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02:15:49

태도(몬스터 헌터 시리즈)/와일즈


파일:와일즈 로고.webp
몬스터 · 환경생물 · 등장인물 · 지형 · 무기 · 슬링어
특수 장비 · 스킬 · 퀘스트 · 조작 방법 · 평가
발매 전후 정보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무기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27px;margin-bottom:-12px"
파일:몬스터 헌터 대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한손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해머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슬래시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조충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라이트보우건 아이콘.png 원거리
(탄/화살)
파일:몬스터 헌터 태도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쌍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수렵피리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건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차지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활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헤비보우건 아이콘.png
}}}}}}}}}
태도
太刀 | Long Sword
파일:와일즈 태도 남.png 파일:와일즈 태도 여.png
1. 개요2. 무기 특성3. 조작 방법
3.1. 추천 콤보
4. 변경된 점5. 운용6. 내부 데이터7. 총평
7.1. 장점7.2. 단점
8. 추천 스킬 목록9. 추천 무기 목록10. 기타

1. 개요

무기 소개 영상: 태도
날렵한 움직임과 연속 공격이 장점인 무기.
공격을 간파해 카운터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특정 공격을 적중시키면 연기 게이지가 상승합니다.
연기 게이지가 붉은색이 되면 일부 기술이 강화됩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태도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무기 특성

3. 조작 방법

버튼 역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게임 패드 조작 방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반 공격 (通常攻撃)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기본적인 연계 공격을 한다.
세로베기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으로 세로베기 II로, 세로베기 II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으로 역가사 베기로 파생된다.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는 각 기술이 강화된다.
찌르기 (突き)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찌르기 후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으로 베어올리기로 파생된다.
기인베기 I (気刃斬り I)
파일:MHWs 버튼 R2.png
연기게이지를 소비하는 참격. 기인베기 I과 기인베기 II는 파일:MHWs 버튼 L스틱.png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인베기 I 후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기인베기 II, 기인베기 II 후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기인베기 III, 기인베기 III 후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기인 큰회전베기로 파생.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만 기인 큰회전베기 후에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적인선전참으로 파생된다.
기인모으기 (気刃溜め)
파일:MHWs 버튼 R2.png 길게 누르기
모으기 시간이 길수록 강력한 기인베기로 파생된다.
최대로 모으면 기인 큰회전베기를 쓸 수 있으며, 모으는 동안에는 연기게이지도 계속 쌓인다.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만 발생 직후에 몸이 움츠러들거나 날아가지 않는다.
베어내리기 (斬り下がり)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뒤로 이동하며 사용하는 참격. 파일:MHWs 버튼 L스틱 좌.png 또는 파일:MHWs 버튼 L스틱 우.png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간파베기 (見切り下がり)
콤보 중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콤보 중에 파생 가능하며 긴 무적 시간이 발생하는 공격.
연기게이지를 전부 소비하지만 공격을 회피한 뒤 추가 공격을 맞히면 연기 게이지가 최대로 쌓이며, 파일:MHWs 버튼 R2.png으로 기인 큰회전베기로 파생된다.
연기게이지가 없으면 성능이 감소한다.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는 간파베기 선으로 파생할 수 있다.
기인찌르기 (気刃突き)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게이지 색이 흰색 이상일 때 명중하면 게이지 색이 한 단계 내려가면서 기인 투구 깨기로 파생하는 기술.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는 기인 투구 깨기, 파일:MHWs 버튼 R2.png으로 연기 해방 무쌍베기로 파생된다.
기인 투구 깨기 중 파일:MHWs 버튼 네모.png으로 중단할 수 있다.
특수 납도 (特集納刀)
공격 후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버튼 가위.png
(특수 납도 파생) 앉아발도 베기 (居合気刃斬り)
파일:MHWs 버튼 세모.png
(특수 납도 파생) 앉아발도 기인베기 (居合抜刀気刃斬り)
파일:MHWs 버튼 R2.png
특수한 납도 액션.
특수 납도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으로 앉아발도 베기, 특수 납도 후 파일:MHWs 버튼 R2.png으로 앉아발도 기인베기로 파생.
앉아발도 베기를 맞히면 연기게이지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회복되며, 몬스터의 공격에 타이밍에 잘 맞춰 앉아발도 기인베기를 맞히면 게이지 색 단계가 올라간다.
집중 찌르기[무진] (集中突き【無尽】)
파일:MHWs 버튼 L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R1.png
상처에 효과적인 찌르기 공격.
상처나 약점에 맞으면 참격으로 파생되며, 게이지 색 단계가 오른다. 다양한 상처를 파괴한 만큼 색 단계를 올릴 수 있다.
또, 참격은 파일:MHWs 버튼 L스틱.png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키보드 조작 방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반 공격 (通常攻撃)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기본적인 연계 공격을 한다.
세로베기 후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으로 세로베기 II로, 세로베기 II 후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으로 역가사 베기로 파생된다.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는 각 기술이 강화된다.
찌르기 (突き)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찌르기 후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으로 베어올리기로 파생된다.
기인베기 I (気刃斬り I)
파일:MHWs 키 R.png
연기게이지를 소비하는 참격. 기인베기 I과 기인베기 II는 파일:MHWs 키 W.png파일:MHWs 키 A.png파일:MHWs 키 S.png파일:MHWs 키 D.png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기인베기 I 후 파일:MHWs 키 R.png을 누르면 기인베기 II, 기인베기 II 후 파일:MHWs 키 R.png을 누르면 기인베기 III, 기인베기 III 후 파일:MHWs 키 R.png을 누르면 기인 큰회전베기로 파생.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만 기인 큰회전베기 후에 파일:MHWs 키 R.png을 누르면 적인선전참으로 파생된다.
기인모으기 (気刃溜め)
파일:MHWs 키 R.png 길게 누르기
모으기 시간이 길수록 강력한 기인베기로 파생된다.
최대로 모으면 기인 큰회전베기를 쓸 수 있으며, 모으는 동안에는 연기게이지도 계속 쌓인다.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만 발생 직후에 몸이 움츠러들거나 날아가지 않는다.
베어내리기 (斬り下がり)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뒤로 이동하며 사용하는 참격. 파일:MHWs 키 A.png 또는 파일:MHWs 키 D.png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간파베기 (見切り下がり)
콤보 중 파일:MHWs 키 R.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콤보 중에 파생 가능하며 긴 무적 시간이 발생하는 공격.
연기게이지를 전부 소비하지만 공격을 회피한 뒤 추가 공격을 맞히면 연기 게이지가 최대로 쌓이며, 파일:MHWs 키 R.png으로 기인 큰회전베기로 파생된다.
연기게이지가 없으면 성능이 감소한다.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는 간파베기 선으로 파생할 수 있다.
기인찌르기 (気刃突き)
파일:MHWs 키 R.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게이지 색이 흰색 이상일 때 명중하면 게이지 색이 한 단계 내려가면서 기인 투구 깨기로 파생하는 기술.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는 기인 투구 깨기, 파일:MHWs 키 R.png으로 연기 해방 무쌍베기로 파생된다.
기인 투구 깨기 중 파일:MHWs 키 E.png으로 중단할 수 있다.
특수 납도 (特集納刀)
공격 후 파일:MHWs 키 R.png + 파일:MHWs 키 스페이스.png
(특수 납도 파생) 앉아발도 베기 (居合気刃斬り)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특수 납도 파생) 앉아발도 기인베기 (居合抜刀気刃斬り)
파일:MHWs 키 R.png
특수한 납도 액션.
특수 납도 후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으로 앉아발도 베기, 특수 납도 후 파일:MHWs 키 R.png으로 앉아발도 기인베기로 파생.
앉아발도 베기를 맞히면 연기게이지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회복되며, 몬스터의 공격에 타이밍에 잘 맞춰 앉아발도 기인베기를 맞히면 게이지 색 단계가 올라간다.
집중 찌르기[무진] (集中突き【無尽】)
파일:MHWs 마우스 사이드 후.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키 시프트.png
상처에 효과적인 찌르기 공격.
상처나 약점에 맞으면 참격으로 파생되며, 게이지 색 단계가 오른다. 다양한 상처를 파괴한 만큼 색 단계를 올릴 수 있다.
또, 참격은 파일:MHWs 키 W.png파일:MHWs 키 A.png파일:MHWs 키 S.png파일:MHWs 키 D.png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 ||

3.1. 추천 콤보

<colkeepall> 추천 콤보
연기게이지를 올리는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역가사 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세로베기)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세로베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세로베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역가사 베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세로베기)
색 단계를 올리는 연계
파일:MHWs 버튼 R2.png (기인베기 I) → 파일:MHWs 버튼 R2.png (기인베기 II) → 파일:MHWs 버튼 R2.png (기인베기 III) → 파일:MHWs 버튼 R2.png (기인 큰회전베기)
파일:MHWs 키 R.png (기인베기 I) → 파일:MHWs 키 R.png (기인베기 II) → 파일:MHWs 키 R.png (기인베기 III) → 파일:MHWs 키 R.png (기인 큰회전베기)
게이지가 빨간색일 때 기본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적인베기 I)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적인베기 II)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적인베기 III)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적인베기 I)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적인베기 II)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적인베기 III)
위치가 바뀌지 않는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적인베기 I)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베어올리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적인베기 I)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적인베기 I)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베어올리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적인베기 I)

4. 변경된 점

4.1. 몬스터 헌터 와일즈

전체적으로 월드/아이스본 태도를 베이스로 라이즈/선브레이크의 요소를 추가한 형태로 변화했으며, 교체 기술과 벌레철사 기술은 삭제되었으나 새로운 모션이 상당수 추가되었다.

5. 운용

크게 빨간 코팅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적인베기와 간파베기 선(旋)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방식과, 빨간 코팅을 투구깨기-연기 해방 무쌍베기로 빠르게 소모하고 특납 카운터 등을 통해 재수급하는 방식 두 가지로 나뉜다. 어떤 방식이든 태도는 집중약점공격을 할 경우 코팅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처가 있는 상태에서 코팅 단계가 떨어지면 우선적으로 집중약점공격을 넣을 타이밍을 보는게 좋다.

적인베기 운용의 경우 일반적으로 중립 상태에서 적인베기 I-기인베기 I을 난사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8] 적인베기 도중에 언제든지 공격을 캔슬하고 간파베기-선을 사용할 수 있어 안정성과 저점이 매우 높고, 적인베기 도중 자유로운 방향전환 또한 가능하므로 플레이가 상당히 쾌적하다. 집약공과 카운터를 통해 상시 빨간 코팅이 유지되고 지상에서 지속딜을 넣는다는 특징 때문에 월드 시절의 쌍검이나 라이즈의 슬액과 비슷한 운용을, 동 작품 내에서는 한손검과 유사한 운용을 하게 된다.

투구깨기 운용은 리스크가 있지만 적인베기 대비 고점이 약간 더 높다.[9] 다만 특수 납도 지속시간이 2.5초로 크게 줄었고 납도술 스킬의 성능도 월드보다는 빠르나 라이즈에 비해서는 느리기 때문에 난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기인찌르기에 하이퍼 아머가 붙고 시전 속도가 빨라지긴 했지만 딜레이 자체가 라이즈 시절의 쾌속 투구깨기가 아니라 월드 사양에 가깝게 회귀했기 때문에 적중 난도도 높은 편. 연기 해방 무쌍베기까지 사용할 경우 코팅이 2단계나 하락하기 때문에 카운터 각을 잘 보지 못하면 빨간 코팅을 복구하기 힘들 수 있으니 이전작보다 투구깨기 운용에 신중을 가할 필요가 있다. 투구깨기-연기해방이 상처를 잘 내는 편이라 그냥 상처파괴로 코팅을 복구하는 방법도 있다.

최종 세팅 이후에는 두 운용법을 합쳐 사용할 수 있다. 빨간 코팅 후 적인베기 I-기인베기 I을 반복하고, 코팅 단계가 다운되기 직전 투구깨기-연기 해방 무쌍베기로 1단계까지 코팅을 소모하는 방식. 최종 세팅 단계에선 상처를 더 빈번하게 만들 수 있어, 집중약점공격+대회전베기로 바로 3단 코팅으로 돌아올 수 있다. DPS가 가장 높고 동시에 적인베기의 유틸성을 살릴 수 있으며, 투구깨기로 부위 파괴도 용이한 태도의 완성형 같은 운영.[10]
기인 모으기 캔슬
파일:steakgames_cancel_tech2.gif 파일:steakgames_canel_tech.gif
중립 상태 집중 모드 상태

기인모으기 발동 직후 간파베기와 특수납도로 캔슬이 가능하다.[11] 특히 특납 카운터 실패 시에도 기인모으기 캔슬이 가능하니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베타 빌드에서는 중립 상태에서만 가능했지만 본편에서는 중립 없이도 가능하다. #

6. 내부 데이터

7. 총평

라이즈-썬브레이크에서의 많은 카운터 기술들이 없어졌어도 간파배기와 성공 시 게이지 상승이 되는 라이즈 사양 앉아발도 기인배기로 이번 작의 신규 액션인 상쇄와 힘겨루기 없이도 몬스터를 농락할 수 있으며 기인 모으기를 이용해 딜 손실과 빠른 카운터 불가 때문에 근래 태도의 결점이라 평가받는 기인배기 연계를 최소화하거나 간파배기-특수납도로 이어지는 새로운 카운터 연계가 가능하고 썬브레이크에서의 극한의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주력기인 위합 외엔 투구깨기의 비중이 높을 수 밖에 없었으나 적인배기란 매우 안정적인 주력기까지 추가되어 월드부터 이어진 강세를 유지함을 넘어 기존의 결점들까지 거의 완벽히 보완되었단 평이 많다.

7.1. 장점

7.2. 단점

8. 추천 스킬 목록


기인 모으기의 존재로 인해 집중 스킬 또한 채용을 고려할 법도 하지만, 3레벨을 챙겨도 모으기 속도에 큰 차이가 나지는 않기 때문에 굳이 따로 챙길 필요는 없다. 집중 레벨 0~3 기인모으기 속도 비교

9. 추천 무기 목록

종결 무기가 있긴 하지만 큰 의미는 없으며 방어구 종결이 훨씬 영향이 큰 것으로 의견이 모이고 있다. 그래서 그냥 룩보고 결정하는 경우도 많다.
\

10. 기타


[1] 가사베기(袈裟切り)란 '한쪽 어깨부터 비스듬이 내려 베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불교 승려의 법복을 가사라고 하며,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 쪽으로 비스듬히 내려오게 걸쳐입는 옷이다. 즉 오른손잡이 검사가 자연스럽게 검을 자신의 오른쪽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베면 상대가 입은 가사의 선을 따라 베게된다. 이와 반대로 베는 것이 바로 역가사베기이다.[2] 베타 빌드에서는 무색, 흰색, 노란색 게이지에서 카운터 성공 시 2+2타로 공격이 들어갔으나 제품판에서는 삭제됐다[3] 커맨드에는 나오지 않지만 발동이 가능하다.[4] 간파베기 선은 연계 가능.[5] 무기 소개 영상에서 보인 평타 시 게이지 소모는 편집 실수이거나 시연 버전 이전 사양인 것으로 보인다.[6] 빨간색 단계 시[7] 선 포함[8] 출시 기준 적인베기 I의 배율은 매우 우수한 반면 적인베기 II는 딱히 빠르지도 않으면서 대미지는 황당할 정도로 낮기 때문에 적인베기 I의 비중을 최대한 끌어올리게 된 결과물이다.[9] 순수 DPS면으로만 따지면 적인베기 운영 대비 약 19% 정도 높다.[10] 흔히 투구깨기를 쓰는 것보다 적인기인 콤보만 하는 것이 DPS가 무조건 더 좋다는 정보가 퍼져있으나 그건 식공 복장을 착용 중일 때만 한정인 것이고, 식공 복장이 없는 경우 빠른 코팅 복구가 가능한 상황이라면 확실히 투구깨기-연기 해방 무쌍베기의 DPS가 더 높다.# TA 등지에서 적인기인 콤보만 쓰는 이유도 식공 복장 지속 시간이 끝나기 전에 사냥을 끝내버리기 때문.[11] 발동 직후 짧은 시간 동안만 가능하다. 시간이 지나면 기인베기를 쓰거나 구르기로 캔슬 해야 한다.[12] 후술할 입력 지연으로 인하여 전작들처럼 맞으면서 카운터친다는 감각으로 지르면 높은 확률로 실패한다.[13] 이게 가장 체감되는 순간이 특납자세 전환 중 공격이 들어와 급하게 카운터를 쳐야할 때인데, 이전작에서는 자세를 잡자마자 최속으로 발동시켜 카운터를 칠 수 있는 타이밍도 그놈의 선딜때문에 그냥 얻어맞고 나가떨어진다.[14] 특납카운터의 경우 해당 선딜은 의도된 것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월드 시절의 선딜 5프레임에서 거의 2배나 뻥튀기할 이유가 없다. 보통 선딜이 긴 카운터는 판정이라도 길기 마련인데 와일즈의 특납 카운터는 12~14프레임의 길지 않은 판정을 가졌음에도 기형적으로 긴 선딜을 갖고 있다.[15] 슬래시액스의 검모드 R2+△와 같이 2버튼이상의 동시입력이 필요한 카운터기는 4프레임의 선딜을 가지고있다. 활의 차지스텝은 조준을 유지하는 도중 커맨드를 입력하므로 동시입력 방식에 해당되지 않음.[16] 태도를 장비중이라면 납도, 발도와 상관없이 첫번째 구르기에 6프레임의 입력지연이 있다[17] 힘 겨루기 또는 상쇄 성공 시 일정 시간 기초 공격력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