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민연금공단 | 국민건강보험공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국립암센터 |
국립중앙의료원 | 대한적십자사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 한국보건복지인재원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
한국의료분쟁 조정중재원 | 한국한의약진흥원 | 의료기관평가인증원 | 한국공공조직은행 | |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한국장애인개발원 | 아동권리보장원 | |
한국보건의료정보원 | 한국자활복지개발원 | 한국장기조직기증원 |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 |
| }}}}}}}}} |
Korea Organ Donation Agency (KODA)
홈페이지
1. 개요
장기기증과 조직기증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2017년 한국장기기증원과 한국인체조직기증원 일부, 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가 통합하여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의 기타공공기관.구체적으로는 뇌사추정자 및 뇌사판정대상자의 파악과 관리, 뇌사판정 및 장기적출 절차의 진행 지원, 장기등 기증 설득 및 장기 등 기증자에 대한 지원, 잠재적 조직기증자 관리 및 조직기증자 발굴, 조직기증자와 그 유족에 대한 관리 및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20조 및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등에 관한 법률 제16조의2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각각 장기구득기관과 조직기증지원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 논란
"장기기증자 예우 변화 홍보 영상. / 취재대행소 왱 |
2022년 6월 3일, 장기기증자 예우 변화를 홍보하는 유튜브 영상 댓글에 장기 기증자 방치 사건을 지적하며 비판하는 댓글이 달리자,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해당 댓글에 답글을 달았는데, 그 내용이 비판받고 있다.
저게 얼마나 충격적인 사건이냐면
1. 기증자 유가족 입장에서 사랑하는 가족이 사망했는데,
2. 고인의 생전 의사대로 장기기증 한다고 해서 병원에 맡겼더니
3. 병원에서 쓰레기 방치하듯 유가족보고 시신을 처리하라고 했던 사건임.
당연히 큰 충격을 준 사건이고, 수많은 예비기증자부터 유가족들에게 엄청난 거부감을 주었음...
해당 댓글 링크
1. 기증자 유가족 입장에서 사랑하는 가족이 사망했는데,
2. 고인의 생전 의사대로 장기기증 한다고 해서 병원에 맡겼더니
3. 병원에서 쓰레기 방치하듯 유가족보고 시신을 처리하라고 했던 사건임.
당연히 큰 충격을 준 사건이고, 수많은 예비기증자부터 유가족들에게 엄청난 거부감을 주었음...
해당 댓글 링크
"안녕하세요 한국장기기증원입니다. 정확한내용을 전달드리기 위해 말씀드립니다.
병원측에서 알아서 한 것이 아니라, 병원 엠뷸런스는 다른 환자를 위해 사용중이라
경기도에서 충청도 장례식장까지 기증자를 이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충청도 장례식장까지 왕복 몇시간의 시간을 갈 수 없어서 사설 엠뷸런스를 사용하셨던 것입니다"
병원측에서 알아서 한 것이 아니라, 병원 엠뷸런스는 다른 환자를 위해 사용중이라
경기도에서 충청도 장례식장까지 기증자를 이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충청도 장례식장까지 왕복 몇시간의 시간을 갈 수 없어서 사설 엠뷸런스를 사용하셨던 것입니다"
위의 댓글에서 비판받는 부분은 사건에 대해서 사과, 사건의 경위는 설명없이 변명으로 적었다는 점이다. 이 사건의 본질은 기증자의 예우가 주요 원인으로 추가로 병원측이 사설 엠뷸런스의 비용 보조는 커녕 수배조차 하지 않아 기증자 아버지가 직접 사설 엠뷸런스를 찾아야 했다는 점이지만 그에 대해서는 단 한 마디의 사과도 없었다.
이후 병원 측을 옹호하며 잘못이 없다는 태도를 유지하는 한국장기기증원의 태도에 대해 비판적인 댓글이 이어지자, 댓글을 삭제하고 도망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