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2:54:27

몬스터 헌터 와일즈

몬스터 헌터 와일드에서 넘어옴

파일:몬스터 헌터 로고.png
몬스터 헌터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메인 시리즈
분류 본편 확장판
<colcolor=#000,#fff> 1세대 몬스터 헌터 (2004) PS2 몬스터 헌터 G (2005) PS2/Wii
몬스터 헌터 포터블 (2005) PSP
2세대 몬스터 헌터 도스 (2006) PS2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2007) PSP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 (2008) PSP/iOS
3세대 몬스터 헌터 트라이 (2009) Wii 몬스터 헌터 트라이 G (2011) 3DS/Wii U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서드 (2010) PSP/PS3
4세대 몬스터 헌터 4 (2013) 3DS 몬스터 헌터 4G (2014) 3DS
몬스터 헌터 크로스 (2015) 3DS 몬스터 헌터 더블 크로스 (2017) 3DS/NSW
5세대 몬스터 헌터: 월드 (2018) PS4/XB1/PC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 (2019) PS4/XB1/PC
몬스터 헌터 라이즈 (2021)
NSW/PC/PS4/PS5/XB1/XSX|S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 (2022)
NSW/PC/PS4/PS5/XB1/XSX|S
6세대 몬스터 헌터 와일즈 (2025)
PS5/XSX|S/PC
* 윗첨자의 경우 각 타이틀이 발매된 기종
* 발매 연도 표기의 경우 각 타이틀이 최초 발매된 연도만 표기하며 타 기종 이식 연도의 경우 표기하지 않음
문서가 존재하는 외전 시리즈 · 기타 미디어 믹스
스토리즈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2016) 몬스터헌터 스토리즈 2 (2021)
몬스터 헌터 스토리즈 RIDE ON
아이루 마을 몬헌일기 따끈따끈 아이루 마을 몬헌일기 따끈따끈 아이루 마을 G
몬헌일기 따끈따끈 아이루 마을 DX 몬헌일기 아슬아슬 아이루 마을
모바일 몬스터 헌터 다이나믹 헌팅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서비스 종료)
포터블 세컨드 G for iOS 몬스터 헌터 라이더즈 (서비스 종료)
Monster Hunter Now 몬스터헌터 아웃랜더스
온라인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서비스 종료) 몬스터 헌터 온라인 (서비스 종료)
영화 몬스터 헌터 (2020)
만화 몬스터 헌터 오라쥬 }}}}}}}}}

파일:와일즈 로고.webp
몬스터 · 환경생물 · 등장인물 · 지형 · 무기
슬링어 · 스킬 · 퀘스트 · 조작 방법 · 발매 전 정보

발매일까지
<rowcolor=#000000> 2025년 2월 28일
D[dday(2025-02-28)]
몬스터 헌터 와일즈
モンスターハンターワイルズ
Monster Hunter Wilds
파일:몬헌 와일즈 표지.jpg
<colbgcolor=#e6b541,#e6b541><colcolor=#010101,#010101> 개발 캡콤
유통
플랫폼 Windows | PS5[1] | XSX|S
ESD Steam | PS Store | MS Store
장르 헌팅 액션
출시 2025년 2월 28일
엔진 RE 엔진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
해외 등급 CERO C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상점 페이지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Xbox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놉시스 및 스토리3. 발매 전 정보4. 한국어 표기5. 시스템 요구 사항6. 시스템
6.1. 전작들과의 차이점 · 변경점6.2. 장비6.3. 스킬6.4. 상처6.5. 집중 모드6.6. 힘 겨루기/상쇄6.7. 동반자 아이루/세크레트6.8. 서포트 헌터
7. 조작 방법8. 등장인물9. 등장 몬스터
9.1. 소형 몬스터9.2. 대형 몬스터9.3. 환경생물
10. 필드11. 평가
11.1. 긍정적 평가11.2. 복합적 평가11.3. 부정적 평가
12. 흥행13. 관련 상품14. 기타

[clearfix]

1. 개요

캡콤이 2025년 2월 28일에 발매 예정인 몬스터 헌터 시리즈. 시니어 프로듀서는 츠지모토 료조, 메인 디렉터는 토쿠다 유야, 이그제큐티브/아트 디렉터는 후지오카 카나메가 맡았다. 이는 《몬스터 헌터: 월드》와 같은 개발 체제이다. 시리즈 최초로 기종간의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한다.

패키지 일러스트는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에 이어 NPC 캐릭터와 함께 그려진 구도로 되어 있는데 별 부대의 올리비아와 메인 장비인 호프셋을 입고 세크레트에 탄 채로 싸우는 헤비보우건 플레이어가 메인으로 나오며 뒤에 태도 헌터도 보이는 구도로 되어 있다.

==# 트레일러 및 테마 #==
Main Theme
아름다운 세계의 이치(美しき世界の理)
발표 트레일러
프로모션 영상 ①
프로모션 영상 ②
프로모션 영상 ③
프로모션 영상 ④
프로모션 영상 ⑤
프로모션 영상 ⑥
프로모션 영상 ⑦

2. 시놉시스 및 스토리

수년 전, 길드가 조사한 적이 없는 미지의 영역 「금지된 땅」과의 경계에서 「나타」라는 한 소년이 보호되었다.
의문의 몬스터의 습격으로부터 홀로 도망쳐 나온 그의 말을 단서로 길드는 조사대를 결정.
「하얀 그림자」라 불리는 몬스터의 조사와, 습격당한 수호자 일족의 구조를 임명 받은 헌터들 「조사대」의 여정이 지금 시작된다.
거칠고 치열한 자연의 습격.

시시각각 역동적으로 그 모습을 바꾸는 필드. 양면성을 지닌 세계를 살아가는 몬스터와 사람들의 이야기.

당신은 강력하고 거대한 몬스터를 사냥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헌터"가 되어, 사냥을 통해 얻은 소재로 보다 더 강한 무기와 방어구를 제작하고, 그 세계와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풀어가야 한다.

더욱더 발전한 헌팅 액션과 끊임없는 몰입감을 추구하는 궁극의 사냥 체험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3. 발매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 헌터 와일즈/발매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한국어 표기

한국에서는 외국어를 옮길 때 복수 표기인 s를 생략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나무위키:편집지침/표제어의 규정에 따라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표제어로 삼는다. 캡콤아시아에서 공식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에서 이번 작품의 한국어 명칭을 '몬스터헌터 와일즈'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애초에 본 게임은 서구권이 아닌 일본 개발사가 개발 및 유통한 일본 게임인데다, 가타카나 음독 표기부터 ワイルド(와이루도)가 아니라 ワイルズ(와이루즈)인 이상, 원문 그대로 복수형을 살리는 게 당연하다. 덧붙여 공식적인 약칭(알파벳 두문자 표기)도 전작 월드의 「MHW」와 구분되는 「MHWs」인 만큼, s를 생략할 경우 불필요한 혼란이 가중되는 문제도 있다.

5. 시스템 요구 사항

||<table align=center><tablewidth=852><nopad>
||<-5><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53535,#e6b541><bgcolor=#e6b541><table bgcolor=#ffffff,#1c1d1f><table width=850> 시스템 요구 사항 ||
<colbgcolor=#e6b541> Windows
<rowcolor=#000000>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높음 울트라
<colcolor=#000000>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CPU Intel Core i5-10400 or i3-12100
AMD Ryzen 5 3600
Intel Core i5-11600K or i5-12400
AMD Ryzen 7 5800X or 7700
메모리 16GB RAM
GPU NVIDIA GeForce GTX 1660
AMD Radeon RX 5500 XT
NVIDIA GeForce RTX 2060 SUPER
AMD Radeon RX 6600
NVIDIA GeForce RTX 4060 Ti
AMD Radeon RX 6700 XT
NVIDIA GeForce RTX 4070 Ti or 4070 Ti SUPER
AMD Radeon RX 7800 XT
VRAM 6GB 8GB 8GB 12GB(고해상도 텍스처 팩 적용 시 16GB)
API DirectX 12
저장 공간 SSD 필수, 75GB 여유 공간(고해상도 텍스처 팩 적용 시 150GB)
DirectStorage 지원
비고 720p, '매우 낮음' 프리셋, 30fps 1080p(업스케일링 사용), '중간' 프리셋, 프레임 생성 활성화 기준 60fps 1440p(업스케일링 사용), '높음' 프리셋, 프레임 생성 활성화 기준 60fps 2160p(업스케일링 사용), '울트라' 프리셋, 프레임 생성 활성화 기준 60fps
||

OBT 빌드 기준 사양별 벤치마크2

2025년 2월 5일 쇼케이스 이후 정식판 사양이 공개되었다.

이번 세대에서 요구 사항이 높다고 여겨지는 검은 신화: 오공이나 앨런 웨이크 2보다도 높은 사양 또는 스토커 2: 초르노빌의 심장부와 동등한 수준의 사양을 요구하는데, 드래곤즈 도그마 2와 마찬가지로 RE 엔진의 일정 크기 이상의 맵과의 부적합성이 원인으로 보인다.

전작인 라썬브의 그래픽이 많은 아쉬움을 샀기에 유저들은 거치형 기기 신작이 월드를 넘는 그래픽을 선사하길 학수고대하였고, 실제로 전전작인 월드조차 압도적으로 따돌린 그래픽과 연출을 PV와 실기 플레이를 통해 보여주었으나, 그와 동시에 압도적인 요구사양이 제시되면서 다양한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다.[3][4][5] 오죽하면 그래픽 상향을 바라던 유저들이 원숭이 손으로 소원을 이룬 것이냐는 농담마저 돌았을 정도.[6]

월드 시절의 악명높은 최적화를 기억하는 유저들 입장에서는 여러모로 PC 업그레이드나 콘솔 구매에 있어서 신중을 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품 호환성 적인 측면에서 괜찮은 유저는 큰 맘 먹고 부품을 한두 개 정도[7] 업그레이드를 해볼까 고민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갈아줘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게이머들[8]은 앞으로 나올 AAA급 게임들을 위해 한 차례 교체할지 아예 그냥 콘솔을 구매할지 고민하는 중이다.[9]

스팀덱 유저들 또한 월드를 휴대기기로 돌리면서 최저 옵션으로 이전의 포터블처럼 돌릴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었으나 상당히 어려워진 상황. 스팀덱에 탑재된 프로세서는 라이젠 Zen 2 커스텀 APU로, 내장 그래픽 성능은 라이젠 Zen 3 내장 그래픽 중 하나인 660m정도로 GTX 1050 모바일보다도 그래픽 성능이 낮기 때문에 와일즈의 최저 사양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10] 그나마 스팀 리모트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환경과 메인 PC 사양이 받쳐준다는 상황 하에 그럭저럭 플레이가 가능하다.

현재 캡콤 측에서도 마무리 단계로 최적화를 진행 중이라고 하며 발매 때 사양이 약간 낮아질 수도 있다.[11]

다행히 24년 10월 29일~31일에 PS Plus, 11월 1~4일에 전 기종 오픈 베타가 예정되어 최적화가 어떤지 직접 구동해 볼 수 있게 되었다. PS Plus 선행 오픈 베타 클라이언트에서는 그래픽 모드 / 프레임률 우선 모드를 제공하며 120Hz 출력 설정 및 화면 멀미 방지 추천 기능, 접근성 모드(색약 지원, 시각 접근성, 청각 접근성), 거미 공포증 대책 기능[12]이 지원되고 있다.

24년 10월 29일 PS5로 오픈 베타 체험을 한 유저들의 체감은 '그래픽 모드에서는 몇몇 상황 외에는 대체로 30프레임을 방어 / 프레임률 우선 모드에서는 40~50프레임 정도의 가변' 이라고 하며, 프레임률 우선 모드에서는 해상도 하강이 상당히 체감된다고 한다. PS5 Pro 대응은 아직 불명.

24년 11월 1일, 전 플랫폼 오픈베타가 개방되면서 평가가 조금은 바뀌었다. 표기된 권장사양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플레이 가능하다는 평가가 많아 드래곤즈 도그마 2만큼의 발적화까지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한편 PC 세팅과 사양에 따라 GPU 고장 증상처럼 보이는 그래픽 오류가 일어나거나 3D 모델이 극단적으로 적은 폴리곤으로 묘사되는 현상이 있어 웃픈 상황이 벌어지는 중. 보통 최저사양에 못 미치는 PC에서 발생하나 드물게 사양이 충족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고 한다. 후자의 경우 대부분 HDD를 사용하는 PC에서 텍스쳐를 빠르게 불러오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다. 캡콤 측에서 제시한 사양표에서도 SSD가 필수 조건으로 기재되어 있는 만큼, SS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원경 텍스쳐나 다수의 사물 텍스쳐가 뭉개지는 것은 사양 문제보다는 현재 베타 빌드 자체가 텍스쳐를 제대로 못 불러오는 버그 탓이기도 하다.

평가 항목에서 후술하겠지만 베타 테스트 빌드 기준 인게임 FSR3 프레임 보간 기능에 문제가 있어 프레임은 확실히 잡아주지만 고스팅(잔상)이 심각하게 터지는 상황이다. 개발진은 정발 시 고스팅 문제가 없도록 반드시 개선하겠다는 메세지를 내놓았으며, 고스팅을 제외할 시 프레임이 상당히 안정적으로 잡히는 걸 보면 권장 사양보다 살짝 낮은 PC도 FSR3 활용 시 무리 없이 플레이 가능할 듯 하다.

이후 베타버전 내부 유출을 통해 낙석에 사용하는 폴리곤이 80만 개가 넘어갈 정도로 모델링들을 무식하게 때려박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13] 베타버전에는 아직 제대로 된 최적화가 적용되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제품판에서는 좀 더 확연한 최적화를 기대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

최적화와 요구사양에 대한 평가를 본 캡콤 측은 현재 권장사양을 낮추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밝혔으며,# 2025년 2월 5일 쇼케이스 이후 기존 베타버전에서 소폭 하향된 수준으로 정식판 사양이 공개되고 벤치마크 툴까지 제공되었다.

25년 2월 5일 공개된 벤치마크 툴에서는 이전보다 나아진 퍼포먼스를 보여주는데, 낮게는 스팀덱OLED기준으로 1200x800 매우낮음+프레임 생성으로 약 평균 40~45fps를 보여주고[14], Rog Ally로는 매우 낮음FHD+프레임 생성에서 60fps를 기록했다. 스팀덱에서는 여전히 스팀OS 사용시 실제 인게임에서는 프레임 생성 사용시 화면이 검게 나오는 버그가 존재하여 프레임 생성을 사용할 수 없어 베이스캠프에서 10~15프레임 수준으로 게임이 어려울 지경이다.[15] 거기에 최상 옵션은 여전히 높은데, 4K+울트라(+DLSS 품질우선)+레이트레이싱을 사용하면 프레임 생성 없이 60fps를 기록하는 커트라인이 4090이다.[16]

6. 시스템

6.1. 전작들과의 차이점 · 변경점

6.2. 장비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무기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27px;margin-bottom:-12px"
파일:몬스터 헌터 대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한손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해머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슬래시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조충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라이트보우건 아이콘.png 원거리
(탄/화살)
파일:몬스터 헌터 태도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쌍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수렵피리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건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차지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활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헤비보우건 아이콘.png
}}}}}}}}}

헌터가 다루는 무기 종류는 기존 시리즈에서 선보인 총 14개의 무기 종류가 등장. (대검, 태도, 한손검, 쌍검, 해머, 수렵피리, 랜스, 건랜스, 슬래시액스, 차지액스, 조충곤, 라이트보우건, 헤비보우건, 활)

또한 헌터의 성별에 따라 결정되던 장비 외형이 A/B타입으로 바뀌며 남녀 상관없이 원하는 외형으로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엔드 컨텐츠부터 해금되던 덧입는 장비의 경우, 상위 방어구를 제작하면 자동으로 해금되도록 바뀌었다.

6.2.1. 슬링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슬링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월드에서는 슬링어탄을 발사하거나 클로를 달고 일부 전투기술을 사용했던 특징이 있었는데, 와일즈에서는 기본적으로 와이어가 달린 탄을 발사해서 각종 환경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신규기술인 집중모드 전환을 통해서 월드처럼 납도상태가 아니라도 발도상태에서 신속하게 슬링어탄을 사용할 수 있다.

6.3.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 헌터 와일즈/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상처

몬스터의 한 부위에 다양한 공격을 계속 맞히면 상처가 난다.
상처 부위를 공격하면 큰 대미지를 줄 수 있으며 공격을 계속해 상처 부위를 파괴하면 더 큰 찬스를 만들 수 있다.
집중 모드에서는 상처 부위가 강조 표시되어 노리기 쉬워지며, 그에 대해 「집중 약점 공격」을 할 수 있다.
전작인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의 상처 시스템을 계승하는 시스템. '상처'는 공격에 의해 생기며[27], 상처가 생긴 부위에 공격을 누적하면 상처가 점점 벌어진다.

상처는 일정량 이상의 공격을 받거나 '집중 약점 공격'에 의해 파괴되며, 이때 소재를 획득하고 추가 피해와 약경직, 집중 약점 공격은 무기별로 특수 모션과 효과까지 발동한다. 상처가 파괴된 부위는 검은 흉터가 남으며 일정 시간 동안 상처가 발생하지 않다가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생성 가능한 상처의 수는 각 부위마다 최대치가 존재한다. 평균적으로 각 부위마다 최대 2개의 상처를 생성할 수 있지만, 상처의 최대 수가 1개인 레 다우의 뒷다리처럼 예외사항들도 있다. 다만 단차 공격으로 생성할 수 있는 상처는 이 최대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정한 상황에서는 몬스터의 일부 부위가 집중 약점 공격을 발동할 수 있는 취약상태로 잠시 전환되는 경우들이 있다. 대게 몬스터가 자신의 특징적인 능력을 이용한 강력한 공격을 사용하면 잠시 일정 부분이 붉게 빛나며 상처와 유사한 상태가 된다. 해당 기믹이 발생하는 부위는 도감에서 '약점'이라고 쓰여져 있는 부위로 확인할 수 있다.

6.5. 집중 모드

월드에 존재하던 슬링어 조준 기술을 좀 더 범용적인 기능으로 개선한 와일즈의 신규 기능. 납도상태가 아닌 발도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시야 또는 공격의 축을 조준점으로 전환하거나, 납도-조준사격행동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를 이용해서 앞으로만 전진하는 공격 연계를 (ㄱ)기억자로 꺽으면서 이동하도록 만들거나, 발도상태에서 슬링어탄이나 와이어 발사를 지연시간 없이 곧바로 출수하게 만드는 등 매우 입체적인 행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집중 약점 공격을 발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기능이다.
집중 모드에서 전용 공격으로 발동할 수 있다. 각 무기마다 특유의 공격 모션을 가지고 있으며, 발동 성능부터 피해량, 보너스가 무기마다 각양각색인 특수한 공격을 발동한다.

상처에 집중 약점 공격을 적중 시 각 무기마다 보유한 특유의 공격 모션으로 상처를 공격한다.[28] 무기 불문 모든 집중 약점 공격은 몬스터의 상처 부위에 맞춰야 후속타까지 시행된다. 적중 후 발동하는 후속 공격 중에 헌터는 하이퍼아머 상태가 된다.

몬스터의 상처에 적중할 시 일반 공격에 비해 매우 큰 대미지를 주며 적중한 상처들을 파괴시킨다. 상처는 터트리면 최대 체력에 비례한 대미지를 입히며,[29][30] 근접 무기의 경우 발동 시 몬스터를 정지시키고 마지막 공격으로 대경직 또는 약경직을 준다.[31] 한번에 파괴할 수 있는 약점의 최대 개수는 3개이다. 상처가 아닌 약점에 사용하면 약간의 쿨타임이 있어서 같은 약점으로는 잠시 동안 발동할 수 없다.

상처 파괴로 인한 추가피해가 상당하고 특수경직, 소재 아이템 획득 등 다양한 이득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게임 내에서 적극적으로 집약공을 사용해 상처를 그때그때 터뜨리는 것을 권장한다. 무기의 특수한 기믹에 맞춰 보너스를 주기도 한다.[32]

6.6. 힘 겨루기/상쇄

<rowcolor=#000000><colkeepall>대검태도한손검쌍검해머피리랜스건랜스슬액차액조충곤라보헤보
힘 겨루기 O X O X X X O O X O X X O X
상쇄 O X X X O O X X O X O X O X

와일즈에서 처음으로 추가되는 신 시스템으로, 기술을 성공적으로 발동할 경우 몬스터의 공격을 저지, 헌터에게 각종 보너스를 제공하는, 몬스터 공략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추가되었다.

힘겨루기는 가드 가능 무기에 공용으로 추가된 저스트 가드를 발동하여, 상쇄는 상쇄기술이 추가된 무기의 상쇄공격으로 몬스터 공격을 저스트 히트 시킬 때 발동한다. 각 행동을 성공하더라도 무조건 발동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조건을 만족 시 힘겨루기나 상쇄 보너스 획득 등의 대성공으로 이어지는 방식을 띈다. [33]


6.7. 동반자 아이루/세크레트

동반자 아이루
파일:와일즈 아이루.png
주인공 헌터의 동반자로서 조사대에 참가하는 아이루.
사람의 언어를 사용하여 사냥을 돕거나 커뮤니케이션을 나눌 수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반자 아이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크레트
セクレト / Seikret
파일:세크레트.png
뛰어난 기동력을 살려 헌터의 이동을 돕는 탑승용 동물.
맵 등에서 목적지를 지정하면 냄새를 따라 자동으로 목적지에 데려다준다.

이동 중에도 일부 아이템과 슬링어를 사용할 수 있어 체력 및 예리도를 회복하거나 채취 등의 사냥 준비도 가능하다.
사냥 중 세크레트의 활용

세크레트에는 임의로 선택 가능한 2번째 무기를 수납하는 무기 가방이 갖춰져 있어, 사냥 도중에도 무기를 바꿔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냥 중에 위기에 처한 경우 세크레트를 불러서 몬스터로부터 거리를 두고, 아이템을 사용해 태세를 재정비하는 것이 가능.
탑승 중에는 몬스터의 일부 공격을 자동적으로 회피해주는 경우도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세크레트(몬스터 헌터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8. 서포트 헌터

구조신호를 보냈음에도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플레이어가 모이지 않을 경우에는 서포트 헌터 NPC가 달려와 준다.

구조신호에 의한 멀티 플레이의 최대 플레이어 수와 서포트 헌터의 참가 여부 등은 퀘스트 카운터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만 참가」 「서포트 헌터만 참가」 등 기호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선브레이크의 맹우를 계승하는 시스템.

7. 조작 방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 헌터 와일즈/조작 방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 헌터 와일즈/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등장 몬스터

<rowcolor=#212529,#e0e0e0><colbgcolor=#e0e0e0,#43454d><colcolor=#212529,#e0e0e0> 소형 대형 합계
기존 5 10(9+1)
신규 13 13
합계

9.1. 소형 몬스터

9.2. 대형 몬스터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와일즈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차타카브라 와일즈 아이콘.png 파일:게리오스 와일즈 아이콘.png
독괴조
게리오스
도모수
바바콩가
파일:발라하라 와일즈 아이콘.png 파일:도샤구마 와일즈 아이콘.png
사해룡
괴조
얀쿡크
풍협룡
히라바미
혁원수
아자라칸
파일:레 다우 와일즈 아이콘.png
황뢰룡
레 다우
파의룡
우드 투나
파일:알슈 아이콘 임시.webp
동봉룡
진 다하드
업데이트
}}}}}}}}}}}} ||

9.3. 환경생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환경생물/와일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필드

파일:풍요기.png 파일:주홍빛 숲 3.png 파일:기름 솟는 계곡 3.png
경계의 모래 평원 주홍빛 숲 기름 솟는 계곡
파일:빙무의 절벽 3.png
빙무의 절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몬스터 헌터 와일즈/지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갱신 날짜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게임 타이틀/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게임 타이틀/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갱신 날짜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레이팅-man.png 평론가 평점
평론가 평점 / 100
평론가 추천도
평론가 추천도%
유저 평점
XX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갱신 날짜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고유번호/#app_reviews_hash| 종합 평가 (퍼센티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고유번호/#app_reviews_hash| 최근 평가 (퍼센티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이하의 모든 평가는 오픈 베타를 기준으로 한 평가이며, 출시 후 변동될 수 있다.

11.1. 긍정적 평가

11.2. 복합적 평가

11.3. 부정적 평가

12. 흥행

13. 관련 상품

파일:IMG_5476.webp

일본에서는 게임 발매일인 2025년 2월 28일, 한정판 PS5 Slim / Pro 본체 커버와 듀얼센스 컨트롤러가 같이 발매된다.[55] 듀얼센스와 커버는 각각 ¥12,480 / ¥9,980으로 가격이 책정되었다. # 월드 한정판 듀얼쇼크에 있었던 겨털 디자인은 삭제되었다. 아직 서양에서 발매는 미정이다.[56] 한국도 같은 날 듀얼센스가 ₩99,800에 발매된다.

14. 기타


[1] 듀얼센스의 4가지 기능 모두 지원[2] 공식 웹매뉴얼[3] 요즘 게임들 사양이 높긴하지만 최저사양조차도 전작인 라이즈의 최상급 옵션보다 높다. 라이즈는 닌텐도 스위치 기반의 저사양 게임이라 그렇다고 실드라도 쳐줄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래픽의 기준점으로 잡아두던 월드를 아득히 능가해 버리는 바람에 유저들에게 비상이 걸린 것이다. 그 결과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콘솔을 사거나 컴퓨터를 바꿔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는데 그마저도 요구사항을 보았을 때 기존 콘솔로는 30프레임 중옵 방어도 힘들어 보이니 머리가 아파질 수밖에 없다.[4] 게다가 컴퓨터는 그냥 부품 한두 개 바꾼다고 끝나는 게 아니고 각부품이 호환성이 맞아야지 작동이 되기 때문에, 운 나쁘면 1번 바꾸는 데 2~300만 원이 그냥 소비되는 수가 있다. 굳이 이런 극단적인 예시가 아니더라도 와일즈 최소사양 그래픽카드인 gtx 1660 슈퍼가 약 1~20만 원선, 권장사양인 4060은 40만 원선으로 콘솔 하나를 구매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 만큼 지출이 생긴다.[5] 그런데 아직 준비 중이라고 해도 플레이 영상을 보면 광활한 필드를 통짜맵 심리스 형태로 로딩 없이 돌아다니고 NPC와의 충돌시 그냥 통과하는 게 아니라 상호작용이 있으며(살짝 옆으로 밀리며 길을 비켜준다) 소형몹과 대형몹의 영역/악연의 상황, 특정 상황에서의 날씨 변화 및 미니 게임(낚시)에서의 움직임 등 정말 기기가 죽어나가는 소리가 들릴 정도의 그래픽과 연출이다. 즉, 최적화를 여럿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구현된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지금의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6] 다만 이는 2020년도 접어들어 다양한 AAA급 게임 업계에서 나타나는 부작용과 일맥상통하기에 몬헌만의 문제는 아니긴 하다. 몬헌의 문제라면 상술한 RE 엔진의 일정 크기 이상의 맵과의 부적합성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힌다.[7] 보통 그래픽카드+파워[8] 특히 750ti나 1060과 같은 과거의 가성비 세팅을 오랜 기간 사용해 온 유저들이 큰 고민에 빠진 상황이다. 몬스터헌터 시리즈 마이너 갤러리는 한동안 국내 와일즈 돌아가냐 갤러리가 되었을 정도.[9] 다만 PS5 프로의 가격이 100만 원이 넘게 책정되면서 그래픽 카드에 파워 정도만 교체하는 유저들의 경우 그쪽을 선택하는 경향이 짙다. 권장사양 기준으로 해도 4060에 800W 파워면 50만 원선, 플스 5 프로 가격대와 비슷하게 맞춰도 4070 super+850w 파워로 해결이 되기 때문이다. 거기다 캡콤이 와일즈를 PS5 Pro에서 제한 없는 30프레임을 목표로 한다는 소식이 24년 9월에 올라왔었는데 이게 사실이라면 플스 5 프로의 히든 카드가 될 수 있었던 몬헌도 없던 게 되어버린다. 애초에 공개된 사양에서 프로의 CPU가 그대로인 걸 생각하면 유의미한 차이는 보여주기 힘들다. 2,30만원 차이가 나는 게이밍 콘솔과 PC를 비교하는 것부터 쉬운 일이 아니었는데 플레이 환경까지 책임지지 못하는 수준이라면 더욱 더 사야할 이유가 없는 셈이다.[10] 베타 버전 기준 윈도우 부팅한 뒤 그래픽 옵션을 아주 낮추면 폴리곤이 뭉개지더라도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스팀OS에서는 영상만큼 폴리곤 수준을 낮출 수 없어 15~30프레임 수준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베타 유저의 후기에 따르면 플레이시 10분 뒤에 강제종료가 되어버리는 버그가 있어서 무슨 수를 써도 원활한 플레이가 불가능했다고 한다. 최소사양 VRAM이 6GB를 요구 사항이지만 스팀덱은 16GB 메모리를 그래픽과 시스템이 공유하고 있고 VRAM을 최대로 사용해도 5GB 이상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시스템적으로 설정되어있는지 VRAM 사용량이 5GB를 넘지 못한다 시스템에서 나머지 RAM 11GB를 모두 사용해서 RAM 부족으로 인한 게임 다운이 아닐지 추측된다. 정식출시 때는 최적화와 함께 이 문제도 해결되어야 플레이가 가능해질듯. 또한 2024년에 출시한 AMD 라이젠 AI 300 프로세서의 내장 그래픽인 라데온 880m, 890m과 인텔 코어 울트라 시리즈/2세대의 모바일 프로세서인 루나 레이크의 인텔 Arc 2세대 내장 그래픽인 130V, 140V 기준으로 1280x720 또는 1280x800의 HD급 해상도로 설정하고 그래픽 프리셋 옵션을 최하로 맞추더라도 30프레임을 방어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이다.[11] 스팀에 정식 사양이 올라온 시점에서 낮아질 확률은 거의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 최적화라는 것은 단순히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사양을 낮추는 것이 전부가 아니고 그 사양에서 안정적인 게임플레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지도 평가 요소에 들어간다.[12] 거미형 몬스터가 슬라임으로 바뀌지만, 이쪽 나름대로 외형이 기괴하다는 유저들의 반응이 있다.[13] 참고로, 아이스본 진오우거에 사용된 폴리곤은 약 8만 개다.[14] 다만 환경효과가 쏟아지는 장면에서는 30fps 수준이며 가끔 한자릿수도 찍는다. 추후 스팀덱용 쉐이더 캐시 등의 지원이 있을지는 불명.[15] 스팀덱용 쉐이더 캐시를 아직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윈도우를 깔아 쓰는 게 깡프레임도 잘 나오고 FSR 정굥도 잘 된다.[16] 특히 "고해상도 텍스처" 옵션 적용 시, 4K+레이트레이싱 기준으로 VRAM 사용량이 20GB를 넘나드는 수준이며, DLSS조차 적용하지 않는 순수 깡성능으로 4K에서 원활한 플레이를 위해서는 RTX 5090밖에 선택지가 없다.[17] 본작에서 추가된 신규 조룡종 탈리오스는 아예 공식적으로 케마트리스와 경쟁관계에 있다는 설정으로, 인게임내에서도 다른 대형 몬스터들에게 단체로 들러붙어 대경직을 주는 기믹이 있다.[18] 평소에는 무리를 짓지않는 대형종들도 있지만, 필드에 여러 마리가 동시에 집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19] 몬헌 시리즈의 설정상 인류 사회에 녹아든 아이루는 전부 사람의 말을 할 수 있으나, 실제 게임 내에서는 목소리 대신 야옹거리는 울음소리로만 표현하고 대사를 자막으로 처리하는 식이었다. 아이루에 성우가 붙어서 실제로 인간의 언어를 음성으로 구사하는 것은 외전작(스토리즈 등)을 제외하면 이번 작품이 처음이다. 이로 인해 반발이 있자 인터뷰에서 아이루의 사람 보이스를 고양이 소리로 바꿀 수 있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줬고 후에 공식 영상에까지 넣었다.[20] 사실 아이루가 아닌 인간도 몬헌 월드 이전에는 감탄사나 알 수 없는 짧은 가상어를 뱉고 말하고 자막으로 처리했었다. 월드로 넘어오면서 기존 유저들의 호불호가 갈렸던 부분이나, 서구권에 어필하기 위해 더빙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이 언어는 월드에서 더빙을 몬스터 헌터 언어로 설정하면 다시 들을 수 있다.[21] 클러치 클로의 경우 슬링어 탄환과 상처(약점)을 만들기 위해 있었고 밧줄벌레는 용조종술과 맵 이동의 편리함,긴급한 회피,특수기들을 위해 있는 것이였지만 두 가지 기능들이 와일즈에선 다른 시스템들로 대처가 되어있어서 큰 문제는 없다.[22] 멀티 진행시 퀘스트가 끝나면 파티원들은 익룡을 타고 사라지기만하고 퀘스트 수주자는 필드에 남아있는다.[23] 고기를 설익히거나 태우는 경우엔 써는 장면이 스킵된다.[24] 캠프 안에서 정비하는 도중 몬스터가 접근하면 주변인물이 다급한 소리를 하기 시작하며, 잠시 후 공격당하면 하던 일을 강제로 멈추고 캠프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다.[25] 하지만 수리하더라도 위험지대는 위험한 건 변함이 없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수리 명령을 내렸는데 몬스터가 급습해와서 수리가 끝나자마자 도로 박살나는 경우도 있다.[26] 사냥을 준비하는 과정 자체를 시리즈의 아이덴티티라고 보는 의견으로, 월드 이후로 편의성 개편 목적으로 현 시대에는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을 대폭 쳐내는 대가로 이러한 감성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월드에서는 현지에서 서리버섯과 고추 단일 조합으로 간단하게 현지 조달을 할 수 있게 되어 현장감은 남겨주었는데, 라이즈에서는 아예 사라지니 추운/더운 지역이라는 감각이 없다는 의견. 단순히 편의성 개편을 반대하고 몬헌다움만 추구하는 올드 게이머의 여론이 아니라, 월드/라이즈의 편의성 개편을 반기면서도 "이거까지는 좀"이라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게 요점이다.[27] 상처 생성에 필요한 공격 축적 수는 몬스터에 따라 다르며, 상태이상처럼 내성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고 시간 경과에 따라 축적치가 감소하지도 않는다. 부위 파괴 시스템에 좀 더 가깝다.[28] 일부는 집중 조준을 통해서 공격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도 하다.[29] 예외로 단차 마무리 공격은 베타 테스트 기준 몬스터 불문 30 대미지를 입힌다.[30] 이 파괴 대미지는 상처를 한번에 여러 개 파괴할 시 각 상처마다 순차적으로 증가한다.[31] 단 경직 면역등의 상태가 중간에 낀 경우는 효과가 무시되기도 한다. 경직 정도와 유무는 수렵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32] 가령 태도는 상처 파괴 시 연기 게이지의 색 단계가 오르는데, 파괴한 만큼 색 단계가 오르긴 하지만 상처 파괴 후 곧바로 기인3-큰회전까지 연계가 가능해서 상처를 하나만 파괴해도 큰회전베기의 단계+1까지 합쳐서 2단계를 올릴 수 있다.[33] 정황상 마비나 수면 등의 상태이상과 비슷하게 일정 이상의 누적치를 쌓으면 대성공 판정이 뜨면서 힘겨루기나 상쇄 넉다운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 초반에는 상대적으로 대성공에 필요한 횟수가 적고 발동 시기도 빠르지만, 다음 성공에 필요한 횟수와 시간이 평균적으로 크게 늘어난다. 이는 상태이상이나 단차탑승 등에 필요한 누적치가 발동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점.[34] 대검, 한손검, 랜스, 건랜스, 차지액스, 헤비보우건[35] 대검, 해머, 피리, 슬액, 조충곤, 헤비보우건[36] 태도, 쌍검, 라이트보우건, 활[37] 베이스 캠프에서 운송용 가축으로 등장한다.[38] 임시명칭[39] 운송 및 간이 캠프 설치를 도와주는 가축으로 등장한다.[40] 골격 및 데이터마이닝에서의 유출로 인해 가장 유력한 분류다.[41] 고어 마가라는 10주년 생태수형도에서 고룡종임이 확인되었지만, 인게임에서는 여전히 종족불명을 유지하고 있다.[42] 본작에서는 보이스 샘플 수가 적은 대신 보이스의 높낮이 톤을 조정할 수 있다.[43] 기술력 문제로 참전에 어려움을 겪는다 여겨졌던 가무토, 사룡종 등의 추가를 기대하는 의견도 커졌다. 특히 6차 PV에서 빙무의 절벽에 등장한 미공개 신몬스터가 오로미도로 골격으로 추정되는 중인데, 어마어마한 체급과 긴 통짜 몸통 등을 토대로 사룡종이 아니냐는 희망적 관측도 있었다. 7차 PV에서 해당 몬스터 진 다하드가 공개되었고 정황상 해룡종 골격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44] 이 때문인지는 불명이나, 여러 유저들이 일부 지형에서 레 다우가 공중 날개 쓸기를 사용하던 도중 비정상적으로 헌터에게 방향이 꺾여 들어와 피격되는 원인이 지형 문제가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판정이 지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45] 특히 굉장히 넓은 필드를 배정받은 지역의 한 구석에서 전투 중이던 몬스터가 반대편에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할 때 이런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다.[46] 다만 유인탄의 경우 쓰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맵 이동을 재개할 정도로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그다지 유효하지는 않다.[47] 집중모드를 토글 조작으로 하고 타겟카메라를 사용하는 법 or 집중모드 사용시 타켓카메라를 향하는 옵션[48] 특히 조충곤의 경우 버튼 모으기가 생겨서 백버튼 사용시 편의성이 압도적으로 좋아진다.[49] 단적으로 PS5는 기본적으로 컨트롤러를 듀얼센스 혹은 듀얼센스 엣지만 사용 가능한데, 듀얼센스는 백버튼이 없고 듀얼센스 엣지는 백버튼이 있지만 가격이 듀얼센스 대비 3배가 넘는다. 백버튼이 내장된 기종이 정식출시된 이상 듀얼쇼크 4 마냥 정식 라이센스 제품으로 백버튼이 별매될 가망도 거의 없으므로, 울며 겨자먹기로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엣지를 사던가, 비라이센스로 판매되는 백버튼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비라이센스 백버튼의 경우 기본적으로 납땜을 요구하고, 비용 면에서도 엣지보다야 싸지만(보통 듀얼센스 본체+백버튼 가격을 합산해도 엣지의 절반 이하다) 절대적인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성능과 기능성을 모두 잡은 서드파티 패드 2개 수준의 가격이다. 납땜의 경우 초보자도 금방 배울 수 있을 정도로 기초적인 수준이라 어렵진 않지만 귀찮고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까지는 커버할 수가 없다.[50] 가드나 기인베기 버튼이 R키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면 WASD에 파지하고 있을 경우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누르려 하면 파지를 바꿔야 한다. 또한 기본 발도 상태랑 슬링어 조준 상태는 버튼이 겹쳐도 상관 없는데 이런 걸 무시하고 키 충돌로 인식하고 바꾸라고 강요하기 때문에 뭐 하나 바꾸려면 설정이 너저분해지게 된다.[51] 그런데 이 경우 PS5를 생각한다면 이해가 가능한 영역이다. CPU의 경우 AMD 2700X, 인텔의 8~9세대 정도이며 그래픽의 경우 2070 SUPER~3060 사이이기에 PS5가 중옵에서 돌아가니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52] 권장사양인 4060도 중옵에는 아무 문제 없어도 상옵으로 했을시 플레이 자체에는 문제 없지만 일부 로딩이 필요한 부분(타인의 파티에 들어가거나 텐트에 들어가는 과정) 프레임 잔상이 발생한다.[53] 단, DLSS의 '프레임 생성' 기능은 반드시 4000번대 이상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며, 때문에 3000번대 이하 구형 그래픽카드들은 이 업스케일링 기능만 동작하고 DLSS의 프레임 생성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자세한 설명은 DLSS 문서 참고. 그렇기에 3000번대 이하 구형 그래픽카드들은 개임내 옵션으로 '프레임 생성'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업스케링과 관련된 옵션을 'DLSS 3.5'가 아닌 'AMD FSR 3.0'으로 사용했어야 했다.[54] 대신 이전에는 없던 고해상도 텍스쳐팩 구매 시 150기가라는 단서조항이 달려서, 최적화 과정에서 4K급 텍스쳐를 월드처럼 DLC로 오려낸 것으로 추정된다.[55]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커버 에디션의 경우 디스크가 있는 버전이기 때문에 당연히 Pro를 구매시 디스크도 같이 구매해야한다.[56] 과거 몬스터 헌터 콘솔 한정판이 서양권에서 발매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발매될 가능성은 낮다.[57] 고어 마가라, 격앙 라잔, 크샬다오라, 월신룡, 괴이 극복 몬스터들[58] 아뉴단의 가공점 소녀가 성장한 모습으로 추정된다.[59] 일본어에는 띄어쓰기가 없어 외국어 명칭을 표기할 때 띄어쓰기를 뜻하는 기호로 ・를 사용한다. 한게임이 맡은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한국닌텐도가 맡은 4세대에서는 올바르게 띄어쓰기로 번역했으나 폴투윈코리아가 맡은 월드부터 -로 번역되었다.[60] 다만 같은 거미계열인 라바라 바리나는 슬라임이 되지 않는데, 거미공포증에 걸린 유저들 중에선 무서워하기도 하거나 혹은 다른 괴물 같다며 무서워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61] 다만 2차 베타에서는 신규 몬스터로 게리오스와 알슈베르도가 추가되고, 시스템적으로는 수련장 기능, 온라인 싱글 플레이 모드와 비공개 로비 기능 등이 추가되기 때문에 완전히 같지는 않다.[62] 1차때는 플스가 먼저 따로 시작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