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관계: }}}[[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관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 Österreichisch-Ungarische Monarchie Osztrák–Magyar Monarchia Austro-Hungarian Monarchy | |||||
| | ||||
오스트리아 국기 | |||||
| |||||
헝가리 국기 (1915-1918) | 국장 (1915-1918) | ||||
Indivisibiliter ac Inseparabiliter[1] 갈라질 수도 없고 분리될 수도 없다. | |||||
상징 | |||||
국가 | 황제 찬가 Kaiserhymne | ||||
위치 | |||||
<nopad> | |||||
지도{{{#!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0000, 글자색=#fff, 내용=시스라이타니아)] : 오스트리아 제국 관할 영토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8300, 글자색=#fff, 내용=트란스라이타니아)] : 헝가리 왕국 관할 영토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00ff, 글자색=#fff, 내용=공동통치령)] : 양국 공동통치령 | }}}}}}}}} | ||||
[[1867년|{{{#fff 1867년}}}]] [[6월 8일|{{{#fff 6월 8일}}}]][2] ~ [[1918년|{{{#fff 1918년}}}]] [[11월 12일|{{{#fff 11월 12일}}}]][3] {{{#fff (51년 5개월 4일)}}} | |||||
대타협 이전 | 해체 이후 | ||||
오스트리아 제국 |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 | ||||
헝가리 제1공화국 | |||||
영토적 계승[4] {{{#!wiki style="margin: 0 -10px -15px; min-height: 4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
폴란드 제2공화국 | |||||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이탈리아 왕국 트렌티노알토아디제 | |||||
루마니아 왕국 | }}}}}}}}} | ||||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bgcolor=#fff,#1f2023> 1867년 2월 8일 대타협 1908년 10월 6일 보스니아 합병 1914년 7월 28일 제1차 세계 대전 1919년 9월 10일 생제르맹 조약 체결 1920년 6월 4일 트리아농 조약 체결 | }}}}}}}}} | |||
지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위치 | <colbgcolor=#fff,#1f2023>중동부유럽 | |||
수도 | 빈 (시스라이타니아) 부다페스트 (트란스라이타니아) | ||||
면적 | 676,615km² (본토 면적) | }}}}}}}}} | |||
인문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colbgcolor=#fff,#1f2023>51,390,223명 (1918년 기준)[5] | |||
공용어 | 독일어 헝가리어 크로아티아어 | ||||
종교 | 가톨릭 76.6%[6] 개신교 8.9%[7] 동방 정교회 8.7%[8] 유대교 4.4% 이슬람 1.3% | ||||
민족 | 독일인, 헝가리인,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이탈리아인, 루마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 루신인, 유대인 등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정치체제 | <colbgcolor=#fff,#1f2023>준입헌군주제 동군연합 | |||
오스트리아 황제 겸 헝가리 국왕 (국가원수) | 프란츠 요제프 1세 (초대) 카를 1세 (말대) | ||||
오스트리아 총리[9] (정부수반) | 프리드리히 폰 보이스트[10] (초대) 하인리히 라마슈 (말대) | ||||
헝가리 총리[11] (정부수반) | 언드라시 줄러 (초대) 허디크 야노시 (말대) | }}}}}}}}} | |||
경제 | |||||
통화 | <colbgcolor=#fff,#1f2023>굴덴(~1892)[12] 크로네(1892~1919)[13] | ||||
언어별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독일어 | Österreich-Ungarn Monarchie | |||
헝가리어 | Osztrák-Magyar Monarchia | ||||
크로아티아어 | Austro-Ugarska | ||||
체코어 | Rakousko-uherská monarchie | ||||
슬로바키아어 | Rakúsko-uhorská monarchia | ||||
루신어 | Австро-Угорьско | ||||
우크라이나어 | Австро-уго́рська імпе́рія | ||||
폴란드어 | Monarchia Austro-Węgierska | ||||
루마니아어 | Monarhia austro-ungară | ||||
세르비아어 | Аустро-Угаpска | ||||
슬로베니아어 | Avstro-Ogrsko cesarstvo | ||||
이탈리아어 | Impero austro-ungarico | ||||
라틴어 | Imperium Austro-Hungaricum | }}}}}}}}} | |||
1. 개요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墺地利享加利君主國[14]), 통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墺地利享加利帝國)은 1867년부터 1918년까지 존재한 제국이다.오스트리아 제국의 후신으로 1867년 헝가리인들과의 대타협을 통해 성립되었다. 기본적으로 헝가리가 자치권 및 일부 지역 통치권을 얻은 것 외에 영토, 구성원에서 기존 오스트리아 제국과 차이가 없었다.[15] 영토 면에서도 역시 오스트리아 제국과 동일하게 오늘날의 오스트리아,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등을 포함하는 대형 국가로 1878년에는 보스니아 지방까지 추가로 손에 넣었다. 사라예보 사건으로 제1차 세계 대전이 촉발된 국가로 독일 제국, 오스만 제국과 함께 동맹국 진영의 일원으로 세계 대전에 뛰어들었으나 끝내 패망하며 사라졌다.
유럽에서 러시아 제국 다음으로 넓은 나라였으며 1900년 기준 세계 인구 7위의 대국이었다.[16]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 타 서구 열강들에 비하면 산업화를 시작한 시기는 느렸으나 이후 빠른 발전을 통해 서유럽 열강들에 뒤처지지 않는 성장률을 기록했고, 1913년 기준 유럽 5위, 세계 7위의 경제대국[17]으로 번영을 누렸다.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시스라이타니아(Cisleithania)[18]와 헝가리를 중심으로 하는 트란스라이타니아(Transleithania)[19], 그리고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두 나라가 함께 관리하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으로 이루어졌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한 명의 군주의 동군연합 아래에 묶여있었을 뿐 동등한 권한을 가진 채 별개의 정부와 의회를 가졌기에 이중제국이라고도 불린다. 그 복잡다단한 유럽 내에서도 유달리 복잡한 사회구조와 다양한 민족과 언어[20]를 가지고 있었던 국가였다.
2. 상징
2.1. 국호
독일어: 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 und die Länder der heiligen ungarischen Stephanskrone[21] 헝가리어: A birodalmi tanácsban képviselt királyságok és országok és a magyar szent korona országai[2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공식 국호 |
독일어권에서는 제왕국(帝王國)이라는 의미의 Kaiserlich und Königlich(카이저리히 운트 쾨니크리히), 약칭 k. u. k.(카 운트 카)로 불리기도 했다.[24] 여기서 차용한 카카니아(Kakania)라는 명칭도 있다.
2.2. 국기
| | | |
오스트리아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 헝가리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기 (나무위키에서 사용)[25] | 트란스라이타니아 비공식 국기 |
| | | |
상선기 | 상선기 (문장 단순화) | 오스트리아 상선기 | 오스트리아 상선기 (문장 단순화) |
상선기의 용도로 사용되던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국기와 헝가리 왕국의 국기를 합친 바리에이션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 상선기는 게임, 영화 등 각종 매체에서 널리 사용되어 유명하다. 근본없는 국기는 아니고 실제로 1869년부터 1918년까지 사용되던 깃발로 일부 상황에서는 외국에 파견된 영사들이 사용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포스터나 선전물들에서도 이 상선기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그나마 가장 이중제국의 상징에 가깝다고 평가되는 것이 국장이다. 원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67년 대타협 이후에도 쭉 신성 로마 제국과 오스트리아 제국 시절부터 써오던 쌍두독수리 모양의 국장을 사용했다. 그러나 헝가리인들이 지나치게 오스트리아 중심적인 디자인이라고 반발하자 결국 제1차 세계 대전 도중이던 1915년 새 국장이 도입됐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양쪽의 문장을 합쳐서 만들고 중앙에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의 문장이 박혀있는 형태였다. 아래의 띠에는 제국의 표어 '갈라질 수도 없고 분리될 수도 없다(Indivisibiliter ac Inseparabiliter)'가 라틴어로 새겨졌다.
2.3. 국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제 찬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황제 찬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정치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정궁이었던 호프부르크 |
제국 내에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아예 별도의 국가 취급을 받았다. 심지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는 공통 시민권이 없었다. 오스트리아 여권과 헝가리 여권이 별도로 존재했고 둘 다 한꺼번에 가질 수는 없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에서는 프랑스어와 크로아티아어가 명기된 자체 여권을 발행했고 트란스라이타니아 대신 크로아티아의 문장을 찍었다. 심지어 귀화 및 시민권 발급 여부에 대해서는 아예 자율권을 가지고 있었다.
1804년 오스트리아 제국이 건국된 후에도 헝가리 왕국과 헝가리 의회는 폐지되지 않고 빈의 제국의회와는 별개로 존속했다. 헝가리 의회는 빈의 중앙정부와는 독립적으로 행동했으며 헝가리 정부는 오스트리아의 정부구조에 큰 영향을 받지도 않은 채 늘 분리되어 있었다. 브라티슬라바에 위치한 총독대리위원회와 빈의 헝가리 왕립비서처가 함께 헝가리를 관할했다. 그러나 1848년 헝가리 혁명 발발 이후 헝가리 정부와 의회가 모두 폐지됐고, 1867년 대타협 이후에야 다시 부활할 수 있었다. 언드라시 줄러가 부활한 헝가리의 첫 총리를 맡았고 옛 헝가리 헌법이 복원됐으며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새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하는 식으로 구색을 갖추었다.
4.1. 정부
4.1.1. 공동정부
| |
빈의 외무부 청사[26] | 빈의 전쟁부 청사 |
오스트리아-헝가리에는 공동정부, 오스트리아 정부, 헝가리 정부 이렇게 한 나라 안에 정부가 3개나 있었다. 당연히 정부가 중복되니 비효율과 마찰이 급증했고 특히 군사 면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공동정부가 전반적인 군사 정책을 구상했지만 군대의 모집, 보급 및 훈련은 오스트리아 정부와 헝가리 정부가 따로 했다. 오스트리아 정부와 헝가리 정부는 자국 내에서의 군사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었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각자 서로에게 피해를 입히는 짓도 주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에 결과적으로는 제살 깎아먹기식 경쟁일 뿐이었다.
오스트리아 정부와 헝가리 정부가 가장 많이 충돌한 문제는 당연히 돈 문제였다. 외국과의 관세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그리고 공동정부 예산 부담을 어떤 비율로 할 것인지를 두고 첨예하게 다투었다. 1867년 대타협 직후 더 부유한 오스트리아가 공동정부 예산의 70%를, 헝가리가 30%를 부담하기로 하고 10년마다 재조정하기로 했는데, 이때문에 부담비율을 갱신할 때마다 충돌이 발생했다. 특히 시간이 흐를수록 헝가리측 부담 비율이 조금씩 높아져 1907년 기준으로 36.4%까지 상승하며 헝가리의 불만이 커져갔다. 1900년대 초 헝가리 군대를 지휘할 때 어떤 언어를 사용할지를 두고 충돌이 발생한 데다가 1906년 4월 민족주의자들이 부다페스트의 의회를 장악하며 충돌이 정점에 달하자 결국 1907년과 1917년 협상때는 현상 유지로 임시타협했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은 시스라이타니아와 트란스라이타니아가 공동으로 다스리는 땅이었다. 보스니아 총독이 황제를 대신해 통치했는데 총독은 보스니아 주재 군대의 총사령관이기도 했기에 9명의 총독 모두 육군 장교였다. 총독이 의장을 맡고 총독의 대리인과 관료들로 구성된 행정부가 실무를 담당했다. 제국 재무부가 관할하는 사라예보의 지방정부에는 처음에 행정부, 재무부, 입법부의 3개 부서만 있었지만 나중에 경제, 교육, 종교, 기술, 토목 등 기타 부서들도 생겨났다. 오스트리아-헝가리에는 옛 오스만 제국 시절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놔둔 채 이름만 바꿔서 사용했다. 보스니아 빌라예트는 라이히슬란트로, 산자크는 크라이제로, 카자는 베지르케 등 오스만식 명칭만을 독일식으로 간판만 바꾸어달았다.
4.1.2. 시스라이타니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시스라이타니아의 정식 명칭은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이라는 기나긴 이름으로 합스부르크 군주는 이 안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이자 보헤미아 왕국의 국왕 자격으로 통치했다. 시스라이타니아 중앙정부의 부처들은 모두 이름 앞에 황왕립부(k.k. Ministerium)라는 명칭이 붙었는데, 여기서 황립은 오스트리아 황제로서의 제국적인 칭호를, 왕립은 보헤미아 국왕으로서의 칭호를 뜻하며 중앙정부기관을 '부(Ministerium)'라고 칭한 것이다. 1867년 기준 시스라이타니아 중앙정부에는 농림부, 종교 및 교육부, 재무부, 내무부, 사법부, 상업 및 토목부, 전쟁부 이렇게 7개의 부처가 존재했다. 1896년에는 철도부가 신설됐고 1908년에는 토목부가 상업부에서 분리됐다. 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7년에는 전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보건부와 복지부가 신설됐다. 모든 부처들은 이름 앞에 오스트리아 황제와 보헤미아 국왕을 뜻하는 K.K라는 약자를 붙였다.
시스라이타니아령 내부의 17개 구성국에는 모두 중앙정부에서 파견한 렌데스셰프(Landeschef), 즉 지방 총책임자를 두었다. 총리의 제청 하에 황제가 임명하였으며 각자 자기만의 작은 행정부를 꾸렸다. 이들은 부임지에서 황제를 대신하는 총독으로서의 역할과, 총리와 중앙정부를 대표하는 행정책임자로서의 역할을 둘 다 수행했다. 따라서 이들은 황제와 총리 모두의 관리를 받았고 파면될 때도 황제가 직접 쫒아내거나, 총리가 면직을 결정하면 황제가 재가하는 식이었다. 잘츠부르크 공국, 케른텐 공국, 카르니올라 공국,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부코비나 공국에서는 이 렌데스셰프를 특별히 '렌데스프레지던트(Landespräsident)'라 불렀고 이들이 꾸린 행정부도 지방정부(Landesregierung)라 불렀다.
시스라이타니아의 나머지 12개 구성국의 렌데스셰프는 황제 직속의 황립 주지사(K.k. Statthalter)가 파견되어 각기 행정청(Statthalterei)을 두었다. 비록 명칭은 약간 달랐지만 앞서말한 렌데스프레지던트와 거의 동일한 역할을 했다. 보헤미아 왕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하오스트리아 대공국, 상오스트리아 대공국,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모라비아 변경백국, 티롤 후백국,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27] 등이 대표적인 황립 주지사들의 관할 구역이었다.
각 구성국들에는 자체적인 지방의회(Landtag)를 두었다. 의원들은 대부분 선출되었으나 귀족 가문은 자동적으로 의석이 배분되기도 했다. 황제는 이 의원들 가운데 가장 명망높은 이를 지방총리(Landeshauptmann)로 임명, 의장직을 맡겼다. 지방의회는 보통 1년에 한 번씩 의례적으로 회의를 열었기 때문에 실무는 상임위원회가 처리했다. 상임위원회들은 휴회기 동안 입법 기능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행정부를 감독하는 지방정부로서의 역할도 일부 분담했다. 단순한 입법기구 외에 행정부로서의 기능도 수행했다는 점에서는 현대 오스트리아 지방자치제도의 전신이라고도 볼 수 있는 셈. 이처럼 지방의회가 중앙에서 파견한 행정부의 업무를 일부 겸하거나 중앙정부와 관할이 겹치는 부분이 많았기에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잦았다. 자치의식이 강했던 독립국들을 하나로 묶어 탄생한 제국의 특징이었다.
17개의 구성국 아래에는 구(區)를 두어 구성국 정부가 임명한 구청장들을 파견하고 모든 업무를 맡아보게 했다. 각 구는 또다시 여러 지자체들로 나뉘었고 각 지자체들은 시민들이 선출한 시장이 이끌었다. 전국에는 특별히 지정된 9개 법정도시들을 두어 구와 동등한 지위와 자치권을 부여하기도 했다.
중앙정부 - 구성국 정부 - 지방자치단체로 이어지는 시스라이타니아의 3단 행정체계는 지나칠 정도로 복잡하고 파편화되어 있었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권한이 겹치는 문제 때문에 수많은 행정가들의 골머리를 썩였고 수없이 개혁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1904년에도 에른스트 폰 쾨르버 총리가 행정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1911년 리하르트 폰 비너르트 총리 역시 황제의 명령으로 행정개혁을 위한 위원회를 구성했다. 다만 황제부터가 행정개혁을 긴급한 사안으로 보지 않았고 일부 개선점이 있긴 했지만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며 유야무야됐다. 에른스트 자이들러 폰 포이히테네크 총리가 1918년 3월 민족별 자치를 기본으로 행정체계를 갈아엎겠다는 개혁안을 발표하긴 했지만 7개월 뒤에 나라가 망하면서 조용히 묻혔다.
4.1.3. 트란스라이타니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 이슈트반 왕관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성 이슈트반 왕관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1867년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하는 프란츠 요제프 1세 |
이 10인의 장관들 중 농업, 산업, 무역장관은 1889년 농업장관과 무역장관으로 분리되었고 토목교통부는 1889년 무역부로 편입되었다. 특히 외무장관의 경우, 실제 타국과 외교를 전담하기보다는 빈에 주재하며 국왕(황제)과 헝가리 내각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이었다. 마지막으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달마티아 담당 장관은 트란스라이타니아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과 동군연합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설치된 특별관직이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은 자그레브에 독자 정부를 두고선 총리, 내무부, 종교교육부, 법무부, 경제부 등을 따로 가졌다.
헝가리에는 전통적으로 총 70개 정도의 주로 나뉘었고 그 아래에 여러 구와 특별도시 등이 존재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크게 2번의 행정개혁을 진행했는데 1870년에 모든 자치구나 도시들이 누리던 역사적인 특권들을 폐지했다. 다만 기존 명칭과 구역은 그대로 유지했는데, 이때 기준으로 헝가리에는 총 65개의 주(헝가리 본토 49개, 트란실바니아 8개, 크로아티아 8개), 89개의 자치도시, 21개의 기타 자치구(헝가리 본토 3개, 트란실바니아 18개)가 존재했다. 6년 뒤 또다시 개혁을 선포해 대부분의 자치도시들을 주에 편입시켜버렸다.[28] 헝가리의 주들은 또다시 7개의 관구로 묶였는데 어디까지나 지리적인 표시일 뿐 관구에 행정적인 기능은 없었다.
각 자치도시들은 국왕이 임명한 시장들이 행정을 맡았고 20인의 시의회가 입법부를 맡았다. 각 주들마다 국왕이 임명한 주지사들이 파견되었고 이들은 헝가리 내무부의 감독을 받았다. 각 주에는 20인으로 구성된 주의회가 있었다. 이들 중 50%는 그 주 내에서 직접세를 가장 많이 내는 최상위 10명, 나머지 10명은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선출직 인사들이었다. 그 외에도 부주지사, 수석 서기 등 자동으로 의회에 포함되는 기타 인사들이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주의회의 권한과 업무는 점차 줄어들었고 대부분이 중앙정부로 이관되었다.
4.2. 의회
| |
오스트리아 국회의사당 | 헝가리 국회의사당 |
오스트리아 의회는 양원제였다. 상원은 당연히 귀족들의 전유물이었지만 하원은 부유층에 더 많은 참정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시작해 1906년 남성 보통 선거권이 도입될 때까지 조금씩 참정대상이 확장되어 나갔다.[29] 법률이 되려면 양원에서 통과해야했고 담당 장관이 서명하면 최종적으로 황제의 승인을 받아야했다. 헝가리 의회도 양원제였다. 역시 귀족들로 구성된 상원과 국민들이 선출하는 하원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헝가리의 참정권은 대단히 제한적이어서 1874년 고작 전체 남성의 5% 만이 참정권이 있었고 1917년에도 고작 8%에 불과했다. 헝가리 국왕은 의회에 제출되기 전의 모든 법안에 대한 거부권, 의회를 통과한 모든 법안에 대한 거부권, 의회를 연기하거나 해산, 새 선거를 실시할 권한이 있었으나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헝가리 의회는 트란스라이타니아 내 모든 사안에 입법권을 가졌지만 독자적인 의회를 따로 가졌던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에서는 예외적으로 오직 헝가리와 관련된 문제에만 간섭할 수 있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은 1878년 베를린 회의로 오스만 제국에게서 빼앗아온 땅으로 이슬람이 주류인 등 상당히 이질적인 영토였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가 공동으로 통치했고 공동정부 산하 재무부의 관할이었다. 1910년 종교인, 법조인, 기업가, 사라예보 시장을 포함한 20인과 선출의원 72인으로 구성된 총 92명의 의회가 처음 만들어졌다. 선출의원은 각각 대지주와 최고 엘리트층, 도시민, 하층민 이렇게 3개의 선거인단을 나누어 뽑았다. 보스니아 의회는 굉장히 입법권이 제한적이었고 실권은 황제와 빈, 부다페스트의 의회가 가졌다. 보스니아 의회는 입법에 제안만 할 수 있었고 오스트리아 의회와 헝가리 의회가 동의해야만 통과됐다. 오직 보스니아에 관련된 문제에만 논의가 가능했고 군대나 교통, 상업, 관세처럼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끼치는 사안은 모두 헝가리 의회가 관할했다. 보스니아 내의 지방의회에도 역시 통제권이 없었다.
4.3. 사법
파일:ogh-justizpalast2-800x480.jpg | |
오스트리아 빈의 사법궁[30] |
1867년에는 사법권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1876년부터 행정법원이 창설, 행정 행위의 적법성을 심사하여 행정부가 법치 원칙을 준수하도록 만들었다. 1869년부터 설치된 제국법원은 법원과 행정부 간 권한 충돌, 구성국들 간의 분쟁, 구성국과 제국 중앙정부 사이의 분쟁을 다루었다. 또한 국민이 제기한 헌법소원도 심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강제집행력이 없었고 '정부가 잘못했다'라고 선언하는 정도에 그쳐서 정부의 결정을 뒤엎을 수도 없었고 무시해버리면 그만이었다. 마지막으로 생긴 것이 국가재판소로, 황제의 각료들이 직무상 저지른 정치적 비행을 책임지게 만드는 방법이었다. 감히 황제를 법정에 세울 수는 없었기에 대신 황제가 임명한 장관들에게 법적, 형사적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황제에게 압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트란스라이타니아 역시 사법부의 독립이 보장됐다. 헝가리에는 판사 1인으로 구성된 지방 법원 458개, 합의부로 운영되는 주 법원, 즉 1심 법원이 76개(개중 15개에는 배심원 법정이 설치되어 언론 관련 범죄를 심판했다), 왕립 법원 즉 2심 법원이 12개, 부다페스트와 자그레브에 각각 설치된 대법원이 존재했다. 그 외에도 무역이나 기업 간의 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부다페스트의 상사법원, 리예카의 해군법원, 군사법원 등 특수법원들이 있었다. 트란스라이타니아에 속했지만 자치를 누렸던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는 자체적인 법원 체제를 가졌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역시 오스만 제국 시절의 사법 제도를 기반으로 시민권, 개인의 자유, 신앙과 양심의 자유, 언론과 교육의 자유, 주거와 재산의 불가침, 청원권, 집회의 권리 등 근대적인 권리 개념을 도입해나갔다.
5. 경제와 산업
5.1. 발전상
|
1873년 빈 만국 박람회 당시 모습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기존의 농업 중심 경제에서 탈피해 서서히 성장했다. 철도가 개통되며 외진 농촌들이 개방되었고 도시들이 성장했다. 소기업들은 점차 자본주의식 생산 방식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기술발전은 산업화와 도시화를 가속했다. 1771년 빈에서는 오스트리아 최초의 증권거래소가 문을 열었고 1864년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 최초로 증권거래소가 개장했다. 1816년 설립된 중앙은행은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중앙은행으로 개칭한 뒤 빈과 부다페스트 두 곳에 본점을 두고 오스트리아측 인사와 헝가리측 인사가 번갈아가며 총재와 부총재를 맡는 식으로 운영됐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미국과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거대한 가전제품, 산업용 전기기기, 발전소용 전력장비 생산 · 수출국으로 떠올랐으며 독일에 이어 유럽에서 2번째로 거대한 철도망을 보유하고 있었다. 1913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GDP는 시스라이타니아가 191억 4천만 크로네, 트란스라이타니아가 109억 7천만 크로네로 총합 301억 1,200만 크로네, 1990년 달러화 기준으로 환산시 구매력이 1,055억 달러에 달해 유럽 5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했다.[31]
|
1820년부터 1900년까지 유럽 주요국들의 1인당 GDP 추이. 독일이나 프랑스와 엇비슷한 선을 유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동부의 성장률이 높아지면서 서부와 동부의 경제 격차는 점차 줄어들었다. 특히 헝가리가 부다페스트를 중심으로 농업과 식품 산업이 크게 성장했다. 헝가리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밀가루 수출국이 되었고 독일, 이탈리아, 영국에 대규모로 밀을 수출해 영국의 최대 식량 공급처로 떠올랐다.[33] 반면 오스트리아와 프라하는 제조업의 중심지로 자리잡으면서, 농업을 담당하는 동부와 제조업을 담당하는 서부 사이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며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다만 20세기 초부터는 점차 제조업 부문에서도 동부와 서부 간에 역전이 생겨났는데, 섬유와 철강 같은 1차 산업혁명기의 전통산업은 여전히 오스트리아가 꽉 잡고 있었던 반면 기계, 전기산업 같은 2차 산업혁명기의 산업들은 오히려 헝가리도 오스트리아 못지않게 성장했기 때문이다.
1913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인구는 보스니아를 포함해 5,300만 명에 달했다. 1억 7,100만 명의 러시아 제국, 6,700만 명의 독일 제국, 4,000만 명의 프랑스, 3,500만 명의 이탈리아 왕국, 9,800만 명의 미국과 비교했을 때 크게 작은 수치는 아니었다. 그러나 1870년 기준 전체 노동력의 67%, 1913년 기준 전체 노동력의 60%가 농업과 곡물 생산에 집중하고 있었다. 산업 부문에 종사하는 노동력은 1870년 기준 전체의 16%, 1913년 기준 22%에 불과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석탄, 철 생산량은 인구가 6분의 1 밖에 안되는 소국 벨기에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게다가 미국으로의 이민 탓에 인구 증가율이 타국에 비해 현저히 느린 것 역시 제국의 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이었다.
제국 경제의 가장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는 단연 독일이었다. 1910년 기준 전체 수출의 48%, 전체 수입의 39%가 독일에서 나왔고, 제국 경제에 대한 외국인들의 투자 역시 독일인들에 의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34] 그 뒤를 프랑스가 따랐고 그 다음이 영국이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받은 것보다 더 많은 자본을 해외로 수출했으며 이 시기 수입과 수출을 합한 해외 무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GNP의 4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 오스트리아는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1870년~80년대에 관세를 인상한 덕에 1870년부터 1913년까지 GNP가 무려 93%나 늘어나는 등 효과를 톡톡히 보기도 했다. 이는 당시 유럽 평균 성장률이던 115%에 비하면 낮은 수치였으나 1인당 GDP의 성장률로 보면 오히려 유럽 평균보다 약간 더 높았다.
근대화의 핵심으로 꼽히는 철도는 제국 전역에 활발하게 깔렸다. 1913년 기준 오스트리아-헝가리 내의 총 철도 길이는 무려 43,280km에 달해 서유럽에서는 63,378km의 독일을 제외하면 이보다 더 긴 철도망을 가진 나라가 없었고 그 뒤를 40,770km의 프랑스, 32,623km의 영국, 18,873km의 이탈리아, 15,088km의 스페인이 따랐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인구가 많고 영토가 넓어 교통이 불편한 지역이 많았기에 누구보다 철도의 중요성을 절감하던 나라였다.[35] 빈, 비너노이슈타트, 플로리츠도르프에서는 기관차를 생산했고 부다페스트나 죄르 등지에서는 증기기관, 객차, 전차와 교량 따위를 제작했다.[36]
대부분의 철도는 가벼운 화물과 승객 운송에 초점을 맞춘 경량 수송에 맞추어 건설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제국 내부에 막대한 산업 수요를 창출했다.[37] 1867년 시점으로는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6,000km의 철도만이 전부였지만 빈, 보헤미아, 실레시아를 중심으로 7,600km의 철도가 곧 빠르게 깔렸다. 이러한 철도 건설 붐은 1873년의 세계 공황으로 급작스레 멈췄고 1880년에는 전체 철도의 4분의 3을 국유화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트리아 철도의 절반은 군대를 실어나르는 데 쓰였고, 나머지는 점점 노후화되며 다른 차량을 유지하기 위해 해체되버린 탓에 1918년에는 철도망이 붕괴 직전으로 치달아 전국의 도시들이 석탄과 식량 부족에 시달려야 하기도 했다.
헝가리의 최초 철도 노선은 1846년 개통된 부다페스트 - 바츠 노선이다. 이후 우후죽순 철도회사들이 들어서며 수없이 많은 철도가 깔렸고[38] 1910년까지 헝가리에는 총 22,869km의 철도가 1,490개 이상의 도시와 마을들을 연결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내 철도의 52%가 헝가리에 깔렸고 덕분에 헝가리의 철도망 밀도는 의외로 오스트리아의 철도망 밀도보다도 높았다.
5.2. 산업
| |
1896년 부다페스트 지하철 건설현장 | 1885년 트리에스테 항구 |
제국의 주요 수출품은 기계와 전자제품이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세계에서 4번째로 거대한 공업단지가 체코 필젠 스코다(Škoda) 사 공장에 있었다. 이곳에서 각종 철강 제품들과 건설자재들, 엔진, 증기기관, 군사 무기들을 비롯한 기계 제품들이 생산되었다. 스코다 사의 제품들은 공장이 있는 필젠의 필스너 맥주 양조장부터 미국의 나이아가라 수력발전소와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오스만 제국의 설탕공장과 청나라 북양군의 병기창까지 세계 곳곳에 뻗어 있었다.
수도 빈은 기차를 포함한 각종 기계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슈타이어마르크 지역은 전통적으로 철광석이 생산되었는데다 슈타이어-만리허로 대표되는 총기 생산의 중심지였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지하철 1호선은 영국의 런던 지하철 다음가는 세계에서 2번째로 오래된 지하철로 유럽 대륙 최초의 지하철이기도 하다. 1894년부터 1896년까지 지어졌고 1896년 5월 2일 개통했다. 차량이 양방향 주행이 가능하도록 했고 지하철역과 차량 내부에 전기조명을 달고 기존 제3궤조 방식 대신 가공 전차선을 사용해 전력을 공급하는 등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술들을 도입했기에 2002년 세계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됐다.
한편 트리에스트와 풀라는 해양 진출의 거점이었다. 이곳에서는 주로 이탈리아인들이 트리에스테 기술 회사(Stabilimento Tecnico Triestino)나 트리에스테 해군 조선소(Cantiere Navale Triestino) 같은 조선업체를 운영했다. 이 중 STT사는 제국 조선업에 있어서 가장 선도적인 회사였으며 기술의 총아인 드레드노트급 전함까지 만들어낼 수 있었다.[39] 이들은 오늘날에도 이탈리아 조선사 핀칸티에리의 자회사로서 유명한 크루즈 여객선들을 다수 건조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는 단연 트리에스테로 오스트리아 전체의 해운업이 여기를 기반으로 했다. 원래는 베네치아가 가장 중요한 항구였지만 이탈리아 왕국에게 상실한 뒤 자체적으로 해운업을 육성시켰던 것. 오스트리아 로이드나 오스트로-아메리카나 같은 대형 해운회사 2곳이 여기에 소재했고 여러 조선소들이 위치했다.[40] 1913년 기준 오스트리아 국적 상선은 총 16,764척에 총 471,252t에 달했고 45,567명의 선원들이 일했다. 개중 394척이 증기선, 16,370척은 범선이었다. 오스트리아 로이드사는 1차 세계대전 이전 중대형 증기선을 65척이나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 해운회사들 중 하나였고, 오스트로-아메리카나 사는 이보다는 작았지만 남북아메리카 왕복 노선에 집중했고 오스트리아 최대 여객선 SS 카이저 프란츠 요제프 1세도 소유하고 있었다. 헝가리 쪽에서는 리예카가 가장 중요한 항구였으며 1913년 기준 총 545척, 총합 144,433t, 3,217명의 선원들이 헝가리 국적이었다. 개중 134척이 증기선, 411척은 범선이었다.
내륙수운과 치수 산업도 활발히 일어났는데, 1831년 헝가리 정치가 이슈트반 세체니의 제안으로 강바닥의 바위와 급류 탓에 악명높던 도나우강 협곡을 항해 가능하도록 강바닥을 갈아엎기 시작했고, 철의 총리라고 불린 가보르 보르시 총리가 1896년 끝끝내 이 사업을 성공시켰다. 티서강은 헝가리에서의 구간 길이만 1,419km에 달하는 기나긴 강으로 헝가리 평원을 가로질러 통과하는데 평야 지대 특성상 굽이와 곡선이 많아 홍수가 빈번했다. 여러 실패 끝에 1880년 치수사업이 끝나며 강의 길이가 966km로 급감했고, 이렇게 정비된 2,940km의 보호하천[41]이 생겨나 헝가리 전체의 보호하천(4,220km)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도나우강의 첫 번째 증기선 회사였던 도나우 증기선 회사는 한때 세계 최대의 내륙수운회사였다.
|
오스트라우의 비코비체 제철소의 전경 |
비코비체는 1870년대에는 장기불황으로 인해 거의 망하기 직전이었으나 새 경영자로 들어온 파울 쿠펠비저(Paul Kupelwieser)의 지도 하에 경영을 쇄신하여 중동부 유럽의 가장 거대한 제철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미 여러 나라의 제철소에서 근무한 적이 있던 쿠펠비저는 벨기에의 신식 제철 설비를 들여와 생산 품질과 양을 일신했다. 제국 멸망 후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에도 중요한 제철소로 남았으며 공산정권 시절에 다시 한 번 폭발적으로 성장했으나, 1998년 경영 악화로 문을 닫았다. 현재는 체코의 주요 산업 유적으로서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그 외에도 스코다의 필젠 제철소,[43] 전통적인 철강 산업 지역인 슈타이어마르크 일대의 오스트리아 알프스 광업조합(ÖAMG)이 대표적인 제철업체였다. ÖAMG는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아버지인 카를 비트겐슈타인이 세운 회사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도 운영 중인데, 현재는 포스코와 협력해 파이넥스 공법을 개발하기도 한 오스트리아 대표 제철업체인 푀스트알피네(Voestalpine) 사의 자회사다. 카를 비트겐슈타인 소유의 다른 주요 제철소로는 체코 프라하 근교에 위치한 폴디 제철(Poldi Hütte)이 있었으며 이곳 역시 오늘날까지 운영 중이다.[44]
1890년대 이후로는 자동차 산업 역시 빠르게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오스트리아에는 5개, 헝가리에는 4개의 자동차 회사가 있었다. 주요 회사로는 독일 다임러 사의 자회사로 출발한 오스트리아-다임러, 그라프&스티프트, 라우린&클레멘트, 네셀스도르퍼, 로너-베르케 등이 있었고 헝가리에서는 체펠, 건즈, 마그, 마르타 사 등이 주요 회사로 승용차와 택시, 트럭과 버스 따위를 생산했다. 1897년 오스트리아에서, 1900년 헝가리에서 처음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한 이래로 비엔나와 비너 노이슈타트 등의 하오스트리아, 부다페스트 및 근교 지역, 체코 등이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식품 가공업이 주산업이던 부다페스트는 19세기 말에는 오스트리아의 2차 산업혁명의 중심지로 탈바꿈하여 각종 기계 제품과 전자제품, 그리고 차량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특히 전자제품 분야에 있어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수출량은 주요국, 심지어 프랑스까지 제치고 한때 세계 3위에 달했는데, 이 분야에서는 부다페스트의 대기업인 건즈(Ganz) 사가 유명했다. 수력 발전 플랜트와 암모니아 냉매를 사용한 냉장고, 변압기, 발전기 그리고 전기철도 등을 생산했는데 부다페스트 지하철이 세계에서 두번째로 깔린 도시철도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헝가리의 발전된 전기 기술 덕분이었다. 그 외 건즈 사의 엔진 및 각종 기관 생산 부서도 부다페스트에 있었으며, 피우메에 거점을 둔 조선 부문인 건즈-다누비우스(Ganz-Danubius)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의 드레드노트급 전함인 센트 이슈트반함과[45] 주력 보조함인 타트라급 구축함들을 건조했다.
한편 헝가리 왕립 국영철도기계공장(MÁVAG)도 각종 강재와 철강 제품, 차량과 증기기관 등을 생산하며 건즈 사와 호각으로 경쟁했다. MÁVAG의 기관차들은 당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성능을 보유한 기관차들로 유명했으며, 제국의 주요 장갑열차들도 여기서 생산했다. FÉG사는 소화기 생산에 일가견이 있었으며 UFAG 사를 비롯한 제국의 주요 항공기 업체들도 전부 부다페스트에 있었다. 헝가리 북부의 오즈드 일대의 리마무라니살고타르얀 제철소(Salgótarjáni Kohászati Üzemek)[46] 등에서도 강철을 생산했으나 그 비중은 체코와 오스트리아에 비해서는 미미한 편이었다.
또 헝가리는 20세기 이후 제국 전기, 전자 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오리온 사 및 텅스램 사(tungsram)사가 부다페스트에 본사를 설치해 백열등 등 전구를 비롯해 각종 전기 부품들을 개발해 판매했고, 특히 텅스램 사는 1904년 세계 최초로 이전까지의 탄소로 만든 필라멘트보다 오래가는 텅스텐 필라멘트를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하기도 했다. 제국 말기에는 자체적으로 진공관 개발에 성공했고, 이윽고 라디오 등 전자기기도 개발했다. 그러나 전쟁 패전으로 인해 본격적인 전자산업 발전은 제국 해체 이후로 밀리게 되었다.
그 외 폴란드의 바쿠라 불린 갈리치아에서는 철도가 연결되면서 석유 시추와 정제업이 성행했다. 갈리치아 덕에 19세기 말 오스트리아는 세계 4위의 산유국이었다.
빈, 브르노, 프라하를 잇는 첫 전신 연결망이 1847년 개통됐고 헝가리에서는 1847년 브라티슬라바에 첫 전신국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850년 빈 - 부다페스트 전신망과 빈 - 자그레브 전신망이 개통됐다. 1884년 헝가리에는 2,406곳의 전신국이 있었고 1914년 기준으로는 우체국 내 전신국 3,000곳, 철도역 내 전신국을 2,400곳 추가해 무려 5,400곳 이상의 전신국을 운영했다. 전화의 경우 1881년 자그레브를 시작으로 처음으로 전화 교환국이 개설되었으며 초기에는 개인 가정, 회사 사무실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지만 1890년대부터 우체국과 기차역에 공중전화가 생겨나며 전화량이 폭증했다. 1913년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무려 5억 6,800만 통의 전화가 이루어져 독일 제국과 영국으로 많은 유럽 3위를 기록했다. 1916년 오스트리아에서만 3억 6,600만 통의 전화가 이뤄졌고 개중 840만 통은 장거리 통화였다. 헝가리 역시 1893년 모든 도시와 대형 마을들에 전화 교환국이 설치됐고 1914년에는 전국에 2,000개가 넘는 곳에 전화 교환소가 속속 들어섰다.
특히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는 이 전화를 이용해 1893년 '전화 신문(Telefon Hírmondó)'이라는 독특한 오락이 도입됐다. 특별한 방식의 전화교환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전화를 통해 정치와 경제, 스포츠 뉴스부터 시작해 카바레 공연, 음악, 오페라 공연 같은 예술작품들까지 즐길 수 있었다. 이는 최초의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기 20년 전의 일이었고 때문에 이를 라디오의 전신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5.3. 한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중공업 발전상과 기술적 성취는 경이적인 것이었으나, 전체적인 경제 규모는 여전히 다른 열강들에 미치지 못했다. 1990년 달러화 기준으로 평가한 1913년 오스트리아의 실질적인 GDP 규모는 1005억 1500만 달러로, 2373억 3200만 달러인 독일 제국, 2544억 4800만 달러인 러시아 제국, 2246억 1800만 달러인 영국의 절반 이하였다. 프랑스 역시 1444억 8900만 달러로 오스트리아의 1.5배 규모였으며, 주요 라이벌이자 열강 하위권이었던 이탈리아 왕국마저 954억 8700만 달러로 오스트리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
1870년부터 1910년까지 20년 간격으로 측정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국내총생산 중 산업별 비율. 오스트리아 제국의 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에 불과하지만, 헝가리 왕국에서는 무려 약 50%에 달한다. 반대로 제조업 및 금융업이 각국의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오스트리아가 헝가리의 2배에 달한다.# |
산업지대, 즉 석탄이 생산되는 체코와 철광석이 생산되는 슈타이어마르크, 빈과 부다페스트의 공장들, 트리에스트의 항구는 카이저 페르디난트 북부제국철도로 이어진 데다가, 인접한 독일의 경제권이나 바다의 국제 유통망을 통해 수출과 수입이 용이했기에 나머지 유럽 국가들의 평균치보다도 훨씬 발전되었다. 하지만 나머지 지역은 그렇지 않았다.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보스니아 등 내륙 지역은 높은 디나르알프스산맥과 카르파티아산맥에 걸쳐 있거나 둘러싸였기 때문에 타지와 교류하기가 힘들었다. 이들 산맥 때문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과 달리 각 도시의 유통망을 연결하는 경제 대동맥인 운하를 건설하는 꿈도 못 꿨고, 수천 미터의 깎아지른 산봉우리를 뚫고 옆 마을로 갈 비포장 도로 건설부터 걱정해야 할 판이었다. 이는 운하가 쓰이던 18세기 말과 19세기 초반의 산업혁명을 가로막고 그 이후로도 각 지역의 발전을 방해한 주 원인이었다.
게다가 넓은 달마티아 해안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쪽으로 갈수록 산세가 깊고 험해지는 디나르알프스 산맥이 해안선을 따라 늘어서 있어서 제국의 주요 무역항은 북서부에 치우친 이스트리아반도의 트리에스트와 피우메, 풀라뿐이었으며 세 도시는 당연히 제국 동부와 내륙지역과는 너무나도 멀었다. 한때 중개무역으로 번영했던 달마티아 지역의 두브로브니크나 차라 등의 항구는 산맥 때문에 접근성이 나빴으며 이미 무역항의 기능을 잃은 지 오래였다. 그렇다고 국제하천인 도나우강을 통해 남동쪽에 인접한 세르비아나 루마니아, 오스만 제국 등과 연계된 무역망을 구축할 수도 없었다. 이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잠재적 적국이자 분쟁지대에 위치한 경제적 후진국이었다.
| |
1920년 갈리치아 스타니슬라비우의 농촌 초가집 | 갈리치아의 장례 풍경 |
갈리치아는 얼마나 가난했는지, 극단적인 빈곤과 인프라 부족을 견디지 못하고 해외로 이민하는 이들이 속출했다. 제국이 성립된 이후 40년간 총 350만명이 해외, 주로 미국이나 아르헨티나, 캐나다로 이주했는데 이들 대부분이 갈리치아 출신일 정도였다.
이 이외에 갈리치아만큼이나 가난한 지역들로 더럽게 복잡한 해안가와 높은 산지를 동시에 가진 달마티아, 루마니아인 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트란실바니아 등이 있었다. 특히 달마티아는 중세시대에 베네치아 공화국의 일원으로 번영했던 것이 상전벽해일 정도로, 갈리치아와 함께 가난함이라면 쌍벽을 이루는 지역이었다.
이들 지역들은 자연스럽게 국제, 국내 교통망에서 밀려나 산업혁명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 제국 면적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성 이슈트반 왕관령[49], 갈리치아-로도메리아, 보스니아 지역은 농업이 주 산업이었으며 여기서 생산되어 수출된 밀은 한때는 러시아 제국의 수출량보다도 많았을 정도였다. 심지어 당대 부다페스트 곡물거래소의 밀 거래량은 미국 미니애폴리스 곡물거래소의 거래량보다 많았다. 그렇다고 해서 제국 서부 지역도 모두 공업이 발달한 것은 아니었다. 가령 제국의 최서단인 오스트리아 서부 산악지대와 같은 지역들은 양 치고 젖 짜서 치즈나 만드는 농촌들이 다수였다. 티롤의 경우 공업 종사자는 고작 16.51%, 반대로 농업 종사자는 자그마치 56.71%에 달했다.
이러한 제국의 상황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게 에너지 원료의 종류별 비율이다. 1910년 영국에서는 에너지 원료의 80%를 석탄으로 충당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고작 33%에 머물렀다. 나머지는 거의 대부분이 바이오매스, 즉 목재였다. 이는 대다수의 지역의 근대화가 미비하여 주민들이 여전히 나무를 베어 난방에 사용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제국의 석탄 생산량이 너무 적고[50], 유통도 주요 산업지대 외에는 제대로 되지 않았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거기다 1873년 빈 주식시장이 폭락하며 발생한 전 세계적 규모의 장기불황은 이런 양극화를 고착시켰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공황을 제대로 얻어맞으면서, 철도 등의 각종 인프라와 산업화를 동쪽 내륙까지 확장하려던 시도가 한동안 중단되었던 것이다. 이 공황의 여파로 인해, 헝가리의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880년대가 되어서였다. 그리고 보스니아나 트란실바니아 등의 진짜 격오지들은 제국의 멸망 때까지 산업화를 사실상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물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낙후된 영토들이라도 주변 동유럽이나 남유럽 또는 비유럽 국가들에 비해 사정이 괜찮기는 했다. 1930년대의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의 문해율 지도를 보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곳의 문해율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가 나왔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영토였던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대체로 잘 살았던 편이다. 보스니아는 열악한 결과가 나왔지만 이쪽은 겨우 30년간 지배받았고 정식 병합시기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망하기 10년 전인 1908년이다. 하지만 오스트리아는 한때 서유럽 세계의 중심이기도 했을 정도로 핵심적인 열강이었던 반면, 나머지 국가들은 신생국이거나 그보다도 못한 상태였다. 발칸 국가들은 체급 자체가 작았고, 오스만으로부터 독립한 후 1차 대전 직전까지 발칸 전쟁을 여러 번 겪느라 내실을 다질 기회가 없었다. 오스만 제국 역시 내우외환과 열강의 경제 침탈 때문에 마찬가지 상태였다. 열강이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경제력은 이들보다는 당연하게도 확실히 앞섰으나, 다른 주요 열강들과 비교하면 명백히 열세였다.
5.4. 노동 계급의 생활
| |
카프카가 조사한 산업재해 보고서[51] | 1918년의 파업[52] |
1888년 세워진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을 비롯한 노동자 대표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꾸준히 개선을 요구하였으나 막상 제국정부와 왕국정부는 1912년 합동으로 전시징발법(Kriegsleistungsgesetze)을 제정하는 것으로 화답했다. 전쟁 시 총력전을 위해 국가가 민간사업자들에 대한 제한 없는 동원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발칸 전쟁으로 위기감을 느낀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가 군대에 대한 효율적인 재정 운영을 위해 추진한 법안이었다. 이 법안은 1914년 7월 26일부로 실제로 발동되었다.
부더페슈트 코르비누스 대학교의 포가니 아그네스(Pogány Ágnes) 교수에 따르면 전시동원법은 1차 세계대전 당시 제국의 총력전 수행에 크게 기여하였다. 재정이 나누어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간의 잡음이 잦았던 기존과 달리, 전시동원법을 통해서는 효율적인 재정 운영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제국이 러시아, 이탈리아, 세르비아와 동시에 3면에서 전쟁을 치르면서도 4년이나 버틸 수 있었던 동력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 법안을 통해 국가가 제국 내의 경제력을 극한까지 짜내면서 반대로 노동자들의 삶의 질은 나락으로 떨어졌다. 파업은 금지되었고 노동자들의 거주 이전의 자유까지 크게 제한받은 데다 농업 생산량까지 감소하였다. 이로 인해 제국 체제의 대들보나 다름없던 군대의 인기는 갈수록 하락했고 정부에 불만이 가중되었다. 패색이 짙어진 1917년부터 정부는 국민들의 누적된 불만을 억누르지 못했으며 1918년, 결국 제국 정부는 내부의 반란으로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그 후유증은 전후에도 길게 남았다. 제국의 나머지 영토들을 전부 독립시키고 생겨난 신생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의 대부분의 지역들에서는 우파인 오스트리아 기독사회당이 의회 의석을 쓸었다. 하지만 제국 시대 이래로 주요 공업지대였던 수도 빈만큼은 노동자층이 탄탄하게 자리잡았던데다 전쟁에 환멸을 느낀 채 돌아온 군인들이 모여들어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에 몰표를 던져버렸다.
6. 인구 및 민족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언어 분포[54]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민족 구성 |
전체[*] | 총 51,356,465명 (1910년)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nt-size: 0.9em" {{{#!folding 민족별 인구 구성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f2023> [[독일인| 독일인 ]] | 12,006,521명 ,(23.36%), | |
[[헝가리인| 헝가리인 ]] | 10,056,315명 ,(19.57%), | ||
[[체코인| 체코인 ]] | 6,442,133명 ,(12.54%), |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티아인 ]] | 5,621,797명 (10.94%) | ||
[[폴란드인| 폴란드인 ]] | 4,976,804명 (9.68%) | ||
[[우크라이나인| 루테니아인 ]] | 3,997,831명 (7.78%) |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 ]] | 3,224,147명 (6.27%) | ||
[[슬로바키아인| 슬로바키아인 ]] | 1,967,970명 (3.83%) | ||
[[슬로베니아인| 슬로베니아인 ]] | 1,255,620명 (2.44%) |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 ]] | 768,442명 (1.50%) | ||
기타 | 1,072,663명 (2.09%) | }}}}}}}}} | |
오스트리아 | 28,571,934명 (≈57.8%)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nt-size: 0.9em" {{{#!folding 민족별 인구 구성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f2023> [[독일인| 독일인 ]] | 9,950,266명 | |
[[체코인| 체코인 ]] | 6,435,983명 | ||
[[폴란드인| 폴란드인 ]] | 4,967,984명 | ||
[[우크라이나인| 루테니아인 ]] | 3,518,854명 | ||
[[슬로베니아인| 슬로베니아인 ]] | 1,252,940명 |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티아인 ]] | 783,334명 |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 ]] | 768,442명 |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 ]] | 275,115명 | ||
기타 | 608,062명 | }}}}}}}}} | |
헝가리 | 20,886,487명 (≈42.2%)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nt-size: 0.9em" {{{#!folding 민족별 인구 구성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 <colbgcolor=#ffffff,#1f2023> [[헝가리인| 헝가리인 ]] | 10,050,575명 |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 ]] | 2,949,032명 | ||
[[독일인| 독일인 ]] | 2,037,435명 | ||
[[슬로바키아인| 슬로바키아인 ]] | 1,967,970명 | ||
[[크로아티아인| 크로아티아인 ]] | 1,833,162명 | ||
[[세르비아인| 세르비아인 ]] | 1,106,471명 | ||
[[루신인| 루테니아인 ]] | 472,587명 | ||
기타 | 469,255명 | }}}}}}}}} | |
보스니아 | 1,898,044 | ||
|
위 지도는 미국의 지리학자인 윌리엄 R. 셰퍼드 박사가 1911년에 작성한 지도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개략적인 인구분포를 표현하고 있다.[55]
이중제국의 마지막 인구통계인 1910년 자료에 따르면 이중제국 전체의 인구는 총 5,139만 223명이었다. 오스트리아 제국(시스라이타니아)에 2,857만 1,934명이, 크로아티아와 헝가리(트란스라이타니아)에 2,088만 6,487명이 거주했다. 공동통치령인 보스니아에는 189만 8,044명[56]이 거주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인구통계 조사에서 민족이 아닌 모어 또는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조사했다. 즉 통계자료는 엄밀하게 말하면 민족 분포가 아닌 언어 분포인 셈. 따라서 인구통계에는 어느 정도 누락되는 정보가 존재했다. 왜냐하면 민족적 정체성이 아닌 언어 사용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이다.
가령 같은 기간인 1910년 인구통계의 종교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중제국 인구의 약 4.4% 가량인 220만 명에 달하는 주민들이 유대인(유대교 신자)이었다.[57] 제국내 유대인 대부분은 이디시어가 모어였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대개 도회지에 거주하여 도시에 거주하는 다른 독일인이나 헝가리인과의 교류도 활발했다. 또한 사회에서 중산층 이상을 형성하고 있어 교육수준도 높은 편이었다. 때문에 유대인 중에는 당대 주류언어라 할 수 있는 독일어나 헝가리어 구사가 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인구통계에서 '유대인'은 대부분 독일어나 헝가리어 화자로 집계되었다.
또다른 예시로 훗날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민족분쟁의 비극으로 널리 알려지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지역 역시 위 지도에서는 단일한 세르보크로아트어 사용 지역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유대인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서도 종교조사 통계자료로 당대 인구조성을 가늠해 볼 수 있기도 하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민족 구성[58] |
제국의 신민 절반 이상은 슬라브인들이었지만, 이중 제국 내에서 슬라브 정치인들은 크게 소외되었다.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슬로바키아인들은 자신들이 1848년 헝가리인들의 반란으로부터 합스부르크 왕가를 구했음에도 버림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헝가리 왕국에 귀속된 크로아티아인들과 세르비아인들, 슬로바키아인들은 자신들이 사면 받은 헝가리 반란군의 수정에 놓이게 되었다는 식으로 불만을 터트렸다. 이중 제국 내에서 오스트리아 측은 슬라브 소수민족들의 민족주의를 무시/방임하는 정책을 취했으나, 헝가리 왕국은 슬라브인과 루마니아인들을 헝가리인으로 완전 동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여 상당한 반발을 초래하였다. 헝가리 왕국 내 슬라브인 중에서는 중세 동군연합 사례로 거슬러올라가는 크로아티아인만 일정 수준 이상의 민족 자치를 누릴 수 있었다.
| |
헝가리 내 소수민족들의 의상 | 티롤의 소수민족 |
반면 헝가리는 오스트리아와 달리 소수 민족들이 자기들의 언어를 쓰는 꼴을 보기 싫어했다. 1868년 지정된 소수민족법은 당시 기준으로 자유주의적인 편이었고 소수민족들에게 광범위한 언어문화적 권리를 부여했지만[63] 오스트리아와는 달리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세르비아인 등에게 오직 사적인 소수언어 사용권만을 인정했다.[64] 관청과 학교, 법원과 지방의회에서 소수언어들을 사용할 수는 있었지만, 소수민족 전용 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서 소수언어를 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고 지방의회에서도 최소 20%의 의원이 요구해야만 사용할 수 있었다. 게다가 1879년 초등교육법, 1883년 중등교육법이 연달아 통과되며 비헝가리계 언어들의 사용을 줄이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1875년에는 초등학교를 제외한 모든 슬로바키아어 사용 학교들의 문을 닫아버렸다.
언어는 곧 민족의 핵심적인 정체성으로서 언제나 분리주의자들에게 시달렸던 오스트리아-헝가리로서는 대단히 민감한 주제였다.[65] 주요 언어는 독일어와 헝가리어였으나 소수민족들은 언제나 자기들의 언어를 사용하기를 갈구했다. 이탈리아어는 고상한 문어(文語)로서 독일인들 입장에서 독일어와 등등하게 받아들이는 데에 큰 무리가 없었지만 은연중에 열등하다고 느꼈던 슬라브어파 언어들은 그렇지 못했다. 오죽했으면 독일인 정치가였던 아우어스페르크 백작이 슬로베니아의 카르니올라 의회에 들어올 때 책 한 무더기를 팔에 끼고 들어오고선, 이게 슬로베니아 문학의 전부다라며 노골적으로 비웃은 일도 있었다. 열등한 슬라브어는 절대 고등교육에서 독일어를 대체할 수 없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소수민족들의 목소리가 날로 강해지면서 특히 시스라이타니아를 중심으로 소수언어들이 국어로 점차 인정받기 시작했다. 달마티아에서는 1867년부터 크로아티아어에게 이탈리아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고, 카르니올라에서는 1882년부터 국어를 독일어에서 슬로베니아어로 바꾸었으며 갈리치아는 1869년부터 행정언어를 폴란드어로 대체했다. 반면 헝가리는 그만큼 관용적이지 못해서 1907년부터 모든 4학년 이상 학생들이 헝가리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못을 박아버렸고 슬로바키아어나 루신어 학교들을 탄압했다.[66]
한편 제국의 황제였던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본인이 다민족 제국의 황제라는 점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기에 독일어, 헝가리어, 체코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폴란드어, 이탈리아어도 모두 일정 수준으로 구사했다.
가장 언어 갈등이 심했던 곳은 보헤미아였다. 6세기 이래로 보헤미아 토박이로 살아왔던 체코인들은 13세기나 되서야 보헤미아 주변부부터 슬금슬금 들어와 정착해 독일어를 강요하는 독일인들이 아니꼽게 보일 수 밖에 없었다. 1627년 제정된 헌법은 독일어를 체코어와 동등한 제2국어로 인정했지만, 1880년 보헤미아 의회에서 독일어를 사용하는 의원이 과반 이하로 내려가고 프라하와 필젠 등지에서는 아예 독일어 사용자가 소수가 되어버리며 독일어와 체코어 사이의 충돌이 더욱 잦아졌다. 독일어 중심으로 교육했던 프라하 대학교마저 1882년 독일어 학부와 체코어 학부를 분리했다. 헝가리 역시 남일은 아니었다. 헝가리 내의 루마니아인과 세르비아인들은 새로 세워진 루마니아 왕국과 세르비아 왕국과 합쳐지기를 바랐으며 슬로바키아인들도 불만이 많은 것은 마찬가지였다.
헝가리는 대체적으로 오스트리아에 비해 소수민족들을 인정하는 데에 소극적이었다. 헝가리인들은 1년 전 오스트리아와의 대타협을 벤치마킹해 1868년 크로아티아와 조약을 맺어 크로아티아에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실제로는 형식적 자치에 불과했고 크로아티아인들은 헝가리가 이래라저래라하는 꼴에 불만을 품었다. 그 결과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에서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에 더해 본인들까지 포함한 '삼중제국'을 만들자는 여론이 분출됐다. 실제로 레오폴트 잘바토어 대공, 프란츠 페르디난트 황태자, 카를 1세 황제도 이에 긍정적이었다. 카를 1세는 티사 이슈트반 헝가리 총리를 압박해 1918년 10월 23일 삼중제국에 대한 헝가리의 동의를 받아냈지만 불과 일주일 뒤(...) 나라가 망하면서 무위로 돌아갔다.
6.1. 유대인들에 대한 처우
| |
헝가리 페치의 대시나고그 | 1915년 갈리치아의 유대인들 |
헌법이 근대적이었고 무엇보다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가 유대인들에게 온건했기에 오스트리아의 유대인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를 유대인의 황금시기로 여겼다. 서구 열강들 중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유대인을 정규적으로 장교까지 승진시킨 국가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유일했다. 유대인은 제국 전체의 고작 5%에 불과했지만 예비 장교단의 18%를 차지했다. 경제, 교육, 전문직 분야도 유대인들이 꿰차고 있었다. 사업주들의 54%, 은행과 금융기관 이사와 소유주들의 85%, 상업 종사자 전체의 62%, 일반 김나지움 학생의 20%, 상업과 과학 김나지움 학생의 37%, 공대생의 31.9%, 인문학도들의 34.1%, 의사의 48.5%, 법률가의 49.4%가 유대인이었다. 심지어 이 수치가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만 측정한 것을 감안하면 기독교로 개종한 유대계는 아예 포함조차 되지 않은 무지막지한 수치였다.
헝가리에서도 유대인들이 활약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1910년 기준 헝가리에는 총 90만 명의 유대인들이 유대교를 믿으며 살아갔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5%, 수도 부다페스트 인구의 23%를 차지했다. 이들은 오히려 본인들의 안전을 위해 헝가리 정부에 열심히 협력했기에 언제나 소수민족들의 독립 요구로 불안정한 헝가리 왕국을 지탱해주는 축이었다. 유대인들은 헝가리 정계에서도 두각을 드러내 법무장관 빌모시 바조니, 전쟁장관 사무 하저이, 재무장관 야노시 텔레츠키, 통상장관 야노시 하르카니, 통상장관 요제프 스테레니 등 심지어 최고위 장관직까지 진출하기까지 했다.
7. 교육
파일:literacy-AH.jpg |
1880년 제국의 문해율 지도. 색이 보라색에 가까울 수록 문해율이 높은 것이다. |
본격적으로 교육 제도의 개선이 시작된 것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패배 이후였다. 1869년 자유주의자들의 주도로 교육 개혁이 실시되어, 의무교육이 6년에서 8년으로 연장되었고 교육에 대한 감독 역시 교회가 아닌 국가가 맡게 되었다. 또한 교육과정도 (오스트리아 관할 지역 한정으로) 국가가 정하는 교육과정 하에 통일되었다. 또한 한 학급 내에 과도하게 많은 학생들이 몰리는 것을 막기 위해 최대 학생수를 80명으로 제한했고, 여성 교육에도 신경을 써 어린 소녀들을 위한 학교들을 개설했다. 이후 문맹률은 1918년까지 급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낙후된 갈리치아나 달마티아, 트란실바니아 지역은 제국이 멸망하는 순간까지 문맹을 퇴치하는 데에 실패했다. 위 지도에서도 알 수 있듯 문해율이 높은, 즉 색이 짙은 지역은 오스트리아와 보헤미아, 헝가리 서부 지역 한정이었고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갈리치아, 트란실바니아 지역은 1900년 기준으로도 문맹률이 60%를 훌쩍 상회했다. 이는 나머지 지역의 평균 문맹률이 10% 정도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심각한 불균형이라고밖에는 할 말이 없는 수준이다.[67]
그렇다고 오스트리아 본토라고 해서 다 문해율이 높은 것도 아니라서, 케른텐이나 슈타이어마르크 등 소수민족[68] 비율이 높은 지역은 문맹률이 20%를 넘기도 했다. 심지어 케른텐은 제철, 광산업이 발달하는 등 나름 산업화가 된 지역이었고 슈타이어마르크 역시 제철, 광업, 제지, 제분업이 크게 융성한, 한마디로 말해 경제적으로 부유한 축에 속하는 지역이었음에도.
| |
빈 대학교 |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
갈리치아인들은 리비우의 폴란드계 대학들 일부를 떼내어 갈리치아계 대학들을 설립하길 원했지만 이뤄지기 전에 제국이 망하면서 무위로 돌아갔고, 이탈리아인들은 트리에스테에 대학을 설치해달라 요구했으나[69] 해안 지대가 이탈리아 민족주의에 휩쓸릴까 두려워한 오스트리아가 1910년 빈에 임시로 대학을 설치하고 4년 내에 옮겨주겠다고 약속하기까지 했다. 물론 얼마 못가 제국 자체가 망하면서 이 역시 흐지부지된다. 비슷하게 류블랴나의 슬로베니아계 대학, 모라비아의 제2 체코계 대학 역시 모두 실패했다.
트란스라이타니아는 옛 헝가리 왕국 시절부터 여러 중세 대학들이 설립되어 있었지만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죄다 파괴되고 사라진 실정이었다. 그러다가 1635년 현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의 전신인 너지솜바트 대학교가 개관했고, 세계 최초의 기술 전문학교라고 불리는 미슈콜츠 대학교가 현 슬로바키아의 셸메츠바니아에 세워졌다. 1782년에는 황제 요제프 2세가 세계 최초의 공대 '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학교(BME)'를 세우기도 했다. 헝가리에는 부다페스트, 콜로즈바르, 자그레브, 데브레첸, 포조니에 하나씩 총 5개의 국립대학을 두어 각각마다 신학부, 법학부, 철학부, 의학부 4개 학부를 두었다.[70] 그 밖에 1,500여 명의 학생들을 가르치던 10개의 법학 아카데미, 1,700여 명의 학생들을 길러내던 부다페스트 공과학교, 49곳의 신학교, 광산학교, 농과대학, 산림학교, 육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교원양성소, 상업학교, 예술학교 등 수많은 고등교육기관들이 존재했다.
8. 영토와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스라이타니아 | |||
| | | | |
보헤미아 왕국 | 달마티아 왕국 |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 크라쿠프 대공국 | |
| | | | |
상오스트리아 대공국 | 하오스트리아 대공국 | 잘츠부르크 공국 | 슈타이어마르크 공국 | |
| | | | |
케른텐 공국 | 카르니올라 공국 | 부코비나 공국 |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 | |
| | | | |
모라비아 변경백국 | 이스트리아 변경백국 |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 | 티롤 후백국 | |
| | | ||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 | 포어아를베르크 주 |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 | ||
트란스라이타니아 | ||||
| | |||
헝가리 왕국 |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
공동통치령 | ||||
|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 ||||
오스트리아 제국의 행정 구역 | }}}}}}}}}}}} |
행정 구역은 오스트리아 제국 관할 지역과 헝가리 왕국 관할 지역이 구별되어 있었으며, 비교적 후기에 점령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둘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빈 근교에서 도나우강(Donau)으로 흘러들어가는 작은 지천 라이타(Leitha)강을 기준으로 잡아 오스트리아 제국 관할 지역은 시스라이타니아, 헝가리 왕국 관할 지역은 트란스라이타니아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국 구분은 단순히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행정적 구분으로서도 기능하는 것이었다. 각 구성국들, 특히 공국 이하 급을 가진 구성국들에는 주 의회와 주 위원회(행정부)가 있었다. 반면 왕국 이상의 급을 가진 보헤미아 왕국이나 모라비아 후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처럼 규모가 큰 구성국들의 경우 별도의 자치 정부와 헌법, 왕국의회를 운용했고 그 휘하에 행정구역들을 두었다. 각 구성국들에서는 해당 구성국의 다수를 차지하는 민족들의 언어와 문화, 관습을 보존하도록 장려되었다. 이를테면 폴란드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던 갈리치아-로도메리아의 헌법에는 폴란드어가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었으며 모든 학교에서는 폴란드어를 쓰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또 이러한 구성국들은 최상위 입법기관인 시스라이타니아/트란스라이타니아 의회에 대표자들을 파견하기도 했다.
지도에서는 시스라이타니아(1~15번), 트란스라이타니아(16~17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8번) 순으로 숫자가 매겨져 있으며, 시스라이타니아 지역은 각 지역의 로마자 알파벳순으로 매겨져 있다.
<rowcolor=#fff><colcolor=#fff><colbgcolor=#E11423,#E11423> 번호 | 국기 | 국가 | 수도 | 현재 지역 |
1 | <colbgcolor=#f0f0f0> | <colbgcolor=#fff>보헤미아 왕국[71] | <colbgcolor=white,black>프라하[72] | <colbgcolor=white,black>체코 서부 |
2 | | 부코비나 공국[73] | 체르니우치[74] | 우크라이나 서부, 루마니아 동북부[75] |
3 | | 케른텐 공국[76] | 클라겐푸르트[77] | 오스트리아[78] |
4 | | 카르니올라 공국[79] | 류블랴나[80] | 슬로베니아 중부 |
5 | | 달마티아 왕국[81] | 자다르[82] | 크로아티아 남부 |
6 | |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83] | 르비우[84] | 폴란드 남부, 우크라이나 서부 |
6-1 | | 크라쿠프 대공국[85] | 크라쿠프[86] | 폴란드 남부[87] |
7 | |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88] | 트리에스테[89] | 이탈리아 동부, 슬로베니아 남서부, 크로아티아 북부 |
7-1 | |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90] | 이탈리아 동부 | |
7-2 | |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91] | 고리치아/노바고리차[92] | 이탈리아 동부, 슬로베니아 서부 |
7-3 | | 이스트리아 변경백국[93] | 포레치[94] | 슬로베니아 남부, 크로아티아 북부 |
8 | | 하오스트리아 대공국[95] | 빈[96] | 오스트리아 |
9 | | 모라비아 변경백국[97] | 브르노[98] | 체코 동부 |
10 | | 잘츠부르크 공국[99] | 잘츠부르크[100] | 오스트리아 |
11 | |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101] | 오파바[102] | 체코, 폴란드 |
12 | | 슈타이어마르크 공국[103] | 그라츠[104] |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동부 |
13 | | 티롤 후백국[105] | 인스브루크[106] | 오스트리아, 이탈리아[107] |
14 | | 상오스트리아 대공국[108] | 린츠[109] | 오스트리아 |
15 | | 포어아를베르크주[110] | 브레겐츠[111] | 오스트리아 |
16 | | 헝가리 왕국[112] | 부다페스트[113] | [114] |
17 | |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115] | 자그레브[116] | 크로아티아 북부, 세르비아 |
18 |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117] | 사라예보[118]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9. 사회
9.1. 시스라이타니아
|
호프부르크의 연회에서 프란츠 요제프 1세를 에워싼 귀족들 |
검열은 형식적이었고, 수많은 글에서 여러 사상가와 (심지어는 아나키스트도) 학자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표현했다.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공산주의 운동가인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이오시프 스탈린조차 오스트리아에서 상당히 자유롭게 활동했다. 특히 스탈린은 오스트리아에 머무는 동안 민족 문제에 관한 마르크스주의 저서를 집필하기도 했다. 스탈린은 그 자신이 조지아 출신이고 러시아도 오스트리아처럼 다민족 국가였다. 스탈린은 러시아 혁명 이후 레닌의 밑에서 일할 때부터 소비에트 정권에서 소련 내부의 민족문제 전문가로 활동하였다.
1907년 남성 보통 선거권이 도입된 이후 오스트리아 쪽 제국의회의 정당 구성을 보면 과격한 민족주의 세력이나 사회주의 계열 정당들까지 의석을 차지하고 있었다. 온건 사회민주주의 성향이기는 하지만 사회주의 정당인, 빅토어 아들러의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이 오스트리아 원내 제1당이었다.[119] 제국 내 소수민족인 체코인이나 이탈리아인 등도 의정활동에 참가했다. 체코계 의원들은 보헤미아 왕국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분리하여 헝가리와 비슷한 지위를 부여할 것을 주장했다. 1911년 제국의회에서는 이탈리아계 정당 소속 의원이 이탈리아계 영토의 분리를 주장하였다.[120]
이런 자치권에 대한 의견관철과 논의는 당연하게도 별다른 진전이 없었고, 소수민족 의원들은 종종 보이콧으로 맞서곤 했다. 때문에 오스트리아 제국의회는 수시로 의정활동이 마비되었고, 의정활동보다는 황제가 직접 개입하여 칙령으로 통치와 행정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다 보니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 개인에게는 업무부담이 과중되었고 가정을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 20세기 초 합스부르크 황실의 비극적인 가정사는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워커홀릭에 경직된 권위주의적, 가부장적적 인물이었음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슐람페라이적 관행 역시 그 단초를 제공했다 할 수 있다. 더 넓게 봤을 때, 당대의 오스트리아 제국은 물론 이후의 중부유럽에서도 의회민주주의 정착이 지연된 것이기도 했다.[121] 또한 이런 상황은 오스트리아 출신인 아돌프 히틀러가 의회민주주의나 소수민족의 정치적 권리에 환멸을 느끼고 나치즘을 만드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렇게 느슨하고 관대한 통치에는 부작용이 뒤따랐지만 만약 소수민족에게 강압적인 통치를 한다면 즉각 문제가 생길 것이 명확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이 소수민족을 억누르는데 한계를 느끼고 헝가리인을 달래서 출범한 것이니, 소수민족을 무조건적으로 탄압하지 않고 잘 달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대안이 없었다.[122] 그런 상황에서 슐람페라이적 관행을 마냥 잘못된 것이라 하기도 어렵다. 슐람페라이적 관행은 이중제국 체제 및 그 현상유지의 태생적인 한계와 모순을 드러내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의 사회 보장 제도는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제국의 관료들은 선진적인 복지 정책들을 도입했고, 국민들의 생활 수준도 당대 유럽 기준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노숙자 같은 사람에게도 사회 보장의 혜택은 골고루 돌아갔고 몇년 간 직업이 없어도 노숙자용 무료 숙소에서 잠을 자고 무료 급식소에서 식사를 할 수 있었다. 이밖에 공립 대학이나 고등 교육도 무료였는데, 재능만 있으면 돈이 없어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았다.
| |
1890년대 빈의 모습 |
수백 년간 제국을 통치해온 합스부르크 왕조의 권위는 제국 내 국민들은 물론 다른 유럽인들에게까지도 선망의 대상이 될 정도로 오랜 역사와 정통성을 갖고 있었지만, 동시에 합스부르크 제국은 합스부르크 왕조의 작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기도 했다. 오스트리아는 구조적으로 민족주의 세력에 호의적일 수가 없었고, 소독일주의에도 반대했다. 오스트리아를 배제한 통일 독일이 세워진다면 수가 적은 독일계로 소수민족들을 통제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었다. 1850년대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상 펠릭스 추 슈바르첸베르크 백작 등이 주창한 통일안은 '독일인들의 민족 국가'가 아니라 합스부르크 제국의 모든 영토를 신생 독일국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대(大)오스트리아주의에 가까웠다.
폴란드인이나 아일랜드인 같은 '억눌린 민족들(submerged nations)'이 독립을 위해 이미 투쟁하고 있기는 했지만, 서유럽에서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심지어 러시아에서도― 민족주의는 응집력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전적으로 '억눌린 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18세기에는 지배적인 독일계 엘리트 계층이 있었지만 심지어 이 독일인들에게도 이제는 북쪽에 새로운 독일 제국이라는 인접한 조국이 생겼다. 1867년 합스부르크 제국은 '억눌린 민족들' 가운데 가장 강력한 마자르족에게 헝가리 왕국이라는 준 독립국 지위를 부여하여 스스로를 '이중 군주국'으로 재편했다. 헝가리 왕국은 독일인이 우세한 지위를 차지한 '오스트리아인들'과 군주(1848년 이래로 줄곧 통치한 프란츠-요제프 황제), 군대, 재정, 외교만을 공유했다. 독일인처럼 (그리고 사실 부다페스트에 국회의사당을 건립할 때 웨스터민스터 국회의사당을 본뜰 만큼 크게 찬탄한 영국인처럼) 마자르족은 스스로를 지배 민족이라고 여겼고 헝가리 왕국 내 슬라브 소수 민족들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을 강압적으로 통치했다. 이중 군주국 서쪽에서는 독일계 '오스트리아인'이 북부(체코인), 북동부(폴란드인과 루테니아인), 남부(슬로베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의 슬라브족뿐만 아니라 신생 이탈리아 왕국이 탐내는 알프스 산맥 남사면의 이탈리아권(독일어권 쥐트티롤도 포함)을 다스렸다. 부다페스트의 거친 마자르족 소지주들과 달리 빈의 합리적 관료들은 피지배 소수 민족들에게 관용을 베풀려고 노력했고 독일인과 동일한 권리를 부여했다. 그 결과 빈의 정부 기구는 마비되고 황제가 칙령으로 통치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의 풍성한 문화 융합은 분명히 빈을 지적·예술적으로 활기 넘치는 독특한 도시로 만들었지만 그곳의 지식인들은 우려와 함께 때로는 절망감에 사로잡힌 채 미래를 내다봤다. - Michael Howard, <제1차 세계대전> 中 |
시스라이타니아의 소수민족들은 대체로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쪽에 가까웠다.[123] 예외적으로 체코는 조금 복잡했는데 독일화가 완료된 귀족 계층이나 주데텐란트의 독일계를 중심으로는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긍정하였지만, 에드바르트 베네시처럼 처음부터 완전한 분리독립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체코 민족주의가 활발했던 상공 시민계층을 중심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분리독립 움직임이 강해졌다. 물론 상공 시민계층이라고 모두 처음부터 분리독립을 주장한 것은 아니었고, 훗날 체코슬로바키아의 초대 대통령이 되고 국부로 대접받는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조차도 1916년까지는 합스부르크 왕조의 보호 안에서 자치를 추구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124] 체코인들의 분리독립이 전 계층에 받아들여진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이 임박하면서였다.
그러나 친오스트리아 슬라브주의는 사실상 제1차 세계 대전 마지막까지도 여전히 체코에서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125] 1917년 1월 말까지도, 체스키 스바즈(Českého svazu)의 최고 회의에서는 두 번이나 황제에 대한 충성을 맹세했다. 1917년 1월 24일의 회의에서는 '우리의 신념은 흔들리지 않는다. 세계 대전 이후에도 체코 민족에게 속하는 모든 권리는 제국의 틀 내에서 그리고 오스트리아 군주국 내에서 성취될 것이다.'라고 했으며, 1917년 1월 31일 회의에서는 '체코 민족은 합스부르크의 군주국 이외에는 아무런 미래도 없으며, 발전의 조건도 찾을 수 없다.'고 선언했다. 또한 1917년 5월 30일 제국의회에 참여한 체코 의원들도 황제와 제국을 지지하면서 민족들이 자유롭고 평등한 연방 국가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126]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향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문화적 자기 이해>, 김신규 |
9.2. 트란스라이타니아
헝가리 왕국은 오스트리아 제국과 상황이 크게 달랐다. 헝가리 의회는 크게 대타협 지지파인 자유당과 대타협 반대파인 독립당[128] 두 세력으로 나뉘었는데 헝가리인은 총선에서 독립당을 주로 지지했으며, 소수민족들은 주로 자유당을 지지했다. 소수민족들의 민족주의 성향 정당들 역시 존재했지만, 이들은 1~2석 정도로 큰 힘이 없었다.헝가리는 보통 선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투표권을 가진 사람이 매우 적었는데, 상당수의 헝가리 대의원들은 3자리 수, 또는 4자리 수에 불과한 득표로 당선되었으며, 1910년 마지막 총선 기준 전체 헝가리 인구 1800만 명 중에서 투표권을 가진 사람은 110만 명 정도에 불과했고 이는 전체 인구의 6.4%에 불과했다.[129] 이는 보통 선거가 도입될 경우 헝가리인들의 몰표로 총선에서 패배가 확실한 자유당의 반대 때문이었는데 보통 선거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몇 차례 있었으나 자유당의 필사적인 저지로 끝내 보통 선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타협 지지파인 자유당은 왕국이 존재하는 동안 대부분의 시기를 집권 여당으로 존재했다. 독립당은 1906년 총선에서 대승을 거두며 집권했지만, 이들 역시 대타협을 파기하려고 시도하지는 않았다. 독립당 정부는 1909년 헝가리 국립 은행 설립 문제로 분열해 무너졌고, 총선 참패 후 자진해산했던 자유당 세력이 국민노동당을 창당하여 1910년 총선에서 압도적 과반을 먹는 대승을 거두면서 정권을 다시 되찾았다.
또한 헝가리인은 근본적으로 부족한 헝가리인 숫자를 늘리고자 마자르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오스트리아와는 정반대로 민족 억압책을 폈기에, 오스트리아 같은 사상적 다양성이 없었다. 헝가리의 강압적인 마자르화 정책으로 헝가리 내의 소수민족들은 자신들의 안전과 민족 정체성의 붕괴를 걱정해야 했다. 슬로바키아인은 체코인 민족주의 세력과 힘을 합쳐 분리 독립을 추구했으며, 세르비아인과 루마니아인은 자신들의 민족 국가인 세르비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으로 합류하려 했다.
10. 군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재편성 계획
11.1.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오스트리아 합중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기본적으로 이중제국은 전체 인구의 절반이 안 되는 독일계와 헝가리계가 국가운영을 주도했다. 때문에 주로 슬라브계인 다른 민족들 역시 헝가리와 마찬가지로 반독립국가와도 같은 지위나 최소한 그에 버금가는 지위를 추구했다. 그렇기 때문에 약 반세기에 이르는 이중제국의 존속 기간 내내 체제 모순 극복을 위한 여러 재편성안이 제기되었다. 이런 재편성안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가 바로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계획이다.
합중국 계획은 기존의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로 구성된 제국을 민족별로 동등한 주권을 부여받은 주로 구성된 연방 체제로 개편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은 제위 계승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제안하고 루마니아계 정치가 아우렐 포포비치(Aurel Constantin Popovici)가 1906년 세부 안건을 작성하였다. 하지만 실권을 지닌 황제와 독일계, 헝가리계가 반대하였고 결국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사라예보 사건으로 암살당하고 뒤이어 벌어진 1차 대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완전히 해체되면서 대오스트리아 합중국 계획은 착수조차 하지 못했다.
11.2.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삼중제국
위의 대오스트리아 합중국과 별개로 1880년대에 태동하여 루돌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황제 카를 1세의 지지도 받았던 재편성 계획으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 제국, 일명 삼중제국 재편성 안이 있었다. 삼중제국은 과거 헝가리인에게 동등한 주권을 주었듯이 동등하지만 제한적인 주권을 가지고 있던 크로아티아인에게 완전히 동등한 주권을 줘서 제국의 민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안이었다. 이뿐 아니라 카를 1세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를 향해 갈 무렵 체코와 폴란드인이 다수 거주하는 갈리치아에도 동등한 주권을 부여하는 오중제국[130]을 제안하기까지 했다. | |
크로아티아의 영토에 슬로베니아와 보스니아, 이스트리아반도 전역을 포함시키자는 제안안 | 당시 크로아티아의 영토에 이스트리아반도의 일부와 보스니아만 포함시키자는 제안안 |
하지만 비판적으로 보면 삼중제국 개혁안 역시 대타협과 다를 바 없이 지배자가 하나 더 늘어날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었다. 제국에는 크로아티아인 외에도 여러 피지배민족들이 있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이들의 민족주의 세력 역시 강해질 것을 생각하면 삼중제국이 실현되었어도 계속 안정적으로 굴러가기 어려웠을 것이다.
특히나 크로아티아인보다 인구도 많고 경제력도 훨씬 강했던 체코인은 자신들에게도 크로아티아와 동등한 지위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았고 실제로 카를 1세가 마지막으로 던진 승부수였던 오중제국에는 보헤미아 왕국과 모라비아 변경백국에 대한 포괄적인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체코는 합스부르크 왕조의 정치적 기반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작위인 보헤미아 왕위의 기반이기도 하며 30년 전쟁 이전까지는 동등한 주권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프란티셰크 팔라츠키 이후 오스트로슬라브주의에 입각하여 자치권을 강화해 줄 것을 끊임없이 요청했지만 30년 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의 원한이 깊었던 합스부르크 왕조 군주들은 대대로 이를 무시했다.
합스부르크 왕조의 보호 속에서 자치를 요구하는 것을 긍정했던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가 분리독립을 추구하게 된 결정적인 원인은 3가지였다. 자신들의 청원이 황제가 보기도 전에 폐기되었다는 점,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어떤 수를 써도 이길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전한다면 체코인도 똑같이 패전국의 전범 신세로 전락한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출처]
다만 합스부르크 왕가 입장에서도 체코인의 자치 요구를 들어주면 제국 내 타 슬라브 민족들이 자치를 요구할 것을 우려하여 무턱대고 보헤미아 왕국의 자치를 허용하기 난감했다. 무엇보다 체코인의 자치 요구를 들어주면 헝가리 왕국 내 타 슬라브 민족이 궐기할까 우려한 헝가리인이 체코인의 자치 요구를 반대했던 점도 있었다.[출처] 실제로 합스부르크 왕조 내에서 굳이 체코인을 콕 집지는 않았더라도 슬라브 민족의 자치와 주권을 존중하고 허용하려 한 프란츠 페르디난트는 슬라브인에 대한 자치 문제로 헝가리 왕국은 물론 황제인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도 배척당했다. 문제는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하필 슬라브 극단주의자에게 사라예보 사건으로 허망하고 갑작스럽게 암살당하고 그로 인해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합스부르크 왕가와 체코(보헤미아 왕국)의 공존 가능성은 사라졌다.
때문에 삼중제국 개혁안은 실현되었어도 유고슬라비아 왕국 형성 직전의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처럼 다음 체제로 넘어가는 과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1.3. 오중제국[13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위기에 몰린 카를 1세가 마지막으로 던진 한 수였다. 독일계가 주도하는 오스트리아 본토와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 오스트리아령 슐레지엔 및 부코비나 공국, 모라바 변경백국, 헝가리인의 성 이슈트반 왕관령, 크로아티아인이 주도하는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달마티아-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체코인이 주도하는 보헤미아 왕관령의 보헤미아 왕국, 폴란드인이 주도하는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5개 연합으로 재편하려 하였으나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의 영향을 받은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이를 거부하였고 결국 크로아티아인과 슬로베니아인,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이 연달아 독립을 선언하면서 제국은 해체되었다.
12.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11423 50%, #337D45 5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제2대 |
프란츠 요제프 1세 | 카를 1세 | }}} }}}}}} |
<rowcolor=#fff,#fff> 대수 | 이름 | 즉위년일 | 퇴위년일 |
초대 | <colbgcolor=#fff>프란츠 요제프 1세 / 페렌츠 요제프 1세 | 1848.12.2 | 1916.11.21 |
2대 | 카를 1세 / 카로이 4세 | 1916.11.21 | 1918.11.12 |
==# 출신 및 주요 인물 #==
황실 인물은 합스부르크 가문 문서로.
- 정치인, 군인 및 공무원
- 알로이스 렉사 폰 에렌탈 - 독일계 정치인[135]
- 레오폴트 폰 베르히톨트 - 독일계 정치인[136]
- 카를 폰 슈튀르크 - 독일계 정치인[137]
- 티서 이슈트반 - 헝가리계 정치인[138]
- 레온 폰 빌린스키 - 폴란드계 정치인[139]
- 카를 레너 - 독일계 정치인[140]
- 엥겔베르트 돌푸스 - 독일계 정치인[141]
- 쿠르트 슈슈니크 - 독일계, 슬로베니아계 정치인[142]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독일계, 체코계 정치인[143]
- 아돌프 히틀러 - 독일계 정치인[144]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이탈리아계 정치인[145]
- 에드바르트 베네시 - 체코계 정치인[146]
- 에밀 하하 - 체코계 정치인[147]
- 밀란 호자 - 슬로바키아계 정치인[148]
- 요제프 티소 - 슬로바키아계 사제, 정치인[149]
- 살러시 페렌츠 - 헝가리, 아르메니아, 독일, 루신, 슬로바키아계 정치인[150]
- 너지 임레 - 헝가리계 정치인[151]
- 브와디스와프 시코르스키 - 폴란드계 정치인[152]
-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 - 폴란드계 정치인[153]
- 유제프 할레르 폰 할렌부르크 - 폴란드계 군인, 정치인
- 스타니스와프 할레르 - 폴란드계 군인
- 스테판 반데라 - 우크라이나계 정치인[154]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계 정치인[155]
- 안테 파벨리치 - 크로아티아계 정치인[156]
- 프란체스카 도너(이부란) - 유대계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
- 시몬 비젠탈 - 유대계 나치 사냥꾼
-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 독일계 군인[157]
- 헤르만 쾨베시 폰 쾨베슈하저 - 독일, 헝가리계 군인[158]
-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 폰 보이나 - 크로아티아계[159] 군인[160]
-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 독일계 군인[161]
- 알렉산더 폰 크로바틴 - 슬로베니아계[162] 군인[163]
- 프란츠 로어 폰 덴타 - 독일, 헝가리계[164] 군인[165]
- 아르투어 아르츠 폰 슈트라우센부르크 - 독일, 헝가리계 군인[166]
- 호르티 미클로시 - 헝가리계 군인, 정치인[167]
-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트랍 - 독일계 군인[168]
- 에르하르트 라우스 - 독일계 군인[169]
- 로타르 렌둘릭 - 크로아티아계 군인[170]
- 프란츠 뵈메 - 독일계 군인[171]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독일계 나치 친위대원, 경찰[172]
- 오딜로 글로보츠닉 - 독일, 체코, 슬로베니아계 나치 친위대원, 경찰[173]
- 아돌프 아이히만 - 독일계 나치 친위대원[174][175]
- 오토 스코르체니 - 폴란드계 나치 친위대원, 군인[176]
- 아몬 괴트 - 독일계 나치 친위대원[177]
- 바소 추브릴로비치 - 세르비아계 암살[178]자, 교수, 정치인
- 알로이스 히틀러 - 독일계 공무원[179]
- 알프레트 얀자 - 독일계 군인
- 작가
- 프란츠 카프카 - 유대 및 체코계 작가
- 카렐 차펙 - 체코계 작가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독일계 작가
- 로베르트 무질 - 독일계 작가
-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 독일 및 우크라이나계 작가
- 슈테판 츠바이크 - 유대계 작가
- 아르투어 슈니츨러 - 유대계 작가
- 학자
- 지그문트 프로이트 - 유대 및 독일계 심리학자
- 알프레트 아들러 - 독일계 심리학자
- 빅토르 프랑클 - 유대계 심리학자
- 알렉시우스 마이농 - 이탈리아계 심리학자, 철학자
- 에른스트 마흐 - 독일계 철학자
- 오토 바이닝거 - 유대계 철학자
- 에드문트 후설 - 유대계 철학자
- 카를 포퍼 - 유대계 철학자
- 카를 카우츠키 - 체코계 철학자
- 테오도르 헤르츨 - 유대계 언론인, 시오니즘 운동가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유대 및 독일계 철학자
- 쿠르트 괴델 - 독일계 수학자, 철학자
- 에르되시 팔 - 헝가리, 유대계 수학자
- 존 폰 노이만 - 헝가리, 유대계 수학자
- 조지프 슘페터 - 독일 및 체코계[180] 경제학자, 철학자
- 오토 노이라트 - 독일계 경제학자
- 카를 폴라니 - 헝가리, 유대계 경제학자
- 루트비히 볼츠만 - 독일계 물리학자
- 볼프강 에른스트 파울리 - 유대 및 독일계 물리학자
- 에르빈 슈뢰딩거 - 독일 및 영국계 물리학자
- 그레고어 멘델 - 독일계 사제, 유전학자
- 카를 란트슈타이너 - 유대계 병리학자
- 헤르만 오베르트 - 독일계 로켓 공학자. 트란실바니아 독일인이다.
- 화가 및 음악가
- 구스타프 클림트 - 독일계 화가
- 에곤 실레 - 독일계 화가
- 구스타프 말러 - 유대계 음악가
- 안톤 브루크너 - 독일계 음악가
- 프란츠 폰 주페 - 독일계 음악가
- 한스 로트 - 독일계 음악가
- 한스 리히터 - 독일계 음악가
- 슈트라우스 가문 - 독일계 음악가 가문
- 칼 미하엘 치러 - 독일계 음악가
- 안톤 베베른 - 독일계 음악가
- 알반 베르크 - 독일계 음악가
- 아르놀트 쇤베르크 - 유대계 음악가
- 한스 아이슬러 - 유대계 음악가[182]
- 프리츠 크라이슬러 - 유대계 음악가
- 에리히 클라이버 - 독일계 음악가
- 카를 뵘 - 독일계 음악가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그리스, 슬로베니아계 음악가
- 한스 리히터 - 헝가리계 음악가
-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 - 유대계 음악가
- 프란츠 리스트 - 헝가리계 음악가
- 코다이 졸탄 - 헝가리계 음악가
- 버르토크 벨러 - 헝가리계 음악가
- 도라 페야체비치 - 크로아티아 및 헝가리계 음악가
- 에르뇌 도흐나니 - 헝가리계 음악가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 체코계 음악가
- 안토닌 드보르자크 - 체코계 음악가
- 레오시 야나체크 - 체코계 음악가
- 요제프 호프만 - 폴란드계 음악가, 발명가
- 연예 및 스포츠계 인물
13. 기타
- 올림픽이나 국제 축구 경기에 있어서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보헤미아 3개 팀이 출전했다. 1901년에는 헝가리 축구 연맹이, 1904년에는 오스트리아 축구 연맹이 설립되었다. 특히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두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가 이 시절이던 1902년에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서로를 상대로 하면서 이루어졌으며, 보헤미아 대표팀 역시 190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첫 경기를 열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된 지 얼마 안 된 시점인 1920년대 당시 유럽 축구의 주류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구성했던 중부 유럽 국가들이었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스위스, 루마니아등 이들 나라의 축구단들이 모여서 만든 최초의 국제 축구 대회가 바로 미트로파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여 중단되기 전까지는 유럽에서 제일 위상이 높은 대회였다.
전쟁이 끝나고 1951년에 대회를 재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미트로파컵을 말고도 또다른 국제대회들이 있었기 때문에 흥행이 안 되어서 다시 중단되었다가 1955년에 재개되어 대회가 진행되었지만 이 무렵에는 유러피언컵이 창설되어 대회 인기를 모두 유러피언컵에게 빼앗기고 마이너 대회로 전락했다. 1934년 월드컵에서 양 국가가 처음으로 대회에 참가했는데, 기묘하게도 8강에서 이 둘이 맞붙었다. 오스트리아가 헝가리에게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준결승전에서 하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원수였던 이탈리아를 만나 0:1로 패배하면서 이탈리아의 우승 제물이 되고 말았다. 그로부터 20년 후, 1954년 월드컵에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같은 조에 묶여 헝가리는 준결승전에서, 오스트리아는 3위 결정전에서 디펜딩 챔피언인 우루과이를 꺾고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 사운드 오브 뮤직의 등장 인물이자 모델인 트랍 대령은 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군 잠수함장이자 사령관 출신이다. 제국이 해체되고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수립된 뒤에도 오스트리아에 정착한 것이다.
- 2017년 연립정부에 참여한 오스트리아 자유당 대표는 TV토론에서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의 지역협력체인 비셰그라드 그룹에 오스트리아가 가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스트리아까지 비셰그라드 그룹에 가입하면 이들 나라의 지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비슷해진다. # 물론 비셰그라드 그룹의 창설 목적인 구 공산권 국가들의 경제 발전을 위한 교류 및 협력과 합스부르크 가문에 반대하기 위한 폴란드, 헝가리-크로아티아, 보헤미아 국왕들의 모임에서 유래한 이름을 고려하면 오스트리아의 가입 가능성은 희박하다.
- 조선과는 1892년에 조오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해 수교했다. 당시 다른 통상조약들이 그랬듯이 이 조약도 최혜국 대우와 치외법권 등을 규정한 불평등 조약이었으며 체결 과정 역시 군함을 이용한 군사적 위협이 수반된 포함외교의 성격이 있었다. #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 점령시기에 독일 분할안을 논할 때 윈스턴 처칠이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처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를 합치려고 했다. 정확히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오스트리아와 친근했던 바이에른 지방까지 묶어 남독일로 만들려 했다.[183]
13.1. 매체에서
- 오스트리아 현대문학의 거장인 크리스토프 란스마이어의 소설 《빙하와 어둠의 공포》는 19세기 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북극 탐험대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다.
- 패러독스가 제작하고 유통하는 게임이며 19세기와 제1차 세계 대전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빅토리아 2에선, 게임 시작 시점에는 아직 대타협이 이루어지기 전이었기에 오스트리아 제국이 등장하지만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아 헝가리 민족국가 형성 반란이 일어난다. 오스트리아가 이를 물리치고 나면 대타협을 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통일을 위해 독일계 소국들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영향권에서 빼앗으려는 프로이센 왕국과 역시 통일을 위해 롬바르디아를 되찾으려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영 좋지 않은 꼴이 되기 마련이다. 플레이어가 잡으면 이 모든 것을 이겨내고 본문에 언급되었던 재편성을 통해 도나우 연방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게임인 Hearts of Iron IV에 등장한 최초의 국가 형성 디시전의 주인공. 오스트리아,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를 통일하고 유고슬라비아와 루마니아를 무찌르고 본래의 영토까지 획득해내고 나면 디시전이 열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땅을 모조리 핵심 주로 편입시키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부활을 천명할 수 있다. 특히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아예 오스트리아-헝가리 부활을 목표로 하는 루트가 따로 있다.[184] 다만 멀티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형성에 오스트리아가 필수이기 때문에 안슐루스가 원천봉쇄, 덤으로 체코의 주데텐란트까지 다 먹어버리고 유고와 루마니아와 루마니아에 딸려온 불가리아까지 몽땅 뜯어가기에 안슐루스&뮌헨협정 트롤이 필연적이라 추축국의 앞길을 막기 때문에 독일유저가 독일연방~유럽연합/2제국 복원 루트를 가거나 독일과 상의해 동맹을 맺지 않으면 트롤픽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낭만이다
- [ 펼치기 · 접기 ]
- ||<-6><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 ||
1936년 오스트리아의 상황 벨트크리크의 승전국 반열에 섰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제국 내 문화,계급 및 이념의 분열을 분명하게 드러냈으며,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내부의 불안은 계속되었습니다
카를 황제는 다민족국가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20세기에도 생존할 수 있도록 개혁을 시도하다가 암살된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발자취를 따라 일련의 대규모 개혁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노력은 제국의 헝가리계 귀족들에 의해 크게 방해받았고 이로 인해 그의 연방화 계획들은 제국의 시스라이타니아에서만 천천히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오스트리아에 아직 희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제국은 힘들었지만 그 노력은 결실을 거두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연방국이 된 시스라이타니아 오스트리아는 진정되었지만, 트란스라이타니아(제국의 헝가리 영토)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나 헝가리에 속한 민족들 역시 라이타 강 너머 자유를 바라보며 자신들도 그러한 자치를 누리기를 원하고 있기 때문에, 카르파티아 분지가 계속해서 마자르의 손에 남아있을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개혁이 정말로 헝가리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을지는 오직 황제만이 분명히 알고 있습니다.
- 카이저라이히에서는 대전쟁중의 기아나 총파업등의 '사소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므로써 가장 시급한 문제였던 제국의 햐체를 당장은 모면하면서 한 숨 돌릴수 있었고, 이를 말미암아 당장은 제국 전역에 안정을 되찾으며 추가적인 영토 확장과 경제적 부흥까지 얻으며 찬란한 20년대를 보낼수 있었다, 그러나 1931년 당시 제국 최대의 은행이던 크레덴슈탈트 은행의 채무불이행 선언으로 이 호황은 끝나게 되고, 이후 1936년 게임 시작 지점에서는 독일발 경제위기까지 닥치면서 제국의 경제와 이탈리아, 발칸에 뻗치던 외교적 영향력은 붕괴하게 된다, 정치적으로는 개혁 성향에 가까운 카를 1세가 황제가 되면서 총리에게 실권을 맡기는 입헌군주제에 가까운 국가가 되었으며 대전쟁 당시 약속한 더욱 더 광범위한 자치권의 결과로 큰 틀로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그리고 보헤미아, 일리리아, 갈리치아-로도메리아로 분열 된 상태로 시작한다. 이후 7차 대타협을 통해 현 상태를 유지하거나 군대로 소수민족들을 억압하는 독재국가가 될 수도 있으며 대타협을 성공적으로 이끈다면 집권 정당이 사회보수주의 기독사회당인지 사회민주주의 사회민주노동자당인지에 따라 각각 대오스트리아 합중국/도나우 연방으로 제국을 통합시켜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구상했던 '동등한 민족들의 연방 국가'를 실현시킬 수도 있다.
- 리버스 1999 에서는 1914년의 오스트리아 빈이 6장 "별은 빛나건만"과 7장 "고독의 노래"의 배경으로 나온다. 곁 으로는 다른 나라와 달리 마도학자도 자유롭게 생활할수 있는 자유의 국가로 선전되지만 실제로는 암묵적인 차별이 진행되는, 다른 국가들과 다를바 없는 국가로 묘사된다, 사람들의 인식도 비슷해서, 6장의 주요인물인 이졸데 에게 검증되지 않은 정신과 치료방식을 시험하지 않나, 아직 트라우마가 남아있음에도 자신의 오빠에 대한 추도문을 읽게 하지 않나 전반적으로 인식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그 외에도 제국 특유의 비효율적인 관료체계 때문에 마도학자들이 피해를 본다던지, 마도술로 진료를 보는 무면허 정신과 의사를 잡아내지 못 하다던지 좋은 모습으로 나오지는 않는다. 이후 카카니아(리버스: 1999)의 "마도학자도 자유롭게 생활 할 수 있는 세상"를 함께 만들자는 사상을 평생동안 받던 억압에서 피워난 광기와 재건의 손 소속 인물들의 선동에 휩쓸려 "마도학자만 사는 세상"으로 해석한 이졸데의 자기 딴에는 연모하는 선생님을 위한 활약과 제국의 주요인사들에 대한 재건의 손의 동시다발적인 암살,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폭풍우가 예정보다 더 앞당겨 지면서 빈은 대혼란에 빠진다, 이후 카카니아와 그의 지인들이 라플라스 과학 연구소에서 발견한 폭풍우 면역 술식을 빈 전역에 전파하고 사용하지만 카카니아 본인만이 살아남으면서 7장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출연은 끝이 난다.
- SCP 세계관에선 유럽에 전운이 감돌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한 매드 사이언티스트를 지원해 전쟁 억지를 위한 여러 무기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만들고 보니 사용하는 자신들도 이해하지 못하는 물건들이 쏟아져 나왔고, 협상국도 비슷한 무기를 가지고 반격하는 바람에 제국이 사라진지 100년이 지난 지금도 전사자가 나오고 있다.
- 유럽전쟁 6:1914에서는 개별 시나리오도 있고 1914 정복과 1917 정복에서도 3성국인데다가 강한 국력을 가진 나라로 나오는 등 비중 있는 역할로 나온다.
[1] 라틴어 문구. 독일어: Unteilbar und Untrennbar.
헝가리어: Feloszthatatlanul és elválaszthatatlanul.[2]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프란츠 요제프 1세의 헝가리 국왕 대관식 기준.[3] 카를 1세의 오스트리아 황제위 퇴위 기준. 다만 헝가리 왕위는 11월 16일까지 유지했다.[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법적 계승국은 오직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과 헝가리 제1공화국 뿐이었다.[5] 이는 영국(영국령 인도 포함), 청나라, 러시아, 미국, 프랑스(식민지 포함), 독일, 네덜란드 다음의 세계 인구 수 8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포르투갈 보다도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식민지를 제외하면 당대 열강 중 러시아, 미국, 독일 다음의 4위였다.[6] 라틴 교회가 주류였지만 갈리치아나 트란실바니아 등지에서는 동방 가톨릭 교회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했다.[7] 주로 동부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헝가리인을 중심으로 분포했다.[8]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우크라이나인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했다.[9] Ministerpräsidenten Österreich-Ungarns[10] 오스트리아 제국의 마지막 총리이자 시스라이타니아의 초대 총리.[11] Magyarország miniszterelnöke[12] 1892년 금본위제 도입 전까지 사용한 화폐.[13] 1919년부터 오스트리아 크로네, 헝가리 코로나,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등으로 교체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는 임시로 세르비아 디나르의 절반 가치로 책정되어 함께 통용되다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로 교체되었고, 오스트리아 크로네와 헝가리 코로나는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다 각각 1925년과 1927년에 화폐개혁을 거쳐 오스트리아 실링과 헝가리 펭괴로 교체되었다.[14] 오지리향가리군주국. 구한말 시기에는 오스트리아를 뜻하는 한자어인 오국(奧國)으로 통용되었다.[15] 따라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존속했을 당시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간단히 오스트리아(Österreich)로 통용되었으며, 이후 20세기 말까지도 단순히 오스트리아 혹은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언급하거나 지칭된 경우가 많았다.[16] #[17] 미국, 영국, 청나라, 독일, 러시아, 프랑스 만이 오스트리아-헝가리보다 경제규모가 더 컸다.[18] 이는 영어 명칭이며, 독일어로는 치스라이타니엔(Cisleithanien)이다. 다만 이는 약칭으로 공식 명칭은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이다.[19] 이는 영어 명칭이며, 독일어로는 트란스라이타니엔(Transleithanien)이라고 한다. 다만 이는 약칭으로 공식 명칭은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왕관령(A Magyar Szent Korona Országai)이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은 트란스라이타니아 산하의 왕국이었으나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20]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참전을 명령하는 징집 선전문이 독일어, 헝가리어, 체코어,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어, 이탈리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루신어, 이디시어 등의 12개 언어로 작성되기도 했다.[21] 디 임 라이히스라트 페어트레테넨 쾨니크라이헤 운트 렌더 운트 디 렌더 데어 하일리겐 웅가리셴 슈테판스크로네[22] 어 비로덜미 터나치번 케프비셸트 키라이샤고크 에시 오르사고크 에시 어 머저르 센트 코로너 오르사거이[23] 헝가리 왕국의 첫 왕조인 아르파드 왕조의 개창자이자 실질적인 시조 이슈트반 1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슈트반 1세는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된 성인이다.[24] 여기서 말하는 왕국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첫번째는 시스라이타니아(Cisleithanien)의 경우, 오스트리아 제국과 보헤미아 왕국을 통틀어서 kaiserlich und königlich라고 하며, 두 번째는 말 그대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왕국을 의미한다. 원래 k. u. k.는 전자만을 의미했는데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를 반독점하던 시절 합스부르크 가문의 본토인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선제후국인 보헤미아 왕국을 의미했다.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 왕국은 어디까지나 합스부르크 가문 군주만 동일하게 국가원수로 모시는 동군연합이었을 뿐, 그 외에는 완전 남남이었기 때문에 합스부르크 세습령과는 별개로 신성 로마 제국과는 아무 연관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30년 전쟁의 패전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제국에서의 영향력을 반쯤 포기하고 세습령에 집중하기 시작하고, 마리아 테레지아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 내에서 약해져간 보헤미아 왕국의 입지, 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와 선제후 폐지로 인한 보헤미아 왕국 정치적 위상 상실과 헝가리 왕국의 입지 상승과 더불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에는 k. u. k.가 보헤미아 왕국이 아니라 헝가리 왕국으로 대체되는 지경에 이르렀다.[25] 실제로 이 깃발을 사용한 건 아니고, 두 가지 깃발을 함께 사용했음을 반영하여 나무위키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상징하기 위해 만든 이미지다.[26] 제국 공동정부의 외무부, 즉 재상부 청사였고 현재도 오스트리아 총리의 집무실로 활용되고 있다.[27]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 이스트리아 변경백국을 묶어서 하나의 황립 주지사를 파견했다. 다만 세 지역은 여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했고 지방의회 역시 따로 두었다.[28] 다만 1876년의 개혁 이후에도 부다페스트, 티미쇼아라, 노비사드, 브라티슬라바 등 총 26개의 자치도시들은 여전히 자치권을 유지했다. 항구도시 리예카는 여전히 독자적인 행정구역으로 남았다.[29] 19세기 말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점차 입헌군주정 요소를 도입하며 생긴 변화다. 1907년 총선은 세금 납부 요건을 유권자 조건에서 삭제하는 개혁안이 의회를 통과하고 난 이후 치러진 최초의 선거로, 다만 주 정부의 세입에 따라 의석 할당을 배분했다는 한계는 있었다.[30] 1875년부터 1881년까지 건축된 네오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대법원이 소재했고 지금도 오스트리아 대법원으로 쓰이고 있다.[31] 이보다 더 높은 나라는 미국, 대영제국, 청나라,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 뿐이었다.[32] 알프스와 보헤미아 지역에서는 이미 1750년부터 원시 산업화가 시작되었고 1800년 이후 산업혁명의 1차 중심지로 떠올랐을 만큼 앞서서 산업화가 이뤄진 지방이었다. 반면 헝가리는 1840년대에 첫 기계 제조 공장이 들어섰고 1870년대 이전까지는 산업이 거의 없었으며 농촌이 대부분이었다.[33] 1860년대에 롤러 밀이 발명되며 제분업이 크게 발전했고 헝가리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제분업 중심지였다.[34] 이러한 매우 높은 독일 의존도는 제국이 군사적, 외교적으로 독일에 끌려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35] 특히 흑해와 아드리아해를 잇는 철도가 필수적이었다.[36] 이때 죄르에서 철도 생산을 담당했던 회사가 아직까지도 존재하는 헝가리의 유명 메이커 회사 라바(RÁBA)다.[37] 기술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들여왔지만 노동력과 자재 대부분은 자국 내에서 충당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38] 이때문에 관리부실로 1890년에는 대부분의 헝가리 철도회사들이 국유화된다. 다만 강력한 오스트리아 자본을 업은 카쇼-오데르베르크 철도회사와 오스트리아-헝가리 남부 철도회사는 살아남았다.[39] SST사는 제국 해군 주력전함들은 물론이거니와, 훗날 이탈리아로 넘어간 후에는 리토리오급 전함들도 건조했다.[40] 반면 군항의 경우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풀라가 가장 중심이었다.[41]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특별히 관리받는 하천.[42] 스웨덴산 철광석은 슈타이어마르크 산 철광석보다 쌌다고 한다.[43] 스코다는 강철을 이용한 제품 생산에는 독보적이었으나 제강업 자체에 있어서는 비코비체에 못 미쳤다.[44] 다만 경영악화로 인해 지난 2017년 파산 신청을 한 바 있다.[45] 테게토프급 3척이 STT사에 의해 제작되었으나 4번함 센트 이슈트반함은 이름대로 헝가리의 건즈 사에 의해 건조되었다.[46] 1993년에 파산했다.[47] 독일어 명칭. 체코어로는 테신, 폴란드어로는 치에신으로 표기한다.[48] 특히 동갈리치아는 폴란드계 지주와 우크라이나계 소작농 간의 갈등이 심하였다.[49] 부다페스트를 비롯한 서부 헝가리는 제외.[50] 이마저도 대부분이 저품위 석탄인 갈탄이었다. 산업에 핵심적인 역청탄은 모라비아와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에서만 생산되었다.[51] 프란츠 카프카가 조사하여 보험공단에 제출한 산업재해 보고서. 목재 가공 중 벌어지는 손가락 절단 사고 양상에 대한 보고서이다.[52] 1918년 1월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공장에서 일어난 파업. 갈수록 불리해지는 전쟁 상황과 점점 줄어드는 배급, 러시아 혁명으로 자극받은 노동자들이 일으킨 파업이었다.[53]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 데 미약하게나마 노력을 기울였던 이들 중 하나가 바로 작가 프란츠 카프카다. 당시 그는 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노동자산업재해보험공단(Arbeiter-Unfallversicherungs-Anstalt für das Königreich Böhmen in Prag)의 직원으로 일하면서 산업재해로 피해를 본 노동자들을 도왔다. 산재 개선 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다수 작성했으며 각 지방 정부기관에 법률고문으로 출장을 다니기도 하면서 실적을 인정받았다. 1915년 군에서 징집영장을 발부하자 공단에서 그를 필수 인력이라며 징병으로부터 보호해 주기도 했을 정도다. 그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현대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에는 이때 마주했던 경험 역시 일부 녹아 있다. 다만 카프카가 당대의 사회주의 운동가들처럼 전투적인 사회 변혁 의지를 가지고 일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보험 공단 일에 많은 보람을 느끼기는 하였으나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는 그저 "밥벌이(Brotberuf)"였다. 카프카의 가장 큰 관심사는 어디까지나 문학이었다.[54] 갈리치아에서 루테니아어가 루테시아어로 오타가 나 있다.[55] 실제 제국 내 언어사용자 분포는 위 지도보다 더 복잡했다. 특히 헝가리 왕국 남부 보이보디나와 바나트 지역은 예나 지금이나 마을 단위로 서로 다른 민족이 뒤섞였다.[56] 보스니아 인구의 96%는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였다.[57] 참고로 이웃한 독일 제국에서 유대인은 인구의 1.2% 정도 되었다.[58]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들을 크로아티아인,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으로 분리한 지도이다. 또한 이탈리아계에서 라딘어와 프리울리어 화자들 또한 분리하였다.[59] 대부분이 오늘날 세르비아 공화국 보이보디나 자치주 북부지역, 수보티차 시와 그 인근에 분포하고 일부는 헝가리에도 거주 중이다. 오스만의 침공을 피해 헤르체고비나와 달마티아 지역에서부터 이주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헝가리 왕국의 조사에서 이들은 '가톨릭 세르비아인', '달마티아인', '일리리아인' 등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스스로의 정체성을 부녜브치보다는 크로아티아인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많다.[60] 오늘날 크로아티아 동부 및 헝가리 남부 버러녀주, 보이보디나 일대에 거주. 부녜브치인과 마찬가지로 원래 보스니아에 거주했다가 오스만의 침공을 피해 크로아티아 동부 슬라보니아 지역과 그 일대에 이주했다고 추정한다.[61] 오늘날 루마니아 서부 바나트 지역에 거주.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접경지대에서 사용하는 토를라크(Torlak) 방언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주로 가톨릭 신도들이다. 오늘날 대부분은 역시 대부분은 스스로를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하고 크라쇼바니인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계 연합이라는 정당을 통해 루마니아 내 다른 소수민족 정치집단들과 연대하여 루마니아 국회에 참여하고 있다.[62] 오늘날 루마니아 서부 바나트 지역에 거주.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언어는 불가리아어 하위분파인 바나트 불가리어를 사용한다. 독특하게도 대부분이 불가리아 정교회가 아닌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63] 비헝가리 민족들에게는 독자적으로 영토 자치권을 가진 국가를 세울 권리가 없다는 점이 소수민족법의 핵심이었다.[64]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헝가리 혁명의회가 스위스보다도 앞서 소수민족의 권리 법률을 선포하고 시행하기도 했지만, 이때도 이미 혁명의 주동자 코슈트 러요시 등이 혁명이 붕괴 직전에 몰린 후반에 가서야 비헝가리계 소수민족들의 권리를 인정해준 것이었다.[65] 1897년 4월 오스트리아 총리 바데니 백작이 체코 내에서 체코어에게 독일어와 동등한 자격을 부여하자 격분한 독일 민족주의자들의 항의로 총리직에서 쫒겨났을 정도다.[66] 이처럼 언어 문제에서 볼 수 있듯이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서로 상반된 정책을 펼치며 견제하는 경우가 잦았다. 심지어 헝가리가 시스라이타니아의 체코인들을 지원하자 오스트리아가 자그레브의 크로아티아 민족운동을 지원하기까지 했다.[67]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1차대전 종전 이후 루마니아로 건너간 트란실바니아는 21세기까지도 루마니아에서 가장 문맹률이 낮은 지역이 되었다.#[68] 이 경우 둘다 슬로베니아인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69] 인구는 고작 78만 명으로 적은 편이었지만 워낙 역사가 깊고 영향력도 큰 민족이었던지라 제국 입장에서도 무시하긴 어려웠다.[70] 단 자그레브 대학교에는 의학부가 없었다.[71] 독일어: 뵈멘 왕국(Königreich Böhmen)[72] 독일어: 프라크(Prag)[73] 독일어: 부코비나 공국(Herzogtum Bukowina)[74] 독일어: 체르노비츠(Czernowitz)[75] 원래는 몰다비아 공국과 그 후신인 루마니아 왕국 영토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소련이 베사라비아(현재의 몰도바, 오데사주 일부(부자크), 체르니우치주 북부 일부)와 함께 부코비나 북부 지역을 강탈했다. 현재 북부는 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주, 남부는 루마니아 수체아바주에 속해있다.[76] (Herzogtum Kärnten)[77] (Klagenfurt)[78] 남쪽 10% 정도의 아주 작은 영토는 현재 슬로베니아에 속한다.[79] 독일어: 크라인 공국(Herzogtum Krain)[80] 독일어: 라이바흐(Laibach)[81] 독일어: 달마티엔 왕국(Königreich Dalmatien)[82] 독일어:차라(Zara)[83] 독일어: 갈리치엔 운트 로도메리엔 왕국(Königreich Galizien und Lodomerien)[84] 독일어: 렘베르크(Lemberg)[85] 독일어: 크라카우 대공국(Großherzogtum Krakau)[86] 독일어: 크라카우(Krakau)[87] 원래 크라쿠프 자유시로 오스트리아 제국이 관리하는 독립 국가였으나, 1830년 러시아 내 폴란드인이 봉기를 일으키자 이에 대응해 곧바로 진압, 대공국 지위로 합병되었다.[88] 독일어: 외스터라이히 연해국(Österreichisches Küstenland)[89] 독일어: 트리에스트(Triest)[90] 독일어: 트리에스트 제국직할 도시(Triest Reichsunmittelbare Stadt)[91] 독일어: 괴르츠 운트 그라디스카 후백국(Gefürstete Grafschaft Görz und Gradisca)[92] 독일어: 괴르츠(Görz)[93] 독일어: 이스트리엔 변경백국(Markgrafschaft Istrien)[94] 독일어: 파렌츠(Parenz)[95] (Erzherzogtum Niederösterreich)[96] (Wien)[97] 독일어: 메렌 변경백국(Markgrafschaft Mähren)[98] 독일어: 브륀(Brünn)[99] (Herzogtum Salzburg)[100] (Salzburg)[101] 독일어: 외스터라이히 슐레지엔 공국(Herzogtum Österreichisch Schlesien)[102] 독일어: 트로파우(Troppau)[103] (Herzogtum Steiermark). 영어로는 스티리아(Styria)로 불린다. 부르크뮐러의 에튀드 Op. 100 중 하나인 '스티리아의 여인'의 그 스타리아.[104] (Graz)[105] (Gefürstete Grafschaft Tirol)[106] (Innsbruck)[107] 트렌토 지역은 이탈리아인이 많은 지역이 맞으나 쥐트티롤은 오스트리아인 다수 거주지역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어 현재의 트렌티노알토아디제가 되었다. 나머지 티롤 지역은 오스트리아에 잔류.[108] (Erzherzogtum Oberösterreich)[109] (Linz)[110] (Land Vorarlberg)[111] (Bregenz)[112] 독일어: 웅가른 왕국(Königsreich Ungarn)[113] (Budapest)[114]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주, 헝가리 전체, 슬로바키아 전체, 우크라이나 서부의 자카르파탸, 루마니아 서부의 트란실바니아, 세르비아 북부의 보이보디나가 합쳐져 있다. 두 지역을 구별하는 지도도 있고, 같이 묶어놓는 지도도 있다.[115] 독일어: 크로아티엔 운트 슬라보니엔 왕국(Königreich Kroatien und Slawonien)[116] 독일어: 아그람(Agram)[117] 독일어: 보스니엔 운트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Kondominium Bosnien und Herzegowina)[118] (독일어: Sarajewo)[119] 이웃한 독일 제국에서도 빌헬름 2세가 합법화시킨 이후 사회민주당이 주요 정당으로 등극하고 1912년 총선에서 원내 1당이 되었을 정도로 당시 유럽 전반에서 사회주의가 유력하기는 했다.[120] 제국 내에서 이탈리아인이 많이 사는 곳은 제국의 대도시 중 하나였던 트리에스트 인근, 달마티엔 지역, 쥐트티롤의 트렌토 일대였다.[121]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 지연이었다.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등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등 현대사의 격변기를 거치면서도 다른 동구권 국가들 보다는 훨씬 수월하게 서구로 편입되었다. 이들 국가들에서는 시민사회의 조직화와 정치참여의 전통이 이미 자리잡고 있어 즉각적으로 재활성화되었기 때문이었다. 폴란드나 헝가리는 법과 정의당과 피데스의 막장 행각으로 민주주의가 확고히 자리잡은 게 맞느냐는 견해가 많긴 하다만 옛 유고연방이나 루마니아, 불가리아, 구 소련권 국가들에 비하면 훨씬 성공적으로 서구 사회에 편입되었다.[122] 실제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해체하고 건국된 다민족 국가 유고슬라비아는 왕국 시절부터 세르비아인이 우월 의식을 드러내며 다른 민족을 차별하였다. 크로아티아인은 아예 추축국의 편을 들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멸망에 일조했다. 이후 재건된 유고슬라비아에서는 티토가 민족주의를 억압하며 유고 내 모든 민족을 동등하게 만들려 했지만 국가 요직은 여전히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결국 유고슬라비아는 열흘 전쟁(슬로베니아 독립 전쟁)부터 시작해 코소보 전쟁으로 끝나는 피비린내나는 전쟁 끝에 해체되었다.[123] 심지어 폴란드 분할로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싫어하던 폴란드인도 여기에는 동의하는 입장이었다. 적어도 숨도 못 쉬게 탄압하는 독일 제국의 포젠, 서프로이센이나 러시아 제국의 러시아령 폴란드보다는 나았으니까. 프란츠 요제프 1세가 크라쿠프를 방문할 때마다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을 정도였다.[124] 마사리크도 제1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보헤미아 왕국이 합스부르크 왕조로부터 재차 독립하면 범슬라브주의를 앞세우는 러시아 제국과 대독일주의를 내세우는 독일 제국 사이에서 체코인이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합스부르크의 지배 하에서 자치를 추구하는 차악을 주장했던 프란티셰크 팔라츠키의 견해에 동조했다. 체코 독립 후의 뮌헨 협정이나 프라하의 봄을 고려하면 팔라츠키가 구체화한 오스트로슬라브주의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었다.[125] Bartoš, J. et als. (1995) 267.[126] Bakke, Elisabeth (1999) 185.[127] 19세기 말엽부터 보헤미아 왕국에서는 체코어와 독일어 사용 문제로 사사건건 치고 박고 싸웠다.[128] 정식 명칭은 독립과 48년당.[129] 이에 반해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전체 인구의 27%가 투표권을 갖고 있었다.[130]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체코-갈리치아[131] 헝가리는 크로아티아인에게 원한이 깊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인이 완전히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싫어했다. 칼만 왕 이래로 헝가리와 크로아티아는 동군연합이었으나 헝가리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부터 독립하려 할 때마다 크로아티아인이 선봉으로 나서 헝가리의 독립 시도를 진압했기 때문이다. 당장 1848년 헝가리 혁명이 실패하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가 크로아티아인 총독 요시프 옐라치치였다.[출처] 김지영-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이후 동유럽 민족 국가의 성립[출처] 동유럽사-존 코넬리[134] 오스트리아-보헤미아-헝가리-크로아티아-갈리치아 5개국 연합[135] 제국 외무부 장관[136] 제국 외무부 장관[137] 오스트리아 제국 총리[138] 헝가리 왕국 총리[139] 제국 재무부 장관[140] 오스트리아 공화국 초대 총리[141] 오스트리아 연방국 초대 총리[142] 오스트리아 연방국 2대 총리[143] 오스트리아 연방국 3대 총리, 나치 독일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국가판무관[144] 나치 독일 총통[145] 이탈리아 공화국 초대 총리[146] 체코슬로바키아 2대 대통령[147] 체코슬로바키아 3대 대통령[148] 체코슬로바키아 2대 총리[149] 슬로바키아 제 1공화국 초대 대통령[150] 헝가리 왕국 국민단결정부 수장[151] 헝가리 인민 공화국 3대 수상[152] 폴란드 망명정부 총리[153] 폴란드 인민 공화국 3대 서기장[154]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OUN) 수장[15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초대 대통령[156] 크로아티아 독립국 우스타샤 수장[15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58]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59] 실제로는 세르비아계라는 말도 있으나 본인은 스스로를 크로아티아인으로 여겼다.[160]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6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 나치 독일 명예원수[162] 출생지는 체코의 올로모우츠.[16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64] 출생지는 루마니아의 아라드.[16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66] 오스트리아 제국 육군 제국상급대장[167] 오스트리아 제국 해군 중장, 헝가리 왕국 섭정[168] 오스트리아 제국 해군 대령[169] 나치 독일 육군 상급대장. 오스트리아 제국군 복무 후에 오스트리아 연방군에 이어 나치 독일군까지 복무하며 상급대장까지 진급.[170] 나치 독일 육군 상급대장. 오스트리아 제국군 복무 후에 오스트리아 연방군에 이어 나치 독일군까지 복무하며 상급대장까지 진급.[171] 나치 독일 육군 산악대장. 오스트리아 제국군 복무 후에 오스트리아 연방군에 이어 나치 독일군까지 복무하며 대장까지 진급.[172] 나치당 친위대 대장, 3대 국가본안본부장[173] 나치당 친위대 중장, 루블린 SS및 경찰 지휘관[174] 나치당 친위대 대령[175] 출생은 독일이나, 어린 시절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이주하여 병합 이전까지 오스트리아에서 지냈다.[176] 나치당 무장친위대 대령[177] 나치당 친위대 소령[178] 사라예보 사건 당시 암살 가담자[179] 아돌프 히틀러의 부친이다.[180] 슘페터의 두 할머니 모두 체코계다. 그러나 슘페터 본인은 스스로를 독일계로 여겼다.[181] 우크라이나계 유대인과 헝가리계 유대인의 혼혈[182] 태어난 곳은 독일 제국의 라이프치히다. 하지만 아버지가 오스트리아인이고, 아이슬러 본인도 1차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으로 복무했다.[183] 그러나, 이 계획은 또 다민족 문제로 해체 될 경우 약해진 틈을 타 독일이 바이에른과 오스트리아를 다시 합병할 수도 있을 위험으로, 실행되지 못했다.[184] 은근히 사람들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활 플레이를 많이 한다. 사실 이 게임 자체가 특성상 역사 그중에서도 서양사에 관심 및 학식이 있는 사람들이 많이 하기 마련인데 그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여러 가지 요소로 볼때 매우 매력적인 국가이다. 명망높은 합스부르크 왕가가 다스리는 입헌군주국이고, 현대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존립되었다면 막 나가는 러시아와 독일의 브레이크 역할을 해줄수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유고-루마니아의 유럽 상위권의 거대한 영토와 영향력을 가졌던 국가였기 때문이다.
헝가리어: Feloszthatatlanul és elválaszthatatlanul.[2]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프란츠 요제프 1세의 헝가리 국왕 대관식 기준.[3] 카를 1세의 오스트리아 황제위 퇴위 기준. 다만 헝가리 왕위는 11월 16일까지 유지했다.[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법적 계승국은 오직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과 헝가리 제1공화국 뿐이었다.[5] 이는 영국(영국령 인도 포함), 청나라, 러시아, 미국, 프랑스(식민지 포함), 독일, 네덜란드 다음의 세계 인구 수 8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탈리아, 스페인, 일본, 포르투갈 보다도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식민지를 제외하면 당대 열강 중 러시아, 미국, 독일 다음의 4위였다.[6] 라틴 교회가 주류였지만 갈리치아나 트란실바니아 등지에서는 동방 가톨릭 교회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했다.[7] 주로 동부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의 헝가리인을 중심으로 분포했다.[8]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우크라이나인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했다.[9] Ministerpräsidenten Österreich-Ungarns[10] 오스트리아 제국의 마지막 총리이자 시스라이타니아의 초대 총리.[11] Magyarország miniszterelnöke[12] 1892년 금본위제 도입 전까지 사용한 화폐.[13] 1919년부터 오스트리아 크로네, 헝가리 코로나, 체코슬로바키아 코루나 등으로 교체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는 임시로 세르비아 디나르의 절반 가치로 책정되어 함께 통용되다가 유고슬라비아 디나르로 교체되었고, 오스트리아 크로네와 헝가리 코로나는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다 각각 1925년과 1927년에 화폐개혁을 거쳐 오스트리아 실링과 헝가리 펭괴로 교체되었다.[14] 오지리향가리군주국. 구한말 시기에는 오스트리아를 뜻하는 한자어인 오국(奧國)으로 통용되었다.[15] 따라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존속했을 당시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간단히 오스트리아(Österreich)로 통용되었으며, 이후 20세기 말까지도 단순히 오스트리아 혹은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언급하거나 지칭된 경우가 많았다.[16] #[17] 미국, 영국, 청나라, 독일, 러시아, 프랑스 만이 오스트리아-헝가리보다 경제규모가 더 컸다.[18] 이는 영어 명칭이며, 독일어로는 치스라이타니엔(Cisleithanien)이다. 다만 이는 약칭으로 공식 명칭은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이다.[19] 이는 영어 명칭이며, 독일어로는 트란스라이타니엔(Transleithanien)이라고 한다. 다만 이는 약칭으로 공식 명칭은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왕관령(A Magyar Szent Korona Országai)이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은 트란스라이타니아 산하의 왕국이었으나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20]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참전을 명령하는 징집 선전문이 독일어, 헝가리어, 체코어,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루마니아어, 슬로바키아어, 이탈리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루신어, 이디시어 등의 12개 언어로 작성되기도 했다.[21] 디 임 라이히스라트 페어트레테넨 쾨니크라이헤 운트 렌더 운트 디 렌더 데어 하일리겐 웅가리셴 슈테판스크로네[22] 어 비로덜미 터나치번 케프비셸트 키라이샤고크 에시 오르사고크 에시 어 머저르 센트 코로너 오르사거이[23] 헝가리 왕국의 첫 왕조인 아르파드 왕조의 개창자이자 실질적인 시조 이슈트반 1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슈트반 1세는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된 성인이다.[24] 여기서 말하는 왕국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첫번째는 시스라이타니아(Cisleithanien)의 경우, 오스트리아 제국과 보헤미아 왕국을 통틀어서 kaiserlich und königlich라고 하며, 두 번째는 말 그대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왕국을 의미한다. 원래 k. u. k.는 전자만을 의미했는데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신성 로마 제국의 제위를 반독점하던 시절 합스부르크 가문의 본토인 오스트리아 대공국과 선제후국인 보헤미아 왕국을 의미했다.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 왕국은 어디까지나 합스부르크 가문 군주만 동일하게 국가원수로 모시는 동군연합이었을 뿐, 그 외에는 완전 남남이었기 때문에 합스부르크 세습령과는 별개로 신성 로마 제국과는 아무 연관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30년 전쟁의 패전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이 제국에서의 영향력을 반쯤 포기하고 세습령에 집중하기 시작하고, 마리아 테레지아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 내에서 약해져간 보헤미아 왕국의 입지, 신성 로마 제국의 해체와 선제후 폐지로 인한 보헤미아 왕국 정치적 위상 상실과 헝가리 왕국의 입지 상승과 더불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에는 k. u. k.가 보헤미아 왕국이 아니라 헝가리 왕국으로 대체되는 지경에 이르렀다.[25] 실제로 이 깃발을 사용한 건 아니고, 두 가지 깃발을 함께 사용했음을 반영하여 나무위키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상징하기 위해 만든 이미지다.[26] 제국 공동정부의 외무부, 즉 재상부 청사였고 현재도 오스트리아 총리의 집무실로 활용되고 있다.[27] 트리에스테 제국자유도시, 고리치아-그라디스카 후백국, 이스트리아 변경백국을 묶어서 하나의 황립 주지사를 파견했다. 다만 세 지역은 여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했고 지방의회 역시 따로 두었다.[28] 다만 1876년의 개혁 이후에도 부다페스트, 티미쇼아라, 노비사드, 브라티슬라바 등 총 26개의 자치도시들은 여전히 자치권을 유지했다. 항구도시 리예카는 여전히 독자적인 행정구역으로 남았다.[29] 19세기 말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점차 입헌군주정 요소를 도입하며 생긴 변화다. 1907년 총선은 세금 납부 요건을 유권자 조건에서 삭제하는 개혁안이 의회를 통과하고 난 이후 치러진 최초의 선거로, 다만 주 정부의 세입에 따라 의석 할당을 배분했다는 한계는 있었다.[30] 1875년부터 1881년까지 건축된 네오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대법원이 소재했고 지금도 오스트리아 대법원으로 쓰이고 있다.[31] 이보다 더 높은 나라는 미국, 대영제국, 청나라,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 뿐이었다.[32] 알프스와 보헤미아 지역에서는 이미 1750년부터 원시 산업화가 시작되었고 1800년 이후 산업혁명의 1차 중심지로 떠올랐을 만큼 앞서서 산업화가 이뤄진 지방이었다. 반면 헝가리는 1840년대에 첫 기계 제조 공장이 들어섰고 1870년대 이전까지는 산업이 거의 없었으며 농촌이 대부분이었다.[33] 1860년대에 롤러 밀이 발명되며 제분업이 크게 발전했고 헝가리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제분업 중심지였다.[34] 이러한 매우 높은 독일 의존도는 제국이 군사적, 외교적으로 독일에 끌려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35] 특히 흑해와 아드리아해를 잇는 철도가 필수적이었다.[36] 이때 죄르에서 철도 생산을 담당했던 회사가 아직까지도 존재하는 헝가리의 유명 메이커 회사 라바(RÁBA)다.[37] 기술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들여왔지만 노동력과 자재 대부분은 자국 내에서 충당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38] 이때문에 관리부실로 1890년에는 대부분의 헝가리 철도회사들이 국유화된다. 다만 강력한 오스트리아 자본을 업은 카쇼-오데르베르크 철도회사와 오스트리아-헝가리 남부 철도회사는 살아남았다.[39] SST사는 제국 해군 주력전함들은 물론이거니와, 훗날 이탈리아로 넘어간 후에는 리토리오급 전함들도 건조했다.[40] 반면 군항의 경우 오늘날 크로아티아의 풀라가 가장 중심이었다.[41]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특별히 관리받는 하천.[42] 스웨덴산 철광석은 슈타이어마르크 산 철광석보다 쌌다고 한다.[43] 스코다는 강철을 이용한 제품 생산에는 독보적이었으나 제강업 자체에 있어서는 비코비체에 못 미쳤다.[44] 다만 경영악화로 인해 지난 2017년 파산 신청을 한 바 있다.[45] 테게토프급 3척이 STT사에 의해 제작되었으나 4번함 센트 이슈트반함은 이름대로 헝가리의 건즈 사에 의해 건조되었다.[46] 1993년에 파산했다.[47] 독일어 명칭. 체코어로는 테신, 폴란드어로는 치에신으로 표기한다.[48] 특히 동갈리치아는 폴란드계 지주와 우크라이나계 소작농 간의 갈등이 심하였다.[49] 부다페스트를 비롯한 서부 헝가리는 제외.[50] 이마저도 대부분이 저품위 석탄인 갈탄이었다. 산업에 핵심적인 역청탄은 모라비아와 오스트리아령 실레시아에서만 생산되었다.[51] 프란츠 카프카가 조사하여 보험공단에 제출한 산업재해 보고서. 목재 가공 중 벌어지는 손가락 절단 사고 양상에 대한 보고서이다.[52] 1918년 1월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공장에서 일어난 파업. 갈수록 불리해지는 전쟁 상황과 점점 줄어드는 배급, 러시아 혁명으로 자극받은 노동자들이 일으킨 파업이었다.[53]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 데 미약하게나마 노력을 기울였던 이들 중 하나가 바로 작가 프란츠 카프카다. 당시 그는 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노동자산업재해보험공단(Arbeiter-Unfallversicherungs-Anstalt für das Königreich Böhmen in Prag)의 직원으로 일하면서 산업재해로 피해를 본 노동자들을 도왔다. 산재 개선 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다수 작성했으며 각 지방 정부기관에 법률고문으로 출장을 다니기도 하면서 실적을 인정받았다. 1915년 군에서 징집영장을 발부하자 공단에서 그를 필수 인력이라며 징병으로부터 보호해 주기도 했을 정도다. 그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현대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선에는 이때 마주했던 경험 역시 일부 녹아 있다. 다만 카프카가 당대의 사회주의 운동가들처럼 전투적인 사회 변혁 의지를 가지고 일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는 보험 공단 일에 많은 보람을 느끼기는 하였으나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는 그저 "밥벌이(Brotberuf)"였다. 카프카의 가장 큰 관심사는 어디까지나 문학이었다.[54] 갈리치아에서 루테니아어가 루테시아어로 오타가 나 있다.[55] 실제 제국 내 언어사용자 분포는 위 지도보다 더 복잡했다. 특히 헝가리 왕국 남부 보이보디나와 바나트 지역은 예나 지금이나 마을 단위로 서로 다른 민족이 뒤섞였다.[56] 보스니아 인구의 96%는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였다.[57] 참고로 이웃한 독일 제국에서 유대인은 인구의 1.2% 정도 되었다.[58] 세르보크로아트어 화자들을 크로아티아인,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으로 분리한 지도이다. 또한 이탈리아계에서 라딘어와 프리울리어 화자들 또한 분리하였다.[59] 대부분이 오늘날 세르비아 공화국 보이보디나 자치주 북부지역, 수보티차 시와 그 인근에 분포하고 일부는 헝가리에도 거주 중이다. 오스만의 침공을 피해 헤르체고비나와 달마티아 지역에서부터 이주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헝가리 왕국의 조사에서 이들은 '가톨릭 세르비아인', '달마티아인', '일리리아인' 등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스스로의 정체성을 부녜브치보다는 크로아티아인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많다.[60] 오늘날 크로아티아 동부 및 헝가리 남부 버러녀주, 보이보디나 일대에 거주. 부녜브치인과 마찬가지로 원래 보스니아에 거주했다가 오스만의 침공을 피해 크로아티아 동부 슬라보니아 지역과 그 일대에 이주했다고 추정한다.[61] 오늘날 루마니아 서부 바나트 지역에 거주. 세르비아와 불가리아 접경지대에서 사용하는 토를라크(Torlak) 방언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있고 주로 가톨릭 신도들이다. 오늘날 대부분은 역시 대부분은 스스로를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하고 크라쇼바니인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는 사람은 소수이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계 연합이라는 정당을 통해 루마니아 내 다른 소수민족 정치집단들과 연대하여 루마니아 국회에 참여하고 있다.[62] 오늘날 루마니아 서부 바나트 지역에 거주.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언어는 불가리아어 하위분파인 바나트 불가리어를 사용한다. 독특하게도 대부분이 불가리아 정교회가 아닌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63] 비헝가리 민족들에게는 독자적으로 영토 자치권을 가진 국가를 세울 권리가 없다는 점이 소수민족법의 핵심이었다.[64]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헝가리 혁명의회가 스위스보다도 앞서 소수민족의 권리 법률을 선포하고 시행하기도 했지만, 이때도 이미 혁명의 주동자 코슈트 러요시 등이 혁명이 붕괴 직전에 몰린 후반에 가서야 비헝가리계 소수민족들의 권리를 인정해준 것이었다.[65] 1897년 4월 오스트리아 총리 바데니 백작이 체코 내에서 체코어에게 독일어와 동등한 자격을 부여하자 격분한 독일 민족주의자들의 항의로 총리직에서 쫒겨났을 정도다.[66] 이처럼 언어 문제에서 볼 수 있듯이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서로 상반된 정책을 펼치며 견제하는 경우가 잦았다. 심지어 헝가리가 시스라이타니아의 체코인들을 지원하자 오스트리아가 자그레브의 크로아티아 민족운동을 지원하기까지 했다.[67]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1차대전 종전 이후 루마니아로 건너간 트란실바니아는 21세기까지도 루마니아에서 가장 문맹률이 낮은 지역이 되었다.#[68] 이 경우 둘다 슬로베니아인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69] 인구는 고작 78만 명으로 적은 편이었지만 워낙 역사가 깊고 영향력도 큰 민족이었던지라 제국 입장에서도 무시하긴 어려웠다.[70] 단 자그레브 대학교에는 의학부가 없었다.[71] 독일어: 뵈멘 왕국(Königreich Böhmen)[72] 독일어: 프라크(Prag)[73] 독일어: 부코비나 공국(Herzogtum Bukowina)[74] 독일어: 체르노비츠(Czernowitz)[75] 원래는 몰다비아 공국과 그 후신인 루마니아 왕국 영토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소련이 베사라비아(현재의 몰도바, 오데사주 일부(부자크), 체르니우치주 북부 일부)와 함께 부코비나 북부 지역을 강탈했다. 현재 북부는 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주, 남부는 루마니아 수체아바주에 속해있다.[76] (Herzogtum Kärnten)[77] (Klagenfurt)[78] 남쪽 10% 정도의 아주 작은 영토는 현재 슬로베니아에 속한다.[79] 독일어: 크라인 공국(Herzogtum Krain)[80] 독일어: 라이바흐(Laibach)[81] 독일어: 달마티엔 왕국(Königreich Dalmatien)[82] 독일어:차라(Zara)[83] 독일어: 갈리치엔 운트 로도메리엔 왕국(Königreich Galizien und Lodomerien)[84] 독일어: 렘베르크(Lemberg)[85] 독일어: 크라카우 대공국(Großherzogtum Krakau)[86] 독일어: 크라카우(Krakau)[87] 원래 크라쿠프 자유시로 오스트리아 제국이 관리하는 독립 국가였으나, 1830년 러시아 내 폴란드인이 봉기를 일으키자 이에 대응해 곧바로 진압, 대공국 지위로 합병되었다.[88] 독일어: 외스터라이히 연해국(Österreichisches Küstenland)[89] 독일어: 트리에스트(Triest)[90] 독일어: 트리에스트 제국직할 도시(Triest Reichsunmittelbare Stadt)[91] 독일어: 괴르츠 운트 그라디스카 후백국(Gefürstete Grafschaft Görz und Gradisca)[92] 독일어: 괴르츠(Görz)[93] 독일어: 이스트리엔 변경백국(Markgrafschaft Istrien)[94] 독일어: 파렌츠(Parenz)[95] (Erzherzogtum Niederösterreich)[96] (Wien)[97] 독일어: 메렌 변경백국(Markgrafschaft Mähren)[98] 독일어: 브륀(Brünn)[99] (Herzogtum Salzburg)[100] (Salzburg)[101] 독일어: 외스터라이히 슐레지엔 공국(Herzogtum Österreichisch Schlesien)[102] 독일어: 트로파우(Troppau)[103] (Herzogtum Steiermark). 영어로는 스티리아(Styria)로 불린다. 부르크뮐러의 에튀드 Op. 100 중 하나인 '스티리아의 여인'의 그 스타리아.[104] (Graz)[105] (Gefürstete Grafschaft Tirol)[106] (Innsbruck)[107] 트렌토 지역은 이탈리아인이 많은 지역이 맞으나 쥐트티롤은 오스트리아인 다수 거주지역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어 현재의 트렌티노알토아디제가 되었다. 나머지 티롤 지역은 오스트리아에 잔류.[108] (Erzherzogtum Oberösterreich)[109] (Linz)[110] (Land Vorarlberg)[111] (Bregenz)[112] 독일어: 웅가른 왕국(Königsreich Ungarn)[113] (Budapest)[114]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주, 헝가리 전체, 슬로바키아 전체, 우크라이나 서부의 자카르파탸, 루마니아 서부의 트란실바니아, 세르비아 북부의 보이보디나가 합쳐져 있다. 두 지역을 구별하는 지도도 있고, 같이 묶어놓는 지도도 있다.[115] 독일어: 크로아티엔 운트 슬라보니엔 왕국(Königreich Kroatien und Slawonien)[116] 독일어: 아그람(Agram)[117] 독일어: 보스니엔 운트 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Kondominium Bosnien und Herzegowina)[118] (독일어: Sarajewo)[119] 이웃한 독일 제국에서도 빌헬름 2세가 합법화시킨 이후 사회민주당이 주요 정당으로 등극하고 1912년 총선에서 원내 1당이 되었을 정도로 당시 유럽 전반에서 사회주의가 유력하기는 했다.[120] 제국 내에서 이탈리아인이 많이 사는 곳은 제국의 대도시 중 하나였던 트리에스트 인근, 달마티엔 지역, 쥐트티롤의 트렌토 일대였다.[121]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 지연이었다.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등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등 현대사의 격변기를 거치면서도 다른 동구권 국가들 보다는 훨씬 수월하게 서구로 편입되었다. 이들 국가들에서는 시민사회의 조직화와 정치참여의 전통이 이미 자리잡고 있어 즉각적으로 재활성화되었기 때문이었다. 폴란드나 헝가리는 법과 정의당과 피데스의 막장 행각으로 민주주의가 확고히 자리잡은 게 맞느냐는 견해가 많긴 하다만 옛 유고연방이나 루마니아, 불가리아, 구 소련권 국가들에 비하면 훨씬 성공적으로 서구 사회에 편입되었다.[122] 실제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해체하고 건국된 다민족 국가 유고슬라비아는 왕국 시절부터 세르비아인이 우월 의식을 드러내며 다른 민족을 차별하였다. 크로아티아인은 아예 추축국의 편을 들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멸망에 일조했다. 이후 재건된 유고슬라비아에서는 티토가 민족주의를 억압하며 유고 내 모든 민족을 동등하게 만들려 했지만 국가 요직은 여전히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결국 유고슬라비아는 열흘 전쟁(슬로베니아 독립 전쟁)부터 시작해 코소보 전쟁으로 끝나는 피비린내나는 전쟁 끝에 해체되었다.[123] 심지어 폴란드 분할로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싫어하던 폴란드인도 여기에는 동의하는 입장이었다. 적어도 숨도 못 쉬게 탄압하는 독일 제국의 포젠, 서프로이센이나 러시아 제국의 러시아령 폴란드보다는 나았으니까. 프란츠 요제프 1세가 크라쿠프를 방문할 때마다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을 정도였다.[124] 마사리크도 제1차 세계 대전 전까지는 보헤미아 왕국이 합스부르크 왕조로부터 재차 독립하면 범슬라브주의를 앞세우는 러시아 제국과 대독일주의를 내세우는 독일 제국 사이에서 체코인이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질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합스부르크의 지배 하에서 자치를 추구하는 차악을 주장했던 프란티셰크 팔라츠키의 견해에 동조했다. 체코 독립 후의 뮌헨 협정이나 프라하의 봄을 고려하면 팔라츠키가 구체화한 오스트로슬라브주의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었다.[125] Bartoš, J. et als. (1995) 267.[126] Bakke, Elisabeth (1999) 185.[127] 19세기 말엽부터 보헤미아 왕국에서는 체코어와 독일어 사용 문제로 사사건건 치고 박고 싸웠다.[128] 정식 명칭은 독립과 48년당.[129] 이에 반해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전체 인구의 27%가 투표권을 갖고 있었다.[130] 오스트리아-헝가리-크로아티아-체코-갈리치아[131] 헝가리는 크로아티아인에게 원한이 깊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인이 완전히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싫어했다. 칼만 왕 이래로 헝가리와 크로아티아는 동군연합이었으나 헝가리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부터 독립하려 할 때마다 크로아티아인이 선봉으로 나서 헝가리의 독립 시도를 진압했기 때문이다. 당장 1848년 헝가리 혁명이 실패하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가 크로아티아인 총독 요시프 옐라치치였다.[출처] 김지영-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이후 동유럽 민족 국가의 성립[출처] 동유럽사-존 코넬리[134] 오스트리아-보헤미아-헝가리-크로아티아-갈리치아 5개국 연합[135] 제국 외무부 장관[136] 제국 외무부 장관[137] 오스트리아 제국 총리[138] 헝가리 왕국 총리[139] 제국 재무부 장관[140] 오스트리아 공화국 초대 총리[141] 오스트리아 연방국 초대 총리[142] 오스트리아 연방국 2대 총리[143] 오스트리아 연방국 3대 총리, 나치 독일 네덜란드 국가판무관부 국가판무관[144] 나치 독일 총통[145] 이탈리아 공화국 초대 총리[146] 체코슬로바키아 2대 대통령[147] 체코슬로바키아 3대 대통령[148] 체코슬로바키아 2대 총리[149] 슬로바키아 제 1공화국 초대 대통령[150] 헝가리 왕국 국민단결정부 수장[151] 헝가리 인민 공화국 3대 수상[152] 폴란드 망명정부 총리[153] 폴란드 인민 공화국 3대 서기장[154]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OUN) 수장[15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초대 대통령[156] 크로아티아 독립국 우스타샤 수장[15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58]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59] 실제로는 세르비아계라는 말도 있으나 본인은 스스로를 크로아티아인으로 여겼다.[160]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6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 나치 독일 명예원수[162] 출생지는 체코의 올로모우츠.[16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64] 출생지는 루마니아의 아라드.[16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166] 오스트리아 제국 육군 제국상급대장[167] 오스트리아 제국 해군 중장, 헝가리 왕국 섭정[168] 오스트리아 제국 해군 대령[169] 나치 독일 육군 상급대장. 오스트리아 제국군 복무 후에 오스트리아 연방군에 이어 나치 독일군까지 복무하며 상급대장까지 진급.[170] 나치 독일 육군 상급대장. 오스트리아 제국군 복무 후에 오스트리아 연방군에 이어 나치 독일군까지 복무하며 상급대장까지 진급.[171] 나치 독일 육군 산악대장. 오스트리아 제국군 복무 후에 오스트리아 연방군에 이어 나치 독일군까지 복무하며 대장까지 진급.[172] 나치당 친위대 대장, 3대 국가본안본부장[173] 나치당 친위대 중장, 루블린 SS및 경찰 지휘관[174] 나치당 친위대 대령[175] 출생은 독일이나, 어린 시절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이주하여 병합 이전까지 오스트리아에서 지냈다.[176] 나치당 무장친위대 대령[177] 나치당 친위대 소령[178] 사라예보 사건 당시 암살 가담자[179] 아돌프 히틀러의 부친이다.[180] 슘페터의 두 할머니 모두 체코계다. 그러나 슘페터 본인은 스스로를 독일계로 여겼다.[181] 우크라이나계 유대인과 헝가리계 유대인의 혼혈[182] 태어난 곳은 독일 제국의 라이프치히다. 하지만 아버지가 오스트리아인이고, 아이슬러 본인도 1차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으로 복무했다.[183] 그러나, 이 계획은 또 다민족 문제로 해체 될 경우 약해진 틈을 타 독일이 바이에른과 오스트리아를 다시 합병할 수도 있을 위험으로, 실행되지 못했다.[184] 은근히 사람들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활 플레이를 많이 한다. 사실 이 게임 자체가 특성상 역사 그중에서도 서양사에 관심 및 학식이 있는 사람들이 많이 하기 마련인데 그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여러 가지 요소로 볼때 매우 매력적인 국가이다. 명망높은 합스부르크 왕가가 다스리는 입헌군주국이고, 현대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존립되었다면 막 나가는 러시아와 독일의 브레이크 역할을 해줄수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유고-루마니아의 유럽 상위권의 거대한 영토와 영향력을 가졌던 국가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