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CENIC |
[clearfix]
1. 개요
Renault Scénic프랑스의 자동차 회사 르노에서 1996년부터 생산되고 있는 MPV.[1] 5세대 모델부터는 준중형 SUV 전기차가 되었다.
출시 초기인 1996년 11월에는 1997년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되기도 했다. 세부 모델로는 일반 모델, 롱바디(그랑 세닉) 두 가지가 있기도 하다.
2. 상세
2.1. 1세대(1996~2003)
1996년에 출시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1997년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되었다. 출시 당시에 르노 에스파스보다 더 작고 저렴한 MPV로 판매되었으며 초기에는 450대 정도만 판매될 것으로 추정되는 틈새 공략 차량으로 보았으나 프랑스 두에 공장의 생산량이 일평균 2,500대를 상회할 정도로 대박을 터트리기도 했다.
영국 시장에서는 1997년 5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초기 2년간은 유일한 중형 MPV 차량이었으나 이후 복스홀 자피라, 시트로엥 사라 피카소, 피아트 멀티플라, 닛산 티노 등과 같은 경쟁차량들이 생겨났다. 영국의 잡지 What Car?에서 '1997년 올해의 차' 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형 RXI 사양 |
1999년 9월에 르노 메간의 페이스리프트 이후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새로워진 16밸브 엔진이 탑재되었다. 전면부는 르노 메간과 상당히 달라졌고 후미등 부분은 새로 설계되었다. 이 시기부터 '메간' 이름이 사라진 독립적인 세닉이 되었으나, 차량의 기원이 된 '메간'이라는 배지는 그대로 붙어 있었다. 플렉스 퓨얼 사양은 브라질에서 생산되었다.
이외에도 대시보드 수납칸을 만든다던지 테일게이트 부분에 개방형 리어 윈도우가 적용되는 등의 메간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뒷머리 받침대도 좌석 등받이에 고정된 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후방 시야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차량의 전장은 4,168mm, 전폭은 1,719mm, 전고는 1,609mm, 휠베이스는 2,580mm였다.
르노 세닉 RX4 사양 |
2000년에 일반 세닉의 4륜구동 사양으로 '세닉 RX4'가 출시되었으며 우핸들과 좌핸들 사양 모두 판매가 이루어졌다. 오스트리아의 '슈타이어-다임러-푸흐(Styre-Daimler-Puch)'에서 개발한 점성이 높은 멀티 디스크 중앙식 디퍼렌셜이 탑재되었으며 파트타임 기능으로 구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후면 서스펜션의 재설계와 강화가 이루어졌는데, 기존 스페어 타이어를 두었던 공간에 일부를 차지해 후면 해치 위에 두게 되었다.
5개 너트 형태의 휠이 적용되어 4개가 적용된 일반 세닉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서스펜션 이동 거리 증가와 더 큰 휠이 적용되었다. 이로 인해 지상고가 변경되었고 르노 메간에 탑재된 2.0L 가솔린 엔진과 1.9L dCi 디젤 엔진이 탑재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444mm, 전폭은 1,785mm, 전고는 1,730mm, 휠베이스는 2,624mm였다.
생산은 2003년 6월에 중단되어 단종되었다. 여담으로 르노삼성에서 이 차량을 초기에 SM6로 들여올 예정이었지만, 끝내 수입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르노삼성 R-CAR(미니밴) 문서를 참고할 것. 세닉 RX4는 2007년에 '세닉 컨퀘스트'가 나오기 전까지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
대우 레조 개발 당시 참고했던 차량 중 하나라고 한다.
2.1.1. 파워트레인
르노 세닉 파워트레인(1996년형~2003년형) | |||||||
구분 | 1.4L | 1.6L | 2.0L | 1.9L d | 1.9L dT | 1.9L dTi | |
엔진 코드명 | E7J형 | K7M형 | F3R형 | F8Q형 | F9Q형 | ||
최대 파워 | 74마력/6,000rpm | 74마력/5,000rpm | 89마력/5,000rpm | 113마력/5,400rpm | 64마력/4,500rpm | 94마력/4,250rpm | 98마력/4,000rpm |
최대 토크 | 107Nm/4,000rpm | 130Nm/3,400rpm | 137Nm/4,000rpm | 168Nm/4,250rpm | 120Nm/2,250rpm | 176Nm/2,000rpm | 200Nm/2,000rpm |
밸브 종류 | SOHC | ||||||
최고 속도 | 160km/h | 165km/h | 170km/h | 185km/h | 152km/h | 174km/h | 173km/h |
르노 세닉 파워트레인(1999년형~2003년형) | ||||||||
구분 | 1.4L 16V | 1.6L 16V | 1.8L 16V | 2.0L 16V | 1.9L d | 1.9L dT | 1.9L dTi | 1.9L dCi |
엔진 코드명 | K4J형 | K4M형 | F4P형 | F4R형 | F8Q형 | F9Q형 | ||
최대 파워 | 94마력/6,000rpm | 109마력/5,750rpm | 114마력/5,750rpm | 137마력/5,500rpm | 63마력/4,500rpm | 79마력/4,000rpm | 97마력/4,000rpm | 101마력/4,000rpm |
최대 토크 | 127Nm/3,750rpm | 148Nm/3,750rpm | 164Nm/3,500rpm | 188Nm/3,750rpm | 120Nm/2,250rpm | 160Nm/2,000rpm | 200Nm/2,250rpm | 200Nm/1,500rpm |
밸브 종류 | DOHC | SOHC | ||||||
최고 속도 | 173km/h | 185km/h | 189km/h | 196km/h | 152km/h | 162km/h | 174km/h | 177km/h |
르노 세닉 RX4 파워트레인 | ||
구분 | 2.0L 16V | 1.9L dCi |
엔진 코드명 | F4R형 | F9Q형 |
최대 파워 | 137마력/5,500rpm | 101마력/4,000rpm |
최대 토크 | 188Nm/3,750rpm | 200Nm/1,500rpm |
밸브 종류 | DOHC | SOHC |
최고 속도 | 180km/h | 160km/h |
2.2. 2세대(2003~2009)
초기형 차량(2003~2006) |
2003년에 르노 메간 2세대 차량이 출시된 직후인 같은해 6월에 출시가 이루어졌다.[2] 1세대에 비해 디자인이 확 달라졌다. 생산은 기존 1세대와 마찬가지로 프랑스 두에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일반 세닉의 전장은 4,259mm, 전폭은 1,811mm, 전고는 1,621mm, 휠베이스는 2,685mm였다.
일반 세닉(위)와 그랑 세닉(아래)[3] |
2004년 4월부터는 7인승 중형 MPV 사양인 '그랑 세닉'이 추가되었으며 후면 오버행과 휠베이스가 더 길어지고 더 넓어진 공간에는 2개의 어린이용 좌석이 제공되었다. 그랑 세닉의 전장은 4,493mm, 전고는 1,641mm, 휠베이스는 2,736mm였다.
르노 메간의 영향이 많이 들어간 차량이기도 한데, 패밀리룩 외에도 '르노 카드' 키리스 이모빌라이저, 일부 사양에서의 자동 주차 브레이크 등의 기술들이 적용되었다. 2006년 이후부터는 모든 사양에 LED 헤드램프가 기본 적용되었다. 또한 1세대 페이스리프트 차량처럼 '메간' 로고가 C필러 쪽에 솟아 있었다. 하지만 메간과 다른 대시보드와 디지털 형태의 전자식 발광 디스플레이가 들어가기도 했다.
또한 접이식 뒷좌석이 포함되어 별도 조정 및 분리가 가능하였다. 이외에도 통합형 테이블, 특정 사양 이후부터 적용되는 접이식 운전석 및 조수석, 자동 헤드램프 및 윈드스크린 와이퍼, '차일드 마인더' 거울, 전동식 전후면 윈도우가 적용되었다.
일본에서는 1세대에서는 야나세 딜러점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졌었으나 르노 측에서 닛산의 주식을 매입하면서 야나세의 르노 차량 수입 권한이 사라지면서 수입을 해 오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를 맺었기에 2세대 세닉은 닛산 딜러점을 통해 판매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
후기형 차량(2006~2009) |
페이스리프트 사양 역시 초기형 차량처럼 르노 메간이 먼저 출시되었고 이후 2006년 9월에 세닉이 출시되었는데, 더 커진 로쟝주 로고, 트렁크 부분에 'Renault' 배지가 추가되고 휠 디자인과 차량의 실내 사양이 변경되는 마이너체인지가 있었다. 전술했듯 이 시그부터는 전 사양에 LED 헤드램프가 탑재되었다.
|
6년간 판매되었고 2009년 3세대에게 바통을 넘기고 단종되었다.
|
2.3. 3세대(2009~2016)
| |
초기형 르노 세닉(2009~2012) | 르노 그랑 세닉 |
2009년에 5월에 그랑 세닉이, 같은 해 7월에 일반 세닉이 출시되었으며, 르노 라구나와 비슷한 디자인이었다. 계기판이 중앙에 있었으며, 사이드 리피터가 적용되었다. 이후 2012년, 디자인을 손본 마이너체인지 모델이 출시되었다. 페이스리프트 전에는 라구나와 헤드램프가 비슷했으나 페이스리프트 이후에는 르노 클리오 3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비슷해졌다.
당시 광고는 유비소프트 측 레이맨 시리즈에 등장하는 엽기토끼 래비즈와 콜라보를 하기도 했는데, 래비즈 시리즈의 인기 비결이라고 할 정도로 크게 성공한 적이 있다.
1차 페이스리프트 차량(2012~2013)
생산은 1,2세대와 같은 프랑스 두에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은 1.5L H5Ft형 가솔린 터보 I4 엔진, 1.5L K9K dCi FAP 디젤 I4 엔진, 1.6L R9M dCi FAP 디젤 I4 엔진, 1.9L F9Q형 dCi FAP/비FAP 디젤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일반 세닉의 전장은 4,343mm, 전폭은 1,844mm, 전고는 1,636mm, 휠베이스는 2,700mm였다.
이 시기부터 4세대 차량까지 7인승 사양인 그랑 세닉이 추가되었으며, 3개의 개별적인 뒷좌석이 탑재되었다. 물론 5인승 사양의 판매가 이루어지기도 했었다. 그랑 세닉의 전장은 4,559mm, 전고는 1,643mm, 휠베이스는 2,769mm였다.
2013년에는 세닉의 크로스오버 사양인 '세닉 XMOD'가 출시되었으며 플라스틱 클래딩, 서스펜션 상승 및 일반 세닉과 다른 휠이 적용되었다. 이후 2016년까지 판매되고 단종되었다.
2014년 10월 영국 잡지 탑기어에서는 XMOD 사양을 지금 가서 구매할 수 있는 최악의 자동차 중 하나로 뽑았다.
2차 페이스리프트 사양(2013~2016)
페이스리프트 1년 뒤, 2번째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발표했다. 이 모델은 르노삼성 SM3 1차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비슷한 헤드램프와 신형 패밀리룩 그릴을 도입했으며 실내 디자인의 차이가 있었다. 세닉과 그랑 세닉은 효율적인 듀얼 클러치 변속기와 1.5L dCi 110형 엔진이 탑재되었다. 또한 디지털 라디오가 포함된 R링크 터치스크린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점점 모델이 노후화되어가고 있었기 때문에 2016년 4세대에게 바통을 넘겨주고 단종된다.
2.4. 4세대(2016~2024)
| |
4세대 세닉 |
신형 르노 패밀리룩을 적용하였으며, 세련되었다는 평을 듣고 있다. SM3에도 탑재된 dCi 110 엔진[4]을 사용하며 6단 및 7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하며 6개의 디젤 엔진과 2개의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다. 플랫폼은 CMF-CD형이 탑재되었다.
일반 세닉의 전장은 4,406mm, 전폭은 1,865mm, 전고는 1,653mm, 휠베이스는 2,734mm이다.
| |
4세대 그랑 세닉 |
이 시기의 그랑 세닉부터는 비용 절감의 일환으로 뒷좌석이 3~4개의 벤치 시트로 교체되었다. 트렁크 공간은 그랑 세닉이 765L, 일반 세닉이 572L 정도 된다. 그랑 세닉의 전장은 4,634mm, 전폭은 일반 세닉과 같은 1,865mm, 전고는 1,660mm, 휠베이스는 2,804mm이다.
유로 NCAP 충돌테스트 결과 별점 5점을 획득했으며 보행자 감지 기능이 탑재된 능동형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 기능이 추가된 이러한 기능을 기본 적용하는 유일한 중형 MPV 차량이기도 했다. 또한 차선 이탈 보조 장비 및 피로 탐지 경보 장치[5] 등도 탑재되었다.
최고급형인 이니셜 파리 트림에서는 아메시스트 블랙 컬러를 선택할 수 있다. 매우 고급스러워지는 게 특징.
2023년에 전동화된 후속인 세닉 E테크의 출시 후에도 병행판매 되었다가 2024년에 최종적으로 단종되었다.
2.5. 5세대(HCB/HCC, 2023~현재)
| |
Renault Scenic E-Tech Electric |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000>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르노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 | }}} | |||
<rowcolor=#fff>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차량 | ||||
<colbgcolor=#000><colcolor=#fff> 초소형차 | <colbgcolor=#FFFFFF,#222222> - | <colbgcolor=#FFFFFF,#222222> 트위지[!] | ||||
소형차 | 5[i]출시 예정 | 조에[i] · 클리오[i] | ||||
중형차 | - | SM6 | ||||
소형 SUV | 아르카나(E-테크 하이브리드) | 캡처[i] | ||||
준중형 SUV | 세닉[i]출시 예정 | - | ||||
중형 SUV | QM6 · 그랑 콜레오스 | - | ||||
준대형 SUV | 오로라 2출시 예정 · 오로라 3출시 예정 | - | ||||
패널 밴 | QM6 퀘스트 | - | ||||
LCV | - | 마스터[i] | ||||
|
- [ 알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수상 차량 |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
| | | | | |
르노 클리오 | 폭스바겐 골프 | 닛산 마이크라 | 포드 몬데오 | 피아트 푼토 |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 | | | | |
피아트 브라보/브라바 | 르노 메간 세닉 | 알파 로메오 156 | 포드 포커스 | 토요타 야리스/야리스 베르소 | |
역대 경합 후보 |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
닛산 프리메라 | 오펠/복스홀 아스트라 | 피아트 친퀘첸토 | 시트로엥 잔티아 | 폭스바겐 폴로 | |
오펠 칼리브라 | 시트로엥 ZX | 르노 사프란 |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 오펠 오메가 | |
역대 경합 후보 | |||||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푸조 406 | 포드 카 | 폭스바겐 골프 | 오펠 아스트라 | 피아트 멀티플라 | |
아우디 A4 | 폭스바갠 파사트 | 아우디 A6 | 푸조 206 | 오펠 자피라 | |
1980년대 | → | 1990년대 | → | 2000년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수상 차량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 | | | |
토요타 야리스 | 기아 EV6 | 지프 어벤저 | 르노 세닉 | 르노 5/알핀 A290 |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 | | | |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
역대 경합 후보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피아트 500 | 르노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폭스바겐 ID.버즈 | BMW 5시리즈/i5 | 기아 EV3 | |
쿠프라 포멘토 | 현대 아이오닉 5 | 닛산 아리야 | 푸조 3008/E-3008 | 시트로엥 C3 | |
3위권 외 후보 | |||||
폭스바겐 ID.3 | 푸조 308 | 기아 니로 | 기아 EV9 | 다치아 더스터 | |
스코다 옥타비아 | 스코다 엔야크 iV | 르노 오스트랄 | 볼보 EX30 | 현대 인스터 | |
랜드로버 디펜더 | 포드 머스탱 마하-E | 푸조 408 | BYD 씰 | 쿠프라 테라마 | |
시트로엥 C4 | 쿠프라 본 | 토요타 C-HR | 알파 로메오 주니어 | ||
역대 경합 후보 |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3위권 외 후보 | |||||
2010년대 | → | 2020년대 | → | 2030년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