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의미 변화(意味變化, Semantic Change, Semantic Shift)는 언어 변화의 한 갈래로, 동일한 단어의 의미장(意味場)이 시대에 걸쳐 확대·축소·추상화·구체화 같은 과정을 거쳐서 바뀌는 것이다. 어원을 밝히는 데에 중요하다. 언어의 사회성, 언어의 역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보통은 인과관계 때문으로 보인다.2. 사례
서로 다른 영역에 유입되면서 의미가 변화할 수도 있는데 이를 전문 용어 '전와어'로 부른다. 곧 오류이기 때문에 교정이 필요하다. ‘인디언(Indian)’[1] 등이 그렇다. 외국어 단어의 뜻을 잘 모르면서 무턱대고 쓰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와전될 수 있다.의미 변화의 양상은 크게 다음과 같다.
- 이동
- 양화 (개선적 변화)
- 열화 (타락적 변화)
- 확대
- 축소
호칭어도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상승하거나 하락하기도 한다. 가령 한국어의 '당신'이나 일본어의 '貴様(키사마)'의 경우, 과거에 상대를 높여 부르는 존칭이었으나, 현재는 상급자들이 듣기 싫어한다.
2.1. 분류 기호 설명
- [표]: 한국 표준어.
- [구]: 한국 옛 표준어.
- [방]: 한국 방언.
- [고]: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
- [J]: 일본식 한자어 또는 재플리시.
- [F]: 어원 다름(= False Friend).
- 취소선: 현대에 거의 쓰이지 않는 의미(사어).
2.2. ㄱ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갈라치기 | 바둑에서 상대편의 돌이 두 귀에 있을 때, 변의 중앙 부분에 돌을 놓아 벌림을 꾀하는 것 | 집단 내부에 잠재된 갈등을 증폭시켜, 집단의 분열을 유도하는 것 | 분할통치, 이간질 문서 참고. |
건달 | 불교에서 언급되는, 음악과 자유로운 삶을 사랑하는 영험한 존재인 ‘간다르바’의 번역어 | 무직자나 조직폭력배에 대한 멸칭 | |
경우의 수 | 수학 확률론의 일부 | 라운드 로빈 경기에서, 자력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 따지는 것 | |
계집 | | 여자에 대한 멸칭 | 아이러니하게도 반대 단어인 ‘사내’는 여전히 비하의 의미 없이 보편적으로 남자를 가리킬 때 쓰인다.[8][9] |
고민(苦悶) | 괴로워함 | 곰곰히 생각함 | |
고증(考證) | 옛것을 옛것으로 생각해서 밝혀냄[표] | 어떤 요소를 창작물 등에 반영함 | 후자는 표준 용례가 아니다. |
공기(空氣) | 지구를 둘러싼 대기 하층을 구성하는 무색 투명한 기체 | 존재감이 없는 인물 또는 캐릭터 | 비유적 의미 |
공인(公人) | 정부 등 공기관에 속해 그 일에 종사하는 사람[표] | 대중매체로 널리 알려지며 대중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 | 이 때문에 ‘연예인 공인론’이라는 이름으로 논란이 벌어지기도 한다. |
공중분해(空中分解) | 비행 도중 공중에서 폭발하여 분해됨 | 계획 등이 진행 중에 무산되거나, 기업조직 등이 갑자기 해체됨 | 비유적 의미 |
관광[F] | 다른 나라 또는 다른 지방의 색다른 풍경, 문화를 관람 또는 체험하는 것(觀光)[표] | 경기, 싸움에서 상대방을 압도적인 실력 차이로 이기는 것[14] | ‘강간’의 발음이 변음된 것이다. |
굼벵이 | 매미의 유충[표] | 행동이 느리고 굼뜬 사람[표] | 비유적 의미. 빨리빨리 문서도 참고. |
김칫국 | 김치를 넣어서 끓인 국 | 가능성이 없거나 불확실한 일에 품는 기대감 | |
깡패 | 폭력을 쓰면서 행패를 부리고 못된 짓을 일삼는 무리(≒ 조직폭력배) | 절정의 인기를 누리거나 대중을 압도할 만한 매력을 갖춘 존재[17] | |
깨시민 | 깨어있는 시민 | 정치 성향이 다른 상대를 조롱하는 말 |
2.3. ㄴ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낙하산(落下傘) | 공중에서 안전한 낙하를 위해 사용되는 기구 | 연줄을 통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사람 | 낙하산 인사 문서 참고. |
낭만(浪漫) | | 로맨스(romance)의 음차어[J] | |
노강[F] | 살윈강의 다른 이름 | 강화를 하지 않은 아이템[20] | |
노름 놀음 | | 재물을 걸고 하는 내기(= 도박) | |
녹(綠) | 수산화탄산구리(II)(Cu2CO3(OH)2)[22] | 산화철(III)(Fe2O3) | |
녹슬다 | 금속이 산화됨 | 힘이 쇠퇴함 | 비유적 의미 |
놀리다 | | 조롱하다[표] | |
놀이터 | 아이들이 놀도록 만들어놓은 곳 | 사설 토토 사이트 | |
누구 | | 의문 대명사[표] | |
뇌절(雷切) | 나루토의 술법 | 어떤 말이나 행동 등을 지나치게 반복하거나 적정선에서 끊지 못함 |
2.4. ㄷ, ㄹ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단종(斷種) | 생식 능력을 없앰[표] | 물건의 생산을 중단함 | |
당신(當身) | | 상대를 낮잡아 부르는 2인칭 대명사[29][30] | ‘당신’의 의미 타락으로 인한 2인칭 경칭의 부재로 인해, 현대 한국어에서는 상대를 부를 때 3인칭화를 하는 경우가 많다. |
대첩(大捷) | 큰 승리 | 경기 내용이 막장으로 흘러가 비난을 부르는 야구 경기 | 흔히 ‘막장대첩’으로 불린다. 대첩(야구) 문서 참고. |
대포(大砲) | 화약의 폭발력으로 탄자를 투사하는 무기(= 화포)[표] | 허풍, 거짓말. 또는 그것을 잘하는 사람. | ‘대포차’, ‘대포폰’의 대포는 후자를 의미한다. |
독불장군(獨不將軍) | 혼자서는 장군이 될 수 없음(≒ 고장난명)[표] | 무슨 일이든 자기 생각대로 혼자서 처리하는 사람[표] | |
동네북 | 동네 사람들이 공동으로 쓰는 북 | 여러 사람이 두루 건드리거나 만만하게 보는 사람 | |
돼지 | 동물의 한 종류 | 뚱뚱한 사람, 탐욕스러운 사람 | |
땀내 | 땀에서 나는 냄새[표] | 마초적인 근육질 남성 캐릭터 | 원래 여성 캐릭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우락부락한 남성 캐릭터가 싫다고 비하하는 표현이었으나, 이제는 이런 캐릭터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땀내난다는 표현을 쓴다. |
2.5. ㅁ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마약(痲藥) | 강한 의존효과 탓에 특별한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약물 | 계속 먹고 싶어지는 음식 | 비유적 의미. 이런 의미 변화를 우려하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 |
맥주(麥酒) | 보리와 엿기름, 홉을 주재료로 해서 빚는 술 | 증류주, 탁주, 포도주를 제외한 모든 주류 | 특히 알코팝 계열을 맥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
맥주병 | 맥주를 담는 병 | 수영을 못 하는 사람 | 맥주병은 실제로는 물에 매우 잘 뜬다. |
맹(盲) | 시각장애 | 어리석음을 뜻하는 접미사(문맹, 컴맹 등) | |
먹방[F] | 불을 켜지 않아 몹시 어두운 방[표] | 먹으면서 하는 방송 | |
무쌍(無雙) | 둘도 없음[표] | 무예가 뛰어남, 싸움을 잘함(≒ 만인지적, 일기당천) | 비디오 게임 시리즈인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영향이 크다. |
무임승차(無賃乘車) | 요금을 정상적으로 지불하지 않고 대중교통을 이용함 | 수고 없이 보상을 받음 | 비유적 의미 |
무재배[F] | 무(채소)를 재배하는 것 | 무승부를 기록하는 것 | |
문상[F] | 고인의 가족을 안부 목적으로 찾아감(問喪) | 문화상품권 | |
미꾸라지 | 물고기의 한 종류 | 분위기를 흐리는 사람 |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 문서 참고. |
미봉책(彌縫策) |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계책[표] | 순간만을 모면하기 위하는 잘못된 계책 |
2.6. ㅂ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바늘구멍 | 바늘에 실을 꿰기 위한 작은 구멍 | 매우 어려운 난이도 | 비유적 의미 |
방심(放心) | | 주변 환경에 주의하지 않고 마음을 놓음[표] | |
방화범(放火犯) | 고의로 불을 지른 범죄자[표] |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블론세이브가 잦은 마무리 투수 | 비유적 의미로, 후술할 ‘작가’와 일맥상통한다. 방화범(야구) 문서 참고. |
백정(白丁) | | 도축업을 하는 계층[45] | |
변질(變質) | | 성질이 부정적으로 변함(음식 부패, 단어의 의미 타락 등) | |
변태(變態)[F] | 상태나 형태가 달라짐[표] |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성욕, 또는 그로 말미암는 행위[표][J] | 후자는 일본어 ‘へんたい(変態)’에서 유래한 의미다. 도착증 문서도 참고. |
보도방 | | 단란 주점이나 유흥업소 따위에 술 시중을 들거나 성매매를 하는 여성을 공급하는 업체[표] | |
복돌이[F] | 복스러운 사내아이[52] | 불법 복제품 사용자에 대한 멸칭[53] | 젊은 세대에서는 주로 후자의 의미로 쓰이며, 이에 대비한 반의어 ‘정돌이’도 만들어졌다. 불법 공유 문서도 참고. |
분식(粉食) | 밀가루 음식[표] | 길거리 음식 | 혼분식 장려 운동의 영향으로 보인다. |
비득[F] | 불획, 불성취를 의미하는 불교 용어(非得) | 죽음(碑得) | 후자는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에서 유래한 의미로, ‘비석 득템’ 또는 ‘비석 획득’의 약칭이다. 캐릭터가 사망할 때 그 자리에 비석이 세워지고, 얼굴만 남고 몸은 유령이 된 캐릭터가 비석 주위를 떠도는 모습을 의미한다. |
비밀번호(秘密番號) | 이용자가 어떠한 곳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해 입력해야 하는 암호 문자 | 스포츠 구단의 암흑기 | 비밀번호(스포츠) 문서 참고. |
2.7. ㅅ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상성(相性) | 서로 맞는 성질 | 적대하는 서로 간의 우세하고 열등함을 나타내는 수준 | |
색안경(色眼鏡) | 색깔이 있는 렌즈를 낀 안경 | 편견 및 고정관념 | 비유적 의미 |
소시민(小市民) | | 보통의 일반 국민 | |
손은 눈보다 빠르다 | | 도박을 할 땐 안심하고 손으로 사기를 칠 수 있음 | 전자는 노동을 권장하는 의미이며, 후자는 영화 《타짜》에서 유래한 의미다. |
손절[F] | 손해를 끊는 것(損切) | 인연을 끊는 것(손切) | 전자에 대한 내용은 손절매(損切賣) 문서 참고. |
시치미 떼다 | | 자신이 했거나 알면서도 아닌 체 또는 모르는 체함 | |
싸구려 | 싸다(= 저렴하다)[57] | 싸다 + 구리다(= 질이 낮다)[58] |
2.8. ㅇ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아래 | 낮은 위치[표] | 남쪽(南) | |
악바리 | 성격이 거칠고 고집스럽거나 영악한 사람 | 근성이 강하고 끈기가 있어 무슨 일이든 지지 않기 위해 끝까지 맞서고 노력하는 사람 | 주로 근성이 강하다고 평가되는 운동선수들에게 긍정적인 의미의 별명으로 많이 붙는다. |
액정(液晶) |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에 있는 물질[표] | CRT, PDP 방식을 제외한 평면 디스플레이 전반 | |
야수파 | 색체와 사물 묘사를 정교하지 못하게 표현한 미술 | 기존의 형태나 색의 공식에서 벗어난 자유분방한 반항적 미술 사조 | |
야하다 | 천박함 | 선정적임 | |
양복(洋服) | 서양식 옷[표] | 남성 정장 | |
어리다 | 둔함[구], 어리석음[구] | 나이가 적음[표], 생각이나 경험이 적음[표] | |
여우 | 개과에 속하는 포식동물[표] | 교활한 사람,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 | |
여축[F] | 쓰고 남은 물건(餘蓄)[68] | 여자 축구(女蹴) | |
여제의 축복(女祝) | |||
열공[F] | 표면의 틈새 | 열심히 공부함(= 자고현량) | |
영감(令監) | 정이품 품계 이하의 당상관[표] | 나이가 많은 남성[표] | |
영구 결번(永久缺番) | 스포츠에서 은퇴한 최고의 선수를 기리기 위해 등번호를 영구히 사용하지 않음[표] | 치명적인 사고가 난 탈것(비행기, 기차 등)의 번호를 애도의 차원에서[73] 영구히 사용하지 않음 | |
예송논쟁(禮訟論爭) | 조선에서 현종 즉위 시기에 벌어진 정치적 분쟁[74] | 결론이 나지 않는 말싸움 | 비유적 의미 |
옥동자(玉童子) | 어린 남자아이를 귀엽게 일컫는 말 | 못생긴 남자 | 옥동자(봉숭아 학당) 문서 참고. 개그콘서트의 정종철이 옥동자 역을 맡은 것에서 유래했으며, 없거나 드문 용법이 유명한 곳에서나 유명인에게서 나왔다고 수많은 언중이 편승해 뜻을 바꿔버린 흔치 않은 경우다. |
유흥(遊興) | | 성매매 등 불건전한 놀이 | ‘유흥’의 의미 타락으로 인해, 일반적인 놀이는 유흥이 아닌 오락, 여가, 유희 등으로 불린다. |
응큼하다 | 엉뚱한 욕심을 품고 있음[표] | 변태적 성향이 있음 | |
인민(人民) | | 북한에서 국명 및 선전문구로 사용하는 단어 | 이 때문에 남한에서는 인민의 대체어로 ‘국민(國民)’을 사용한다. |
인상주의(印象主義) | 사물의 본질을 보지 못하고 순간적 인상만 표현하려고 하는 그림들 | 시시각각 바뀌는 빛과 형태 속 순간을 담아내는 미술 사조 | |
입구(入口)[F] | | 들어가는 곳[표][J] | 《중세 한국어》 문서의 〈어간 끝 ‘ㄹ’-어미 첫 ‘ㅇ’〉 문단도 참고. |
2.9. ㅈ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자동문(自動門) | 저절로 열리고 닫히는 문[표] | 축구 등에서 상대편의 공격에 맥없이 뚫리는 수비(주로 골키퍼) | 비유적 의미. 자동문(스포츠) 문서 참고. |
자뻑[F] | 고스톱에서 자신이 싼 뻑(=설사)을 먹는 것 | 자기에게 뻑감. 잘난 척, 자아도취의 동의어. | 요즘은 화투판이 아닌 이상 주로 후자의 의미로 쓰인다. |
자유(自由) | 제 멋대로 함 | 어떠한 것에 구속되지 않고 자기의 뜻대로 할 수 있는 상태[J] | |
작가(作家) | 문학, 미술, 음악 등의 예술 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예술가 |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블론세이브가 잦은 마무리 투수[83] | 비유적 의미로, 전술한 ‘방화범’과 일맥상통한다. 작가(야구) 문서 참고. |
작업(作業) | 일정한 목적과 계획 아래 하는 일 | 남자가 여자를 꾀는 것 | 시트콤 《세 친구》에서 윤다훈이 자주 사용하면서 유명해진 의미다. |
MMORPG에서 집중적인 사냥을 다르게 부르는 말 | 작업장 문서 참고. | ||
잠수함(潛水艦) | 물속으로 잠수하여 운용하는 선박 | 사전 공지 없이 실시하는 프로그램 패치 | 한국 온라인 게임계에서 쓰이는 의미로, 보통 ‘잠수함 패치’라고 칭한다. 영어권의 ‘Stealth Patch’와 일맥상통한다. |
재방송(再放送) | 이전에 방영했던 방영분을 한 번 더 방송함 | 같은 잘못을 반복함 | |
중독(中毒) | 생체가 음식물이나 약물의 독성에 의하여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일[표] | 술이나 마약 따위를 지나치게 복용해버린 결과, 그것을 복용하지 않으면 견디지 못하는 병적 상태(= 의존증, dependence) | |
어떤 사상이나 사물에 젖어버려 사물을 정상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상태(= 탐닉, addiction) | |||
중산층(中産層) | 상류층과 하류층의 중간 | 극상류층을 제외한 상류층 | 중산층의 서민화로 인한 의미 변화 |
지뢰(地雷) | 땅 속에 묻은 후 압력을 가하면 터지는 폭발성 무기 | 대변, 품질이 안 좋은 것(꽝카드) | 비유적 의미 |
직구[F] | 야구의 구종(直球). 패스트볼. | 해외 직접 구매(直購) |
2.10. ㅊ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차별(差別) | 차등을 두는 구별 | 불평등한 대우 | 전자의 의미로는 뒤에 접미사 ‘화(化)’를 붙여 ‘차별화’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
촌지(寸志) | 자그마한 뜻[J] | 교육자나 기자 등에게 주는 뇌물 | 같은 한자인 일본어 ‘すんし’는 후자의 의미 없이 여전히 전자의 의미로 통용된다. |
출구(出口) | | 나가는 곳[표][J] | 《중세 한국어》 문서의 〈어간 끝 ‘ㄹ’-어미 첫 ‘ㅇ’〉 문단도 참고. |
2.11. ㅋ, ㅌ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카드캡터(cardcaptor) | 카드를 수집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 | 경고를 자주 받거나 퇴장을 자주 당하는 선수 | 만화 《카드캡터 사쿠라》에서 파생된, 축구 관련 유행어. |
탈선(脫線) | 기차나 전차 따위의 바퀴가 선로에서 벗어남[표] | 말이나 행동 따위가 나쁜 방향으로 빗나감 | 비유적 의미 |
탐라[F] | 제주특별자치도의 옛 명칭 | 타임라인(timeline) |
2.12. ㅍ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파묘(破墓) | 옮기거나 다시 묻기 위하여 무덤을 파 냄 | 과거 행적을 캐내어 흑역사를 드러냄 | 영화 파묘 개봉 후 유행 |
팔방미인(八方美人) | 여덟 방위 어디에서 보나 아름다운 여성 | 한 가지 일에 정통하지 못 하고 온갖 잡일에 조금씩 손대는 사람 | 일본에서는 주로 후자의 의미로 쓰인다.[91] |
포장마차(布帳馬車) | 천을 덮은 마차 | 거리 노점 |
2.13. ㅎ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하로동선(夏爐冬扇) | 쓸모가 전혀 없는 것, 시기에 맞지 않는 것[표] | 언제인가는 쓰임새가 있는 것 | 대전에 이 이름의 식당이 있었는데,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는 당장은 쓸모가 없지만 화로는 겨울이 오면 쓸모가 생기고 부채는 여름이 오면 쓸모가 생긴다는 의미를 내세운 것이다. |
한글 | 국어를 나타내는 대한민국의 고유 글자 | 한국어 | 특히 한국어로의 번역을 ‘한글화’라고 한다. |
한글과컴퓨터의 워드프로세서 ‘한컴오피스 한글’ | 여기서 쓰이는 파일형식인 HWP를 뜻하기도 한다. | ||
항문(肛門) 후장(後腸) | 소화기 말단에 있는 배출기관 | 기타 문단 참고 | |
해적(海賊) | 바다에서 노략질을 일심는 무리[표] | 무허가로 출판된 출판물 또는 송출되는 방송 | 해적판 문서 참고. |
양식장에 피해를 주는 생물 | |||
허장성세(虛張聲勢) | 소수의 병력이 깃발을 잔뜩 들고 함성을 질러 대병력으로 보이게끔 위장하는 방책 | 실속 없이 떠벌리는 것 | 허세 문서 참고. |
환멸(幻滅) | 주로 자신이 기대했던 이상이나 꿈이 있었으나, 실제 현실을 마주하면서 그것에 대한 동경심 등이 깨짐 | 기대감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무언가에 느끼는 염증 | 후자는 ‘허탈하다’, ‘짜증나다’로 윤문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
2.14. 숫자, 알파벳, 가나
<rowcolor=#fff> 어휘 | 기존 의미 | 변화/추가된 의미 | 비고 |
<colbgcolor=#ed9,#540> analog (아날로그) | 연속적인 신호 | Solid-State형이 아니거나 완전 전자식이 아닌 제품들 | |
Baroque (바로크) | 찌그러진 진주, 덩치만 큰 건축 양식 | 17세기 유럽의 미술, 건축, 음악. 그리고 문학 등을 아우르는 예술 양식 | |
boy (보이) | 노예, 하층 남성 | 어린 남성(소년) | |
cider (사이다) | 사과주 | 라임향 탄산음료 |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후자의 의미로 쓰인다. |
control tower (컨트롤 타워) | 관제탑 | 일의 전체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나 조직 | |
digital (디지털) | 이산적인 신호 | 완전 전자식이고 Solid-State형인 제품들 | |
KFC |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 (Kentucky Fried Chicken) | 코리안 뻐킹 컨트리 (Korean Fucking Country) | 2000년대 초에 해외 원정 성매매 사건이 발생하면서 생겨난, 한국 여성에 대한 멸칭 |
mileage (마일리지) | 이동한 거리를 영미 단위계의 마일 단위로 나타낸 것 | 적립금 | |
nigro (니그로) | 검은색을 뜻하는 라틴어 형용사 | 흑인에 대한 멸칭 | |
notebook (노트북) | 공책 | 노트북 컴퓨터[J] | 도시바의 상표의 보통명사화 |
wallpaper (월페이퍼) | 벽지 | 컴퓨터 바탕 화면 | |
web (웹) | 거미줄 | 월드 와이드 웹 | |
Yankee Doodle (양키 두들) | 영국인들이 미국인들을 부를 때 쓰던 멸칭 | 미국인들이 스스로를 부르는 옛 별명 | |
you (유) | 2인칭 복수 대명사 | 2인칭 단수 대명사 | 원래 2인칭 단수로는 ‘thou’가 쓰였다. |
かわいい(可愛い) (카와이이) | 불쌍하다, 꼴 사납다[95] | 귀엽다 | 여기서 파생된 ‘かわいそう’는 원래 뜻인 ‘불쌍하다’를 유지하고 있다. |
カラオケ (가라오케) | 노래방, 녹음 반주 | 단란주점 | 한국에서는 주로 후자의 의미로 쓰인다. |
きさま(貴様) (키사마) | | 상대를 낮잡아 부르는 2인칭 대명사 | |
そんし(尊師) (손시 / 존사) | 스승을 높여 부르는 말 | 옴진리교의 교주 아사하라 쇼코의 별칭 | 한국 한자음은 ‘존사’. 일본에서는 옴진리교 사건 이후로, 교주였던 아사하라 쇼코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
プロ市民 (프로 시민) | 자각과 책임감(프로 의식)을 가진 시민 | 정치 성향이 다른 상대를 조롱하는 말 |
2.15. 기타
- 겹받침
겹받침은 1930년대에는 하층 계급의 언어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당연하게 여겨진다. - ㅏ아 / ㅓ어
‘ㅏ다’ / ‘ㅓ다’의 활용형(나다→나아)에서 ‘ㅏㅅ다’ / ‘ㅓㅅ다’의 활용형(낫다→나아)으로 변했다. (한국어/불규칙 활용 문서 참고) - 친구
본래 친척 및 가깝게 오래 사귄 사람을 뜻했으나 '친척'의 의미가 빠져 영어 'friend'의 의미로 쓰이다가(★), 현대 한국에서는 거의 동급생, 동년배를 가리킬 때에만 쓰인다. 그래서인지 '친한 친구', '안 친한 친구'도 쓰인다. 그리고 앞에 '남자'나 '여자'를 붙이면(남자친구, 여자친구) 애인만을 뜻한다. 현재 표준어인 'friend'의 의미는 북한에서 '동무'를 애용하다 보니 정치적 이유로 금기시한 것의 영향이고, '동급생', '동년배'의 의미는 군사정권으로 말미암아 민간에서 일상화된 군대 문화의 잔재이자 대한민국의 병역의무, 일제강점기부터 전승된 극도로 수직적인 조직 문화, 변질된 유교적 전통의 산물이다. 그리고 '남자친구', '여자친구'의 어원은 영어 'boyfriend', 'girlfriend'를 직역한 것이고, 전자의 뜻으로 쓸 땐 성 단어와 '친구' 사이에 '사람'을 붙이며, 드라마, 연예 프로그램 등에서도 '남사친', '여사친'으로 자주 쓴다. 정작 그냥 '사람 친구', '사친'으로는 안 쓴다. - 항문 / 후장
소화기관 말단에 있는 배출 기관으로, 본래 항문이 속칭이었으나, 현재는 후장이 속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2.15.1. 특정 국가의 문화상징이 된 일반명사
원래는 국가를 특정하지 않은 일반명사가, 다른 언어에서는 특정 국가의 문화상징만을 이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유어에 외래어의 동의어가 있는 경우 이런 경향이 짙다.특정 언어에서 국가 가리지 않고 사용되는 일반명사가 외국어에서는 특정 언어권만의 이것을 가리키는 국가상징 어휘로 쓰이는 예가 많다. 이 때문에 현지에서도 똑같이 쓸 거라는 착각을 하여 이것은 아무개가 아닌데 현지인들은 왜 아무개라는 거냐는 의구심이 들 수 있다. 겹말 문서와도 관련이 있다.
2.15.1.1. 한국어 한정
- 드래곤 - 영어로 용이라는 뜻이나, 한국어에서는 서양의 용만 드래곤으로 여긴다. 이 때문인지 드래곤과 용을 다른 존재로 생각하여 '드래곤 vs 용' 같은 표현도 자주 보인다. 하나 서양에서는 동양의 용을 그냥 '드래곤'으로 부르며, 동양에서도 이에 맞추어 서양의 드래곤을 '용'으로 부르는 사례는 꽤 되어 성격이 다른 같은 존재로 여겨지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나무위키나 유튜브 등을 비롯한 인터넷계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 용과 드래곤 문서 참고.
- 레스토랑 - 영어 및 프랑스어로 식당을 뜻하나, 한국어에서는 서양식 고급식당만을 의미한다.
- 치킨 - 영어로 닭 또는 닭고기를 의미하나, 한국에서는 닭 중에서도 프라이드 치킨만을 의미한다. 물론 닭 자체가 영어로 치킨인 것은 한국인들도 잘 알고 있다.
- 트리 - 영어로 나무라는 뜻이나, 한국어에서는 별 다른 수식어가 붙지 않으면 주로 크리스마스 트리를 의미한다. 다만 한국어에 '크리스마스 트리'라는 표현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 팝송 - 영어로 대중가요를 의미하지만 한국에서는 영어권만의 대중가요를 주로 의미한다.
2.15.1.2. 한국어/외국어 공통
- 사케 - 일본어로 술이라는 뜻이나, 외국에서는 일본 전통주[96]만을 의미한다. 이걸 모르는 외국인들은 맥주나 와인을 왜 '사케'로 부르냐며 상당히 황당해한다.
- 샹송 - 프랑스어로 노래라는 뜻이나, 외국에서는 프랑스어권의 대중가요를 의미한다.
- 에스카르고 - 프랑스어로 달팽이라는 뜻이나, 외국에서는 프랑스 특유의 달팽이 요리를 의미한다.
- 짜이 - 힌디어로 차라는 뜻이나, 외국에서는 인도 특유의 향신료 밀크티만을 의미한다. 그래서 '짜이 티'라는 인도인들이 황당해할만한 표기도 자주 쓰인다(...).
- 하우카르틀 - 아이슬란드어로 그린란드상어라는 뜻인데, 외국에서는 그것을 삭힌 아이슬란드만의 요리만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란란드상어로 그린란드상어를 만든다는 괴랄한 문장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 핸들 - 영어로 손잡이, 응대하기 등을 뜻하지만,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는 운전대를 뜻한다.
2.15.1.3. 외국어 한정
- Aeni(애니) - 한국어로 국가 상관없이 '애니메이션'의 줄임말이지만, 외국에서는 한국 애니메이션만을 의미한다.
- Anime(아니메) - 일본어로 국가 상관없이 '애니메이션'의 줄임말이지만, 외국에서는 일본 애니메이션만을 의미한다.
- beef, mutton, pork, venison - 프랑스어 어원으로 본디 소, 양, 돼지, 사슴을 뜻했으나 이들에게서 얻은 고기를 뜻하는 단어로 정착했다. 프랑스어권의 문화상징이 된 것은 아니지만 외국어 일반명사가 다른 뜻으로 변화한 경우다.
- Manga - 일본어로 국가 상관없이 만화를 뜻하지만, 외국에서는 일본 만화만을 의미한다.
- Manhua - 중국어로 국가 상관없이 만화를 뜻하지만, 외국에서는 중국 만화만을 의미한다.
- Manhwa - 한국어로 국가 상관없이 만화를 뜻하지만, 외국에서는 한국 만화만을 의미한다.
2.16. 종류별
- 인칭 대명사
- 내(1인칭), 네(2인칭): 인칭 대명사 '나', '너'에 격 조사 'ㅣ'가 결합된 말(◆). → 인칭 대명사 '나', '너'의 다른 형태(★). ※'너가'는 그른 말이다.
- 누구: 이 단어의 옛말 '누'에 의문 어미가 붙은 말에서 마지막 모음이 변한 말(◆). → 의문 대명사(★).
- 당신: 상대를 높여 부르는 말. → 상대를 낮잡아 부르는 말.
요즘은 구어체에서 상대를 높이거나 친근하게 부르는 용도를 보기 힘들고, 대부분 상대를 부정적으로 바라볼 때 쓰인다. 그래서 문어체를 제외하고 부부 사이에 다정하게 부르는 경우가 아니면 얄짤없이 멸칭이 된다. 일본어의 '키사마(貴様)'와 더불어 경칭이 비칭화된 대표적 사례.[97] - きさま(貴様, 키사마): 상대를 높여 부르는 말. → 상대를 낮잡아 부르는 말.
- 남녀를 가리지 않고 사용하였으나 후대에 한 쪽으로 치우친 사례(3인칭 등)
- 그[彼], 소년(少年), 신(神), 왕(王) 등: 후대에는 대부분 남성에게만 사용되고 여성에게는 '그녀', '소녀', '여신', '여왕' 등이 쓰이며, 성 구별 없이 여럿이 통칭될 때에는 '그들', '신들', '왕들' 등이 쓰인다. 간혹 '그남'이 쓰이기도 한다.
- 미인(美人): 후대에는 대부분 여성에게만 사용되고, 미남미녀가 통칭될 때 가끔 쓰인다.
- girl: '소년'처럼 어린 사람을 뜻했으나 'boy'가 '노예 또는 하층 남성'에서 '어린 남성'의 뜻으로 바뀌어서 'girl'이 '어린 여성'의 뜻으로 바뀌었다.
- 지적장애, 지체장애 등 관련
- 바보: 어리석고 지능이 낮은 사람(★). → 우직하고 선량한 사람, 무엇을 특별히 아끼고 좋아하는 사람. ※여전히 전자의 의미로도 많이 쓰이지만 다른 심한 욕설들이 나온 탓에 상대적/절대적으로 수위가 매우 낮아졌다.
- 순우리말 다수('벙어리', '앉은뱅이', '장님' 등): 원래는 비하하는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20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성경에 이런 단어가 그대로 쓰였다. 또한, 성경의 메시지를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려면 당시 대중들에게 익숙한 단어가 효과적이기 때문에 어르신들이 보시던 성경책에는 예스러운 순우리말이 많다. 하지만 언론에서는 아무래도 '언어장애', '하반신 마비', '시각장애' 등 전문적인 용어를 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격이 떨어는 보이게 되었고, 욕할 때에는 아무래도 순우리말이 입에 쉽게 붙어서인지, 어느새 비하하는 뉘앙스를 품게 되어 현대의 국어사전에는 장애인을 낮잡는 말로 정의되어 있다(★). 그 영향으로 아예 비하적 표현이라는 낙인이 찍힌 상황이다.
- 고자(鼓子): 성기능에 장애가 있는 남성.(★) → 무능. → ①특수기능을 사용하지 못함(ex. 불고자). ②특정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하지 못함(ex. 패션고자).(ⓝ) ※이런 뜻으로 남성 성기능 장애자를 의미하는 '고자'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성차별적 내지는 장애인 비하적 표현이라는 의견들이 있다.
- 난독증: 학습장애의 일종.(★) → 글의 내용이나 요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해 동문서답을 하는 것.
- 병신: 병든 몸(★). → 개념 없는 사람(★, ⓝ).
- 저능아: '저지능(지적장애) 아동'의 약칭(★). → 지적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 ※'정박아', '지진아' 등의 단어들도 원래는 비하 의미가 아닌 약칭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적장애인을 비하하는 의미로 변질되었다.
2.16.1. 언어유희
- 능지처참: 고대 형벌의 하나(★). → 지능이 낮다고 하는 것을 비하하는 표현.
- 무재배: 무를 재배하는 것. → 무승부를 기록하는 것.
- 복돌이: 복스러운 사내아이('福' + '~돌이'). → 불법복제품 사용자('복사' + '~돌이'). ※젊은 세대에서는 거의 후자의 뜻으로 쓰이며, '복돌' + '-이'로 오인되어서 '복돌하다' 등도 만들어졌다.
- 손절: 손해를 끊는 것 → 손을 끊는 것(≒절연)
- 시망: 시망 사브로자의 이름. → 죽음. → 망함.
- 정돌이: 사람 또는 동물의 이름. → 정품 사용자. ※'정품' + '~돌이'. '복돌이'에 대비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 주작: 사신 가운데 남방을 지키는 신령(朱雀, ★). → 사실이 아닌 것을 만들어냄(做作, ★). ※'做作'은 사어였으나 마재윤의 스캔들로 말미암아 '조작(造作)'의 동의어로 쓰이게 되어 부활했다.
- 헬로 키티: 산리오의 캐릭터. → 2015년에 부상한 한국 프로야구의 4개 팀(LG, 롯데, 기아, KT)을 비하하는 말(한국 한정, 헬로키티(야구) 문서 참고).
- CCCP: 키릴 문자 СССР와 형태가 유사함. → 소련.
2.16.2. 시제
- 현재형(~다):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낼 때도 쓰임(예: B로 이어지게 된다).
- 과거형
- ~(아/어)ㅆ다: 현재 상태를 나타낼 때도 쓰임(예: 범인은 A씨였다).
- ~(아/어)ㅆ으면: 과거 가정/조건. → 특히 '좋겠다'나 '한다', '싶다'와 결합하면 미래 희망을 나타내는 말이 된다.
- ~(으)ㄹ 것이다: 상대 시제 + 의존 명사 + 서술격 조사. → '~(으)ㄹ'의 절대 시제.
- ~(으)ㄹ 때, ~(아/어)ㅆ을 때: 비과거, 과거. → 과거, 비과거
(주객전도).
2.17.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뜻이 다른 분야로 확대되지 않은 상표는 〈상표의 보통명사화〉 문서에서 볼 것.
2.18. 고유명사가 된 보통명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유명사가 된 보통명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유명사가 된 보통명사#|]][[고유명사가 된 보통명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관련 문서
- 거짓짝, 동음이의어·다의어, 이음동의어
의미 변화에 따라 생길 수 있는 것. - 나라별로 다른 영어 표현,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외래어
같은 글자 단어가 서로 다른 나라에서 같은 뜻으로 쓰이다가 한 나라 또는 몇몇 나라에서 뜻이 바뀌어 서로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그 예가 위에도 적힌 '촌지'인데, 같은 한자(寸志)를 쓰는 일본어 'すんし'는 여전히 '자그마한 뜻'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 번역체 문장, 오역, 직역
뜻이 달라져 번역체 내지 오역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서로 다른 나라에서 다른 뜻으로 쓰이는 같은 글자 낱말을 곧이 곧대로 번역하면서 같은 뜻으로 쓰기도 한다. - 일본식 한자어
특히 이 시대에 여러 한자어의 뜻이 바뀌어 일본식 한자어가 되기도 했다. 위에도 있는 '입구(入口)'와 '출구(出口)'가 그 예로, 이들은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いりぐち', 'でぐち'의 한자 표기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서 뜻이 바뀌었다. 중국어의 '入口(rùkǒu)'와 '出口(chūkǒu)'도 해당 한자 표기가 중국 한자음으로 읽어지면서 뜻이 추가되었다. 위 문단에도 여러 사례가 있다. -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
- 민간어원
- 별난 이름
- 숙어
- 신조어
- 언어순화 운동
- 언어의 보수성, 언어의 사회성, 언어의 역사성
- 언어 변화
- 언어 사대주의
- 언어 순수주의
- 역 두문자어
- 와전
- 욕설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 인과관계
- 상표의 보통명사화
- 자주 틀리는 한국어, 틀렸다고 오해하기 쉬운 한국어, 자주 틀리는 외래어,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자주 틀리는 한자어
많은 사람이 그르게 쓰는 말을 국립국어원 측이 옳은 말로 인정하기도 한다. - 주객전도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훈의 의미 변화에 관한 내용이 있다.
[1] 원래는 인도인이라는 의미였지만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명명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의미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이 자체가 사실도 아니고 긍정적인 의미도 아니기 때문에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의미로 회귀되어 많이 정정된 예.[표] 한국 표준어.[구] 한국 옛 표준어.[방] 한국 방언.[고] 보통명사가 된 고유명사[J] 일본식 한자어 또는 재플리시.[F] 어원 다름(= False Friend).[8] 그래도 계집애의 방언인 \'기집애', \'지지배'는 젊은층에서도 거부감 없이 쓰인다. 특히 ‘지지배’는 어감이 귀여워서 애칭처럼 쓰이며, 90년대 말에는 \'지지베'라는 10대 소녀 타깃 의류 브랜도도 인기를 잠깐 모았다. 링크, 링크 2(이효리 사진 tkdl에 해당 브랜드 의상을 착용한 사진이 있다)[9] 일본어의 'おとこ(男)'와 'おんな(女)'의 쓰임과 상당히 비슷한데, 'おんな'는 'おとこ'와 달리 아무런 접속도 없이 단독으로 쓰이면 멸칭이 된다.[표] [표] [F] [표] [14] 피동형(관광당하다)으로 쓰면 상대에게 참담하게 지는 것을 의미한다.[표] [표] [17] 인터넷 연예 기사 제목을 보면 ‘음원 깡패’, ‘분위기 깡패’ 같은 표현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 변화를 단적으로 나타낸 자막이 라디오 스타의 돌아이돌 특집에 등장했는데, 이 날에 려욱, 헨리, 정준영과 함께 출연한 지코를 설명하는 자막이 “사과만 하던 깡패에서 음원 깡패로”다.[J] [F] [20] ‘No’ + 강화(强化)[21] ‘놀다’의 명사형은 ‘놂’. 어간 말음 ‘ㄹ’ 뒤에는 매개모음이 안 붙는다.[22] 구리의 푸른색 녹. ‘녹청’, ‘동록’이라고도 한다.[표] [표] [구] [표] [표] [28] 예: “당신은 다른 병원에서 안 돼 가지고 이리로 왔어요.”[29] 예: “당신이 뭔데 참견이야?”[30] 현대 한국어에서 ‘당신’은 문어체를 제외하면 상대를 높이거나 친근하게 부르는 용도를 보기 힘들고, 대체로 부부관계에서 쓰이거나, 상대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표] [표] [표] [표] [F] [표] [표] [F] [F] [표] [표] [표] [표] [44] 중국 수나라(隋) 때부터 사용된 용어로, 시대별로 미묘한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농사를 생업으로 하는 평민들을 일컫는 말이었다.[45] 백정 계급이 소멸한 근대 이후에도 형평운동이 비판하는 바처럼 도축업자들을 '백정'이라며 멸시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도 마치 도축을 하는 무자비한 살육을 벌이는 걸 비유해 ‘인간백정’이라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 이들을 양인과 동등한 계층으로 묶고자 ‘신백정’이라는 말이 생겼지만 결국 의식 개선에 실패했고, 도리어 계층의 명칭만 ‘백정’으로 바뀌었다.[F] [표] [표] [J] [표] [F] [52] ‘福’ + ’~돌이’[53] ‘복사’ + ‘~돌이’[표] [F] [F] [57] 싸- + -구려[58] 싸- + -구리- + -어[표] [표] [표] [구] [구] [표] [표] [표] [F] [68] 표[F] [표] [표] [표] [73]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74] 자의대비의 상례 절차인 상복을 두고 서인과 남인 사이에 벌어진 두 차례의 정치적 분쟁이다.[표] [표] [F] [표] [J] [표] [F] [J] [83] 역전 드라마의 시나리오를 써내려간다는 의미로, 선수로서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다.[표] [F] [J] [표] [J] [표] [F] [91] 가나 표기는 ‘はっぽうびじん’.[표] [표] [J] [95] 옛말: かほはゆし(顔映し)[96] 일본에서는 보통 자국의 전통주를 日本酒(니혼슈)라고 부른다.[97] 또한 일본어의 'あなた'가 일본에 자주 쓰인다는 말도 있는데, 실상은 발언자 본인이 위에서 거만하게 본다는 의미인 '上から目線'라는 어감도 있고 남을 깔보는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샐러드|샐러드]]}}}{{{#!if external != "o"
[[샐러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샐러드?uuid=d3ad5feb-8700-431f-b626-4ca5a443e1a7|r20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샐러드?uuid=d3ad5feb-8700-431f-b626-4ca5a443e1a7#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샐러드?from=20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샐러드|샐러드]]}}}{{{#!if external != "o"
[[샐러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샐러드?uuid=d3ad5feb-8700-431f-b626-4ca5a443e1a7|r20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샐러드?uuid=d3ad5feb-8700-431f-b626-4ca5a443e1a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샐러드?from=20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오마카세|오마카세]]}}}{{{#!if external != "o"
[[오마카세]]}}}}}}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오마카세?uuid=b834e021-30ee-41c4-8bef-7b14b17b0acb|r424]]}}}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오마카세?uuid=b834e021-30ee-41c4-8bef-7b14b17b0acb#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오마카세?from=424|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고증 오류|고증 오류]]}}}{{{#!if external != "o"
[[고증 오류]]}}}}}}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고증 오류?uuid=f3bad18b-c8d0-4f06-8555-255ac8cef5ec|r515]]}}}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고증 오류?uuid=f3bad18b-c8d0-4f06-8555-255ac8cef5e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고증 오류?from=515|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