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지하철도 천리마선의 지하철역에 대한 내용은 봉화역(평양) 문서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봉화산역 문서
참고하십시오.봉화역 | ||||
동대구·영주 방면 영 주 ← 14.7 ㎞ | 영동선 무궁화호 | 동해 방면춘 양 23.2 ㎞ → | ||
백두대간협곡열차 | 철암 방면춘 양 23.2 ㎞ → | |||
역명 표기 | ||||
영동선 | 봉화 Bonghwa 奉化 / [ruby(奉化, ruby=ポンファ)] | |||
주소 |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봉화로 1072-1 (해저리 90-1)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105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3급) (춘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 ||||
운영 기관 | ||||
영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암선 | 1950년 2월 1일 | ||
영동선 | 1963년 5월 20일 | |||
무궁화호 | 1986년 3월 21일 | |||
백두대간협곡열차 | 2013년 4월 12일 | }}}}}}}}} | ||
철도거리표 | ||||
영주 방면문 단 ← 5.7 ㎞ | 영동선 봉 화 | 청량 방면거 촌 5.5 ㎞ → |
현 역사(1994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nopad> |
봉화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송이버섯을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
해방과 전쟁, 격랑의 세월을 이겨온 역사
현재 봉화역이 위치한 봉화읍은 과거 내성면으로 불리던 곳으로 옛 군청소재지였던 춘양면에서 군청이 이전해온 후 봉화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봉화역의 옛 역명이 경북내성역인 이유도 원래 지명이 내성면이었기 때문이다. 1944년 후반부터 영주에서 내성(봉화)을 경유하여 춘양에 이르는 35.2km의 영춘선 철도건설이 추진되었다. 그중 영주-내성(봉화)간은 1945년 8월 23일 홍수로 선로가 유실된 뒤 해방되면서 폐선 되었다. 이후 1950년 영암선 영주-내성 구간의 14.1km가 개통되며 경북내성역이 영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미 다른 지역에 내성역이 있었기 때문에 경북내성역이 되었다. 한국전쟁으로 중단된 영암선이 이어지고, 1955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화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게 되었다. 옛 봉화역은 삼각 박공지붕의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소박한 모습이었지만 내성 지역이 봉화군의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1994년 오늘의 역사로 새롭게 신축 준공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봉화로 1072-1 (해저리 90-1) 소재.현재 봉화역이 위치한 봉화읍은 과거 내성면으로 불리던 곳으로 옛 군청소재지였던 춘양면에서 군청이 이전해온 후 봉화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봉화역의 옛 역명이 경북내성역인 이유도 원래 지명이 내성면이었기 때문이다. 1944년 후반부터 영주에서 내성(봉화)을 경유하여 춘양에 이르는 35.2km의 영춘선 철도건설이 추진되었다. 그중 영주-내성(봉화)간은 1945년 8월 23일 홍수로 선로가 유실된 뒤 해방되면서 폐선 되었다. 이후 1950년 영암선 영주-내성 구간의 14.1km가 개통되며 경북내성역이 영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미 다른 지역에 내성역이 있었기 때문에 경북내성역이 되었다. 한국전쟁으로 중단된 영암선이 이어지고, 1955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화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게 되었다. 옛 봉화역은 삼각 박공지붕의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소박한 모습이었지만 내성 지역이 봉화군의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1994년 오늘의 역사로 새롭게 신축 준공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구 역사(1949년 준공, 1994년 철거) |
봉화읍 중심부에 있긴 하지만 여객수요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서 운전업무를 주로 보고 있는 철도역으로 아무리 봉화읍의 중심부에 있다고 해도 읍내와의 거리가 은근히 멀다.
1949년 11월 30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50년 2월 1일부로 영암선의 영주-경북내성 구간이 개통하면서 경북내성역이라는 역명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2]
1955년 7월 1일부로 지금의 역명인 봉화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1976년 4월 20일부터 무연탄도착취급으로 지정되었다.[3]
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9월 8일에 지금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2.1. 승강장
↑ 춘양 | |||
| | 1 | 2 | | |
영주 ↓ |
1 | 영동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백두대간협곡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 | 분천·철암·동해 방면 |
2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영주·안동·동대구 방면 |
3. 연계 교통
3.1.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
봉화역(371000036) * 봉화 방면 | |
영주시 시내버스 | |
일반 | |
봉화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봉화역(371000049) * 영주 방면 | |
영주시 시내버스 | |
일반 | |
봉화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백두대간협곡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bgcolor=#f55839> 총합 ||<bgcolor=#f55839> 비고 ||
백두대간협곡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 || [[무궁화호|무궁화호
]]||<bgcolor=#f55839> 총합 ||<bgcolor=#f55839> 비고 ||
2003년 | 82명 | |||
2004년 | 104명 | |||
2005년 | 110명 | |||
2006년 | 101명 | |||
2007년 | 93명 | |||
2008년 | 89명 | |||
2009년 | 92명 | |||
2010년 | 95명 | |||
2011년 | 95명 | |||
2012년 | 119명 | |||
2013년 | 9명 | 111명 | 120명 | [4] |
2014년 | 7명 | 102명 | 109명 | |
2015년 | 6명 | 74명 | 80명 | |
2016년 | 3명 | 78명 | 81명 | |
2017년 | 4명 | 79명 | 83명 | |
2018년 | 5명 | 77명 | 82명 | |
2019년 | 4명 | 77명 | 81명 | |
2020년 | 0명[5] | 40명 | 40명 | |
2021년 | 0명 | 49명 | 49명 | |
2022년 | 0명 | 63명 | 63명 | |
2023년 | 0명 | 40명 | 40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둘러보기
영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북영주† - 문단† - - 거촌† - 봉성† - 법전† - - 녹동† - - - - 비동† - - - - 동점† - - 백산† - - 솔안† - - - - - - 고사리† - 하고사리† - 마차리† - - 상정† - 미로† - 도경리† - - - - - 망상† - - 옥계† - - 안인† - - 청량† - -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