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재산처 산하 공공기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한국발명진흥회 | 한국지식재산보호원 |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한국특허정보원 | 한국특허기술진흥원 |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Korea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gency | |
| |
정식 명칭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한자 명칭 | 韓國特許戰略開發院 |
영문 명칭 | Korea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gency |
국가 |
|
설립일 | 2010년 1월 1일 |
설립목적 |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연구기관 등의산업재산전략 수립 및 연구개발 수행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 |
원장 | 윤병수 |
주무기관 | 지식재산처 |
기업 분류 | 기타공공기관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250명(2025년 1분기 기준) |
미션 | 특허기반 연구개발 전략지원으로 국가 기술경쟁력 강화 |
비전 | 특허전략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지식재산 허브 |
소재지 | 본원 - 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540 (선화동) 분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31 (역삼동) |
관련 웹사이트 | |
| |
관련 전화번호 | |
대표전화: 042-251-1700 |
▲ 한국특허전략개발원(키스타)에 대해 묻다 영상 |
|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대전 본원 |
1. 개요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설립 등)
①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연구기관 등의 산업재산전략 수립 및 연구개발 수행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이하 “전략원”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①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연구기관 등의 산업재산전략 수립 및 연구개발 수행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이하 “전략원”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은 지식재산처 산하의 특수법인으로, 특허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R&D) 전략 수립과 지식재산 기반 정책 지원을 수행하는 국내 유일의 특허전략 전문기관이다.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근거하여 운영되며, 국가전략기술 도출, 특허 분석, 회피 전략, 기술 차별화 방향 제시 등 정부·공공기관·기업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식재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0년 1월 ‘R&D 특허센터’로 출범,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부설기관 형태로 특허 기반 R&D 전략 지원을 시작했다.
2012년 12월, 독립법인으로 분리되어 ‘(재)한국지식재산전략원’ 설립, 법인격을 갖춘 조직으로 전환했다.
2013년 3월, ‘한국지식재산전략원’ 공식 개원, 산업재산권 진단기관으로 지정되어 정부 R&D 특허성과 분석과 전략 수립을 본격 수행했다.
2015년 11월, 기관 브랜드 정체성 강화를 위해 ‘KISTA’ CI를 선포, 대내외 인지도를 높였다.
2016년,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받아, 공공성과 책임성을 강화했다.
2017년 9월, 기관명을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으로 변경, 특허 기반 전략 개발 기관으로 정체성을 확립했다.
2020년 8월, 「발명진흥법」 개정에 따라 특수법인으로 전환, 공공 특허전략 업무 수행의 법적 기반을 다졌다.
2022년 9월, 공공기관 지방 이전 정책에 따라 서울 본원을 대전으로 이전, 대전 시대를 본격 개막했다.
2024년 8월 7일, 설립 근거가 기존 ‘발명진흥법’에서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25조로 변경됐다.
2. 연혁
- R&D특허센터 설립(2010년)
- 기술신탁 관리기관 지정(2011년)
- 한국지식재산전략원으로 독립 법인화(2012년 12월)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개원식(2013년)
- 표준특허센터 이관(2015년 1월)
- 신규 CI 'KISTA' 선포(2015년 11월)
-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지정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제6조(2016년)
- 한국특허전략개발원으로 기관명 변경(2017년)
- 국가특허빅데이터센터 개소(2020년 6월)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특수법인 전환(2020년 8월)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본원 대전 이전(2022년)
- 국가전략기술특허지원단 신설(2024년 1월)
- 기관 ⌜설립 근거 이관 산업재산 정보의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25조(2024년 8월)
3. 주요 기능 및 역할
- 산업재산 정보의 조사ㆍ분석 지원
- 연구기획단계에서의 산업재산 정보의 동향조사 지원
- 연구개발과정에서의 산업재산 창출 전략 지원
- 표준특허 창출을 위한 지원
- 국가연구개발 산업재산 성과의 조사ㆍ분석 및 관리
- 산업재산 연계 연구개발 전략 관련 정책 연구ㆍ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 연구노트 활용촉진 지원
- 기술신탁
- 평생교육시설 운영
- 상기 사업의 부대사업 및 기타 전략원의 설립 목적에 부응하는 사업
- 그 밖에 산업재산전략 수립 및 효율적 연구개발 수행과 관련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위탁하는 업무
4. 역대 원장
- 초대 박종효(2010년~2012년)
- 2대 김재홍(2012년~2016년)
- 3대 변훈석(2016년~2019년)
- 4대 김태만(2019년~2022년)
- 5대 이재우(2022년~2025년)
- 6대 윤병수(2025년~)
5. 기타
파일:웃는 개발이.png- 2025년 8월 15일, 한국특허전략개발원 SNS 콘텐츠 크리에이터 '개발이' 캐릭터를 발표했다.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공기업 ] | <colbgcolor=#003764> 시장형 공기업 (14개) | |
산업통상부 | 강원랜드,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 |
기후에너지 환경부 |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 |
국토교통부 |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 |
준시장형 공기업 (17개) | ||
기획재정부 | 한국조폐공사 | |
문화체육 관광부 | 그랜드코리아레저 | |
농림축산 식품부 | 한국마사회 | |
산업통상부 |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 |
기후에너지 환경부 | 한전KPS, 한전KDN, 한국전력기술, 한국수자원공사 | |
국토교통부 | 에스알,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 |
해양수산부 | 해양환경공단 | |
방송미디어 통신위원회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 [ 준정부기관 ]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2개) ||
- [ 기타공공기관 ]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타공공기관 (24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