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5:54:31

소녀시대

Girls' Generation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소녀시대(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태연
써니
티파니
효연
유리
수영
윤아
서현


{{{#dcdcdc {{{#!folding [ 전 멤버 ]
[ 유닛 목록 ]
||<tablebgcolor=#ff84c3><tablewidth=100%><width=50%> 파일:CVsszWXWEAAIVjK~01.png ||<width=1000> 파일:snsdohgglogo1.png ||
소녀시대-태티서 소녀시대-Oh!GG
[ 한국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다시 만난 세계.jpg
||<width=25%>
파일:485C29F0-5D41-4FA8-9FBF-54AFF3044D3E.jpg
||<width=25%>
파일:5211A92C-4A7F-4DAF-ADED-BE1CEB5BDB69.jpg
||<width=25%>
파일:FAE8E2DC-0EDB-4A23-A826-84893A6C938F.png
||
[[다시 만난 세계|
다시 만난 세계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BC6CD;"
[[소녀시대(음반)|
소녀시대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04773;"
[[Baby Baby|
Baby Baby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0D6CE;"
[[Gee|
Gee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0EBE3;"
파일:소원을 말해봐 (Genie).jpg
파일:Oh!.jpg
파일:Run Devil Run.jpg
파일:훗 (Hoot).jpg
[[소원을 말해봐|
소원을 말해봐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62F38;"
[[Oh!|
Oh!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72283;"
[[Run Devil Run(소녀시대)|
Run Devil Run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E1C19;"
[[훗|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AAF60;"
파일:external/image.melon.co.kr/1123351_org.jpg
파일:The Boys 앨범 아트.jpg
파일:MR.TAXI 앨범 아트.jpg
파일:attachment/I GOT A BOY/Example.jpg
[[Into The New World|
Into The New World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27099;"
[[The Boys(소녀시대)|
The Boys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6D1D0;"
[[MR.TAXI|
MR.TAXI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DECF0;"
[[I GOT A BOY|
Dancing Queen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E3227;"
파일:I GOT A BOY 앨범 아트.jpg
파일:소녀시대 라이브 2집.jpg
파일:소녀시대 Mr.Mr..jpg
파일:Catch Me If You Can 앨범 아트.jpg
[[I GOT A BOY|
I GOT A BOY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FBDDD;"
[[2011 Girls' Generation Tour|
2011 Girls' Generation Tour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D0303;"
[[Mr.Mr.|
Mr.Mr.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4243D;"
[[Catch Me If You Can(소녀시대)|
Catch Me If You Can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A0A0A;"
파일:PARTY(소녀시대) 앨범 아트.jpg
파일:Lion Heart 앨범 아트.jpg
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jpg
파일:FOREVER 1.jpg
[[PARTY(소녀시대)|
PARTY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0EAD4;"
[[Lion Heart|
Lion Hear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AF285;"
[[Holiday Night|
Holiday Nigh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C4C7E;"
[[FOREVER 1|
FOREVER 1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7be4;"
[ 일본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fff,#000><width=25%>
파일:359C7BB5-6610-4F8B-AD86-4BBD48A244E8.jpg
||<width=25%>
파일:2167E5C9-761E-4C02-A741-B4FB82E89013.png
||<width=25%>
파일:MR.TAXI / Run Devil Run.jpg
||<width=25%>
파일:GIRLS' GENERATION.jpg
||
GENI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Ge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MR.TAXI / Run Devil Ru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84c3"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20686.jpg
파일:external/is5.mzstatic.com/12UMGIM33588.1500x1500-75.jpg
파일:attachment/Oh!/Example.jpg
파일:external/1.bp.blogspot.com/snsd+flower+power+album+cover.jpg
The Boy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5e7c"
PAPARAZZ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Oh!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Flower Pow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파일:Girls & Peace 앨범 아트.jpg
파일:2678792A-E36B-40E1-AF41-655226AF14A3.jpg
파일:F2A66EAD-6C85-4CFA-A32D-B75363A2D343.png
파일:Love & Peace 앨범 아트.jp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84c3"
LOVE & GIRL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Galaxy Supernov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Love & Peace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84c3"
파일:external/is5.mzstatic.com/14UMGIM27972.1500x1500-75.jpg
파일:external/is5.mzstatic.com/14UMGIM41975.1500x1500-75.jpg
파일:Catch Me If You Can 앨범 아트.jpg
THE BES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e69fc6"
THE BEST ~New Edi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5e7c"
Catch Me If You Ca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4px; padding: 1px 4px 1px; background: #ff7a7f"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음반 ||<width=25%> 활동 역사 ||<width=25%> 해외 활동 ||<width=25%> 수상 경력 ||
콘서트 S♡NE 응원법
광고 SUPERSTAR
소녀시대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1px -6px; min-height: 28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가수
<rowcolor=#F197B4>
ONE 프로덕션
'''''' 보아 소녀시대 aespa
<rowcolor=#F197B4>
PRISM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16px -11px" SHINee WayV Raiden LUCAS SMNGG }}}
<rowcolor=#F197B4>
RED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동방신기 Red Velvet }}}
<rowcolor=#F197B4>
NEO 프로덕션
NCT
{{{#!wiki style="margin: -16px -11px" 127 DREAM WISH }}}
<rowcolor=#F197B4>
WIZARD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16px -11px" SUPER JUNIOR EXO RIIZE }}}
<rowcolor=#F197B4>
VIRTUAL IP 프로덕션
nævis
배우
유호정 최종윤 조준영 이철우
제이민 김지우 라미 강인
방송인
김경식 이동우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1px" 크리스 타오 승한 }}}
Labels In Company 소속
<rowcolor=#F197B4>
IMLAY Mar Vista 민지운
<rowcolor=#F197B4>
한지희 요한킴 황호규 김종국
관련 틀
틀:SM C&C | 틀:키이스트 | 틀:미스틱스토리 | 틀:KMR | 틀:에스팀 }}}}}}}}}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소녀시대의 주요 수상 이력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fff;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449a4><tablebgcolor=#fff,#1c1d1f>
2PM
<Again & Again>
(2009년)
{{{#fff 소녀시대}}}
<Oh!>
(2010년)
비스트

(2011년)

파일:KMAlogoblack1.jpg
올해의 노래
장기하와 얼굴들
<싸구려 커피>
(2009년)
{{{#fff 소녀시대}}}
<Gee>
(2010년)
뜨거운 감자
<고백>
(2011년)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음반 대상
슈퍼주니어
<Sorry, Sorry>
(2009년)
{{{#fff 소녀시대}}}
<Oh!>
(2010년)
슈퍼주니어
<Mr. Simple>
(2012년)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디지털 음원 대상
쥬얼리
<One More Time>
(2008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소녀시대}}}
<Gee>
(2009년)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년)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년)
{{{#fff 소녀시대}}}
<The Boys>
(2012년)
싸이
<강남스타일>
(2013년)

파일:seoulmusicawards2.png
서울가요대상 대상
원더걸스
<Nobody>
(2008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소녀시대}}}
<Gee>
(2009년)
소녀시대
<Oh!>
(2010년)
소녀시대
<Gee>
(2009년)
{{{#fff 소녀시대}}}
<Oh!>
(2010년)
슈퍼주니어
<Mr. Simple>
(2011년)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가수상
2NE1
(2010년)
{{{#fff 소녀시대}}}
(2011년)
빅뱅
(2012년)

파일:mma_logo_white.png
올해의 아티스트상
동방신기
(2008년)[2]
<colbgcolor=#ffffa1,#5d5e00> {{{#fff 소녀시대}}}
(2009년)
소녀시대
(2010년)
소녀시대
(2009년)
{{{#fff 소녀시대}}}
(2010년)
비스트
(2011년)

파일:mma_logo_white.png
올해의 베스트송상
원더걸스
<So Hot>
(2008년)
{{{#fff 소녀시대}}}
<Gee>
(2009년)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년)
}}}}}} ||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소녀시대의 주요 선정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kbs를 빛낸 50인 세로.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BTS 강하늘 강형욱 강호동 고두심
공효진 김강섭[A] 김동건 김병만 김수현
김숙 김신영 김영철 김은숙 김종민
김혜수 김혜자 나문희 나영석 나훈아
노희경 문세윤 박명수 배용준 소녀시대
손범수 송은이 송중기 송해 송혜교
신구 신동엽 아이유 안국정[B] 유동근
유재석 윤석호 이경규 이금희 이병헌
이순재 이영자 임성훈 전현무 조용필
최경영 최불암 최수종 허참 황수경
한국방송공사가 공영방송 50주년을 맞이하여 선정한 50인의 인물로,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였다.

선정을 위해 KBS와 여론조사기관 칸타퍼블릭이 공동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내외 전문가그룹 100명과 인구 통계학적 분포에 따라 성별, 연령별로 구성된 KBS 국민 패널 1,800여 명이 참여한 1차 설문 조사로 100명의 후보군을 우선 선정하였다. 이어 3주간 KBS 공영방송 50주년 홈페이지(kbs50.kbs.co.kr)를 통해 일반 시청자 7만여 명을 대상으로 최종 투표를 실시하였다. 시청자 투표로 선정된 최종 50인은 한국언론학회와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의 추천을 받아 미디어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KBS를 빛낸 50인 선정자문위원회’에서 적격성 검토를 거쳐 확정되었다.

[A]: 가요무대 음악 감독을 맡은 KBS 악단장으로, 2022년 사망하였다.
[B]: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생방송을 기획, 연출한 PD.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공동 2위 4위 5위
이미자 나훈아 조용필 현철
6위 7위 8위 9위 10위
태진아 신승훈 송대관 김건모 설운도
2009년
※ 200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윤정 BIGBANG 태진아 이미자 소녀시대
{{{#!wiki style="margin: -16px -11px" 6위 7위 공동 8위 공동 10위
나훈아 조용필 현철 손담비 이승철 송대관 }}}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조용필 이선희 장윤정 아이유 태진아
6위 공동 7위 9위 10위
EXO 이승철 이미자 나훈아 소녀시대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장윤정 나훈아 아이유 조용필
6위 공동 7위 9위 공동 10위
이선희 태진아 이미자 이승철 김연자
공동 10위 15위
이문세 홍진영 TWICE 박효신 남진
16위 17위 공동 18위
임창정 송가인 김건모 설운도 진성
21위 공동 22위
성시경 거미 BLACKPINK 잔나비
2024년
※ 202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임영웅 아이유 방탄소년단 나훈아 NewJeans
6위 7위 8위 9위 10위
장윤정 진성 영탁 송가인 BLACKPINK
11위 12위 13위 공동 14위
이찬원 성시경 김연자 김호중 조용필
16위 17위 공동 18위 공동 20위
이효리 전유진 IVE 이문세
공동 20위
이미자 이승철 장민호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가수 1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7년부터 매년 한국갤럽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올해를 빛낸 가수'를 선정한다. 그중 1위만 기록한다.
※ 2020년부터 여론조사 대상 연령층이 13~59세에서 60대 이상까지로 확대되었고, 결과 집계는 30대 이하 / 40대 이상으로 이원화되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원더걸스 소녀시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소녀시대 싸이 조용필 아이유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BIGBANG 임창정 아이유 방탄소년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대 - 30대 이하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방탄소년단 NewJeans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대 - 40대 이상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임영웅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파일:시사저널 화이트 로고.svg
2010년대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 연예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10년대의 각 해마다 시사저널이 각 분야의 전문가 1000명에 칸타퍼블릭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선정했으며, 최대 3명까지 중복응답이 가능하였다. 이 틀에는 1위만 기재함.
2010 2011 2012 2013 2014
소녀시대 싸이
2015 2016 2017 2018 2019
유재석 방탄소년단
같이 보기: 한국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종합) / 여권 정치인 / 야권 정치인 / 법조인 / 경제인 / 언론인 / 문화예술인 / 연예인 / 스포츠 스타 / 종교인 / 국제 인물 / NGO 지도자 / 잠재력 있는 정치인 / 대통령에 영향력 있는 인물 / 언론매체
연도별 보기: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파일:포브스(기업) 로고 화이트.svg
포브스 코리아 선정 파워 셀러브리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위 - 1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BIGBANG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지성 이승엽 유재석 김태희
201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01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201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아이유 카라 김연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01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SUPER JUNIOR
201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수지 류현진 EXO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추신수 동방신기 SHINee 김연아 아이유
2015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2016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BIGBANG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2017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보검 송중기 TWICE EXO 방탄소년단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2018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Wanna One TWICE EXO 아이유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201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BLACKPINK 방탄소년단 Wanna One 강다니엘 Red Velvet
<rowcolor=#fff> 5위 7위 8위 9위 10위
박나래 홍진영 한지민 손흥민 EXO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류현진 BLACKPINK 손흥민 봉준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전현무 박나래 이수근 TWICE 김희철
202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류현진 손흥민 임영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김광현 유재석 영탁 정동원 장윤정
202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손흥민 류현진 이찬원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임영웅 윤여정 유재석 장민호
202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손흥민 BLACKPINK 송중기 유재석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임영웅 손석구 장민호 장윤정 영탁
}}}}}}}}} ||
}}}}}}}}} ||

파일:멜론 로고.svg 멜론의 전당 - 아티스트 부문 (빌리언스 클럽)
소녀시대

}}} ||
The 7th Album
《FOREVER 1》
파일:Girls' Generation_Cosmic Festa-1.jpg
서현 · 윤아 · 써니 · 태연 · 효연 · 티파니 · 수영 · 유리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84c3>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소녀시대
Girls' Generation
}}}
<colbgcolor=#ff84c3> 데뷔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07년 8월 5일[3]
(데뷔일로부터 [dday(2007-08-04)]일, [age(2007-08-05)]주년)

[[일본|]][[틀:국기|]][[틀:국기|]]
2010년 8월 25일[4]
(데뷔일로부터 [dday(2010-08-25)]일, [age(2010-08-25)]주년)
데뷔 음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일본|]][[틀:국기|]][[틀:국기|]]
유닛 소녀시대-태티서 · 소녀시대-Oh!GG
장르 K-POP, 댄스, 발라드, 일렉트로닉 뮤직, R&B
리더 태연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
레이블
[[일본|]][[틀:국기|]][[틀:국기|]]
EMI Records
유통사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일본|]][[틀:국기|]][[틀:국기|]]
유니버설 뮤직 재팬

[[중국|]][[틀:국기|]][[틀:국기|]]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팬덤 [[S♡NE|
S♡NE
]][[S♡NE#|
S♡NE
]][[S♡NE#s-|
S♡NE
]]
공식 색
파스텔 로즈 (Pastel Rose)
[5][6]
응원봉 소원봉[7]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https://www.smentertainment.com/artist/|
파일:SM엔터테인먼트 심볼.svg
]][8]

[[일본|]][[틀:국기|]][[틀:국기|]]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파일:유니버설 뮤직 재팬 로고.svg파일:유니버설 뮤직 재팬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9]

[[일본|]][[틀:국기|]][[틀:국기|]]
}}}}}}}}}

1. 개요2. 약력3. 멤버
3.1. 멤버 간 케미
3.1.1. 2인3.1.2. 3인 이상
4. 특징
4.1. 로고4.2. 그룹명4.3. 인기 및 위상4.4. 콘셉트4.5. 실력
4.5.1. 퍼포먼스
4.5.1.1. 칼군무 걸그룹 원조
4.5.2. 가창력
5. 기록
5.1. 음원5.2. 음반5.3. 설문조사5.4. 조회수5.5. 음악 방송 1위5.6. 방송 횟수5.7. 가요대상5.8. 콘서트 및 매출5.9. 국내외 반응 및 주요 기관 선정/차트5.10. 브랜드 평판
5.10.1. 2010년대5.10.2. 2020년대
6. 활동7. 뮤직비디오8. 수상 경력9. 논란 및 사건 사고10. 팬덤11. 여담
11.1. 라이벌11.2. 소속사 비화
12. 관련 문서13.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파일:소녀시대 인기가요 2022.gif
"하나, 둘, 셋! 안녕하세요, 소녀시대입니다! 지금은~ 소녀시대!"


"지금은 소녀시대, 앞으로도 소녀시대, 영원히 소녀시대~!"[10]


2007년 8월 5일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8인조[11][12] 다국적 걸그룹.[13]

K-POP 2세대 대표격 아이돌 그룹 중 한 팀으로서 많은 인기를 누렸다.

2. 약력

소녀시대의 주요 연도별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연도별 기록 해당 연도
멜론 연간차트 1위 2009년
멜론 연대차트 1위[14] 2000년대
멜론 연간차트 입성[유닛]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22년
가온 연간 음원차트 TOP 10에 2곡 입성[16] 2010년
가온 연간 음반차트 TOP 10에 3개의 앨범 입성[17][18] 2010년
가온 연간 음반차트 1위[19] 2011년
걸그룹 단일 음반 판매량 1위[유닛][21][22]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 밀리언셀러[23] 2012년
해외 가수 오리콘 매출 1위 2012년
역대 걸그룹 단일 콘서트 투어 최다 관중 동원 2013년
뮤직뱅크 상반기, 연말 결산 1위 석권[24] 2009년 · 2010년
한국갤럽 올해의 가수 1위[25] 2009년 · 2010년 · 2011년
포브스 코리아 셀러브리티 40인 1위[26] 2011년 · 2012년 · 2014년
한국갤럽 올해의 가수 TOP5[27]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한국갤럽 올해의 가요 1위 2009년 · 2010년
한국갤럽 올해의 가요 TOP5[28] 2007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한국갤럽 전 연령대 올킬[29] 2011년
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1위[30] 2011년 · 2012년
시사저널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TOP10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리스피아르 여성 가수 선호도 조사 1위[31][32] 2009년-1 · 2009년-2 · 2010년-1 · 2010년-2 · 2011년-1 · 2012년-1 · 2012년-2 · 2013년-1
대학생 의식조사 인물 선호도 가수 부문 1위[33]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유튜브 선정 가장 많이 검색된 국내 여성 아티스트[34]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골든디스크 대상[35] 2009년 · 2010년 · 2012년
서울가요대상 대상[36] 2009년 · 2010년
멜론 뮤직 어워드 대상[37] 2009년 · 2010년
KBS 대상 2010년
한국대중음악상 대상 2010년
마마 어워즈 대상 2011년
유튜브 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상[38] 2013년
올림픽체조경기장 매진[39] 2011년 · 2013년 · 2022년
드림콘서트 엔딩[40] 2013년 · 2014년 · 2019년 · 2022년
빌보드 200 진입[유닛][42] 2012년 · 2014년
}}} ||
소녀시대의 주요 각종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종 기록 기록 내역
뮤직뱅크 연속 1위[43] 9주
뮤직뱅크 단일곡 통산 1위[44] 11주
뮤직뱅크 1위 횟수[45] 42회
뮤직뱅크 트리플 크라운[46] 6회
음악 방송 1위 횟수[47][48] 100회
솔로와 유닛을 포함한 음악 방송 1위 횟수[49] 157회
쇼! 음악중심 최고 시청률[50] 17.2%
메이저 시상식 대상 개수[51] 11개
멜론 일간차트 최장기간 1위 유지 기간[52] 12년[53]
멜론 일간차트 단일곡 1위[54] 〈Gee〉, 62일
멜론 주간차트 단일곡 1위[55] 〈Gee〉, 8주
걸그룹 최초 9년 연속 멜론 연간차트 차트인[포함] 2007~2015년
걸그룹 최초 3연대 연속 멜론 연간차트 차트인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걸그룹 최다 햇수 멜론 연간차트 차트인[포함] 총 10년
가온앨범차트 주간 1위[포함][59] 22주
가온앨범차트 월간 1위[포함][61] 11개월
가온앨범차트 연간 TOP 10[포함][63] 7회
2세대 걸그룹 누적 음반 판매량 1위[64][점검필요] 2,701,824장
역대 K-POP 아이돌 최초로 유튜브 M/V 조회 수 1억 뷰 돌파 〈Gee〉, 2013년 4월 1일
역대 2000년대 K-POP M/V 최초로 조회 수 3억 뷰 돌파 〈Gee〉, 2022년 10월 23일
유튜브 M/V 조회 수 5천만 뷰 이상 영상 20개
유튜브 M/V 조회 수 1억 뷰 이상 영상 9개
유튜브 M/V 조회 수 2억 뷰 이상 영상 3개
유튜브 M/V 조회 수 3억 뷰 이상 영상 1개
롤링스톤 선정 ‘K팝 역사상 가장 위대한 100곡’[66] 1위 - 〈Gee〉
33위 - 〈다시 만난 세계〉
}}} ||
아무도 뭐라 할 수 없었던, '소녀'라는 키워드보다는 어벤저스에 가까운 그룹.
- 작사가 김이나
2007년 8월 5일,〈다시 만난 세계[67]로 데뷔하였고, 이후 연달아 발매한 〈소녀시대〉, 〈Kissing You[68], 〈Baby Baby〉와 같은 청순, 청량 및 사랑스러운 곡들로 인기를 얻어 데뷔 초부터 탄탄한 팬덤력을 쌓아감과 동시에 인기 걸그룹으로서의 입지를 다져 나갔다.[69] 그리고 마침내 2009년 1월 5일, 〈Gee[70]와 〈소원을 말해봐〉같은 초메가 히트곡을 탄생시켜 이른바 ‘소녀시대 신드롬’, ‘지 신드롬’, ‘각선미 춤 열풍’이라 불리는 각종 범국민적 신드롬을 불러 일으키면서 대한민국 연예계를 휩쓸었다. 노래는 물론 그룹의 존재 자체가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하나의 브랜드'로서의 가치로 인정받으면서[71] '범국민적 신드롬'과 '대유행 및 열풍'의 선두 주자가 되어 어디서 무엇을 하고 무엇을 입든 매번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이 영향력과 인기는 국내에서로 그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나아가, 유럽‧미국 등의 서구권 및 아시아 전역에서도 큰 인기를 끌어 '월드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하면서[72] 수많은 국내외 팬들을 포함한 전 국민의 사랑을 받는 아이돌 최강자 자리[73][74]에 올랐다. 이후 〈Oh![75][76], 〈Run Devil Run[77], 〈[78], 〈The Boys[79], 〈I GOT A BOY〉, 〈Mr.Mr.〉, 〈PARTY〉, 〈Lion Heart〉 등의 곡들을 연달아 모두 히트시키고, 그 외 다양한 분야[80]에서도 엄청난 인기와 파급력을 이끌며 소녀시대는 그야말로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81], 즉 대중문화를 넘어 사회적인 영향력을 갖추게 되었다. 아이돌 및 걸그룹 춘추전국시대 속에서도 끝까지 왕좌를 지켜내며 가요계의 역사를 다시 쓴 셈이다.

2022년 8월에는 멤버들 각자 개인 스케줄로 바쁜 와중에도 불구하고 역대급 박터지는 여름 차트 속에서 15주년 기념 정규 앨범 《FOREVER 1》까지 흥행시킴[82][83][84][85][86]은 물론이고, TV 예능 및 유튜브, 음악 방송, 팬미팅, SMTOWN 콘서트 등의 각종 컴백 활동들까지 모두 성공시키면서[87][88][89][90][91] 명불허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당해 멜론 연간 TOP 100 진입[92]에 성공하며 '걸그룹 최초 3연대(2000년대~2020년대) 연속 음원 연간 차트 진입'이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국내 모든 아이돌 그룹 중 음원[93]과 음반[94] 모두 연간 1위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그룹[95][96]이며, SG워너비, 방탄소년단과 함께 골든디스크 음원 대상과 음반 대상을 모두 수상한 가수[97]다. 또한 서울가요대상 대상을 2회 또는 2연속 이상 수상한 유일한 걸그룹[98]으로, 이는 2세대 남녀 아이돌을 통틀어서도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더불어 역대 대한민국 여성 가수 중 메이저 시상식[99] 대상을 가장 많이 수상한 여성 가수[100][101][102]이자 2세대 남녀 아이돌 중 메이저 시상식 대상 최다 수상자이기도 하다.[103] 또한 2세대 이후 걸그룹 중 유일하게 지상파 대상을 수상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04][105]

현존하는 음악 방송 중 무한정으로 1위를 할 수 있는 유일한 음악 방송인 〈뮤직뱅크〉에서 무려 42회 1위를 수상하였다. 이는 역대 걸그룹 사상 최다 1위 횟수 기록[106]이며, 전체 아이돌을 통틀어서도 방탄소년단의 49회 1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1위 달성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KBS를 빛낸 50인에 걸그룹 중 유일하게 선정되어 국민 걸그룹으로서의 명예를 인정받았다. 또한 〈SBS 인기가요〉에서는 27회[107], 〈쇼! 음악중심〉에서는 5회[108]를 수상하여 지상파 1위 74회를 마크하고 있고, 전체 음악 방송 1위 횟수는 '100회를 마크하며 역대 걸그룹 사상 최초 음악 방송 1위 100회 달성[109]의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국내 최정상 걸그룹으로서 수많은 대기록과 업적을 세웠으며[110] 수많은 걸그룹들의 대표 롤 모델로 꼽히고 있음과 동시에 오래도록 꾸준히 전국민 및 전세계 팬들에게 사랑받는 K-POP 그룹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대중성과 팬덤력, 실력, 화제성, 파급력을 모두 완벽하게 갖춘[111] 대표적인 걸그룹으로 통하며 자타공인 대한민국 최고의 걸그룹이라는 평을 받는다.[112]
소녀시대는 젊은 세대의 전유물이었던 아이돌 음악을 전 세대로 확장시킨 K팝 글로벌화의 주역.
- 대중음악평론가 임진모
미국 대중음악 시장이 K팝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는 계기로서 소녀시대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전에는 K팝이 해외의 여러 노래를 사들이는 위치였다면, (소녀시대는) 해외 유명 프로듀서들도 충분히 관심 가질 만한 가수라는 점을 어필할 수 있었다.
- 대중음악평론가 미묘
소녀시대의 활약은 국내에서만 그치지 않고 해외에서도 큰 인기와 성공을 거두며 K-POP 최정상 걸그룹으로서의 위엄을 떨쳤다. 일본에서 한류 열풍을 일으킨 원조 걸그룹[113][114]이자 K-POP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에 앞장선 오리지널 걸그룹으로, 현재까지도 일본, 중국, 대만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 및 서구권에서도 큰 인기와 인지도를 지니고 있다. 또한 BIGBANG과 함께 지금의 한류 주역이자 K-POP을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한 그룹으로 통하며 K-POP의 국내외 아이돌 음악 시장을 크게 확장시켜 주는 데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 다방면으로 후배 아이돌들의 음악적 자취에 큰 발판이 되어 주고 본보기가 된 셈. 2017년 빌보드가 선정한 ‘지난 10년간 베스트 K-POP 걸그룹 TOP 10’ 부분에서 1위를 차지하며 'K-POP 제왕'이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다.
사실 가요계에는 '걸그룹 생명주기 3년설'이라는 게 있다. 보통 걸그룹이 데뷔하고 전성기를 맞기까지 1년 정도 걸리는데, 이후 2년 동안 두 번 정도의 콘셉트를 바꾸면 자연스레 인기가 사라진다는 맥락에서 나온 말이다. 3년 이후에도 최고 전성기를 유지한 걸그룹은 소녀시대 정도 뿐이니 어느 정도는 사실이다.
- 2019년 잡지 《샘터》 중 일부
또한 대중가요 역사상 걸그룹이 무려 10년 이상 팀을 유지하며 정상의 자리에서 장수[115]하는 건 최초의 사례이기 때문에 예나 지금이나 여러모로 걸그룹 시장을 광범위하게 넓혀 준 아주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 그룹이다. 그야말로 '소녀시대'라는 이름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이자 '걸그룹의 대명사'가 되었다고 과언이 아니다.[116]

3. 멤버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파일:FOREVER 1 태연 프로필.jpg 파일:FOREVER 1 써니 프로필.jpg 파일:FOREVER 1 티파니 프로필.jpg 파일:FOREVER 1 효연 프로필.jpg
태연 써니 티파니 효연
1989. 03. 09. ([age(1989-03-09)]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리더
메인보컬
1989. 05. 15. ([age(1989-05-15)]세)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
[[미국|]][[틀:국기|]][[틀:국기|]]

리드보컬
1989. 08. 01. ([age(1989-08-01)]세)


[[미국|]][[틀:국기|]][[틀:국기|]]
리드보컬
1989. 09. 22. ([age(1989-09-22)]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메인댄서
서브보컬
파일:FOREVER 1 유리 프로필.jpg 파일:FOREVER 1 수영 프로필.jpg 파일:FOREVER 1 윤아 프로필.jpg 파일:FOREVER 1 서현 프로필.jpg
유리 수영 윤아 서현
1989. 12. 05. ([age(1989-12-05)]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메인댄서
서브보컬
1990. 02. 10. ([age(1990-02-10)]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브보컬
리드댄서
1990. 05. 30. ([age(1990-05-30)]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센터
서브보컬
리드댄서
1991. 06. 28. ([age(1991-06-28)]세)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리드보컬

===# 전 멤버 #===
이름 생년월일 포지션 국적 활동 기간
제시카 1989. 04. 18. ([age(1989-04-18)]세) 메인보컬
[[미국|]][[틀:국기|]][[틀:국기|]]
2007.08.05 ~ 2014.09.30

3.1. 멤버 간 케미

소녀시대 관계성 한 번에 보기

3.1.1. 2인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태연 써니 티파니 효연 유리 수영 윤아 서현
<colbgcolor=#ff84c3><colcolor=#fff> 태연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단신 듀오 태니 메인즈 흑구백구 리막
써니 단신 듀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투니
티파니 태니 투니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효연 메인즈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메댄즈 흥자매
유리 흑구백구 메댄즈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투깝스 시크릿즈
수영 투깝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90즈
윤아 90즈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막내 라인
서현 리막 흥자매 시크릿즈 막내 라인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3.1.2. 3인 이상

4. 특징


4.1. 로고

Group Logo

2007년
파일:78716052-D27D-4E42-939F-1990AA32EB2F.png

2009년
파일:58CA971C-4EAD-4416-A734-7D2BD4E04BA4.png 파일:소녀시대 소원을 말해봐.jpg

2010년
파일:89113FD6-E53C-46AA-A0C4-A3BBA06D3E63.png 파일:Run Devil Run.png 파일:923D2962-B22B-427E-A005-30F5B8BC9FC9.png

2011년
파일:A4696BC9-88A2-43B2-94F0-B1C0ACFF9405.png 파일:F17C7A3F-9B01-45E9-8A7B-DFC594222F6F.png 파일:A83F36E3-698E-435D-BB43-53E9BFD62068.png

2012년
파일:1B610093-E2E0-4810-BD69-60F5945FF52C.png 파일:204373B7-5172-463B-A96F-D93FD95E6CF1.png 파일:F9008650-7902-4E54-833E-068A88FC5423.png

2013년
파일:FBEC3214-36D4-4923-9E68-B9571C6FAC29.png 파일:F20CE457-111F-4263-AE3B-C10AE52F90C4.png 파일:DCE4F914-C01D-4E2C-ABD9-9EC7DDA2AA4F.png 파일:파일:소녀시대 I GOT A BOY2.jpg 파일:00C0C80A-D8AF-42F7-8AD2-DED364B7F3FA.png 파일:008F45A2-B9F3-4AAF-B200-CBB712798115.png

2014년
파일:9D5E27CA-E92D-475E-9437-BAF7CB2A8DFC.png 파일:20221023_182202.png 파일:339ECB60-6FD7-4A55-8D57-D5A1EC6BA2E9.png

2015년
파일:EA72827C-5A45-44AB-A13E-D0A5A4AF5E74.png 파일:girls-generation-lion-heart.png 파일:267BE4E9-B373-4C91-B595-A1D789605C2F.png

2017년
파일:소녀시대 Holiday Night 로고.svg

2022년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4.2. 그룹명

‘소녀시대’라는 이름은 ‘소녀들이 평정할 시대가 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데뷔 전에는 멤버들 모두 세련되고 멋진 이름을 예상했었는데[130], 당시에는 다소 촌스러워 보이는 한국어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울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SM에서 소녀시대를 만들 때 세운 목표가 국내에서는 모든 연령대에게 관심을 끌 수 있고 이를 넘어 해외까지 공략할 수 있는, 일명 ‘범아시아적 그룹’이었기 때문에 SM 입장에서는 매우 고심해서 지은 것이었다고. 현재는 멤버들도 영어나 라틴어 이름이 대다수인 아이돌 세계에서 몇 안 되는 한국어 팀명이란 것을 장점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름에 대한 자부심도 매우 크게 느낀다고 한다.

그리고 '소녀시대'라는 이름에서의 '소녀'는 그저 소녀시대 멤버들만을 뜻하는 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소녀들을 의미한다고 한다. 즉, 세상의 모든 소녀들을 위한 시대를 열겠다는 뜻으로 그룹의 존재 가치와 의미가 깊어지고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그룹 명을 줄여서 흔히 ‘소시’라고 부르기도 하고, 한 음절로 ‘솟’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솟’은 다소 어감이 좋지 않아 잘 불리지 않지만, ‘소시’는 언론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자주 사용될 정도로 대중들에게 익숙한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공식 영어명은 ‘Girls' Generation’으로[* ‘Girl's Generation’이 아니다. 3인칭 복수 소유격의 경우, 규칙 변화에 한해 ‘~s'’ 와 같이 쓰기 때문이다. 의외로 많이 틀리니 주의. [OnStyle, YG엔터테인먼트 공식 트위터에서도 틀렸다. Generation은 시대(era, age)보다 세대에 가깝기 때문이다. 참고로 데뷔 직전까지 Girls’ Time이라는 영문명이 잠정 고려되었다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 데뷔앨범재킷 내 티파니의 친필을 보면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외국 언론에 소개될 때에는 이 이름으로 소개되지만 실제 해외 팬들은 인터넷상에서 소녀시대의 첫 자음을 딴 이니셜 ‘SNSD’를 훨씬 더 많이 사용한다. 당장 유튜브 같은 곳에서도 ‘SNSD’가 표준에 가까울 정도였다.

일본에서는 ‘少女時代’라 쓰고 '쇼죠지다이(しょうじょじだい)'로 읽는 것이 공식적인 표현이지만, 국내 발음을 따라서 ‘소뇨시데(ソニョシデ)’라고 읽고, 이를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사람도 많다. 여담으로 일본어에서는 시대(時代)가 시절(時節)이라는 뜻을 포함한다. 그래서 일본인 입장에서 소녀시대는 소녀(였던) 시절이라는 뉘앙스로 다가온다.

중국에서도 중국어 발음으로 ‘샤오뉘스따이’라 발음하지만, 팬들은 한국어로 ‘소녀시대’쏘뇨쒸대라 불러주는 경향이 있다. 한자 문화권을 포함한 해외 팬들도 원래 그룹명의 발음이 ‘So Nyeo Shi Dae’인 것을 잘 알기도 하고, 특히 영문명인 ‘Girls' Generation’은 살짝 번역어 느낌이 나서 어색해한다고 한다.

4.3. 인기 및 위상

소녀시대가 '걸그룹 교과서'로 불리는 이유
「지난 10년간 최고의 K-Pop 걸그룹 10: 평론가의 선택(10 Best K-Pop Girl Groups of the Past Decade: Critic's Picks)」 중 1위.

“지난 10년 동안 강력한 커리어를 보여준, 반박의 여지가 없는 'K-POP 제왕'이며, 탄탄하게 제작된 노래와 활기 넘치는 여성스러운 매력으로 한국을 사로잡고 있다. 이들은 수년간 꾸준히 그룹 활동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연기,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각자의 커리어도 이어나가고 있다.”
- 2017년 7월 16일, 미국 전문 음악 매체 빌보드 ##
당대의 K팝 프로덕션 퀄리티에서 가장 플래그십 역할을 한 팀이고, 2세대 아이돌을 이야기할 때 가장 중요한 아티스트 중 하나다. 일본 시장에서 K팝 한류가 퍼졌을 때도 크게 기여했고, K팝 씬을 견인한 대표주자이다.
- 대중음악평론가 미묘
소녀시대는 10대 뿐만 아니라 '삼촌 팬'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폭넓은 사랑을 받았는데 그래서 더욱 장수할 수 있던 것 같다. 최전성기에 해외 진출에 성공하고 걸그룹 한류를 이끌면서 다른 그룹과는 차별화된 위상을 갖게 됐다.

높은 정점을 찍었기 때문에 지속력도 크지 않나 싶다. 싱글 하나 안 된다고 이미지에 큰 해를 입지 않는 '거대한 아이콘'이 됐다. 오래가는 존재감은 거기서도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 평론가 이대화
소녀시대는 SM 그룹 아이돌 중에서도 새로운 분기를 제시한, 전무후무한 올라운드 플레이어.
- 대중음악 웹진 이즘
“소녀시대가 부러웠다. 솔직히 소녀시대 같은 그룹을 만들고 싶었다. 외모가 예쁘고 노래도 잘하는 이런 친구들을 만들어보고 싶은 건 늘 인간으로의 기본적 소망인 것 같다. 나름 나도 소녀시대가 부러웠던 것 같다. 저렇게 예쁜 친구들이 힙합을 하면 어떨까, YG 음악을 입히면 어떨까하는 걸 늘 생각한다. 그런데 3~4년 지나면서 처음 계획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얼굴이 예쁘고 귀여워서 뽑았는데 결국은 재능이 모자라다보니 수십명 중 6명이 남았는데 아직도 100% 만족할 수 없다. 6명 중 3명이 될지 4명이 될지 나도 잘 모르겠다.”
- 2013년 8월 20일, YG엔터테인먼트 대표 프로듀서 양현석이 YG표 걸그룹을 기획하게 된 계기를 설명하며 한 발언 중. ##
사실 '삼촌 팬'이 부각되긴 했으나 소녀시대는 초기부터 여성 팬도 많았던 그룹이다. '걸그룹을 좋아하는 여성 팬'이라는 것이 문화 현상으로서 다뤄지기 시작할 때 그제야 소녀시대가 이랬었다, 하고 거론됐다. (언론 조명 등) 가시화는 덜 됐으나 소녀시대는 여성 팬덤이 존재가 강했고 여성 팬이 많은 걸그룹이 보이는 특성도 가지고 있었다.
- 대중음악평론가 미묘
소녀시대는 여성 팬덤이 커야 오래간다는 교훈을 안겨준 첫 그룹이다. 그래서 K팝 씬에서 더 특별하게 자리하는 게 아닐까. 이후에는 아예 여성 팬덤을 염두에 둔 걸그룹도 많이 탄생했는데, 여기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 음악평론가 랜디 서
대체로 아이돌이 연기를 병행하는 건 팀 활동이 다 끝난 이후이거나 홀로서기를 꾀할 때였다. 2세대 아이돌은 아예 기획 단계에서부터 전방위 엔터테이너를 육성한다는 것을 목표로 삼은 세대.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동료 걸그룹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현역으로 팀이 유지되고 동시에 각 멤버가 자신의 영역을 확실히 갖고 활동하는 그룹은 소녀시대가 대표적이다. 가장 성공한 사례로도 들 수 있다.

가수가 노래만 잘 부르면 되는 게 아니라 다재다능해야 한다는 전방위적인 압박에 시달리게 된 분기점으로 볼 수도 있지만, 동시에 가수로서 전성기가 지나가더라도 여전히 본인의 재능과 영역을 통해 연예계에서 유의미한 플레이어로 생존했다는 점에서, 아이돌의 수명이 많이 늘어난 계기이기도 하다.
- TV 칼럼니스트 이승한
소녀시대가 무대와 무대 밖에서의 모습을 차별화한 데 주목했다. 소녀시대는 다인원 그룹이어서 '그 사람이 그 사람'으로 보일 위험성이 있음에도 꾸준히 유니폼을 입혀 하나의 치어리딩 팀 같은 미감을 추구, 전원이 뭉쳤을 때 파괴력을 극대화했다. 의상과 함께 군무도 이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각종 예능을 포함한 TV·라디오 프로그램에서는 멤버들의 캐릭터를 부각해 개인 인지도도 함께 가져갔다. 음악 활동 때는 다인원을 일체화하는 느낌이 돋보였다면, 예능에서는 개개인의 강한 개성을 드러냈다. 덕분에 무대 위에서는 '하나'지만, (무대 아래에서는) 그 애가 그 애라는 느낌이 없었던 게 남달랐던 지점.
- 음악평론가 랜디 서
파일:ADD562D8-FD24-45D2-BCDB-24AB8516C58B.jpg
파일:소녀시대 폰트.jpg
보통 아이돌 그룹은 활동의 지속성 부문에서 '7년'이라는 한계가 있고, 걸그룹은 3년 이상 유지되기 어렵다. 소녀시대가 걸그룹으로서 미국 진출을 시도한 것은 다른 후배 그룹에게도 '미국에 가 볼 수도 있겠구나'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또, 단독 콘서트 월드 투어를 한 것도 '걸그룹도 저게 되네?'를 보여준 사례다.
- 대중음악평론가 차우진

4.4. 콘셉트

파일:10F5A814-39E4-481A-A33D-AAB680EB0774.gif
기본적으로 콘셉트를 하나로 정하지 않는다. 10여 년 동안 대부분의 콘셉트를 겹치는 것 없이 다양하게 소화했으며, 이러한 부분이 소녀시대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혔다는 점과 걸그룹의 음악 시장을 넓혀 주고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아주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보통 대부분의 아이돌은 하나의 콘셉트를 확실하게 해서 자신들만의 이미지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키는 방식인데, 이와 달리 소녀시대는 여러 가지 콘셉트를 완벽하게 소화해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소녀시대는 소녀다운 이미지로 활동하다가 '블랙 소시'라는 콘셉트 아래 이미지 변신을 꾀하면서 마의 3년이라는 구간을 극복하려고 했고, 이것이 통했다. 그러면서 구매력 있는 팬덤을 확실히 가져오게 됐다. '소녀시대를 아는 사람'을 '소녀시대를 위해 돈을 쓰는 사람들'로 전환하는 셈인데, 포토카드 등 여러 굿즈를 살 수 있는 모멘텀을 만들어냈고, 나아가 글로벌 인기를 바탕으로 월드 투어를 하면서 스케일 업을 이뤘다. 이때 걸그룹의 한계라는 걸 확실히 깨뜨렸다.
- 대중음악평론가 차우진

소녀시대는 걸그룹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콘셉트와[186] 장르를 다 하고 이를 선두함으로써 걸그룹 계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전국민 대히트곡인 〈Gee〉에서 입은 스키니진은 전국민적으로 대유행을 불러 일으켰으며, 〈소원을 말해봐〉에서 입은 제복 또한 큰 화제를 이끌어 내면서 이후 많은 걸그룹들이 제복을 입고 무대를 꾸미는 현상이 증가하게 되었다. 데뷔 앨범인 〈다시 만난 세계〉에서는 꾸밈 없는 다소 편안한 느낌의 테니스 스커트를 입었는데, 이는 훗날 더 각광을 받으며 많은 걸그룹들이 시도하는 의상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다인원 체제 걸그룹 시스템 또한 유행시키며 소녀시대 이후로 8, 9인 이상의 다인원 체제 걸그룹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187]

소녀시대가 추구하는 곡이나 무대에서의 퍼포먼스는 각자 튀는 것보다 조화를 중시하는 데에서 특징이 잘 나타난다. 다른 그룹과 가장 큰 음악적 차별점은 전체적인 코러스 라인을 무기로 삼는다는 것이다.[188] 소녀시대의 앨범이 완고하게 일명 ‘백화점식 구성’을 지향하고 고수하는 것은 전적으로 팀의 합을 믿고 이걸 주력으로 하는 것의 방증이다.[189]
소녀시대의 음악은 정갈하고 짜임새가 참 좋다. 계속해서 전개되면서도 예측이 불가능한 재미가 있다. 시원시원하고 소녀들의 매력이 가장 잘 묻어있다. 특히 유로파는 소녀시대를 위해 만들어진 음악이다.

소녀시대는 나이를 먹어도 '소녀시대'라는 이름이 계속 어울릴 것 같다. 앞으로도 소녀시대라는 어마어마한 컨텐츠를 갖고 다양한 음악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 소녀시대의 미니 4집 《Mr. Mr》에 대한 가수 윤하의 발언 중

그간 다채로운 콘셉트가 살아있는 곡으로 인기를 누린 소녀시대의 디스코그래피에서 가장 독특한 인상을 남긴 앨범은 2013년에 발매한 정규 4집 《I GOT A BOY》다. 팝, 레트로, 어반 장르 요소가 섞인 일렉트로닉 댄스곡 '아이 갓 어 보이'는 2~3곡을 하나의 곡으로 합친 것 같다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제법 긴 랩 구간이 있다든가, 하이힐을 벗고 운동화를 신어 보다 역동적인 춤을 추는 데 집중한다는가 하는 특징도 있었다. '아이 갓 어 보이'를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혼종'이었다. 누군가는 이를 생소한 것으로 받아들였다면, 또 다른 누군가는 혁신적인 것으로 받아들였다. 특히 해외 평단에서 호평이 쏟아졌다.
지금까지 어느 나라에서도 들어보지 못한 가장 진보적인 팝 트랙. 이 노래로 소녀시대는 2013년 팝에 있어 높은 기준 하나를 세웠다.
- 미국 전문 음악 매체 빌보드
'아이 갓 어 보이'는 K팝의 미학으로서 상당히 '웰메이드'(잘 만들어진) 곡이라고 볼 수 있다. K팝 특유의 양식미를 굉장히 극단적으로 밀어붙인 곡을 완성해낼 수 있다는 게 소녀시대라는 팀이 가진 강점.
- 대중음악평론가 미묘
곡의 구간마다 비트가 다른 게 일반 가요에서 보기 어려운 스타일이었는데, ('아이 갓 어 보이'의 영향으로) 하우스나 퓨처베이스 장르곡 한가운데에 스타일이 전혀 다른 비트를 넣어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작법이 유행했고 지금도 그렇다. K팝 흐름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 곡이다.
- 음악평론가 랜디 서

소녀시대의 후렴구 코러스는 9인 체제 활동에서 더 돋보였으며, 8인 체제로 활동하기 시작한 2015년부터는 개인 파트량이 증가함에 따라 코러스 파트가 다소 감소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7년에 발매한 정규 6집 〈Holiday Night〉의 더블 타이틀곡 〈All Night〉, 〈Holiday〉 내 대부분의 후렴구를 코러스 파트로 대체하는 등 8인 체제로서의 코러스 또한 건재함을 확인시켰다.

장르의 대중성 면에서는 ‘타이틀곡보다 수록곡이 훨씬 좋다’는 평이 꽤 많다.[190] 특히 2집 〈Oh!〉는 높은 퀄리티의 수록곡들이 호평을 받아 ‘네티즌들이 뽑은 걸그룹 명반’ 1위에 오를 정도. 다만 타이틀곡의 경우, 정규 2집 이후로 타이틀곡은 호불호가 갈릴 만한 실험적인 곡이 많았기 때문에 소녀시대가 부른다면 애국가도 1위로 만든다는 말도 나왔다(...).

2015년 〈PARTY〉 이후로는 대중적인 곡을 타이틀곡으로 내세우고 있다.[191][192] 평론 사이트 izm에서는 〈Lion Heart〉 앨범을 평가하기에 앞서 이런 평가를 내렸다.
단언하건대, 8인 소녀시대는 과거와 같은 영광을 누릴 수 없다. 이미 이 팀은 데뷔 8년차에 다섯 번째 정규 앨범을 발매한 초장수 그룹이며, 현재 음원 차트 위주의 음악 시장 또한 이런 중견 아이돌에게 호의적이지 못하다. 이제 소녀시대는 현 세대를 장악하는 대신 훗날에도 잊히지 않을 거대한 일련의 이미지에 더욱 힘을 쏟는다. 그 잔상은 'Gee'-'소원을 말해봐'-'Oh!'-'Run devil run'-'훗'으로 이어지는 시기의 국민 걸그룹을 향한다.

국내뿐 아니라, 일본에서 발매하는 앨범의 퀄리티 또한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MR.TAXI>, <PAPARAZZI>, <FLOWER POWER>, <GALAXY SUPERNOVA> 등의 타이틀 곡들이 음악성 및 퀄리티와 대중성을 모두 잡아 호평을 받았다.[193]

데뷔 당시에는 S.E.S.M.I.L.K.의 중간 이미지였으며, <Kissing You>에서는 핑클에 가까워진 모습을 보였다. 결과적으로는 1세대 걸그룹들의 장점을 고루 흡수하면서도 그 외 다양한 컨셉들을 소화해내면서 소녀시대만의 독보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해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걸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데뷔 초에는 뮤직비디오도 메이크업을 거의 하지 않은 상태로 촬영했을 정도로 순수함을 강조한 콘셉트였고, 이후 소녀 콘셉트, 인형, 마네킹, 제복, 치어리더, 저격수, 수트, 승무원, 택시기사, 쎈 언니, 짐승, 걸스 힙합, 매니쉬, 복고, 휴양 간 언니들, 여신 등 굉장히 다채로운 모습들을 완벽하게 소화해낸다.

비주얼과 실력이 모두 극상위권이라는 평을 받는다.# 여러가지 요인 덕에 막강한 팬덤과 더불어 대중들에게도 강하게 매력 어필을 했으며, ‘한 번 팬이 되면 빠져나갈 수 없다’고 해서 ‘출구가 없는 그룹’이라고 불린다. ‘돌아가면서 멤버를 앓는다’는 뜻으로 ‘내선순환 8호선 환승’이라는 별명도 있다.[194] 그 때문에 무대에서 한 명이라도 빠지면 확 티가 난다. 멤버들 모두 외모, 성격, 체격, 키, 매력이 겹치는 것 하나 없이 개성 있고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런 매력 때문에 여성 팬들 사이에서는 멤버들의 특징을 이용한 팬픽이나 망상글이 무한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소녀시대 버전 ‘짝’이라든가(...).예시(...) 학교 ver.

2019년, 캐나다 국영방송 CBC에서는 K-POP 장르의 다양성을 언급하며 “소녀시대의 <I GOT A BOY>는 <Bohemian Rhapsody>에 견줄 만하다”는 호평을 남기기도 했다.#

2019년 11월 22일, 빌보드에서 발표한 ‘10년을 정의하는 100곡’ 중 하나로 소녀시대의 <I GOT A BOY>가 선정되었다.# 싸이, 방탄소년단과 함께 선정되었으며, K-POP 걸그룹으로서는 유일. 빌보드에서는 ‘소녀시대의 히트곡 <I GOT A BOY>는 독창성이 장르의 제한이나 개인의 예술적 정체성에 구애받지 않을 때 어떤 결과물이 탄생하는지 세상에 보여줬다. 201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K-POP뿐만 아니라 점점 더 많은 뮤지션들이 장르의 경계를 뛰어넘어 더욱 역동적인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I GOY A BOY>는 미래 음악 산업이 지향해야 할 지표가 되었고, 21세기 음악적 실험주의의 한계를 더욱 확장시킨 곡이다.’라는 평가를 내렸다.

4.5. 실력

“무서울 정도로 잘해서 마치 기예단 같다. 현대판 예인.”
- 뮤지션 신해철
“특별히 인정하는 아이돌로 두 팀이 있다. 옛날 아이돌로는 동방신기, 지금은 소녀시대. 가창력, 노래, 몸매, 춤, 모든 게 다 된다.”
- 프로듀서 방시혁이 소녀시대를 '최고의 아이돌'로 꼽으며 한 발언 중. #
“우리나라 아이돌의 어떤 완성판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아이돌로서 노래는 물론 그 본질까지 완벽하게 완성된 그룹이다. SM엔터테인먼트의 노하우가 극대화됐다. 이젠 경지에 오른 듯하다. 신인인데도 군무가 서커스단보다 더 완벽한 호흡을 자랑하며, 라이브도 뛰어나다. (소녀시대를 보니) 아이돌 장르가 완전히 정착된 듯하다.”
- 뮤지션 유희열
선배 뮤지션인 신해철[195], 유희열 등에게 극찬을 받았다.###

4.5.1. 퍼포먼스

소녀시대는 퍼포먼스 수행력에서 흠결 없는 완벽함을 추구해 깊은 인상을 남긴 팀이다. 팔다리를 쭉쭉 뻗는다든지, 그런 안무의 각도가 맞는 데서 오는 파괴적인 쾌감이 있었다.
- 대중음악평론가 미묘
퍼포먼스에서 굉장히 뛰어난 걸그룹으로 정평이 났다. 15여 년 동안 다양한 콘셉트를 소화했으며, 개개인의 댄스 실력도 뛰어나 여러 가지 장르의 댄스 및 화려한 퍼포먼스를 자연스럽게 소화해 호평을 받는다.##
4.5.1.1. 칼군무 걸그룹 원조
‘칼군무 걸그룹’라는 말을 탄생케 한 그룹으로, 칼군무 걸그룹의 원조이다.## 어느 무대에서든 멤버들끼리 일사불란하게 무대를 채우는 칼군무가 돋보인다.#[196] 네 명의 댄스 라인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 실제로 소녀시대의 안무는 노래 이상으로 많이 신경을 쓰는 부분이다. 특히 여덟 명이 유기적으로 배치를 바꾸는 동선을 보면 놀라운 수준.[197]

2007년, 신인 시절의 〈다시 만난 세계〉를 보면 ‘독하다’는 말이 저절로 나오는 수준으로, 여성들에게 다이어트 안무로 주로 선보일 정도로 활동량이 굉장함에도 불구하고[198] 한 치의 오차 없는 칼군무를 자랑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다시 만난 세계〉 리믹스 버전 리허설 무대는 레전드라고 불릴 정도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소녀시대〉, 〈Kissing You〉, 〈Baby Baby〉, 〈Gee〉, 〈Oh!〉 같이 귀엽고 사랑스러운 콘셉트를 강조하는 곡에서는 비교적 파워풀한 춤을 빼고 여유롭게 추는 편이다.

2009년, 〈소원을 말해봐〉에서는 소녀시대 활동 최초로 섹시 콘셉트를 시도, 이때부터 일사불란 움직이는 동선 안무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애드립 파트를 부른 직후에 뒤도 돌아보지 않고 자리를 찾아가 안무를 시작하는 태연의 모습이 백미.[199] 포인트 대형은 ‘난 널 사랑해’ 파트의 하트 대형.

2010년, 〈Run Devil Run〉에서는 걸 크러시 콘셉트인 만큼 절도 있는 안무를 선보였다. 화려한 안무와 복잡한 동선이 본격적으로 화제를 모으기 시작한 것도 이 활동 당시부터였으며, 특유의 날이 선 안무가 일품. 포인트 대형은 ‘넌 재미없어’ 파트의 X자 대형.

〉에서는 특유의 콘셉트와 안무로 한층 여성스러운 느낌을 강조했다. 안무가 유독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후렴구 도중에도 멤버들이 앞뒤로 자리를 차례로 교체할 정도. 특히 동선이 상당히 세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포인트 대형은 ‘큐피트가 아냐’ & ‘화살은 안 쏠게’ 파트의 화살 대형.

2011년, 〈The Boys〉에서는 해외 안무가를 적극적으로 불러들여 한층 더 퀄리티 높고 파워풀한 안무를 선보였다. 특히 후렴구에서의 워킹 안무가 인상적이다. 포인트 대형은 ‘Girls bring the boys out’ 파트의 다이아몬드 대형.[200]

2013년, 〈I GOT A BOY〉에서는 무려 걸스 힙합 콘셉트에 맞춰 역대급 안무를 선보였다. 멤버들 사이에서도 “보자마자 충격을 받았다.”, “절대 구두는 신지 않을 거다.”라고 공언할 정도였으며[201] 현재까지도 각, 파워풀함, 동선 등 소녀시대 역대 안무 중 굉장한 난이도를 자랑하는 안무로 평가 받는다.[202] 포인트 대형은 ‘그 애 너네 알지?’ 파트의 로딩 중 대형.

2014년, 〈Mr.Mr.〉에서는 소녀시대 안무 최초로 백댄서를 불러들여, 기존의 칼군무와 더불어 백댄서와의 화합 등을 강조하는 안무를 내세웠다. 포인트 대형은 후렴구의 M자 대형과 ‘My Mi, Mi, Mi, Mister, Rock this world’ 파트의 감수분열 대형.

2015년, 〈Catch Me If You Can〉에서의 안무로 ‘격한 안무의 정점을 찍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태연이 “한 번 추고 나면 입에서 피 맛이 난다”고 공언한 만큼, 파워풀함에 있어서 최고조에 달한 안무다.

PARTY〉에서는 기존 소녀시대의 파워풀한 안무에 비해 상당히 쉬운 편이다. 여름 콘셉트에 걸맞은 앙증맞고 청량한 느낌을 강조했다. 하지만 안무 외의 동선들은 여전히 복잡한 편으로, 특히 후렴구에서 멤버들이 시시각각 이동하는 안무가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203]

Lion Heart〉에서는 콘셉트에 맞게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강조했으며[204], 안무 난이도 또한 비교적 쉬운 편이다. 포인트 대형은 ‘사냥감 찾아 한눈파는 너’ & ‘지금 네 옆에 난 안 보이니’ 파트의 움직이는 시계 바늘 대형과, 효연과 윤아의 애드립이 포인트이며, 더블 타이틀 곡 〈You Think〉는 〈Lion Heart〉와 상반되게 파워풀하고 정교한 안무를 선보였다. 두 곡 모두 멤버들 간의 화합이 돋보이는 안무.

그러다 2017년, 《Holiday Night》의 타이틀 곡 중 하나인 〈All Night〉 안무에서 다시 정점을 찍었다. 쉴 새 없이 움직이는 팔다리는 물론, 시시각각 변하는 동선, 개개인마다 동작이 모두 다른 안무가 상당히 많을 정도로 디테일한 구성으로 짜여 있어 많은 호평을 받았다.[205] 다른 타이틀 곡 〈Holiday〉 또한 안무 중 다이아몬드 대형이 회전하면서 파트마다 센터가 바뀌는 구성으로 화제가 되었다.[206] 대형 회전카메라 회전

4.5.2. 가창력

라이브 무대 데뷔 초 〈Tell me〉 커버 무대
〈Lion heart〉 mr 제거 영상 〈다시 만난 세계〉 발라드 버전
격렬한 퍼포먼스를 하면서 생라이브를 굉장히 잘한다. 가창력과 멤버들의 화음 또한 좋은 그룹. 데뷔 초부터 '다시 만난 세계'에서 격한 안무를 하는 와중에도 안정적인 라이브를 선보이며 뛰어난 실력을 입증했으며, 소녀시대, Kissing You 활동 당시에도 춤을 추며 생라이브를 했다.[207] 그 이후로도 꾸준히 실력이 성장하며[208] 엄청난 수준의 라이브를 보여준 덕분에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현재는 개개인의 가창력들도 호평을 받을 만큼 안정적인 평균 가창력 그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현재에 들어 소녀시대의 가창력 및 라이브 실력이 더 재평가되고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데, 이는 다시 보니 과거 생라이브를 하는 게 보편적이었던 2세대 걸그룹들 중에서도 '뛰어난 라이브 실력을 지녔다'는 대다수의 의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덕분에 브라운아이드걸스와 함께 ‘2세대 걸그룹 라이브 실력 최강자’로도 불리고 있는 요즘이다. 뿐만 아니라, 역대 걸그룹 라이브 실력 최상위권 목록에 항상 언급이 되고 있다.[209]

그룹 내에서 보컬라인을 담당하는 태연, 티파니, 서현, 써니는 단연 뛰어난 가창력을 자랑하며, 댄스라인이면서 서브보컬을 담당하는 효연, 유리, 수영, 윤아 또한 안정적인 실력[210]을 가지고 있다. 메인보컬인 태연은 보컬로서의 역량이 무척 뛰어남에도 다른 멤버들의 목소리를 묻어버리기보다는 오히려 살려주는 역할을 한다. 매력적이고 편안하게 다가오는 음색의 보컬라인 멤버들이 멜로디를 이끌지만, 일부 멤버들의 독특한 음색 역시 그룹의 하나의 앙상블로서 화음이 이루어진다. 한 마디로 전부 제각각의 성질의 다른 음색들이 모여서 특별한 하나의 사운드를 이루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진다는 것.[211] 그만큼 화음에 가장 큰 강점을 가진 그룹이다.[212]

곡의 파트 분량은 데뷔 초부터 태연, 티파니, 서현이 주를 이루어 왔으며[213], 강점인 탄탄한 보컬로 노래를 능숙하게 이끌어가고 있다. 애드립과 화음, 백그라운드 보컬 및 코러스리드 역시도 태연, 티파니, 서현이 주로 참여하고 있다. 써니는 데뷔 당시 서브보컬이었지만 독특한 음색과 안정적인 실력으로 보컬라인과 댄스라인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가교 역할을 잘 수행하였으며, 8인 체제 개편 이후 포지션이 리드보컬로 변경되어 태연, 티파니, 서현과 함께 노래를 탄탄히 끌어가고 있다.

소녀시대가 추구하는 음악은 개개인이 튀는 것보다 조화를 중시하는 하나의 브랜드 음악에 가까우며, 메인보컬 원탑 체제가 아닌 멤버 모두에게 어느 정도 일정한 파트가 주어지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아이돌 형태'라는 평가를 받는다. NELL의 보컬 김종완 역시 "소녀시대는 걸그룹의 시작과 끝이고, 각기 다른 개성과 목소리가 굉장히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다."라고 평가했다.

2012년, 유닛 그룹 소녀시대-태티서를 결성 후 꾸준히 앨범을 발매했고, 많은 무대에서 뛰어난 라이브를 선보이며 보컬라인 멤버 태연, 티파니, 서현의 출중한 실력을 재입증하기도 했다.

MR 제거 영상에서 가장 빛을 발하는 걸그룹 중 하나. 음악 방송, 콘서트 등에서의 MR 제거 영상은 뛰어난 라이브 실력으로 항상 좋은 평가를 받아왔으며[214], 유튜브 등에 있는 걸그룹 MR 제거 순위 영상에서 마마무와 더불어 1, 2위에 랭크되는 등## 타 팬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없을 정도로 실력 면에서 상당히 인정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댄스라인 멤버들의 보컬 실력도 10여년의 내공으로 현재는 크게 향상되었다.[215] 특히 2015년 이후 발매된 앨범의 몇몇 수록곡에서는 서브보컬 멤버들이 후렴구를 맡거나 보컬라인 멤버들과 비등한 파트를 맡는 등 가창력 면에서 자신 있게 어필할 만한 실력이 되었다. 2022년 기준, 써니와 수영을 제외한[216] 모든 멤버들이 자신들의 정식 솔로 앨범을 발매할 정도로 한 명의 보컬로서 독자적으로 앨범을 이끌 만한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음악 웹진 izm에서는 정규 6집 《Holiday Night》의 타이틀곡 〈Holiday〉를 평가하면서 소녀시대의 가창력에 대해 ‘노래 실력과 상관없이 콘셉트를 이해해 포인트를 잡아내는 순발력은 거의 정점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곡이다.’라고 간접적으로 언급했다.#

윤아와 효연[217]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이 제대로 발성 할 수 있는 음역대를 가지고 있다.[218]

5. 기록

걸그룹 중 깨지지 않은 기록[A]은 ●로, 아이돌 중 깨지지 않은 기록[A]은 ◆로, 대한민국 역사상 유일무이한 기록은 ★로 표기한다.

5.1. 음원

<rowcolor=#fff> 곡 제목 발매일 멜론 연간
순위
[기준]
가온 연간
순위
다시 만난 세계 07.08.03 73위 [x]
Kissing You 07.11.01 29위[234]
Baby Baby 08.03.13 90위
Gee 09.01.05 1위[235] [특별]
소원을 말해봐 09.06.29 16위[237]
Chocolate Love 09.10.07 60위
Oh! 10.01.28 6위[238] 5위[239]
Run Devil Run 10.03.22 22위[240] 25위[241]
10.10.25 35위[242] 10위[243]
The Boys 11.10.19 21위[244] 43위[245]
Twinkle[246] 12.04.30 12위[247] 11위[248]
I GOT A BOY 13.01.01 45위[249] 13위[250][비고]
Mr.Mr. 14.02.24 56위[252] 54위[253]
PARTY 15.07.15 75위[254] 59위[255]
Lion Heart 15.08.18 55위[256] 44위
FOREVER 1 22.08.08 82위[257] 66위
파일:멜론 로고.svg 선정 KPOP - 명곡1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 - 5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위
No.1
보아
2위
으르렁 (Growl)
EXO
3위
강남스타일
싸이
4위
Dynamite
방탄소년단
5위
Gee
소녀시대
6위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소녀시대
7위
내가 제일 잘 나가
2NE1
8위
Abracadabra
브라운아이드걸스
9위
Tell Me
원더걸스
10위
주문-MIROTIC (Original Ver.)
동방신기
11위
Sherlock.셜록 (Clue+Note)
SHINee
12위
Sorry, Sorry
SUPER JUNIOR
13위
뚜두뚜두 (DDU-DU DDU-DU)
BLACKPINK
14위
('Cause) I'm Your Girl
S.E.S.
15위
좋은 날
아이유
16위
10 minutes
이효리
17위
Candy
H.O.T.
18위
미스터
카라
19위
거짓말
BIGBANG
20위
빨간 맛 (Red Flavor)
Red Velvet
21위
난 알아요
서태지와 아이들
22위

이정현
23위
내꺼하자
인피니트
24위
FANTASTIC BABY
BIGBANG
25위
피 땀 눈물
방탄소년단
26위
Bad Girl Good Girl
미쓰에이
27위
Nobody
원더걸스
28위
가시나
선미
29위
커플
젝스키스
30위
거짓말
god
31위
CHEER UP
TWICE
32위
봄날
방탄소년단
33위
I GOT A BOY
소녀시대
34위
스물셋
아이유
35위
HEARTBEAT
2PM
36위
MOVE
태민
37위
Fire
2NE1
38위
Get Up
베이비복스
39위
피어나
가인
40위
4 Walls
f(x)
41위
U-Go-Girl (With 낯선)
이효리
42위
위아래
EXID
43위
Bubble Pop!
현아
44위
꿍따리 샤바라
클론
45위
NU 예삐오 (NU ABO)
f(x)
46위
눈, 코, 입
태양
공동 47위
삐딱하게 (Crooked)
G-DRAGON
공동 47위
FIESTA
IZ*ONE
49위
LION
(여자)아이들
50위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NCT U
출처: 멜론 K-POP 명곡10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1위
벌써 12시
청하
52위
비밀정원
오마이걸
53위
View
SHINee
54위
여름 안에서
듀스
55위
첫 사랑니 (Rum Pum Pum Pum)
f(x)
56위
TT
TWICE
57위
영원한 사랑
핑클
58위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
H.O.T.
59위
나를 돌아봐
듀스
60위
달라달라
ITZY
61위
성인식
박지윤
62위
태양을 피하는 방법
63위
까탈레나 (Catallena)
오렌지캬라멜
64위
Roly-Poly
티아라
65위
에너제틱 (Energetic)
Wanna One
66위
시간을 달려서 (Rough)
여자친구
67위
초대
엄정화
68위
Brand New
신화
69위
Butterfly
이달의 소녀
70위
DNA
방탄소년단
71위
나혼자 (Alone)
씨스타
72위
It's Raining
73위
아무노래
지코
74위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방탄소년단
75위

god
76위
Bang!
애프터스쿨
77위
사랑을 했다 (LOVE SCENARIO)
iKON
78위
REALLY REALLY
WINNER
79위
I (Feat.버벌진트)
태연
80위
아주 NICE
세븐틴
81위
T.O.P. (Twinkling of Paradise)
신화
82위
밤편지
아이유
83위
음오아예 (Um Oh Ah Yeh)
마마무
84위
Ah-Choo
러블리즈
85위
Psycho
Red Velvet
86위
Dreams Come True
S.E.S.
87위
Ring Ding Dong
SHINee
88위
내 남자친구에게
핑클
89위
Cherry Bomb
NCT 127
90위
벚꽃 엔딩
버스커 버스커
91위
Come Back Home
서태지와 아이들
92위
빛나리
펜타곤
93위
아틀란티스 소녀(Atlantis Princess)
BoA
94위
할 수 있어
NRG
95위
Fly (Feat. Amin.J of Soulciety)
에픽하이
96위
말해줘
지누션
97위
누난 너무 예뻐 (Replay)
SHINee
98위
Hug
동방신기
99위
교실 이데아
서태지와 아이들
100위
Trouble Maker
트러블메이커
출처: 멜론 K-POP 명곡100
}}}}}}}}} ||

5.2. 음반

<rowcolor=#fff> 곡 제목 발매일 주간 순위 월간 순위 연간 순위 걸그룹 중 연간 순위
Oh! 10.01.28 3주 1위 2개월 1위 2위 1위
Run Devil Run 10.03.22 1주 1위 1개월 1위 4위 3위
10.10.25 2주 1위 1개월 1위 3위 2위
Into The New World 10.12.30 1주 1위 2위 29위 6위
The Boys 11.10.19 4주 1위[295] 3개월 1위[296] 1위[297] 1위[298]
Twinkle 12.04.30 1주 1위 1개월 1위 8위 1위[299]
I GOT A BOY 13.01.01 2주 1위 1개월 1위 2위 1위[300]
2011 Girls' Generation Tour 13.04.11 1주 1위 3위 76위 8위
Mr.Mr. 14.02.24 2주 1위 1개월 1위 5위 1위[301]
Holler 14.09.16 1주 1위 2위 22위 3위
PARTY 15.07.15 2위 6위 32위 4위
Lion Heart 15.08.18 2주 1위 1개월 1위 13위 1위[302][303]
Dear Santa 15.12.04 2위 4위 42위 6위
Holiday Night 17.08.04 2위 2위 18위 4위[304]
몰랐니 18.09.05 3위 7위
FOREVER 1 22.08.08 2위 5위 46위 16위

5.3. 설문조사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공동 2위 4위 5위
이미자 나훈아 조용필 현철
6위 7위 8위 9위 10위
태진아 신승훈 송대관 김건모 설운도
2009년
※ 200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장윤정 BIGBANG 태진아 이미자 소녀시대
{{{#!wiki style="margin: -16px -11px" 6위 7위 공동 8위 공동 10위
나훈아 조용필 현철 손담비 이승철 송대관 }}}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조용필 이선희 장윤정 아이유 태진아
6위 공동 7위 9위 10위
EXO 이승철 이미자 나훈아 소녀시대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장윤정 나훈아 아이유 조용필
6위 공동 7위 9위 공동 10위
이선희 태진아 이미자 이승철 김연자
공동 10위 15위
이문세 홍진영 TWICE 박효신 남진
16위 17위 공동 18위
임창정 송가인 김건모 설운도 진성
21위 공동 22위
성시경 거미 BLACKPINK 잔나비
2024년
※ 202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임영웅 아이유 방탄소년단 나훈아 NewJeans
6위 7위 8위 9위 10위
장윤정 진성 영탁 송가인 BLACKPINK
11위 12위 13위 공동 14위
이찬원 성시경 김연자 김호중 조용필
16위 17위 공동 18위 공동 20위
이효리 전유진 IVE 이문세
공동 20위
이미자 이승철 장민호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가수 · 노래 1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7년부터 매년 한국갤럽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올해를 빛낸 가수와 가요'를 선정한다. 그중 1위만 기록한다.
※ 2020년부터 여론조사 대상 연령층이 13~59세에서 60대 이상까지로 확대되었고, 결과 집계는 30대 이하 / 40대 이상으로 이원화되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원더걸스 소녀시대
Tell Me Nobody Ge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소녀시대 싸이 조용필 아이유
좋은 날 (아이유) 강남스타일 바운스 너의 의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BIGBANG 임창정 아이유 BLACKPINK 방탄소년단
뱅뱅뱅 (BANG BANG BANG) 내가 저지른 사랑 좋니 (윤종신) 뚜두뚜두 (DDU-DU DDU-DU)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대 - 30대 이하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방탄소년단 NewJeans
Dynamite Butter Dynamite Super Shy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0년대 - 40대 이상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임영웅
막걸리 한잔 (영탁) 이제 나만 믿어요 사랑은 늘 도망가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파일:시사저널 화이트 로고.svg
2010년대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 연예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10년대의 각 해마다 시사저널이 각 분야의 전문가 1000명에 칸타퍼블릭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선정했으며, 최대 3명까지 중복응답이 가능하였다. 이 틀에는 1위만 기재함.
2010 2011 2012 2013 2014
소녀시대 싸이
2015 2016 2017 2018 2019
유재석 방탄소년단
같이 보기: 한국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종합) / 여권 정치인 / 야권 정치인 / 법조인 / 경제인 / 언론인 / 문화예술인 / 연예인 / 스포츠 스타 / 종교인 / 국제 인물 / NGO 지도자 / 잠재력 있는 정치인 / 대통령에 영향력 있는 인물 / 언론매체
연도별 보기: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 2020년대
}}}}}}}}} ||

파일:포브스(기업) 로고 화이트.svg
포브스 코리아 선정 파워 셀러브리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위 - 1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BIGBANG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지성 이승엽 유재석 김태희
201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01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201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아이유 카라 김연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01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SUPER JUNIOR
201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수지 류현진 EXO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추신수 동방신기 SHINee 김연아 아이유
2015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2016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BIGBANG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2017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보검 송중기 TWICE EXO 방탄소년단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2018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Wanna One TWICE EXO 아이유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201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BLACKPINK 방탄소년단 Wanna One 강다니엘 Red Velvet
<rowcolor=#fff> 5위 7위 8위 9위 10위
박나래 홍진영 한지민 손흥민 EXO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류현진 BLACKPINK 손흥민 봉준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전현무 박나래 이수근 TWICE 김희철
202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류현진 손흥민 임영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김광현 유재석 영탁 정동원 장윤정
202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손흥민 류현진 이찬원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임영웅 윤여정 유재석 장민호
202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손흥민 BLACKPINK 송중기 유재석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임영웅 손석구 장민호 장윤정 영탁
}}}}}}}}} ||
}}}}}}}}} ||

5.4. 조회수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방탄소년단
Dynamite
아이유
에잇
창모
METEOR
지코
아무노래
브라운 아이즈
벌써 일년
장범준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
방탄소년단
작은 것들을 위한 시
iKON
사랑을 했다
모모랜드
뿜뿜
BLACKPINK
Really
폴킴
모든 날, 모든 순간
아이유
밤편지
임재현
사랑에 연습이 있었다면
케이시
그때가 좋았어
박효신
야생화
에일리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
멜로망스
선물
아이유
좋은 날
싸이
강남스타일
소녀시대
Gee
2NE1
내가 제일 잘 나가
BIGBANG
뱅뱅뱅
프라이머리
자니
아이유
잔소리
비스트
비가 오는 날엔
테이
사랑은...향기를 남기고
TWICE
CHEER UP
BIGBANG
FANTASTIC BABY
윤종신
좋니
볼빨간사춘기
좋다고 말해
SG워너비
죄와 벌
태양
눈, 코, 입
T-ARA
Roly-Poly
BIGBANG
하루하루
버즈
겁쟁이
휘성
With Me
여자친구
시간을 달려서
소유 & 정기고
어반자카파
널 사랑하지 않아
브라운 아이드 소울
정말 사랑했을까
에픽하이
Love Love Love
백아연
이럴거면 그러지말지
보아
No.1
2NE1
I Don't Care
김건모
잘못된 만남
브라운아이드걸스
Abracadabra
미쓰에이
Bad Girl Good Girl
씨야
여인의 향기
보아
아틀란티스 소녀
포지션
I Love You
원더걸스
Nobody
백지영
사랑 안해
버스커 버스커
벚꽃 엔딩
한동근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엄정화
Poison
김현정
그녀와의 이별
Zion.T
꺼내 먹어요
Apink
NoNoNo
씨스타
나혼자 (Alone)
이효리
10 minutes
쿨(COOL)
애상
DJ DOC
Run to You
원더걸스
Tell Me
구창모
희나리
이수영
휠릴리
이승철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조성모
아시나요
김범수
보고 싶다
김현식
비처럼 음악처럼
박효신
좋은사람
김민우
사랑일뿐야
전람회
기억의 습작
신승훈
미소 속에 비친 그대
조성모
슬픈 영혼식
김현식
내 사랑 내곁에
이문세
사랑이 지나가면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
아이비
유혹의 소나타
김건모
핑계
마로니에
칵테일 사랑
황치훈
추억 속의 그대
패닉
달팽이
한동준
너를 사랑해
조덕배
꿈에
이문세
난 아직 모르잖아요
김현철
그대안의 블루
이선희
J에게
015B
아주 오래된 연인들
듀스
여름안에서
변진섭
희망사항
송창식
고래사냥
혜은이
감수광
이광조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조용필
허공
이장희
그건 너
조용필
단발머리
핑클
영원한 사랑
god
god
거짓말
AKMU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같이 보기: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출처 : #
}}}}}}}}} ||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방탄소년단
Dynamite
BLACKPINK
How You Like That
화사
마리아 (Maria)
Red Velvet
Psycho
오마이걸
살짝 설렜어 (Nonstop)
거북이
비행기
방탄소년단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LACKPINK
마지막처럼
모모랜드
뿜뿜
청하
Roller Coaster
아이유
좋은 날
걸스데이
Something
방탄소년단
DNA
BLACKPINK
뚜두뚜두 (DDU-DU DDU-DU)
싸이
GENTLEMAN
청하
벌써 12시
Red Velvet
빨간 맛
소녀시대
Gee
방탄소년단
FAKE LOVE
2NE1
내가 제일 잘 나가
싸이
강남스타일
BIGBANG
뱅뱅뱅 (BANG BANG BANG)
WINNER
REALLY REALLY
에일리
보여줄게
동방신기
주문-MIROTIC
TWICE
CHEER UP
T-ARA
Lovey-Dovey
BIGBANG
Fantastic Baby
브라운아이드걸스
LOVE
여자친구
오늘부터 우리는
소녀시대
다시 만난 세계
TWICE
OOH-AHH하게
G-DRAGON
Heartbreaker
T-ARA
Roly-Poly
비스트
Fiction
여자친구
시간을 달려서
H.O.T.
Candy
2NE1
Go Away
SHINee
View
SUPER JUNIOR
Sorry, Sorry
EXID
위아래
BIGBANG
거짓말
씨스타
SHAKE IT
2NE1
Come Back Home
보아
No.1
자자
버스 안에서
김건모
잘못된 만남
2PM
Again & Again
이효리
U-Go-Girl (유고걸) (With. 낯선)
2NE1
I Don't Care
보아
아틀란티스 소녀
브라운아이드걸스
Abracadabra
TWICE
KNOCK KNOCK
AOA
짧은 치마
소찬휘
Tears
미쓰에이
Bad Girl Good Girl
EXO
으르렁 (Growl)
현아
Bubble Pop!
아이유
너랑 나
젝스키스
커플
씨스타
TOUCH MY BODY
영턱스클럽
원더걸스
Nobody
소녀시대-태티서
Twinkle
DJ DOC
DOC와 춤을
김현정
그녀와의 이별
씨스타
Loving U (러빙유)
엄정화
Poison
Apink
NoNoNo
미쓰에이
다른 남자 말고 너
이효리
10 minutes
룰라
날개 잃은 천사
씨스타
나혼자 (Alone)
코요태
순정
소녀시대
Oh!

애상
원더걸스
So Hot
DJ DOC
Run to You
Apink
LUV
4minute
이름이 뭐예요?
NRG
대한건아만세
S.E.S.
Dreams Come True
마마무
넌 is 뭔들
클론
꿍따리 샤바라
박진영
그녀는 예뻤다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
NRG
Hit Song
아이비
유혹의 소나타
2PM
Heartbeat
클론
초련 (初戀)
박남정
널 그리며
서태지와 아이들
하여가

It's Raining
듀스
여름안에서
엄정화
몰라
김완선
삐에로는 우릴 보고 웃지
듀스
우리는
민해경
보고싶은 얼굴
god
촛불하나
핑클
영원한 사랑
같이 보기: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출처 : #
}}}}}}}}} ||

5.5. 음악 방송 1위

5.6. 방송 횟수

5.7. 가요대상

5.8. 콘서트 및 매출

5.9. 국내외 반응 및 주요 기관 선정/차트

파일:kbs를 빛낸 50인 세로.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BTS 강하늘 강형욱 강호동 고두심
공효진 김강섭[A] 김동건 김병만 김수현
김숙 김신영 김영철 김은숙 김종민
김혜수 김혜자 나문희 나영석 나훈아
노희경 문세윤 박명수 배용준 소녀시대
손범수 송은이 송중기 송해 송혜교
신구 신동엽 아이유 안국정[B] 유동근
유재석 윤석호 이경규 이금희 이병헌
이순재 이영자 임성훈 전현무 조용필
최경영 최불암 최수종 허참 황수경
한국방송공사가 공영방송 50주년을 맞이하여 선정한 50인의 인물로,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였다.

선정을 위해 KBS와 여론조사기관 칸타퍼블릭이 공동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내외 전문가그룹 100명과 인구 통계학적 분포에 따라 성별, 연령별로 구성된 KBS 국민 패널 1,800여 명이 참여한 1차 설문 조사로 100명의 후보군을 우선 선정하였다. 이어 3주간 KBS 공영방송 50주년 홈페이지(kbs50.kbs.co.kr)를 통해 일반 시청자 7만여 명을 대상으로 최종 투표를 실시하였다. 시청자 투표로 선정된 최종 50인은 한국언론학회와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의 추천을 받아 미디어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KBS를 빛낸 50인 선정자문위원회’에서 적격성 검토를 거쳐 확정되었다.

[A]: 가요무대 음악 감독을 맡은 KBS 악단장으로, 2022년 사망하였다.
[B]: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생방송을 기획, 연출한 PD.
}}}}}}}}} ||

5.10. 브랜드 평판

※ 출처 :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스타 브랜드 평판

5.10.1. 2010년대

2016년 / 2017년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아이돌 그룹 2세대
그룹
걸그룹 2세대
걸그룹
2016년[무활동][510]
1월 - - 3위 # 1위
4월 - - 5위 # 2위[511]
7월 - - 7위 # 4위[512]
8월 - - 14위 # 6위[513]
9월 - - 6위 # 1위
10월 - - 11위 # 3위[514]
11월 - - 12위 # 3위[515]
12월 - - 10위 # 4위[516]
2017년
1월
[무활동]
- - 7위 # 2위[518]
2월
[무활동]
- - 9위 # 2위[520]
3월
[무활동]
- - 10위 # 2위[522]
4월
[무활동]
15위 # 1위 10위 # 3위[524]
5월
[무활동]
16위 # 2위[526] 8위 # 1위
6월
[무활동]
- - 8위 # 2위[528]
7월
[무활동]
9위 # 1위 11위 # 5위[530]
8월
[활동]
- - 2위 # 1위
9월
[무활동]
- - 4위 # 1위
10월
[무활동]
10위 # 1위 26위 # 4위[534]
11월
[무활동]
- - 20위 # 6위[536]
12월
[무활동]
35위 # 4위[538] 15위 # 6위[539]
}}}}}} ||
2018년 / 2019년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아이돌 그룹 2세대
그룹
걸그룹 2세대
걸그룹
2018년[무활동]
1월 - - 13위 # 2위[541]
2월 - - 5위 # 1위
3월 10위 # 2위[542] 14위 # 2위[543]
4월 13위 # 1위 9위 # 1위
5월 9위 # 2위[544] 6위 # 1위
6월 - - 7위 # 1위
7월 - - 7위 # 2위[545]
8월 - - 7위 # 2위[546]
9월 7위 # 1위 6위 # 1위
10월 - - 4위 # 1위
11월 - - 4위 # 1위
12월 16위 # 1위 4위 # 1위
2019년[무활동]
1월 - - 9위 # 2위[548]
2월 12위 # 1위 7위 # 1위
3월 14위 # 1위 5위 # 1위
4월 11위 # 1위 10위 # 1위
5월 20위 # 2위[549] 6위 # 1위
6월 12위 # 1위 9위 # 1위
7월 - - 9위 # 1위
8월 8위 # 1위 6위 # 1위
9월 8위 # 1위 7위 # 1위
10월 7위 # 1위 6위 # 1위
11월 7위 # 1위 6위 # 1위
12월 8위 # 1위 6위 # 1위
}}}}}} ||

5.10.2. 2020년대

2020년 / 2021년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아이돌 그룹 2세대
그룹
걸그룹 2세대
걸그룹
2020년[무활동]
1월 16위 # 1위 10위 # 2위[551]
2월 13위 # 1위 7위 # 1위
3월 8위 # 1위 8위 # 1위
4월 12위 # 1위 7위 # 2위[552]
5월 11위 # 1위 11위 # 2위[553]
6월 9위 # 1위 8위 # 1위
7월 31위 # 5위[554] 20위 # 3위[555]
8월 9위 # 1위 14위 # 2위[556]
9월 13위 # 1위 14위 # 1위
10월 8위 # 1위 5위 # 1위
11월 32위 # 3위[557] 16위 # 1위
12월 29위 # 2위[558] 18위 # 1위
2021년[무활동]
1월 25위 # 2위[560] 11위 # 1위
2월 24위 # 3위[561] 11위 # 1위
3월 - - 10위 # 1위
4월 - - 13위 # 1위
5월 18위 # 2위[562] 14위 # 2위[563]
6월 - - 13위 # 1위
7월 - - 5위 # 1위
8월 - - 6위 # 1위
9월 - - 2위 # 1위
10월 13위 # 2위[564] 3위 # 1위
11월 - - 4위 # 1위
12월 - - 7위 # 2위[565]
}}}}}} ||
2022년 / 2023년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아이돌 그룹 2세대
그룹
걸그룹 2세대
걸그룹
2022년
1월
[무활동]
- - 7위 # 1위
2월
[무활동]
15위 # 2위[568] 6위 # 2위[569]
3월
[무활동]
- - 3위 # 2위[571]
4월
[무활동]
- - 4위 # 1위
5월
[무활동]
- - 12위 # 2위[574]
6월
[무활동]
- - 10위 # 1위
7월
[무활동]
- - 6위 # 1위
8월
[활동]
- - 2위 # 1위
9월
[무활동]
- - 3위 # 1위
10월
[무활동]
- - 2위 # 1위
11월
[무활동]
- - 5위 # 1위
12월
[무활동]
- - 6위 # 1위
2023년[무활동]
1월 8위 # 1위 6위 # 1위
2월 - - - -
3월 14위 # 1위 7위 # 1위
4월 15위 3위[583] 7위 # 1위
5월 10위 1위 11위 # 2위[584]
6월 16위 # 1위 9위 # 1위
7월 - - 9위 # 1위
8월 18위 # 3위[585] 10위 # 1위
}}}}}} ||

6.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활동 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국내 데뷔 [dday(2007-08-05)]일차 &
19개의 싱글 및 앨범 발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4px 0"
일본 데뷔 [dday(2010-09-08)]일차 &
15개의 싱글 및 앨범 발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년
}}}}}} ||

6.1.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음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음반명 발매일 타이틀 및 수록곡
싱글 1집
다시 만난 세계
07.08.03 다시 만난 세계
정규 1집
소녀시대
07.11.01 소녀시대
Kissing You
정규 1집 리패키지
Baby Baby
08.03.13 Baby Baby
미니 1집
Gee
09.01.05 Gee
힘 내!
미니 2집
소원을 말해봐
09.06.25 소원을 말해봐
Etude
정규 2집
Oh!
10.01.28 Oh!
정규 2집 리패키지
Run Devil Run
10.03.22 Run Devil Run
미니 3집
10.10.25 훗 (Hoot)
라이브 1집
Into The New World
10.12.30 Beautiful Girls (Feat.유영진)
정규 3집 Version No.1
The Boys
11.10.19 The Boys
정규 3집 Version No.2
MR.TAXI
11.12.08 MR.TAXI
The Boys (English ver.)
디지털 싱글
Dancing Queen
12.12.21 Dancing Queen
정규 4집
I GOT A BOY
13.01.01 I GOT A BOY
Dancing Queen[586]
라이브 2집
2011 Girls' Generation Tour
13.04.11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미니 4집
Mr.Mr.
14.02.24 Mr.Mr.
디지털 싱글
Catch Me If You Can
15.04.10 Catch Me If You Can
정규 5집 선행 싱글
PARTY
15.07.07 PARTY
정규 5집
Lion Heart
15.08.18 Lion Heart
You Think
PARTY[587]
스페셜 싱글
그 여름 (0805)
16.08.05 그 여름(0805)
정규 6집
Holiday Night
17.08.04 All Night
Holiday
정규 7집
FOREVER 1
22.08.05 FOREVER 1

6.1.1. 음악 방송 직캠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소녀시대 그룹 및 개인 음악 방송 직캠 문서 모아보기 틀
소녀시대 음악 방송 직캠
태연/직캠
써니/직캠
티파니/직캠
효연/직캠

유리/직캠
수영/직캠
윤아/직캠
서현/직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음악 방송 직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콘서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콘서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방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 화이트.svg
단독 리얼리티 프로그램
소녀,
학교에 가다
MTV 소녀시대 소녀시대의
팩토리걸
소녀시대의
공포영화 제작소
소녀시대의
힘내라 힘!
소녀시대의
헬로 베이비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 THE 태티서 채널 소녀시대
소녀 포레스트 소시탐탐

6.4. 광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광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홍보대사

<rowcolor=#fff> 날짜 기업명 / 기관명 직함 비고
<rowcolor=#fff> 2007년
11월 16일 불멸의 화가-반 고흐 홍보대사
12월 21일 서울시 자원봉사 센터 홍보대사
<rowcolor=#fff> 2008년
1월 16일 한국 걸스카우트연맹 홍보대사
10월 6일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 캠페인 ‘소통의 시간’ 홍보대사
<rowcolor=#fff> 2009년
2월 4일 한국 대중음악 글로벌화 홍보대사
2월 23일 대한적십자사 헌혈 홍보대사
4월 29일 2009 경기 국제 보트쇼 & 코리아매치컵 세계 요트대회 홍보대사
6월 7일 2009 인천 세계도시 축전 홍보대사
9월 3일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 전환 홍보대사
12월 8일 지구촌공생회 생명의 우물 홍보대사
<rowcolor=#fff> 2010년
4월 15일 인천공항세관 홍보대사
10월 25일 G20 스타 서포터즈
<rowcolor=#fff> 2011년
8월 12일 대한적십자사, 유니세프한국위원회 아프리카 어린이 돕기 프로젝트
8월 19일 2010-2012 한국방문의 해 홍보대사
<rowcolor=#fff> 2012년
3월 7일 서울 강남구 홍보대사
4월 14일 실명퇴치 홍보대사
<rowcolor=#fff> 2013년
7월 20일 JTBC 동아시안컵 홍보대사 유리, 서현
7월 29일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 명예 홍보대사 [588]
<rowcolor=#fff> 2015년
1월 5일 Fashion KODE 2015FW 홍보대사 태연, 티파니, 서현

6.6. 화보

<rowcolor=#fff> 호수 잡지명 커버 링크 비고
<rowcolor=#fff> 2010년
12월호 <colbgcolor=#fff,#ddd><colcolor=#000> 파일:W 코리아 로고.svg파일:W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기사
<rowcolor=#fff> 2011년
7월호 파일:W 코리아 로고.svg파일:W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6월호 OhBoy! 기사 태티서
<rowcolor=#fff> 2012년
79호 파일:하이컷 로고.png파일:하이컷 로고 화이트.png 기사
7월호 파일:엘르걸 로고.svg O 기사 태티서
81호 파일:하이컷 로고.png파일:하이컷 로고 화이트.png O 기사 빈폴
<rowcolor=#fff> 2013년
1월호 파일:보그(패션지) 로고.svg파일:보그(패션지) 로고 화이트.svg[589]
파일:anan 로고.svg
11월호 Cancam
12월호 파일:엘르(잡지) 로고.svg파일:엘르(잡지) 로고 화이트.svg 태티서
<rowcolor=#fff> 2014년
5월호 파일:하퍼스 바자 코리아 로고.svg파일:하퍼스 바자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태티서
페라가모
10월호 파일:더 셀러브리티 로고.png파일:더 셀러브리티 로고 화이트.png 태티서
135호 파일:하이컷 로고.png파일:하이컷 로고 화이트.png O 기사 태티서
<rowcolor=#fff> 2015년
7월호 파일:더 셀러브리티 로고.png파일:더 셀러브리티 로고 화이트.png
9월호 파일:쎄씨 로고.svg파일:쎄씨 로고 화이트.svg[590] O 기사 태티서
10월호 파일:엘르(잡지) 로고.svg파일:엘르(잡지) 로고 화이트.svg 태티서
파일:인스타일 로고.svg파일:인스타일 로고 화이트.svg 태티서
164호 파일:하이컷 로고.png파일:하이컷 로고 화이트.png O 기사 태티서
<rowcolor=#fff> 2017년
8월호 파일:W 코리아 로고.svg파일:W 코리아 로고 화이트.svg O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구찌

6.7. 유닛 그룹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유닛 그룹
파일:CVsszWXWEAAIVjK~01.png
파일:디어 산타_로고.png
파일:snsdohgglogo1.png
파일:snsdohgglogo2.png
태연 · 티파니 · 서현 태연 · 써니 · 효연 · 유리 · 윤아

6.7.1. 소녀시대-태티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태티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디어 산타_로고.png

태연
티파니
서현


[ 음반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Twinkle 앨범 아트.jpg
||<width=25%>
파일:Holler.jpg
||<width=25%>
파일:Dear Santa 앨범 아트.jpg
||<width=25%>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ddee4;"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51b41;"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d1628;"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음반 ||<width=25%> 활동 ||<width=25%> 소녀시대 ||<width=25%> S♡NE ||

6.7.2. 소녀시대-Oh!G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Oh!G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파일:소녀시대-Oh!GG 로고.svg



{{{#!wiki style="margin-top: -5px; display:inline-block; color: #000; min-width: 33%"
{{{#!folding [ 국내 음반 ]
<tablebgcolor=#fff,#191919>
파일:몰랐니 앨범 아트.jpg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8. 09. 05.
}}}}}}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500>
파일:2021 Winter SMTOWN : SMCU EXPRESS.jpg
||<width=25%> ||<width=25%> ||<width=25%> ||
[[2021 Winter SMTOWN : SMCU EXPRESS|
2021 Winter SMTOWN : SMCU EXPRESS'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0> 음반 ||<width=25%> 활동 ||<width=25%> S♡NE ||<width=25%> 소녀시대 ||
}}} ||

6.8. 해외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해외 활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뮤직비디오

※ 그룹과 유닛의 뮤직비디오만 반영하며, 솔로 뮤직비디오는 반영하지 않는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소녀시대의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
• 2024년 10월 31일 15시 기준 •
소녀시대 실시간 뮤직비디오 조회수 추이
<rowcolor=#fff> 순위 제목 조회수 게시일 앨범명
1 Gee[리마스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8,629,012 2009. 06. 08. Gee
2 The Boys (KOR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04,162,069 2011. 10. 19. The Boys
3 I GOT A BO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70,665,693 2013. 01. 01. I GOT A BOY
4 몰랐니 (Lil' Touch)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8,788,605 2018. 09. 05. 몰랐니
5 MR.TAXI (DANCE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6,761,523 2011. 04. 25. MR.TAXI
6 Oh!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1,294,262 2010. 01. 27. Oh!
7 Lion Hear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3,287,440 2015. 08. 18. Lion Heart
8 Run Devil Ru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7,608,706 2010. 03. 17. Run Devil Run
9 PART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2,227,703 2015. 07. 07. PARTY
10 Mr.M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2,600,560 2014. 02. 28. Mr.Mr.
11 Twinkl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7,379,509 2012. 04. 30. Twinkle
12 소원을 말해봐 (Geni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9,530,681 2010. 02. 25. 소원을 말해봐
13 Catch Me If You Can (Korean Ve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6,325,267 2015. 04. 10. Catch Me If You Can
14 PAPARAZZ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8,794,041 2012. 06. 14. PAPARAZZI
15 FOREVER 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3,149,887 2022. 08. 05. FOREVER 1
16 다시 만난 세계 (Into The New World) [리마스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2,614,778 2011. 08. 04. 다시 만난 세계
17 GALAXY SUPERNOV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0,352,174 2013. 09. 05. GALAXY SUPERNOVA
18 Dancing Quee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2,504,372 2012. 12. 22. I GOT A BOY
19 Holida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6,636,656 2017. 08. 04. Holiday Night
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6,389,865 2010. 10. 28.

8. 수상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수상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소녀시대 FOREVER 1 로고.svg

소녀시대의 주요 수상 내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color: #000,#fff; min-width: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0d0d><tablebgcolor=#fff,#1c1d1f> 파일:KMAlogoblack1.jpg
올해의 노래
장기하와 얼굴들
<싸구려 커피>
(2009년)
{{{#fff 소녀시대}}}
<Gee>
(2010년)
뜨거운 감자
<고백>
(2011년)

2PM
<Again & Again>
(2009년)
{{{#fff 소녀시대}}}
<Oh!>
(2010년)
비스트

(2011년)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음반 대상
슈퍼주니어
<Sorry, Sorry>
(2009)
{{{#fff 소녀시대}}}
<Oh!>
(2010년)
슈퍼주니어
<Mr. Simple>
(2011년)

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
디지털 음원 대상
쥬얼리
<One More Time>
(2008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소녀시대}}}
<Gee>
(2009년)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년)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년)
{{{#fff 소녀시대}}}
<The Boys>
(2012년)
싸이
<강남스타일>
(2013년)

파일:seoulmusicawards2.png
서울가요대상 대상
원더걸스
<Nobody>
(2008년)
<colbgcolor=#ffffa1,#5d5e00> {{{#fff 소녀시대}}}
<Gee>
(2009년)
소녀시대
<Oh!>
(2010년)
소녀시대
<Gee>
(2009년)
{{{#fff 소녀시대}}}
<Oh!>
(2010년)
슈퍼주니어
<Mr. Simple>
(2011년)

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가수상
2NE1
(2010년)
{{{#fff 소녀시대}}}
(2011년)
빅뱅
(2012년)

파일:mma_logo_white.png
올해의 베스트송상
원더걸스
<So Hot>
(2008년)
{{{#fff 소녀시대}}}
<Gee>
(2009년)
2AM
<죽어도 못 보내>
(2010년)

파일:mma_logo_white.png
올해의 아티스트상
동방신기
(2008년)[594]
<colbgcolor=#ffffa1,#5d5e00> {{{#fff 소녀시대}}}
(2009년)
소녀시대
(2010년)
소녀시대
(2009년)
{{{#fff 소녀시대}}}
(2010년)
비스트
(2011년)

파일:유튜브 로고.svg
유튜브 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상
{{{#fff 소녀시대}}}
<I GOT A BOY>
(2013년)
[595]
}}}}}} ||

9.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녀시대/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N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

파일:attachment/Screenshot_2013-09-06-20-48-09-1.png
“God, Save our gracious Girls' Generation,
Long live our noble Girls' Generation!
God, Save Girls' Generation!
Send them victorious,
happy and glorious,
long to reign over us!
God, Save Girl's Generation!”

“신이시여, 자비로우신 우리의 소녀시대를 지켜주시고,
고귀한 우리의 소녀시대께서 만수무강하게 하소서!
신이시여, 우리의 소녀시대를 지켜주소서!
그들에게 승리와
행복과 영광을 주시고,
오랫동안 우리를 다스리게 하소서!
신이시여, 소녀시대를 지켜주소서!”
파일:attachment/대댓.jpg
그 때문에 해외 게이머들도 〈소원을 말해봐〉 뮤직비디오에 몰려가 '팝스타 아리!'를 외치기도 했는데, 2013년에는 ‘유튜브 뮤직 어워드’ 소식과 겹쳐 댓글이 온통 아리 드립으로 도배되기도 했다.

11.1. 라이벌

11.1.1. vs 원더걸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더걸스 vs 소녀시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소속사 비화

대한민국의 아이돌 소속사 중 최고의 수익을 거두는 SM엔터테인먼트의 아이돌 그룹이고, 그중에서도 소녀시대는 데뷔를 위한 투자 비용이나 실력 및 비주얼, 멤버들 조합 등 모든 면에서의 철저한 준비가 탑 클래스를 자랑했다. 그래서 신인 시절부터 최전성기 시절까지는 SM의 푸쉬를 많이 받기도 했었다.[629]

2009년 소녀시대가 미니 1집 《Gee》로 범국민적인 신드롬을 일으키고 노래와 춤 및 패션 등이 전국적으로 대유행하는 등 엄청난 히트를 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속사 SM과 엠넷의 불화로 인해 '엠 카운트다운'에서는 단 한 번도 1위를 하지 못 했다. 당시 각종 음원 및 음반 차트 1위를 올킬하고, 타 음악 방송인 뮤직뱅크에서 무려 9주 연속 1위라는 역대 최장기간 1위라는 대기록을 세울 때 동안 말이다. 대신 당시 〈Honey〉로 음원 차트 3위[630]를 하고 있던 카라가 '엠 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차지했다. 심지어 당해 연말, 각종 연말 시상식에서 소녀시대가 〈Gee〉로 모든 대상을 휩쓸고 있을 때 MAMA에서만 소녀시대에게 대상을 주지 않았다. 2009년을 온전히 소녀시대의 해로 만들고 음원 연간 차트 및 2000년대 연대 차트 1위를 한 엄청난 성적이었음에도 대상은 물론이고 본상조차 주지 않은 것으로 인해 당시 MAMA는 공정성에 대한 질타를 크게 받기도 했다. 이러한 엠넷 측의 공정성 문제 때문에 당해 MAMA에 소녀시대를 비롯한 SM 아티스트들은 불참하기도 했다.[631]

또한 큰 성공 이후, SM에서는 국내 활동은 한 달만 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 해외 콘서트로 외화 벌이 셔틀을 돌리고 있다. 동방신기의 소송 기간 동안 소녀시대가 SM 수입 1위를 차지했을 정도. SM 팬들이 대체로 소속사에 불만이 많긴 하나, 소녀시대의 경우 대중성이 강점이지만[632] SM이 하던 대로 하거나, 때로는 감당하지 못하는 게 문제다. 현재는 연차가 쌓이면 쌓일수록 기본적인 프로모션조차 엉망인 모습을 보여주며 팬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즉, SM의 ‘소속사>소속 가수 압박 정책’의 주 피해자. 다음은 수많은 피해 중 일부.

12. 관련 문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SM엔터테인먼트
, 화수은화
, 시스터스
, K-POP
, 역대 걸그룹 음반 초동 기록
, 역대 걸그룹 음반 총판 기록

13. 외부 링크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가 대세가 됨에 따라 여러 아이돌들이 트위터를 사용하는 데 반해, 소녀시대 멤버들은 전원이 트위터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미니홈피[638][639]를 하지 않았었다. 아래 기재된 써니서현의 트위터 계정 외 돌아다니고 있는 트위터 주소는 모두 사칭이다. SM 내에서도 많은 그룹이 트위터 활동을 활발히 하는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트위터로는 뮤지컬, 방송, 라디오 등 활동 근황을 알리거나 지인들과 짧게 대화하는 것이 전부. 대부분 인스타그램을 애용한다.

인스타그램에선 여느 일반인들과 다르지 않게 셀카, 여행 사진, 먹거리 인증샷, 반려동물 자랑 등 다양한 글을 올리는데, 컴백 시기가 다가오면 스포도 깨알같이 해주니 잘 챙겨보자. 또 컴백하면 본인들이 티저 등을 올려 자체 홍보에 힘쓴다.

서로의 게시글이나 팬들의 팬아트에 '좋아요'를 누를 때도 많다. 거기에 합성짤이나 무덤짤까지 좋아요를 댓글창에선 댓글 퍼레이드가 벌어지거나 이따금 본인의 탄생시[640][641]를 찍는 등 여러모로 꽤 알차게 사용하는 편이다.

공식 홈페이지에는 대체로 컴백 후 멤버들이 글을 사진과 함께 하나씩 남기곤 했는데, 2012년 들어서는 글을 남기는 횟수가 부쩍 늘어났다. SM이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를 개설한 이후로 그곳을 통해서도 간간히 근황을 공개하고 있기도 하다. 다만, 아이돌 자신이 글을 올리는 유타나 공식 홈페이지와는 달리 페이스북은 담당자가 글을 올리기에 아이돌과 팬덤이 소통한다는 느낌은 덜하다고 한다.

SM에서 관리를 하기도 했고, 멤버들도 SNS에서 공인으로써의 말 실수나 사고가 많았던 만큼, 조심하자는 차원에서 모두 하지 않기로 다짐까지 했다고. ceci에서 태연이 한 인터뷰에 따르면 이 불문율이 깨진 계기가 "팬들을 위해서 시작했다. 활동이 없는 기간에는 나도 이렇게 허무하고 허한데, 마냥 기다리는 팬들은 얼마나 답답할까 하는 생각에. 목적지 없이 걷는 느낌일 것 같았다. 앨범이 나오기로 한 시점보다 항상 늦게 나오는 편이라 기다림이 길어지는게 미안했다. 물론 쏟아져 나오는 걸 그룹, 보이 그룹들에게 눈길이 갈까봐 살짝 불안한 마음도 있었다.(웃음) 팬들을 생각하니 SNS를 안 할 수 없겠더라."라고 한다.

써니, 유리, 태연, 수영은 가끔 인스타그램에서 팬들과 직접 Q&A 타임을 가지기도 하니 관심있는 사람은 소시공홈어플[642] 등으로 체크해보자. 운 좋으면 당신의 댓글에 답글을 달아주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1] 2005년에 대상을 시상하고 3년간 시상을 하지 않았다가 2009년 ~ 2011년, 2013년에 시상을 하였다. 이때는 시청자들의 인기투표로 대상 수상자를 결정하였다.[2] 2008년까지는 온라인 시상식으로 개최되었다.[3]SBS 인기가요〉 출연 기준. 사전 녹화일은 8월 2일, 방영일이 8월 5일이다.[4] 데뷔 쇼케이스 기준. 일본 싱글 1집 GENIE는 9월 8일에 발매했다.[5] 색상 코드는 #ff84c3.[6]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분홍색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심지어 멤버 본인들도 과반수가 분홍색이라고 말한 바 있다. 소시탐탐에서 나온 바로 파스텔 로즈를 정확히 알고 있던 멤버는 써니, 수영, 태연에 불과했다.[7] 소시탐탐에서 멤버들이 '공식 색이 파스텔 로즈니까 응원봉도 파로봉으로 불러야 되는 거 아니냐'라고 언급한 뒤로 '파로봉'이라고 부르는 팬들도 많다. 소녀시대의 데뷔일인 8월 5일을 딴 '85봉'이라는 중의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8] GIRLS' GENERATION을 누르면 된다.[9] 다음 내 소녀시대 공식 팬카페 화수은화.[10] 줄여서 '지소 앞소 영소'라 한다.[11] 데뷔 당시 9인조였으나 제시카의 탈퇴로 8인조로 개편되었다.[12] 같은 소속사인 엑소도 역시 마찬가지로 중국인 4명이 전원 탈퇴함에 따라 8명이 활동한다.[13] 한국인 6명(태연, 효연, 유리, 수영, 윤아, 서현), 한국과 미국의 복수국적자 1명(써니), 한국계 미국인 1명(티파니). 하지만 써니와 티파니 또한 혈통은 한국인이므로 멤버 전원이 한국 혈통인 그룹이다.[14] 아이돌 가수 중 유일한 기록.[유닛] 2012년은 유닛[16]Oh!〉 5위, 〈〉 10위.[17] 정규 2집, 미니 3집, 정규 2집 리패키지[18] 여성 가수 중 유일한 기록.[19] 여성 가수 중 유일한 1위.[유닛] 2012년은 유닛[21] 2007년은 씨야, 2008년은 원더걸스, 2009년은 2NE1이 1위이다.[22] S.E.S.(97~02)와 공동 최다 1위이며, 2위는 5회 1위(16, 17, 18, 19, 21)인 TWICE다. 단, 2010년에 출범된 '가온 차트'만을 기준으로 할 시에는 소녀시대가 단독 최다 1위다.[23] 걸그룹 최초 기록.[24] 각각 〈Gee〉와 〈Oh!〉로 달성.[25] 여성 가수 중 유일한 3년 연속 1위.[26] 여성 가수 중 최다 1위.[27] 아이돌 역사상 유일한 10년 연속 진입.[28] 2009, 2010년엔 2곡 입성, 2012년 곡은 유닛곡[29] 한국갤럽 역사상 유일무이의 기록.[30] 아이돌 가수 역사상 유일한 2회 또는 2연속 1위.[31] '-1'은 상반기, '-2'는 하반기를 의미한다.[32] 걸그룹 최다 1위.[33] 걸그룹 중 최장기간 1위.[34] TWICE와 공동 최다 1위.[35] 2009, 2012 음원, 2010 음반, 여성 가수 최다 수상.[36] 여성 가수 중 유일한 2회 또는 2연속 수상.[37] 2009, 2010 올해의 아티스트상, 2009 올해의 베스트송상[38] 국내 유일한 수상.[39] 3년 매진, 5회 매진. 걸그룹 최다 매진 기록.[40] 걸그룹 유일 드림콘서트 엔딩. 2회는 무대 엔딩, 2회는 소녀시대 노래 엔딩.[유닛] 2012년은 유닛[42] 유닛과 그룹으로서 모두 걸그룹 최초.[43] 여성 가수 최다.[44] 여성 가수 중 유일한 10주 이상 1위.[45] 여성 가수 최다 수상.[46] 방탄소년단과 함께 역대 최다 타이.[47] K-POP 아이돌 사상 최초로 음악 방송 100관왕 달성.[48] 걸그룹 역대 1위 횟수 2위. 1위는 TWICE(119회)[49] 걸그룹 역대 1위.[50] 여성 가수 최고 음악방송 시청률.[51] 여성 가수 최다.[52] 역대 대한민국 가수 중 '최장기간 1위' 기록을 가장 오래도록 유지한 그룹이다.[53] 2009~2021년.[54] 2009년부터 2021년까지 무려 12년간 전체 가수 1위를 유지했다. 현재는 역대 여성 가수 중 2위, 전체 가수 중 3위. 2021년 방탄소년단의 〈Dynamite〉에 의해 전체 가수 1위 기록은 깨지게 되었다. 그리고 무려 14년간 역대 여성 가수 1위 기록을 유지하다가 2023년 2월 20일 NewJeans의 〈Ditto〉에 의해 걸그룹 2위가 되었다.[55] 14년간 역대 여성 가수 1위 기록을 유지했다. 현재는 여성 가수 중 브레이브걸스의 〈롤린〉과 타이 기록이자 역대 2위. 2023년 2월 NewJeans의 〈Ditto〉에 의해 걸그룹 1위 기록이 바꼈다.[포함] 유닛이 포함된 수치[포함] 유닛이 포함된 수치[포함] 유닛이 포함된 수치[59] 여성 가수 최다 1위.[포함] 유닛이 포함된 수치[61] 여성 가수 최다 1위.[포함] 유닛이 포함된 수치[63] 여성 가수 최다 진입.[64] 2007년 데뷔 이후로 지금까지 한 해도 빠짐없이 1위.[점검필요]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66] 2023년 선정.[67] 역대 걸그룹 데뷔곡 중 최고의 명곡일 뿐 아니라 역대 아이돌 그룹 곡 중에서도 손꼽히는 전설적인 곡이자 '민중가요'가 된 곡.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더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곡이다. 매우 격렬한 춤을 추며 완벽한 라이브를 선보여야 하는 곡이기 때문에 '극악의 난이도'라는 평을 받는다. 이 때문에 모든 후배 걸그룹들이 필수로 거쳐야 하는 연습곡이 되었고, 수많은 후배 걸그룹들의 커버 무대로 가장 많이 나오고 있는 곡이다. 대중적으로도 국민들에 의해 민중가요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68] 앨범 《소녀시대》의 수록곡임에도 불구하고 큰 인기를 끌며 팬덤을 쓸어 모았다. 특히 무대 소품으로 '사탕'을 이용한 일명 막대 사탕 춤이 큰 화제를 이끌었다. 훗날 많은 후배 걸그룹들이 커버하는 대표적인 소녀시대 명곡 중 하나이기도 하다.[69] 이 당시에는 원더걸스가 '〈Tell Me〉-〈So Hot〉-〈Nobody〉'로 걸그룹 계에서 적수가 없는 3연타 라인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었지만, 이때도 음반 판매량만큼은 소녀시대가 우위를 점하고 있었고, 소녀시대가 〈Gee〉로 대박이 난 후에는 거의 모든 지표에서 비교조차 불가능하게 되었다.[70] 2009년 음원 연간 1위, 2000년대 음원 연대 1위. 2009년~2021년까지 12년간 전체 가수 멜론 일간차트 1위 유지 및 2009년~2023년 2월 20일까지 14년간 역대 여성 가수 중 최장기간 멜론 일간차트 1위(62일) 유지. 더불어 뮤직뱅크에서 무려 9주 연속 1위를 기록하였고, 상반기 결산과 연말 결산에서도 1위를 차지하여 11주 1위를 차지하였다. 이로써 역대 음악방송 네 번째(현재는 〈강남스타일〉, 〈Dynamite〉까지 6곡) 10주 이상 1위 곡이 탄생하였다.[71] 실제로 브랜드 위원회에서는 소녀시대와 유재석, 김연아를 대한민국 3대 브랜드 가치로 꼽기도 했다.[72] 특히 일본에서 일본 싱글 2집 〈Gee〉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걸그룹 최초로 오리콘 데일리 싱글 차트 1위'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우며 아시아 걸그룹 및 오리콘의 역사를 새로 썼다. 또한, 오리콘 위클리 싱글 차트 1위에도 올랐는데, 이는 소녀시대가 싱글 1집 《GENIE》(일본 데뷔 앨범)로 해외 여성 가수 중 공동 최고 순위 2위를 기록한 데 이어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한 기록이다. 즉 해외 여성 그룹 사상 오리콘 위클리 싱글 차트 최고 기록을 자체 경신한 셈. 참고로 ‘싱글 1집 《GENIE》 위클리 차트 2위’라는 기록은 일본을 제외한 해외 걸그룹들 중 1980년 12월 영국 5인조 여성그룹 놀란스가 〈Wanted〉로 2위를 기록한 이래 약 30년 만에 이뤄낸 성과였다.[73] 이 당시 소녀시대는 '국내 최정상 걸그룹'이었을 뿐만 아니라, 남녀 아이돌 통틀어 최정상의 자리에 있었다. ‘레전드 아이돌 그룹 및 롤 모델 그룹’으로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보이그룹은 BIGBANG이 가장 많이 언급되며 꼽히고 있다.[74] 남녀 아이돌 모두가 잘나가고 선의의 경쟁이 심했던 '아이돌 전성기'인 2세대 그룹 중에서도 최고 중에 최고로 꼽히는데, 이 명성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2022년 국내 대중들의 K-POP 선호도 조사’에서 3세대 아이돌인 방탄소년단, BLACKPINK와 함께 TOP 3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이미 치열한 4세대 아이돌 판이 열려 여러 후배 대세 그룹들이 나왔을 뿐 아니라, 소녀시대는 5년간의 공백기 동안 완전체로선 아무런 활동도 없었음(15주년 기념 컴백을 하기 '전'에 실시한 조사이다.)에도 불구하고 2세대 아이돌 그룹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것. 전체 4개의 항목 중 단 하나의 항목에라도 이름을 올린 2세대 아이돌은 소녀시대 외엔 없으며, 심지어 소녀시대는 4개의 항목 모두에 이름을 올렸다.# 16년 차 걸그룹이지만 여전한 명성과 인지도 및 대중성과 인기, 그리고 그간 소녀시대가 K-POP에 준 영향력이 어마무시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셈.[75] 특히 최고라 불리는 〈Gee〉-〈소원을 말해봐〉-〈Oh!〉’의 3연타 라인으로, 아이돌 계에서 원더걸스의 '텔쏘노' 라인 다음가는 수준으로 강한 3연타이다. 또한, 공개 당시 티저 하나만으로 네이버 뮤직 서버 전체가 단 1초 만에 폭파해 네이버 포털 서버까지 다운시킨 전설의 곡으로도 유명하다.[76] 또한, 역사상 전무후무하게 2년 연속 〈뮤직뱅크〉 상반기 및 연말 결산에서 1위를 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 기록은 뮤직뱅크가 이 제도를 폐지함에 따라,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77] 리패키지 앨범임에도 불구하고 멜론 주간 차트 1위와 앨범 연간 판매량 4위(당해 앨범 연간 판매량 2, 3위도 소녀시대가 차지)를 기록하여 당시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인해 좋지 않던 사회적 분위기에서도 당당히 활동에 성공하여 원탑 걸그룹의 위상을 보여주었다.[78] 발매됨과 동시에 하루 만에 음원 차트 '올킬'을 했으며, 2010년 10월 25일에 발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35위를 차지했다. 약 2달밖에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낸 호성적. 뿐 만 아니라 한국갤럽 2010년 올해의 노래 1위로 선정됐다. ‘〈Gee〉-〈소원을 말해봐〉-〈Oh!〉-〈Run Devil Run〉-〈훗〉’을 묶어 5연타 라인이라 부르기도 한다.[79] 보이그룹을 제치고 연간 음반 판매량 1위를 달성한 앨범으로도 유명하다.[80] CF, 예능, 드라마, 해외 활동 등.[81] 실제로 시사저널이 각 분야의 전문가 1000명에 칸타퍼블릭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발표한 '한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라는 주요 대중 조사에서 걸그룹 최초로 1위에 선정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 깨지지 않는 아이돌 그룹 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2년 연속(2011, 2012년) 1위라는 대기록이다. (참고로 H.O.T.방탄소년단이 각각 1999년, 2019년에 1회씩 1위를 했다.) 뿐만 아니라, 아이돌 그룹 최초이자 유일하게 해당 조사에서 6년 연속 TOP 10 순위권 안에 들었다. (2009년 6위, 2010년 6위, 2011년 1위, 2012년 1위, 2013년 5위, 2014년 9위.)[82] 2, 3, 4 각 세대들을 대표하는 최고 걸그룹들의 대전이 펼쳐진 역대급 박터지는 8월(무려 소녀시대, TWICE, BLACKPINK, IVE, NewJeans가 동시에 컴백 및 데뷔를 한 달)에 발매된 곡임에도 불구하고 공개 직후 멜론 TOP 100 23위 진입, 진입 33, 584명(발매 당시 Red Velvet의 〈Feel My Rhythm〉 다음으로 걸그룹 2등에 해당하는 진입 수), 실시간 차트 4위, 실시간 이용자 수 최고 10000명 이상, 일간 차트 5위, 일간 피크 이용자 수 최고 39만 이상, 일간 이용자 수 최고 372,773명, 최신 차트(1주) 4일 연속 1위, 주간 차트 5위, 9월 월간 차트 7위를 차지하였고, 연간 차트에서도 82위(국내 연간차트 76위)로 진입하며 '걸그룹 최초 3연대 연속 연간차트 진입'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또한 음원 발매 당일 아이튠즈 전 세계 톱 앨범에서 31개국 1위를 차지하며 2세대 걸그룹 최고 기록을 세웠으며, 중국 최대 음원 사이트(QQ뮤직) 및 일본 음원 사이트(레코츠쿠)에서 동시다발적으로 1위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83] 2022년 여름에 대한민국 주요 걸그룹들(TWICE, BLACKPINK, ITZY, aespa, IVE, NewJeans)이 모두 컴백 및 데뷔를 해 역대급 박터지는 음원 차트였던 것을 감안하면 정말 2세대 걸그룹으로서 최고의 성적이다. 만약 여름이 아닌 다른 달에 컴백을 했다면 음원 1위와 음악 방송 1위는 거의 확정적으로 가능했던 성적이다.[84] 그 외 음악 사이트에선 벅스 실시간 차트 1위 및 일간 차트 1위, 유튜브 음악 주간 차트 1위, 유튜브 뮤직비디오 주간 차트 1위, 지니 실시간 차트 4위 및 일간 차트 5위, FLO 24시간 차트 4위, VIBE 실시간 차트1위 및 일간 차트 5위, CIRCLE 주간 디지털 차트 5위를 차지했다.[85] 컴백과 동시에 타이틀 및 9개의 수록곡 전곡 차트인은 물론이고, 소녀시대가 컴백했다는 명분 하나로 이전 수많은 히트곡들 또한 빠르게 역주행을 했다. 또한, 초동도 더블 스코어 커리어하이(종전 기록 약 9만 장, 현재 기록 약 18.6만 장)를 기록하며 2세대 걸그룹 중 유일무이의 '10만 장 돌파'라는 기록을 세웠다.(앨범 예약 기간이 2주 정도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세운 기록이다. 현 세대 아이돌들은 기본 1~2달 예약 기간을 두는 것을 생각하면 2세대 그룹으로선 정말 어마어마한 기록.) 더불어 2세대 걸그룹 중 최단기간이자 최초 및 유일무이의 기록인 하루 만에 뮤직비디오 조회수 1000만 뷰 달성에, M/V 공개 직후 약 3일 연속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 및 5일 연속 인기 급상승 음악 1위를 차지했다. 이후 111일 만에 M/V 조회 수 5000만 뷰를 달성했다.[86] 빌보드 핫 트렌딩 송에서 8월 3주차에 타이틀 곡 〈FOREVER 1〉 5위, 9월 1주차에 17위(재랭크), 12월 1주차에 수록곡 〈Lucky Like That〉 6위를 차지했다. 이는 모두 ‘빌보드 핫 트렌딩 송’에서 2세대 그룹 최고 기록(1등), 2등, 공동 3등(17위)에 해당하는 순위이다.(공동 3등에 해당하는 또 다른 곡은 BIGBANG의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 또한, 빌보드 글로벌 200에서 타이틀 곡 〈FOREVER 1〉이 8월 3주차에 67위, 9월 1주차에 120위(재랭크), 9월 2주차에 138위를 차지했다. 더불어 빌보드가 선정한 ‘2022 올해의 베스트 K-Pop 송 Top 25’에서 13위(2세대 걸그룹 노래 중 1위)를 차지했다.#[87] 출연한 모든 유튜브 콘텐츠 및 TV 예능, 음악 방송과 직캠 영상마다 며칠 연속으로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 및 상위권을 차지하며 유튜브 인급동 줄 세우기를 했다. 더불어 컴백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트위터 전 세계 실시간 트렌드 1위 및 포털 사이트 실시간 급상승 키워드 상위권을 찍었다. 컴백 기념 단독 리얼리티 〈소시탐탐〉은 단 2회 만에 485만 뷰를 돌파했다.#[88] 9월, 걸그룹 최초로 올림픽 체조 경기장에서 팬미팅을 개최했으며, 예매 오픈과 동시에 빠르게 전석 매진은 물론이고 추가로 풀린 시야 제한 좌석까지 전석 매진을 시키는 기염을 토하며 명불허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89] 9월에 실시한 네이버 연예 투표 역대급 걸그룹 대전이었던 올해 여름, 가장 많이 들었던 노래는?에서 14,817표(득표율 23%)를 얻어 간소한 차이로 3위를 차지하며(1위는 22,383표를 얻어 35%의 지지율을 받은 IVE의 〈After Like〉, 2위는 15,362표를 얻어 24%의 지지율을 받은 NewJeans의 〈Attenteion〉, 4위는 6,802표를 얻어 10%의 지지율을 받은 BLACKPINK의 〈Pink Venom〉, 5위는 2,630표를 얻어 4%의 지지율을 받은 ITZY의 〈SNEAKERS〉, 6위는 2,025표를 얻어 3%의 지지율을 받은 TWICE의 〈Talk Talk Talk〉.) 16년 차 걸그룹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화제성과 인기를 보여주었다.#[90] 8월, 9월, 10월 걸그룹 브랜드 평판에서 각각 2위, 3위, 2위를 기록하고, 개인 브랜드 평판에서 또한 멤버 8인이 모두 이름을 올리며 상위권을 차지하는 등 현 세대 걸그룹에도 전혀 뒤지지 않는 화제성을 보여주었다. 역대급 박터지는 8월에 컴백했다는 걸 감안하면 더 대단한 화제성이다. 만약 다른 달에 컴백을 했다면 브랜드 평판 1위도 가능한 성적이다.[91] SBS 인기가요 8월 셋째 주 핫스테이지 1위 및 1위 후보 2위, 뮤직뱅크 8월 셋째 주 2위, 엠 카운트다운 8월 셋째 주 2위.[92] 2022년, 〈FOREVER 1〉 멜론 국내 차트 76위, 멜론 종합 차트 82위. 가온 디지털(음원) 차트는 66위, 지니 연간 차트는 80위 기록.[93] 특히, 역대 남녀 아이돌 그룹 중 최초이자 유일한 ‘음원 연대 1위’ 보유 그룹. 2000년대 1위 〈Gee〉.[94] 역대 걸그룹 중 음반 연간 1위 및 음반 대상 수상 기록을 보유한 유일무이의 걸그룹. 각각 《The Boys》와 《Oh!》.[95] 전체 가수로는 SG워너비와 유이한 기록이다.[96] 음원 연간 1위를 3번한 BIGBANG은 음반 연간 2위를 기록, 음반 연간 1위를 5번한 방탄소년단은 음원 연간 최고 3위를 기록했다. 가장 가능성이 높던 두 그룹이 이 기록을 놓치면서 아이돌 그룹이 이 기록을 깨는 것은 힘들어 보인다.[97] 역대 걸그룹 사상 유일무이한 기록이다.[98] 1회 수상한 걸그룹은 핑클원더걸스가 있다.[99] 골든디스크, 서울가요대상, MMA, MAMA, 공중파 3사(KBS, SBS, MBC), 한국대중음악상[100] 골든디스크 3회, 서울가요대상 2회, MMA 3회, MAMA 1회, KBS 1회, 한국대중음악상 1회로 총 11회 수상이다. 여성 가수 및 걸그룹 최다 수상이자 유일한 두 자리수 수상.[101] 2위는 아이유의 9개.[102] 걸그룹 중 최다 대상 수상은 TWICE지만, TWICE의 메이저 시상식 대상은 5개에 불과하다. (참고로 메이저 시상식 대상 수상 2위는 총 6회를 달성한 2NE1.) 사실 2세대까지만 해도 국내 시상식은 거의 앞서 말한 역사 깊은 메이저 시상식밖에 없었다. 이후 3세대에 이르러 시대가 많이 변함으로써 메이저 시상식 외에도 다양한 시상식이 많이 개최되어 수상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전보다 늘어난 것이다. (주로 '2017, 2018년'부터 다양한 시상식이 많이 개최되기 시작했다.)[103] 소녀시대 11개, BIGBANG 10개, 동방신기 8개, SUPER JUNIOR 7개, 2NE1 6개, 원더걸스 4개, 비스트 3개, 2PM 2개, 2AM 2개, SHINee 1개, 미쓰에이 1개.[104] 2세대 아이돌 중 지상파 대상 수상자는 동방신기, 2PM, 소녀시대, 비스트뿐이다. 전 세대를 통틀어서는 펄 시스터즈, 핑클에 이어 세 번째 걸그룹 지상파 대상 수상자이다.[105] 참고로 소녀시대의 최전성기 중 한 기간인 2009~2010년, SMMnet의 불화설로 인해 다른 곳에서 온갖 상을 다 쓸어 담을 때 MAMA에선 소녀시대에게 그 어떤 상도 주지 않아 이 부분에서 큰 손해를 보았다. 만약 이 기간 동안 불화설이 없었더라면 소녀시대의 대상 개수와 음악 방송 1위 횟수(엠 카운트다운 또한 소녀시대가 〈Gee〉로 다른 곳에서 9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자체 신기록을 경신해 나갈 때조차 이들에게 단 한 번도 1위를 주지 않았다.)는 더 늘어났을 거라는 것이 중론. 이 때문에 Mnet의 이러한 불공정성이 대중과 언론으로부터 큰 지탄을 받기도 했다.# 반면에 2011년 골든디스크에서 〈The Boys〉로 음원 대상을 받은 것에 대한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 원래 음반 대상과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이 유력했으나, SM의 자료 미제출로 본상 후보에도 오르지 못 했고, 음반 대상 대신 사회 전반에 걸친 파급력 등을 모두 고려하여 골든디스크 측으로부터 음원 대상을 수상한 것이다. 그리고 당해 서울가요대상 대상은 소녀시대가 수상하지 못 하고 같은 소속사 선배에게 돌아가고 말았다. 이러한 소속사의 뻘짓과 Mnet과의 불화설로 인한 여러 손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걸그룹 중 가장 많은 메이저 시상식 대상을 수상한 것은 소녀시대의 엄청난 위상을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라고 볼 수 있다.[106] 29회 1위이자 통산 2위인 TWICE보다 13회나 많은 수치.[107] 1곡당 3회 1위 제한.[108] 다만, 음악중심은 소녀시대가 데뷔하고 7년 뒤인 미니 4집 《Mr.Mr.》 활동부터 순위제가 다시 도입되었다.[109] 〈음악중심〉의 순위제 폐지 기간과 SM과 〈엠 카운트다운〉의 불화설 기간, 그리고 소녀시대가 가장 활발히 활동할 당시에는 〈쇼챔피언〉과 〈더 쇼〉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정말 어마어마한 수치의 기록.[110] 국내에서 아이돌 그룹으로서 세울 수 있는 거의 모든 기록을 다 세웠다고 봐도 무방하며, 걸그룹 및 아이돌 그룹 사상 최초로 이루었거나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는 대기록들이 대부분이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111] 그 외 스타성, 멤버 개개인의 능력 등도 모두.[112] 더불어 역대 다인원(8, 9인 이상) 체제 그룹 중 가장 큰 성공(그룹 자체로 대한민국을 뒤흔들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것은 물론이고, 정상에서 '롱런'하며 '실력' 면에서도 인정받은, 또 멤버 한 명 한 명까지 모두 '개인 인지도 및 능력치'를 갖춘, 그런 '모든 방면'에서 다 이룬 종합적인 성공.)을 이루었다 하여 다시는 볼 수 없을 대한민국의 전무후무한 다인원 그룹이라 불리기도 한다.[113] LE SSERAFIM의 일본인 멤버 사쿠라는 “소녀시대는 일본에서도 '국민 가수' 급이다. 노래만 나오면 무조건 TOP 10 행은 기본이고, 어릴 적 노래방에 가면 친구들과 소녀시대 노래는 무조건 불렀다.”라고 말하며 일본 내 소녀시대의 엄청난 인기를 직접 입증해 주기도 했다.#[114] 카라와 함께 일본에 K-POP 열풍을 불러 일으킨 원조 주역으로, 일본에서 수많은 최초 및 유일무이의 기록들을 세웠다. 특히 소녀시대는 일본을 대표하는 걸그룹인 AKB48과의 비교 기사가 일본에서 올라올 정도로 날이 갈수록 막강한 파워를 지니게 되었다.##[115] 현재는 15년 이상의 최정상 장수 걸그룹.[116] 네이버 국어사전에 '걸그룹'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오픈사전 검색 결과로“1. 걸그룹-여자 아이돌 가수를 말합니다.”라는 뜻이 나오고 그 대표적인 예시로 “소녀시대는 유명한 걸그룹이다.”라고 나올 정도다. #[117] 이후 이 순서는 10주년 기념 앨범뮤직비디오 티저에서 재현되었다. 다만 제시카가 탈퇴한 후이므로 태연을 거쳐 바로 써니의 티저가 공개되었다.[118] 종종 윤아도 랩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The Boys》에서도 효연과 같이 랩 파트를 담당했으며 정규 7집 《FOREVER 1》의 수록곡인 〈Villian〉에서도 활약을 했다.[119] 태연, 써니 모두 160cm, 158cm로 팀 내 단신이다.[120] 태연은 메인 보컬, 효연은 메인 댄서.[121] 두사람은 2살차이다.[122] 'THE 태티서'에서 잘 드러난다.[123] 효연에게 배울 점이 많다고 말하기도 했다.[124] 윤아의 말에 의하면 소녀시대 멤버들 중 서현 다음으로 가장 순수한 사람이 효연이라고 한다.[125] 물론 이는 소녀시대 모든 멤버들에게도 해당되는 말.[126] 이유는 1989년생과 동갑이 된다[127] 버뮤다즈가 아닌 '버뮤다 라인'으로 검색해야 나온다.[128] MBTI 특성상 자주 바뀔 때가 있지만, 외향형임에 변동이 없는 멤버는 유리, 윤아, 서현이다.[129] 굳이 따지자면 태연의 생일보다 SM엔터테인먼트 창립일이 더 빠르다.[130] ‘이터니티’, ‘뮤즈’, ‘예그리나’ 등의 그룹명을 예상했었다고 한다.[131] 3, 4세대에 이른 현재까지도 유명세를 타며 계속해서 그 인기와 명성이 이어지고 있다.[132] 2009년에 화려한 최전성기를 시작하여 2세대가 끝나는 2015년까지 쭉 전성기를 달리며 2세대 걸그룹의 문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소녀시대를 끝으로 3세대 걸그룹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물론 3세대가 시작된 이후에도 소녀시대의 인기와 명성은 여전. 참고로 남자 아이돌은 2012~2013년 EXO의 데뷔와 XOXO (Kiss&Hug) (Repackage)을 시작으로 3세대 보이그룹의 시대가 열렸으며 2세대 보이 그룹의 문을 장식한 건 BIGBANG이다.[133] 보이그룹 BIGBANG과 함께 아이돌 올타임 레전드 그룹 투탑으로 꼽힌다.[134] 대한민국 스타 중 유재석, 김연아와 함께 TOP 3로 꼽힌다. 대한민국 브랜드 위원회에서는 이 세 인물을 ‘대한민국 브랜드 가치 TOP 3’로 두기도 했다. 또한 시사저널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가장 영향력 있는 연예인' 설문조사에서 아이돌 그룹 중 유일무일하게 2년 연속 1등을 차지했다.[135] 한 예로 마마무의 멤버 휘인이 ‘비밀언니’에 출연해 소녀시대를 언급하며 “걸그룹 중에서 제일 높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을 한다. 같은 아이돌로서 같은 무대에도 서고 같이 촬영하게 되는 것이 비현실적인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다.[136] 이는 국내 각종 여론조사 결과만 봐도 알 수 있다.[137] 사실 소녀시대한테 '전성기'라는 말은 필요도, 의미도 없다. 2009년 이후로 쭉 전성기 길을 걷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소녀시대는 전성기를 넘어 레전드의 길을 걷고 있는 그룹이기에 단순히 한 시대의 인기 걸그룹으로만 묶어 두기엔 3, 4세대에 이른 지금까지도 그 명성과 유명세가 너무나도 뛰어나기 때문. 수많은 걸그룹 후배들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소녀시대의 국내 많은 대기록들은 깨지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결코 이들에 뒤지지 않는 화제성과 파급력을 보인다. 이는 단적으로 걸그룹 브랜드 평판만 봐도 알 수 있다. '무활동' 임에도 불구하고 TOP 3 안에 드니 말이다. 브랜드 평판 조사 이래 단 한 번도 빠짐없이 2세대 걸그룹으로선 유일하게 항상 순위 안에 들었다. 어찌 보면 2009년 이후로는 단 하루도 빠짐 없이 쭉 전성기인 셈. 그 중에서도 특히 2009~2016년이 '최'전성기라 할 수 있겠다.[138] 사실상 3세대가 시작되기 이전인 2016년까지 포함하여 '최'전성기라 칭하는 것이 맞다. 소녀시대가 2세대의 끝을 화려하게 장식하며 3세대가 시작되었으니.[139] 물론 2020년대 현재까지도 20대(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사람들)부터 50대 이상은 거의 모두가 그룹과 멤버들 이름 하나하나를 다 알고(오히려 40대 이상부터는 3, 4세대 아이돌보단 2세대인 소녀시대를 더 잘 알고 좋아한다.), 어린 아이들부터 10대 학생들 중에서도 K-POP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이 소녀시대를 알고, 그 멤버들까지도 안다.[140] 음악 방송, 예능, 광고, 드라마, CF, 화보, 개인 활동, 라디오,해외 진출, MC 등등 안 나오는 곳이 없을 정도였고, 소녀시대가 지금까지 출연한 예능의 개수는 셀 수 없을 정도다.[141] 이 당시 더쇼와 쇼챔피언은 존재하지 않았고, 음악중심은 순위제 폐지 기간, 엠 카운드다운은 SM과 엠넷의 불화로 무대를 하지 못했고, 당연히 1위 후보에도 넣지 않았다.[142] 소녀시대가 5년 만에 컴백함에 따라 2세대 걸그룹의 컴백을 알리며 앞장섰고, 이를 본보기 삼아 이후 카라도 11월에 컴백할 것임을 예고했으며, 2NE1산다라박은 예능 라디오스타에 나와 “소녀시대의 컴백을 보니 우리도 컴백을 하고 싶어진다.”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는 소녀시대가 아주 성공적인 15주년 컴백을 마침으로써, K-POP 2세대 대표 주자로서 아직까지도 많은 걸그룹들에게 본보기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143] 역대 모든 걸그룹을 통틀어 봐서도 2세대 소녀시대, 1세대 S.E.S.가 유일하다.[144] 이후 소녀시대를 시작으로 빅뱅, 신화의 공식 우표가 발행되었다.[145] 다만 우표에 사용된 그림이 포토 카드나 앨범 사진의 재탕인데다 가격이 비싸서 좋은 평가만을 받진 못했다.[146]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해서 호불호를 타서 그렇지 노래 자체는 좋은 노래다. 여러 가사가 킬링파트로 흥하기도 했다. 특히 이 곡은 시대가 흐를수록 명곡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일명 시대를 앞서간 곡.[147] 소녀시대 수록곡 중에서도 명곡으로 꼽히는 곡이다.[148] 소시탐탐 인터뷰를 통해서 밝힌 내용.[149] 2위는 18.7%의 핑클, 3위는 17.8%의 S.E.S., 그 이하 순위는 차례대로 원더걸스, 보아, 아이유, 2NE1, TWICE, 씨스타, 여자친구, Apink, AOA, 카라, 포미닛, f(x)가 차지했다.[150] 2위는 원더걸스의 〈Tell me〉, 3위는 아이유의 〈좋은 날〉, 그 이하 순위는 차례대로 보아의 〈No. 1〉, 이효리의 〈10 minutes〉, 핑클의 〈영원한 사랑〉, S.E.S의 〈I'm Your Girl〉, TWICE의 〈CHEER UP〉, 2NE1의 〈내가 제일 잘 나가〉, EXID의 〈위아래〉, 여자친구의 〈시간을 달려서〉, 미쓰에이의 〈Bad Girl Good Girl〉, 카라의 〈미스터〉, 티아라의 〈롤리폴리〉가 차지했다.[151] 전체 가수 중에선 2007년 4월 가수 의 폰트가 공개된 바 있다.[152] 이는 소녀시대 말고는 지금까지 전무하다.[153] 이때 뮤직비디오기럭지가 CG가 아니냐는 말이 돌기도 했다고 한다(...).[154] 1위부터 19위 내에서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 즉 걸그룹 순위로는 1위. 이 자체로도 대단한데 ‘태티서’라는 소녀시대의 유닛 그룹으로서 이러한 엄청난 성과를 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더 크다.[155] 1위부터 27위 내에서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 즉 걸그룹 순위로는 1위.[156] 1위부터 18위 내에서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 즉 걸그룹 순위로는 1위.[157] 1위부터 28위 내에서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 즉 걸그룹 순위로는 1위[158] 지금은 K-POP의 규모가 해외에서도 어마어마하게 커지며 초동이 100만장도 나오고 그랬지만, 그 당시에는 걸그룹 초동 랭킹의 대다수가 소녀시대의 몫이였다.[159]The Boys[160] 참고로 정규 2집 《Oh!》 앨범도 2개월 연속 1위를 달성하여 최장기간 1,2위에 소녀시대가 나란히 위치해 있다.[161] 이들 중 연예인 부문 전체 1위를 차지한 팀들은 H.O.T.와 소녀시대, 방탄소년단 총 3팀이다.[162] 한국갤럽의 모든 조사 대상 중 소녀시대를 제외하고 10년 연속 TOP 5 안에 든 사람은 스포츠인 김연아와 개그맨 유재석밖에 없다.[163] Gee, The Boys, I GOT A BOY, MR.TAXI dance ver., Oh!, PARTY Run Devil Run Lion Heart[164] 특히 <Gee>와 <I GOT A BOY>와 <The Boys>는 2억뷰를 돌파했다.[165] 듀나는 “소녀시대는 군대나 태릉선수촌이 아닌 기숙학원 판타지로 비춰진다”고 말하기도 했다.[166] 2000년부터 2009년까지, 2000년대를 종합하는 멜론 연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167] 국내 판매량은 가온차트, 일본 판매량은 오리콘 차트 기준. 유닛, 솔로 앨범 판매량까지 합하면 약 700만 장 이상이다.[168] <I GOT A BOY>, <Gee>, <The Boys>, <MR.TAXI>, <Oh!>[169] 기사에는 걸그룹 최초로만 나와있지만, 국내 남녀 가수를 통틀어서도 최초이다. 해당 기사에 내재된 사진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170] 아이돌 그룹에 속한 멤버 개인이 다른 게스트와 함께 출연한 회차들은 제외.[171] 하지만 이는 2018년 11월 17일에 출연한 셀럽파이브가 6.4%의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깨지긴 했으나, 사실 셀럽파이브는 아이돌 그룹으로 칭하기엔 무리가 있는 그룹이다. 일명 개가수(개그우먼+가수) 그룹 셀럽파이브를 제외하면 2022년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는 기록이다.[172] 2세대 이후 아이돌로서는 빅뱅과 유이한 기록이며, 2세대 이후 걸그룹으로서는 최초의 기록이다.[173] 해당 방송의 첫 화에서 참가자들을 등장시킬 때, K(한국), J(일본), C(중국) 각 그룹에서 서로 공통점이 있는 참가자 한 명씩 뽑아 ‘연결 키워드’라는 주제로 묶어 등장시켰다. 즉, 3인이 1팀이 되어 등장.[174] 음악 평론가 및 음악 산업 관계자 35인 참여.[175] 참고로 1위는 총 5곡을 이름 올린 방탄소년단이며, 2위는 총 4곡을 이름 올린 샤이니이다.[176] 참고로 2세대 아이돌 그룹 전체로 놓고 봐도 2등에 해당하는 기록. 1등인 33개국 1위의 기록을 가진 보이그룹 BIGBANG과 불과 2개국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177] 기존에 차트인 하고 있던 곡들은 그 순위가 더 높아졌으며, 약 10년 전 이상의 차트아웃 노래들까지도 다시 차트인을 했다.[178] 두 번째 편 방송분인 2022년 8월 20일을 기준.[179] TOP 15 안에 드는 2세대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180] 사실 이 정도의 평판 지수로는 1등을 해도 전혀 문제가 없는 점수지만, 하필 BLACKPINK의 컴백 기사로 인해 1등인 BLACKPINK의 평판지수가 급증하였다.[181] 하지만 저작권 문제로 인해아마 켄지의 목소리가 그대로 나와서 생긴 문제로 보임 영상이 바로 내려가는 안타까운 일도 벌어졌다.[182] 2022년 9월 23일 기준. 221, 474[183] 2022년 9월 23일 기준. 13, 986[184] 2022년 9월 23일 기준. 2,120[185] 공교롭게도 1박 2일의 첫 방송 날짜와 소녀시대의 데뷔일이 일치한다.[186] 청순, 파워풀, 청량, 귀여움, 예쁨, 걸크러쉬, 섹시, 걸스 힙합, 파티, 복고 등[187] 하지만 다인원 체제의 성공이란 결코 쉽지 않은 일이었나 보다. 여기서 '성공'이란 소녀시대처럼 그룹 자체로는 물론이고 멤버 한 명 한 명까지 모두 인지도 있고 대박이 나며, 장기적으로 롱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았을 때, 지금까지의 다인원 체제 걸그룹들 중 소녀시대만큼의 대성공을 이룬 그룹이 없다. 이는 보이 그룹까지 합쳐 보았을 때도 마찬가지다. 즉, 소녀시대의 성공은 그야말로 대한민국에서 전무후무할 다인원 체제의 성공인 셈. 이는 소녀시대가 '대한민국 전무후무한 그룹'이라는 평을 받는 데에 기인한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188] 물론 합창단처럼 본격적인 코러스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어디까지나 메인 단선율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서 사용한다.[189] 데뷔 1년차에 불과했던 정규 1집 〈소녀시대〉부터 그 방향성을 확고하게 제시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특히 정규 4집 〈I GOT A BOY〉는 ‘〈Bohemian Rhapsody〉나 〈Bicycle Race〉 이전의, 의 초기 앨범이었던 2집 전체를 모티브로 삼아 오마주한 듯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90] 수록곡의 대중적 인기가 타이틀곡보다 높다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리스너들 사이에서 평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191] 정규 5집 〈Lion Heart〉의 타이틀곡으로는 〈You Think〉도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Lion Heart〉 하나뿐이었다.[192]Holiday Night〉의 〈Holiday〉와 〈All Night〉은 대중적인 곡은 아니었다는 평도 존재하나, 이는 저조했던 차트상의 결과론일 뿐, 이 역시 대중적인 곡으로 내세웠던 곡이다.[193] 일본 곡이 더 좋은 것은 SM엔터테인먼트 가수들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동방신기가 대표적인 예.[194] 이는 수영이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195] 특히 그 깐깐하기로 유명한 마왕 신해철은 대중문화 평론가와의 대화에서 "무서울정도로 잘해서 마치 기예단과 같다"고 하며 '현대판 예인'이라고 말하며 극찬을 했다.[196] 단, <Mr.Mr.> 무대에서는 처음으로 백댄서를 쓰기도 했다.[197] 그래서인지, 직캠 중에서는 위에서 철새 떼 같은 군무를 볼 수 있는, 일명 ‘천장캠’이 인기를 끈다.#[198] 효연은 《The Boys》 활동 당시 예능 《비틀즈 코드》에서 “데뷔 초의 댄스는 정말 과했다”고 평하기도 했다. 무대가 끝내고 나면 말도 제대로 못할 정도로 숨을 헐떡였다고.[199] 해당 모습은 2010년, 일본에서 일본 싱글 1집 《GENIE》로 데뷔하며 일본 아침 방송에서 무대를 선보였을 때 다시 주목을 받았다.[200] 해당 대형 직전, 본인의 파트를 부른 뒤 뒤도 돌아보지 않고 자신의 자리를 찾아 이동하는 효연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심지어 센터에서 꽤 상당한 거리를 단 2초 내에 이동하는 것도 대단한 부분.[201] 2017년에 개최된 팬미팅에서 다시 한 번 언급하기도 했다.[202] 모든 멤버가 잠시라도 쉬지 않고 계속해서 무언가를 하고 있다.[203] 유리는 끝에서 끝으로 달려간다[204] 그러나 후렴구 안무 중의 쩍벌춤은 공개 초반에 ‘곡 분위기에 맞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는 등 호불호가 갈리기도 했다.[205] 심지어 유리는 발목 부상 상태였다.[206] M/V에서는 대형이 회전하지 않고 90도 마다 카메라와 이동 동선을 꺾는 연출이다. 음악 방송에서는 4면 중 한 면이 관객석이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대형이 회전하거나 그 부분만 별도의 세트에서 녹화를 땄다. 《쇼! 음악중심》에서는 원래대로 카메라 회전을 하며 관객석까지 잡는 연출을 보여주기도 했다.[207] 아이돌들이 무대에서 AR이나 사전녹음을 많이 하는 현재 기준에선 이해되지 않겠지만, 데뷔 초였던 2007~2008년에는 AR을 깔지 않고 라이브를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저 정도 실력을 당연하게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당시 같은 2세대라 하더라도 가창력 논란, 실력 논란이 크게 났던 걸그룹들이 꽤 많긴 했다. 그럼에도 소녀시대는 비교적 여기서 자유로웠고, AR과 사전 녹음이 만연해진 요즘에 들어서는 오히려 더 실력 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과거 춤 추며 생라이브를 굉장히 잘했지만, 발라드 가수들 가창력 기준으로 맞춰졌던 과거에는 그걸 미처 깨닫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니 소녀시대는 과거에도 현재에도 라이브를 굉장히 잘하는 그룹이었다.”라는 반응이 대부분.[208] 특히 보컬라인 멤버들은 데뷔 초부터 실력이 뛰어났음에도, 꾸준한 노력으로 날이 갈수록 실력이 향상되고 있다.[209] 역대 모든 걸그룹들 중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소녀시대, 브라운아이드걸스, 마마무는 빠지지 않고 ‘걸그룹 실력 최상위권’으로 꼭 언급되고 있다.[210] 일부 댄스라인 멤버들의 음정이 불안한 영상들은 주로 데뷔 초기 때의 것들이 대부분으로 댄스라인 멤버들마저 10여년의 세월 동안 보컬 실력이 안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대표적으로 솔로 곡을 여러곡 발매한 윤아의 경우 SM 콘서트나 팬미팅에서 라이브를 보면 CD를 튼 게 아니냐는 반응이 있었고, 같이 녹음한 프로듀서조차 놀란 적이 있다. 멤버들이 오랜 기간 끊임없이 노력하고 발전해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211] 연습생들의 보컬의 합을 맞춰보며 긴 시간 동안 신중하게 데뷔를 준비시킨 SM이 공들인 치밀한 형태의 레코딩 테크닉 효과 때문인지, 가끔 삼촌 팬 가운데 스피커나 헤드폰에 돈을 쓰는 팬들이 많다.[212] 특히 태연, 티파니, 서현이 대부분의 곡에 화음을 넣는 화음 담당이며, 뛰어난 음감으로 화음을 쌓는 데 매우 능숙하다.[213] 곡 분위기에 따라 파트를 가장 많이 맡는 멤버가 바뀌는데, 대부분 이 세 명 가운데 한 명이다. 제시카 또한 탈퇴 이전까지는 태연, 티파니, 서현과 함께 보컬라인으로서 파트 분량이 많았다.[214] 특히 콘서트에서 앵콜 무대로 선보인 '다시 만난 세계'의 MR 제거 영상은 유튜브에서 걸그룹 MR 제거 영상 중 높은 조회수를 자랑하며 압도적인 호평을 받고 있다.#[215] 2011년 이후 효연, 유리, 수영콘서트, OST, ‘불후의 명곡’에서 일취월장한 보컬 실력을 뽐냈으며, 현재는 효연, 유리, 수영 모두 각자의 솔로곡을 발표하기도 했다.[216] 이들은 앨범이 없는 것뿐이고 써니는 OST, SM STATION 음원에는 꾸준히 참여했고, 수영도 디지털 싱글이지만 솔로곡을 발표한 적이 있다.[217] 그래도 이 둘도 안정적인 음역대를 가지고 있다.[218] 참고로 태연: G3/G#3 ~ C#5/D5 ~ F5/F#5, 써니: Bb3/B3 ~ B4 ~ F#5/G5, 티파니: F#3/G3 ~ Bb4/B4 ~ D5, 유리: A3/Bb3 ~ G#4, 수영: Bb3 ~ G#4, 서현: G3/G#3 ~ C5 ~ F5[A] 같은 기록 제외.[A] [221] 2009년. 〈Gee〉.[222] 2011년. 《The Boys》.[223] '걸그룹으로서는 유일무이한 기록'이다.[224] 2009년, 2010년, 2011년 '총 3회'. 이는 기록 방식이 달라지기 이전인 2007~2019년에,(2020년부터는 ‘30대 이하’와 ‘40대 이상’ 두 부문으로 나누어 기록하므로써 각 순위를 1년에 2명씩 배출해 내게 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대한민국 가수들 중 최다 1위이자 유일무이한 3년 연속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225] 참고로, 보이그룹 중 (멜론 기준) 음원 1위의 기록을 가지고 있는 BIGBANG, iKON은 음반 연간 1위를 달성하지 못했고, 멜론 음원 연간 1위를 달성한 걸그룹 원더걸스, 미쓰에이, 티아라, TWICE, IVE는 음반 연간 1위를 달성하지 못했다. 그 외 음반 연간 1위를 달성한 보이그룹들 중 음원 연간 1위를 달성한 그룹은 아직 없다. 따라서 역대 국내 아이돌 가수 중 ‘음원 연간 1위’와 ‘음반 연간 1위’ 두 기록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건 소녀시대가 유일무이하다.[226] 〈Gee〉~〈I GOT A BOY〉.[227] 〈냉면〉 포함.[228] 소녀시대의 모든 앨범 중 연간 차트에 들어가지 못한 앨범은 정규 6집 《Holiday Night》 이외에는 전무하다.[229] 2009년~2021년.[230] 〈Gee〉로 2009년부터 무려 12년 동안 '대한민국 모든 가수들 중 최장기간 일간 1위'라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2021년 방탄소년단의 〈Dynamite〉(75일 1위)에 의해 그 기록은 깨지게 되었다. 2023년 2월 20일 NewJeans의 〈Ditto〉에 의해 걸그룹 1위 기록은 깨지게 되었다.[231] 원더걸스, 소녀시대, 2NE1, 브레이브걸스. 단일 곡으로는 소녀시대를 포함한 단 세 그룹.[기준] '종합 차트'[x] 가온 차트 출범 전 (2010년 출시)[234] 2008년[235] 2개월 1위, 8주 1위, 62일 1위.[특별] '멜론 2000년대 1위.'[237] 2000년대 42위, 1주 1위.[238] 2주 1위.[239] 1주 1위, 1개월 1위.[240] 1주 1위.[241] 2주 1위, 1개월 1위.[242] 1주 1위.[243] 1주 1위.[244] 1주 1위.[245] 2주 1위.[246] 유닛 곡이지만 엄청난 히트를 쳤다.[247] 3주 2위, 1개월 1위.[248] 1주 1위, 1개월 1위.[249] 1주 1위, 1개월 1위.[250] 1주 1위, 1개월 1위.[비고] 선공개 곡 〈Dancing Queen〉도 1주 1위.[252] 일간 1위 달성.[253] 1주 1위.[254] 2015년 걸그룹 첫 지붕킥 및 일간 1위 달성.[255] 1주 1위.[256] 주간, 월간 5위.[257] 실시간 4위, 주간 5위, 월간 7위, 국내 연간차트 76위.[258]Gee〉.[259] 역대 모든 남녀 아이돌 가수 통틀어 '음원 연대 1위'라는 기록을 최초이자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260]Gee〉. 62일간 1위. 2009년~2021년 동안 최장기간 1위 유지. 멜론 차트 개편 전까지 깨지지 않은 신기록이다.[261]Gee〉. 62일간 1위. 2009년~2023년 동안 최장기간 1위 유지. 멜론 차트 개편 전까지 깨지지 않은 신기록이다.[262]Gee〉. 무려 '총 62일간 1위'로, 2009년 1월 7일부터 2009년 3월 8일까지 1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14년간 걸그룹 1위 기록을 유지했다.[263] 이 기록은 역대 대한민국 가수 사상 12년간 깨지지 않다가, 멜론 차트 개편 후 2020년 11월 방탄소년단의 〈Dynamite〉(75일 1위)에 의해 2위가 되었다. 2023년 2월 20일 NewJeans의 〈Ditto〉(99일 1위)에 의해 걸그룹 2위가 됐다.[264]Gee〉. 8주 연속 1위. 2009년~2021년 동안 유지.[265]Gee〉. 8주 연속 1위. 2009년~2023년 동안 유지.[266]Gee〉. 총 8주 1위.[267] 2020년 7월 6일 멜론 차트 개편 전까지 '무려 12년간 깨지지 않던' 걸그룹 최고 기록이었다. 2021년 브레이브걸스의 〈롤린〉이 동일한 기록을 달성하면서부턴 브레이브걸스와 유이한 기록. 이후 2023년 2월 NewJeans의 〈Ditto〉(13주 1위)에 의해 해당 기록은 깨졌다.[268] 원더걸스, 소녀시대, 미쓰에이, 티아라, TWICE, IVE, NewJeans.[269]Gee〉.[270] 〈Gee〉 8주, 〈소원을 말해봐〉 1주, 〈Oh!〉 2주, 〈Run Devil Run〉 1주, 〈훗〉 1주, 〈The Boys〉 1주, 〈I GOT A BOY〉 1주.[271] 아이유, BIGBANG, 원더걸스, 2NE1, 씨스타, 방탄소년단, TWICE, 다비치, 싸이에 이은 10위 기록. 걸그룹으로서는 6위의 기록.[272] 가온 차트는 2010년대부터 출범했기 때문에 2007~2009년 곡이 빠진 기록이다.[273] 아이유, 방탄소년단, BIGBANG, TWICE, 싸이, 씨스타, 악동뮤지션, 태연, 2NE1, 지코에 이은 11위 기록. 걸그룹으로서는 4위에 해당하는 기록.[274] 2010년 〈Oh!〉가 5위, 〈〉이 10위를 차지했다.[275]Gee〉.[276] 2020년 7월 6일 멜론 차트 개편 전까지 최고 기록이다. 현재는 aespa가 〈Next Level〉로 4개월 연속 TOP 3를 기록하며 타이 기록이 깨졌다.[277]Gee〉부터 〈PARTY〉까지 리패키지 앨범 타이틀 곡을 모두 포함하여 달성한 기록이다. (일본 싱글 9집 〈Catch Me If You Can〉은 제외.)[278]Gee〉부터 〈I GOT A BOY〉까지 리패키지 앨범 타이틀 곡을 모두 포함하여 달성한 기록이다. (일본 싱글 9집 〈Catch Me If You Can〉은 제외.)[279]Oh!〉부터 〈PARTY〉까지 디지털 싱글을 제외한 모든 타이틀곡이 주간 1위를 하였다.[280]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281]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282] 2009년 1월 〈Gee〉, 2012년 5월 〈Twinkle〉, 2022년 3월 〈INVU〉(태연)로 달성.[283] 2022년 〈FOREVER 1〉이 아이튠즈 차트 '31개국 1위'를 달성하며 커리어 하이를 경신하였다.[284] 2세대 아이돌 그룹 중에선 2등에 해당하는 기록. 1등에 해당하는 최고 기록은 BIGBANG의 33개국 1위.[285] 2007~2015년. 순위는 높은 것부터 '1위, 6위, 12위, 16위, 21위, 22위, 29위, 35위, 45위, 55위, 56위, 60위, 73위, 75위, 90위'로 '총 15곡' 차트인.[286] 솔로 곡 및 프로젝트 곡 등까지 포함시키면 그 수는 더 많아진다.[287] 2007~2015년, 2022년.[288] 2022년 〈FOREVER 1〉 멜론 연간 종합 차트 82위, 멜론 연간 국내 차트 76위.[289] 목록은 다음과 같다. 2007년: 〈다시 만난 세계〉 73위 / 2008년: 〈만약에〉(태연) 16위, 〈Kissing you〉 29위, 〈들리나요〉(태연) 45위, 〈Baby Baby〉 90위 / 2009년:〈Gee〉 1위, 〈소원을 말해봐〉 16위, 〈Chocolate Love〉 60위 , 〈냉면〉(前 멤버 제시카) 74위 / 2010년: 〈Oh!〉 6위, 〈Run Devil Run〉 22위, 〈훗〉 35위 / 2011년: 〈The Boys〉 21위 / 2012년: 〈Twinkle〉(태티서) 12위 / 2013년: 〈I GOT A BOY〉45위, 〈그리고 하나〉(태연) 66위 / 2014년: 〈Mr.Mr〉 56위 / 2015년: 〈I〉(태연) 34위, 〈Lion heart〉 55위, 〈PARTY〉 75위 / 2016년: 〈잊어버리지 마〉(피쳐링,태연) 12위, 〈Rain〉(태연) 28위, 〈Shut up〉(티파니) 75위, 〈I〉(태연) 81위 / 2017년: 〈Fine〉(태연) 52위 / 2018년: 〈Lonely〉(피쳐링,태연) 93위/ 2019년: 〈사계〉(태연) 8위, 〈그대라는 시〉(태연) 34위 / 2020년: 〈사계〉(태연) 94위, 〈그대라는 시〉(태연) 96위 / 2021년: 〈Weekend〉(태연) 35위/ 2022년: 〈INVU〉(태연) 12위 /〈Weekend〉(태연) 34위 /〈Step back〉(갓 더 비트) 52위/〈FOREVER 1〉 82위[290] 태연 솔로 활동의 대성공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291] 그룹 곡으로만 '총 16곡' 차트인.[292] 솔로 곡 및 프로젝트 곡 등까지 포함시키면 그 수는 더 많아진다.[293] 2023년 4월 16일 기준. 태연 솔로는 제외한 기록이다.[294] 태연 솔로는 제외한 기록이다.[295] EXO, 슈퍼주니어와 함께 역대 최장기간.[296] 역대 최장기간.[297] 걸그룹 유일 1위.[298] 2년 연속, 2010년대 종합 1위.[299] 3년 연속.[300] 4년 연속[301] 5년 연속.[302] 6년 연속 걸그룹 최다 1위.[303] TWICE 5회(16,17,18,19,21).[304] 활동했던 모든 완전체 앨범이 TOP 10 안에 들었다.[305] 2위는 TWICE의 3회 진입.[306] 정규 2집 2위, 미니 3집 3위, 정규 2집 리패키지 4위[307] 2010~2017년, 2022년.[308]Oh!》.[309] 빌보드 메인 차트 중 하나다. 또 다른 메인 차트는 ‘빌보드 Hot 100’.[310] 완전체 그룹(2014년 《Mr.Mr.》)으로서도, 유닛(소녀시대-태티서) 그룹(2012년 《Twinkle》)으로서도 '모두 최초'다.[311]GIRLS' GENERATION》.[312]The Boys》.[313] 2012년 Twinkle[314]I GOT A BOY》.[315] 그 외에도 《Lion Heart》, 《Holiday Night》이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316]The Boys》.[317]GIRLS' GENERATION》. 약 872,401장.[318]The Boys》.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총 3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319] 2010년에 발매한 《Oh!》도 2개월 연속 1위(2010년 1월~2010년 2월)을 차지하면서 동시에 최장기간 1, 2위에 이름을 올렸다.[320]The Boys》. 총 4주 1위(2011년 44, 45, 46, 51주차 1위)로, EXO, 슈퍼주니어와 타이 기록이다.[321] 2021년까지 기준, 소녀시대로 10개월, 유닛 포함 11개월, 솔로 포함 13개월 1위.[322] 전체 가수 중에서는 4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며, TOP 10 안에 든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323] 2021년까지 기준, 소녀시대로 21주, 유닛 포함 22주, 솔로 포함 26주 1위. (전 멤버 제시카 포함 시 28주 1위.)[324] 전체 가수 중에서는 EXO(32주)에 이은 2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325]GIRLS' GENERATION》.[326] 전체 가수로서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각각 '2위(3, 4위), 1위, 8위, 2위, 5위, 13위'를 기록하였다.[327] 일본 싱글 1집 《GENIE》.[328] 오리콘 위클리 싱글 차트 4위 차지. 초동 판매량은 총 45,000여 장을 기록했으며, 이후 2위까지 순위가 상승했다.[329] ‘오리콘 위클리 차트 2위’의 기록은 1980년 12월 영국 5인조 여성 그룹 놀란스가 〈Wanted〉로 2위를 기록한 이래 약 '30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이로써 당시 해외 여성 가수 중 오리콘 위클리 차트 최고 순위 기록(놀란스와 동일 기록)을 갖게 되었다.[330] 일본 싱글 1집 《GENIE》.[331] 일본 싱글 2집 《Gee》.[332] 일본 싱글 2집 《Gee》.[333] 위클리 싱글 차트에서 최고 2위를 차지한 싱글 1집 《GENIE)》의 기록을 스스로 경신했음은 물론, 해외 여성 그룹 사상 오리콘 위클리 싱글 차트 '최고 순위 등극'이라는 기록을 썼다.[334]The Boys》.[335] 총 4년 진입. 2010년에 발매된 《Oh!》가 연간 2위, 《》이 연간 3위, 《Run Devil Run》이 연간 4위, 2011년에 발매된 《The Boys》가 연간 1위, 2013년에 발매된 《I GOT A BOY》가 연간 2위, 2014년에 발매된 《Mr.Mr.》가 연간 5위를 기록했다.[336] 정규 7집 《FOREVER 1》이 단 2주채 되지 않은 예약 기간으로 약 '18만 5600장'의 초동 판매량을 올렸다.[337] 종전 최고 기록은 정규 6집의 약 9만 장으로, 더블 스코어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338] 보통 3세대 이후 아이돌 앨범 예약 판매 기간은 1달에서 2달 정도의 장기간인 반면, 소녀시대의 예약 판매 기간은 불과 2주밖에 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8만 장을 돌파했다는 것은 2세대 걸그룹으로서 엄청난 수치의 기록이다.[339] 2011, 2012, 2014년에 1위를 달성하였고 이는 걸그룹 역대 최다 기록이다.[340] 2009~2014년. 걸그룹 역대 최장기간.[341] 2009년, 2010년에 1위를 차지한 스포츠 선수 김연아에 이어 2011년에 대한민국 연예인 및 가수 최초로 1위를 차지했다.[342] 10년 연속으로 갤럽 TOP 5 안에 든 사람은 소녀시대 외에 오직 김연아유재석뿐이다.[343] '2007~2019 기간 동안, 대한민국 가수들 중 최다 1위이자 유일무이한 3년 연속 1위'의 기록이기도 하다. 2020년부터는 ‘30대 이하’와 ‘40대 이상’ 두 부문으로 나뉘어 기록하는 방식으로 달라지면서, 각 순위를 1년에 총 2명씩 배출하게 되는 시스템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탄소년단이 ‘연속 4번(2019~2022) 1위’(2020~2022년에는 ‘30대 이하’ 부문에서만 1위.)라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지만, '여전히 여자 가수 내에서는 소녀시대의 기록이 유일무이한 최고 기록'이다.[344] 이는 비단 걸그룹 내에서 뿐만 아니라 '역대 대한민국 여자 가수 역사상 최다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345] 여자 가수 중 ‘2년 연속 1위’라는 기록을 보유한 가수로는 원더걸스(2007~2008)가 있다. 아이유는 연속은 아니지만 2014년, 2017년 총 2번의 1위를 기록했다.[346] 2007~2019년 조사 기록에서도, 1위 득표율(2009년부터 2011년까지 각각 29.8%, 31.5%, 26.1%) 또한 모든 가수들 중 소녀시대가 압도적이다. 1위 득표율 29%를 넘은 가수는 소녀시대가 유일하다.[347] 본래 2007~2019년 기간에는 각 순위 당 ‘1년에 딱 1명(혹은 그룹)’만을 뽑아 올해의 가수로 선정하였는데, 2020년부터는 ‘30대 이하’와 ‘40대 이상’ 두 부문으로 나누어 뽑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에 따라 2020년부터는 각 순위 당 1년에 2명씩 선정되었고, 기록 방식이 바뀐 후의 기록까지 합치면, 방탄소년단(2019년 1위 / 2020년, 2021년, 2022년 ‘30대 이하’ 부문에서만 1위) 다음으로 2등에 해당하는 기록이다.[348]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총합 5년' 진입. 〈소녀시대〉(2007년 3위), 〈Gee〉(2009년 1위), 〈소원을 말해봐〉(2009년 2위), 〈〉(2010년 1위), 〈Oh!〉(2010년 2위), 〈The Boys〉(2011년 3위), 소녀시대-태티서의 〈Twinkle〉(2012년 4위).[349] 2위로는 총합 3년(2007, 2008, 2015) 진입한 BIGBANG.[350] 2007-2019 동안 ‘총 7곡’ 진입. 이는 남녀 솔로 및 그룹 가수를 통틀어서도 공동으로(아이유 7곡 진입) 최다 진입에 해당하는 기록이다.[351] 본래 2007-2019 기간에는 각 순위에 해당하는 곡을 ‘1년에 딱 1곡씩’만을 뽑아 올해의 가요로 선정하였는데, 2020년부터는 ‘30대 이하’와 ‘40대 이상’ 두 부문으로 나누어 뽑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2020년부터는 각 순위 당 1년에 2곡씩 선정하게 되었다. 따라서 ‘1년에 딱 1곡씩만 뽑아 최다 횟수 진입’이라는 이 기록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의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아이유와 공동 1등.)[352] K-POP 아이돌 중 2위는 ‘총 6곡’을 진입시킨 방탄소년단이다. (단, 기록 방식이 바뀌기 이전(2007-2019) 3곡 + 바뀐 후(2020~ 3곡.)[353] 2009년에 〈Gee〉와 〈소원을 말해봐〉로, 2010년에 〈〉과 〈Oh!〉로 올해의 가요 1, 2위를 줄줄이 차지했다.[354] 2010~2012년, 2014~2016년.[355] 해당 설문 조사는 필리핀, 베트남, 싱가포르, 미국 등 60여 개국 3000여 명의 해외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다.[356] 2위는 보아.[357] 특히 2011년과 2012년에는 1위를 기록했는데, 아이돌이 1위를 기록한 것은 1999년 H.O.T. 이후 두 번째 기록이다.[358] 2등에 해당하는 기록은 H.O.T.방탄소년단의 1년 1위.[359] '아이돌 중 유일하게 TOP 10에 선정.'[360] 참고로 해당 조사는 문화일보에서 가요계 20년 역사를 기준으로 설문한 결과인 만큼 폭넓은 세대의 가수들이 순위권에 올랐다. 특히 1위가 ‘가왕’이라고 불리는 조용필이었으며, 당시의 소녀시대가 5년 차 걸그룹이었음을 감안하면 더욱 대단한 결과여서 '이례적이다.’라는 평을 받았다.[361] 미국 음악 사이트 팝더스트에서 진행한 투표로서 총 3라운드로 진행되었고, 최종적으로 799만 7712표를 얻으며 682만 7641표의 피프스 하모니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티파니가 ‘Girls & Peace’ 월드 투어 기자회견에서 “굉장히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된 투표로 알고 있다. 너무 영광스럽다. 전 세계에 있는 소녀시대 팬들에게 감사하다. 앞으로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세계 많은 팬들에게 한국의 걸그룹에 대해서 알리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감사함을 표현하기도 했다.[362]Gee》.[363] '아이돌 곡 중 유일하게 선정'되었다.[364] 대중음악 전문가들 및 10~50대 이상의 남녀 대중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365] 무려 '55.7%'란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었다. 참고로 2위는 18.7%의 핑클, 3위는 17.8%의 S.E.S., 그 이하 순위는 차례대로 원더걸스, 보아, 아이유, 2NE1, TWICE, 씨스타, 여자친구, Apink, AOA, 카라, 포미닛, f(x)가 차지했다.[366]Gee》.[367] 대중음악 전문가들 및 10~50대 이상의 남녀 대중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368] 34.2%의 득표율을 얻어냈다. 참고로 2위는 원더걸스의 《Tell me》, 3위는 아이유의 《좋은 날》, 그 이하 순위는 차례대로 보아의 《No. 1》, 이효리의 《10 minutes》, 핑클의 《영원한 사랑》, S.E.S의 《I'm Your Girl》, TWICE의 《CHEER UP》, 2NE1의 《내가 제일 잘 나가》, EXID의 《위아래》, 여자친구의 《시간을 달려서》, 미쓰에이의 《Bad Girl Good Girl》, 카라의 《미스터》, 티아라의 《롤리폴리》가 차지했다.[369] 리스피아르에서는 해당 연도를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선호도 조사를 실시했는데, 2013년 상반기를 마지막으로 조사가 중단되었다.[370] 2010년 상반기에 '무려 37.5%의 득표율로 1위' 기록. 2등(카라, 18.4%)과는 2배 이상 차이나는 기록이다.[371] 2등에 해당하는 득표율은 36.7%으로, 2008년 하반기에 1위를 한 이효리의 기록이다.[372] 참고로 소녀시대는 무려 총 3번이나 30%가 넘는 득표율을 얻었다. (37.5%, 31.8%, 31.6%) 이는 '최다 횟수 30% 이상의 득표율 기록'이기도 하다.[373] '2009년 상/하반기, 2010년 상/하반기, 2011년 상반기, 2012년 상/하반기, 2013년 상반기에 1위.' 2008년 상반기 2위, 2008년 하반기 3위, 2011년 하반기 2위.[374] 2등에 해당하는 기록은 S.E.S.의 총 4회.[375] 2009년 상반기부터 2011년 상반기까지 5회 연속.[376] 원더걸스 총 4회, 2NE1 총 2회, 카라 총 1회, 씨스타 총 1회가 있다.[377] 연도로 나누면 6년 연속, 상/하반기로 나누면 11회 연속이라는 말이다.[378] 특히 '2010년과 2011년은 1위'를 차지했다.[379] 전체 걸그룹 중에선 4등에 해당하는 순위이며, '2세대 남녀 아이돌 그룹 중에선 유일하게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380] 전체 걸그룹 중에서 2등, 전체 남녀 아이돌 그룹 중에선 3등에 해당하는 순위이며, '2세대 걸그룹 중에선 유일하게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2세대 남녀 아이돌 그룹 중에선 슈퍼주니어와 함께 유이하게 이름을 올렸다.[381] 중국 야후! 차이나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65.04%의 압도적인 투표율로 1위를 차지했다.[382] '걸그룹으로서는 유일'하게 선정되었다.[383] <10대~30대 남자> 부문 '전체 4위', <10대~30대 여자> 부문 '전체 3위', <40~60대 남자> 부문 '전체 3위', <40~60대 여자> 부문 '전체 3위'로 총합 3위. '모든 부문에서 2세대 아이돌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고, 순위 또한 상위권'을 차지했다. 성별과 연령층 불문, 네 부문 모두에 이름을 올린 그룹은 '소녀시대, 방탄소년단, BLACKPINK'뿐이다.[384] 걸그룹 16년 차에, 이미 아이돌 판이 4세대까지 교체가 되고, 심지어 소녀시대 완전체 활동으로는 무려 5년 동안 공백기였음에도 불구하고(2022년 8월 소녀시대 컴백 두 달 전 조사 결과이다.) 3, 4세대 아이돌들 사이에서 '2세대 아이돌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림으로써' 다시 한 번 '레전드 그룹'으로서의 소녀시대 위상을 확인시켜 주었다.[385] 각각 2017년 8월 걸그룹 브랜드 평판 2위에 해당하는 지수, 2018년 8월 걸그룹 브랜드 평판 7위에 해당하는 지수, 2022년 9월 걸그룹 브랜드 평판 3위에 해당하는 지수.[386] 2세대 걸그룹 중 4등에 해당하는 브랜드 평판 지수는 원더걸스의 5,266,285점.[387] 2017년 7월 아이돌 그룹 평판 9위에 해당하는 지수.[388] 2세대 아이돌 그룹 중 2등에 해당하는 브랜드 평판 지수는 SHINee의 3,524,862점, 3등에 해당하는 브랜드 평판 지수는 BIGBANG의 3,519,791점.[389] 2016년에도 7, 8월 단 두 달만을 제외하고 모두 1위를 했다.[390] 2009년 2월 16일, 〈Gee〉 뮤직비디오 공개 41일 만에 선정. ‘다이아몬드 트랙’이란 누적 조회 수 500만 건 이상의 뮤직 영상에 수여하는 인증 패 같은 것이다. 오늘날 유튜브의 ‘버튼’과도 비슷한 인증 패.[391] 2012년 당시 〈Gee〉 MV 조회 수 약 8380만 뷰.[392] 이후 전 세계적으로 히트 친 싸이의 〈강남스타일〉 MV에 의해 이 기록은 깨지게 되었다.[393] 대한민국 가수 최초로 1억 뷰 돌파를 이룰 가능성이 컸지만, 2009년 5월 〈Gee〉의 뮤직비디오 영상이 '저작권 허위 신고로 인해 삭제되어 복구되는 바람에 누적 조회 수가 다 날아갔던 일'과 더불어 2012년 전 세계적으로 '말춤' 열풍을 일으킨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 영상의 가파른 상승세로 인해 그 기록은 이룰 수 없게 되었다.[394] 소녀시대-Oh!GG의 《몰랐니》.[395]Gee》. 2018년 2월 5일 달성.[396]Gee》. 2022년 10월 23일 달성. 업로드된 지 13년 4개월 15일 만'에 달성.[397]I GOT A BOY》 뮤직비디오, 《Dancing Queen》 뮤직비디오 순으로 기록했다.[398] K-POP 뮤직비디오뿐만이 아닌, 전세계에서의 다양한 영상과 견주어 1, 2위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재까지도 아이돌 중 유일무이한 기록 중 하나.[399]The Boys》.[400]I GOT A BOY》.[401] 참고로 소녀시대가 수상한 올해의 뮤직비디오상은 ‘유튜브 뮤직 어워드’의 '대상격'이다. 자세한 사항은 I GOT A BOY 문서 참고.[402]Oh!》 뮤직비디오, 《Run Devil Run》 뮤직비디오, 《》 뮤직비디오, 《Oh!》 댄스 버전 영상 순으로 기록했다.[403]I GOT A BOY》 뮤직비디오, 《Dancing Queen》 뮤직비디오, 《GALAXY SUERNOVA》 뮤직비디오 순으로 기록했다.[404] 이는 '여성 가수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참고로 1위는 싸이의 《GENTLEMAN》 뮤직비디오.[405]Mr.Mr.》.[406] 'K-POP 걸그룹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참고로 2014년 상반기 순위는 2위.[407] TWICE(2016~2019년 1위)와 공동 최장기간 1위 기록.[408] '2세대 걸그룹 중 유일하게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409] '2세대 걸그룹 중 유일하게 순위권'에 이름을 올렸다.[410] 15주년 기념 컴백 곡 〈FOREVER 1〉.[411] 유닛 소녀시대-태티서의 〈Twinkle〉이 포함된 수치이며, 방탄소년단, 2NE1, 씨스타와 함께 '총 4곡'을 올리며 공동으로 최다 곡을 올렸다.[412] 과거 더 쇼쇼챔피언이 존재하지 않았고, 쇼! 음악중심은 순위제 폐지 기간에, 엠 카운트다운은 SM과의 불화로 1위 후보는 고사하고 무대 자체에 오르지 못 했던 것을 생각하면 더 엄청난 기록. '뮤직뱅크SBS 인기가요 단 2개의 음악방송만으로 대부분의 트로피를 달성했다고 봐도 무방하다.'[413] 현재까지 유닛 그룹인 소녀시대-태티서, 솔로로 활동하며 수상한 음악방송 트로피까지 합치면 '총 153관왕'에 달한다. #[414] 2022년 기준, 소녀시대 100회, 태연 30회, 태티서 17회, 갓더비트 3회, 티파니 2회, 서현 1회로 153관왕을 차지하고 있다. 모든 아이돌을 포함해도 빅뱅과 방탄소년단에 이은 3위의 기록이며, 2009, 2010년 때 뮤직뱅크와 인기가요로만 쌓은 기록인 걸 감안하면 엄청난 기록이다.[415] 전체 가수로 따지면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10주 연속 및 통산 16주 1위를 하며 유일하게 이 기록을 넘어섰다.[416] 현재는 뮤직뱅크가 상반기,연말 결산은 폐지함에 따라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다.[417]Gee》가 9주 연속 1위(상반기와 연말 결산으로 11주), 《The Boys》가 6주 연속 1위, 《Oh!》와 《》이 5주 연속 1위(《Oh!》는 상반기와 연말 결산으로 7주) 수상.[418] 42회(《Kissing you》 1회, 《Gee》 11회, 《소원을 말해봐》 1회, 《Oh!》 7회, 《Run Devil Run》 2회, 《훗》 5회, 《The Boys》 6회, 《I GOT A BOY》 3회, 《Mr.Mr》 1회, 《PARTY》 1회, 《Lion heart》 4회)로 2위인 TWICE(28회)보다 14회나 더 받았다.[419] 모든 가수 통틀어서도 방탄소년단에 이은 2위의 기록이며, 전신인 가요톱10 을 포함해도 조용필방탄소년단에 이은 3위의 기록이다.[420] Gee, Oh!, 훗, The Boys, I GOT A BOY, Lion heart.[421] 역사상 유일한 기록이며, 9년 차임에 더 대단한 기록이다.[422] '데뷔곡을 포함한다면 걸그룹 최고 기록'이고, 단순 연속 수상 기록만 따진다면 TWICE가 15곡 연속 1위 수상으로 최고 기록이다.[423] 현재는 Red Velvet도 'Birthday'로 1위를 달성하여 15곡 연속 타이를 이루었다.[424] 2012년 '《Twinkle》이 12관왕'을 수상했고, 2위는 씨스타19의 《있다 없으니까》가 11관왕을 수상했다.[425] 소녀시대-태티서가 '총 17관왕'을 수상했고, 이것은 '남녀 유닛 그룹 통틀어서도 최고 기록'이다.[426] 현재는 6곡[427]Gee》로 '뮤직뱅크 11주 1위'를 수상했다.[428] 2009년 7월 18일 《소원을 말해봐》 무대. # 순간 시청률 '17.2%'로, 무려 '약 860만 명'이 시청했다고 한다.[429] 2009년 7월 18일 쇼! 음악중심 《소원을 말해봐》 무대. '17.2%'.[430] 전체 가수를 놓고 봐도 간소한 차이로 2등에 해당하는 순위이다. 1등은 인기가요에서 17.35%를 기록한 G-DRAGON 무대. #[431]Mr.Mr.》, 10,974점.[432] TOP 10 이내의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433]Oh!》, 23,077점, 음반 점수 14,318점.[434] TOP 10 이내의 걸그룹은 '소녀시대가 유일'하다.[435]I GOT A BOY》와 《Mr.Mr.》로 '총 2회 만점'을 달성했다.[436] 현재는 11,000점 체제로 바뀌어 역대 최고 점수 기록은 깨졌다.[437] 1위는 TWICE의 75회이지만, 과거 더 쇼쇼챔피언이 없었던 시절과, 쇼! 음악중심이 순위제를 폐지한 기간, 그리고 SM과 엠 카운트다운과의 불화를 생각한다면 소녀시대의 74회 1위의 가치가 돋보인다. 사실상 소녀시대는 뮤직뱅크SBS 인기가요 '단 두 개의 음악 방송만으로' 대부분의 1위 기록을 만들어 낸 거나 다름없다.[438] 음악 방송 1위 횟수에서는 제외되지만, 엄청난 팬덤 화력을 볼 수 있다.[439] 파일:소녀시대 2009년 상반기 Gee 방영횟수.jpg[440] 아이돌로서는 방탄소년단과 유이한 기록이다.[441] 2010년 KBS 가요대축제에서 오직 시청자 투표로만 선정해서 최고의 가수 한 팀에게만 주어지는 대상인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가요상을 수상하며, 지상파 가요 시상식에서 마지막으로 대상을 수상한 걸그룹으로 남게 되었다. #[442] 메이저 시상식: SBS, MBC, KBS, 골든디스크, 서울가요대상, MMA, MAMA, 한국대중음악상.[443] 역대 걸그룹 최다 대상 수상은 TWICE이지만, 메이저 시상식 대상은 5회에 불과하며, 이 분야 2위는 2NE1의 6회이다.[444] 2위는 BIGBANG의 10개이며, 전체 아이돌 그룹을 통틀어서도 방탄소년단EXO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수상을 하였다.[445] 2위는 아이유의 10개.[446]Gee》.[447] 걸그룹으로서는 aespa와, 2세대 아이돌로서는 BIGBANG과 유이한 기록이다.[448]Oh!》.[449] 2009년과 2011년에 음원 대상을, 2010년에 음반 대상을 수상하며 총 3관왕을 기록했다.[450] 서울가요대상에서 공동이 아닌 단독으로 2년 연속 수상한 가수는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 소녀시대가 처음이다.[451] 2009년과 2010년에 대상을 수상하며 총 2관왕을 기록했다.[452] 2009년에 올해의 베스트송상을, 2009년과 2010년에 올해의 아티스트상을, 2011년의 올해의 K-POP 아티스트상을 수상하며 총 4관왕을 기록했다.[453] 걸그룹으로서는 핑클과, 2세대 이후 아이돌로서는 BIGBANG과 유이한 기록이다.[454] 첫 번째는 핑클, 두 번째는 S.E.S..[455] '양일 모두 전석 매진.'[456] 2011년 2회 '(양일 모두 전석 매진)', 2013년 2회 '(양일 모두 전석 매진)', 2015년 2회.[457] '2011, 2013년 모두 양일 전석 매진.'[458] 참고로 최초 1회 전석 매진은 S.E.S.[459] 3년 모두 양일간 개최.[460] 2013년에 개최한 ‘Girls & Peace’ 아레나 투어. 누적 관객 수 총 278,000명을 기록했다.[461] 간혹 몇몇 커뮤니티에서 ‘TWICE의 ‘#Dreamday’ 돔 투어가 최다 관객 동원 기록을 경신했다’는 의견이 나오지만, 소녀시대의 ‘Girls & Peace’ 아레나 투어 누적 관객 수는 총 278,000명, TWICE의 ‘#Dreamday’ 돔 투어 누적 관객 수는 총 215,500명으로, 콘서트 규모와는 별개로 '소녀시대가 일본 단일 투어 최다 관객 동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462] 4위는 ‘Love & Peace’ 일본 투어이며, 6위는‘Phantasia’ 아시아 투어, 7위는 ‘Girls & Peace’ 일본 투어, 8위는 첫 일본 아레나 투어, 9위는 ‘Girls & Peace’ 월드 투어다.[463] '한국 및 아시아 걸그룹 중 유일한 TOP 10 기록.'[464] 2013년, 2014년 공식 무대로서의 2회 엔딩을 각각 《I GOT A BOY》 와 《Mr.Mr.》으로 장식했고, 2019년에 《다시 만난 세계》가, 2022년에 《PARTY》가 엔딩 곡으로 등장하면서 소녀시대 곡으로 엔딩만 4회 장식을 하였다.[465] 일본 아티스트 중 종합 7위. 총 매출 43억 3200만엔, 한화 기준 약 550억원을 기록했다.[466] '전석 매진'에 추가로 ''시한 제한석까지' 풀었고, '이 또한 전석 매진'되었다.[467] 2017년 5월 11일까지 기준으로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총 13회의 상을 수상한 경력이 '최다 수상 항목으로 등재'되었다.[468] 자료 아카이브[469]Oh!〉 뮤직비디오 티저가 공개되고 나서 '네이버의 서버가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1초 만에 네이버 뮤직 서버 전체가(!!!)" 터졌고, 이 때문에 네이버 포털 서버까지 터져 네이버 자체가 잘 안 들어가지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에 네이버는 긴급 복구 작업을 진행했지만, 접속자 수가 너무 많아 서버를 정상화하는 데에 1시간 가량의 시간이 소요되기도 했다.[470] 이 사건 직후 네이버에서 서버 크기를 대폭 늘렸기 때문에 '불멸의 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471] 1세대 걸그룹 S.E.S.가 2001년 1월호 패션잡지 에꼴(ecole) 표지 모델로 등장한 이후 멤버 전원이 패션지 커버 모델을 장식하는 건 무려 8년 만이다.[472] 해당 기사에는 걸그룹 최초라고 나와 있지만, 먼저 서술된 것처럼 S.E.S.이며 잘못된 정보이다.[473] 해피머니 문화상품권으로 발행되었다.[474] 소녀시대 이후로 신화BIGBANG의 우표가 발행되었다.[475] 참고로 2011년은 AKB48에 이어 여성 인물 부문 2위, 전체 3위를 차지했다. 2012년에도 여성 인물 부문 4위, 전체 5위를 차지하며 건재한 인기를 증명했다.[476] MTV에서는 소녀시대를 선정하면서 "세계에 소녀시대와 같은 걸그룹은 현재까지도 나오지 않았다."라고 평가했다.[477] 소녀시대, BLACKPINK, 스파이스 걸스, Destiny's Child, TLC, 푸시캣 돌스, 피프스 하모니까지, 총 일곱 그룹이 선정되었다.[478] K-POP 아이돌 중 5위.[479]I GOT A BOY〉.[480] '아시아 가수 중 유일하게 선정'되었다.[481]Mr.Mr.〉.[482] '아시아 가수 중 유일하게 선정'되었다.[483]Gee〉.[484] '국내 가수 중 유일하게 선정'되었다.[485]Gee》.[486]I GOT A BOY〉.[487] 'K-POP 걸그룹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488]Gee》.[489] 싸이, 방탄소년단과 더불어 선정되었으며, 'K-POP 걸그룹으로서는 유일한 기록'이다.[490]I GOT A BOY〉.[491] 싸이, 방탄소년단과 더불어 선정되었으며, 'K-POP 걸그룹으로서는 유일한 기록'이다.[492] 5위, 〈Gee〉.[493] f(x)와 타이 기록. 총 3곡을 랭크하며 공동 3위.[494] 1위는 총 5곡을 랭크한 방탄소년단, 2위는 총 4곡을 랭크한 샤이니, 공동 3위는 총 3곡을 랭크한 소녀시대, 아이유, f(x), 서태지와 아이들.[495] SMTOWN 음원 제외 / 그룹, 유닛, 솔로 발매 앨범 및 곡 좋아요 합산 수.[496] 소녀시대가 데뷔할 당시인 2007년에는 스마트폰 시대가 아니었다. 즉 지금과 같은 스트리밍 문화가 아니었다는 것. 멜론의 좋아요 기능 또한 2010년대 초반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려 919만 이상의 좋아요 수를 돌파했다는 것은 '2세대 걸그룹으로서 최고의 기록'이자 2세대 아이돌로서도 엄청난 수치의 기록이다. 이대로만 간다면, 하트 수 1,000만도 문제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497] 2세대 걸그룹 중 최다 팬 수. 원래 10만 넘는 팬 수를 지녔으나 멜론 측에서 옛날 아이디들을 다 정리하는 바람에 현재는 9만 5천 정도로 줄었다. 2022년 11월 11일 기준, 소녀시대 멜론 팬 수 95,082명이다. 참고로 2위는 f(x)(64,072명), 3위는 2NE1(52,859명).[498] 2022년 11월 11일 기준, '총 4곡.' 〈다시 만난 세계〉(97,432개), 〈PARTY〉(92,576개), 〈Lion Heart〉(91,693개), 〈FOREVER 1〉(101,188개).[499] 참고로 2세대 당시엔 스트리밍 시대가 아니라 당시 모든 아이돌 그룹의 히트곡들(2000년대의 히트곡) 중 10만 하트를 넘는 것이 단 두 곡 뿐이다. 음원 최강자 빅뱅마저도 2000년대 히트곡은 가장 많은 하트 수가 10만 초. 특히 걸그룹 노래 중에선 5만 하트조차 넘는 곡이 거의 없다. 그런 와중에 제일 높은 하트 수의 걸그룹 곡이 바로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다. (남녀 아이돌 그룹 다 합쳐도 1위. 2위는 빅뱅의 〈하루 하루〉(104193개).) 참고로 걸그룹 곡 중 2위는 2NE1의 〈I Don't Care〉(67,677개), 3위는 소녀시대의 〈Gee〉(45,106개).[500]다시 만난 세계〉. 2023년 3월 7일 기준 달성.[501] 다른 한 곡은 BIGBANG하루하루.[502] 차례대로 8월 3주차에 타이틀 곡 〈FOREVER 1〉 '5위', 12월 1주차에 수록곡 〈Lucky Like That〉 '6위', 9월 1주차에 타이틀 곡 〈FOREVER 1〉 '17위'(재랭크).[503] 공동 3등에 해당하는 또 다른 곡은 BIGBANG의 〈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17위)이다.[504] 아이돌 가수 중 방탄소년단과 유이하게 선정되었다.[505] 롤링스톤은 〈Gee〉에 대해 "설명하기 어려운 사랑에 대한 황홀함이 대중음악을 통해 어떻게 번역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극찬했다.[506] 롤링스톤은 〈다시 만난 세계〉에 대해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초반, K팝이 글로벌한 인기를 끌던 중요한 시기에 걸그룹 서사의 문을 열었다"고 호평했다.[507] 남녀 그룹 포함 2004년~2011년 데뷔.[508] 2007년~2011년 데뷔.[무활동] [510] 2, 3, 5, 6월은 자료 없음.[511] 1위 에이핑크[512] 1위 원더걸스, 2위 씨스타, 3위 에이핑크[513] 1위 원더걸스, 2위 걸스데이, 3위 에이핑크, 4위 레인보우, 5위 나인뮤지스[514] 1위 에이핑크, 2위 티아라[515] 1위 에이핑크, 2위 티아라[516] 1위 에이핑크, 2위 레인보우, 3위 티아라[무활동] [518] 1위 에이핑크[무활동] [520] 1위 에이핑크[무활동] [522] 1위 티아라[무활동] [524] 1위 에이핑크, 2위레인보우[무활동] [526] 1위 SHINee[무활동] [528] 1위 에이핑크[무활동] [530] 1위 에이핑크, 2위 티아라, 3위 나인뮤지스, 4위 스텔라[활동] [무활동] [무활동] [534] 1위 에이핑크, 2위 티아라, 3위 레인보우[무활동] [536] 1위 에이핑크, 2위 레인보우, 3위 스텔라, 4위 티아라, 5위 걸스데이[무활동] [538] 1위 슈퍼주니어, 2위 SHINee, 3위 BIGBANG[539] 1위 EXID, 2위 에이핑크, 3위 티아라, 4위 걸스데이, 5위 레인보우[무활동] [541] 1위 에이핑크[542] 1위 BIGBANG[543] 1위 에이핑크[544] 1위 SHINee[545] 1위 에이핑크[546] 1위 에이핑크[무활동] [548] 1위 에이핑크[549] 1위 BIGBANG[무활동] [551] 1위 에이핑크[552] 1위 에이핑크[553] 1위 에이핑크[554] 1위 SHINee, 2위 슈퍼주니어, 3위 하이라이트, 4위 BIGBANG[555] 1위 에이핑크, 2위 걸스데이[556] 1위 에이핑크[557] 1위 SHINee, 2위 슈퍼주니어[558] 1위 슈퍼주니어[무활동] [560] 1위 SHINee[561] 1위 SHINee, 2위 2PM[562] 1위 하이라이트[563] 1위 에이핑크[564] 1위 하이라이트[565] 1위 에이핑크[무활동] [무활동] [568] 1위 2PM[569] 1위 에이핑크[무활동] [571] 1위 에이핑크[무활동] [무활동] [574] 1위 에이핑크[무활동] [무활동] [활동] [무활동] [무활동] [무활동] [무활동] [무활동] [583] 1위 틴탑, 2위 SHINee[584] 1위 에이핑크[585] 1위 인피니트, 2위 SHINee[586] 2012년 12월 21일 선공개.[587] 2015년 7월 7일 선공개.[588] 소녀시대 전원이 위촉되었으나 행사에는 태연, 써니, 티파니만 참석하였다.[589] 일본판[590] 한국판, 중국판[리마스터] 2022년 6월 1일, 리마스터 SM 프로젝트 중 하나인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로 인해 리마스터링되었다. 하지만 SM과 youtube 합동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조회 수 기록은 그대로 유지된다.[리마스터] [593] 2005년에 대상을 시상하고 3년간 시상을 하지 않았다가 2009년 ~ 2011년, 2013년에 시상을 하였다. 이때는 시청자들의 인기투표로 대상 수상자를 결정하였다.[594] 2008년까지는 온라인 시상식으로 개최되었다.[595] 최초 시상이다.[596] 2020년 1월 6일, 본인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중국어 회화 자격증을 취득했음을 밝히기도 했다.[597] 효연도 데뷔 전부터 중국 유학을 다녀온 전적이 있어 중국어가 꽤 유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현지에서 실력을 드러낸 적은 거의 없으며, 주로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가끔 개인기 등으로 선보인다.[598] 같은 소속사인 엑소도 중국인 4명이 모두 탈퇴함에 따라 한국인 전원 8명이 활동한다.[599] 티파니는 미국 진출을 하며 Paradigm Talent Agency와 계약했었으나 한국에서 활동할 때는 소속사 없이 활동을 이어나갔다. 이후 2022년 12월 26일, 써브라임과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현은 나무엑터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수영은 2017년 11월에 에코 글로벌 그룹으로 옮겼다가 2019년 5월에 사람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600] 윤아 태연 효연 유리[601] 서현, 수영(소녀시대), 티파니.[602] 써니[603] Taeyeon, Sunny, Tiffany, Yuri, Hyoyeon, Sooyoung, Yoona, Seohyun.[604] 밀크, 신비,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이삭 N 지연 등.[605] 특히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이수만이 정말 아끼던 엘리트 연습생들로 구성된 그룹이라 굉장히 아쉬워했다고 한다.[606] 마이클 잭슨은 〈Smooth Criminal〉, 〈Dangerous〉 등의 단체 안무를 제외하면 노래에 맞춰서 자기 마음대로 춤을 추는 경향이 매우 강했기 때문에 특별히 지도를 받지 않았다.[607] 그래서인지 그때의 연습생들이 다른 곳에서 데뷔할 때 ‘소녀시대 연습생’, ‘소녀시대가 될 뻔한’ 등으로 언플하기도 했다.[608] 첫 데뷔 멤버 9명 + (이연희, 서현진, 고아라, 장리인, 스텔라, 홍보라, 배석빈, 김예진, 이환희, 장하진, 박소연, 허찬미)로 추정.[609] 물론 상업적 활동을 하는 것은 아니고, 소녀시대 팬질의 일환으로 하는 공연이었다고 하니 짝퉁이란 식으로 오해하지 말자.[610]SBS NEWS》에 방영되기도 했다.[611] 원래 그리스 국기는 왼쪽 위 십자를 제외하면 파란색 다섯 줄과 흰색 네 줄, 총 아홉 줄이다.[612] 참고로 해당 영상은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전에 제작된 작품이다.[613] 영상 설정은 소녀들이 스크린 속에서 생활하다가 실행되면 컴퓨터의 주인을 기다린다는 것이다.[614] 올해의 아티스트상, 올해의 트렌드상과 더불어, ‘유튜브 뮤직 어워드’ 3대 대상 중 하나.[615] 어느 저스틴 비버 팬이 시상식장에 나온 티파니를 두고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는 글을 올렸는데, 한 트위터리안이 ‘티파니야말로 한국계 미국인이고 저스틴 비버는 캐나다 사람이니, 돌아가야 할 사람은 비버다.’라는 일침을 놓아 망신을 제대로 시켰다. 또한 아시아인들에게 ‘유튜브는 미국인들만의 사이트가 아니다.’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한 저스틴 비버의 팬이 ‘저스틴은 많은 팬을 가지고 있어.’라고 시비를 걸자, 유튜브에서 직접 트위터를 통해 ‘그래? 그럼 나한테 왜 소녀시대가 상 받았는지 설명해 줄래? Oops, 미안.’, ‘다른 사람 우승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게 웃겨. 우리는 인생에서 두 가지 선택이 있지. 현명해지거나 애새끼가 되거나. 받을 가치가 있어. 고마워 소녀시대 팬들! 처음으로 그리고 아시아에서 상 받은 유일한 아티스트야. 축하해.’라고 받아치는 패기를 보여주었다[616] 그 와중에 YG 공식 트위터는 소녀시대의 영문 철자를 ‘Girl's Generation’으로 적었다. 팬들의 항의를 받고 지금은 삭제한 상태.[617] 자세한 사항은 《Mr.Mr.》 문서 참조.[618] 3840×2160 픽셀[619] CNN은 이전에도 군악대인 모란봉악단의 군복 복장을 ‘소녀시대 밀리터리 룩을 본땄다’는 오보를 낸 적이 있다.[620] 특히 ‘리믹스 버전이 사실 진짜 원곡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의견은 현재 기준으로 거의 정설로 통하고 있다.[621] 리더, 메인보컬 포지션.[622] 사전에 선정한 200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엠넷 인터넷 투표 30% + 갤럽 리서치 전화 투표 70%를 합산해 순위를 매겼다.[623] 1위 윤아(801점), 2위 태연(779점), 3위 티파니 영(706점), 4위 유리(667점), 6위 서현(635점), 8위 수영(608점), 9위 써니(564점), 11위 효연(550점). 참고로 효연은 10위를 한 가수와 1점 차이였다.[624] 이 중 갤럽 리서치 전화 투표에서는 윤아가 700점으로 1위, 태연이 667점으로 2위, 티파니 영이 603점으로 3위, 유리가 570점으로 5위, 서현이 534점으로 6위, 수영이 514점으로 8위, 써니가 468점으로 10위, 효연이 452점으로 13위를 차지했다.[625] 써니의 fm데이트에서 밝혀진 일화에 따르면, 동물병원에 프린스를 맡겼을 때 써니가 수의사에게 전화해 자기도 모르게 "저 프린스 아빠인데요."라고 했다고 한다. 투니 부부 공식 성립[626] 2022년, 2세대 출신 그룹들 중 총 5팀의 컴백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상반기에는 2PM, BIGBANG, 원더걸스선미, 하반기에는 소녀시대, 11월 컴백 그룹인 카라까지의 컴백 라인업이 2022년 한 해에 잡히는 것이 된다.[627] 최연장자: 태연, 써니, 티파니, 효연, 유리 (1989년생) | 최연소자: 서현 (1991년생)[628] 2024년 9월 28일 팬들과의 자리에서 본인이 직접 밝힌 바 있다.[629] 그래서인지 같은 소속사 팬덤 E.L.F.에선 ‘공주님’ 드립을 치며 정치질 대상이 되기도 했다.[630] 당시 음원 차트 2위는 SS501의 〈내 머리가 나빠서〉이다.[631] 당시 장윤정박현빈의 소속사 측에서도 이러한 공정성 문제로 인해 해당 시상식에 불참했다.[632] 누구나 그렇듯 시간이 지나면서 대중성이 최전성기 시절에 비해서는 다소 상대적으로 떨어졌지만, 그래도 대중적 인지도 및 코어 팬들의 지지도는 여전히 매우 높다. 특히나 아이돌에 관심이 없는 중장년층에서의 인지도와 대중성은 가히 독보적.[633] 이 조회 수가 정상적으로 공식 뮤직비디오에 붙었다면 〈Oh!〉뮤직비디오는 추이상 조회 수 1억 뷰 돌파를 2년 앞당길 수 있었기 때문에 S♡NE들은 더 혈압이 터지는 상황.[634] 한 번 했는데, 아시아만 돌았다.[635] 이후 5년 만에 발매된 정규 7집 프로모션 또한 초반부터 음원/음반 동시 출시에서 음원을 5일 발매, 음반을 8일 발매하는 것으로 바꿔서 티저 이미지가 음원이 공개된 이후에 공개되는 듣도 보도 못한 이상한 프로모션이 되어 팬들의 원성을 살 뻔했다. 다행히 음원을 5일 공개한다는 사실이 홍보가 잘 되어 음원 성적에 큰 영향은 없었고, 이외의 프로모션과 방송 출연은 문제 없이 잘 진행되어 5년 전과는 다르게 큰일 없이 잘 넘어갔다.[636] 탱구TV[637] TAEYEON Official[638] 유일하게 효연만 미니홈피를 갖고 있었는데, 당시의 인지도 탓인지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639] 다만 예전에, 아주 오래 전에 아이스타일이란 걸 하긴 했다. 멤버 전원이 2007~08년 사이에 잠깐 했었다. 그렇지만, <Gee>를 발표하기 몇 달 전에 이미 다 사라졌다.[640] '탱시', '셩시' 등.[641] 이 '탱시'나 '융시' 등의 행사는 현재까지도 네이버 팬카페 시스터스 등에서 매일같이 진행 중이다. 예를 들면 유리의 생일인 12월 5일을 딴 12시 5분에 회원들이 게시판에 '율시'라는 글을 올리는 것.[642] 안드로이드 전용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