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35:39

분천역

분천역
동대구·영주 방면
현 동
← 6.6 ㎞
시종착
역명 표기
영동선 분천
Buncheon
汾川 / [ruby(汾川, ruby=プンチョン)]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분천길 49
(분천리 964)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166
관리역 등급
보통역
(춘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운영 기관
영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암선 1956년 1월 1일
영동선 1963년 5월 20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동해산타열차 2020년 8월 19일
백두대간협곡열차 2013년 4월 12일 }}}}}}}}}
철도거리표
영동선
분 천
파일:attachment/buncheon2.jpg
현 역사(1957년 준공, 2013년 개축)
파일:attachment/buncheon.jpg
리모델링 이전의 현 역사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일평균 이용객4. 연계 교통
4.1. 농어촌버스
5. 사건 사고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분천역 스탬프.jpg
분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백두대간협곡열차를 형상화했다. 코레일 다이어리 스탬프도 비치중이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와 별개로 분천역-체르마트역 한국 스위스 수교 50주년 기념 스탬프, 분천 산타마을 우체국 스탬프도 날인 가능하다. 또한, 양원역 스탬프도 함께 비치중이다.

영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분천길 49(분천리 935-1) 소재.

2. 역 정보

역명은 여우천에서 내려오는 냇물이 갈라져 낙동강으로 흐른다 하여 부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며, 일제가 '부내'를 한자화 해서 분천(汾川)이 된 것이다.

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3월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11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13년 5월 23일자로 스위스 체르마트역과 자매결연을 체결한 이후 역사 외관이 스위스 풍의 외관으로 리모델링 되기도 했다.

동해산타열차의 종착역이자 백두대간협곡열차의 회차역[1]으로, 협곡열차 운행 이후에는 일일 1,000여명 가까이 방문할 정도로 이용객이 급증했다.

장기계획으로 울진분천선 연결이 추진중이다.

2.1. 승강장

양원
| 3 2 | | | 1
현동
1 영동선 [[백두대간협곡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
승부·철암·영주 방면
2·3 [[무궁화호|
무궁화호
]]
강릉·동대구·영주 방면
[[동해산타열차|
동해산타열차
]]
당역 종착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백두대간협곡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
[[중부내륙순환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bgcolor=#f55839> 총합 ||<bgcolor=#f55839> 비고 ||
2003년 14명
2004년 31명
2005년 35명
2006년 29명
2007년 24명
2008년 20명
2009년 26명
2010년 28명
2011년 32명
2012년 34명
2013년 760명 118명 878명 [2]
2014년 536명 188명 724명
2015년 444명 136명 580명
2016년 349명 187명 536명
2017년 397명 201명 598명
2018년 257명 197명 454명
2019년 289명 157명 446명
2020년 84명 56명 140명
2021년 28명 39명 67명
2022년 241명 83명 324명
2023년 134명 52명 186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연계 교통

4.1. 농어촌버스

분천산타마을(371000546)
농어촌

5.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봉화 분천리 기관차 추락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7. 둘러보기

영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안함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1] 단, 첫차와 막차는 영주역까지 간다.[2] 중부내륙순환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자료는 개통일인 4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26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3] 웬만큼 여객 수요가 있는 역에서만 구하는 국가근로장학생을 방학 때마다 구했을 정도이다. 군내 최다 수요의 역인 봉화역에서도 구하지 않는데 분천역은 방학 때마다 근로장학생 선발 공고를 냈을 정도.[4] 현재는 노환으로 죽어서 더 이상 볼수가 없다.[5] 분천1교차로로 나와서 P턴하여 분천교를 건너면 바로 산타마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