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tablealign=center><tablewidth=850><tablebordercolor=#424242><bgcolor=#424242>
모스크바 지하철 노선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소콜니체스카야 | 자모스크보레츠카야 | 아르바트스코 포크롭스카야 | 필룝스카야 | 콜체바야 | ||||
| 칼루시스코리시스카야 | 타간스코 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 칼리닌스카야 | 솔른쳅스카야 |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 ||||
|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 볼샤야콜체바야 | 부톱스카야 | 모스크보스코예 첸트랄노예 콜초 | 네크라솝스카야 | ||||
| 트로이츠카야 | ||||||||
| 모스크바 광역전철 (МЦД) | ||||||||
| 벨로루스코사뵬롭스키 | 쿠르스코리시스키 | 레닌그라드스코 카잔스키 | 칼루시스코 니제고로드스키 |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모스크바 지하철 아르바트스코-포크롭스카야선 Арбатско-Покровская линия Arbatsko-Pokrovskaya line | }}} | |
| <nopad> 81-740/741.1형 전동차 | ||||
| 노선 정보 | ||||
| 분류 | 도시철도 | |||
| 기점 | 퍄트니츠코예 쇼세 | |||
| 종점 | 숄콥스카야 | |||
| 역 수 | 22 | |||
| 개업일 | 1938년 3월 13일 | |||
| 운영자 | 모스크바 지하철 | |||
| 소유자 | 모스크바 | |||
| 사용차량 | 81-740/741.1형 전동차 81-740/741.4형 전동차 | |||
| 차량기지 | 이즈마일로보 차량기지 미티노 차량기지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45.1㎞ | |||
| 궤간 | 1,520㎜ (러시아 광궤) | |||
| 선로구성 | 복선 |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폐색방식 | 이동폐색식 | |||
| 신호장비 | ALS - ARS | |||
| 최고속도 | 80㎞/h |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 숄콥스카야 → 퍄트니츠코예 쇼세 영상 |
1. 개요
모스크바의 동서를 잇는 노선이다. 노선색상은 청색.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두번째로 긴 노선이다.모스크바 시계 밖으로 나가는 노선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타간스코-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선.
시계 밖 모스크바주 크라스노고르스크시에 위치한 먀키니노역에는 크로커스 엑스포 국제전시장이 있다.
2. 역사
- 1938년 3월 13일: 키옙스카야 ↔ 알렉산드롭스키사드
- 1944년 1월 18일: 쿠르스카야 ↔ 파르티잔스카야
- 1944년 5월 15일: 엘렉트로자보드스카야
- 1953년 4월 5일: 플로샤티 레볼류치 ↔ 키옙스카야
- 1954년 9월 24일: 파르티잔스카야 ↔ 페르보마이스카야(임시역)
- 1961년 10월 21일: 파르티잔스카야 ↔ 페르보마이스카야, 기존 파르티잔스카야 ↔ 페르보마이스카야(임시역) 구간이 이즈마일로보 차량기지 연결선으로 전환
- 1963년 7월 22일: 페르보마이스카야 ↔ 숄콥스카야
- 2003년 5월 6일: 키옙스카야 ↔ 파르크포베디
- 2008년 1월 7일: 파르크포베디 ↔ 쿤쳅스카야, 쿤쳅스카야 ↔ 크릴라트스코예[1], 크릴라트스코예 ↔ 스트로기노
- 2008년 9월 7일: 슬라뱐스키불바르
- 2009년 12월 26일: 스트로기노 ↔ 미티노
- 2012년 12월 28일: 미티노 ↔ 퍄트니츠코예쇼세
- 2026년 숄콥스카야 ↔ 골랴노보 연장 예정
3. 운행 차량
4. 운행 중
| |
| 81-740/741형 전동차 |
5. 운행 종료
| | | |
| A형, B형 전동차: 1938년 개통부터 1975년까지 사용 | V형 전동차: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사용 | |
| | | |
| D형 전동차: 1973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 | G형 전동차: 1941년부터 1975년까지 사용 | |
| | | |
| E형, Ezh형 전동차: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 | 81-760/761형 전동차: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사용 |
1938년부터 1947년까지 4량 1편성, 1969년까지 6량 1편성, 1969년부터 7량 1편성, 2006년부터는 5량 편성과 7량 편성이 공존하였다. 이후 2010년에 5량 편성으로만 운행하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81-760/761형 전동차가 운행 중일 당시 7량 편성으로 운행하였다. 2018년부터는 전량 5량 편성으로 운행 중이다.
6. 노선
| 파란색으로 색칠된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
| 역 번호(km) | 한국어 역명 | 러시아어 역명 | 영어 역명 | 승강장 | 환승 노선(역명) | |
| 200 | 0.0 | 퍄트니츠코예 쇼세 | Пятницкое шоссе | Pyatnitskoye Shosse | │■│ | |
| 060 | 1.5 | 미티노 | Митино | Mitino | │■│ | |
| 059 | 볼로콜람스카야 | Волоколамская | Volokolamskaya | │■│ | ||
| 058 | 먀키니노 | Мякинино | Myakinino | ■││■ | ||
| 057 | 8.1 | 스트로기노 | Строгино | Strogino | │■│ | |
| 056 | 크릴라츠코예 | Крылатское | Krylatskoe | │■│ | ||
| 055 | 몰로됴즈나야 | Молодёжная | Molodyozhnaya | │■│ | ||
| 054 | 쿤쳅스카야 | Кунцевская | Kuntsevskaya | │■││■ | ||
| 053 | 슬라뱐스키불바르 | Славянский бульвар | Slavyansky Bulvar | │■│ | ||
| 052 | 파르크포베디 | Парк Победы | Park Pobedy | │■││■│ | ||
| 051 | 키옙스카야 | Киевская | Kiyevskaya | │■│ | ||
| 050 | 스몰렌스카야 | Смоленская | Smolenskaya | │■│ | ||
| 049 | 아르바츠카야 | Арбатская | Arbatskaya | │■│ | ||
| 048 | 플로샤티레볼류치 | Площадь Революции | Ploshchad Revolyutsii | │■│ | ||
| 047 | 쿠르스카야 | Курская | Kurskaya | │■│ | ||
| 046 | 바우만스카야 | Бауманская | Baumanskaya | │■│ | ||
| 045 | 엘렉트로자보츠카야 | Электрозаводская | Elektrozavodskaya | │■│ | ||
| 044 | 세묘놉스카야 | Семёновская | Semyonovskaya | │■│ | ||
| 043 | 파르티잔스카야 | Партизанская | Partizanskaya | │■│■│ | ||
| 042 | 이즈마일롭스카야 | Измайловская | Izmaylovskaya | │■│ | ||
| 041 | 페르보마이스카야 | Первомайская | Pervomayskaya | │■│ | ||
| 040 | 45.1 | 숄콥스카야 | Щёлковская | Shchyolkovskaya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