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별 명칭 | |
한자 | 脫線 |
영어 | derailment |
중국어 | 出轨 |
일본어 | [ruby(脱線, ruby=だっせん)] |
[clearfix]
1. 개요
전라선 율촌역 무궁화호 탈선사고 |
열차가 선로를 벗어나는 사고.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열차사고 형태 중에 하나로 큰 인명피해를 일으키지 않는 단순한 탈선사고는 별것 아닌 가벼운 사고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으로 탈선사고 자체를 결코 우습게 여길 수 없는데 아무리 사소한 탈선사고라 할지라도 선로가 막혀버리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후속열차의 지연을 유발하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탈선사고는 가벼운 탈선사고[1]부터 대형참사로 이어지는 대형사고까지 다양하게 발생한다. 단순 탈선사고 자체는 큰 인명피해를 일으키지 않지만 충돌 추돌 등의 사고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한 탈선사고이거나 탈선으로 인해 타오름현상 혹은 잭나이프현상 등[2]이 부수적으로 따라올 경우 대형참사가 일어난다.
말 그대로 철도차량이 선로를 이탈했다는 의미로, 열차가 선로를 벗어나게 되는 순간에 사고가 발생한다. 탈선이 한번 일어나면 거기에 타던 상당수의 승객들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만약 고속 주행 도중에 탈선사고가 발생하면 대형참사를 피할 수 없다.
그 외에는 많은 금전적 손실을 일으킨다. 2010년 4월 11일 발생했던 과천선 범계~금정역간 탈선사고의 경우는 아무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경미한 사고이지만 이리저리 헤집어놔 파손된 대차 및 선로시설을 복구하는데 총 1억 1천만원(116,028,783원)의 비용이 들었다. 물론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선로를 사용할 수 없음에 따른 기회비용까지 고려하면 실질적인 비용은 더 커져버린 셈이다.
심지어는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노선의 열차들도 지연, 혹은 쿨하게 취소되기도 한다. 열차의 정시성을 믿고 열차 티켓을 예약한 사람들이 입는 피해도 당연히 만만치 않다. 사고당시 열차들이 올스톱하는 피해는 당연하거니와, 그 이후에도 "일부 복구"나 "정시 출발"이라는 말에 낚여서 열차를 탔다간 몇시간 열차 내에서 대기해야 할 수도 있다. 승차한 열차가 우선순위가 낮은 열차(무궁화호)라면 우선순위 높은 열차 하나(KTX)를 위해 비효율적으로 느껴질 정도의 지연도 감내해야 한다. 길바닥에서 자동차 긁히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단순 탈선사고면 인명피해는 경미하나, 탈선 후 전복까지 이루어졌다면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탈선을 예방하는 방법은 곡선구간 저속주행, 리드레일 설치 등이 있으며, 연접대차를 사용하면 탈선 시 전복이나 열차 절단의 위험이 적다.
2. 원인
탈선의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곡선 구간에서의 과속
곡선 구간에서는 관성의 영향으로 열차는 커브 방향 밖으로 쏠리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럼에도 열차가 커브구간을 통과할 수 있는 이유는 곡선 선로에 기울임을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곡선을 통과하게 하거나, 열차를 기울여 관성을 최소화하는 열차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속을 하게되면 커브 바깥으로 쏠리는 힘이 강해지게 되고, 두 힘의 균형점을 넘어 탈선하게 된다. 2005년에 발생한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도 이 원인에 해당된다. 이 경우에는 탈선 뿐만이 아니라 차체가 원심력을 이기지 못하고 옆으로 넘어가거나 심하면 전복되어 대형참사가 될 수 있다.
- 선로최고속도 초과
선로의 설계 한도를 초과한 경우이다. 열차의 대차는 일정속도를 넘어서게 되면 떨게 되어있는데[3] 이것이 극도로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 바로 탈선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문제는 이것이 탈선으로 그치지 않고, 열차가 뒤집어지는 현상도 동반될 수 있다는 것. 독일의 ICE도 이러한 진동문제를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유명하다.[4] 또한 신칸센도 이러한 전형적인 차체떨림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걸렸다. 선로의 최고속도를 준수하는 것만으로도 탈선을 막을 수 있으며, 이는 선로가 이러한 떨림현상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 대차와 궤도 사이의 이물질
대차는 쉽게 말하면 '열차 바퀴'이다. 저속상태에선 별 문제가 없지만, 고속으로 달리는 경우엔 크게 문제가 있다. 물론 열차가 무게가 있기 때문에 부수거나 찌끄러뜨릴 수는 있지만, 그래도 어지간한게 선로에 끼이면 바로 탈선 요인으로 작용된다. 그래서 열차 선두차에는 이러한 이물질을 튕겨내는 장치(배장기)가 설치되어있다. 증기 기관차 앞에 쐐기꼴로 툭 튀어나오게 만든 것도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쓰인다. 1980년 일본에서 일어난 케이한 본선 열차 탈선사고와 2020년 소토보선 탈선 사고가 이 원인에 해당되는 사고로, 케이한 본선 탈선사고의 경우 중학생들이 장난으로 선로 위에 올려놓은 콘크리트제 케이블 트로프 덮개[5] 때문에 열차가 탈선하면서 104명이 중경상을 입고[6] 선로 인근 민가가 파괴된 큰 사고였다.[7] 소토보선 탈선의 경우 선로 위에 돌을 올려놓은 10세 초등학생이 체포되기는 했으나 탈선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8] 더 나아가서 건널목에서 건너던 차량과 충돌하고, 그 차량이 기차 밑으로 들어가면서 탈선하는 경우도 있다. 그렌데일 열차 충돌 사고를 예시로 들 수 있다.
- 기타 열차 시스템의 오작동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가장 흔한 것이 선로 분기기의 오작동이다. 열차 한 량은 보통 앞쪽과 뒤쪽 각각 두 개의 대차에 의해 선로 위에 지지되는데, 열차가 선로의 갈림길인 분기기 위에 올라간 상태에서 분기기의 방향이 바뀌면 앞쪽 대차와 뒤쪽 대차가 서로 다른 선로로 올라가게 된다. 두 선로가 평행하지 않은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평행하더라도 차량 간의 이음매가 불가능한 방향으로 꺾이게 되어, 결국 탈선을 일으킨다. 영화 노잉과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3 에서 이러한 이유로 지하철이 탈선하는 장면이 나온다.
- 고열로 인한 레일 좌굴(Buckling)현상
이상 고온으로 인해 철도 레일이 열팽창을 이기지 못하고 수평방향으로 휘어버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대전조차장 화물열차 탈선사고가 그 예시. 때문에 철도레일의 휨을 막기 위해, 레일에 살수작업을 하여 레일을 식힌다. 또한 대한민국 코레일에서는 큰 사고를 막기 위해 폭염경보 발령 시 운행 속도를 낮춘다.
- 자연재해
지반이 무너져 열차도 덩달아 무너진 경우. 라스푸티차 같은 경우 러시아에선 시도때도 없이 자주 있는 일이다. 라하르로 인해 다리가 유실되면서 탈선한 탕이와이 철도 참사, 눈사태로 탈선한 웰링턴 눈사태와 로저스 패스 눈사태 또한 이 케이스다.
- 신호위반
안전측선이나 탈선분기기는 보통의 분기기와 달리, 열차가 탈선하는 방향이 정위이다. 진행하라는 신호가 떨어지면 반위가 되어 선로가 개통되고 열차가 지나갈 수 있다. 정지 신호를 어기고 그냥 가면 분기기를 지나갈 수 없고 그대로 탈선.
- 선로전환기 할출 후 임의 퇴행(할입)
선로전환기가 정당한 방향으로 개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향으로 진행하면 선로전환기가 파손되는데 이를 할출이라 한다. 할출 상태에서 기관사가 당황하거나 할출을 인지하지 못하고 퇴행하면 텅레일 밀착 불량으로 궤도를 이탈하게 되는데 이를 할입이라 한다. 선로전환기 할출 시 기역쇠, 첨단간, 밀착간 등이 파손되어 텅레일이 제자리에 밀착되지 못하고 벌어진 상태가 되는데, 그 상태에서 열차가 퇴행하면 차륜이 서로 다른 방향의 선로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탈선 사고는, 대체적으로 철도공학기술이 부족한 후진국을 중심으로 나오기도 하나, 새로운 기술에 대하여 철저한 시험을 거치지 않은 나라들에서도 일어나기도 한다. 후진국이 아닌 나라에서 발생한 유명한 탈선사고들이 있으며 독일에서 발생한 에세데 사고와 일본에서 발생한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등이 이에 해당한다. 두 나라 모두 후진국이 아니며 오히려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나라들에 해당한다. 탈선 사고의 원인은 생각외로 다양하기 때문에 그러한데 후진국에서 발생하는 탈선사고는 기술력 부족이나 자본력 부족으로 인해 막을 수 없는 사고라면 후진국이 아닌 곳에서 발생하는 대체로 인재에 해당한다. 독일의 에세데 사고는 안전불감증의 영향으로 발생했고 일본의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는 일본 사회 특유의 똥군기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으로 기술력과 경제력의 문제가 아닌 일본 사회의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한 참사이다.[9]
3. 주요 탈선사고
- 탕이와이 철도 참사
- 마인드 벤더 롤러코스터 탈선
-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10]
- 빅 바유 캐넛 탈선 사고
- 에세데 사고
- 스페인 갈리시아 고속열차 탈선사고
-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 오클라호마 화물열차 탈선 사고
- 라크 메간틱 유조열차 탈선 참사
3.1. 국내 탈선사고 목록
자세한 내용은 철도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4. 파생된 표현
- 말이나 행동이 일반적인 규칙이나 규범 등을 벗어나 나쁜 방향으로 빗나간다를 의미하는 단어. 한국과 일본에서 쓰이는 속어로, 주로 비행청소년들에게 쓰이는 용어다. 타락의 순화 표현 또는 다운그레이드 버전이라 할 수 있겠다.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에서 노브가 일정 보정값을 벗어나면 콤보가 끊기게 되는데 이걸 탈선이라고 한다.
- 운전면허 기능 시험시[11] 검지선을 접촉 하였을 때도 탈선이라고 한다.
5. 관련 문서
[1] 잘 가던 열차가 갑자기 멈춰버리는 경우 열차의 고장이 아니라면 가벼운 탈선사고를 의심할 수 있다.[2] 타오름현상은 대체로 구형 일반열차에서 일어나며 잭나이프현상은 고속열차에서 일어난다. 둘 다 객차끼리 큰 충돌이 발생하므로 인명피해를 일으키게 된다. 이 경우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3] 열차 사행동의 주원인이다. 선로가 완벽하게 매끈한 경우는 없다. 열차의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선로의 요철에서 더 큰 힘을 받게 된다.[4] 그리고 그걸 미봉책으로 극복해 보려다가 터진 것이 에세데 사고.[5] 당시 언론에서는 단순히 '돌'이라고만 보도했다.[6] 기적적으로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7] 참고로 일본에서 열차 선두차에 배장기가 설치되게 된 계기가 바로 이 사고였으며, 당시만 해도 선로 인근에 철책 등의 안전장치가 없어 누구나 쉽게 선로에 진입할 수 있었으나 이 사고를 계기로 각 철도 사업자들이 선로변에 철책과 철조망 등을 설치하여 보행자들이 선로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조치하기 시작했다.[8] 다만 선로에 돌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놓여 있었던 흔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9] 일본의 경우 철도교통이 매우 발전했는데 주요 노선들의 선로가 포화되다 못해 과포화된 상황으로 열차 하나가 지연될경우 모든 후속열차의 운행에 지장이 생긴다. 이 때문에 열차의 정시성에 매우 예민한 일부 철도 운행회사 측에서는 기관사를 압박하고 괴롭히는 경우가 더러 있었고 이게 심화되어 똥군기로 비화하는 상황까지 이어지기도 했다.[12] 해당 회사 내부에서는 기관사들을 모아놓고 조리돌림을 하는 등 비인격적 대우가 비일비재했고 초보 기관사가 멘탈적으로 흔들리는 바람에 발생한 것이 JR 후쿠치야마선 사고이다.[10] 다만 이 사고는 차량이나 궤도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게 아니라, 선로 인근에서 무허가 굴착 공사를 하여 일어난 것이다.[11] 특히 2종소형 면허에서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