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bbb> 고대 | 슬라브 / 루스 | |||||
루스 카간국 | |||||||
키예프 루스 | |||||||
페레야슬라우 공국 | 체르니히우 공국 | 키예프 공국 | |||||
중세 | 몽골의 침입 | ||||||
갈리치아-볼히니아(루테니아 왕국) 킵차크 칸국(몽골-타타르의 멍에) | |||||||
근세 | 폴란드-리투아니아 자포리자 코자키 / 코자키 헤트만국 |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 | |||||
근대 | 오스트리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부코비나 공국 | 러시아 제국 남러시아 정부 |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국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마흐노우슈치나 오데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소비에트 공화국 베사라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갈리치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인민 공화국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홀로드니야르 공화국 | |||||||
현대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 ||||||
우크라이나 국가정부 | |||||||
소련 군정청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
소련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 |||||||
우크라이나 노보로시야 연방국(도네츠크·루간스크) 크림 공화국 | }}}}}}}}} |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 |
<colbgcolor=#002664> 협상국 | ||
유럽 | | |
아시아 | | |
북아메리카 | | |
남아메리카 | | |
아프리카 | | |
오세아니아 | | |
동맹국 | ||
유럽 | | |
아시아 | | |
아프리카 | | |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 |
크림 지방 정부 Крымское краев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Krymskoe kraevoe pravitel'stvo | |||
| | ||
국기 | 국장 | ||
1918년 6월 25일 ~ 1918년 11월 1918년 11월 ~ 1920년 11월 | |||
수도 | 심페로폴 | ||
정치체제 | 공화제 | ||
언어 | 러시아어, 크림 타타르어 | ||
역사 | • 건국: 1918년 6월 25일 • 1차 멸망: 1919년 3월 15일 • 재건국: 1918년 11월 • 2차 멸망: 1920년 11월 |
[clearfix]
1. 개요
크림 반도에 존재했던 공화국.2. 10월 혁명과 러시아로 편입
10월 혁명이 일어나자 크림 타타르족은 크림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다.1918년 초 볼셰비키 군대가 타브리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고, 독일 제국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우크라이나국을 세웠다.1918년 6월 25일 최초의 크림 자치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우크라이나국이 크림 반도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독일의 지원으로 지역 정부는 우크라이나와 분리되었다.
크림 국경 정부라고도 불리는 크림 정부는 1919년 초 안톤 데니킨이 이끄는 남러시아 정부의 갈등 때문에 무너지기 시작했다. 또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과 협상국의 철수는 다시 러시아의 영토로 귀속되게 만들었다.
3. 붉은 군대의 점령, 크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설립
1919년 4월 2일, 붉은 군대가 심페로폴을 점령했고, 크림 자치정부는 해체됐다.크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이 세워지고 1919년 6월 남러시아군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이후 남러시아 정부가 1920년 11월까지 크림 반도를 점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