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대중교통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AA> |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
항공 | 대구국제공항 | 포항경주공항 | |
항만 | 없음 | 영일만항 | |
포항여객선터미널 | |||
후포여객선터미널 | |||
철도 | 역 목록 | 역 목록 | |
대구권 전철 ( · · · ) | |||
버스 | 터미널 목록 | 터미널 목록 | |
교통카드 | |||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 |||
대구권 광역환승제 |
경상북도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령군 | 경산시 | 경주시 | 구미시 | 김천시 |
문경시 | 봉화군 | 상주시 | 성주군 | 안동시 | |
영덕군 | 영양군 | 영주시 | 영천시 | 예천군 | |
울릉군 | 울진군 | 의성군 | 청도군 | 청송군 | |
칠곡군 | 포항시 | }}}}}}}}} |
영주여객 차고지 [1] |
1. 설명
영주시의 시내버스에 관한 문서로, 영주여객이 단독 운영한다.[2]2. 도색
시내버스는 경북 공용 구도색 (좌상)에서 시계 방향 순서로 바뀌었다. |
좌석버스 구도색 | 좌석버스 신도색 | 공공버스 도색 |
3. 요금
영주시 시내버스 요금표 | ||||
시내버스 | 좌석버스 |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
어린이 | 800원 | 700원 | 1,000원 | 900원 |
청소년 | 1,200원 | 1,100원 | 1,600원 | 1,500원 |
성인 | 1,500원 | 1,400원 | 2,000원 | 1,900원 |
일반버스 현금 요금의 경우 같은 영주여객에서 운행하는 봉화군 농어촌버스에도 2023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된다.[3]
경상북도에서 경주시, 구미시, 성주군, 칠곡군과 더불어 일반/좌석버스 요금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은 곳이다.
2010년 5월 15일부터 대부분의 중앙-중부내륙 라인에 걸쳐 있는 경상북도 북부 지역처럼 티머니의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B400 단말기가 장착되었다. 이 때 도입한 교통카드 중 선불 교통카드는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탑패스, 원패스를 사용한다. 후불카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롯데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NH농협카드, 현대카드, 수협카드, 씨티카드를 사용한다. 하차 1시간 이내에 하차한 노선과 다른 노선의 시내버스로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2013년 1월 1일, 경북 시단위 중 마지막으로 영주시에서 시계내요금이 단일화되었다. 덕분에 시계외구간요금 역시 대폭 인하되었다.
예를 들면 과거 시외버스로 운용하던 영주↔풍기 경유↔부석사 간 버스[4]는 시 경계를 하나도 통과하지 않지만 시외버스라는 이유로 최대 4,650원을 받았으나 요금 단일화 이후에는 시내좌석버스 기본요금인 1,500원으로 대폭 인하되었다.
2021년 6월 1일부터 시내버스 요금이 일반버스는 성인, 청소년 200원씩, 좌석버스는 성인, 청소년 300원씩, 어린이는 일반, 좌석 모두 100원씩 인상된다.
2025년 하반기 노인 요금이 무료화 될 예정이다.
4. 노선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64F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영주시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시내순환 | 1 | 2 | 2-1 | 3 |
5 | 8 | ||||
문수 | 20 | 28-2 | |||
장수ㆍ예천 | 21 | 영주 - 성곡 | |||
안정ㆍ봉현 풍기ㆍ단양 | 22 | 22-1 | 23 | 24 | |
25 | 25-1 | 26 | 27 | ||
영주 - 여륵 | |||||
평은ㆍ이산ㆍ봉화ㆍ안동 | 30 | 31 | 32 | 33 | |
단산ㆍ부석ㆍ순흥 | 28 | 52 | 53 | 54 | |
55 | }}}}}}}}} |
2018년 1월에 버스정보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링크 이는 경상북도 시내버스 최초로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지원받아 구축된 버스정보시스템이다.
2020년 3월 1일과 3월 15일 2차례에 걸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감축 운행하며, 5월 13일과 6월 1일 2차례에 걸쳐 일부 노선 운행이 복구되었으며, 2021년 1월 11일부터 3차 대유행 여파로 다시 감축 운행한다.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중앙선 KTX 개통, 가흥택지 개발 등의 여건변화에 따라 노선 개편에 대한 용역을 실시 중에 있다. # 들리는 바에 따르면 모든 읍면 노선이 시내순환 노선과 통폐합 되고 영주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연장운행, 일부 면 지역에 대해서는 마을버스를 운행하는 내용을 포함한다고 알려져 있다.
4.1. 시내 노선[5]
인포그래픽 노선도 | 지도식 노선도 |
<rowcolor=#ffffff> 노선번호 | 노선 | 배차간격 | ||
<rowcolor=#ffffff> 기점 | 경유지 | 종점 | ||
1 | 폴리텍대학 | 시민운동장 - 경북전문대학교 - 시청 - 영주역 - 꽃동산 - 우체국 - 시의회 영광중학교 - (단방향회차) 시영아파트 - 가흥주공 3단지 (종점) - 터미널 | 가흥주공 3단지 | 12분 (1일 67회) |
2 [공공형버스] | 한정교 - 보건소 - 시청 - 영주역 - 꽃동산 - 적십자병원 - 터미널 제일고교 - 영광중학교 - 시의회 - 영주여객 - 휴천1동 행정복지센터 (단방향회차) 영주중학교 - 영주고등학교 - 조리고등학교 (종점) | 조리고등학교 | 1일 13회 | |
2-1 [공공형버스] | 한정교 - 영주보건소 - 영주시청 - 휴천1동 행정복지센터 - (단방향회차) 영주중학교 - 선영여고 - 영주고등학교 - 청구하이츠 - 화성라온빌 - 세영체시빌 -(종점) | 1일 10회 | ||
3 | 시민운동장 - 세영리첼 - 꽃동산 - 영주역 - 영주여객 - 법원 - 적십자병원 터미널 - 제일고등학교 - 영광중학교 - (단방향회차) 시의회 - 청구아파트 - 선영여고 - 영주고등학교 - 코아루아파트 | 청구아파트 | 17분 | |
5 | 장수 (파지, 반구) | 폴리텍대학 - 시민운동장 - 경북전문대학교 - 시청 - 영주역 - 꽃동산 - 우체국 - 영광중학교 - (단방향회차) 시의회 - 청구아파트 - 조리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 코아루아파트 | 청구아파트 | 30분 |
8 | 폴리텍대학 | 시민운동장 - (단방향회차) 경북전문대학교 - 보건소 - 시청 - 시민교회 (영주여객 건너) - 시의회 - 영광중학교 - 롯데시네마 - 가흥주공 3단지 - 터미널 - 적십자병원 - 세영리첼 - 시민운동장 | 폴리텍대학 | 15분 (1일 60회) |
8-1 (8번 역방향) | 시민운동장 - (단방향회차) 세영리첼 - 적십자병원 - 터미널 - 가흥주공 3단지 - 롯데시네마 - 영광중학교 - 시의회 - 영주여객 - 시청 - 보건소 - 경북전문대학교 - 시민운동장 |
4.2. 읍면 노선[8][9][10]
읍면 방면 노선 시간표 |
<rowcolor=#ffffff> 노선번호 | 노선 | 배차간격 | ||
<rowcolor=#ffffff> 기점 | 경유지 | 종점 | ||
20번 | 영주여객 차고지 | (공통경유) 영동삼거리 - 조암 [무섬방면] 문수 - 월호 - (문수농공단지) - 황영골 - 와현 - (대양 - 금영골 - 삼계) (원암 - 무섬 - 분계) - (조제, 금영) (멱실) [용혈방면] 방갓 - 환경사업소 - 월호 - 문수 - (승문 - 만방) - 용혈2리 [미림방면] 운문 - 아래가구대골 - (자만동) - 만방 - 승문 - (승문 - 용혈) | 무섬, 용혈, 미림 | 1일 8회 (무섬) 1일 1회 (용혈) 1일 2회 (미림) |
21번 | (공통경유) 영주우체국 - 꽃동산 - 시민운동장 - 한국폴리텍대학 [감천방면] 두전 - 반구 - 유동 - 장수 [미울방면] 장수 - 꽃계 - 호문 - 소룡 | 감천, 미울, 파지 | 1일 1회 (감천) 1일 4회 (미울, 파지) | |
22번 | 산법, 옹암 (일부 버스)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상행) / 기독병원 (하행) | 동양대학교 | 1일 21회 | |
22-1번 | 종점행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안정, 옹암리, 산법리 기점행 : 풍기역, 읍사무소, 성심병원, 산법, 옹암, 안정, 기독병원 | 동양대학교 | 1일 2회 | |
23번 | 제일고교 - 터미널 - 신전1리 - 풍기시외정류소 - 봉현면사무소 - 유전1리 | 하촌 | 1일 8회 | |
24번 | 제일고교 - 터미널 - 필두 - 내줄 - 풍기초교 - 풍기역 (종점행만 정차) | 전구동, 두산 | 1일 5회 | |
25번 | 제일고교 - 터미널 - 안정 - 봉현 - 풍기초교 - 풍기역 (종점행만 정차) | 희방사, 죽령 | 1일 10회 | |
25-1번 | 제일고교 - 터미널 - 안정 - 봉현 - 풍기초교 - 풍기역 (종점행만 정차) | 풍기온천 | 1일 2회 | |
26번 | 제일고교 - 터미널 - 안정 - 봉현 - 풍기역 - 교촌 - 임실 - 금계 - 욱금 | 삼가리 | 1일 8회 | |
27번 | 제일고교 - 터미널 - 안정 - 봉현 - 풍기역 - 동양대학교 - 순흥 - 소수서원 - 선비촌 - 부석 - 임곡 - 갓듸 | 부석사 | 1일 13회 (갓듸 1회, 임곡 2회 경유) | |
28번 [공공형버스] | 영주역 - 터미널 - 풍기역 - 소수서원 | 부석사 | 1일 6회 | |
28-2번 [공공형버스] | 터미널 - 영주역 | 무섬마을 | 1일 4회 | |
30번 | 영동삼거리 - 조암 - 운문 - 평은면사무소 | 천본, 옹천, 미림 | 1일 7회 (옹천) 1일 4회 (천본) 1일 2회 (미림) | |
31번 | 영주중학교 - 조리고등학교 - 돌고개, 두월, 내매 - 구천리, 원천리 | 두월 | 1일 3회 (덕골, 두월) 1일 5회 (덕골, 두월, 천본1리, 전진골) | |
32번 | 장춘당약국 - 상망동 주민센터 - (석포[13], 내림, 내매) | 이산, 석포 | 1일 5회 (선돌, 봉화터미널) 1일 2회 (신암) 1일 4회 (설매, 상운) 1일 1회 (지동) | |
33번 | [본선] 장춘당약국 - 상망동 주민센터 - 영주고추시장 - 문단역 - 도촌 - 봉화역 - 봉화군청 - 봉화우체국 - 봉화읍사무소 [재산지선] (본선연계) - 유곡 - 제2농공단지 - 봉성 - 도천 - 명호 - 상리 [오전지선] (본선연계) - 삼계 - 북지 - 물야면사무소 - 교동 - 생달 | 봉화터미널 | 10 ~ 20분 (본선) 1일 2회 (재산지선) 1일 3회 (오전지선) | |
52번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상행) / 기독병원 (하행) - 창진동 - 비상활주로 - 안정 | 대평, 상태장 | 1일 7회 | |
53번 | 기독병원 - 아랫귀내 - 윗귀내 - 판타시온리조트 - 영주관광 - 동촌 - 재배 - 지동 - 순흥 (소수서원, 선비촌) | 청구2리, 놋점 점마 | 1일 3회 (놋점) 1일 5회 (점마) | |
54번 | 기독병원 - 아랫귀내 - 윗귀내 - 판타시온리조트 - 영주관광 - 동촌 - 사천 - 구구 - 병산 - 단산포도마을 - 단곡 | 옥대리 단곡1리, 좌석 | 1일 8회 (단산) 1일 1회 (단곡1리) 1일 3회 (좌석) | |
55번 | 기독병원 - 아랫귀내 - 윗귀내 - 판타시온리조트 - 영주관광 - 동촌 - 사천 - 구구 - 보계 - 상석 - 부석중학교 - 부석면사무소 - 소천 - 임곡 - 갓듸 | 부석사, 샘실 물야, 용암 | 1일 13회 (부석사) 1일 4회 (샘실) 1일 2회 (용암) | |
영주 - 여륵 | 구성오거리, 장춘당약국 (상행) / 기독병원 (하행) - 제일고등학교 - 터미널 - 신전 - 봉암 - 용산 | 여륵 | 1일 7회 | |
영주 - 성곡 | 영주우체국 - 꽃동산 - 시민운동장 - 한국폴리텍대학 - 두전 - 장수 - 반구 - 갈산 | 성곡리 | 1일 6회 |
4.3. 폐선된 노선
5. 타 지역 버스와 연계
영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923f73> 안동시 | |
봉화군 | ||
예천군 | ||
단양군 |
- 봉화군 농어촌버스
- 32번과 33번이 봉화공용정류장에서 연계되며, 31번이 일부 시간대에 구천리에 들어갔다 나와 봉화 27번이나 28번과 연계된다. 소천에서 봉화 23번이 들어온다.
- 영양군 농어촌버스
- 33번이 1일 2회 재산버스정류장까지 지원운행해 2024년 5월 20일까지 연계가 가능하다.
- 예천군 농어촌버스
- 21번이 1일 1회 감천까지 가며, 1시간 정도 기다리면 예천군 농어촌버스를 탈 수 있다. 예천군 농어촌버스는 풍기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2024년 8월 1일부터는 1일 2회 왕복 운행을 하는 예천 - 장수 노선이 신설된다.
6. 둘러보기
영주시의 교통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a651><colcolor=#ffffff> 철도 | 중앙선 | 영주역 · 풍기역 |
도로 | 고속도로 | 중앙 영주IC · 풍기IC | |
국도 | 5 · 28 · 36 | ||
지방도 | 931 · 935 | ||
로 | 영주시의 로 | ||
버스 | 시내버스 | 영주시 시내버스 | |
영주-타 시·군 간 버스 | |||
시외버스 | 영주 · 풍기IC · 꽃동산(하차) · 장수(하차) | ||
시외버스 노선 |
경상북도의 교통 |
[1] 시내 순환노선을 제외한 읍면 방면 모든 노선의 차량들이 이곳에서 주박 및 여객취급을 동시에 한다[2] 영주여객은 봉화군 농어촌버스도 운영했으나, 무료운행을 개시한 2024년부터 봉화여객으로 독립했다.[3] 2024년 1월 1일부터 봉화군 농어촌버스가 청송군 농어촌버스처럼 전면 무료화된다. 단, 33번 등 봉화군을 지나는 영주 면허 버스는 제외다.[4] 현재의 27번 노선.[5] 5번은 장수면, 나머지 노선은 한국폴리텍6대학 영주캠퍼스에서 출발하며, 5번도 한국폴리텍6대학 영주캠퍼스를 경유하므로 사실상 모든 영주시가지 노선(한자리수 번호)이 한국폴리텍6대학 영주캠퍼스에서 출발한다.[공공형버스] 2021년 5월 10일부터 31일까지 시범 운행 후 6월 1일부터 정식 운행을 시행하며, 평일 한정으로 2019년 11월 1일에 폐선된 2번, 2-1번이 부활하고 주말 및 공휴일에는 관광지 급행노선인 28번, 28-2번으로 운행한다. 카운티 뉴 브리즈 4대로 운행하며, 일반버스 요금을 징수한다.[공공형버스] [8] 모든 노선이 영주여객 차고지에서 출발한다.[9] 무번호 노선은 시외버스로 운행했으나, 2013년 1월 1일 영주시 시내버스 요금단일화와 함께 시외버스 사업은 철수하고 시내좌석버스 및 시내일반버스로 전환하여 요금이 대폭 인하되었다.[10] 일부 노선은 같은 노선이지만 시내일반버스와 시내좌석버스가 혼용해서 다니는 것이 특징이다. 요금 또한 버스의 등급에 따라 다른 요금을 받는다.[공공형버스] [공공형버스] [13] 같은 회사 내 봉화군내버스 노선인 석포와는 다르다. 전자는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후자는 봉화군 석포면이다.[14] 또한 단양은 환승제도가 없다. 즉 환승시 기본요금으로 징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