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2:02:14

동조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게임 제노기어스의 용어에 대한 내용은 동조자(제노기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a251d,#000000><colcolor=#ffff00> HBO 오리지널
동조자 (2024)
The Sympathizer
파일:동조자 국내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1000077038.jpg
장르 시대극, 전쟁, 스릴러, 드라마, 역사, 액션, 블랙 코미디, 첩보물
공개일 2024년 4월 14일 ~ 2024년 5월 26일[1]
공개 회차 7부작
제작사 A24 | 모호필름 | 롬버스 미디어 | 팀 다우니


<colbgcolor=#da251d,#000000><colcolor=#ffff00> 연출 박찬욱,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마크 먼든
극본 박찬욱, 돈 맥켈러[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a251d,#000000><colcolor=#ffff00> 제작 아만다 버렐, 박찬욱,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촬영 김지용
미술
음악 조영욱 }}} }}} }}}
원작 비엣 타인 응우옌[3] - 소설 《동조자》
출연 호아 수안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산드라 오, 토안 레, 프레드 응우옌 外
촬영 기간 2022년 11월 ~
스트리밍
[[미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화)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
3. 등장인물4. 줄거리5. 에피소드 목록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2024년 4월 14일부터 방영 중인 HBO 오리지널 시리즈.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미국으로 건너간 북베트남 스파이의 이야기를 담았다.

퓰리처 상을 수상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박찬욱 감독의 두 번째 드라마이자, 세 번째 해외 작품이다.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2.2. 포스터

파일:1000077038.jpg
파일:동조자 국내 포스터.jpg
▲ 포스터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조자/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조자/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에피소드 목록

<rowcolor=#ffff00>
회차
제목 방영 날짜 러닝 타임 각본
감독
1 죽음을 갈망하다
Death Wish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4.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4. 15.
57분 박찬욱
돈 맥켈러
박찬욱
2 모범적인 아시아인
Good Little Asian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4. 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4. 22.
60분 박찬욱
돈 맥켈러
나오미 리즈카
3 사랑하거나 떠나거나
Love It or Leave It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4. 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4. 29.
60분 박찬욱
돈 맥켈러
마크 리차드
4 명대사를 던져 줘
Give Us Some Good Lines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5. 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5. 06.
58분 박찬욱
돈 맥켈러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5 하나를 위한 모두
All for One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5. 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5. 13.
57분 박찬욱
돈 맥켈러
메건 호왕
마크 먼든
6 동양적 파괴 방식
The Oriental Mode of Destruction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5.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5. 20.
53분 박찬욱
돈 맥켈러
앤추리 펠리시아 킹
7 끝맺음은 늘 힘들지, 안 그래?
Endings Are Hard, Aren't They?
파일:미국 국기.svg 2024. 05. 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5. 27.
59분 박찬욱
돈 맥켈러

6.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88% 관객 점수 78%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스코어 80 / 100 점수 5.8 / 10 상세 내용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3.8 / 5.0 사용자 별점 3.4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7.4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8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87.5% 별점 3.6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79%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bbb><tablebordercolor=#2d2338><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
평점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82531><tablebordercolor=#182531><tablebgcolor=#182531,#191919> 파일:JustWatch-logo.png ||
평점 64%


세밀한 플롯 안에서 진술이 진실을 반박하고, 의심과 기만이 오가는 치열한 첩보전을 사실적으로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동시에 드라마는 원작이 그랬던 것처럼 아시아계 미국인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를 끌고 온다. 아시아계 미국인이 받는 차별과 그들이 겪는 향수, 가치관의 충돌 등,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심리를 겉과 속이 다른 스파이의 상황에 비유하여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익숙한 스파이 서사 아래 기존의 집단을 떠나 새로운 집단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이민자의 고뇌, 아시아계 이민자들을 대하는 미국사회의 위선과 차별 등, 각종 사회문제를 다루는 다층적인 플롯이 호평을 받는다.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혼혈이 흔치 않고, 다른 문화와의 교류나 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한국 관람객들은 위의 맥락을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경계인의 정서에 익숙치 않다면 주인공의 감정에 이입한다거나 내면의 갈등을 공감하지 못할 여지가 있다. [4]

배우들의 매력도 상당하다. 극의 90퍼센트 이상을 이끄는 대위 역의 호아 수안데는 연기 경험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열연을 펼쳤다. 본질적으로 북베트남인이지만, 어느 한쪽에도 자리잡지 못하고 떠도는 이방인의 이중적인 심리를 탁월하게 표현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역시 개봉 전부터 화제가 되었던 1인 5역 연기를 모두 훌륭하게 소화하며 극의 활력을 더한다. 그 외에도 본과 만, 미스 모리 역을 맡은 배우들 또한 제 몫을 해낸다.

박찬욱 감독이 연출한 1,2,3화는 이견없이 호평이지만, 4화부터는 평가가 갈린다. 페르난도 메이렐레스 감독의 스타일리쉬한 연출이 극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무엇보다 5,6,7화를 담당한 마크 먼든의 연출력이 앞선 두 감독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 5화에서 공연 장면을 지나치게 길게 보여주어 흐름을 끊는다던가, 중요한 인물을 맥없이 등장시키는 등, 후반부로 갈수록 아쉽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7. 기타



[1] 한국시간으로는 2024년 4월 15일 ~ 2024년 5월 27일[2] 캐나다의 배우 겸 감독으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아톰 에고이안 영화에 출연한 적이 있다. 《시스터 헌트》, 《그랜드 시덕션》 등을 연출.[3] 베트남계 미국 작가.[4] 실제로 문화적 다양성이 높은 서구권 국가들을 제외하면 흥행 성적이 썩 좋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