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18:44:29

스몰렌스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63180>
파일:러시아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3180, #263180 20%, #263180 80%, #26318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연방시 (Федеральный город)
파일:모스크바 시장.svg
모스크바 연방시
<rowcolor=#fff> 주 (Область)
파일:모스크바 주장.svg
모스크바주
파일:보로네시 주장.svg
보로네시주
파일:벨고로드 주장.svg
벨고로드주
파일:툴라 주장.png
툴라주
파일:블라디미르 주장.svg
블라디미르주
파일:트베리 주장.svg
트베리주
파일:야로슬라블 주장(소형).svg
야로슬라블주
파일:브랸스크 주장.svg
브랸스크주
파일:리페츠크 주장.svg
리페츠크주
파일:랴잔 주장.svg
랴잔주
파일:쿠르스크 주장.svg
쿠르스크주
파일:탐보프 주장.svg
탐보프주
파일:이바노보 주장.svg
이바노보주
파일:칼루가 주장.svg
칼루가주
파일:스몰렌스크 주장.svg
스몰렌스크주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파일:오룔 주장.svg
오룔주
파일:코스트로마 주장.svg
코스트로마주
}}}}}}}}}

1. 러시아의 도시
1.1. 개요1.2. 어원1.3. 역사1.4. 랜드마크1.5. 출신 인물1.6. 여담
2. 위 스몰렌스크 시를 포함하는 러시아의 주

1. 러시아의 도시

스몰렌스크
Смоленск
Smolensk
파일:Coat_of_Arms_of_Smolensk_(Smolensk_oblast)_(2001).png
<colbgcolor=#006ab3> 위치 <colbgcolor=#ff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중앙 연방관구 스몰렌스크 주
설립 863년
인구 330,025명(2018년)
면적 166.35㎢
인구밀도 2,000명/㎢
시간대 UTC+3
1. 러시아의 도시
1.1. 개요1.2. 어원1.3. 역사1.4. 랜드마크1.5. 출신 인물1.6. 여담
2. 위 스몰렌스크 시를 포함하는 러시아의 주

1.1. 개요


러시아어: Смоленск (스몰렌스크)
벨라루스어: Смаленск (스말렌스크)
폴란드어: Smoleńsk (스몰렌스크)

스몰렌스크주의 주도이다. 모스크바에서 320km 떨어진 도시로, 설립된지 1000년이 넘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었다. 과거 스몰렌스크 공국의 수도로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그리고 러시아 사이에 위치해 있고 다우가바강드네프르강 사이에 위치하 유럽에서 러시아로 향하는 관문이었다.

위치가 딱 중부 유럽이나 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동유럽을 석권한 열강이 러시아로 처들어가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고, 그 일대에 있는 거점 대도시 중 하나라 역사적으로 숱한 전쟁으로 인한 화마를 입었다.

조국전쟁대조국전쟁 때 침략군(조국전쟁 때는 나폴레옹프랑스군, 대조국전쟁 때는 나치 독일군)에게 점령당한 적이 있다.

1.2. 어원

도시의 이름은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카렐리야무르만스크 일대를 흐르는 스몰냐강에서 유래하였다.

1.3. 역사

스몰렌스크는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로 키예프 루스가 건국된지 2년 후에 만들어졌다. 그 후 스몰렌스크를 중심으로 스몰렌스크 공국이 만들어졌고 키예프 루스의 근처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스칸디나비아에서 그리스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해있어서 빠르게 발전하였다. 12세기 말에는 스몰렌스크 공국은 동유럽에서 가장 강한 공국이 되었으며 이 시기 수많은 교회가 지어졌다. 하지만 1240년 몽골군이 쳐들어오자 스몰렌스크는 크나큰 타격을 입었고 킵차크 칸국에 조공을 갖다 바쳤다. 이 시기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 간의 투쟁에 끼인 신세가 되었고 결국 1404년 리투아니아 대공국에 편입되었고 스몰렌스크 공국을 다스리던 보야르의 후손들은 빌뉴스모스크바로 도망쳤다. 하지만 1514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대공 바실리 3세는 스몰렌스크를 점령하였고, 보리스 고두노프의 지휘 하에 폴란드-리투아니아의 공격을 막기 위한 크렘린을 세웠다. 이 처럼 철저하게 요새를 쌓았다. 하지만 러시아 내부가 혼란스러운 틈을 타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20개월 간 스몰렌스크를 포위한 끝에 점령하였다.

하지만 루스 차르국은 스몰렌스크를 탈환하기를 원했다. 17세기 초중반 스몰렌스크 전쟁을 일으켰지만 패배해 다시 폴란드 차지가 되었다. 하지만 폴란드 내부에 흐멜니츠키 봉기대홍수가 일어나자 루스 차르국은 폴란드를 공격하였고 1654년 9월 23일 탈환하였고 1668년 안드루소보 조약을 체결해 스몰렌스크에 대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주장을 포기시켰다. 그 이후 스몰렌스크는 대북방전쟁 때도 스웨덴의 공격을 받았으나 버텨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때도 스몰렌스크에서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다. 러시아의 대문호 레프 톨스토이가 쓴 소설 전쟁과 평화에 나오는 주요한 전투이기도 하다. 스몰렌스크 전투에서 패배한 러시아군은 결국 스몰렌스크에서 물러날 수 밖에 없었다. 제1차 세계 대전때는 직접적으로 전쟁의 화마는 입지 않았으나 최전방 바로 뒤의 주요 군수 도시 역할을 했고,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가 독일에게 항복하자 스몰렌스크는 벨라루스 인민공화국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러시아 혁명 직후에는 갓 독립한 벨라루스의 지도자들은 스몰렌스크를 벨라루스의 일부로 만들고자 하였었다. 전술한듯 스몰렌스크는 상당기간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최동부 지역으로 당대에는 벨라루스인들이 일부 거주하였기 때문.[1]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 후 건국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이 처음으로 스몰렌스크에 야심을 보였다. 또한 추후 소련의 구성국이 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부가 처음 세워진 곳도 이곳 스몰렌스크이며 벨로루시의 소비에트 지도자들 또한 스몰렌스크를 벨로루시의 일부로 만들고 싶어 하였으나 1926년 경에는 단념하였고 스몰렌스크는 러시아의 일부로 남게 된다. 대조국전쟁 때는 역사적 패턴 그대로 독일군이 들어갈때 한번, 1943년 소련군이 탈환하면서 다시 한번 수십만 병력들이 충돌한 대격전지가 되면서 시가지의 90% 가량이 작살나는 피해를 입었다.

이런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수많은 전쟁의 참화를 입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키예프 루스 시절까지 올라가는 유서 깊은 역사가 있는지라 근성의 복원, 재건을 통해 웅장한 규모의 크렘린과 더불어 주목할만한 문화재들이 꽤 남아 있다. 근세 이후로는 저리 수난을 겪었어도 막상 중세 러시아사의 가장 큰 대격변이었던 몽골의 침략때 스몰렌스크 공국은 외교적으로 줄타기를 잘해 의외로 파괴를 면했다 보니 러시아 전역에서도 흔치 않은 타타르의 멍에 이전 교회들도 있고, 이후 17-18세기의 러시아식 바로크, 후기 제정 시대와 소련의 건축 문화 유산도 보존되어 있다.

1.4. 랜드마크

1.5. 출신 인물

1.6. 여담


2. 위 스몰렌스크 시를 포함하는 러시아의 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Coat_of_arms_of_Smolensk_oblast.svg.png
스몰렌스크주
Смоленская область
수도 스몰렌스크
인구 921,620 (2020)
면적 49,779㎢
인구밀도 18.51명/㎢
시간대 UTC+3

[1] 비슷한 이유로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은 당시 빌뉴스, 다우가프필스, 네벨, 벨리키예루키비아위스토크와 같은 지역들도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당시 20세기가 되어서 처음으로 독립을 하였던 국가였기에 '벨라루스'라는 국민국가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았었기 때문.[2]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40년, 소련NKVD독소 폴란드 점령 이후 소련의 치하에 들어온 폴란드의 지식인들과 장교들을 대거 처형하고 암매장한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