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4:44:39

ISU-122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NKVD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세미데샤트카», T-70B «세미데샤트카» , T-80X,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SU-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ZSU M15A1 CGMC, ZSU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파일:ISU-122_Drive_Thumbnail.jpg
ИСУ-122
1. 개요2. 제원3. 내부4. 개발사5. 형식
5.1. ISU-122
5.1.1. 초기형5.1.2. 후기형
5.2. ISU-122S
6. 파생형
6.1. 소련
6.1.1. 무장 교체 파생형
6.1.1.1. 오비옉트 2436.1.1.2. 오비옉트 2516.1.1.3. 오비옉트 250
6.1.2. 비무장 파생형
6.1.2.1. ISU-T6.1.2.2. BTT-1
7. 평가
7.1. 장점7.2. 단점7.3. 총평
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8.1.1. 독소전쟁
8.1.1.1. 바그라티온 작전8.1.1.2.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8.1.1.3.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8.1.1.3.1. 동프로이센 공세
8.1.1.4. 베를린 공방전
9. 운용국
9.1. 유럽
9.1.1. 동유럽
9.1.1.1. 소련9.1.1.2. 러시아
9.1.2. 중부유럽
9.1.2.1. 폴란드
9.2. 아시아
9.2.1. 동아시아
9.2.1.1. 중국
10. 미디어
10.1. 게임
10.1.1. 월드 오브 탱크10.1.2. 워 썬더10.1.3. 강철의 왈츠10.1.4. Steel Division 2
11. 모형
11.1. 프라모델
12. 참고 문헌13. 둘러보기

1. 개요

파디코보 군사 박물관 소장 ISU-122 기동 영상
ISU-122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이 운용한 다목적 자주포이며, ISU-152의 차체를 유용해 주포를 122mm A-19S로 교환한 자주포이다.

2. 제원

<colbgcolor=#556B2F> ИСУ-122
제원
개발국가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개발기관 키로프 공장(JSC)
개발자 제100호 공장 설계국
개발연도 1944년
생산기관 첼랴빈스크 키로프 공장, 레닌그라드 키로프 공장
생산연도 1944년 4월 ~ 1945년
생산 댓수 ISU-122: 1,735문
ISU-122S: 675문
도합 2,410문
운용 연도 1944년 ~ 현재[1]
운용 국가 소련 포함 도합 3개국 사용
전장 6.67m
전폭 3.07m
전고 2.48m
전비 중량 45.5t
탑승 인원 5명 (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1, 탄약수2)
엔진 하리코프 모델 V-2-IS 디젤 엔진
최고 출력 520hp
출력비 11hp/t
현가 장치 토션 바 현가장치
최고 속도 37km/h (도로)
15 ~ 20km/h (야지)
항속 거리 120km (야지), 170km (도로) / 170km (야지), 220km (도로)
(내장 연료 탱크만 적재 시/ 외장 연료 탱크 추가 적재 시)
주무장 ISU-122: 122mm A-19S 평사포 1문 (30발)
ISU-122S: 122mm D-25S 전차포 1문 (30발)
부무장 12.7mm DShK 대공기관총 1정 (250 ~ 300발)

3. 내부

파일:M.Linde_ISU-122_blueprint.jpg
ISU-122 도면
"ISU-122 시리즈"의 구조는 상단의 도면과 같다.

기본적인 구동계와 장갑 등의 요소는 형제인 ISU-152와 완전히 동일한데, 이는 ISU-122가 태생부터 152mm 야포의 부족으로 탄생한 차량이라 무장만 교체한 형태였기 때문으로 이 덕분에 ISU-122는 ISU-152나, IS-2와 많은 부품이 호환되어 전선에서 여러 호평을 받게 되었다.

무장인 122mm A-19S 야포는 기존 122mm A-19 군단포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 탑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소소한 개량을 거친 물건으로서, 기존 122mm 군단포가 가지고 있던 이점인 고화력 및 넓은 사정거리를 그대로 물려받아 직사, 곡사를 겸용할 수 있어 대전차, 대보병 화력 모두 만족스러운 성능을 내었다. 이후 ISU-122S 형식에 와서는 기존 A-19S 야포에서 IS-2와 동일한 D-25 전차포로 교체되면서 반동의 감소는 물론이고 해당 포는 반자동 폐쇄기가 장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 빠르게 포격이 가능했다.

부무장인 DShK 중기관총은 1944년 말부터 기존 생산 차량 및 신규 생산 차량에 탑재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ISU-152가 실전 투입 결과 장전시간이 길고 느리다는 문제점 탓에 보병들을 상대로 제압할 수단이 부실하다는 점이 지적되며 덩달아 수혜를 받은 것이었다. 이 덕에 ISU-122도 ISU-152와 같이 대전기 소련 전투차량들 중 몇 안되게 중기관총을 장착한 차량이라는 이점이 있었다.

광학장비는 2종류로 구분되었는데, 대전차 및 직사사격을 염두로 하는 포수 전용의 CT-18 조준경과, 대보병 및 곡사사격을 염두로 하는 파노라마 헤르츠 전차장 조준경이 있었다만 CT-18 조준경은 1.5km가 최대 한계였으며, 그 이상의 거리를 포격하기 위해서는 헤르츠 조준경을 이용해 곡사사격을 해야 했다고 한다.

4. 개발사

파일:ISU-122_Protype.jpg
오비옉트 242
사실 ISU-122는 개발할 필요가 없던 차량이었다. 122mm 계열 포는 이미 일선에서 IS-2 중(重)전차가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목적 대구경 자주포로는 이미 152 mm 곡사포로 무장한 ISU-152가 생산되고 있었다. 그러나 ISU-152에 장착하는 강력한 152mm ML-20S의 생산량이 한 때 떨어지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ISU-152 차체에 급한대로 122mm 야포 기반의 포를 달아서 생산한 것이 ISU-122다. 그러니까 122mm를 사용하는 IS-2에서 강력한 포를 달려고 포탑을 기껏 뗐더니 그 강력한 152mm가 부족해서 122mm를 다시 단게 ISU-122였다.

152mm ML-20S는 생산라인이 완전히 잡혀있던 152mm M1937 야포를 기반으로 만들기는 한거지만, 기존의 152mm와는 달리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만드는 것이라 부분적으로 바뀐 설계 때문에 원본 야포와는 별도로 새로 생산 라인을 잡아야 했고, 기존의 공장들에서 생산 라인을 다시 잡는데 이런저런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본격적으로 공장라인이 가동되기 전까지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런 와중에 ISU-152는 예정대로 양산이 시작되었는데, 덕분에 주포만 없는 ISU-152 차체 재고가 공장 내부에 쌓이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122mm D-25T 포를 장착한 중전차 IS-2 초기형 차량들은 KV 시리즈부터 대대로 내려오는 전면 관측창 약점이 있었고 이 약점에 의해 예상 이상의 많은 상실이 발생했으며 위에 써진 ISU-152의 양산 차질까지 겹쳐지면서 자칫 잘못하면 전선에서의 직사 화력 공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퍼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널려있던 ISU-152의 차체에다 재고가 많이 쌓여있어서 보급이 용이했던 122mm A-19S 주포를 달아서 만든 것이 ISU-122다. 이미 ISU-152를 개발할 때 옵션안으로 122mm급 주포를 장착하는 설계안까지 나왔던 상황이므로 개조작업은 매우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어쨌든 이런 뒷사정으로 인해 원래는 탄생하지 않았어야 하는 자주포가 탄생했지만, ISU-122는 땜빵용 자주포답지 않게 활약이 꽤 있었으며 그 결과 꽤 많은 수가 양산되었다. 이는 설계사상의 측면에서 122mm을 운용하는게 꽤 힘들었고, 2차례에 걸친 개조 끝에 쓸만한 수준으로 바뀐 IS-2와 달리, 애초부터 152mm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차량이 122mm 주포를 사용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를 봤던 것이 크다.

1944년 8월부터는 IS-2의 주포로 쓰인 D-25T 기반의 D-25S 주포를 탑재한 ISU-122S(ISU-122-2, Object 249)도 병행생산되었다. ISU-122S의 경우 기존 ISU-152/122와는 다른 둥근 포방패를 장착했다는 특징이 있다. D-25 주포는 A-19보다 폐쇄기가 개선되었기 때문에 재장전 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

생산량은 ISU-122가 1735문, 개량형인 ISU-122S가 675문이다.

5. 형식

5.1. ISU-122

ISU-122 시리즈의 기본 형식.

같은 차체를 쓰는 ISU-152와 마찬가지로 초기형 차량들은 1943년형 IS-2의 차체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차체 전면 하단이 주조장갑이다. 반면, 후기형 차량들은 차체가 개량된 1944년형 IS-2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차체 전면 하단도 용접 장갑으로 변경되어 더 각지게 되었다.

형제인 ISU-152와 달리 엔진 개선이나 현대화를 받지 못하였지만, 1960년대 초까지 헌역의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5.1.1. 초기형

파일:ISU-122_Early.jpg
ИСУ-122 Обр. 1944
"ISU-122 초기형"은 ISU-152의 초기형과 동일하게 하단 주조장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이는 초창기 IS-2를 기반으로 한 1943년 말 ~ 1944년 초의 ISU-152의 차체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후기형과의 차이점은 이 시기 생산된 초기형 ISU-122 생산분은 DShK 중기관총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44년 말, 소련군 상층부에서 하달된 중전차 및 중자주포에 보병을 제압 가능한 중기관총을 장착하라는 명령이 하달되며 정비창에 실려온 차량들에도 DShK가 장착되었기에 중기관총을 아예 장착하지 않았던 초기형의 ISU-122는 현재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1944년에서 1945년 경 키로프 공장에서 남아있던 43년식 차체를 전부 소진하면서 단종되었으며, 신규 생산분은 새롭게 개선된 하단의 후기형으로 세대교체 되기에 이른다.

5.1.2. 후기형

파일:ISU-122_late.jpg
ИСУ-122 Обр. 1945
"ISU-122 후기형"은 1944년 말부터 1945년까지 생산된 ISU-122를 말한다.

상단의 초기형이 1944년 말이 되며 기존 초기 IS-2의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자주포 차체를 전량 소모하자 원본인 ISU-152와 동일하게 하단을 용접 장갑으로 변경한 차체로 세대교체되어 키로프 공장에서 신규 생산되었다.

ISU 시리즈의 상징과도 같은 DShK 중기관총은 후기형부터 공장 출고 당시에 달려나오기 시작했으며, 종전 이후로 고정식 차체를 지닌 자주포의 수요가 급감하며 단종 처분을 밟게 되었으나, 소련군 내에서는 1960년대까지도 일선에 준하는 장비 취급으로 초기형과 같이 사용되었다가 이후 여러 우방국에 팔려나가면서 퇴역하였다.

5.2. ISU-122S

파일:ISU-122S_thumbnail.jpg
ИСУ-122С
"ISU-122S"는 IS-2와의 정비 편의성과 대전차전 성능 향상을 위해 주포를 122mm D-25로 교체한 형식으로, 일명 ISU-122-2로도 불리운다. ISU-152와 오리지널 ISU-122와는 다른 새로운 둥근 형태의 포방패가 사용되었다.

독소전쟁 주간 675문 만이 시범 생산되어 사용되었으나 전후 다수가 유실되었고, 현재는 폴란드에 "1010호차" 1문이 정태보존되어 있는 상태이다.

6. 파생형

6.1. 소련

6.1.1. 무장 교체 파생형

6.1.1.1. 오비옉트 243
파일:Object_243.jpg
Объект 243
"오비옉트 243"은 ISU-122를 기반으로 주포를 시제형 122mm 포인 BL-9으로 교체한 프로토타입으로, 일명 ISU-122-1으로도 불리운다.

해당 파생형은 1944년 개발되어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나, 포신의 내구성 문제와 거친 지형에서는 너무 긴 포신 탓에 제대로 움직이기 힘들고, 또한 약실이 너무 커 차체 내에서 제어하기 힘들다는 평가가 내려져 개발이 중지되었다.
6.1.1.2. 오비옉트 251
파일:Object_251.jpg
Объект 251
"오비옉트 251"은 ISU-122의 주포를 또 다른 시제형 122mm포인 S-26-1로[2] 교체한 파생형으로, 일명 ISU-122-3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파생형의 주포는 약실의 무게 탓에 포신에 머즐브레이크 대신 무게추가 달려있었으나 약실이 너무 컸기에 차내에서의 포 조작 문제로 생산안이 기각되었으며, 양산화 되는 것은 ISU-122S가 되었다.
6.1.1.3. 오비옉트 250
파일:ISU-130.jpg
Объект 250
"오비옉트 250"은 ISU-122의 주포를 소련 해군의 130mm B-13[3] 함포를 기반으로 개발된 S-26 포로 교체한 프로토타입 파생형으로, 일명 ISU-130으로도 불리운다.

개발 당시 주포의 반동을 줄이기 위해 특이한 머즐브레이크를 장착하였으나, 122mm와 152mm 그 사이의 어중간한 화력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사장되었다. 그래도 S-26 주포는 2차 대전 종전 직후 개발에 들어간 IS-7 중전차 초기형 모델의 주포로 활용되기도 했다.

현재 애국 공원에 한 문이 보존되어 있다.

6.1.2. 비무장 파생형

6.1.2.1. ISU-T
파일:ISU-T_israel.jpg
ИСУ-Т
"ISU-T"는 1950년대 초반에 제작된 주포를 철거하고 주포가 있는 자리를 용접으로 막은 ISU-152/122 기반의 구난전차 / 견인차량 파생형이다.
6.1.2.2. BTT-1
파일:BTT-1_Israel.jpg
БТТ-1
"BTT-1"는 ISU-T보다 발전한 구난전차로 1950년대 말에 등장했다.

차체 전면부에는 크레인을 달 수 있었고 엔진룸 위에 개방형 화물칸이 신설되었다. 일부 차량은 60년대에 현대화 개량을 거치면서 ISU-T와 함께 엔진이 T-54에 적용된 V-54 엔진 기반의 신형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7. 평가

7.1. 장점

7.2. 단점

7.3. 총평

한번 생각해보시죠. 지금 기억하기로는 559.6 고지였네요. 리발코 사령관이 우리와 함께 있었고요, 클리멘코프의 자주포가 본부 산하 근위대에 있었습니다. 우리는 대화를 나누고 있었는데, 갑자기 왼쪽에 독일 전차들이 나타났습니다. 무려 18대나요!

무슨 일이 일어났냐고요? 리발코 사령관의 낮빛이 변하고, 전투 태세를 취하기 시작했으며, 근처에 있던 클리멘코프의 지휘를 받았습니다. 누군가 외쳤습니다. "독일놈들이 쏘지 못하게 해!" 이 때 클리멘코프가 말하길, "잡았어!"

어떻게 되었을까요? 1.8km 거리에서 발포한 포탄이 최선두에 있던 전차를 격파하고, 두 번째에 있던 전차가 그것 때문에 기어나오기 시작하자 그는 두 번째에 있던 전차를 격파하고, 세 번째 전차가 또 나오자, 그는 전차를 격파했고, 네 번째 전차가 나오자.... 그는 나치들을 막았고, 그들은 도망쳤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요? 리발코를 만나서 어땠는지 물어보시면 그도 증언해줄 겁니다. 어찌됐건 바로 그곳, 전장에서 클리멘코프는 1급 조국전쟁훈장을 전투복에 박게 되었습니다.
제309근위자주포연대 소속 사령관 코브린 중령의 ISU-122 에이스 클리멘코프에 대한 회고록에서 발췌.

실전에 투입된 ISU-122는 122mm이라는 대구경이 어디로 가는 것이 아니고 상당한 전과를 기록했기 때문에 종전때까지 생산되었으며, 전후에도 일부 차량이 계속 사용되었다. 위에 언급된 장점이 효력을 발휘한 것이다. 특히 당초 예상과 달리 152mm을 써야 했던 차량이 122mm을 쓰면서 얻은 정확도 및 발사속도, 준비탄 문제의 해결로 인해 소련군은 ISU-122에게 구축전차 업무를 자주 맡겼으며 IS-2 1944년형 및 SU-100이 본격적으로 투입되던 시기에도 많은 ISU-122들이 구축전차 업무를 맡았다는 것에서 소련군의 ISU-122에 대한 평가를 짐작가능하다.

여기에 152mm보다 떨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강력한 고폭탄 성능을 자랑하는 122mm를 ISU-152보다 빠른 속도로 더 많이 쏠 수 있었으므로, 소련군의 일선 지휘관들은 시가전, 참호전에서 돌격포로써의 역할도 만족스러울 만큼 해낼 수 있다고 호평했다.

총평으로는, 땜빵치고는 나름대로 활약을 한 차량이라 볼 수 있는데, 다른 국가의 경우 구축전차나 대전차자주포가 원하던 주포의 생산량이 적어서 하급 주포를 장착하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럴 경우 사실상 계륵 이하의 존재가 돼서 있으나마나한 취급을 받는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ISU-122는 시기를 잘 타고 난 자주포라고 보면 된다. 이 자주포와 정반대되는 포지션에 있는 자주포가 바로 SU-85다.

ISU-122가 이정도로 활약할 수 있었던건 소련군이 필요로 할때 생산에 차질이 생긴 IS-2ISU-152를 잠시 대체할 역할을 잘 맡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똑같은 포를 장착할 경우 포탑이 있는 전차가 포탑이 없는 자주포보다 강력하다. 그러나 ISU-122는 포탑이 없다는 것과 자주포를 매우 다양한 용도로 써먹는 소련군의 교리를 빼더라도 IS-2와 비교해도 나은 점이 많았기에 종전까지 생산이 지속되었다.

물론 이런 일은 ISU-152도 충분히 해낼 수 있지만, ISU-122가 맹활약을 하던 시기에 ISU-152의 숫자는 적었으며, ISU-152가 본격적으로 투입되던 시점에 ISU-122는 가치를 충분히 증명해보였기 때문에 소련군은 ISU-122를 종전까지 계속 양산했다. ISU-152와 비교했을 때 122의 장점이 아예 없는 것이 아니었으므로[6] ISU-122 역시 ISU-152가 맡았던 다양한 업무들을 수행하곤 했다.[7]

IS-2가 본격적으로 개량되어서 투입되기 전까지, ISU-152가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전까지 ISU-122가 생산되고 투입되어서 소련군에게 충분한 전과를 올려주었고, 덕분에 ISU-152나 IS-2 1944년형이 본격적으로 양산되는 시점에서도 많은 수의 ISU-122 계열 차량이 생산되어 ISU-152와 함께 중 자주포로써 제 역할을 맡으면서 122mm 주포의 성능을 바탕으로 그 업무를 충실히 해냈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땜빵은 땜빵인지라 독소전쟁이 종결된 다음에는 생산이 사실상 중단되었다.[8] 종전후에도 그나마 한동안 계속 운용되기는 했지만, ISU-152보다 화력이 약한게 문제여선지 퇴역할 때까지 ISU-152보다는 취급이 좋지 않았다. 1950년대부터는 많은 차량이 구난전차나 로켓 발사대로 마개조 되기 시작했고, 1960년대 초에 다른 역할의 장비로 전환되지 않은 ISU-122 계열 차량들은 소련군에서 전부 퇴역했다. 일부 차량은 1950년대 초부터 ISU-152와 함께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이나 중국 등지로 수출되어, 전후에도 많은 숫자가 양산된 T-34/85, SU-100, ISU-152, IS-2와는 다른 운명에 처한 셈이다.

일부 ISU-122들은 50년대~60년대 사이에 개량을 받기도 했지만 개량 과정에서 엔진이 T-54의 V-54 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신형 엔진으로 교체된 ISU-152K와 달리 ISU-122는 엔진이 기존의 것으로 유지되었고, 그마저도 현대화 개량이 아니라 관측창과 통신장비만 변경되었다.

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8.1.1. 독소전쟁

8.1.1.1. 바그라티온 작전
파일:Bagration_ISU-122_poland.jpg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그단스크의 소련 육군 자주포연대 소속 ISU-122[9]
ISU-122의 첫 실전은 형제인 ISU-152와 동일한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였다. 이 시기 ISU-152의 주 무장인 152mm 곡사포의 수량 부족으로 탄생한 ISU-122는 APHE 탄약과 HE 고폭탄을 주 사용 탄약으로 편제하여 전선에 투입되었는데, 여기서 ISU-122가 가진 진면목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기존 ISU-152가 하기 힘들었던 대전차 임무 및 시가지 내에서의 돌격포 임무 등에서는 외려 ISU-152보다 탁월하다는 운용 인원들과 일선 장교들의 호평 하에 지속적으로 생산하기에 이른다.
8.1.1.2.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파일:ISU_122S_Hungary.jpg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당시 포격 준비 중인 소련 육군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소속 ISU-122S 소대[10]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당시에도 다수의 ISU-122 및 ISU-122S가 동원되어 바그라티온 작전 때와 같이 활약하였다. 특히 독일군의 반항이 완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중점적으로 투입되어 포격 지원보다는 적 전차를 직접적으로 제압하는 역할을 도맡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거친 산악지대인 탓에 자주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워 아주 조금 헝가리 내로 전진했다는 의의만 남긴 채로 결국 독일군을 몰아내는데에는 실패했으며 이후 소련군의 헝가리 진입은 봄의 새싹 작전 당시 절치부심하여 다시금 이루어지게 된다.
8.1.1.3.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파일:Vistula_oder_ISU_122.webp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당시 우쯔에 진입한 소련 육군 소속 ISU-122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당시에 많은 수의 ISU-122가 동원되어 독일군을 향해 수 많은 포탄을 퍼붓고, 독일군의 기갑전력에 대항하여 구축전차 임무를 도맡아 최전선에서 맞서 싸웠다.

이 때, 대공세가 소련의 승리로 끝나며 독일은 소련에게 결국 본토로의 침공을 허용하고 말았으며, 이는 향후 독소전의 향방을 결정짓는 전투로 기록에 남았다.
8.1.1.3.1. 동프로이센 공세
파일:Soviet ISU-122S is fighting in Königsberg. 3 Belorussian Front, April 1945 of the year.jpg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 당시의 소련 육군 제3벨로루시안전선군 소속 ISU-122S "16호차"[11]
쾨니히스베르크 포위전 당시, ISU-152SU-76M 등과 함께 사용되었다. 특히 여기서 장전속도가 느린 ISU-152와 달리 ISU-122는 장전수가 숙련병이 아니어도 ISU-152에 비해 약 2배나 빠르게 장전이 가능하다는 점, 시가지 내에서 외려 더 유용하다는 점이 부각되었으며, 반자동 장전장치를 장착한 ISU-122S도 투입되면서 고화력 일점사격이 필요한 시가전에서 돌격포로 톡톡히 활약하였다고 한다.
8.1.1.4. 베를린 공방전
파일:Berlin17.jpg
베를린 전투 당시 "베를린은 독일에 머무를 것이다" 낙서를 지나치는 소련 육군 소속 ISU-122[12]
독소전쟁의 기나긴 끝을 장식한 베를린 공방전 당시에도 IS-2ISU-152 등과 함께 최전선에서 독일군들과 맞서 싸웠다.

특히 122mm 포의 탁월한 화력과 대전차능력은 이 시기에도 빛을 발했는데, ISU-152나 IS-2가 투입되기 힘든 환경에서 수많은 ISU-122들이 대전차임무에 투입되어, 끝까지 저항하는 독일군의 티거 2, 야크트판터, 5호 전차 판터 등의 강력한 기갑차량들을 상대로도 밀리지 않고 시가전 내에서 돌격포로 정말 큰 활약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9. 운용국

9.1. 유럽

9.1.1. 동유럽

9.1.1.1. 소련
파일:ISU-122_USSR.jpg
상트페테르부르크 포병 군사사 박물관 소장 소련 육군 소속 ISU-12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초도생산 이후 1950~60년대까지 사용하다 이후 잔존개체들을 우방국에 공여하였으며, 1958년에는 살아남은 소수의 ISU-122를 개수하기도 했다.
9.1.1.2. 러시아
파일:Museum of the National Military History_ISU-122.jpg
파디코보 군사 박물관 소장 러시아 육군 소속 ISU-122
소련을 계승한 현 러시아에서도 몇몇 차량을 복원하여 의장용으로 사용 중에 있는데, 파디코보 군사 박물관에 있는 개체의 경우 ISU-122였던 모델을 복원한 것이고, 우랄 전투 영광 박물관에 있는 개체는 ISU-152M이었던 개체의 포를 바꿔 제작한 레플리카로 알려져 있다.

9.1.2. 중부유럽

9.1.2.1. 폴란드
파일:Poland_ISU-122.jpg
폴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폴란드 인민군 소속 ISU-122
제2차 세계대전 당시와 전후 알 수 없는 수량의 단차들을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아 냉전 시기 사용하였으며, 이 중 ISU-122S 또한 공여받았다.

현재도 몇몇 차량이 복원을 거쳐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9.2. 아시아

9.2.1. 동아시아

9.2.1.1. 중국
파일:Chinese_ISU-122.jpg
베이징 전차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ISU-122 "211번차"
1950년 9월 경 중국 다싱안링에 주둔중이던 주중 소련군이 철수할 당시, 기존 사용하던 T-34-85, SU-76M, IS-2, ISU-152와 함께 40문의 차량을 구매 후 공여받아 사용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중국군은 공여받은 ISU-122 40문을 총 10개의 연대로 나누어 1개 연대 당 4문씩 편제하여 사용했으며, 이 중 6문이 1954년 베이징 열병식 당시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0. 미디어

10.1. 게임

10.1.1. 월드 오브 탱크

파일:external/wiki.gcdn.co/%D0%98%D0%A1%D0%A3-122%D0%A1_scr_2.jpg
ISU-122S
월드 오브 탱크에서 ISU-122S가 소련 프리미엄 7티어 구축전차로 나왔다. 그리고 ISU-152의 152mm ML-20S 다음 주포로 나온다.별명은 이수박이이.

10.1.2. 워 썬더

소련 육군 4랭크에 배치되어 있는데 A-19 야포를 탑재한 ISU-122와 D-25S 전차포를 탑재한 ISU-122S가 존재한다.

파괴력이 강력하나 ISU-122는 장전 속도가 느리다. 게다가 포가 워낙 탄속이 빨라서인지 근접에서 쏘면 가끔씩 그냥 빵꾸만(...) 뽕 나고 신관은 작동 안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위력을 제대로 보려면 장거리에서 저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게 제일 이롭다.

ISU-122S는 상당히 빠른 편에 속하기에 강력한 화력을 빠르게 발사할 수 있다.

10.1.3. 강철의 왈츠

파일:MW ISU-122.png
비올라 바체에브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올라 바체에브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4. Steel Division 2


일부 소련 보병사단들의 대전차 부대로 등장한다. IS-2급 공격력으로 2km에서 판터티거까지 처치할 수 있고 보병이나 대전차포도 잘 잡지만 방어력이 IS-2보다 부족해서 PaK 40급 공격에도 죽어버리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3호 돌격포4호 전차와 싸워도 최대한 2km정도의 장거리에서 공격하는 것이 좋다.

의외로 측면장갑이 튼튼한 편이라 약한 포들로는 안 뚫린다.

11. 모형

11.1. 프라모델

12. 참고 문헌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ff55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ff5500>
파일:키로프 공장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FF3300> 전차 - T-28 · KV-1 · IS-2 · IS-3 · T-10 · PT-76 · T-80 · 오비옉트 279
자주포 - ISU-152 · ISU-122 · 2A3 콘덴사토르-2P · 2B1 오카
}}}}}}}}}}}} ||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파일:소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냉전기
소련군기갑차량
전차 <colcolor=#fff> 시대별 세대 구분 <colcolor=#fff> 1세대 전차 <colcolor=#fff> 중형전차 <colbgcolor=#fefefe,#393b42>T-2597 «치하»L/R, T-2597 «신호토 치하»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중전차 MK-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중형전차 K-91, T-54, T-55, T-62(A/M), T-64
중전차 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 PT-76 «플라분», PT-76B «플라분», PT-85, T-100
미사일 전차 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력전차 T-64A
2세대 주력전차 T-72
3세대 주력전차 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 T-62B, T-64(A/R), T-72A
2세대 MBT 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 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 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 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 MAZ-7310, ATS-59, GAZ-51, GAZ-63, ZIS-150, ZIL-150, ZIL-164 «자하르»,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14,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 SU-122R, 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 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 SU-57L/R, SU-M10L/R, SU-76IL/R, SU-76M, SU-85R, SU-85M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 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 T-26R, T-70 «세미데샤트카»R, M24 채피L/R, T-2595 «하고»L/R, MK-IIIL
구난전차 IMR-2, BTS-4, IMR
기타 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기갑장비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efefe,#c0392b>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기갑차량
전간기 차량 피우수트스키 장갑차, 포드 Tf-c, 오스틴-푸틸로프O, 제프리-포플라프코O, 가포드-푸틸로프O, 에르하르트 E-V/4O, 피어리스O, 피아트-이조르스키O, 푸조O, 카든 로이드 Mk.VIO, 르노 FTO, 르노 M26/27O, 르노 NC-27O, 피아트 3000O
전차 <colbgcolor=#fefefe,#c0392b> 탱켓 TK-3, TKF, TKS
경전차 7TP, 빅커스 Mk. EO, 르노 FTO, 르노 R35O, 호치키스 H35O
프로토타입 TK-1, TK-2, TKW, TKS-B, PZInż.160, 4TP, 9TP, 10TP, PZInż.130
페이퍼플랜 13TP, 14TP, 53TP
장갑차 경장갑차 푸조 장갑차O, Wz.28, Wz.34
중장갑차 Wz.29 우르수스
대전차 자주포 TKS-D
자주포 TKD
군용차량 모터사이클 MOJ 130, 소쿠우 200, 소쿠우 600, 소쿠우 1000, 포드코바 98
차량 CWS T1, PF-508 와지크, PF-518 마주르, PF-508/518, 라플리 V15RO, 르노 AGKO, PF-618 그롬, Wz.34 하프트랙, 라틸 FB6O
군용트럭 PF-621L, PF-621R, 우르수스 A, 프라가 RVO, 베를리에 CBAO, 쉐보레 157
견인차 PZInż.302, C2P, C4P, C7P, 시트로엥-케그레스 B2 10CVO, 시트로엥-케그레스 C6 P14/17/19O
자유 폴란드군 장비 르노 FT, 르노 R35, 르노 R40, A13 Mk.III, 마틸다 I, 크롬웰, 크루세이더, 처칠, M3A3 스튜어트, 셔먼 I, 셔먼 IIA, 셔먼 IB, 셔먼 III, 셔먼 V, 셔먼 VC, 셔먼 IC, Mk.I 아처, 유니버설 캐리어, M3 하프트랙, 험버 장갑차, M6 스태그하운드, 모리스-커머셜 LRC, AEC 도체스터 ACV, M10 GMC, 3호 전차G형O, 4호 전차O
폴란드 인민군 장비 T-34-76O / T-34-85O, T-70O, IS-2O, BA-20O, 윌리스 MBO, BA-64O, M4A2 (76)O, BA-64, SU-57O, SU-76MO, SU-85O, ISU-122O, ISU-152O, 유니버설 캐리어O, M17 MGMCO
폴란드 국내군 장비 쿠부시, Sd.Kfz. 251 D형O, BA-20MO, BA-202(r)O, M14/41O, 헤처O, 4호 전차H형O, 5호 전차 판터O, 6호 전차 티거O
※ 윗첨자O: 타국에서 구매, 공여 및 노획
}}}}}}}}}

냉전기 폴란드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colbgcolor=#c0392b> 폴란드 인민군
기타전차 T-70, T-34-85M1, T-34-85M2, IS-2, IS-3
MBT <colbgcolor=#c0392b> 1세대 T-55(A/L/AM1 · M2) Mérida
2세대 T-72A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기타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경전차 PT-76(B)R, AMX-10RCC
중형전차 T-34-85MC
중전차 IS-2R, IS-2MR, IS-3MR, T-10MR
퍼레이드용 차량 T-2597 «신호토 치하»C/R, T-34 (1941)R, T-34 (1942)R, T-70 «세미데샤트카»R, T-34-85R, T-34-85MR, T-34-85CZR, MK-IIIR, SU-76MR, SU-85R, SU-85AR, SU-100R, ISU-152R, ISU-122R, 윌리스 MBR, BA-64R, BA-6R, TIZ-AM-600R, T-20R, T-26RTR, KhT-26R, T-38R, T-60R, T-28R, T-35R, MS-1R, BM-13R
MBT
서방식 분류
1세대 T-54(AM/M)RC, T-55(AD · AM · AMV)RC
2세대 T-62(M · MV)RC, T-64(A/B · B1 · BV · BMC), T-72(우랄/ARC · M1C · B · BA), T-80(BRC · BV · BVM)
3세대 T-80(U · UDRC · UK · UM2D · BVM) , T-72(B3(M)), T-90(A · S), M1A1 SAC
3.5세대 T-90M, T-14, 레오파르트 2A6C
장갑차 차륜장갑차 BDRM-2/2RkhbRC, BTR-60RC, BTR-70RC, BTR-82AM/82A/82A1, BTR-90S,
BTR-4C, BPM-97, AMN-590951, {K-16 부메랑 BTR}, {K-17 부메랑 BMP}, Z-STS, 05식 장갑차, M2010 APC?
궤도장갑차 MT-LB, BMD-2, BMD-3, BMD-4, BMP-1S(M · AMㆍUC), BRM-1(K)/Obr. 2021, BMP-2(M), BMP-3, BMPT, BMO-T, {T-15},
{쿠르가네츠-25(BMP · BTR)}, {BMMP}, PTS-2, PTS-3, DT-30, BTR-50RC, YPR-765C, M113C, CV90C, M2A2 ODS-SAC, 마르더 1A3C
차량 소형 UAZ-469, GAZ-2975 티그르, GAZ-2330 티그르, 이베코 LMV, VBL, UAZ-3132, UAZ-3163, 타루스2x2, A-1, TTM-1901-40, K-4386 타이푼-VDV, M1224 MaxxProC, M-ATVC, HMV 하야테, 플라스툰-SN
트럭 GAZ-51, GAZ-63, GAZ-66, GAZ-33097, MAZ-7310, MAZ-6317C/R, 우랄-4320, 우랄-5323, ZiL-131, KamAZ-4326, KamAZ-4350/5350/6350, KamAZ-65225, KamAZ 타이푼, BAZ-6906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A-222 베레크, 2S19 무스타-S, 2S35 칼리챠-SV, 2S43 말바, M-1989 주체포?
자주평사포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자주박격포 2S4 튤판, 2S9 노나-S, 2S23 노나-SVK, 2S31 베나, 2S34 호스타, 2S39 매그놀리아, 2S40 플록스, 2S41 드로크, 2S42 로토스
대전차 자주포 2S25(M)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4 · M5) 쉴카, 2S6(M1) 퉁구스카, 판치르-S1, 소스나-R , {2S38 데리바치야-PVO}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M1) 퉁구스카, 판치르-S1, 9K331 토르-M1, 9K33(M3 · AKM) 오사, 9K35(M3 · MN)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BM-21 그라드, BM-27(M1) 우라간, BM-30 스메르치, 9A52-4 토네이도, TOS-1A 손체푝, TOS-2 토소치카, 체부라시카, M-1991 방사포?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윗첨자D: 전량 손실
취소선: 개발 및 도입 중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도입 의혹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폴란드군 (1990~현재)
Wojsko Polskie
기타전차 셔먼 VCR, T-34-85M1/M2R, IS-2R, IS-3R
MBT <colbgcolor=#fff> 1세대 T-55(A/L/AM1 · M2) MéridaM/R
2세대 T-72A
3세대 T-72(M/M1 · 1D) Jaguar, PT-91(MA/MA1) 트바르데M,
레오파르트 2(A4/A5), M1A1SA
3.5세대 레오파르트 2PL, M1A2 SEP v3, K2GP, {K2PL}
경전차 PT-76BR, PL-01, WPB 안데르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쿠부시R, KTO 로소막, BRDM-2, SKOT-(1A/2A · 2AP), BTR-40R
궤도장갑차 TOPASR, BWP-1(C/D), BWP-2(D)R, MT-LB, {BWP 보르숙}, {CBWP 사업 K-9 차대기반}, BWP-2000, WPB 안데르스
차량 소형 {K-151 레그완}, 타르판 혼커 2000 · 스콜피온 · 스콜피온-3, 투막, 온실라, 디펜더, 벤츠 GD 290/250, WD-43, 샌드캣
트럭 벤츠1017A · 유니목 1300L, ZiL-131, ZiL-157,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MP720 시리즈 · M40.12WM,
Star 200 · 244 · 266(M) · 660(M) · 944K ·1466ML · 1444,
Jelcz P/S662D · P662D · P642D · C642D · C662D · P/S862D · P/S842D
타트라 T-815, KrAZ-255, 우랄-375D, 우랄-4320, GAZ-66,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S7 PiwoniaR, 2S1(M/T) Goździk, wz. 1977 DANA-T, AHS 크라프, AHS 크릴, K-9A1, {K9PL}
자주박격포 TOPAS-2APR, {로소막-Rak}
대전차 자주포 SU-57R, M10 아킬레스R, ASU-57R, ASU-85MR, SU-100R, ISU-152R, M36B1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P BiałaM, LSPZRA Sopel, PZA 루아르-(A/NG)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Strzała-1R 9K35 Strzała-10MR, ZRK-SD RombR · 9K33BM3 ŻądłoM, Mała NAREW
다연장로켓 BM-24R, BM-21R, WR-40 랑구스타M, RM-70/85, M142 HIMARS, {호마르-K}, {호마르-A}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M88A2 허큘리스}
교량차량 {M1110 JAB}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1c25>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기타 치하IJA/NRA/L/R, M4A2NRA/M/R, M4A3 (76) W HVSSC/R, IS-2L/R, OT-34 1943년형L/R, T-34-85L/M/R, 58식 전차M/R, WZ-111, 122 중형전차, L3/35NRA/R, M46 패튼C/R
MBT <colbgcolor=#ee1c25> 1세대 59식 전차
2세대 69식R · 79식 전차, 80식R · 85식R · 88식 전차, 90식 전차, 96식 · 96A식 전차, T-72 우랄-1, T-72M1
3세대 96B식 전차, 99식 전차
3.5세대 99A식 전차
경전차 아식 구돈반전차NRA/R, M3A3NRA/C/R, M5A1 스튜어트NRA/R, 97식 "공신호" 경전차IJA/NRA/C/M/L/R, QT-95형IJA/NRA/C/L/R, M24 채피C/R, 59-16 경전차, 62식 전차R, 63식 전차, WZ-132, 05식 양서돌격차, 15식 경전차, VT-5E
장갑차 차륜장갑차 56식 장갑차R, 90식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05식 장갑차, 08식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NRA/R
궤도장갑차 옥스포드 캐리어C/R, 와스프 IICC/R, SU-85 구난전차L/M/R, M113C/R, 63식 장갑차, 77식 수륙양륙장갑차, 86식 보병전투차R, 85식 장갑차, 89식 장갑차,
03식 공수 보병전투차, 04식 · 04A식 보병전투차, 05식 양서장갑차
차량 소형 둥펑 멩시 시리즈, 둥펑 EQ-2050, 노린코 VP11, 노린코 VP22, 노린코 VN21, 노린코 CS/VN11, 노린코 CS/VN14, CS/VP11 ATV, CS/VP6/VP16 ATV, 얀징 YJ2080
트럭 우랄-4320, GAZ-51R, GAZ-63R, 난징 유에진 NJ130R, 난징 유에진 NJ230R, 지에팡 CA10R, 둥펑 EQ240/EQ2081 6x6, 둥펑 EQ2102, FAW MV3 4x4, 샨시 SX2190
자주포 자주곡사포 70식 122mm 자주포R, 83식 152mm 자주포, 88식 155mm 자주포, 89식 122mm 자주포,
05식 155mm 자주포, 07식 122mm 자주포, 08식 차륜형 자주포, 09식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71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81 155mm 차륜형 자주포
자주박격포 85식 자주박격포, 05식 자주박격포, 08식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LVT(A)-4 (ZiS-2)NRA/M/R, LVT-4 (ZiS-3)NRA/M/R, SU-76ML/R, SU-85L/R, SU-100L/R, ISU-152R, 89식 자행대전차포, ISU-122L/R, M36 잭슨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88식 자주대공포, 95/04식 자주대공포, 07식 자주대공포, 09식 자주대공포, M19 더스터C/R
단거리 대공미사일 HQ-6, HQ-7, HQ-17, HQ-17A
다연장로켓 BM-13NL/R, WS-1/2, 83식 다연장로켓R, 63식 다연장로켓R, 81/89/90/식 다연장로켓R, 03식 다연장로켓, 11식 다연장로켓, 16식 다연장로켓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NRA: 국공내전 당시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본가인 소련에서는 1950년대에 퇴역 후 치장장비로 전환되었다가 그 후예인 러시아가 현재 행사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2] 오비옉트 243의 주포로 장착된 BL-9와 부품만 다르고 동급의 탄도 성능을 내는 포다.[3] 해당 함포는 2차 대전 초에 T-100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SU-100Y 자주포의 주무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4] 어차피 소련 자주포들은 SU-85SU-100을 제외하면 애초부터 장거리 포격을 포함하여 다용도로 사용될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자주포였던데다 기본적으로 체급별 차이는 방어력과 주포 뿐이었기에 예전에는 심지어 특성이 완전히 다른 SU-122SU-76M을 동시에 편제하는 일까지 있었다. 예전에 비하면 ISU-152와 ISU-122의 혼합편제는 그렇게 이해하기 힘든 일은 아니다.[5] 당연하지만 일이 두배.[6] 화력이 떨어진다는 것만 제외하면 ISU-122는 ISU-152보다 재장전속도, 탄약 적재량 숫자, 정확도, 보급시간에서 우위를 가졌으며 떨어진다는 화력도 독일군의 자잘한 경장갑차량 및 토치카 정도는 날려버릴 수 있는 122mm였다.[7] 비록 ISU-122가 양각이 18도로서 20도인 ISU-152보다 더 나빴고 A19 자체가 ML-20에 비해 곡사포로서의 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간접사격시 14.3km나 되는 사정거리를 가지는 등 오히려 대전당시의 ISU-152보다 더 긴 사정거리를 가졌기에 자주포로서 역할도 꽤 자주 했다.[8] 다만 Steven Zaloga의 저서 'IS-2 Heavy Tank, 1944-1973'같은 자료에 따르면 1947년에서 1952년까지 생산이 재개되어 3130대가 제작되었다고 한다. ISU-152와 혼동된 수치인지는 명확하지 않다.[9] 1944년 촬영되었다.[10] 1944년 10월 경 헝가리 인근에서 촬영되었다.[11] 1945년 3월 촬영된 사진이다.[12] 1945년 5월 3일, 베를린이 공식적으로 항복한 날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