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5:42:29

러시아 철도

RZD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러시아 철도를 소재로 한 보드게임에 대한 내용은 러시안 레일로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인 디아스포라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러시아 연방보안국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ОА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러시아 철도 주식회사
파일:러시아 철도 CI.svg
<colbgcolor=#dcdcdc,#555555> 정식명칭 ОАО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한글명칭 러시아 철도
설립일 2003년
영업 지역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상위기관 러시아 연방정부
웹사이트 파일:러시아 철도 로고.svg[1]

1. 개요2. 소개3. 1,520mm 러시아 광궤4. 열차 이용5. 지역별 지사6. 노선7. 열차 등급
7.1. 엘렉트리치카7.2. 장거리 열차7.3. 삽산7.4. 알레그로7.5. 라스토치카/피니스트7.6. 스트리시7.7. 모스크바 광역전철
8. 주요 역
8.1. 모스크바8.2. 상트페테르부르크8.3. 그 외
9. 관련 문서

1. 개요

러시아의 여객철도 사업자. 러시아어로는 Российские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로시스키예 젤레즈니예 도로기, Rossiyskie Zhelezniye Dorogi), 영어로는 이를 그대로 번역한 Russian Railways로, 약자는 키릴 문자로 РЖД(예르제데), 로마자로 RZD이다. 소유노선 총연장 약 86,000km로 미국암트랙이나 인도 철도를 능가한다. 본사는 모스크바 에 있다. 러시아 연방 정부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공기업이다. 직원 수는 2018년 기준 91만 1,000명, 수송실적은 화물 12억 8,960만 톤(3조 3,048억 톤-km), 여객 11억 5,720만 명(1,294억 인-km)이다. 여객 수송의 비율은 장거리 노선이 75%, 근교 노선이 25% 수준을 차지한다. (2018년 연간보고서 영어판)

관련 회사로 모스크바에서 공항철도를 운영하고 있는 아에로익스프레스(RZD 지분 50%)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근교철도를 운영하는 북서근교여객철도(СЗППК, 지분 75%), 사하 공화국 철도(지분 49.9%) 등이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발칸스키 역 인근에 철도박물관이 있다. 공식 홈페이지 구글 맵 한국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상당한 규모에 전시물도 방대하며 설명도 영어로 상세하게 되어 있다. 열차포와 이동식 미사일 발사 시스템 같은 철도와 관련된 무기류도 전시되어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외에도 지사별로 노보시비르스크, 예카테린부르크 등에도 기념관 수준의 철도박물관이 있다. 하바롭스크에 있는 극동 철도박물관은 2019년 현재 휴관 중이니 참고. 기타 추가적인 내용은 철도박물관(동음이의어) 참조.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명문구단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모기업이다.

2021년 10월 11일 로스텍(사)[2]는 러시아 철도에 위성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공식 보도했다. #

2. 소개

러시아 제국 시절인 1842년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구간으로 러시아 철도가 시작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난 1914년에 이미 총연장 58,500km에 달했다. 1차대전과 러시아 혁명 때 철도 시설의 60%, 기관차의 90%, 철도차량의 80%가 파괴되었고, 열심히 복구했지만 곧이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철도망의 40%, 기관차의 50%가 다시 파괴되었다. 1991년 구소련 붕괴 이후 소련 교통통신부를 계승해 1992년 1월 20일 러시아연방 교통통신부가 발족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이 추진한 연방철도사업 개혁의 일환으로 2003년 9월 18일 러시아연방 정부결의 585호에 따라 지금의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Noseondo.jpg

세계에서 가장 넓은 땅덩어리를 가진 러시아답게 대한민국경부선이나 일본도카이도 본선이 우스울 정도의 초장거리 노선들이 즐비하며, 역시 가장 유명한 것은 유럽 땅인 모스크바야로슬라브스키 역에서 동아시아동해에 면한 블라디보스토크블라디보스토크역을 잇는 9,334km의 세계에서 가장 긴 단일 철도노선인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있다. 그것도 전 구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있고 선형이나 정비 상태도 상당히 좋다.[3] 비슷하게 국토가 너무 넓어서 항공기(저비용 항공사)에 밀려 장거리 여객철도가 자주 다니지 않는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 브라질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여객철도의 비중도 적지 않은 게 특징.[4] 물론 화물철도계의 본좌이기도 해서,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러시아를 여행하다보면 100량 이상을 달고 다니는 대륙의 기상을 자주 볼 수 있다.

3. 1,520mm 러시아 광궤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Gwang.jpg
러시아 인근의 초록색 계통이 러시아 광궤, 주변의 푸른색 계통이 표준궤 사용 지역.

대한민국코레일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1,435mm 표준궤가 아닌 독자적인 1,520mm 러시아 광궤 궤간을 사용한다. 러시아가 굳이 대륙의 다른 국가들과 달리 독자적인 궤간을 채택한 이유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단점이라면 역시 주변국 철도와의 호환성 문제인데 사실 러시아와 육로로 이어지는 주변국 대부분은 몽골처럼 그냥 따라서 러시아 광궤를 사용하거나[5] 핀란드처럼 러시아 광궤와 호환되는 궤간(1,524mm)의 철도가 주로 깔려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러시아가 너무나 큰 나라다보니 스스로 자기표준을 만들어버린 셈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1945년 태평양 전쟁 패전 시점까지 일본이 통치했던 사할린에는 예외적으로 일본 철도 대부분이 그렇듯 1,067mm 케이프 협궤 궤간으로 철도가 깔려 있었다. 북사할린은 러시아-소련이 통치했지만 여기는 2차대전 전까지 철도가 없었다. 이는 어차피 대륙 본토와 연결되지도 않는 섬의 철도다 보니 일본도 본토가 그렇듯 협궤로 저렴하게 철도를 깔았고, 소련이 다시 사할린을 차지한 뒤에도 굳이 본토와 연결되는 것도 아니니 일본이 깔아놓은 철도를 연장하고 개량하며 계속 써왔기 때문. 2019년에 사할린 철도 전 구간이 러시아 광궤로 개궤가 완료되었다. 마찬가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독일 땅이었던 칼리닌그라드의 경우, 과거 표준궤인 북동프로이센 철도가 깔려있었으나 소련이 점령한 이후 그단스크베를린으로 이어지는 노선을 제외하고는 전부 광궤로 개궤한 바가 있다.

4. 열차 이용

과거에는 영어로는 러시아어 사이트와 같은 조건으로 표를 예매할 수 없어 여행 카페 등지에서는 구글 번역기를 돌려서 예매하는 을 돌리던 시절도 있었지만,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최 시점에 맞춰서 공식 사이트에서 영어로도 러시아어와 똑같이 기차표를 검색하고 예매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창구에 가면 침대는 위 칸이냐 아래 칸이냐 등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이 많아서 시간이 오래 걸리며 창구에서는 대체로 영어가 통하지 않으므로 인터넷으로 편하게 예약해놓고 가는 편이 낫다. 러시아인들은 물론 사람마다 다르지만 귀에 잘 들어오지도 않는 외국인의 영어를 미소지어주면서 열심히 들어주는 분위기가 아니다. 그래도 간단한 러시아어라도 통하면 상당히 친절해진다.

인터넷으로 예매하면 E티켓을 프린트하여 바로 승차권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역 창구에 있는 기계에서 일반 티켓으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중장거리 열차 이용에는 탑승 전에 차장에게 여권 제시가 필수적이다. 러시아인들도 국내용 여권을 가지고 다니는데, 한국의 여권 개념이라기보다는 주민등록증처럼 여기며 어쩌다 경찰 검문이 있을 때도 여권은 반드시 확인하므로 단기 여행이라면 여권은 항상 가지고 다니는 게 좋다.

5. 지역별 지사

워낙 땅덩어리가 넓다보니 17개의 지사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지사끼리 서로 경쟁하고 있으며 이 중 서비스가 가장 좋은 것은 노보시비르스크 지역을 관할하는 서시베리아철도 라고 한다.

이외에 2008년부터 아르메니아 철도(남캅카스 철도)를, 2009년부터 압하지야 철도를 위탁 운영하고 있다.

6. 노선

7. 열차 등급

7.1. 엘렉트리치카

파일:ER2-1347.jpg
파일:external/b1.m24.ru/254373.483xp.jpg
차량 외부
파일:Elektrichka inside.jpg
차량 내부

Электричка(Elektrichka)[6]
단거리 통근열차 등급으로 극동에서부터 동유럽까지 동서 1만 km가 넘는 러시아 및 구 소련 구성국 일부에서 활발히 운행 중이다. 4량~12량 편성에 자동 개폐되는 2도어 차량이며, 나무 혹은 FRP제의 고정식 크로스시트이다. 대도시 인근 역에는 개찰구가 있지만 외곽으로 나가면 플랫폼밖에 없는 간이역도 많다. 그런 간이역 중에서는 45km 역같이 기점부터의 거리만 달랑 적어놓은 역도 있다.

엘렉트리치카 승차권은 일반적으로 감열지로 뽑아 주고 검표는 승무원이 차내에서 윗부분을 조금 찢으면서 실시한다. 승차권을 못 샀더라도 차내에서 현금으로 구매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말자. 일부 큰 역에는 자동발매기가 있어 영어로 표를 구매할 수도 있다.

2010년대부터는 신형 통근열차들을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ЭД4М(에데츼띄릐엠)500, ЭП2Д(에뻬드바데), ЭПЗД(에뻬뜨리데) 등이 있다. 러시아 철도차량 특유의 측면 가로줄을 계속 남겨두면서도 깔끔하게 바뀐 디자인.

7.2. 장거리 열차

이 링크에서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달리는 대표적 장거리 열차 러시아호의 내부의 구조나 대략적인 분위기를 3D로 볼 수 있다.

엘렉트리치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엑스프레스(Экспресс)" 라고도 부른다.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여기에 속한다. 드넓은 러시아 국토 조건 상 자연히 야간열차, 침대차 속성은 기본 장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단거리"를 달리는 일부 열차에는 좌석도 있다. 엘렉트리치카 좌석보다는 좀 편하지만 역방향 좌석도 있다. 6인 침대칸 플라츠카르타[7]와 잠금장치가 있는 4인침대칸인 쿠페, 침대 2개가 있는 호화객실 룩스로 나뉘며, 같은 구간도 플라츠카르타와 룩스는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열차의 등급에 따라서도 요금 차이가 있어 대표적으로 블라디보스토크와 모스크바를 잇는 시베리아 횡단열차 중 러시아 국기 색상으로 도색한 1호 열차 러시아(Россия)호는 플라츠카르타라도 침대나 화장실이나 다른 열차의 쿠페급보다 시설이 좋으며 그만큼 비싸다. 한국에서 가까운 러시아 동부(시베리아)보다는 유럽 쪽에 좋은 열차가 다닌다. 시베리아 오지에 있는 1등칸과 유럽쪽 장거리 열차 3등칸이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 어찌 보면 당연한 거지만. 장거리 열차 중에서는 국경을 넘어 핀란드, 발트3국, 독일, 몰도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 등으로 가는 국제열차도 활발한 편이며, 북한 평양과 모스크바를 잇는 정기 노선도 있다. 이 노선은 2014년 현재 세계 최장 여객노선이다.

장거리열차는 각 철도 지사별로 운영한다.

국제선으로는
이외에도 다수의 노선들이 존재한다.

7.3. 삽산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sapsan.jpg

Сапсан(Sapsan)
라는 뜻으로, 최고속도 250km/h의 독일 지멘스 벨라로의 러시아 버전인 광궤 고속철도이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3시간 45분에 이으며, 차체는 러시아 광궤 규격에 맞게 맞추어 3,265mm로 늘렸다. 1편성당 10량으로 편성, 전체 길이는 250m, 정원은 600명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7.4. 알레그로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Allegro.jpg

출처 - 위키피디아 Cc-by-sa-3.0

Allegro(Аллегро)
상트페테르부르크핀란드 헬싱키를 잇는 준고속철도. 시속 200km/h. 2010년부터 러시아 국철과 핀란드 국철이 공동 운행하며 알스톰 펜돌리노[9]광궤 버전이다. 1편성당 7량이며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헬싱키 간 소요시간은 3시간 30분. 두 도시를 함께 여행할 때 매우 편리하다. 개통 이후 헬싱키를 방문하는 러시아인 들의 수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하는 핀란드인 들도 크게 증가하였다. 헬싱키에 오는 러시아 사람들의 목적은 주로 쇼핑인데, 이 고속선이 개통된 이후 헬싱키의 스톡만(Stockmann) 백화점 등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알레그로 참조.

러우전쟁 발발 직후부터 운영 중단 상태이다.

7.5. 라스토치카/피니스트

파일:attachment/러시아 철도/lastochka.jpg
Lastochka(Ласточка)/Finist(Финист)
러시아 철도에 2013년부터 도입되고 있는 고속 EMU. 시속 160km/h. 라스토치카는 러시아어제비를 뜻한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대비하여 도입된 열차로 독일 지멘스에서 제작된 Desiro RUS[10]로 운행한다. 1편성당 5량이며 중련운행 시 10량으로 218명이 탑승 가능하며, 2013년까지 38편성이 도입되었다.

소치와 끄라스나야 뽈랴나를 잇는 노선이 최초로 개통되었으며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 볼로고예, 모스크바 ~ 니즈니 노보고로드, 모스크바 ~ 쿠르스크 노선 등 유럽 지역 노선들이 개통되었으며 시베리아 지역에서도 도입을 준비하는 등 점차 운행 노선이 확대되고 있다. 카잔에서는 공항철도로도 이용된다.

모스크바 지하철 14호선에서는 도시철도 차량으로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랄바곤자보드에서는 지멘스제 부품을 러시아제로 대체하고 전두부 형상을 변경한 피니스트 차량을 개발했다. 2023년 1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7.6. 스트리시

Стриж
영문명은 Strizh. 칼새라는 뜻이다. 2015년 6월부터 운행을 시작한 시속 200km급 준고속철도. 열차는 스페인 탈고에서 제작했으며 모스크바 ~ 니즈니 노브고로드 구간에서 삽산을 대체하여 운행한다. 러시아 영내에서는 ЭП20 전기기관차가 견인한다.

궤간가변도 가능하여 2016년부터는 모스크바 ~ 베를린 구간의 국제선 철도에 투입되었다. 폴란드 및 독일에서는 폴란드 철도 소속 기관차가 견인했다. 2020년에 코로나19 여파로 운행을 중단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스페인에서 경제제재를 가하면서 부품 수급 및 유지보수가 중단되어 같은 해 3월 10일부터 러시아 국내선 운행도 중단되었다. 베를린행 국제 열차 운행도 이로 인하여 재개가 불분명해졌다.

7.7. 모스크바 광역전철

파일:CD078CE3-68C4-4795-85B8-767FDAB73CBE.jpg
Московские Центральные Диаметры (МЦД)

2019년 11월 21일 런칭한 모스크바 광역권 도심통근전철. 로브냐와 아딘쪼보를 잇는 D1선과 나하비노와 포돌스크를 잇는 D2선이 우선 개통했으며 추후 D5선까지 개통 예정이다.
총 5개 노선이 운행할 예정이다.

8. 주요 역

모스크바에 모스크바 역이 없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상트페테르부르크 역이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것인데, 역 이름이 그냥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인 역은 없지만 이는 이들 도시에 철도 종착역이 여러 개 있기 때문이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뻗어나가는 노선이 생길 때마다 종착역이 하나씩 생겨났고, 이들 역에는 노선의 목적지 이름을 따서 역 이름이 붙여졌다. 노선이 연장되거나 목적지 이름이 바뀌는 경우 역 이름도 바뀌었는데, 가령 레닌그라츠키 역은 원래 목적지가 페테르부르크였으므로 개업할 때는 페테르부르크 역이었으나 니콜라이 1세의 사망 후 니콜라이 역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10월 역, 레닌그라드 역(1924)으로 바뀌었다. 즉 원래의 전통대로라면 1991년에 페테르부르크 역으로 환원되는 게 오히려 맞는 것이다. 한편 벨로루스키 역은 원래 스몰렌스크 역이었던 것이 개통 이듬해 노선이 민스크까지 연장되면서 벨로루스키 역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를 한국인에게 친숙하도록 비유한다면 서울특별시서울역을 만드는 대신 경부선, 경의선, 경춘선의 시발역을 각각 부산역, 신의주역(혹은 외국에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중국역), 춘천역으로 명명하는 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과거에는 러시아뿐 아니라 유럽 여러 지역의 주요 도시에서 이런 방식으로 역 이름을 붙였는데, 지금은 주로 구소련 지역에 이런 명명법이 많이 남아있다. 현재도 남아있는 다른 유럽 국가의 비슷한 예시가 파리인데, 리옹으로 가는 노선은 파리 리옹역, '북부 철도회사'의 역은 파리 북역인 식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파리 동역은 원래 스트라스부르행 노선의 종착역이라 스트라스부르역으로 이름붙어 있다가 노선이 연장되면서 '동역'으로 바뀌기도 했다. 러시아나 프랑스나 마찬가지로 한 도시에 여러 역이 있는 경우 '도시명-역명' 식으로 표기한다. 또한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이외에는 대부분의 도시에서 중심역이 분산되지 않아 중심역에 그 도시의 이름이 붙어 있다. 키예프, 민스크 등 구 소련의 도시까지 포함해서. 추도보의 모스크바 역(Чудово-Московское)같은 일부 예외는 있지만 이 경우에도 워낙에 뻔한 대표역이어서 아예 역명판부터 그냥 도시 이름을 써 놓는다.

러시아 철도의 역은 크게 대규모 터미널(вокза́л vokzal), 일반역(станция stáncija)과 간이역(платформа platforma)[11]으로 나뉜다. 여기서 위의 레닌그라드 역같은 터미널(vokzal)은 사실 철도역 그 자체가 아니라 '철도 역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 역사에서 승하차하는 '철도역'과는 이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역과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역의 '역'은 각각 모스크바 여객역(Москва-Пассажирская)과 상트페테르부르크 글라브니 역(Санкт-Петербург-Главный[12])이다. 그런 의미에서는 '모스크바 역'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독특한 경우가 생기는데, 가령 모스크바에는 레닌그라드 철도역이 두 개 있다. 하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북서 방면 열차가 시종착하는 터미널 레닌그라드역(Leningradsky vokzal), 또 다른 하나는 리가 역 근교철도 계통의 레닌그라드역(Platforma Leningradskaya)[13]이다. 후자는 역이 레닌그라드 가도(Ленинградское шоссе)를 가로지르기 때문에 명명된 것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철도 모스크바역과 지하철 모스크바역이 별개로 생긴 것과 사유는 같다. 그나마 구별법이라면 종착역(vokzal)은 남성형(-sky), 일반역과 간이역, 지하철역은 여성형(-skaya) 굴절이 난다는 것이고, 그리고 간이역은 보통의 관광객이라면 거의 갈 일이 없을 뿐더러 대도시에서는 골목에 숨어 아예 찾기조차 어렵다.

8.1. 모스크바

8.2. 상트페테르부르크

8.3. 그 외

9. 관련 문서



[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즈음하여 현재까지 한국기준으로 접속 불가. VPN등으로 러시아 IP로 우회 필수.[2] 홈페이지: 로스텍(사)[3] 미국만 봐도 대부분 단선 비전철에 선로 상태도 매우 불량한 구간이 많다. 미국의 철도 환경 참조. 인도나 호주, 캐나다 등 다른 큰 나라들도 상황은 비슷하다.[4] 미국 등과 비교하면 거긴 인구 밀집 지역이 여기저기 퍼져있어서 선 하나 쭉 그어서 주요지역들을 모두 커버하기 힘들고, 중간중간에 도시가 거의 없이 텅 비다시피 한 지역도 많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 시베리아 횡단철도나 기타 일부 지선철도를 따라 도시들이 가지런히 일렬로 쭉 늘어선 형태기 때문에 철도가 여객운송을 담당하기 좀 더 유리한 국토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항공기가 기상요건에 의해 쉽게 결항, 지연되는 데다가 일단 일류신이나 투폴레프 등 러시아제 항공기를 자국민들도 별로 신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도 있다. 물론 러시아도 장거리는 항공기 이용하고 철도는 구간수요를 책임지는 형태지만 미국 등에 비하면 항공기의 비중이 적은 편이다. 그래서 각 항공사들도 과감하게 자국산 항공기를 퇴역시키고 보잉, 에어버스의 서방제 최신형 항공기로 기종을 교체하고 있다.[5] 정확히는 현재 러시아의 주변국인 벨라루스, 우크라이나나 카자흐스탄과 같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애초에 철도가 처음 설치될 시점에 러시아 제국이나 소련 소속이었기 때문에 광궤 규격대로 인프라가 설치된 것 뿐이다.[6] 직역하면 그냥 전철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디젤동차로 운행하는 엘렉트리치카도 있다.[7] 그런데 완전개방형이기 때문에 사실상 객차 안에 침대 72개가 꽉 차있는 거라고 보면 된다. 침대차 객실 위치에 2층구조로 4개 침대가 있고 통로 쪽 벽면에 2개가 있다. 침대 길이도 좀 더 짧다.[8] 리투아니아를 지나지만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다.[9] 알스톰이 인수한 구 피아트의 모델. 핀란드 국철 준고속철도의 명칭이기도 하다.[10] 유럽에서 Mainline/UK/City/Classic 등의 라인업을 가지고 있는 Desiro 시리즈의 러시아 영업용 차량, 도입을 위해 엄청난 내한 테스트를 거쳤다고 한다.[11] 원래 정류장(остановочный пункт)이 정식 용어인 듯하나 여객 간이역은 그냥 플랫폼으로 호칭된다. 앞서 단순과감하게 '몇 km 역'으로 명명한 것으로 언급된 역은 아예 정식 역명이 Platforma oo km이거나 Post oo km으로 붙어 있다.[12] '주된'이란 뜻으로 굳이 번역한다면 중앙역에 가깝다. 다만 러시아 철도에서는 영어 등 외국어로 표기할 때도 번역하지 않고 키릴 문자를 그대로 옮긴다.[13] 2019년 모스크바 광역전철 D2선 개통 이후 스트레시네보(Стрешнево)역으로 바뀌었다.[14] 파리-모스크바 왕복은 주 1회, 베를린-모스크바 왕복은 주 3회(파리 시종착 1회 포함) 운행한다.[15] 2021년 기준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으로 인해 직통 야간열차 운행이 중지된 상태이다.[16] 러시아가 아닌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우크라이나에서 육로로 벨라루스에 입국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반드시 통과비자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