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2 20:37:08

민족통일 임시정부


<nopa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사
시대
원시 인류의 도래와 확산
호모 에렉투스 | 네안데르탈인 | 호모 사피엔스
초기 유럽 농경민
다뉴브 문화
선형 토기 문화
매듭무늬토기 문화
구상 암포라 문화 | 누두형 비커 문화
종형 비커 문화
우네티체 문화
언필드 문화
할슈타트 문화 루사티아 문화
포메란 문화
고대 켈트
켈트인의 이주와 확산
게르만
게르만족의 이주와 확산
슬라브족
폴란인
중세
~
근세
폴란드 영지
초기 폴란드 왕국
피아스트 왕조
대폴란드
소폴란드
산도미에시 공국 마조프셰 공국 포메른 공국
실레시아 공국
몽골군의 폴란드 침공 - 레그니차 전투
후기 폴란드 왕국
야기에우워 왕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제1공화국)

루블린 조약 | 연방의 전성기 | 연방의 쇠퇴
근대 프로이센령 오스트리아령 러시아령
바르샤바 공국
독일령
포젠 | 서프로이센
크라쿠프 자유시 러시아령
폴란드 입헌왕국
프리비슬린스키 주
오스트리아령
크라쿠프 대공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폴란드 섭정왕국
폴란드 제2공화국
현대 폴란드 망명정부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폴란드 침공과 분할
나치 독일령
폴란드 군정청
폴란드 총독부
소련령
벨로루시 SSR
우크라이나 SSR
폴란드 지하국
제2공화국 임시정부
폴란드 인민공화국
폴란드 제3공화국
}}}}}}}}} ||
폴란드 공화국
Rzeczypospolitej Polskiej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폴란드 인민공화국 국장.svg
국기 국장
1945년 6월 28일 ~ 1947년 2월 19일
성립 이전 성립 이후
폴란드 임시정부 폴란드 인민공화국
[[연합군 점령하 독일|{{{#fff 연합군 점령하 독일'''}}}]]
[[프로이센 자유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소련
'''[[벨라루스 SS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8em"
[[우크라이나 SS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8em"'''
국가 폴란드 국가
수도 바르샤바(명목상)
우치(사실상)
정치 체제 마르크스-레닌주의, 임시정부
공용어 폴란드어

1. 개요

1. 개요

민족통일 임시정부는 국가 국민 평의회에 의해 선포된 정부로 폴란드 노동자당이 수립한 폴란드 임시정부와 런던에 있던 폴란드 망명정부 인사들을 포함해 개편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서방 연합국들은 폴란드가 소련의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을 암묵적으로 승인하고 폴란드 망명정부 승인을 철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