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지역의 동백역에 대한 내용은 동백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폐역 | 동백산 - |
동백산역 | ||||
동대구·영주 방면 철 암 ← 6.1 ㎞ | 영동선 무궁화호 | 동해 방면도 계 18.2 ㎞ → | ||
청량리 방면태 백 ← 8.8 ㎞ | 태백선 무궁화호 | |||
분천 방면철 암 ← 6.1 ㎞ | 동해산타열차 | 강릉 방면도 계 18.2 ㎞ → | ||
역명 표기 | ||||
영동선 | 동백산 Dongbaeksan 東栢山 / 东柏山 / [ruby(東柏山, ruby=トンベクサン)] | |||
주소 |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1024 (통동 산38-24)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450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태백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 ||||
운영 기관 | ||||
영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동선 | 1975년 2월 1일 | ||
무궁화호 | 2004년 4월 1일~ 2007년 5월 31일[2] | |||
2012년 6월 27일[3] | ||||
동해산타열차 | 2020년 8월 19일 | }}}}}}}}} | ||
철도거리표 | ||||
영주 방면백 산 ← 1.8 ㎞ | 영동선 동백산 | 청량 방면솔 안 10.0 ㎞ → | ||
태백삼각선 [5] | 종점 |
현 역사(2012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nopad> |
동백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구문소를 형상화했다. 통리역 스탬프도 날인할 수 있다. |
1975년 영동선 태백신호장으로 출발, 솔안터널 개통과 함께 현대식 역사 신축
동백산역은 1975년 영동선 태백신호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그러던 1984년 황지읍이 태백시로 승격하면서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변경되자 동백산신호장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옛 역사는 90㎡ 규모의 작은 부럭조 슬라브 단층 역사로 여객도 취급하지 않는 곳이었지만 1988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솔안터널 공사로 2007년 여객 취급을 중지, 임시역사를 거쳐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 개통과 함께 오늘날 현대식 역사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태백영동선과 태백선을 연결해 주는 태백삼각선을 끼고 있어서 열차 운용상 매우 중요한 역이며, 특히 태백지역 철도의 속도혁명을 이루어낸 솔안터널의 입구로 상징적인 역사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과 태백삼각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984 (통동) 소재.동백산역은 1975년 영동선 태백신호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그러던 1984년 황지읍이 태백시로 승격하면서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변경되자 동백산신호장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옛 역사는 90㎡ 규모의 작은 부럭조 슬라브 단층 역사로 여객도 취급하지 않는 곳이었지만 1988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솔안터널 공사로 2007년 여객 취급을 중지, 임시역사를 거쳐 2012년 6월 27일 솔안터널 개통과 함께 오늘날 현대식 역사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태백영동선과 태백선을 연결해 주는 태백삼각선을 끼고 있어서 열차 운용상 매우 중요한 역이며, 특히 태백지역 철도의 속도혁명을 이루어낸 솔안터널의 입구로 상징적인 역사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구 역사(1975년 준공, 2009년 철거) |
임시역사(2009년 준공, 2012년 철거)[6] |
1975년 2월 1일 태백신호장으로 개업하였다.[7]
1983년 12월 23일에 문곡기점 5.0㎞ 지점에서 4.5㎞ 지점으로 변경되었고,[8] 1984년 동백산역으로 변경되었다.[9]1989년 2월 10일부터 화물취급을 하게 되면서 신호장에서 보통역으로 승격했다.[10]
2012년 6월 27일부로 솔안터널이 개통하면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고, 폐지된 통리역의 모든 업무를 승계받았다. [11]
2017년 6월 7일부터 승차권 차내취급역이 되었다[12] 따라서 열차에 승차 후 승차권을 발권해야 한다. 대신 차내승차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승차권 대신 코레일톡 어플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태백역을 갈때 U자로 빙 돌아감에도 불구하고 무궁화호가 가장 빠른 교통수단이다. 시내버스는 무조건 통리를 들어갔다 나오니 시간이 꽤 걸리고, 택시는 10분대로 주파하지만 대신 6천원에 육박하는 요금이 나오는 반면 무궁화호는 10~11분 소요에 2,600원(기본요금)이면 오갈 수 있다.[13]
2.1. 승강장
↑ 철암 / 태백 | |||||||
| | | | | | | | 2 | 1 | | | | |
↓ 도계 |
1 | 영동선·태백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동해산타열차|동해산타열차 ]] | 도계·동해·강릉 방면 |
2 | 영동선 | 분천·동대구·영주 방면 | |
태백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태백·원주·청량리 방면 |
3. 역 주변 정보
하이원추추파크와 가장 가까운 기차역이지만, 연계 버스는 하루에 두 번만 들어간다. 동백산역에서 통리역까지는 버스가 태백 버스 1번과 4번이 합쳐서 하루 128번 운행한다.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촬영장이 바로 이 근처에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12년 | 114명 | [14] |
2013년 | 108명 | |
2014년 | 93명 | |
2015년 | 67명 | |
2016년 | 66명 | |
2017년 | 62명 | |
2018년 | 54명 | |
2019년 | 51명 | |
2020년 | 33명 | |
2021년 | 39명 | |
2022년 | 54명 | |
2023년 | 44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둘러보기
영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북영주† - 문단† - - 거촌† - 봉성† - 법전† - - 녹동† - - - - 비동† - - - - 동점† - - 백산† - - 솔안† - - - - - - 고사리† - 하고사리† - 마차리† - - 상정† - 미로† - 도경리† - - - - - 망상† - - 옥계† - - 안인† - - 청량† - -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 |
태백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006a68><colcolor=#ffffff><tablebgcolor=white,#191919> 철도 | 태백선 | 태백역 · 동백산역 |
영동선 | 철암역 · 동백산역 | ||
도로 | 국도 | 31 · 35 · 38 | |
지방도 | 28 · 414 · 424 · 427 | ||
버스 | 시내버스 | 태백시 시내버스 | |
시외버스 | 태백버스정류장 · 시외버스 노선 |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 }}}}}}}}} |
[1] 솔안터널로 이 네 역이 한번에 폐역되었다. 현재는 스위치백트레인이 심포리-도계 구간을 운행하며, 통리~심포리간은 레일바이크를 운행한다,[2]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열차 통과[3] 통리역의 여객취급 기능 이전[4] 태백선 제천 기점 102.9km[5] 동백산태백삼각선은 정식 명칭은 아니고 태백삼각선분기로 되어 있다. 북영주역의 북영주삼각선과 같은 방법으로 태백선과 영동선에 제각기 동백산역이 있었는데 영동선측 동백산역이 여객역이 되면서 태백선측의 역이 삭제되었다.[6] 잘 보면 표기법이 개정된 지 10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 준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구 역사의 구형 역명판을 확인 없이 그대로 재탕해서인지 역명판의 표기가 Tongpaeksan이다(...).[7] 철도청고시 제2호(1975년 1월 29일)[8] 1983년 철도청고시 제66호[9] '백산(栢山)의 동쪽'이라 하여 '동백산'이라 명명됐는데, 실제로는 백산동이 아닌 통동에 있으며 백산역보다 북쪽에 있다. '태백산(太白山)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지었다는 말도 있는데, 한자가 다르다(栢/白). 실제로 전술한 이유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역명 개정을 요구하기도 했다.#[10] 철도청고시 제2호[11] 따라서 통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도 동백산역으로 이관되었다.[12] 승차권 발매단말기만 철거했고, 운전취급은 계속할 예정이다.[13] 다만 왕복 6회만 운행하니 시간을 잘 보고 타야한다.[14] 영업 개시일인 6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