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4:05:51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 그룹에서 넘어옴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color:#ffffff,#000000;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002c5f; 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c83><colcolor=#ffffff> 그룹사
완성차 현대자동차 (N · 아이오닉) · 제네시스 · 기아
건설 현대건설 · 현대엔지니어링 (현대 테라타워) · 현대스틸산업 · 현대도시개발
부품 현대모비스 · 모트라스 · 유니투스 · 현대트랜시스 · 현대위아 (위아마그나파워트레인) · 현대엠시트 · 현대케피코 · 현대파텍스 · 현대아이에이치엘 · 에이치그린파워 · HTWO
재료 현대제철 (현대ITC · 현대IMC · 현대ISC · 현대IFC · 현대스틸파이프 · 현대IEC) · 현대비앤지스틸 (현대첨단소재 · 현대머티리얼) · 현대종합특수강 · 현대로템
금융 현대카드 · 현대캐피탈 · 현대커머셜 · 현대차증권
기타 광고 이노션 | IT 현대오토에버 · 지아이티 · 포티투닷 · 모셔널 | 로봇 보스턴 다이내믹스 | 물류 현대글로비스 · 지마린서비스 | 가스 그린에어 | 철도 메인트란스 · 동북선도시철도 · 로템SRS · 에스트랜스 · 김포골드라인SRS | 도로 울산하버브릿지 · 화성도시고속도로 | 전기차 충전소 E-pit | 산학 협력 현대엔지비 | 호텔 해비치 호텔&리조트 (제주) | 농업 현대서산농장 | 항공 슈퍼널
해외 지사 기아기차유한공사 · 화치 · 베이징현대 · 현대상용차 · 럭키 자동차 · 현대트랜스리드 · 베링 트럭(폐지)
합자 법인 쓰촨현대 · 치도 · 다임러 현대 상용차 주식회사(폐지) · GEMA(폐지) · HLI그린파워
그룹사 외
사회 공헌 해피무브 글로벌 청년봉사단
스포츠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 현대 모터스포츠 · 현대 N 페스티벌 · 현대 양궁 월드컵 · 현대자동차 정몽구배 한국양궁대회
시설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 | 연구소, 연수원 남양연구소 · 의왕연구소 · 환경기술연구소 · 현대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 · 현대인재개발원 · 글로벌상생협력센터
현대자동차 공장 울산 · 아산 · 전주 · 튀르키예 · 인도(첸나이) · 중국 · 앨라배마 · 체코 · 러시아 · 브라질 · 인도네시아 · 에티오피아 · 기아 오토랜드 광명 · 화성 · 광주 · 조지아 · 질리나 · 몬테레이 · 아난타푸르 · 럭키 자동차 · 쿤디나마르카 · ADM-지자흐 · 옌청 · 기타 시작 공장 · 동희오토 · 광주글로벌모터스 ·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자동차 전시장 현대 모터스튜디오 · KIA 360 · 제네시스 전시장 · N 시티 서울 | 자동차 정비소 현대 블루핸즈 · 오토큐 | 자동차 충전소 현대 EV 스테이션 강동 | 기타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 · 케이-시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대기업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순위 변동 집단명 동일인 계열사 수 자산총액 (조 원)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
1 (-) 파일:Samsung_Logo.svg
삼성
이재용 63 566.8
2 (-) 파일:SK 로고.svg
SK
최태원 219 334.3
3 (-)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70 281.3
4 (-) 파일:LG 로고.svg파일:LG 로고 화이트(활용형).svg
LG
구광모 60 177.9
5 (▲1) 파일:포스코 CI.svg파일:포스코 흰색 로고.svg
포스코그룹
포스코홀딩스(주) 47 136.9
6 (▼1) 파일:롯데 로고.svg
롯데
신동빈 96 129.8
7 (-) 파일:한화 로고.svg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한화
김승연 108 112.4
8 (▲1) 파일:HD현대 로고.svg파일:HD현대 로고 화이트.svg
HD현대
정몽준 29 84.7
9 (▼1) 파일:GS그룹 로고.svg파일:GS그룹 로고 화이트(활용형).svg
GS
허창수 99 80.8
10 (-) 파일:농협 로고.svg파일:농협 로고.svg
농협
농업협동조합중앙회 73 78.4
11 (-) 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 White(1).svg
신세계그룹
이명희 53 62.0
12 (-) 파일:KT 로고.svg파일:KT 로고 화이트.svg
KT
(주)KT 48 46.8
13 (-) 파일:CJ 로고.svg파일:CJ 로고 화이트.svg
CJ
이재현 55 39.8
14 (-) 파일:한진그룹 로고.svg파일:한진그룹 로고 다크.svg
한진그룹
조원태 34 39.0
15 (-) 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
카카오
김범수 128 35.1
16 (-) 파일:LS그룹 로고.svg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
LS그룹
구자은 67 31.9
17 (-)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그룹
박정원 22 26.9
18 (-) 파일:DL그룹 로고.svg파일:DL그룹 로고 화이트.svg
DL그룹
이해욱 45 26.7
19 (▲8) 파일:셀트리온 로고.svg파일:셀트리온 로고 화이트.svg
셀트리온
서정진 8 25.6
20 (▼1) 파일:HMM CI.svg파일:HMM CI.svg
HMM
HMM(주) 5 25.5
21 (▼1) 파일:중흥그룹 로고.svg파일:중흥그룹 로고 화이트.svg
중흥그룹
정창선 53 24.9
22 (▲2) 파일:미래에셋 로고.svg파일:미래에셋금융그룹 CI_White.svg
미래에셋금융그룹
박현주 30 23.2
23 (-) 파일:네이버 로고.svg
네이버
이해진 54 22.8
24 (▼3) 파일:현대백화점그룹 로고.svg
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27 22.1
25 (▲2) 파일:S-OIL 로고.svg
S-OIL
(주)S-OIL 2 21.6
26 (▼3) 파일:부영그룹 로고.svg
부영그룹
이중근 21 21.0
27 (▲18) 파일:쿠팡 로고.svg
쿠팡
쿠팡(주) 13 17.6
28 (▼1) 파일:금호아시아나 로고.svg파일:금호아시아나 로고 화이트.svg
금호아시아나
박삼구 24 17.3
29 (▼1) 파일:하림 로고.svg
하림그룹
김홍국 45 17.3
30 (▲1) 파일:SM그룹 CI.svg파일:SM그룹 CI_화이트 폰트.svg
SM그룹
우오현 58 17.0
31 (▼1) 파일:HDC 로고.svg
HDC
정몽규 35 16.9
32 (▼3) 파일:영풍그룹 로고.svg
영풍그룹
장형진 28 16.8
33 (▼1) 파일:효성그룹 신로고.svg파일:효성그룹 신로고 화이트.svg
효성그룹
조현준 57 16.5
34 (-) 파일:호반 CI.svg파일:호반 CI_white.svg
호반그룹
김상열 39 16.0
35 (▲13) 파일:DB그룹 로고.svg
DB그룹
김준기 25 15.7
36 (▼1) 파일:KT&G 로고.svg
KT&G
(주)KT&G 14 14.9
37 (▼1) 파일:KCC 로고.svg
KCC그룹
정몽진 14 14.2
38 (▼1) 파일:장금상선 로고.svg
장금상선
정태순 27 14.2
39 (▲13) 파일:교보생명 로고.svg
교보생명
신창재 14 13.2
40 (▼1) 파일:코오롱그룹 로고.svg
코오롱
이웅열 48 13.0
41 (▼3) 파일:OCI 로고.svg
OCI그룹
이우현 24 12.7
42 (▼2) 파일:태영 심볼.svg
태영그룹
윤세영 82 12.3
43 (-) 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넥슨
유정현 19 11.9
44 (▼2) 파일:세아그룹 로고.svg
세아그룹
이순형 26 11.7
45 (▼1) 파일:LX그룹 로고.svg
LX그룹
구본준 17 11.3
46 (▼5) 파일:넷마블 로고.svg파일:넷마블 로고 화이트.svg
넷마블
방준혁 35 11.3
47 (▲15) 파일:에코프로 로고.svg
에코프로
이동채 23 11.2
48 (▼3) 파일:이랜드그룹 로고.svg
이랜드그룹
박성수 31 10.9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
49 (▼3) 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svg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한국앤컴퍼니
조양래 24 10.3
50 (▲1)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태광그룹
이호진 20 9.6
51 (▼2) 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svg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 화이트.svg
금호석유화학그룹
박찬구 14 9.5
52 (▼2) 파일:다우키움그룹 로고.svg
다우키움그룹
김익래 48 9.5
53 (▲6) 파일:두나무 로고.svg
두나무
두나무(주) 12 9.4
54 (▼6) 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
삼천리그룹
이만득 47 9.4
55 (▼2) 파일:동원그룹 로고.svg
동원그룹
김남정 26 9.3
56 (▼2) 파일:KG그룹 로고.svg파일:KG그룹 로고 컬러 화이트.svg
KG그룹
곽재선 34 9.1
57 (▼2) 파일:HL그룹 CI.svg파일:HL그룹 CI_white.svg
HL그룹
정몽원 13 8.8
58 (▼2)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
한국GM
한국지엠(주) 3 8.8
59 (▼2) 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svg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 화이트.svg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13 8.3
60 (▼2) 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대방건설
구교운 42 8.1
61 (-)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주)한국항공우주산업 42 8.1
62 (▲1) 파일:애경그룹 로고.svg
애경그룹
장영신 31 7.1
63 (▲2) 파일:엠디엠 CI.svg파일:엠디엠 CI 화이트.svg
엠디엠
문주현 15 7.0
64 (▲3) 파일:크래프톤 로고.svg파일:크래프톤 로고 화이트.svg
크래프톤
장병규 8 6.9
65 (▲1) 파일:삼양그룹 로고(2024).svg파일:삼양그룹 로고 화이트(2024).svg
삼양그룹
김윤 13 6.9
66 (▲3) 파일:BS그룹 CI.svg파일:BS그룹 화이트 CI.svg
BS그룹
이기승 65 6.8
67 (▼4) 파일:동국제강그룹 CI.svg파일:동국제강그룹 CI 화이트.svg
동국제강그룹
장세주 12 6.7
68 재지정 파일:현대해상 CI.svg파일:현대해상 CI 화이트.svg
현대해상
정몽윤 13 6.7
69 (▼10) 파일:중앙그룹 로고.svg파일:중앙그룹 로고 화이트.svg
중앙그룹
홍석현 54 6.6
70 (-) 파일:글로벌세아 CI.svg
글로벌세아그룹
김웅기 20 6.3
71 (▼3) 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
아이에스동서
권혁운 36 6.3
72 (▼5) 파일:유진그룹 로고.svg
유진그룹
유경선 60 6.2
73 신규 파일:영원무역 로고.svg
영원무역
성기학 50 6.0
74 (▼2) 파일:DN오토모티브 CI.svg
DN그룹
김상헌 8 5.8
75 (▼7) 파일:고려해운 로고.svg
고려해운
박정석 24 5.8
76 (▼3) 파일:OK금융그룹 로고.svg파일:OK금융그룹 로고(화이트).svg
OK금융그룹
최윤 16 5.8
77 (▲4) 파일:BGF그룹 로고.svg
BGF그룹
홍석조 18 5.8
78 신규 파일:대신증권 로고.svg
대신증권
양홍석 117 5.7
79 (▼4) 파일:하이트진로 CI.svg
하이트진로그룹
박문덕 11 5.5
80 (▼2) 파일:농심그룹 로고.svg파일:농심그룹 로고 화이트.svg
농심그룹
신동원 23 5.4
81 (▼10) 파일:신영그룹 CI.svg파일:신영그룹 CI 화이트.svg
신영그룹
정춘보 33 5.3
82 (▼6) 파일:한솔그룹 로고.svg파일:한솔그룹 로고 화이트.svg
한솔그룹
조동길 21 5.3
83 (▼3) 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반도건설
권홍사 18 5.3
84 (▼5) 파일:삼표그룹 로고.svg
삼표그룹
정도원 33 5.2
85 신규 파일:HYBE 로고.svg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
HYBE
방시혁 15 5.2
86 신규 파일:대명소노그룹 CI.svg파일:대명소노그룹 CI 화이트.svg
대명소노그룹
박춘희 23 5.1
87 신규 파일:원익 로고.svg
원익
이용한 54 5.0
88 신규 파일:파라다이스 그룹 로고.svg
파라다이스 그룹
전필립 14 5.0
※ 2024년 기준
※ 동일인이 법인인 기업: (주)포스코홀딩스,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주)케이티, 에이치엠엠(주), (주)케이티앤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6개사
※ 동일인이 외국인인 기업: 에쓰-오일(주), 오씨아이(주), 쿠팡(주), 한국지엠(주) 4개사
※ 다음 업종의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법에서 정하는 중소기업의 규모보다 더 큰 기업(가. 금융업, 나. 보험 및 연금업, 다.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


<colbgcolor=#003c83><colcolor=#fff> 현대자동차그룹
現代自動車그룹 | HYUNDAI MOTOR GROUP
<nopad>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다국적 기업)
설립일 1967년 12월 29일 ([age(1967-12-29)]주년)
분리일 2000년 9월 1일 ([age(2000-09-01)]주년)
창업주 정주영
회장 정의선
규모 대기업
유형 복합 기업, 기업 집단
지주 회사 현대자동차[1]
업종 완성차, 자동차 부품, 철강, 건설, 철도, 방산, 금융[2]
매출액 285조 2,333억 원 (2023년 기준 / #)
영업이익 18조 260억 원 (2023년 기준 / #)
공정자산총액 281조 3,687억 원 (2023년 기준 / #)[3]
시가총액 114조 956억원 (2023년 10월 기준)
판매 차량 730만대 (2023년 / 세계 3위)
종업원 수 198,239명 (2023년 기준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12 (양재동)
링크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특징4. 기업 정신
4.1. 2011~
5. 오너 일가6. 경영진
6.1. 회장6.2. 부회장급6.3. 사장급 및 부사장급6.4. 역대 그룹 임원
7. 채용8. 그룹사
8.1. 완성차8.2. 제조업8.3. 건설8.4. 부품8.5. 금융8.6. 기타8.7. 스포츠 지원8.8. 매각/해산 기업
9. 사옥
9.1. 양재동9.2. 계동9.3. 삼성동 임시 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9.4. 강남역 사옥, 타이거 318
10. 공장11. 활동
11.1. 2030 부산세계박람회11.2. 빅캠페인
12. 순환 출자 문제13. 사건 사고14. 문제점 및 비판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현대자동차그룹(Hyundai Motor Group)은 그룹의 대표 사업이자 완성차 브랜드 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를 필두로 한 재벌로 2023년 현재 자산총액 기준 대한민국 재계 서열 3위에 위치한다.[4]

또한 2023년 기준 세계 자동차 판매량 3위의 거대 자동차 그룹이다. 자동차 관련 사업 외에 철강, 금융, 건설에도 진출한 거대 기업집단이다.

과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두 회사가 전체 매출의 9할을 차지하던 때에는 호칭은 '현대기아자동차그룹'이었다. 범현대그룹의 시초인 현대건설 인수가 마무리된 2011년 4월 1일에 새 CI가 발표되고 현대자동차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한국 자동차 제조사 중 유일하게 북미에 진출했으며[5] 최근에는 전기차는 물론 전 세계에서 몇 안되는 수소차를 만들고 있다.[6]

2. 역사

파일:현대기아자동차그룹 로고.svg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시절 로고 (2005년 ~ 2011년)

현대그룹의 자동차 사업 역사는 1967년 현대자동차 설립에서 비롯한다. 1974년에 자회사 현대자동차써비스를 설립하고 1977년 고려정공을 세워 자동차 부품사업에 나섰으며, 같은 해 시트 제조업체 효문산업을 세웠다. 1987년에 케피코를 세운 후 1993년에 현대오토파이낸스를 세우는 등 현대그룹의 자동차 관련 사업군을 구축해냈다.

1998년에는 기아자동차(現 기아)아시아자동차기아그룹의 일부 계열사들을 인수했다. 한동안 그룹 자동차부문은 정세영이 직접 맡아 키워왔으나,[7] 1999년에 맏형이자 회장인 정주영의 지시에 따라 장조카 정몽구에게 현대그룹 內 자동차부문을 모두 넘기고 현대산업개발을 받아 분가하였다.

이후 2000년 8월에 현대그룹 승계 문제를 두고 왕자의 난 후에 정몽구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 현대정공, 인천제철, 현대강관, 한국철도차량 등을 갖고 분가하여 '현대-기아자동차그룹'이 탄생했다.

출범 후 산학협력사인 엔지비를 설립하고 2001년에 다이너스클럽코리아를 인수해 신용사업에도 진출했다. 또한 동서산업으로부터 제주다이너스티를 인수해 레저사업에도 진출했다. 그리고 해태 타이거즈 프로야구단을 조흥은행에서 인수하여 KIA 타이거즈로 출범시키면서 대규모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됐다. 2002년 엠코를 세워 건설업에도 진출했다.

그렇게 그룹의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마무리 되던 시점인 2011년에는 정주영 시절의 현대그룹의 상징과도 같은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을 한국산업은행이 매각하겠다고 결정하자 이후 현정은이 이끄는 현대그룹과 경쟁하여 인수하는데 성공하면서 그룹명을 '현대자동차그룹'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된 곳이기도 하다. 2009년 현대 제네시스를 시작으로 2011년 엘란트라(아반떼), 2019년 제네시스 G70, 코나, 2020년 기아 텔루라이드가 수상하였고, 텔루라이드쏘울 EV는 세계 올해의 차에 한국차로선 처음으로 선정되었다.

유럽 올해의 차에는 현대 아이오닉 5가 형제차인 기아 EV6와 함께 후보에 올랐으며 최종적으론 3위에 올랐다.

2024년 EV9이 월드카 어워즈에서 최고 권위의 상인 ‘세계 올해의 자동차’에 선정됐다. 세계 올해의 전기차로도 뽑히며 2관왕을 차지했다.

2007년도부터 15년의 시간동안 삼성전자를 이은 대한민국 기업서열 2위 기업의 위상을 지키고 있었으나, 2022년 8월 기준 SK그룹이 현대자동차그룹을 꺾고 재계서열 2위로 올라서게 되면서 이것도 옛말이 되었다. 2023년에 둘의 격차가 더 심해지면서 현대자동차가 2위의 위상을 회복하기에는 요원해보인다.

3. 특징

그룹 전체가 자동차 관련 계열사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하부인 차량용 철강 생산에서부터 부품, 조립, 운송, 자동차 금융에 이르기까지 수직 계열화가 완성되었다.[8] 이러한 수직계열화는 글로벌 완성차 그룹 중에선 유일한 사례다. 그외에 자체 제철소를 보유한 자동차 제조사는 현대자동차를 제외하면 타타자동차 정도가 있고, 제철소가 아닌 제강소까지 확대하면 토요타가 있다. 세계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제철회사와 협력하여 철강을 조달받는다. 현대자동차도 현대제철 설립 이전에는 포스코에 상당 부분 의존했고 지금도 완전 대체[9]를 이루지는 못했다.

토요타 그룹도 수직 계열화가 된 회사가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토요타 그룹에서 소재 부문을 맡는 아이치제강과 현대제철을 비교하면, 현대제철이 일관제철소인 반면 아이치제강은 고로가 없는 제강소[10]에 불과하다. 회사 규모도 현대제철이 아이치제강보다 훨씬 큰[11] 회사다.

완성차 제조[12]뿐만 방산[13], 철도차량[14] 사업도 같이 진행한다. 그야말로 땅 위에서 바퀴로 굴러다니는 건 건설용 중장비[15]와 오토바이를 제외하면 대부분 다 취급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비슷한 예로 독일의 폭스바겐 그룹도 있기는 하나, 이쪽은 열차나 장갑차는 만들지 않는다.

또한 대규모 장치 산업의 대표격인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건설을 담당하는 계열사를 산하에 뒀으며 이를 담당하는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이 있다. 이런 그룹의 자본력을 이용하여 금융산업에도 진출했다. 할부, 리스, 신용카드 사업을 담당하는 현대캐피탈, 현대커머셜, 현대카드가 금융 계열사로 속하며, 퇴직 연금은 현대차증권에 몰아준다. 일단 현대자동차 몫인 1조원을 단독 유치하며 가볍게 증권사 퇴직연금 1위에 올랐다.[16] 또한 3월에 기아[17]를 시작으로 현대모비스, 현대제철, 현대건설 등 모든 계열사들의 퇴직연금을 단독 유치하였다. 특히 자동차, 철강, 건설업의 특성상 종업원 수가 매우 많아 엄청난 규모를 자랑한다. 퇴직연금자산 만으로 10조 원대 자산을 긁어모았다.

그 외에 그룹 내부의 전산시스템을 담당하는 현대오토에버, 그룹의 광고를 담당하는 이노션, 관광계열사 해비치리조트와 해비치컨트리클럽도 소유하고 있다.[18] 덕분에 각 계열사들의 내부 거래 비율이 엄청 높다.[19] 이 중 일부 회사는 과거 기아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기아그룹의 멤버들이 그대로 스며들어간 것이다. 일단 기아부터 말할 필요도 없다.

전북 현대 모터스, KIA 타이거즈여러 스포츠 팀을 운영중이며, 개념 체육협회로 칭송을 받는 대한양궁협회를 사실상 책임지고 운영 중이다.

2014년에 순환출자 고리를 대거 정리한 삼성과는 달리 현대차그룹은 정몽구 → 현대모비스 → 현대차 → 기아차 → 현대모비스로 연결되는 순환출자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복잡한 지분관계인데 각 계열사들의 주가가 너무 올라 후계자 정의선의 지분이 매우 미약하다.[20] 덕분에 지분 인수 자금의 마련을 위해 온갖 편법을 동원하여 덕분에 신나게 까인다.[21] 단적인 예로, 2015년 1월 정몽구와 정의선이 보유한 현대글로비스 지분 약 13.4%를 매각하려 했으나[22], 이것이 실패하면서 글로비스의 주가는 1월 13일에 무려 하한가를 기록했으며 1월 14일에도 9.22% 하락한 채로 마감하였다. 후에 다시 시도후 블록딜 성공 이때의 주가는 올랐다.

현대자동차의 비정규직 문제로 인해 대법원에서 '(같은 라인에서 일하는 사람이면 현대차 직원이니) 정규직화하라'는 판결을 받고 나서 그 이행을 차일피일 미루며 또다시 비판받았다.[23]

정주영이 세운 범(汎) 현대가(家)에 속하지만 정몽헌의 부인 현정은이 회장으로 있는 현대그룹과는 유명할 정도로 사이가 나쁜 편이다. 정주영 생전에도 왕자의 난을 계기로 형제 지간인 정몽헌과 정몽구 사이의 관계도 나빴으며[24] 정몽헌의 사후에도 그러한 관계가 정몽헌의 아내인 현정은에게도 이어질 정도로 사이가 좋지 않다.

2010년 현대건설 인수전 때 현정은의 현대그룹 측이 정몽구의 현대차그룹을 싸잡아 비난하고 폄훼하는 행위가 일어나 법적 분쟁까지 겪으면서 사이가 더 나빠졌다.[25] 물론 지금 규모로 따지면 현대차그룹이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현대자동차그룹이 현대그룹의 현대엘리베이터만 뺏어도 통으로 현대그룹을 흡수해버리고 현대그룹이란 이름까지 뺏어버릴 수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연구실의 자료에 따르면 2001년부터 현재까지 현대자동차그룹의 부품 협력사 중 46개사에 불과하던 대기업이 139개사로 3배가 늘었고 37개사였던 중견기업은 109개사로 2.9배 늘었다고 한다. 협력사의 총수출액은 3.8조원에서 30.1조원으로 7.9배 늘었고 이 중 현대기아차가 아닌 외국 완성차 업체의 비중이 60.1%로 오히려 높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낙수 효과가 실증되었다고도 하나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이므로 이를 두고 낙수 효과라고 할 수 있을지는 각자 알아서 판단하자.

세계 완성차 시장에서 입지의 경우 여러 가지 기준이 있을 수 있겠으나 기업을 평가하는 가장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잣대인 매출액과 영업이익에 견줘보면 2013년 기준으로 매출액 6위, 영업이익 4위로 전 세계에서 수위를 다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대비 영업이익이 대폭 깎였는데 노조의 특근 거부와 내수침체, 엔화 약세 등의 악재 때문이라고 한다. 토요타가 엔화 약세로 전년 대비 폭발적으로 많은 이익을 남긴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다만 실적의 경우 현대자동차그룹은 워낙 복잡한 지분관계에 방대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므로 완성차 업체만을 기준으로 한 단순 비교는 문제가 있다.(자세한 내용은 후술)

현대차는 해외시장 진출 초기 석유 파동으로 인한 세계적인 불황과 고유가 상황을 발판으로 고연비에 저렴한 자동차 가격을 강조하면서 빠르게 이름을 알렸으나, 안정적이지 못한 품질과 부실한 서비스 체인으로 금세 판매량이 폭락하며 그 뒤 20년 이상 변방 개발도상국에서 생산한 싸구려 이동수단의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 뒤로 꾸준한 품질 개량과 신차 개발 및 독자기술 개발 등을 거듭해 나가, 밀레니엄을 전후해서는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평균적인 품질, 설계수준을 어느정도 따라가는 무난하고 실용적인 자동차를 생산하는 회사 정도로 이미지가 약간 개선되었다.

판매량도 꾸준히 상승하긴 했으나 당시만해도 아직 세계 자동차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회사는 아니었고 판매량 기준으로 10위권에 끼지 못하는 저렴한 2류 브랜드 정도로 인식되었다. 그러던 중 2000년대 후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전 세계적인 불황에서, 상술한 오일쇼크 때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시장과 미국시장에서 판매량이 대폭 늘어나며 주목받기 시작한다.

이어 2011년 동일본대지진의 영향으로 미주시장을 주름잡던 일본계 메이커들이 생산차질 등으로 일시 고전하는 시기를 틈타 현대기아차의 시장 점유율이 큰 폭으로 다시 한번 늘어났다. 때맞추어 업게 톱급인 디자이너 피터 슈라이어루크 동커볼케, 그리고 저명한 기술자 알버트 비어만을 그룹 차원에서 잇달아 영입하며 신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데, 권위있는 자동차업계 어워드 등에서 연이어 수상하는 등 상품성에 대한 평도 상당히 호전되어 이전같은 싸구려 2류 브랜드 이미지를 벗어나서 글로벌 주류 자동차메이커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10년대 내내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며 내수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매출은 계속 신장하였는데, 2020년 초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더믹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원자재값 폭등 같은 여러 제약 속에서 타 글로벌 메이커들 대비 상대적으로 크게 선전하여 판매량 기준 도요타그룹, 폭스바겐 그룹에 이은 세계 3위, 북미시장 판매량은 도요타, 제너럴모터스, 포드에 이은 4위로 올라섰다.

2014년 9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의 구 한국전력공사 사옥 부지를 무려 10조 5,500억원에 낙찰받아 논란이 되었다.(10조나 되는 돈을 부동산에 투자하였다고 비판받는다) 이는 당시 감정가인 3조 5천억 원 정도의 3배를 넘으며 같이 입찰한 삼성전자5조 원 정도를 적은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26][27] 이런 과도한 지름을 한 이유에 대해 현대자동차그룹측에서는 얼마를 써서라도 이 자리에 신사옥을 세워서 그룹의 새로운 시대를 열겠다고 홍보했다.

그러나 그 부지가 영동대로 통합개발 계획 및 2017년-2022년 부동산 폭등에 힘입어 땅값이 크게 오르면서 일부에서는 현대차의 '신의 한수'라고 평가하고 있다.

2018년에 현대모비스의 사업 분리 등 구조 개편에 나선다. 그러나 2018년 5월 21일 엘리엇 등 사회 곳곳에 반대에 지배 구조 개편안을 철회하고 보완해 재추진한다고 밝혔다. #

정몽구의 아들 정의선은 부친의 경복고등학교 후배인 삼표그룹 회장 정도원의 장녀 정지선과 결혼하여 삼표그룹과 사돈관계이며, 2000년에 현대제철(당시 인천제철)에서 강원산업그룹의 모기업이자 철강회사 강원산업을 합병하고 그로 인해 삼표산업 성수공장 부지를 현대제철이 소유해 마천루를 기획했으나 실패하고 이후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추진하게 된다. 정몽구의 장녀 이노션 고문 정성이는 대전 선병원 이사장 선두훈과 결혼했고 이 둘의 아들 선동욱은 애경그룹 총괄부회장 채형석의 딸 채수연과 결혼해 애경그룹과도 사돈 관계가 형성됐다.

4. 기업 정신

4.1. 2011~

Together for a better future
무한책임정신, 가능성의 실현, 인류애의 구현
고객 최우선, 도전적 실행, 소통과 협력, 인재 존중, 글로벌 지향

5. 오너 일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범현대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영진

6.1. 회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c83><tablebgcolor=#003c83>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현대자동차그룹
회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83 0%, #003c83 20%, #003c83 80%, #003c8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정몽구
(2000~2020)
제2대
정의선
(2020~ )
}}}}}}}}}}}}}}} ||

6.2. 부회장급

6.3. 사장급 및 부사장급

6.4. 역대 그룹 임원

7. 채용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채용에 대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채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범현대의 직군에 대한 내용은 직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그룹사

매출 (단위:억)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현대자동차 963,761 968,126 1,057,464 1,425,275
기아 535,357 541,698 581,460 591,690 698,624 865,590
현대모비스 351,446 351,492 380,488 366,265 416,965 519,063
현대글로비스 163,583 168,656 182,701 165,205 217,795 269,818
현대제철 191,660 207,804 205,126 180,234 228,499 236,669
현대건설 168,871 167,309 172,788 212,391
현대트랜시스 40,062 42,668 76,781 102,563
현대엔지니어링 62,682 62,862 68,010 88,125
현대위아 75,956 78,805 73,146 82,076
현대캐피탈 32,435 30,879 30,773 42,802
현대로템 29,848 27,257 24,119 27,853 28,725 31,633
현대카드 30,207 24,896 23,707 25,261 27,449 30,162
현대오토에버 14,734 14,249 15,718 15,626 20,703 27,545
현대케피코 17,860 19,631 21,273 18,808 20,290 22,554
현대비앤지스틸 7,259 7,127 7,333 6,802 8,557 12,812

현대자동차그룹은 크게 완성차, 철강, 건설, 부품, 금융, 기타 등 6개의 사업 영역으로 분류한다. 완성차는 현대자동차기아가 그룹의 맏형 노릇을 하고, 부품은 워낙 계열사가 많지만 주요 회사로는 현대모비스·현대위아·현대트랜시스를 꼽을 수 있다.[30] 제조업과 건설에서는 각각 현대제철·현대로템·현대건설 등이 자회사들을 모두 종속회사로 두고 기타에는 현대글로비스이노션이 규모가 크다. 금융 분야는 현대캐피탈·현대커미셜·현대카드 같은 알짜 회사들을 소유하고 있다. IT 분야에는 계열사에 IT 서비스를 지원하는 회사인 현대오토에버가 있다.

현금창출력 지표인 EBITDA를 기준으로 순서를 정하면 2016년 완성차 10조, 자동차 부품 5조, 철강 2조 8,000억, 건설 1조 2,000억, 그외 기타 1조 정도 된다. 비금융 분야를 모두 더하면 매출 200조, EBITDA 20조 정도. 금융 분야에서는 5,500억 정도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8.1. 완성차

8.2. 제조업

8.3. 건설

8.4. 부품

현대차그룹의 부품 계열사는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를 말 그대로 주름잡는 회사로 2021년 기준 세계 100대 자동차 부품회사에 이름을 올린 8개의 한국 회사 중 4개가 현대차그룹의 계열사다.

부품 계열사가 많고 또한 사업 영역도 겹치는 터라 구분이 쉽지 않은데 2020년 이후 100대 부품회사에 이름을 올리는 주요 4개사(모비스, 위아, 트랜시스, 케피코) 간의 교통정리가 어느 정도 이뤄졌다. 모비스는 동력계통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고부가가치 부품과 모듈(여러 부품 계열사 및 협력사에서 납품을 받아 반조립해서 현대·기아 완성차에 납품)사업, A/S용 부품을, 위아는 부품 계열사 중에는 유일하게 엔진을 생산하며[36] 부변속기·등속조인트 그리고 모듈도 일부 담당하며, 트랜시스는 자동변속기, 자동차 시트와 수동변속기DCT를 전문으로 한다. 그 외에 자동차 전장(주로 전자제어 시스템)을 생산하는 현대케피코, 단종 차량의 A/S 부품 전문 현대파텍스 등이 있다.

8.5. 금융

8.6. 기타

8.7. 스포츠 지원


이중에서 독립 법인은 전북 현대 모터스KIA 타이거즈뿐이며 현대 쉘 월드 랠리 팀은 현대 모터스포츠 법인이 담당한다. 특이하게 유럽 지역 본부 소관이다.

자동차 부문 중에서는 전세계 단 하나뿐인 FIFA 월드컵 공식 파트너사 중 한 곳이다. 이 대회가 열리면 선수 수송 차량으로 현대/기아차만이 차량 등을 단독 후원하며 그 대가로 대한민국 기업 중 거의 유일하게 FIFA의 상표권, 월드컵 로고와 마크 등을 독점적으로 이용한다.[44] 상표권 문제로 월드컵의 월자도 쓰지 못하며 매복 마케팅을 하는 기타 경쟁기업과는 달리 월드컵을 대놓고 드러내며 홍보를 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45]

그룹 차원에서 양궁을 후원한다. 정몽구는 대한양궁협회장을 4연임했으며 아시아 양궁 연맹장도 역임했다. 현재는 대한양궁협회 명예 회장 겸 국제 양궁 연맹 명예 부회장이다. 이후 현대비앤지스틸 대표 유홍종이 2회 역임했고 전 현대다이모스 사장 이중우이 한번 역임한 후에 부친의 뒤를 이어 정의선이 양궁협회장을 맡는다. 관련 기사 이외에 개인 후원으로는 골프 선수 김형성(현대자동차), 라파엘 나달(기아) 등이 있고 앞서 서술했듯, FIFA 월드컵, 슈퍼볼[46], 대한축구협회 등 여러 대회와 협회의 스폰서로 후원을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 문서를 참조.

8.8. 매각/해산 기업

9. 사옥

9.1. 양재동

파일:현대자동차그룹양재동사옥.jpg
서울 양재동 본사
현재 이곳이 그룹의 본부 구실을 한다. 정몽구정의선 부자의 집무실이 여기에 있고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제철 등 주력 계열사의 본사가 이 건물에 입주해있다.

원래는 지금처럼 쌍둥이 빌딩이 아니었고 기아 로고가 붙은 건물(서관)만 있었다. 사실 농협이 지었던 건물로[48], 농협의 신사옥 용도로 1996년 1월에 착공하여 1999년 12월에 완공했는데, 당시 1997년 외환 위기를 맞아 분위기 때문에 써보지도 못한 채 매물로 내놓았고 마침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하여 사옥을 마련해야 했던 현대자동차와 의견이 맞으면서 판 것이다.[49] 농협이 이 건물을 내놓게 된 계기에는 농협과 현대자동차에 1990년대 재직했던 사람들 사이에서 전설처럼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건물이 거의 완공되던 무렵에 당시 취임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김대중 대통령이 지방 순시를 마치고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상경하다가 양재동 인근을 통과하면서 "저 건물은 뭔가?"라고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새로 짓는 농협 본사 건물입니다"라는 답이 돌아왔다고 한다. 그러자 김대중 대통령은 "농협이 뭐 저렇게 으리으리한 큰 건물이 필요해?"라고 탐탁지 않아 하였고… 그 길로 마침 외환 위기 사태와 맞물려 신축건물을 매물로 내놓게 된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는 단순히 도시전설은 아니며 당시 농협에 재직했던 간부급 이상은 모두 아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후 2006년 사옥이 비좁아지자 현재 현대자동차가 사용하는 건물(동관)을 옆에 지으면서 쌍둥이 빌딩이 되었다. 사옥 증축 공사 당시 사진

꽤 오랫동안 현대와 기아 둘 다 건물 꼭대기층에 심볼과 영문 워드마크 조합의 로고 간판을 달고 있었으나 2021년 기아가 새 로고를 발표하면서 워드마크 없이 심볼만 달아 놓았고 얼마 안가 현대도 워드마크를 떼고 심볼만 달아 놓았다. 야간에 켜지는 조명 색상도 그 전에는 각자 브랜드 컬러였던 파랑과 빨강으로 빛났으나 교체된 간판은 그냥 흰색으로 조명이 들어온다.

참고로 노동계에서 초강성 전투력을 자랑하는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상경 투쟁을 펼치면 십상팔구 이 건물을 에워싸는 형태로 집회를 치른다.

9.2. 계동

파일:external/img.newspim.com/20130214000410_0.jpg
계동 사옥 (2011~ )

현대자동차그룹을 비롯한 범 현대가의 역사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영욕의 건물.

과거 현대그룹의 핵심 계열사들의 본사였으나 1998~2002년에 현대그룹이 2세 경영으로 접어들면서 이 사옥은 현대건설 몫으로 배정되었고 그대로 현대그룹 사옥이 될 예정이었으나[50] 이후 현대건설이 부도가 나버리고 경영권은 채권단에 넘어갔고, 이때 재정난에 빠진 현대그룹이 계동 사옥의 일부 층을 같은 범현대가인 현대자동차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에 팔았다. 따라서 현대그룹,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서울지사)이 한동안 불편한 동거를 하게 되었다.

그러다 2011년에 현대자동차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하면서 완전히 현대자동차그룹의 소유가 되었다. 계동 사옥은 특히 정몽구에게 의미가 매우 깊은 곳이기도 하다. 2000년 왕자의 난 당시 현대그룹 공동 회장으로 계동에서 근무하였으나 결국 경영권 승계 다툼에서 패배하는 바람에 현대자동차를 위시한 소수 계열사를 이끌고 현대그룹에서 독립하여 현대자동차그룹을 창설한 정몽구는 당시 계동 사옥에서 쫓겨나듯 나가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때문에 급히 매물로 나온 빌딩을 알아보던 중 양재동 농협 사옥이 매물로 나온 것을 발견하고 바로 인수한 뒤 이후에 본사 한동을 더 지어 양재동에 현대차 타운을 급조하였다. 하지만 2011년 현정은의 현대그룹과의 경쟁 끝에 현대건설 인수전에서 승리하며 결국 과거 쫒겨 나오다시피 한 계동 사옥도[51] 11년 만에 되찾는데 성공했다. 실제로 현대건설 인수가 마무리된 2011년 4월 1일, 정몽구는 2000년 그룹 계열 분리 이후 11년 만에 계동 사옥으로 출근하면서 감개무량하다는 의견을 남겼다. 이후에도 가끔 계동 사옥으로 출근했다고 한다. 참고로 전국에 있는 현대 빌딩들은 계동 사옥과 거의 흡사한 외관으로 지어졌다. 여담이지만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은 이 아치 창틀 디자인의 사옥에 대해 매우 자부심이 있었다고 한다. 경쟁 기업 삼성그룹의 태평로 삼성본관에 비해 건설비가 3분의 1밖에 안 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9.3. 삼성동 임시 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

파일:external/res.heraldm.com/20150721000759_1.jpg
삼성동 임시 사옥 (2014~2016)

2014년 즈음 임시로 사용한 삼성동 사옥이며 현재는 신사옥 건설을 위해 철거되었다.

삼성동한국전력공사 부지를 매입하여 그룹 본사를 통합 이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덧붙여 사옥이 지어지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때까지만이라도 구 한전 사옥에 계열사를 입주시켜 달라는 한전과 지역 상인들의 요청이 있어 성사되었다.
파일:GBCHD.jpg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공사 중)

2020년 5월 20일에 착공했으며 완공 시점은 2028년 하반기로 예정했으나… 현대차 회장 교체 및 서울시/강남구와 의견 대립 끝에 무기한 연기. 자세한 내용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문서 참고.

9.4. 강남역 사옥, 타이거 318

파일:타이거318.jpg
강남역 사옥 (2023~)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50에 위치한다. 2023년 중순부터 국내사업본부가 영동대로 대치동 사옥을 떠나 입주를 하였고 지상 19층 지하 6층으로 되어있다.

본래 그 자리엔 1983년에 지어진 건물이 있었고, 이를 대우건설이 2007년에 매입하여 개수한 후, 푸르지오 밸리라는 주택 전시관으로 2008년 2월에 개관했다. 이후 현대자동차가 2012년에 이 건물을 인수한 후, 재건축 후 현대오토스퀘어로 바꿨으나 2019년 10월에 SK디스커버리에 되팔았으며, 이를 KCC건설이 재건축한 것이 타이거 318 타워이다.

결국 현대자동차가 이 건물을 2,500억원 이상 주고 되사면서, 결국 돌고 돌아 제자리가 되었다.

10. 공장

10.1. xEV 공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 조지아 주에 건설중인 현대, 기아, 제네시스 세개 브랜드의 통합 xEV[52] 공장이다.

11. 활동

11.1. 2030 부산세계박람회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유치 열기를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부산국제모터쇼 현대자동차/기아 공식 부스의 대형 LED 전광판을 활용한 공식 유치 홍보 영상 상영, 현대자동차/기아 판매 거점에 2030부산세계박람회 공식 홍보 리플릿 배치,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고양에서 부산세계박람회 홍보 QR코드를 활용한 유치 캠페인 진행, KIA 타이거즈 및 전북 현대 모터스와 함께 플랜카드 설치, 부산세계박람회 엠블럼 패치 부착 등을 진행했다.

또한 아시아, 미주, 유럽 등 국제박람회기구 회원국을 대상으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활동을 진행했으며, 임원급 이상 주요 해외 법인 출장 시 활동을 진행했다.

11.2. 빅캠페인

2016년부터 신기술을 소개하는 빅캠페인을 진행해 오고있다.
현대자동차그룹 빅캠페인
2016년 고잉홈#
2017년 재잘재잘 스쿨버스
2019년 조용한 택시
2020년 리틀빅 이모션
2021년 디어 마이 히어로
2023년 힐스 온 휠스
2024년 사륙, 사칠-소방관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12. 순환 출자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순환출자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재 대부분의 재벌가들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였으나, 아직 현대자동차그룹은 손도 못대고 있다.[53][54]

현대모비스를 중심으로 지주회사체제를 만들겠다고는 했으나, 여러문제로 아직 시도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3.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문제점 및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자동차그룹/문제점 및 비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둘러보기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세계 10대 자동차 그룹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4년 상반기 그룹사별 판매량 순위
순위 국적 그룹사명 판매량
1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토요타 워드마크.svg
토요타 그룹
500만 대
2위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폭스바겐 그룹 로고.svg파일:폭스바겐 그룹 로고 화이트.svg
폭스바겐 그룹
415만 대
3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그룹
370만 대
4위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로고.svg파일: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로고 화이트.svg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320만 대
5위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텔란티스 로고.svg파일:스텔란티스 로고 화이트.svg
스텔란티스
308만 대
6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 화이트.svg
제너럴 모터스
270만 대
7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포드 로고 컬러.svg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포드
193만 대
8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혼다 로고.svg파일:혼다 로고 화이트.png
혼다
191만 대
9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svg파일:스즈키 주식회사 로고 화이트.svg
스즈키
161만 대
10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비야디 자동차 CI.svg
BYD
142만 대
출처: #
틀:세계 10대 자동차 브랜드 | 틀:세계 10대 최다 판매 자동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c83><tablebgcolor=#003c83>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파일:현대자동차 심볼 화이트.svg 파일:제네시스 로고 블랙.svg파일:제네시스 로고.svg 파일:기아 로고.svg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기아

파일:FIFA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파트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사우디 아람코 로고 화이트.svg 파일:아디다스 심볼 화이트.svg 파일:코카콜라 로고 화이트.svg
파일:현대자동차 심볼 화이트.svg 파일:비자카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Qatar Airways logo white.png
파일:기아 로고 화이트.svg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4대 기업집단
파일:Samsung_Logo.svg 파일:SK 로고.svg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파일:LG 로고.svg파일:LG 로고 화이트(활용형).svg


범현대가
파일:현대그룹 로고.svg파일:현대그룹 로고 화이트.svg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파일:현대백화점그룹 로고.svg
파일:HD현대 로고.svg파일:HD현대 로고 화이트.svg 파일:현대해상 CI.svg파일:현대해상 CI 화이트.svg 파일:HL그룹 CI.svg파일:HL그룹 CI_white.svg
파일:HDC 로고.svg 파일:KCC 로고.svg 파일:현대코퍼레이션 로고.svg
파일:후성그룹 로고.svg 파일:서한그룹 국문 로고.svg 파일:문화일보 제호.svg파일:문화일보 제호 화이트.svg

[1] 하지만 현대자동차는 다른 자회사들에 대한 지배력이 강할 뿐, 실질적으로 지배 구조의 정점에 있는 회사는 현대모비스다.[2] 사실상, 그룹의 모태이자 국내 건설회사 2위인 현대건설, 자동차 산업과 아무런 연관이 없는 금융회사인 현대캐피탈, 현대카드, 현대차증권을 제외하면 자동차를 중심으로 전후방 수직계열화 및 수평계열화가 되어 있다. 사실 현대건설도 그룹 내 부동산이나 공장 등의 유지보수부터 신사옥 건립 계획의 핵심 역할을 하고 현대캐피탈과 현대카드가 자동차 관련 할부 상품을 판매하며 그룹 내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걸 보면 증권업을 하는 현대차증권이 그룹 내에서 가장 이질적인 계열사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나머지 계열사들을 보면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부품 자회사들과 현대로템은 자동차와 연관된 기업으로 부품 계열사들은 단일 기업으로 묶으면 세계에서 순위권 내에 들어가는 거대기업이고, 현대로템은 방위산업과 열차 등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갖췄으며 현대제철 또한 당진에 일관제철소를 건설, 확장하면서 독자경쟁력을 키우고 있다.[3] 2022년 SK에 밀려 재계 3위로 내려왔다.[4] 오랜 기간 삼성에 이은 재계서열 2위의 위치를 고수해왔으나, 2022년부로 SK에 역전당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전통적 제조업에 비해 21세기 들어 SK가 새로 추구한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사업의 성장률이 좋다보니 자산 규모가 현대차를 뛰어넘은 것이다.[5] GM 한국사업장(구 한국GM, GM대우)은 GM의 한국 현지법인이다.[6] BMW 그룹토요타 그룹을 제외하면 제조사가 몇 군데 안되며 수소차 부분 전 세계 1위이다.[7] 여기서 예외는 갤로퍼와 싼타모를 제작하던 현대정공 자동차사업부(現 현대자동차 울산5공장). 이쪽은 정몽구가 처음부터 끝까지 키운 곳이다.[8] 철강(열연: 현대제철 → 냉연: 현대하이스코) → 부품(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현대트랜시스, 현대케피코 등) → 모듈(현대모비스, 현대위아) → 완성차(현대차, 기아, 제네시스)+물류(현대글로비스)+자동차 금융(현대카드)[9] 업계에선 현대제철의 역량과 그룹내 수요가 충분함에도 당진제철소 증로를 멈춘 것이 철강재의 지나친 자급화는 다양성 대응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즉, 현대제철에 전적으로 의존한 상태에서 모종의 이유로 철강 공급이 끊기면 퇴로가 없다는 것이다. 때문에 현대자동차그룹은 지금도 포스코와 긴밀한 사이를 유지하려 노력 중이다.[10] 엄밀한 의미에서 '제철'소는 용광로를 바탕으로 '철광석→철'의 공정을 갖춘 공장을 뜻한다[11] 매출액 기준 7~8배.[12] 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13] 기아, 현대위아, 현대트랜시스, 현대로템[14] 현대로템[15] 범현대가 기업 중에서 HD현대 산하의 HD현대건설기계가 이 사업을 한다.[16] 전체로는 8위다. 1위는 역시 모기업올인을 받은 삼성생명[17] 이쪽도 1조 원 이상이다.[18] 리조트를 임직원 복지용으로 활용하고 생각보다 수익이 많이 나온다. 무엇보다도 처음 리조트를 추진하던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제주도 해비치리조트 지가가 10배 이상 뛰어 가치가 상당히 높아졌다.[19] 보험은 당연히 동생회사인 현대해상에 가입한다.[20] 특히 정의선은 모비스 주식을 단 한 주도 가지지 않았으나 코로나 19 사태로 주가가 하락한 2020년 3월 19일 190억을 들여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의 주식을 매입했다. #[21] 그룹 물량 몰아주기로 정의선이 설립한 비상장회사를 급성장시켜 주가를 띄운 후 상장시켜 그 지분을 매각해 자금을 마련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본텍, 글로비스, 앰코의 3총사가 대표적.[22] 그룹의 일감을 몰아받는 회사에 대해 오너 일가의 지분이 30%를 넘어서는 안 된다는 공정거래법 조항을 들었다.[23] 덕분에 서울시청 앞과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옥상은 판결 이행을 촉구하는 사람들이 한동안 시위를 벌였다.[24] 다만 현대그룹 계열 분리 과정에서 경영권을 두고 정몽구와 정몽헌이 갈등을 벌여서 공개적으로는 사이가 좋지 않지만 사적으로는 의절하지 않고 우애를 유지하였다. 2003년 정몽헌이 대북송금 특검으로 검찰의 조사를 받던 당시 정몽구가 검찰 인사들을 찾아가 정몽헌의 선처를 호소하였고 결국 정몽헌이 자살하자 정몽헌의 장례식을 정몽준과 함께 진행하였다. 정몽헌의 발인일에 정몽구는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였다.[25] 다만 현정은 회장은 정몽구와 갈등 뿐만 아니라 시숙부 정상영 KCC 명예회장, 시동생 정몽준 현대중공업 총수와도 한때 현대그룹 경영권을 두고 분쟁을 벌인 적 있어서 무조건 현대자동차그룹과만 사이가 나쁘다고 하기도 뭣하다. 실제로 지금은 모두 계열분리되어 남남인 범현대가 일원이 그래도 무슨 일이 생기면 형제 가문끼리 서로 돕거나 밀어주는 것과 달리 현정은의 현대그룹만 따로 노는 걸 보면 답이 나온다.[26] 삼성 측이 8조 원을 불렀다는 추측도 있다.[27] 사실 삼성은 이미 삼성타운이라는 통합사옥이 있어 현대만큼 사옥 부지가 절실하지 않았다. 따라서 삼성이 의외로 적은 금액을 적어냈어도 이상할 게 없다.[28] 정몽구 명예회장의 둘째 사위. 정의선 회장에게는 매형이 된다.[29] 등기부 상 명칭은 김데이비드덕환이다.[30] 모두 세계 100대 자동차 부품 회사에 이름을 올렸다. #[31] 2015년에 출범된 고성능 서브 브랜드이다.[32] 2020년에 출범된 전기차 서브 브랜드.[33] 정확히는 국내에서 법인 분리만 되지 않은 상태이다. 브랜드 라인업 및 사업 부서 자체는 현대자동차그룹 내에서 현대차와 별개로 독립되어 있어 현대차의 연장선상에 있는 N이나 아이오닉과 동일선상에 두고 보기는 애매하다는 것이다. 국내 및 해외 사이트맵 또한 현대차와 다른 별도의 사이트맵을 사용하며, 모델 비교란에도 독립 브랜드로 공식 표기한다. 해외의 경우, 국내와는 달리 현대차와 제네시스는 법인 또한 각각 북미는 HMA와 GMA, 유럽은 HME와 GME로 분리되어 있다. 북미뿐 아니라 중동, 호주, 중국, 유럽 시장 모두 이와 같이 법인이 현대차와 분리되어 있다. 즉, 현대차그룹 산하의 별도 브랜드이지 서브 브랜드가 아니며, 현대자동차그룹도 별도의 브랜드로 표기하고 있다. (물론 제네시스 브랜드와 그 차명 등의 상표권은 모기업인 현대자동차그룹이 갖고 있으며, 개발 및 마케팅 비용도 현대자동차그룹 측에서 부담한다.)[34] 현대하이스코 사장이던 신성재는 정몽구의 막냇사위인데, 하이스코를 따로 떼서 준다는 설도 돌았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혼 후 퇴직했고 얼마 못 가 회사도 없어졌다.[35] 그룹 내에 이 회사를 편입시킴으로써 현대차그룹은 현대가의 정통 기업집단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36] 엔진은 자동차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중의 핵심인 만큼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가 직접 생산하며 이는 현대기아도 마찬가지다.[37] 회사 창립시에는 현대그룹/보쉬/미쓰비시전기에서 50:25:25로 합작했으나 이후 보쉬가 미쓰비시전기 지분 25%를 인수, 현대:보쉬 50:50 합작사가 되었다. 이 50% 지분까지 현대에서 인수한 것.[38] 현대캐피탈 배구단 구단주도 겸임하고 있다.[39] 정몽구의 둘째 딸이다.[40] 이는 서울지방법원에서도 인정했다.[41] 참고로 이곳에는 정주영이 생전에 사용하던 물건들과 직접 운전한 갤로퍼(1994년식)가 전시되었다.[42] 높은 등급의 쌀과 소고기는 당연히 현대백화점으로 납품한다.[43] 1986년에 기아자동차 실업팀으로 창단하여 1997년에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로 프로화했다. 그리고 모기업 기아자동차가 현대자동차그룹에 피인수되면서, 2000-2001 시즌이 끝나고 현대정공으로 이관되었다. 기업이 1계열사 1구단 정책을 시행하는 데다 해태 타이거즈를 기아자동차로 인수하면서, 야구단에 기아를 붙이고 농구단을 다른 계열사로 이관한 것.[44] 단 현대차와 기아차가 아닌 현대모비스 등 기타 계열사 등은 제외되며 대한축구협회와 2차 스폰서를 맺은 기업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매복 마케팅 참조.[45] 솔직히 월드컵 광고는 국내 광고보다 해외 광고가 더 나은 편이다.[46] 슈퍼볼 뿐 만 아니라 대학 미식축구 보울 게임 중 하나인 휴스턴 현대 썬 보울을 후원하고,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공식 스폰서이기도 하다.[47] 종로학원과 종로학평은 엄밀히 현대차그룹 소속은 아니고 사돈 정경진 가문 소유였다. 다만 아들 정태영이 현대차그룹에서 금융부문 부회장직을 맡았고 명목상의 종로학원 대표직도 맡아 2005년에 정식 편입된 바 있다.[48] 그래서 건물 뒤편에 하나로마트 양재점이 있는 것이다.[49] 사옥 이전이 좌절된 농협은 훗날 중앙회 사옥 주변에 건물을 지어 작게 나마 농협타운을 만들었다.[50] 이 때문에 현대자동차그룹은 2000년 11월에 양재동에 그룹 사옥을 매입하여 이전했다.(금융계열사는 여의도 舊 기아그룹 사옥으로 이전) 현대해상그룹은 현대해상 소유의 광화문 사옥(계동 이전의 그룹 본사)를 쓰게 되었으며 현대백화점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은 각각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현대백화점본사(압구정 현대아파트 상가)와 울산 현대중공업 본사를 사옥으로 쓰게 된다.[51] 사실 상술했듯이 계동 사옥의 본관 10개 층은 당시 현대그룹이 워크아웃 과정에서 현대자동차그룹에 팔았고 현대자동차그룹 일부 계열사가 입주해 있었기 때문에 정몽구 회장은 이곳으로 언제든지 출근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계열 분리 후 여러 이유로 인해 출근하지 않다가 현대건설을 공식적으로 인수한 후 출근하게 된 것.[52] EV, HEV 등[53] SK가 2003년에 소버린 사태로 난리나면서, 대부분 순환출자 고리를 끊었다.[54] 롯데와 삼성이 아직 제대로 정리는 못했다지만, 여긴 그래도 어느 정도 해소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