울특별시 소재의 대학교. 본래 그리스도대학교였으나 KC대학교를 거쳐 강서대학교가 되었다.
- 수성대학교 :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대학교. 본래 신일여자전문대학으로 시작, 신일전문대학, 대구산업정보대학을 거쳐 4년제 간호학과를 개설하며 지역명을 딴 현재의 이름으로 고쳤다.
2.4.2.2. 고등학교
-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 주엽공업고등학교에서 이름이 바뀌었다.
- 경남정보고등학교 : 진주상업고등학교에서 공립화되며 이름이 바뀌었다.
- 고양외국어고등학교 : 일반고였던 벽제고등학교에서 외국어고등학교로 전환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본래 이름은 공주사범대부속고등학교였다.
왜 바꾼 건지 모르겠다 - 남동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은봉고등학교였으나 인천에서 악명높은 운봉공업고등학교와 교명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개교 한 달 만에 교명이 바뀌었다.
- 대구관광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경일여자상업고등학교였다가 남녀공학이 되면서 대구정보관광고등학교로, 이어 대구관광고등학교로 고쳤다.
- 동광고등학교: 본래 이름은 성일여자고등학교[11]였으나, 남녀공학으로 바뀌면서 교명도 동광고등학교로 바뀌었다.
- 리라아트고등학교: 리라공업학교 → 리라공업고등학교 → 리라컴퓨터고등학교 → 리라아트고등학교
- 마산용마고등학교: 본래 이름은 마산상업고등학교였다.
- 목상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목포상업고등학교였다가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으로 전남제일고등학교로 바꿨다가 동문회의 압력을 못 이겨 목상고등학교로 바꿨다.
- 백암고등학교 : 개교 당시는 운암고등학교였다.
- 부산과학고등학교 : 장영실과학고등학교에서 이름을 바꿨다.
왜 바꾼 건지 모르겠다 2 -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 개교 당시에는 북공업고등학교였으나, 2016년에 마이스터고로 재개교하면서 이름을 바꿨다.
- 서울아이티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은곡공업고등학교'였으나 디지털 시스템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로 지정되며 2009년에 교명이 변경되었다.
-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원래 이름은 송파공업고등학교였다.
- 세종하이텍고등학교: 원래 이름은 부강공업고등학교였다. 세종시에 편입됨에 따라 변경.
- 성남고등학교(경기): 원래 이름은 성남서고등학교였다.
- 성보경영고등학교: 성보여자상업고등학교 → 성보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 성보정보고등학교 → 성보경영고등학교.
- 솔샘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미양고등학교였다.
- 야탑고등학교: 사성고등학교 → 성인고등학교 → 야탑고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상업고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여고).
-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고등학교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청주대성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청주상업고등학교"였으나 일반계 전환 이후 개명.
- 청주IT과학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현도정보고등학교였다.
-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 원래 이름은 '충북상업고등학교' 였으나 2001년 학과 개편과 함께 충북정보산업고등학교로 개명, 2002년에 충북인터넷고등학교, 그리고 최종적으로 2015년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로 개명되었다.
총합 3차례 개명되었다 - 한별고등학교 : 삼례여자고등학교에서 이름을 바꿨다.
- 청주하이텍고등학교 : 원래 교명은 충북전산기계고등학교.
- 초계고등학교 : 초기 교명은 초계농업고등학교 → 초계종합고등학교 → 초계고등학교
- 용인홍천고등학교 : 강원도 홍천에 있는 홍천고등학교와 자주 헷갈리고 용인시민이 아니면 강원도 홍천의 고등학교를 떠올린다. 심지어는 공문이 서로 바뀌어 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2019년 교명 변경을 위한 설문조사와 찬반투표를 진행하였고, 홍천고등학교에서 용인홍천고등학교 로 교명이 바뀌었다.
2.4.2.3. 중학교
- 중학교 입시 폐지 이후 교명을 변경한 일부 명문중들.
- 동광중학교: 본래 성일여자중학교였으나, 남녀공학으로 바뀌면서 교명도 바뀌었다.
- 솔샘중학교 : 본래 미양중학교였다.
- 신화중학교: 본래 화곡여자중학교였다.
- 세연중학교: 본래 황지여자중학교였다.
- 은성중학교: 본래 은광여자중학교였다.
-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중학교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창성중학교: 영성여자중학교, 창곡여자중학교, 창곡중학교(남중)가 합쳐져 지금의 교명이 되었다.
- 초연중학교: 본래 초읍여자중학교였다.
- 한울중학교: 본래 대림여자중학교였다.
2.4.2.4. 초등학교
- 1995년 이전에 설립된 국내의 모든 초등학교: 본래는 XX국민학교였다. 1996년 3월 1일부터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개칭하면서 모든 국민학교들이 'XX초등학교'와 같이 개명했다. 물론 용암초등학교와 같이 이후에도 한 번 더 개명한 케이스도 있다.[12]
2.4.3. 시설
- 에버랜드: 개장 당시에는 용인자연농원이었다. 1996년 4월 개장 20주년을 맞아 에버랜드로 개명.
- 에버랜드 롤링 엑스 트레인: 본래는 환상특급이었으나 락스빌이 조성되면서 2004년에 롤링 엑스 트레인으로 개명되었다.
- 에버랜드 舊 크레이지 리모: 본래는 샤크였다가 락스빌의 조성으로 롤링 엑스 트레인과 함께 크레이지 리모로 이름이 바뀌었다.
- 에버랜드 챔피언쉽 로데오: 본래 이름은 브레이크 댄스였으며 2006년에 개명되었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롯데월드 어드벤처 정글탐험보트: 본래는 지하탐험보트였다. 리뉴얼 이후 정글탐험보트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햇님달님: 본래는 후로그 호퍼였다. 리뉴얼 이후 트리블 호퍼로 개명했다가 어린이날에 맞춰 다시 햇님달님으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범퍼카 (실내): 본래는 크레이지 범퍼카였다. 2층으로 이전하면서 범퍼카로 개명.
- 롯데월드 어드벤처 쁘띠빵빵: 본래는 자동차 경주였으나 리뉴얼 이후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 서울랜드
- 에코테마파크 대구숲: 본래는 냉천자연원이었으나, 2005년 허브힐즈, 2015년 힐크레스트, 2018년 에코테마파크 대구숲으로 바뀌었다.
- 이월드: 본래는 우방타워랜드였으나, 2011년 개명되었다.
- 이월드 레인저: 본래는 하늘마차였으나 2017년경에 개명되었다.
- 경주월드: 본래는 도투락 월드였으나 개명하였다.
2.4.4. 제도
- 사회복무요원: 본래는 공익근무요원이었다.
2.4.5. 교과목
- 초등학교 수학: 본래 산수였으나 6차 교육과정 시기에 수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같은 시기 초등학교 자연 교과도 과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 기술·가정 - 본래 남학생만 배우는 기술, 여학생만 배우는 가정이라는 2개의 과목이었으나, 7차 교육과정부터 기술·가정으로 통합되었다. 즉, 엄밀히 보면 개명이 아닌 과목 통합이다.
- 기하: 본래 기하와 벡터였다. 차기 교육과정에서 공간벡터 내용을 삭제한 이후 기하로 이름을 바꿨다. 다만 평면벡터는 남아있다.
- 고등학교 과학: 본래 공통과학이었으나 7차 교육과정에서 공통과학을 과학으로 바꿨다. 비슷한 이유로 사회 역시 공통사회에서 이름을 바꿨다.
- 물리학Ⅰ/물리학Ⅱ: 본래 물리Ⅰ/물리Ⅱ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물리를 물리학으로 바꿨다.
- 생명 과학Ⅰ/생명 과학Ⅱ: 본래 생물Ⅰ/생물Ⅱ였으나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생물을 생명과학으로 바꿨다.
- 법과 정치: 별도의 사회탐구 영역이었던 법과 사회/정치가 통합해서 생긴 과목이다. 즉, 엄밀히 말하면 개명은 아니다.
- 정치와 법: 2015 교육과정에서 법과 정치에서 이 이름으로 바꿨다.
- 한국사: 본래 국사였으나 민족주의적 성격을 약화하기 위해 한국사로 이름을 바꿨다. 중학교 국사는 사회에서 세계사 파트를 끌어 와서 역사로 이름을 바꿨다.
2.4.6. 게임 캐릭터
- 크랭키콩: 본래는 이 캐릭터가 동키콩이었으나 손자에게 동키콩을 물려 주고 해당 캐릭터는 '크랭키콩'으로 고쳤다.
- 깔깔깔마녀: 본래 까르게모나였다.
- 마자: 무인편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래용으로 나왔다. 비슷한 사례로 연꽃몬은 원래 로토, 에나비는 원래 스키티, 켈리몬은 원래 숨을래몬으로 나왔다가 이후 변경되었다.
- 슈륙챙이: 2세대 골드/실버 버전까지는 '수륙양용'에서 따온 수륙챙이였으나, 4세대 DP 디아루가/펄기아의 한글판이 발매될 때[13] 어째선지 슈륙챙이로 개명되었다
[1] 물론, 역 건립 당시에는 이곳이 시흥군이었기 때문에 지명과 맞기는 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부군면 통폐합을 하면서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 거다.[2] 동시에 원래 동두천역이었던 역은 동안역으로 변경되었다.[3] 현재의 봉화읍[4] 그래서 홋카이도 마츠마에선(폐선)의 시리우치역은 오시마시리우치(渡島知內)였다.[5] 그런데 정작 케네디는 뉴욕과는 연이 없고 매사추세츠 기반이었다. 그나마 1960 대통령 선거에서 뉴욕주를 가져가기는 했다.[6] 엄밀히 따지면 개명은 아니다. 그저 후대에 와서 후대의 조선과 구분하기 위한 별칭 내지 이칭이라.[7] 이 과정에서 수도의 이름도 킨샤사로 바꿨다.[8] 합병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통합LG텔레콤'이라는 명칭을 잠깐 사용했다.[9] 명명권을 가진 메인 스폰서가 어디냐에 따라 구단 명칭이 달라진다.[10] 현존하고 있는 2/3년제 부산여자대학교와는 다르다.[11]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있는 성일여자고등학교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12] 대변초등학교에서 개명.[13] 3세대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 버전은 한글판이 발매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