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02:11:34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colbgcolor=#000><colcolor=#fff>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Robert Downey Jr.
파일:rdj-variety.webp
본명 로버트 존 다우니 주니어
Robert John Downey Jr.
출생 1965년 4월 4일 ([age(1965-04-04)]세)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4cm[1]
부모 아버지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1936 ~ 2021)
어머니 엘시 포드(1934 ~ 2014)
형제자매 누나 엘리슨 다우니(1963년생)
배우자 데버라 팰코너(1992 ~ 2004)
수잔 다우니[2](2005년 결혼)
자녀 아들 인디오 팰코너 다우니(1993년생)[A]
아들 엑스턴 엘리아스 다우니(2012년생)[B]
딸 에브리 로엘 다우니(2014년생)[B]
학력 산타 모니카 고등학교 (중퇴)[6]
종교 유대교, 불교[7]
서명 파일: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서명.svg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1. 개요2. 활동3. 특징
3.1. 외모3.2. 촬영 관련 이야기3.3. 성향3.4. 에피소드
4. 필모그래피
4.1. 영화4.2. TV 시리즈4.3. 연극4.4. 게임
5. 수상 경력6. 논란 및 사건 사고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미국배우, 프로듀서, 작가, 가수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풀네임의 앞글자를 딴 '로다주'로 불리고, 외국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RDJ'로 줄여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8]

2. 활동

<nopad> 파일:1000001971.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표적으로 아이언맨셜록 홈즈의 배역으로 유명하며[9], 다양한 작품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커리어를 달성했다.

3. 특징

3.1. 외모

파일:1000000162.jpg
아버지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는 1/2는 리투아니아유대인, 1/4는 헝가리계 유대인과 아일랜드인 혈통이며, 어머니 엘시 포드는 스코틀랜드인, 영국인, 독일인, 스위스인 혈통이다. 유대계 혈통은 3/8뿐이지만 부계쪽 유전자가 강해 유대인들 특유의 이국적인 느낌이 좀 있는 편[10]으로 해외에서는 라틴계 백인처럼 보인다는 얘기가 가장 많고, 가끔 아랍계처럼 보인다는 의견도 있다. 구글에 Robert Downey Jr ethnicity라고 검색해보면 이탈리아계 혈통이 섞였냐는 질문이 나올 정도.

나이에 비해서 젊어 보인다. 특히 로다주처럼 굵고 뚜렷한 이목구비는 나이를 먹으면서도 미모가 유지되기도 한다.[11]

3.2. 촬영 관련 이야기

<nopad> 파일:1000002835.jpg
<colcolor=#000,#fff> 찰리 채플린을 열연한 27살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처음으로 명성이 알려졌던 건 27살에 촬영했던 1992년 영화 《채플린》으로 무려 1년 동안 찰리 채플린을 연기하기 위해 그의 모든 영화들을 반복적으로 시청하며 동작들을 분석했고 높은 싱크로율의 모습을 선보였다.[12] 이때의 열연으로 인해 1993년 처음으로 BAFTA를 수상했으며, 처음으로 오스카의 후보까지 올라갔다.[13] 그리고 찰리 채플린이 《모던 타임즈》에서 작곡했던 노래 'Smile'을 직접 부르고 리메이크해서 OST 앨범에도 수록했다. #
<nopad>파일:1000002209.png
* 2008년, 벤 스틸러, 잭 블랙하고 코미디 액션 영화 《트로픽 썬더》를 찍었는데, 흑인으로 분장까지 하며 커크 라자러스[14]를 연기해 충격을 선사했다. 본격 B급 감성병맛 코미디를 작심하고 만든 영화였지만 연기가 워낙 뛰어난 탓에 이례적으로 2009년 미국 아카데미,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로 지명되었다.[15]
<nopad>파일: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셜록 홈즈.jpg
* 2009년, 《셜록 홈즈》에서는 셜록 홈즈 역을 맡아 섬세한 약물 중독자 연기를 선보인다. 또한 약물 중독으로부터 재활하면서 배운 영춘권을 작품의 격투 장면에 사용하면서 호평을 들었지만, 원작 설정과[16] 어긋나기 때문에 셜로키언들을 충격에 빠지게도 했다. 그럼에도 또 다른 매력의 개성있는 셜록 홈즈를 선보이면서 영화들은 모두 흥행에 성공했고, 실사화가 된 셜록 홈즈 시리즈 중에 최초로 2010년 골든글로브 남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부문을 수상했다.
<nopad>파일:1000002695.jpg
* 본인에게 최고 전성기를 열어 준 영화 《아이언맨》은 촬영 당시, 환경이 정말 열악했다고 한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와 제프 브리지스, 그리고 존 패브로는 완성되지 않은 각본을 토대로 사실상 쪽대본 촬영을 하며, 그때그때 수정과 추가를 반복하며 영화를 찍었다. 오죽했으면 브리지스가 나중에 한 인터뷰에서 "제작비는 1억 달러나 들어간다는데, 정작 현장에서 찍는 거 보면, 대학도 아닌 무슨 고등학교 영화 동아리에서 찍는 거 같았다"고 푸념했을 정도다. 그럼에도 현장에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패브로와 함께 현장 촬영을 지휘했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그 외에도 토니 스타크가 제리코 미사일을 처음 시연하는 장면 등 많은 부분에 로다주가 관여했다.* 2005년에 제작하려다 취소된 슈퍼맨 영화에 렉스 루터 역으로 캐스팅된 적이 있다. 루터와 아이언맨이 재산도 많고 천재적인 지능을 갖고 있으며 슈트로 싸운다는 점을 보면 아이러니하다. 이 영화의 슈퍼맨과 로이스 레인 역은 훗날 《맨 오브 스틸》에서 각각 슈퍼맨과 로이스 역을 맡는 헨리 카빌에이미 애덤스였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촬영 현장에선 배우들 사이에서 다우니의 트레일러로 초대받는 것이 굉장히 큰 화제거리였다고 한다. 지모 역의 다니엘 브륄에게 처음 만난 지 5분 만에 알레르기가 없냐고 물어본 후 점심시간에 자신의 트레일러로 그를 초대했는데 브륄은 그에게서 어마어마하게 호화로운 풀코스 식사를 대접받았다고 한다. 소위 급이나 몸값에 따라 트레일러의 규모나 숫자가 다른데 다우니는 특A급 스타로 분류되어 다른 배우들과 달리 트레일러 5개 이상을 한꺼번에 사용한다고 한다. 그래서 같이 출연한 동료 배우들은 다우니에게 점심 초대받는 게 일일 목표였다고 한다.# 참고로 이때 브륄이 가진건 의자 하나에 부리또 하나였다.* MCU 영화 중 하나의 촬영을 끝마친 후 마침 자신이 갖고 싶던 아이언맨 슈트를 입고 있어 그대로 도망쳤는데 스태프들에게 잡혔다고 한다.[17]*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전체 각본을 본 유일한 배우다. 크리스 에반스가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의 전체 각본을 본 유일한 배우인 것과 대비된다.*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출연한 여배우들에게 점심을 사 준 적이 있는데, 이 사진을 보면 2018년~2019년 기준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iPhone X 혹은 iPhone XS(Max)인 것으로 보인다.*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나온 '3000만큼 사랑해'는 평소 자식들로부터 들은 것이라고 한다.#
<nopad> 파일:1000002201.jpg
<colcolor=#000,#fff> 실제의 루이스 스트로스와 로다주의 루이스 스트로스
* 코로나 시기가 지나간 이후 2021년 11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실존 인물인 루이스 스트로스를 알아가면서 이 역할은 로다주가 맡아야 한다고 느꼈고 바로《오펜하이머》에 캐스팅 요청을 했다고 한다.[18] 이에 로다주도 놀란의 연락인지라 일단 수락부터 하였지만, 이미 7월에 캐스팅됐던 박찬욱 감독의《동조자》촬영이 잡혀져 있었고, 걱정했지만 다행히 촬영 날짜가 겹치진 않았다고 한다.[19] 이후 로다주는 인터뷰에서 자신의 연기에 관련해 놀란 감독으로 부터는 "보다 절제됨"을 얻었고 박찬욱 감독으로 부터는 "더욱 유연함"을 얻었다고 언급했다.#* 조디 포스터는 2024년 한 인터뷰에서 1995년에 자신이 감독으로 촬영했던 《홈 포 더 홀리데이즈》에서 로다주의 캐스팅 비화를 이야기하면서 그가 보여온 연기 재능은 천재적이며 그저 과거에 중독에 관련한 절제력이 너무도 아쉬웠었다고 언급했다. 조디 포스터와 로다주는 2024년 6월 4일 버라이어티 쇼〈액터스 온 액터스〉에서 만남을 가지며 화보 촬영도 가졌다.##
<nopad> 파일:1000002205.jpg
<colcolor=#000,#fff> 처음으로 데뷔한 브로드웨이의 공연 포스터
* 로다주는 2024년 9월부터 라이브 무대인《맥닐》로 브로드웨이에 처음으로 데뷔하게 되었고, 준비하는 기간동안 연극 분야에도 경험이 많은 브래들리 쿠퍼에게 많은 조언을 받았다고 한다.#

3.3. 성향

3.4. 에피소드

<nopad> 파일:1000002299.jpg
* 대부분의 스타들이 그러하듯 로다주 역시 20대 초중반 청년 시절을 외모적인 리즈 모습으로 꼽는다. 그래서 이때는 이런 이미지를 살려서 로맨틱하거나 반항적인 연기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20대의 대다수가 마약 사건들로 빛을 보지 못했던 시절인지라, 대중들에게 익숙한 로다주의 이미지는 아이언맨셜록 홈즈의 성공 이후에 최고의 몸값으로 등극한 2010년대에 40대 시절의 모습부터다. 이후에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잠시나마 20대 시절의 모습을 얼추 구현해냈다.
<nopad> 파일:1000002256.jpg
<colcolor=#000,#fff> 브랫 팩 시절의 톰 크루즈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 1980년대 초중반에는 할리우드에서 가장 기대되는 청춘 스타들을 브랫 팩이라고 불렀는데, 이 라인업에서 톰 크루즈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만이 슈퍼스타로 올라가는대 성공한다. 이 둘은 2008년 코미디 영화 《트로픽 썬더》에서 만나서 함께 연기했고[32], 2009년 골든글로브 남우조연상에 공동으로 노미네이트되었다.* 토니 스타크라는 캐릭터 연구를 위해 일론 머스크를 직접 찾아가 많은 이야기를 나눈 에피소드가 있다. 머스크의 공식 전기에도 이 이야기가 나오는데,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위해 모든걸 불사르는 일론의 모습이 토니란 캐릭터와 잘 맞는다고 생각해 연기시 대입을 했다고 한다.[33] 그래서 다우니 주니어의 요청으로 토니의 작업장에는 머스크의 회사 테슬라의 로드스터 자동차가 비치되었으며, 훗날 감사의 표시로 《아이언맨 2》에 머스크가 카메오로 출연했다.* 2008년 《아이언맨》 홍보차 자신에 대한 인지도가 바닥인 일본[34]을 방문했을 때 공항 검문에서 과거의 '심각한 범죄적 행위'가 조회되자 아무런 설명도 없이 입국관리국 조사실에 홀로 6시간 동안 방치되었다고 한다.[35] 예정된 행사에 참여할 수는 있었으나[36] 방일 기간 동안 먹은 쇠고기로 인해 식중독을 앓기도 했고[37], 금주 중임에도 행사 진행 과정에서 반강제로 술을 마시는 일도 있었던 모양이다. 결국 방일 당시에 겪은 여러 나쁜 경험 탓인지 2009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방일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미국에서 만든 영화의 대한민국 이벤트에 일본인 팬을 초대해 깜짝 팬 미팅을 가지는 웃긴 해프닝도 있다.[38]* 마약 때문에 옥살이를 한 적이 여러 번 있는데, 옥중일기가 꽤 재미난 내용이 많다. 영상에서는 beat my ass 등의 표현이 '엉덩이를 맞았다'로 번역되었는데, 실상 kick one's ass 나 beat my ass는 그냥 '두들겨 팼다' 혹은 '쳐맞았다'로 번역하는 게 맞다. 이 외에도 오역이 조금 있는 모양이니 걸러 듣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볼 수 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gcolor=#343346><tablebordercolor=#343346><bgcolor=#ffffff,#1c1d1f><color=#fff><nopad> 파일:1000002689.jpg ||2001년, 재활원을 퇴원한 뒤 찍은 첫 작품이 엘튼 존의 노래 I Want Love뮤직비디오이다. 음악 분야에도 관심이 많았던 로다주가 엘튼 존을 존경해왔고 오래전부터 사이가 돈독했다.* 대한민국에서는 홍시호[39][40]가 로다주의 목소리 더빙을 전담했으며, 일본에서는 후지와라 케이지가 TV 아사히 방영판[41]을 제외하고 전담 더빙했다.[42]* 게임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라이브 트레일러에 깜짝 등장했다. 17초에 나오는 전투기 파일럿이 바로 그다.[43]* 2008년에 《아이언맨》의 홍보를 위해 내한했으나, 당시는 인지도가 바닥이라 공항에서 반겨주는 팬조차 없는 쓸쓸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2013년 4월 3일, 《아이언맨 3》의 홍보를 위해 5년 만에 한국을 재방문했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반겨줬다.
<nopad>파일:external/cdn.mydaily.co.kr/201304042049161113_1.jpg
<colcolor=#000,#fff> 2013년 4월 4일 내한 현장에서
내한 현장에서 생일을 맞았는데, 주최측과 초대 가수 타이거 JK의 행동에 다우니의 팬들이 심기가 불편해진 사건이 일어났다. 특히 행사 주최측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배우들 내한 때에도 부적절한 행사 진행 방식으로 논란을 빚었기 때문에 더 비난을 받았다.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이거 JK/사건 및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이거 JK/사건 및 사고#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이거 JK/사건 및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이후 2015년 4월 17일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홍보차 조스 웨던, 마크 러팔로, 크리스 에반스와 함께 내한했고, 이후에 2019년 4월 15일 어벤져스: 엔드게임 홍보차 루소 형제, 제레미 레너, 브리 라슨과 함께 한번 더 한국에 방문했다.
<nopad>파일:attachment/tumblr_m7u122Le0S1ryusq6o1_500.jpg
<colcolor=#000,#fff> 코믹콘 이벤트에서 스탠 리와 포옹을 하는 로다주
* 스탠 리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아이언맨이 되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라며 극찬했다. 과거에 가진 한 인터뷰에서 로다주는 마블의 영화가 적당한 수준을 유지하는 한, 계속해서 토니 스타크 역을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 2014년 생일에 아이들을 초대해 함께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저를 관람했다고 한다.영화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의 한 장면에서 알렉산더 피어스닉 퓨리와 대화하면서 "조카의 생일 날 아이언맨이 어린이들과 놀아줘야 해"라는 약속을 종용하는 장면이 있는데, 그걸 현실에서 해버렸다.* 페이스북으로 스파이디 능욕을 시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재능 기부 캠페인에서 한쪽 팔이 없는 소년에게 3D 프린터로 제작한 팔을 전달했다. 영상에는 아이언맨 Mk.42의 한쪽 팔을 끼고 아이와 놀아주는 모습도 나온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독일 홍보차 찍은 영상에서 다니엘 브륄이 실제로 운영하는 레스토랑에 초대를 받았다. 베를린의 한 레스토랑에서 독일 음식을 맛보여줬는데 초반엔 잘 먹었으나, 가면 갈수록 별로라고 하다 설사약을 브륄에게 강제로 주입당해 바로 화장실로 직행한다. # 브륄이 이를 보고 이게 베를린의 맛과 제모 스타일라고 답했다.*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gcolor=#343346><tablebordercolor=#343346><bgcolor=#ffffff,#1c1d1f><color=#fff><nopad> 파일:1000001483.jpg ||2000년대 중반 MCU에서 활동하기 이전에 로다주는 마약을 끊고 재기를 준비하면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배트맨 비긴즈》에서 스케어크로우의 역할 오디션을 지원했었다. 그러나 놀란은 이 배역으로 일찌감치 킬리언 머피로 낙점했기에 로다주는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고 한다. # 이후에 이 셋은 영화 《오펜하이머》로 만났고 세 명 다 처음으로 오스카 수상의 영광을 가진다.* 에밀리 블런트는 예전부터 팬심을 더해 함께 연기해 보고 싶은 남자 배우로 로다주를 꼽았었다. 그리고 2023년 영화 《오펜하이머》로 드디어 만나게 됐지만 정작 둘이 함께 촬영된 영화 속 장면은 단 한 장면이었다.
<nopad>파일:1000002034.jpg
<colcolor=#000,#fff> 사진 속 중앙은 그녀의 남편 존 크래신스키
그럼에도 그녀는 로다주와 함께 작품을 해서 무척 신났었다고 하며, 위에 사진처럼 컨셉질 영상도 찍는 등 돈독하게 지냈다.

4. 필모그래피

4.1. 영화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70 파운드 퍼피[44]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 감독 작품
1973 Greaser’s Palace 한 여성의 아이[45]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 감독 작품
1983 베이비 잇츠 유 스튜어트
1984 First Born
1985 신비의 체험
(Weired Science)
이언[46] 로버트 다우니 명의[47]
Tuff Tuff 지미 파커
1986 Back To School 데릭
1987 The Pick-up Artist 첫 주연작
Less Than Zero 주리언
1988 1969 랠프
Rented Lips 울프 댕글러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 연출작
Johnny Be Good 리오
1989 알렉스 두 번 죽다
(Chance Are)
앨릭스 휜치
That's Adequate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True Believer 로저
1990 Air America 빌리 코빈턴
1991 Too Much Sun 리드
Soapdish 데이비드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 감독 작품
1992 채플린 찰리 채플린 주연[48]
1993 사랑의 동반자 Heart and Souls 토머스 라일리 [49]
숏 컷 빌 부시
1994 Hail Caesar 제리
내추럴 본 킬러 웨인 겔
온리 유 피터
1995 Richard III 리버스 백작
Home for the holidays 토미
Restoration 로버트 메리벨
1997 Danger Zone 짐 스콧 TV 영화 시리즈
One Night Stand 찰리
Two Girls and a Guy 브레이크
Hugo Pool 프란츠
1998 The Gingerbread Man 클라이드 펠
도망자 2 존 로이스 외교보안국 조사관 주연
1999 In Dreams 비비언
Friends & Lovers 한스
Bowfinger 제리 렌프로
Black and White 테리
2000 원더 보이즈 테리 크랩트리
2003 The Singing Detective 댄 다크
Gothika 빌리 그레이엄
2004 Eros 닉 펜로즈
2005 Game 6 스티븐 슈위머
키스 키스 뱅 뱅 해리 록하트 주연
굿나잇 앤 굿럭 조 워슈버
2006 The Shaggy Dog 마커스 코작
A Guide to Recognizing Your Saints 디토 몬티엘
스캐너 다클리 짐 배리스
Fur: An Imaginary Portrait of Diane Arbus 라이오어널
2007 조디악 폴 에이브리
Lucky You 텔레폰 잭 카메오
2008 Charlie Bartlett 네이선 가드너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 / 아이언맨 주연
인크레더블 헐크 특별출연
트로픽 썬더 커크 라자러스 [50]
2009 솔로이스트 스티브 로페즈
셜록 홈즈 셜록 홈즈 주연
2010 아이언맨 2 토니 스타크 / 아이언맨 주연
Due Date 피터 하이먼
2011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 셜록 홈즈 주연
2012 어벤져스 토니 스타크 / 아이언맨
2013 아이언맨 3
2014 아메리칸 셰프 마빈 카메오
더 저지 행크 파머 주연
2015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토니 스타크 / 아이언맨
2016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2017 스파이더맨: 홈커밍 조연
2018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주연
2019 어벤져스: 엔드게임
2020 닥터 두리틀 존 두리틀
2023 오펜하이머 루이스 스트로스 주연[51]
2025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빅터 폰 둠 / 닥터 둠 카메오
2026 어벤져스: 둠스데이 주연
2027 어벤져스: 시크릿 워즈 주연
발표예정 셜록 홈즈 3 셜록 홈즈 주연
발표예정 The Hider 주인공 주연[52]

4.2. TV 시리즈

<rowcolor=#fff>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1985 파일:NBC 로고.svg파일:NBC 로고 화이트 폰트.png 무솔리니의 여인 브루노 무솔리니
2001 파일:FOX 로고.svg파일:FOX 로고 화이트.svg 앨리 맥빌 래리 폴 시즌 4[53]
2005 패밀리 가이 패트릭 퓨터슈미트 목소리
2021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시니어[54]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다큐멘터리
2023 파일:HBO Max 화이트 로고.png파일:HBO Max 로고.png 로다주의 드림카[55]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2024 파일:HBO 로고.svg파일:HBO 로고 화이트.svg 동조자 1인 다역 [56]
<rowcolor=#fff> 총 작품 등장 횟수
[57]
70번

4.3. 연극

<rowcolor=#fff> 년도 제목 배역 비고
2024 맥닐[58] 제이콥 맥닐[59] 주연

4.4. 게임

<rowcolor=#fff> 연도 제목 배역명
2008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 / 아이언맨

5. 수상 경력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자
'''[[틀: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자|Academy Award for Best Supporting Acto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월터 브레넌
(컴 앤 겟 잇)
조셉 쉴드크로트
(에밀 졸라의 생애)
월터 브레넌
(켄터키)
토머스 미첼
(역마차)
월터 브레넌
(서부의 사나이)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도널드 크리스프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벤 헤프린
(자니 이거)
찰스 코번
(한 여자와 두 남자)
배리 피츠제럴드
(나의 길을 가련다)
제임스 던
(브룩클린의 나무 성장)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해롤드 러셀
(우리 생애 최고의 해)
에드먼드 그웬
(34번가의 기적)
월터 휴스턴
(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딘 자거
(정오의 출격)
조지 샌더스
(이브의 모든 것)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칼 말든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안소니 퀸
(혁명아 자파타)
프랭크 시나트라
(지상에서 영원으로)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맨발의 백작부인)
잭 레먼
(미스터 로버츠)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안소니 퀸
(열정의 랩소디)
레드 버튼스
(사요나라)
벌 아이브스
(거대한 서부)
휴 그리피스
(벤허)
피터 유스티노프
(스파르타쿠스)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조지 샤키리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에드 베글리
(스윗 버드 오브 유스)
멜빈 더글러스
(허드)
피터 유스티노프
(토프카피)
마틴 발삼
(천 명의 어릿광대)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월터 매튜
(포춘 쿠키)
조지 케네디
(폭력 탈옥)
잭 앨버트슨
(서브젝트 워스 로지스)
기그 영
(그들은 말을 쏘았다)
존 밀스
(라이언의 딸)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벤 존슨
(마지막 영화관)
조엘 그레이
(카바레)
존 하우스먼
(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
로버트 드니로
(대부 2)
조지 번즈
(선샤인 보이)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이슨 로바즈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제이슨 로바즈
(줄리아)
크리스토퍼 워컨
(디어 헌터)
멜빈 더글러스
(찬스)
티모시 허튼
(보통 사람들)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존 길구드
(아서)
루이스 고셋 주니어
(사관과 신사)
잭 니콜슨
(애정의 조건)
행 S. 응고르
(킬링필드)
돈 아메체
(코쿤)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마이클 케인
(한나와 그 자매들)
숀 코너리
(언터처블)
케빈 클라인
(완다라는 이름의 물고기)
덴젤 워싱턴
(영광의 깃발)
조 페시
(좋은 친구들)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잭 팰런스
(굿바이 뉴욕 굿모닝 내사랑)
진 해크먼
(용서받지 못한 자)
토미 리 존스
(도망자)
마틴 랜도
(에드 우드)
케빈 스페이시
(유주얼 서스펙트)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쿠바 구딩 주니어
(제리 맥과이어)
로빈 윌리엄스
(굿 윌 헌팅)
제임스 코번
(어플릭션)
마이클 케인
(사이더 하우스)
베니시오 델 토로
(트래픽)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짐 브로드벤트
(아이리스)
크리스 쿠퍼
(어댑테이션)
팀 로빈스
(미스틱 리버)
모건 프리먼
(밀리언 달러 베이비)
조지 클루니
(시리아나)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알란 아킨
(미스 리틀 선샤인)
하비에르 바르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크리스토프 발츠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크리스찬 베일
(파이터)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크리스토퍼 플러머
(비기너스)
크리스토프 발츠
(장고: 분노의 추적자)
자레드 레토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J. K. 시몬스
(위플래쉬)
마크 라이런스
(스파이 브릿지)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마허샬라 알리
(문라이트)
샘 록웰
(쓰리 빌보드)
마허샬라 알리
(그린 북)
브래드 피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대니얼 칼루야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트로이 코처
(코다)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남우주연상
제45회
(1992년)
제46회
(1993년)
제47회
(1994년)
안소니 홉킨스
(양들의 침묵)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채플린)
안소니 홉킨스
(남아있는 나날)
남우조연상
제76회
(2023년)
제77회
(2024년)
제78회
(2025년)
배리 키오건
(이니셰린의 밴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제66회
(2009년)
제67회
(2010년)
제68회
(2011년)
콜린 패럴
(킬러들의 도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셜록 홈즈)
폴 지아마티
(세번째 사랑)
남우조연상 - 영화
제80회
(2023년)
제81회
(2024년)
제82회
(2025년)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남우조연상 - TV
제57회
(2000년)
제58회
(2001년)
제59회
(2002년)
피터 폰다
(더 패션 오브 얀 랜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앨리의 사랑 만들기)
스탠리 투치
(컨스피러시)

파일:SAG-AFTRA_Logo.png
파일:SAG Awards Logo.png
영화부문 남우조연상
제29회
(2023년)
제30회
(2024년)
제31회
(2025년)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
TV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제6회
(2000년)
제7회
(2001년)
제8회
(2002년)
마이클 J. 폭스
(이야기 도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앨리의 사랑 만들기)
션 헤이즈
(윌& 그레이스)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
남우조연상(영화)
제28회
(2023년)
제29회
(2024년)
제30회
(2025년)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역대 새턴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영화 남우주연상
제19회
(1992년)
제20회
(1993년)
제21회
(1994년)
게리 올드만
(드라큘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하트 앤드 소울)
마틴 랜도
(에드 우드)
제34회
(2007년)
제35회
(2008년)
제36회
(2009년)
윌 스미스
(나는 전설이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아이언맨)
샘 워싱턴
(아바타)
제39회
(2012년)
제40회
(2013년)
제41회
(2014년)
매튜 매커너히
(킬러 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아이언맨 3)
크리스 프랫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제44회
(2017년)
제45회
(2018/19년)
제46회
(2019/20년)
마크 해밀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어벤져스: 엔드게임)
존 데이비드 워싱턴
(테넷)
}}}
<rowcolor=#fff>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1993년 제13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채플린
제46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2001년 제 58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TV 미니시리즈 부문 남우조연상 앨리 맥빌 시즌4
제7회 미국배우조합상 코미디시리즈부문연기상(남자)
2003년 제36회 시체스 영화제 오피셜 판타스틱-남우주연상 노래하는 탐정
2009년 제35회 새턴상 최우수 남우주연상 아이언맨
2010년 제67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남우주연상-뮤지컬코미디 셜록 홈즈
2013년 제22회 MTV 영화제 최고의 싸움상 어벤져스
2014년 제40회 새턴상 최우수 남우주연상 아이언맨 3
2015년 제24회 MTV 영화제 MTV 제너레이션상
2019년 제28회 MTV 영화제 최고의 영웅상 어벤져스: 엔드게임
2024년 제8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남우조연상-영화 부문 오펜하이머
제29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남우조연상-영화 부문
제77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제30회 미국 배우조합상 남우조연상-영화 부문
제96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마약 투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생애#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기타

7. 여담

8. 둘러보기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자
'''[[틀: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자|Academy Award for Best Supporting Acto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월터 브레넌
(컴 앤 겟 잇)
조셉 쉴드크로트
(에밀 졸라의 생애)
월터 브레넌
(켄터키)
토머스 미첼
(역마차)
월터 브레넌
(서부의 사나이)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도널드 크리스프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벤 헤프린
(자니 이거)
찰스 코번
(한 여자와 두 남자)
배리 피츠제럴드
(나의 길을 가련다)
제임스 던
(브룩클린의 나무 성장)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해롤드 러셀
(우리 생애 최고의 해)
에드먼드 그웬
(34번가의 기적)
월터 휴스턴
(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딘 자거
(정오의 출격)
조지 샌더스
(이브의 모든 것)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칼 말든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안소니 퀸
(혁명아 자파타)
프랭크 시나트라
(지상에서 영원으로)
에드먼드 오브라이언
(맨발의 백작부인)
잭 레먼
(미스터 로버츠)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안소니 퀸
(열정의 랩소디)
레드 버튼스
(사요나라)
벌 아이브스
(거대한 서부)
휴 그리피스
(벤허)
피터 유스티노프
(스파르타쿠스)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조지 샤키리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에드 베글리
(스윗 버드 오브 유스)
멜빈 더글러스
(허드)
피터 유스티노프
(토프카피)
마틴 발삼
(천 명의 어릿광대)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월터 매튜
(포춘 쿠키)
조지 케네디
(폭력 탈옥)
잭 앨버트슨
(서브젝트 워스 로지스)
기그 영
(그들은 말을 쏘았다)
존 밀스
(라이언의 딸)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벤 존슨
(마지막 영화관)
조엘 그레이
(카바레)
존 하우스먼
(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
로버트 드니로
(대부 2)
조지 번즈
(선샤인 보이)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이슨 로바즈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제이슨 로바즈
(줄리아)
크리스토퍼 워컨
(디어 헌터)
멜빈 더글러스
(찬스)
티모시 허튼
(보통 사람들)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존 길구드
(아서)
루이스 고셋 주니어
(사관과 신사)
잭 니콜슨
(애정의 조건)
행 S. 응고르
(킬링필드)
돈 아메체
(코쿤)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마이클 케인
(한나와 그 자매들)
숀 코너리
(언터처블)
케빈 클라인
(완다라는 이름의 물고기)
덴젤 워싱턴
(영광의 깃발)
조 페시
(좋은 친구들)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잭 팰런스
(굿바이 뉴욕 굿모닝 내사랑)
진 해크먼
(용서받지 못한 자)
토미 리 존스
(도망자)
마틴 랜도
(에드 우드)
케빈 스페이시
(유주얼 서스펙트)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쿠바 구딩 주니어
(제리 맥과이어)
로빈 윌리엄스
(굿 윌 헌팅)
제임스 코번
(어플릭션)
마이클 케인
(사이더 하우스)
베니시오 델 토로
(트래픽)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짐 브로드벤트
(아이리스)
크리스 쿠퍼
(어댑테이션)
팀 로빈스
(미스틱 리버)
모건 프리먼
(밀리언 달러 베이비)
조지 클루니
(시리아나)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알란 아킨
(미스 리틀 선샤인)
하비에르 바르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히스 레저
(다크 나이트)
크리스토프 발츠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크리스찬 베일
(파이터)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크리스토퍼 플러머
(비기너스)
크리스토프 발츠
(장고: 분노의 추적자)
자레드 레토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J. K. 시몬스
(위플래쉬)
마크 라이런스
(스파이 브릿지)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마허샬라 알리
(문라이트)
샘 록웰
(쓰리 빌보드)
마허샬라 알리
(그린 북)
브래드 피트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대니얼 칼루야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트로이 코처
(코다)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남우주연상
제45회
(1992년)
제46회
(1993년)
제47회
(1994년)
안소니 홉킨스
(양들의 침묵)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채플린)
안소니 홉킨스
(남아있는 나날)
남우조연상
제76회
(2023년)
제77회
(2024년)
제78회
(2025년)
배리 키오건
(이니셰린의 밴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제66회
(2009년)
제67회
(2010년)
제68회
(2011년)
콜린 패럴
(킬러들의 도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셜록 홈즈)
폴 지아마티
(세번째 사랑)
남우조연상 - 영화
제80회
(2023년)
제81회
(2024년)
제82회
(2025년)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남우조연상 - TV
제57회
(2000년)
제58회
(2001년)
제59회
(2002년)
피터 폰다
(더 패션 오브 얀 랜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앨리의 사랑 만들기)
스탠리 투치
(컨스피러시)
파일:SAG-AFTRA_Logo.png
파일:SAG Awards Logo.png
영화부문 남우조연상
제29회
(2023년)
제30회
(2024년)
제31회
(2025년)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TV코미디부문 남우주연상
제6회
(2000년)
제7회
(2001년)
제8회
(2002년)
마이클 J. 폭스
(이야기 도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앨리의 사랑 만들기)
션 헤이즈
(윌& 그레이스)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
남우조연상(영화)
제28회
(2023년)
제29회
(2024년)
제30회
(2025년)
키호이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오펜하이머)
키에란 컬킨
(리얼 페인)
역대 새턴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영화 남우주연상
제19회
(1992년)
제20회
(1993년)
제21회
(1994년)
게리 올드만
(드라큘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하트 앤드 소울)
마틴 랜도
(에드 우드)
제34회
(2007년)
제35회
(2008년)
제36회
(2009년)
윌 스미스
(나는 전설이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아이언맨)
샘 워싱턴
(아바타)
제39회
(2012년)
제40회
(2013년)
제41회
(2014년)
매튜 매커너히
(킬러 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아이언맨 3)
크리스 프랫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제44회
(2017년)
제45회
(2018/19년)
제46회
(2019/20년)
마크 해밀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어벤져스: 엔드게임)
존 데이비드 워싱턴
(테넷)

[1] #[2] 결혼 전 이름은 수잔 러빈[A] 전처 데버라 팰코너가 낳은 아들이다.[B] 현처 수 러빈의 아이들이다.[B] [6] 2021년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시니어》에서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가 언급하길 아들의 연기 재능을 일찌감치 알아봤기에 학업에 관련해서 전혀 신경쓰지 않았다고 하며, 오히려 자유로운 경험들을 중시했다고 한다.[7] 유대교 신자인 동시에 불교 신자라고 한다.[8] 지인들은 로버트(Robert)의 애칭인 '밥(Bob)'이라고 부른다고 하며, 원래의 성씨는 현재의 다우니(Downey)가 아닌 일라이어스(Elias)였다.[9] 로다주는 이 2가지 배역들을 연달아 성공시키며, 2010년대 할리우드 최고의 출연료를 받는 배우로 등극한다.[10] 사람들이 유대인=전형적인 백인 외모라고 많이들 착각하지만 실제 유대인들은 백인으로 분류되는 것 치고 꽤 이질적으로 생겼으며 남자는 사샤 바론 코헨이나 댄 포글러, 여자는 세라 실버먼이나 제니 슬레이트 같은 외모가 일반적이라 백인으로 분류되지 않은 아랍인들하고 외모 차이가 없다. 로다주도 유대인들 특유의 이국적인 느낌은 있지만, 비유대계 백인 혈통이 더 많이 섞여서 그런건지 오히려 라틴계 백인으로 보인다는 평이 더 많다.[11] 백인이라고 해도 로다주처럼 전부 이목구비가 굵직하고 뚜렷하진 않으며, 특히 북유럽계나 동유럽계 백인들은 백인치고는 상대적으로 흐릿한 이목구비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젊었을 때야 이 상대적으로 흐릿한 이목구비 덕에 동안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문제는 나이를 먹으면서 누구보다도 더 빡세게 관리를 하지 않으면 피부가 얇은 백인의 특성상 얼굴이 정말 급격하게 무너진다. 백인들은 2, 30대 젊은 청년기에도 주름이 생기는 반면에 서양인들이 아시안들을 동안이거나 귀엽다고 보는 일들이 많은 건 이 때문인데 사실 동양인 기준으로도 피부가 얆고 이목구비가 흐릿한 동양인에게도 해당되는 부분이다.[12] 실존 인물 찰리 채플린이 했었던 연기들과 대조해 본 이 영상만 보더라도 상당히 높은 싱크로율로 연기했다는 걸 알 수가 있는데, 로다주는 채플린의 왼손잡이 특징까지 소화하기 위해 1년 가까이를 왼손으로만 사용했다고 하며 이 영화로 인해서 로다주는 많은 동료 배우들과 영화 관계자들로부터 이 시기에 천재라고 불리며 높게 평가된다.[13] 1993년 오스카여인의 향기알 파치노가 수상했다. 영화 대부 시리즈를 성공시키고 이미 베테랑 배우로 활동하던 알 파치노하고 마지막까지 오스카 레이스를 주고받았던 27살의 로다주였기에 이 당시 언론들은 떠오르는 유망주로 주목하게 된다.[14] 정확히는 흑인 배역을 맡으려고 흑인으로 성형수술한 호주 출신의 백인 메소드 연기파 배우를 연기했다.[15] 2009년 모든 시상식의 남우조연상은 다크 나이트에서 조커를 연기한 히스 레저가 수상했다. 이후에 이 영화의 감독이자 배우였던 벤 스틸러는 만약에 트로픽 썬더가 2020년대에 제작됐다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보여준 이 연기를 볼 수가 없었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16] 원작의 홈즈는 권투유도를 익혔다. 제임스 모리어티와 절벽 폭포 위에서 육탄전을 벌이는 위험한 상황에서도, 유도 기술 덕분에 살아남았다고 한다.[17]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촬영장에서 팬이 지금까지 입은 아이언맨 슈트 중 하나만 가지라면 뭘 챙길 거냐고 묻자 Mk.42를 꼽은 것으로 보아 해당 슈트는 Mk.42일 가능성이 높고, 만약 그렇다면 해당 영화는 아이언맨 3편일 것이다. 라이언 레이놀즈는 그동안 히어로 영화의 악연도 깊었고 데드풀 복장 자체도 가벼웠기에 어영부영 도망치는 데 성공했지만 다우니가 입은 아이언맨 복장은 워낙 무거우니까... Mk.1만 봐도 그 무게는 엄청났기에 아무리 가벼워졌다 한들 멀리 못 간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데드풀의 복장은 가죽 슈트였기에 가격 자체는 그리 비싸지 않았지만 아이언맨 슈트는 고가이기에 제작팀 입장에서도 줄 수 없었을 것이다.[18] 크리스토퍼 놀란은 이전부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필모그래피도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고 하며, 함께 작품해보고 싶은 배우였다고 한다.# 그리고 로다주는 이 배역으로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수상의 영광을 가진다.[19] 박찬욱 감독은 일찌감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라면 1인 다역을 소화할 거라 생각하고 캐스팅 요청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로다주는 이런 퍼포먼스를 인정받아 제76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미니 시리즈 · TV 영화 남우조연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20] 귀네스 팰트로는 비빔밥과 한식 매니아다.[21] 우엉은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냄새 때문에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음식이다.[22] 2021년에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공교롭게도 그는 6살의 로다주에게 마약을 접하게 한 원흉이면서 아들의 재능을 알아보고 일찌감치 배우로 밀어준 근본이었다. 그래도 가족애는 상당했으며 부자 관계도 매우 좋았다.[23] 결혼하기 이전의 본명은 수잔 러빈.[24] 500달러면 2020년대를 기준으로 60~70만원 수준이니 대다수의 서민들에게도 큰 돈이 아닌 액수임을 생각하면 재기 후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입장에서는 푼돈이나 마찬가지이다.[25] pushed me out[26] 마블 측에서 하워드에게 기존의 출연료의 1/8을 제안했다고 한다.[27] And I called my friend - that I helped get the first job - and he didn't call me back for three months.[28] Howard's response was unamused, hinting at tensions still existing between the two actors: "Oh, I love him. God's going to bless him."[29] 사실 이때 크리슈난 구루 무시는 다우니에게 리버럴 성향이 아니라는 대답을 유도해내기 위해 계속 흑역사인 마약 전과를 언급하며 면전에서 범죄자라고 지칭하거나, 그의 아버지까지 들먹이면서 아이언맨 캐릭터를 빈정대는 무례한 태도를 보여 사람들이 다우니가 안 때린 게 용하다고 평할 정도였다. 다우니가 박차고 나간 뒤의 영상에서도 크리슈난 구루 무시의 표정부터가 그냥 대놓고 어그로를 끌려는 의도라는 게 드러나, 다우니를 싫어하는 사람들까지 이견없이 크리슈난 구루 무시의 기레기적인 태도를 비난했다. 크리슈난 구루 무시는 예전에도 쿠엔틴 타란티노와의 인터뷰에서 비슷한 짓을 했다가 "씨발, 그러니까 그딴 거 처묻지 말라고 했잖아! 난 당신 머슴도 아니고 원숭이도 아니니까 날 낚을 수작부리지 말라고!"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30] 스칼렛 요한슨은 민주당원이고, 크리스 에반스도 민주당 지지자이다. 다만 크리스 프랫은 공화당 지지자인데, 이번 선거에서는 아무도 지지하지 않았다.[31] 모두까기 성향이었으나 2010년대 이후로 역시나 반트럼프 성향으로 인하여 민주당에 조금 더 우호적인 스탠스인 에미넴과 유사하다. 에미넴이 바이든을 지지했다고 해서 골수 민주당 지지자가 아니라는 것과 유사하다. 실제로 에미넴은 2000년대 초 당시 클린턴과 부시를 모두 디스한 적이 있다.[32] 참고로 톰 크루즈와 로다주는 2008년 《아이언맨(영화)》에서는 토니 스타크 배역의 최종 후보자들이었다.[33] 이 일화 때문에 국내에선 일론 머스크가 토니의 모티프가 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사실 원작 코믹스에서 토니 스타크의 모티프가 된 인물은 미국 출신의 괴짜 사업가 하워드 휴스이지만, 영화의 토니 스타크 캐릭터를 구축할 때는 머스크를 참고했기 때문에 모티프는 일론 머스크라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은 아니다.[34] 일본에서는 미국이나 한국보다 반년 이상이 지난 11월에 개봉했음에도 아이언맨의 세계적인 히트 소식이 그다지 알려지지 않았다. 당시 TV로 접할 수 있는 해외 연예 정보는 한류 스타들에 관련된 것들이 대다수였다. 결과 아이언맨의 일본 내 흥행 수익은 12억 엔이었고, 원과 엔의 환율을 대충 1:10으로 놓고 보면 한국의 절반 수준의 흥행에 그쳤다.[35] 마약사범에 엄격한 중국에서조차 아무 문제 없이 프로모션 활동을 한 것을 보면, 일본 측이 굉장히 깐깐하게 심사한 듯하다. 하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법대로 진행하는 당연한 조치를 취하기 때문에 항의해도 변하지 않다. 또한 외국에서 판결받은 범죄 여부도 확인하며(정확히는 1년 이상의 징역 여부)(정치형 범죄 제외) 징역형이 있으면 원칙적으로 영구 입국 금지에 해당된다.[36] 정작 행사에서도 진행자스파이더맨 의상을 입고 나와 '나는 마블 코믹스 팬인데 아이언맨은 잘 모른다'는 둥, 에티켓이 좋지 않았다.[37] 당시 일본 체류 기간 3일 동안 2kg이 빠졌다고 한다. 귀국 이후에도 이로 인한 컨디션 난조로 인해 차후 스케줄 대다수를 취소해야 했다고 한다. 2009년 영화 셜록 홈즈 개봉 당시 롤링 스톤과의 인터뷰에서는 해당 작품을 감량한 체형으로 촬영한 것은 이때의 식중독 때문이었다고 농담하기도 했다.[38] 어벤져스: 엔드게임 한국 레드카펫 행사에 10명을 추첨하여 투어 형식으로 참여할 수 있게 만든 이벤트 당첨자들과 로다주가 깜짝 팬미팅을 하는 영상이다.[39] MBC에서 방영한 굿나잇 앤 굿럭에선 권혁수, 온리 유와 원나잇 스탠드, 닥터 두리틀에선 안지환이 맡았다. KBS에서도 홍시호가 로다주를 맡지 않은 적이 몇 번 있는데, 채플린에서는 배한성, 아메리칸 셰프에서는 양석정이 목소리를 맡았다. 이외에도 아이언맨 3 기내 더빙은 곽윤상이 맡았다. 양석정은 아메리칸 셰프에서 마틴(존 레귀자모)을 맡아 카메오 출연한 로다주까지 중복으로 맡은 듯하다.[40] 그 외에 아무래도 상관 없지만 애니메이션 갓 오브 하이스쿨에서도 로다주를 모티브로 한 미국 대통령을 홍시호가 아닌 다른 성우로 캐스팅했다. 일본에선 그대로 후지와라 케이지.[41] 이케다 슈이치가 맡았다.[42] 한일 성우 모두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보다 연상이다. 한국 성우는 6살 연상, 일본 성우는 1살 연상이다.[43] 트레일러 노래도 아이언맨(영화)에 쓰인 AC/DCBack In Black이다.[44] 로다주의 5살 아역 시절 데뷔작이다. 정말 충격적이게도 그의 첫 대사가 "아저씨 성기에 털 달려있나요?" 였다.[45] 서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 어머니 엘시 포드와 아역 시절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함께 출연했던 작품. 여기서 나오는 '한 여성(The Woman)'의 배역이 엘시 포드로 그녀의 뛰어난 연기력도 볼 수 있다.[46] 주인공들을 괴롭히다 역관광 당하는 일진 콤비로 나온다.[47] 나 홀로 집에 제작자, 기획자로 유명한 존 휴즈가 감독, 각본을 맡은 영화로 알 펠드스타인(1925~2014)원작 소설을 토대로 만들었는데 한국에선 미개봉하고 비디오로 나왔다. 두 얼빵한 고딩 주인공이 가장 이상적인 여성을 기획하다가 현실화시킨다는 줄거리로 제작비 5배가 넘는 흥행을 거둬들였다. 여담으로 극중 창조된 여성 리사 역으로 캐스팅 시험을 맡던 당시 듣보잡 배우가 데미 무어였으나 탈락했고 켈리 르브룩이 맡았다.[48] 제65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후보작[49] 초반 설정은 한국영화 헬로우 고스트가 베낀거 아니냐는 논란이 나왔다. 주인공에게만 유령 4명이 들러붙고 주인공에게만 보인다는 설정. 물론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르다.[50] 제81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후보작[51]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수상작[52] 닥터 두리틀과 오펜하이머 이후에 유니버설 픽처스와의 3번째 영화[53] 제5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코미디 부문 남우조연상 후보작. 높은 시청률과 대중적 인기를 선보인 작품.[54] 수잔 다우니가 제작한 생전에 로버트 다우니 시니어의 일상을 다룬 다큐멘터리#[55] 이것은 한국의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한 당시의 제목이며, 원래 제목은 'Downey's Dream Cars'#[56] 제76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미니 시리즈 · TV 영화 남우조연상 후보작[57] 2024년 동조자까지 기준[58] 연극 무대 〈McNeal 〉로 2024년 9월 30일부터 11월 24일까지 브로드웨이의 비비안 보몬트 극장에서 공연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첫 번째 데뷔작. 내용은 가까운 미래에 ChatGPT와 같은 AI 기술력에 크게 의존하게 됐을 시 일어날 수 있는 표절과 저작권 침해에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소재로 다뤘으며, 일부 평론가들로부터 과도한 설정이라는 비평과 좋은 소재를 가지고 평이한 휴먼 스토리로 만들었다는 비평을 받기도 했다.기사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퀄리티의 무대 연출과 함께 애드립에 능숙하고 2024년 오스카도 수상한 로다주의 라이브 공연이었기에 관객들의 좋은 호응을 받으며 무대들은 대다수 매진을 기록했고 흥행에 성공했다.기사기사[59] 극중에서 주인공으로 한때는 뛰어난 실력으로 잘나갔으나 자신의 아이디어 고갈에 한계를 느끼고 점점 AI 기술에 의지하며 노벨문학상 수상을 노리는 가상의 소설 작가[60] Look, I respect the heck out of him, and I think for a man whose native tongue is Spanish to be able to put together a phrase like 'cultural genocide' just speaks to how bright he is.[61]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로키 2에서 우로보로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 출연했다.[62] 원출처#1 #2[63] 2014년 80세의 나이로 사망하기 전년도 2013년에 아들의 영화 아이언맨 3도 관람했다고 한다.[64] Allyson Downey.#[65] 다만 개인 공간 트레일러는 지속적으로 돌아다니며 촬영을 보조하는 역할인데, 인피니티 워 작중 아이언맨의 비중을 보면 5대까지는 아니더라도 여러 대는 있어야 할 것이다. 계속 스튜디오를 옮겨 다니며 촬영을 해야 하기 때문.[66] 브랜드 로고도 어설프게 프린팅 되어 있고, 대문자로 써야 하는 문구가 소문자로 적혀 있다거나 아예 원본 제품에는 없는 문구가 붉은 색으로 강조되어 적혀 있다. 오히려 짝퉁 판매업자라면 이렇게 만들지 않을 수준.[67] 이외에도 스티븐 스필버그, 맷 데이먼, 제이슨 베이트먼, 폴 러드, 오스카 아이작 등등 많은 지인들이 맥닐 공연을 방문했다. #[68] Every Breath You Take, Chances Are, Snakes 총 3곡으로 수록.[69] 대표적으로 히트작 중 하나인 2001년 TV드라마 앨리 맥빌 시즌 4에서 주인공 앨리 맥빌에게 직접 피아노를 치며 노래하는 장면들이 유명한 편.# 그리고 최근에도 2024년 TV드라마 동조자에서 피아노를 치며 노래하는 장면이 나왔다.[70] 이것은 한국의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한 당시의 제목이며, 원래 제목은 Downey's Dream C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