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23:25:36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벨라루스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
슬라브
/ 루스
키예프
루스
<colbgcolor=#63936a,#6c9c73> 키예프 공국 몽골의 침략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러시아 제국
지역령
바르샤바
공국

바라샤바
공국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리투아니아-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벨로루시
중앙 의회 소련
소비에트 벨로루시
벨라루스 공화국
폴로츠크 공국 나치 독일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투로프 공국 }}}}}}}}}

<colbgcolor=#536349>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colbgcolor=#002664> 협상국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 파일:세르비아 왕국 국기.svg 세르비아 왕국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산마리노 옛 국기(~2011).png 산마리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1공화국 · 파일:몬테네그로 왕국 국기.sv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알바니아 공국 국기.svg 알바니아 공국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 시암 ·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헤자즈 왕국 · 파일:리야드 토후국 국기.svg 리야드 토후국 · 파일:아시르 이드리드 토후국 국기.svg 아시르 토후국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 파일:네팔 왕국 국기(1856-1930).png 네팔 왕국
북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868-1921).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과테말라 국기(1871-1968).png 과테말라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 파일:코스타리카 정부기(1906-1964).png 코스타리카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남아메리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페루 국기(1884–1950).svg 페루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 파일:에콰도르 국기(1900~2009).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자치령+
동맹국
유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섭정왕국+ · 파일:쿠를란트-젬갈렌 공국 국기.svg 쿠를란트-젬갈렌 공국+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 파일: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국기.svg 우크라이나국+ · 파일:핀란드 국기(1918-1920).svg 핀란드 왕국+ · 파일:발트 연합 공국 국기.svg 발트 연합 공국+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1918).svg 리투아니아 왕국+ · 파일:크림 지방 정부 국기.svg 크림 지방 정부 · 파일:돈 코사크 국기.svg 돈 공화국+
아시아 파일:자발 샴마르 토후국 국기.svg 자발 샴마르 토후국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파일:조지아 민주 공화국 국기.svg 조지아 민주 공화국 · 파일: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국기.svg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
아프리카 파일:데르비시국 국기.svg 데르비시국 · 파일:다르푸르 기.svg 다르푸르 술탄국 · 파일:키레나이카 토후국 국기.svg 세누시야 · 파일:모로코 국기.svg 자야네스
주요 국가 + 괴뢰국 · 종속국 }}}}}}}}}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Белару́ская Наро́дная Рэспу́бліка
Белорус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
Belarusian People's Republic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파일: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국장.svg
<rowcolor=#cd0000,#fff> 국기 국장[1]
파일: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지도.png
지도[2]
1918년 3월 25일 ~ 1919년 1월 15일
<colbgcolor=#fff,#cd0000><colcolor=#cd0000,#fff> 국가병사들의 행진
수도민스크, 빌뉴스 (1918년) ~ (1919년)
그로드노 (1919년)
언어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정치체제공화제
통화루블
기타망명정부 홈페이지
역사건국: 1918년 3월 25일
멸망: 1919년 1월 15일
망명정부: 1919년 1월 15일 ~ 현재

1. 개요2. 역사
2.1. 인민공화국 성립 이전까지2.2. 러시아 혁명과 인민공화국 성립
3. 기타4. 참고 문헌5. 관련 문서

1. 개요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Belarusian People's Republic) 혹은 벨라루스 민주공화국(, Belarusian Democratic Republic)은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동유럽 지역에 존속했던 공화국이다. 독일 제국괴뢰국으로 여겨지나 정작 독일에게조차 승인받지 못했고, 애당초 국가 수립에 독일이 개입하지도 않았다.

1919년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붕괴된 이후 망명정부를 구성하여 현재까지도 존속하고 있다.

2. 역사

2.1. 인민공화국 성립 이전까지

19세기 당시 벨라루스인들의 민족 의식은 매우 희박했다.[3] 교육받은 지식인 계층 중 일부는 폴란드나 러시아와 구분되는 벨라루스 민족의 독립을 희망했지만 다수의 농민 계층은 여기에 별반 관심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1902년 페테르부르크에서 공부하던 벨라루스 학생들이 호몬(Гомон)이라는 혁명 집단을 조직하였다. 이들은 벨라루스어로 작성된 민주주의 관련 전단을 배포하여 벨라루스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러시아 정부는 반정부 운동을 무마시키고자 다수의 노동조합을 해체하고 24000명 가량의 혁명가들을 체포하거나 투옥, 시베리아 유형을 내렸다.

한 편 1906년 러시아에서 표트르 스톨리핀의 이주 장려 정책에 힘입어 수많은 벨라루스 농민들이 농업개혁의 일환으로 시베리아중앙아시아, 연해주로 이주하였는데, 이는 벨라루스 민족주의에 복합적인 영향을 남기게 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벨라루스는 주요 전장이 되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벨라루스 민족운동을 전개하던 혁명가들은 군대에 징집되거나 러시아행을 택했고 독립 단체, 조직들은 대부분 해체되었다. 독일 제국 점령 시기에는 벨라루스어 사용이 장려되고 벨라루스어 교과서나 신문이 출간되기도 하였다.

2.2. 러시아 혁명과 인민공화국 성립

1917년 10월 러시아 혁명이 발발한 이후 1918년 독일 제국군이 벨라루스에 들어왔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이 볼셰비키 정권과 독일 제국을 위시한 동맹국 사이에 체결되자, 벨라루스 민족주의자들은 1918년 3월 25일 민스크에서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건국을 선포하였다.

하지만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은 정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나마 독일이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을 후원하긴 했지만 독일 역시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4]

그러나 1918년 11월 13일 제1차 세계 대전이 동맹국의 패배로 종결되고 12월 1일에는 독일군이 벨라루스에서 철수하면서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은 존립 자체를 위협받게 되었다. 1919년 1월 5일, 볼셰비키 정권이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을 침공하였다. 볼셰비키 정권은 수도 민스크를 점령하고 벨로루시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하였다.[5]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은 이로써 붕괴하고 정부는 국외로 망명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자신들이 점령한 벨라루스 지역에 벨라루스 중앙 라다라는 괴뢰 정권을 수립했다. 그러나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망명 정부는 1938년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를 병합한 직후 나치에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한 상태였고, 중앙 라다 정권도 승인하지 않았다. 만약 자신들이 독일에 협력해서 벨라루스에 국가를 건설해도 그 국가는 독일의 괴뢰 정권일 것이고, 독일 국방군이 벨라루스에 저지른 짓도 있기 때문이다.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망명 정부는 1991년 소련이 붕괴하고 벨라루스가 독립하자 자진 해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망명정부를 바로 해산하지 않고 1994년 벨라루스 초대 대통령 선거 이후로 연기했다. 그런데 이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사람이 친러, 친소 성향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였기 때문에, 벨라루스 망명정부의 해산은 취소되었고 루카셴코 정권에 반대하며 뉴욕에서 존속하고 있다. 벨라루스 이외에도 우크라이나와 발트3국에서도 망명정부가 있었으나, 이들 망명정부는 해당 국가가 독립한 뒤에 폴란드 망명정부처럼 법적 계승권을 넘기고 자진 해산했다.

3. 기타


폴란드볼로 보는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의 성립과 소멸 과정[6]

4. 참고 문헌

5. 관련 문서


[1]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국기와 국장에 있는 문장이다.[2] 이 지도는 실질적으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이 지배한 지역뿐만 아니라 벨라루스인들이 많이 산다며 자신들의 영토로 주장한 지역까지 포함되어 있다.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행정이 미치는 지역은 민스크 주변부 일대로 국한되어 있었다.[3] 이유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로는 17세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시대를 거치며 벨라루스 현지 상류층들은 폴란드어를 사용하게 되며 완전히 폴란드화하였고, 두 번째로는 이후 루스 차르국과 폴란드 리투아니아 사이의 장기간의 전쟁으로 해당 지역이 황폐화되면서 시민사회 형성에 불리하게 작용했으며, 세 번째로는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 측에서 벨라루스 그리스 가톨릭 신도들을 정교회 신도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러시아인과 벨라루스인 사이의 문화적 차이가 옅어졌기 때문이다.[4] 그리고 독일이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정부를 후원한 이유도 정말 벨라루스 민족주의에 공감해서 그런 건 아니었고, 자신들이 이 정부를 밀어준다면 벨라루스가 고마워서라도 말 잘 듣는 지역이 되리라는 기대 때문이었다.[5] 벨로루시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건국 선포 자체는 이미 동년 1월 1일 이루어졌다.[6] 이 영상 제작자폴란드볼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유튜버로 현재 벨라루스에서 독재정치를 펼치고 있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를 풍자하는 영상들을 여럿 제작했다. 다행히도 검열에는 안 걸리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