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4:20:16

대한장애인체육회

파일:문화체육관광부 흰색 MI.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체육산업개발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한국관광공사
그랜드코리아레저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 예술의전당 태권도진흥재단 한국도박문제
예방치유원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보호원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출판문화
산업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국악방송 국제방송교류재단 한국공예디자인
문화진흥원
한국문화정보원 예술경영지원센터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colbgcolor=#123f90><colcolor=#fff> 대한장애인체육회
KPC
파일:대한장애인체육회 로고.svg
정식 명칭 대한장애인체육회
한문 명칭 大韓障碍人體育會
영문 명칭 Korea Paralympic Committee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05년 11월 25일 ([age(2005-11-25)]주년)
설립 목적 장애인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생활 진작을 위한 생활체육 활성화
국민체육진흥법 제34조
업종명 그 외 기타 협회 및 단체
회장 정진완
주무 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주요 주주 해당사항 없음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직원 수 142명(2023년 4분기 기준)
미션 모두가 함께하는 스포츠로 건강한 사회 구현
비전 전문성을 바탕으로 선수에게 신뢰를,
장애인에게 영감을
장애인 스포츠 문화의 중심
대표번호 02-3434-4500
02-3434-4599 (팩스)
이메일 [email protected]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방이동, 올림픽회관 신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3]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4]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5] | 파일:다음 아이콘.svg
파일:링크트리 아이콘.svg | 파일:잡코리아 아이콘.svg | 매거진
1. 개요2. 사업과 활동3. 임원
3.1. 역대 회장
4. 지회5. 기타

[clearfix]

1. 개요

국민체육진흥법
제34조(대한장애인체육회) ①장애인 체육 진흥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업과 활동을 하게 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대한장애인체육회(이하 "장애인체육회"라 한다)를 설립한다.
③장애인체육회는 법인으로 한다.
⑤장애인체육회의 회원과 회비 징수에 필요한 사항은 정관으로 정한다.
⑨장애인체육회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것 외에는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제42조(유사 명칭의 사용 금지) 체육회, 지방체육회, 장애인체육회, 지방장애인체육회, 도핑방지위원회나 진흥공단이 아닌 자는 대한체육회, 지방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지방장애인체육회, 한국도핑방지위원회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또는 이와 비슷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6]
장애인 체육 진흥을 위한 사업과 활동을 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기타공공기관).
<colbgcolor=#123f90><colcolor=#fff> 파일:대한장애인체육회 KOSAD 로고.jpg
2005년 11월 25일 창설 직후 2014년 8월 12일까지 사용한 옛 로고
<bgcolor=#fff,#1c1d1f> 파일:대한장애인체육회 로고(2014-2022).svg
2014년 8월 13일에 공개되어 2022년 11월 24일까지 사용한 옛 로고

2005년 11월 25일 설립했다.

설립부터가 우여곡절이 많았다. 장애인+체육은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보건복지부문화체육관광부 영역이 겹치는 분야이다. 당초에는 재활에 방점이 찍힌 장애인 정책의 일환으로 취급되어 보건복지부가 관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한정된 예산에 온갖 장애인복지 정책과 맞물리면서 뒷전으로 밀리는데다, 체육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없다 보니 훈련부터 해서 너무나 애로사항이 많았다.[7]

이에 2004년 아테네 패럴림픽 이후 청와대에서 열린 환영 오찬 때 선수와 임원들이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장애인 체육 담당을 보건복지부에서 문체부로 옮겨 달라고 건의했고 이 건의를 받아들여 대통령의 지시로 이관을 추진하면서 설립되었다.

본래에는 대한체육회에 장애인 체육 담당 부서를 설치하는 안이 유력했으나 노무현은 이렇게 될 경우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밀려 찬밥 신세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별개의 기관을 설치하자고 제안을 하면서 결국 대한체육회와는 별도로 대한장애인체육회가 설치된 것이다. 그와 동시에 문체부에도 장애인체육과가 설치되었다.[8]

사무처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88-2(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1층 및 4층)에 있다.

창립 초기엔 영문 명칭으로 조직명을 직역한 "Korea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KOSAD)"[9]을 사용했으나, 2014 소치 동계패럴림픽이 끝난 뒤, 국제무대에서 쓰던 "Korea Paralympic Committee(KPC)"[10]라는 이름으로 통합했다. #, #

2. 사업과 활동

대한장애인체육회는 다음 각 호의 사업과 활동을 한다(국민체육진흥법 제34조 제1항).
장애인체육회는 설립 목적 달성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수익사업을 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3. 임원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임원으로서 회장·부회장·이사 및 감사를 두는데(국민체육진흥법 제34조 제6항), 회장의 취임에 관하여 특기할 점이 있다.

회장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표로 선출하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취임하며(같은 조 제7항), 장애인체육회는 회장 선출에 대한 선거관리를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8항). 이는 대한체육회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3.1. 역대 회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대한장애인체육회 로고.svg대한장애인체육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장향숙
2대
윤석용
3대
김성일
4대
이명호
5대
정진완
}}}}}}}}}

4. 지회

장애인체육회는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부·지회 또는 해외 지회를 둘 수 있다(국민체육진흥법 제34조 제4항).

이에 따라, 시도 지회를 두고 있다.

5. 기타

<colbgcolor=#123f90> 파일:대한장애인체육회 유튜브 반다비.png


[1] 공식 홈페이지[2] 생활체육정보센터[3] 체육지원서비스포털[4] 대한장애인체육회TV[5] 생활체육정보센터 카카오톡채널[6] 이를 위반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국민체육진흥법 제55조 제4항 제2호).[7] 당장 올림픽패럴림픽만 해도 같은 곳에서 바로 이어서 열리는데 올림픽은 문체부 담당이고 패럴림픽은 보건복지부 담당이다보니 이어서 같이 관리하면 될 것을 아예 별도로 취급하니 이래저래 불편한게 아니었을 것이다.[8] 그리고 이러한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각 종목 역시 장애인 연맹/협회를 별도로 설립했다. 각 종목의 세계연맹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별도의 연맹인 경우도 있고 한 연맹의 세부 종목으로 장애인 경기가 반영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한국은 이와 관계없이 두 연맹이 분리되어 있고 단지 협력 관계로만 연계되어 있다.[9] 당시 지방장애인체육회는 "○○ Sports Association for Disabled"라는 영어이름을 사용했다.[10] 다만, 아직도 지방장애인체육회는 기존 영칭과 유사한 "○○ Para Sports Association"이라는 영어이름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