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21:00:53

몬스터 헌터 와일즈/지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몬스터 헌터 와일즈
파일:와일즈 로고.webp
몬스터 · 환경생물 · 등장인물 · 지형 · 무기 · 슬링어
특수 장비 · 스킬 · 퀘스트 · 조작 방법 · 평가
발매 전후 정보

1. 개요2. 지형 기믹3. 일반 지형
3.1. 경계의 모래 평원3.2. 주홍빛 숲3.3. 기름 솟는 계곡3.4. 빙무의 절벽
3.4.1. 빙쇄의 동봉
3.5. 용도의 폐허
3.5.1. 용등의 사원
4. 특수 지형
4.1. 용곡의 터
5. 거점
5.1. 베이스 캠프5.2. 바람 소리 마을 쿠나파5.3. 모리바의 아지트5.4. 불가마 마을 아즈즈5.5. 수호자 마을 실드5.6. 봉우리 마을 스자5.7. 대집회소

1. 개요

파일:와일즈 전체 맵.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전체 맵[1]
파일:2m37tbwex5ld1.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좌) / 몬스터 헌터 월드(우)의 맵 크기 비교[2]
사람들이 사는 땅에서 1000년 넘게 분단된 후 사람이 살지 않으리라 여겨졌던 땅.

기후가 변동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생물들이 생태계를 형성하고,
사람도 그 일부가 되어 문화를 쌓아 올리고 삶을 영위해 나간다.
와일즈의 배경이 되는 지역은 금지된 땅(禁足地)이라 불리는 곳이다. 현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곳으로 과거에 이곳에 있던 나라가 멸망한 후 출입이 금지되어 사람이 살지 않는다고 여겨지던 곳이지만, 이곳에서 온 소년을 길드가 구조한 것을 계기로 금지된 땅에 사람이 살고 있고 어떤 몬스터의 습격을 받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조사단이 파견된다. 구작에서 샤가르마가라의 전용 필드로 등장했던 금지된 땅(禁足地)과 명칭은 같지만 정황상 다른 지역이다.
설정상 금지된 땅은 자원이 부족한 곳이라 대형 몬스터들만 아니라 소형 몬스터들도 공격적이라고 한다. 그래서 소형 몬스터들도 위협을 받으면 상대가 대형 몬스터라도 대항을 한다고 한다. 탈리오스가 그 예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지인들은 거의 무장하지않은 상태로 각자만의 방법으로 몬스터의 위협을 방지하며 마을을 유지하고 있는 독특한 생태계다.
필드의 특정 기후에서만 출현하는 몬스터들이 존재하며, 한 번 수렵에 성공한 몬스터는 자유 퀘스트에서 언제든 수렵할 수 있다. 다만 필드에서 수렵하는 것보다는 보상이 적다고 한다.
몬스터 헌터 월드보다 맵의 크기가 약 3배쯤 늘어났으며, 실제로 시리즈 최초로 한 맵에 8마리의 몬스터가 동시에 머무를 수 있다. 세크레트도 몇 배로 불어난 맵 크기에 따른 이동 시간을 고려해서 추가된 듯하다.

필드 몬스터의 위험도에 따라 전투 bgm의 어레인지가 달라진다. 각 필드의 주인 몬스터 고유 bgm은 필드 고위험도 bgm과 비슷한 분위기로, 이어 들으면 한 곡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3]

2. 지형 기믹

파일:풍요기.png 파일:황폐기.png 파일:이상 기후.png
필드는 굶주린 육식 몬스터가 무리 지어 다투는 가혹한 환경과 더불어 생명력이 넘쳐흐르는 환경이라는 양면성을 모두 지니고 있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끊임없이 변모하는 필드, 그 안에서 살아가는 몬스터와 생물들의 삶에는 그에 따른 경이로움과 새로운 발견이 자리 잡고 있다.
와일즈에서는 필드의 환경이 끊임없이 3종류로 변화한다. 몬스터나 생물은 환경에 맞춘 행동을 한다고 한다.

와일즈의 필드들은 풍요기 - 황폐기 - 기상 이변 순으로 3 가지 시기가 반복되는 사이클을 가지고 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 주인 몬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white>
[[경계의 모래 평원|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아이콘.png
경계의 모래 평원
]]
[[주홍빛 숲|
파일:주홍빛 숲 아이콘.png
주홍빛 숲
]]
[[기름 솟는 계곡|
파일:기름 솟는 계곡 아이콘.png
기름 솟는 계곡
]]
[[빙무의 절벽|
파일:빙무의 절벽 아이콘.png
빙무의 절벽
]]
파일:레 다우 와일즈 아이콘.png
황뢰룡
레 다우
파일:우드 투나 와일즈 아이콘.png
파의룡
우드 투나
파일:누 이그드라 와일즈 아이콘.png
파일:진 다하드 와일즈 아이콘.png
동봉룡
진 다하드
}}}}}}}}}}}}

월드에 이어 각 필드마다 생태계의 정점으로 군림하는 몬스터가 존재하며,[8] 이상 기후일 때 높은 확률로 출현한다. 여담으로 모두 이름에 띄어쓰기가 들어간다는 공통점이 있다.[9]
또한 이전작들과 달리 필드가 심리스 오픈월드 형식으로 바뀌어 기존의 텔레포트 형식과 달리 샛길을 통해 직접 걸어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11]

3. 일반 지형

3.1. 경계의 모래 평원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1.png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2.png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3.png
파일:황폐기.png 파일:이상 기후.png 파일:풍요기.png
광활한 모래 평원 필드. 조사대가 금지된 땅에 발을 내디딘 후 가장 처음으로 조사하게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사막을 비롯해 초원과 바위밭 등 다양한 특색을 지닌 여러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은 기상 이변으로 천둥이 울려 퍼지는 [모래 폭풍]이 발생한다.
이름
한칭 경계의 모래 평원
일칭 隔ての砂原
영칭 Windward Plains
아이콘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아이콘.png
BGM (위험도 1~4)
경계의 모래 평원 -위국- (隔ての砂原 -危局-)
경계의 모래 평원 -위태- (隔ての砂原 -剣呑-)
모래먼지를 뒤흔드는 울림 (砂塵を揺るがす鳴動[12])
모래먼지를 뒤흔드는 울림 -경천- (砂塵を揺るがす鳴動 -震天-)

파일:2m37tbwex5ld1.png

레 다우가 생태계의 정점에 서 있는 사막 지형. 서쪽 지방과 금지된 땅의 경계가 되는 광활한 모래 평원이다. 황폐기 때는 모래 먼지가 날리는 황폐한 땅이며, 기상 이변일 때는 낙뢰를 동반한 엄청난 규모의 모래폭풍이 분다. 이 낙뢰는 헌터에게는 별다른 영향을 안 주는 듯 하나 몬스터가 맞을 경우에는 환경함정처럼 큰 데미지를 입힌다. 대표 속성은 번개지만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대형 몬스터중 번개 속성은 주인 몬스터인 레 다우뿐이다.

프론티어의 필드들에 있던 특수 기믹을 차용하였다. 백호에 있던 모래폭풍이 불어오는 연출, 고지에 있던 낙뢰가 떨어져 직접적으로 대미지를 입히는 기믹이 대표적.

크게 4개의 구역으로 나누는데, 조사단이 처음 도착한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한 모래 사막, 사막의 지하에 위치한 동굴, 사바나를 연상시키는 평원 지형, 조사단의 베이스 캠프와 쿠나파 마을이 있는 바위산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위산 계곡 곳곳에는 푸른색 광석이 자라나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는 창뢰정이라는 결정으로, 레 다우의 둥지에 깔려있는 것이 바로 이 결정이다. 이상 기후의 낙뢰와 연관이 있는 듯 하다.

평원 지형에 있는 강에 몬스터가 들어가면 강 바닥에 발이 빠지는 것인지 가끔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대경직에 걸린다.

맵 곳곳에 창뢰정 기둥이라는 ㄱ자 모양의 기둥이 있으며, 발라하라가 이 기둥에 올라탈 수 있다. 이 경우 슬링어로 기둥을 무너뜨려 발라하라를 떨어트릴 수 있다.

구역 5에 몬스터를 추락시킬 수 있는 무너지는 창뢰정,[13] 옆으로 넘어뜨릴 수 있는 날카로운 결정 기둥이 있다.

구역 10에 도샤구마의 둥지가 있고, 구역 17에 레 다우의 둥지가 있다.

북쪽의 구역 10에 있는 계곡길로 주홍빛 숲에 이어진다.

첫 지역답게 전반적으로 수렵하기 좋은 곳이라는 편이지만, 13번 오아시스 근처 모래 언덕은 요주의 지형. 높낮이가 심해 몬스터들의 공격 반경이 불규칙해지고 전투 중 의도치 않은 단차모션이 나와 피격확률이 급증한다.

3.2. 주홍빛 숲

파일:주홍빛 숲 4.png 파일:주홍빛 숲 5.png 파일:주홍빛 숲 6.png
파일:주홍빛 숲 1.png 파일:주홍빛 숲 2.png 파일:주홍빛 숲 3.png
경계의 모래 평원에 흐르는 강을 거슬러 오르면 물이 풍부한 삼림 필드가 펼쳐진다.
주홍빛 숲에 발을 들인 조사대는 붉은 물로 가득한 물가를 발견한다.
이 땅에서는 기상 이변으로 매우 심한 [호우]가 발생한다.
이름
한칭 주홍빛 숲
일칭 緋の森
영칭 Scarlet Forest
아이콘
파일:주홍빛 숲 아이콘.png
BGM (위험도 1~4)
주홍빛 숲 -위국- (緋の森 -危局-)
주홍빛 숲 -위태- (緋の森 -剣呑-)
안개 속에서 들려오는 울부짖음 (霞より聞こえし叫唱)
안개 속에서 들려오는 울부짖음 -경천- (霞より聞こえし叫唱 -震天-)

우드 투나가 생태계의 정점에 서 있는 삼림 지형. 황폐기 때에는 물이 붉은색이 되는 것이 특징으로, 기상 이변시 엄청난 호우가 쏟아져서 붉은 물이 씻겨내려가 풍요기에는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황폐기에 다시 빨개진다. 대표 속성은 물이지만 번개 속성 대형 몬스터가 레 다우뿐인 경계의 모래 평원처럼 물속성 대형 몬스터는 주인 몬스터인 우드 투나뿐이다.[14]

구역 4에 붉은 거미줄로 이루어진 라바라 바리나의 둥지가, 구역 8에는 벌집으로 둘러싸인 바바콩가의 둥지가 있다.

구역 15에 전전작의 고대수의 숲처럼 물이 쏟아져 나오게 할 수 있는 기믹이 있다.

강의 상류인 구역 17에 거대한 저수지가 있는데, 대형 어류를 낚을 수 있다.

구역 11에 비룡의 둥지가 있고, 비룡의 알을 채취할 수 있다. 필드에 리오레이아나 리오레우스가 있다면 집어드는 즉시 날아온다. 간이 캠프로 가져가면 납품할 수 있지만 약간의 조사 포인트밖에 얻을 수 없다.

이곳의 원주민인 모리바들은 자신들의 아지트뿐만 아니라 숲 곳곳에서 활동하고 다니며 특히 풍요기에 자주 볼 수 있다. 풀로 된 고치에 들어가서 잠을 자거나 낚시 혹은 광물을 캐는 등 다채로운 모습을 볼 수 있다. 모리바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곳 근처에 간이 캠프 설치가 가능한 구역이 존재하기도 하다.

강물이 붉어지는 이유는 메인 스토리 중 에릭의 말에 따르면 특정 플랑크톤의 과다, 또는 식물 유래 부식산의 용출 등이 원인일 수 있다고 한다. 직접 마셔봤는데 마시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15] 숲보다 상류에 있는 17번, 15번 구역의 호수는 황폐기에도 물이 맑고, 숲 내부에서도 동굴 속에 있는 호수는 모두 물이 항상 맑다.

모리바들에 의하면 고대 용도 문명이 오수처리장으로 사용하는 장소였다고 한다.

수호자 마을 주민의 말에 의하면 원래는 숲이 아니었던 모양.

3.3. 기름 솟는 계곡

파일:기름 솟는 계곡 4.png 파일:기름 솟는 계곡 5.png 파일:기름 솟는 계곡 6.png
파일:기름 솟는 계곡 1.png 파일:기름 솟는 계곡 2.png 파일:기름 솟는 계곡 3.png
그 이름처럼 시기에 따라 기름 진흙이 솟아나 퇴적되는 필드.
이곳은 기상 이변으로 격렬한 화염이 기름 진흙을 태우는 [불꽃 질주]가 발생한다.
이름
한칭 기름 솟는 계곡
일칭 油涌き谷
영칭 Oilwell Basin
아이콘
파일:기름 솟는 계곡 아이콘.png
BGM (위험도 1~4)
기름 솟는 계곡 -위국- (油涌き谷 -危局-)
기름 솟는 계곡 -위태- (油涌き谷 -剣呑-)
열화와 같은 막강한 힘 (烈火滾る剛力[16])
열화와 같은 막강한 힘 -경천- (烈火滾る剛力 ー震天ー)

누 이그드라가 생태계의 정점으로 군림하는, 기름 진흙이 퇴적된 계곡 지형. 고대 문명의 것으로 보이는 구조물이나 배관 등을 볼 수 있다. 지상은 협곡 비슷한 지형에 기름 진흙이 가득한 동굴이 존재하고, 지하는 기름 진흙이 없는 대신 빛나는 물이 흐른다. 심부에서는 마그마가 있어 항상 쿨드링크가 필요하다. 대표 속성은 불.

맨 마지막 사진처럼, 풍요기 때에는 기름 진흙이 아니라 흙탕물로 추정되는 액체가 흐르며 푸른 안개가 끼고, 이후 황폐기 때 다시 기름 진흙으로 변한 후 기상 이변시 격렬한 불꽃이 기름 진흙을 불태운다. 이때는 열기 때문에 마그마 근처가 아니어도 쿨드링크가 필요하다.

맵에 가스를 뿜고 있는 기름 분출구가 존재하며, 슬링어 횃불탄 같이 불꽃을 일으키는 슬링어탄이 적중할 시 폭발이 일어나 몬스터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연석탄 덩어리라는 오브젝트가 있는데, 본작에서 설치 후 잡아서 던지거나 굴리는 기능이 추가된 대형 폭탄통처럼 사용할 수 있다.[17]

구역 4에 옛 문명이 남긴 듯한, 함정으로 쓸 수 있는 구조물인 낡은 단조기가 배치되어 있다.

중저사양이나 고사양이어도 최적화 옵션을 못찾은 유저들에게는 가장 끔찍한 지역인데, 특히 누 이그드라가 등장하는 불꽃 질주때는 사방에 화염 이펙트때문에 월드 초기 테오 테스카토르의 슈퍼노바마냥 프레임 드랍으로 난리가 난다.

서포트 헌터가 유독 16번 구역에만 제대로 못오고 이상한곳에서 헤메는 버그 때문에 서포트 헌터를 사용할때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이 구역은 알슈베르도를 비롯한 비룡종이 빈사상태에 잠자러 오는곳이다 보니 다잡아놓고 마지막에 4인팟 스펙의 몹 상대로 혼자서 상대하느라 시간이 질질 끌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포획용 덫과 마취구슬을 필히 지참하자. 여담으로 해당 구역은 파일에서 그라비모스의 둥지로 지정되어있는데 둥지로 지정된 곳은 일반적으로 특정 몬스터만 들어올 수 있지만 이곳은 예외로 아자라칸, 리오레우스, 알슈베르도도 들어올 수 있다.

3.4. 빙무의 절벽

파일:빙무의 절벽 1.png 파일:빙무의 절벽 3.png 파일:빙무의 절벽 2.png 파일:빙무의 절벽 4.png
거센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한랭지.
이름
한칭 빙무의 절벽
일칭 氷霧の断崖
영칭 Iceshard Cliffs
아이콘
파일:빙무의 절벽 아이콘.png
BGM (위험도 1~4)
빙무의 절벽 -위국- (氷霧の断崖 -危局-)
빙무의 절벽 -위태- (氷霧の断崖 -剣呑-)
얼어붙은 요새에 꿈틀대는 그림자 (凍てつく要塞に蠢く影)
얼어붙은 요새에 꿈틀대는 그림자 -경천- (凍てつく要塞に蠢く影 -震天-)

진 다하드가 생태계의 정점으로 군림하는 한랭 지형. 공중에 바위가 떠있다거나 기름 솟는 계곡에서도 배경 곳곳에서 보이던 인공적인 물체들이 훨씬 많이 보이는 등 여러모로 떡밥을 지닌 맵으로 보인다.[18] 기상이변이 일어나면 거센 눈보라가 휘몰아치기 때문에 핫드링크가 필요하다. 대표 속성은 얼음.

구역 4의 동굴 안에는 거미줄로 뒤덮인 네르스큐라의 둥지가 있다.

필드에서 공중에 떠 있는 잔해를 낙석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훅 슬링어를 통해 헌터가 있는 쪽으로 당겨서 사이에 있는 몬스터를 맞추는 식으로 사용한다.

상위 스토리의 주 무대. 빙무의 절벽에서 광룡화한 얀쿡크를 시작으로 광룡화한 몬스터들이 등장하고, 나그네가 광룡 바이러스에 감염되며, 끝내 고어 마가라가 이 곳에서 등장한다.

여담으로 빙무의 절벽에서 스자나 용도의 폐허로 가는 길은 별도 로딩 없이 걸어볼 수 있으며, 직접 걸어서 가보면 빙무의 절벽 너머 용도의 전경을 볼 수 있다.

고대 문명의 중력 기술로 떠다니는 바위나 신비한 폐허 등 분위기는 좋으나 막상 수렵하기에는 영 별로다. 각 에어리어가 폐허 내부거나 동굴, 길목 좁은 구역이 대다수라 몬스터와의 전투가 상당히 불편하며, 특히 용곡의 터를 빼면 빙무의 절벽에서만 등장하는 고어 마가라의 경우 빠르고 광범위하게 몰아치는 녀석이 거대한 날개로 화면을 가리는 등 맵과의 시너지가 최악이라 이래저래 부정적인 평가를 듣고 있다.

3.4.1. 빙쇄의 동봉

진 다하드 토벌 퀘스트 전용 필드. 빙무의 절벽이 진 다하드를 담아내기 너무 좁기 때문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위치 상 빙무의 절벽의 일부다.

크게 4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번째 구역에는 히라바미 무리가 잠을 자고 있고, 3번째 구역부턴 낙석으로 취급되는 얼음 덩어리가 4개씩, 3번째 구역엔 추가로 딜링용으로 쓸 수 있는 무너지는 벽이 배치되어 있다.

3.5. 용도의 폐허

(용도의 폐허 이미지 - 추후 기재)
이름
한칭 용도의 폐허
일칭 竜都の跡形
영칭 Ruins of Wyveria
아이콘
파일:용도의 폐허 아이콘.png
BGM (위험도 1~4)
용도의 폐허 -위국- (竜都の跡形 -危局-)
용도의 폐허 -위태- (竜都の跡形 -剣呑-)
만들어진 조아[19](造られし爪牙)
만들어진 조아 -경천- (造られし爪牙 -震天-)

한때 고대 문명의 수도인 '용도'였으나 그 문명이 멸망하고 남겨진 폐허 지형. 주인 몬스터가 없으며, 대표 속성은 용. 거대한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상은 하얀 식물들이 폐허를 뒤덮은 '흔적의 숲'이 되어 있고, 지하에 연용맥을 따라 동굴이 뻗어 있다.

최후반부 지역이자 PV에서 공개되지 않은 숨겨진 지역으로, 프롤로그에서 나타가 통과했던 지하도를 통해 들어오는 구역이다. 지하도는 빙무의 절벽으로 이어져 있었다. 빙무의 절벽에서 처음 길을 발견했을 때에는 막혀있었으나, 아즈즈의 사건을 해결한 뒤에 돌아오니 열려 있어 용도의 폐허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원래 이곳에 서식하는 몬스터들 외에도 다른 지역의 주인 몬스터를 제외한 각종 몬스터들의 역전의 개체가 등장할 수 있다.[20] 때문에 와일즈 본편 기준으로 마경으로 취급받고 있다. 수호룡들은 이 지역에서만 나오니 해당 몬스터 소재 장비가 필요하다면 자주 오는 방법밖에 없다.

곳곳에 용유가 활성화된 땅이 있으며, 수호룡이 그 땅의 바닥을 치면 용유 결정이 형성된다. 이 용유 결정은 특정 속성의 공격을 받으면 잠시 뒤에 터지는 성질이 있어, 수호룡과 헌터 모두 공격에 활용할 수 있다.

구역 12에 시이우의 둥지가 위치해있다.

기름 솟는 계곡만큼은 아니어도 여기도 중저사양이나 최적화 옵션 세팅 안된 유저들에게는 은근 지옥인데, 표현되는 오브젝트가 많아서 은근슬쩍 프레임이 드랍되거나 버벅인다. 경계의 모래평원의 모래폭풍이나 주홍빛 숲의 폭우때나 나오는 부하량이 평상시에 걸려있다는 소리다.

3.5.1. 용등의 사원

하위 스토리의 최종 보스인 조 시아를 상대하기 위해 처음으로 방문하게 된다. 이후에는 HR50이 되기 전까지는 재방문이 불가능하며, 상위 조 시아가 조사로 출현할 때마다 전용 맵 개념으로 방문할 수 있다.[21]

용등은 몬스터 헌터 세계에서 1000년 전, 자연 그 자체를 다룰 정도로 인류의 황금기를 구가하던 시기에 만들어진 일종의 발전기로, 금지된 땅 전역에 걸쳐서 용맥이라 이름 붙은 에너지 관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고, 고대 인류가 자연의 힘을 다루는 기술의 잔재인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발전기인 용등과 함께 각 지역의 깊은 지하 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용맥은 하얀 뼈대 같은 형상을 띄고 있는데, 실제로 생물적인 특성도 지니고 있어서 상위 스토리 때 고어 마가라의 광룡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도 하고, 치료제를 주입하자 효과가 있었다.

여기도 현재 뭔가 잘못 되었는지 조 시아 토벌 퀘스트 중에 그래픽카드의 팬이 빨리 돌아가는 경우가 잦다. 그나마 용곡의 터 보다는 덜한 상황.

4. 특수 지형

4.1. 용곡의 터

이름
한칭 용곡의 터
일칭 竜谷の跡地
영칭 Wounded Hollow
BGM (위험도 2~4)
용곡의 터 -위태- (竜谷の跡地 ー剣呑ー)
지키는 자들의 용단 (護る者たちの果断[22])
지키는 자들의 용단 -경천- (護る者たちの果断 -震天-)

본작의 격투장 포지션의 지형. 격투대회 무대로 사용되는 곳이다. 거대한 생물의 뼈가 맵 전체를 가로지르는 비주얼에서 추측할 수 있겠지만 해당 지역 역시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 등장한 독기의 골짜기와 마찬가지로 다라 아마듈라의 시체로 인해 형성된 것이다.[23] 4 이후 격투장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분단 울타리가 존재하며[24], 4처럼 뒤편으로도 들어갈 수 있도록 지형적 조치가 취해져 있다.

격투장으로 사용되지만 일반 필드처럼 지속적으로 몬스터가 출현하는데, 맵의 크기가 매우 작은 만큼 1 마리만이 출현하며, 주인 몬스터들과 수호룡들은 출현하지 않는다.

분단 울타리를 올린 뒤에도 밧줄이 묶여있는 벽을 세크레트가 타는 것으로 반대 편으로 넘어갈 수 있으므로 참고하자. 세크레트 없이 올라가려고 하면 카무라 태생이 아니므로 월드에서처럼 끝까지 올라가지 못하고 떨어진다.

스자 마을에서 상주하는 조사단 NPC들과 대화하면 용곡의 터에서 2마리의 몬스터를 동시 수렵하는 퀘스트를 2개 받을 수 있는데, 이 퀘스트들을 완료하면 각각 힘과 방어 부적을 얻을 수 있다.[25]

왕관작을 하기 가장 알맞은 장소인데, 각 지역에 존재하는 몬스터들은 저장후 메뉴로 나가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사이즈가 랜덤하게 변화한다. 용곡의 터는 가장 맵 크기가 작기 때문에 로딩 시간이 짧고 몬스터와 이동 지점이 매우 가까우므로, 맵 크기가 비슷한 스자 마을을 오가면서 망원경으로 몬스터의 크기를 관찰하다가 이름 위에 왕관이 표시되면 그때 수렵하면 된다. 다만 수호룡들과 각 지역의 주인 몬스터들은 용곡의 터에 등장하지 않으니 참고. 그리고 원하는 몬스터가 용곡의 터에 등장하는 것은 결국 랜덤이므로 시간은 오래 걸릴 수 있다.

해당지역은 프레임은 잘 나오나, 최적화가 안 된 것인지 레이트레이싱 같은 고사양 옵션을 틀었다간 그래픽카드가 비행기 이륙하는 소리(......)를 낼 정도로 사양을 많이 탄다. 특히 레이 트레이싱에 약한 라데온 그래픽카드라면 더더욱.

5. 거점

5.1. 베이스 캠프

파일:베이스 캠프.png
―――괜찮은 곳을 찾으면 베이스캠프를 만들 거야. 벌써 기대되는걸.

조사대가 각지에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 설치한 활동 거점.
헌터의 텐트 외에도 아이템 구입과 식재료 배급, 무기나 방어구를 만들어 주는 가공점 등 사냥에 필요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헌터 조사대가 금지된 땅을 조사하기 위해 세워놓은 베이스 캠프. 각 지역마다 개별적인 베이스 캠프가 존재한다.

각 베이스 캠프에는 플레이어 헌터의 개인 텐트, 가공점, 물자 보급소가 존재하며 경계의 모래평원 베이스 캠프에서는 추가적으로 서클 관리와 교역선 거래가 가능하다.

5.2. 바람 소리 마을 쿠나파

파일:쿠파나.png
「경계의 모래 평원」에 있는 마을이며, 탑승용 동물 「세크레트」의 고향이기도 하다. 축산이 활발하며 가축으로 기른 초식종의 젖으로 만든 치즈가 특산품이다.
이름
한칭 바람 소리 마을 쿠나파
일칭 風音の村 クナファ
영칭 Kunafa, Windsong Village
BGM
경계의 모래 평원에 위치한 마을. 금지된 땅에서 외부와의 접점이 없이 살아오던 부족인지 헌터의 장비들에 대해 처음 보았다고 한다. 양손을 마주 잡아 감사를 표하는 제스처가 있다. 생활 양식은 몽골을 비롯한 동북아 지역과 남아시아, 아랍의 특징을 군데군데 섞어놓은 모습을 보인다. 이름 유래는 아랍권의 디저트 쿠나파로 추정.

작중에서 대형 몬스터로 가득한 위험한 지대에서 거의 비무장인 상태로 오랜세월 평화롭게 지내고 있어 조사단 인원이 어떻게 몬스터들 에게서 공격 받지 않았거나 퇴치했는지 의문이 표하는데, 쿠나파 마을 사람들은 창뢰정으로 만든 공예품을 달아놓으면 바람이 불 때 모래 평원의 정점 몬스터인 레 다우와 유사한 소리를 내서 토착 대형 몬스터가 알아서 피해간다고 한다. 다만 그렇다고 레 다우를 영물로 여기진 않는데, 그 흉폭함을 마을 사람들도 알고 있기 때문에 레 다우의 소리를 모방하는 것일 뿐이다.

축산으로 인해 치즈가 특산품이라는 설정이 장식이 아니라서 마을과 본격적으로 교류를 나누게 되면 물물교환으로 식재료인 쿠나파 치즈과 진한 쿠나파 치즈를 얻을 수 있다. 효과는 피격 시 확률적으로 대미지를 감소시켜주는 식사 방어술【소】 / 【대】.

스토리때 한번 식사 대접을 해준 이후에도 가끔 식사하러 오라고 초대하는데, 두껍고 넓은 난, 데워서 쭈욱 늘어나는 치즈, 따듯한 스프, 베이크드 빈즈와 으깬 감자로 보이는 음식을 대접한다. 고정 식사 스킬 중에 퀘스트의 타겟 보수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진 식사 행운술이 있다.

아래의 아즈즈처럼 주민들이 집 안팎을 드나들기 때문에 운이 나쁘면 식사초대를 받아놓고 문전박대를 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마을의 구조가 단순하고 뻥 뜷려 있는데다 밖에 있는 경우가 많아, 마을 주민들 모두가 실내로 대피하는 기상 이변 상태만 아니면 대부분은 문제없이 식사를 대접받을 수 있다.

쿠나파 마을 소재인 달루토돈 면직물을 얻으면 선봉대장 자토가 입는 옷의 레플리카를 만들 수 있다. 아이루 장비의 모티브는 베르베르족과 베두인.

여담으로 스토리상 이 마을에 막 도착했을 때 나오는 식사씬의 무비는 본작의 총괄 디렉터이자 아트 디렉터를 담당한 후지오카 카나메가 엄청나게 공을 들인 장면이라고 한다. 을 굽고 치즈를 올려 먹는 씬을 만드는데만 2~3년이 걸렸다는 모양. 심지어 개발 초기단계에서 이 식사씬은 원래 더 길었다고 하며, 와일즈 발매 후 일본에선 치즈를 올린 난의 주문량이 늘었단 이야기가 있다.

5.3. 모리바의 아지트

파일:모리바 아지트.png
「주홍빛 숲」에는 수인족 「모리바」와 만나게 된다.
숲의 한 구석에는 다양한 모리바가 모여 생활하는 아지트도 존재한다.
이름
한칭 모리바의 아지트
일칭 モリバーのアジト
영칭 Wudwud Hideout
BGM
주홍빛 숲의 수인종 모리바들이 지내는 마을. 본래 금지된 땅에 번성했었던 고대 문명의 하수처리장이 위치한 지역이었지만 인류가 사라진 후에는 하수처리장의 노동을 맡던 모리바들만이 남아 지내고 있다.

다른 마을처럼 식사 대접을 해 주진 않지만, 풍요기의 밤이 되면 본거지 옥상에 모여서 캠프파이어를 즐기는 이벤트가 있다. 이때 모여있는 모리바들에게 말을 걸어보면 1회에 한해 식재료나 채집소재들을 받거나 다른 채취 소재와 교환할 수도 있다.

캠프파이어의 요리를 담당하는 모리바와 대화할경우 구이용 식재료나 몬스터의 꼬리를 건네주면 모닥불구이를 해 주며, 에너지드링크, 강주약, 잘익은 고기 등을 받을 수 있다. 도마뱀붙이 구이는 퀘스트 이외에는 모리바의 모닥불구이에서만 입수 가능하니 참고.

본작에서 파피메르/파르메르 세트를 만들 수 있는 소재인 장수 호랑나비는 모리바들과의 교역으로 입수할 수 있다.

소재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는 군침버섯과 진수성찬버섯. 효과는 고정적으로 스태미나를 소비하는 행동의 스태미나 소비량을 감소시켜주는 식사 체술【소】 / 【대】.

5.4. 불가마 마을 아즈즈

파일:아즈즈.png
커다란 불가마를 중심으로 펼쳐진 마을, 「불가마 마을 아즈즈」.
아즈즈에 사는 사람들은 이 땅에 예로부터 전해지는 뼈나 광석의 가공에 능하며, 높은 정유 기술 또한 가지고 있다.
「기름 솟는 계곡」에 존재하는 거대한 불가마를 중심으로 펼쳐진 마을. 아즈즈 사람들은 이 땅에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뼈와 광석 가공과 정유 기술에 능한 것 같다.
이름
한칭 불가마 마을 아즈즈
일칭 火窯の里 アズズ
영칭 Azuz, the Everforge
BGM

기름 솟는 계곡 지역에 있는 고대 용광로 "불가마"를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마을. 이름의 유래는 일본어에서 뜨거울 때 쓰는 표현인 아츠(熱). 씨족 단위 생활을 하는 특징이나, 주변의 열기를 버티기 위해 피부가 검은 사람들이 많은 점 등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들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몬스터 부산물을 담당하는 뼈 씨족, 암석과 광물을 담당하는 돌 씨족, 기름 솟는 계곡에서 채취할 수 있는 황금 기름을 담당하는 기름 씨족, 이 세 씨족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씨족들은 부족장이 있는데, 뼈 씨족은 "아이다"라는 이름의 여인, 돌 씨족은 "도가드"라는 이름의 남성, 기름 씨족은 "야브란"이란 이름의 노인이다.

다른 지역처럼 계절과 같이 주기적으로 불가마가 다시 작동하는 기상 이변, "불꽃 질주" 시기가 되면 그 전에 각 씨족들이 모은 재료들을 사용해 칠색금을 제작·단조하는 것을 축제로 여긴다. 일명 "불 축제".

기름 솟는 계곡의 메인 퀘스트 이후에는 각 씨족장과 소지품을 거래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축제때 만들어낸 칠색금을 보상으로 준다. 또한 메인 퀘스트로 재가동된 예비 용광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각종 광물이나 몬스터의 소재를 사용해 방어구를 강화시키는데 사용하는 갑옥을, 이후에는 아티어 무기의 강화에 사용되는 칠색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마을 식사 초대시 식물이 자라기 힘든 환경이기 때문에 기름 솟는 계곡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을 사용한 육식 식사를 대접하는데, 머드슈림프로 보이는 새우의 머리를 따고 몸통만 남겨서 구운 새우 구이의 살점을 늪 술잔게의 껍질을 그릇으로 사용해서 만든 해산물 카레/스프에 찍어 먹고, 젤레도론을 화덕에 통째로 넣어 구운 통구이를 식빵 크기로 썰고 레몬을 곁들여서 먹는다. 전용 식사 스킬로 갈무리 횟수를 늘려주는 '식사 해체술'을 제공하니, 식사 뒤에 (토벌퀘 고정인) 진 다하드조 시아를 잡으러 가면 된다.

작중 주민들의 말로 원래 아즈즈는 부족끼리 사이가 좋진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나빴다는 뜻이 아닌 말 그대로 '좋지' 않았다는 뜻으로 어느 정도 스토리를 진행한 후 주민들에게 말을 걸어보면 씨족끼리 교류가 늘어 기쁘다거나 사이가 나빴던 건 아니지만 이렇게 씨족끼리 교류가 많은 적은 없었다는 걸로 미루어보아 각자 전문 분야가 있다보니 불꽃 질주 같은 마을 공통 대형 행사 같은 것이 아니면 서로 자기 씨족들끼리 위주로만 생활하고, 그 외 타 씨족의 도움이 필요할 때 정도만 아주 가끔 교류를 했던 듯 하다.

메인 퀘스트 도중 인위적으로 불가마를 재작동시키자 누 이그드라가 습격하는데, 옛날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이전에도 불꽃 질주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PV 시점에서부터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인 마을이었던 만큼 어찌보면 본작의 후반부 전개를 암시하는 지역이기도 하다.[스포일러]

특산품 교류를 통해 아즈즈 무두질 가죽을 입수하면 도가드가 입은 옷의 레플리카를 만들 수 있다. 아이루 장비는 설정상 다듬은 고대 유물이라는데 누가 봐도 토우몬이거다.

소재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는 머드슈림프와 도스머드슈림프. 설명을 보면 기름 솟는 계곡에 서식하는 새우로 아즈즈 사람들이 주로 먹는 식재료라고 한다. 효과가 회피 성능을 증가시켜주는 식사 회피술【소】 / 【대】라 선호되는 식재료 중 하나. 제작진도 많이 찾을 걸 예상했는지 아즈즈 소재 교환 셋 모두에게 머드슈림프를 교환할 수 있다.

여담으로 커뮤니케이션에서 할 수 있는 '아즈즈식 인사법' 을 보면 자체적으로 인사 방법이 있는 쿠나파 마을처럼 독자적인 인사 제스처를 가진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쯤 쥔 손을 이마에 대고 상대방에게 고개를 살짝 숙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게 한국인 입장에서는 묘한 제스처로 보이는지라 은근히 웃기다.

식사 초대 NPC 마키가 제법 악명이 높은 마을로, 본래 마키가 식사를 초대해서 가면 정작 마키랑 상호작용이 안 되는 버그가 자주 있었다. 패치로 이게 수정됐는데 상호작용이 안 되는 게 아니라 초대가 가는 게 버그였어서 식사 초대 횟수가 눈에 띄게 줄어버렸다. 게다가 패치 후에도 마키가 식사 초대를 해놓고서 집에 들어가버리는 등 간간히 버그가 발생한다.

5.5. 수호자 마을 실드

이름
한칭 수호자 마을 실드
일칭 守人の里 シルド
영칭 Sild, the Keepers' Vigil
BGM

용도의 폐허에 위치한 마을. 나타와 일행들이 찾아헤매던 나타의 고향이다.

밖에 사람이 살고 있었냐고 하는 것을 보면 금지된 땅에 있는 다른 마을들과의 교류도 아예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무한한 에너지인 용유를 만들어내며, 다른 지역의 기상 이변의 원인이 되는 "용등"의 근처에 살기 때문에 1000년 동안 다른 마을과 교류 없이 고립되어 있었어도 자급자족한 것으로 보인다.

특산품 교류를 통해 실드 코튼을 얻으면 실드 마을 의상을 제작할 수 있다. 아이루 장비도 똑같은 실드마을 복장이지만 얼굴을 통째로 싸매는, 배 포장지같은 비주얼이 되는 게 함정.

소재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는 마을 식사 컷씬에서 등장한 실드 마늘과 실드 마늘(특품). 효과는 체력이 일정량 이상일 때 그 이상의 피해를 받아도 힘이 다하지 않는 식사 근성【소】와 특품은 거기에 더해 체력까지 회복시켜주는 식사 근성【대】.

식사 대접 시 실드 마을이 지하인데다 오래 고립되어 있었던 탓에 요리 문화랄 게 없었던 것인지, '요리'가 아니라 토마토·깻잎·꽈리와 유사한 생 야채를 깨끗이 씻어서 주는데, 그나마 요리라고 할만한게 마늘을 쪄서 주는것 정도인지라 유저들로부터 평가가 매우 안 좋다. 채소의 색깔도 죄다 하얗거나 어두운 녹색이라 식욕을 떨어뜨리는 듯한 광택을 가지고 있고, 요리 외에 식기도 없어서 바구니에서 맨손으로 야채를 꺼내 먹을 뿐이며, 장소도 야채를 기르는 건물에서 포대 자루를 깔고 앉았을 뿐이다.[27]

"대접"이라고 내놓은 것이 생 야채 뿐이라 천 년 동안 갇혀 지내면서 사냥할 인재도 없이 고립되서 먹어온 게 이것뿐이냐고 측은하게 보는 시선도 있으며, 몬스터의 위협만 문제될 뿐이지 마을 사람들은 딱히 영양학적으로 문제없이 문명을 이루고 잘 지내는 걸 보면 용유로 기른 채소라 뭔가 있는 게 아니냐며 불안한 시선도 있는 편이다.

그래도 먹는 김에 주민도 같이 둘러앉아 먹는 다른 마을과 달리, 앉아있는 헌터와 일행에게 주민들이 서로 돌아가며 음식을 건내는 꽤나 정중한 대우를 받으며, 용유로 기른 영양가 가득한 채소들이라 그런지 조미료나 육류가 일절 없음에도 헌터와 아이루, 알마 모두 굉장히 만족스러운 식사를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무엇보다 대접하는 식사중 "용도 꽈리"는 마을 안에는 없고 용도 필드에 나가야만 나오는 식물이라서 실드 주민이 위험을 감수하고 채취해온 과일이라 엄청나게 대접하는 메뉴가 아니겠냐는 해석도 있다.[28][29]

메뉴의 호불호와는 별개로 다른 마을, 특히 아즈즈마냥 갔더니 문전박대 당하는 경우와 달리 타신이 마을 밖에 항상 상주하기 때문에 언제든 말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있을 수 없으며, 게임 시간이 언제든지 간에 식사만 가능하면 곧바로 마을 식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기본 식사 효과에 포획시 보수가 증가하는 포획 고수와 체력이 어느정도 있는 상태에서 즉사급 피해를 방지하고 오히려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근성(대)가 있어서, 식사 후에 역전 타마미츠네처럼 한 방이 강력한 몬스터들을 상대하기 수월해진다.

텐트와 휴대화로에서도 양배추를 이용한 채식이 가능해졌기에 게임 속에서조차 육식을 안 하려 드는 극단적인 비건 유저들을 배려한 메뉴 구성이라는 추측이 있지만, 고기와 생선과 같이 초대작부터 나왔던 채소 요리의 (의도적) 박대에 대한 완화에 더 가까운 편. 와일즈 이전까지는 채소 요리라 해놓고 정작 나오는 것은 고기 요리인 것은 예사[30]고, 채소 요리를 먹으면 효과가 없거나 아예 능력치가 깎여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고기가 안 나온 작품이라고 예외는 없는 것이, 서드처럼 차 한 잔으로 퉁치거나 라이즈처럼 경단이나 던져주며 의도적으로 채소 요리를 안 보여주려고 했다.

5.6. 봉우리 마을 스자

이름
한칭 봉우리 마을 스자
일칭 交わりの岬 スージャ
영칭 Suja, Peaks of Accord
BGM

빙무의 절벽 산꼭대기에 있는 용인족 마을. 용도가 멸망한 이후 떠나온 용인족들이 근처에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한 것에서 기원한 마을이다. '긴 귀를 가진 분'이라는 용인족이 마을의 촌장 격으로 있는데, 과거의 역사와 생물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실드의 수호자들에게도 종종 조언을 줬다고 한다.

산 꼭대기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풍요로운 환경이다. 금지된 땅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황폐기나 날씨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며 몬스터도 출현하지 않는데, '긴 귀를 가진 분'의 말에 따르면 용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런 환경이 된 거라고 한다. 와일즈의 스토리가 자연을 지배하려 한 (고대)인간의 오만함에 대해 다루는 것을 고려하면 의미심장한 부분.

다만 이 동네에도 어두운 과거가 있는 모양. 마을에서 긴 귀를 가진 분에게 말을 걸면 스자 마을은 먼 옛날 수도에서 토사구팽 당해 쫓겨난 용인들이 봉우리로 도망치듯 당도하여 세운 마을이라고 언급한다.

용인족들이 살고 있기에 특수한 소재를 사용해서 무기와 방어구의 장식품이나 고대 장비 아티어 무기의 부품을 제작하는 기술, 마카 연금은 여기서만 할 수 있다. 참고로 헌터 랭크가 100에 도달하면 필요한 소재 값이 커지지만, 원하는 아티어 파츠나 레벨 2까지의 장식품을 정해서 연금할 수도 있게 된다.[31]

마을 식사 시 분위기상 풍요로운 과수원마냥 과일나무가 여기저기 널려있기에 이쪽도 채식주의 식사를 대접하나 싶지만, 웬걸 대접하는 식사를 보면 다른 마을과 비교해서 요리 가짓수가 가장 많다. 각종 반찬을 한가득 깔아주고, 수란도 떠주고, 채소 된장국도 떠먹고, 큰 나무잎에 싸서 찐 고기를 야무지게 썰어서 을 싸먹고[32] 후식으로 구운 밤과 망고스틴처럼 생긴 과일도 주는, 제일 잘 먹고 잘 사는 동네다. 그에 걸맞게 물자가 모여드는 대집회소는 스자에 위치한다. 고유 식사 효과에는 파괴 고수[33]가 있으니, 식사 후에 역전의 개체들의 특수 상처를 부수러 가면 된다.

소재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는 폭신폭신 알과 퐁신퐁신 알. 효과는 랜덤한 간격으로 공격력이 상승하는 효과의 식사 변덕술【소】 / 【대】.

각 마을마다 있는 마을 방어구는 스자의 허리띠 하나 뿐이다. 검 두자루를 허리띠에 맨 형태로, 장식주가 레벨2 1개, 레벨 1 2개에 장비 스킬로 정령의 가호가 3레벨이나 붙어있는 고효율 장비다. 비슷한 수준의 장비라고 해봐야 다마스크나 주인 몬스터들 소재 장비는 되어야 하는걸 생각하면 6레어도 장비 치고는 엄청 좋은 장비. 아이루 장비를 만들어 입히면 조끼 한 벌만 걸치고 스자에 사는 개구리를 머리에 얹고 다닌다. 이 개구리에도 모션이 있어 아이루가 밥을 먹거나 행동을 취하면 위에 있는 개구리가 반응한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마스코트인 푸기 또한 여기에서 살고 있다. 청개구리 한마리를 머리에 올려주고 돌아다닌다. 이름 짓기와 쓰다듬기를 할 수 있는데, 쓰다듬기에 성공하면 랜덤한 아이템을 한가지 준다.

5.7. 대집회소

이름
한칭 대집회소
일칭 大集会所
영칭 Grand HUB
BGM
타이틀 업데이트 1탄에 추가된 지역으로, HR이 16 이상일 때 스자에 있는 테츠잔이라는 커다란 용인족 NPC와 대화하면 해금할 수 있다.

대집회소에서는 베이스캠프처럼 가공점, 물자 보급소가 있고, 중앙에는 알마와는 별개로 퀘스트 카운터가 존재하며 옆에는 격투대회 카운터도 있다.

가공점에는 젬마와 함께 "레전드"(일본판의 명칭은 '덴세츠')라는 늙은 용인 장인이 등장하는데, 도스, 4G에 등장했던 NPC인 '전설의 장인'이다. 대집회소에서 장비를 제작할때는 젬마가 조수로서 레전드와 함께 단조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대집회소 중앙에는 큰 식탁이 존재하는데, 여기 앉아서 식사권으로 각 마을의 식사와 기간 한정 이벤트 메뉴를 시켜먹을 수 있다. 배달 음식 아이루 식사권은 로그인 보너스나 현상금 보너스로 받을 수 있으며, 각 마을 요리 티켓과 아무것이나 선택할 수 있는 "골라잡는 고급 식사권"이 있다. 식사권인 만큼 사용하면 링크 파티 멤버들도 무료로 식사가 가능하다.[34]

미니게임으로 팔씨름 나무통과 나무통 굴리기를 할 수 있다. 나무통 굴리기는 플레이를 위해 별도의 티켓이 필요하며, 티켓은 확정으로 로그인 보너스로 1장씩 나오며 랜덤하게 격투대회 보상, 마을 아이템 교환으로 얻을 수 있다. 다만 티켓을 내지 않아도 나무통을 들어서 연습을 하는건 가능하다. 매일마다 나무통 굴리기의 표적 배치와 지형이 바뀐다.

총 2번 거대 나무통을 던지는데 많은 표적을 맞출수록 점수가 높아진다. 점수에 따라 랭크가 매겨지고 끝나면 수렵 아이템들이나 식사권을 보상으로 받는다. 처음으로 나무통 굴리기를 플레이 했을 때, 그리고 처음으로 A랭크[35]를 획득하였을 때, 아이루 코로에게 다시 말을 걸면 각각 '나무통 굴리기 스트랩'[36], '나무통 굴리기 트로피' 치장품을 획득할 수 있다.

야간 시간대가 되면 간혹 가희가 노래를 부르는 것을 감상할 수 있다. 테이블에 앉으면 가희에게 카메라 포커스를 맞출 수 있다. 노래를 끝까지 들으면 스테이터스가 상승한다.

폭포 뒤의 숨겨진 공간에 들어가면 그곳에 둥지를 튼 초거대 뜸부기를 발견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때 마다 둥지 속의 잡동사니를 습득할 수 있는데, 각종 몬스터 소재부터, 환전아이템인 철/은/금 알, 식재료인 뜸부기 알등을 획득 할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방문해보면 좋다.

대집회소에는 일정주기로 랜덤한 장소에 낡은 용 동전이 하나 숨겨져 있으니 여유가 있다면 대집회소의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면서 찾아보는 것도 괜찮다.
[1] 본편 기준.[2] 몬스터 헌터 월드보다 맵의 크기가 약 3배쯤 늘어났는데, 실제로 시리즈 최초로 한 맵에 8마리의 몬스터가 동시에 머무를 수 있다. 세크레트가 있어 몇 배로 불어난 맵 크기에 따른 이동 시간을 고려해서 추가된 듯하다. 다만 이 지도는 헌터의 이동 속도를 기준으로 크기를 가늠한 것으로, 실제 크기 차이는 아니다.[3] 예를 들어, 경계의 모래 평원 bgm 메들리를 들어 보면# 위험도 4 bgm에서 레 다우 테마로 자연스럽게 흐름이 이어진다.[4] 危局, 위험한 판국.[5] 그라비모스, 시이우, 대형 인조룡종[6] 震天(진천), 하늘을 뒤흔듦. 경천동지(驚天動地)의 경천과 유사한 의미.[7] 특이하게도 풍요기와 황폐기도 각각 고유한 이름이 붙여져있다. 풍요기는 용의 정적, 황폐기는 용의 겉잠.[8] 예외적으로 월드의 용결정의 땅과 마찬가지로 용도의 폐허에는 해당하는 몬스터가 없으며, 그 대신 프리 타이틀 업데이트 제1탄이후로 조 시아가 이 역할을 대체한다.[9] 원문 기준으로는 띄어쓰기용 기호로 쓰이는 가 들어간다.[10] 조 시아가 대체.[11] 경계의 모래 평원 - 주홍빛 숲 - 기름 솟는 계곡 - 빙무의 절벽 - 용도의 폐허 순으로 이어진다.[12] 鳴動(명동), 울리어서 진동함.[13] 추락 이후에는 바닥에 창뢰정 가시가 남아 밟은 몬스터에게 다시 한번 피해를 줄 수도 있다.[14] 그나마 1차 업데이트로 타마미츠네가 추가되면서 1종 늘어나긴 했으나, 분노 시 이명 특수 개체인 천안처럼 여우불 거품을 쓰며 희소종처럼 불 속성인 물 브레스도 뿜어대니 우드 투나 같은 순수한 물속성 몬스터라고는 볼 수 없게 되었다.[15] 설명하는 도중에 어떤 몬스터 때문에 바다가 붉게 변하는 현상도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아마 그란 밀라오스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16] 剛力(강력), 금강역사처럼 강한 힘[17] 여담으로 아자라칸의 패턴에도 이 연석탄 덩어리를 던지는 패턴이 있다.[18] 정체는 용도의 일부가 눈에 파묻힌 것. 절벽 곳곳에 인공물이 보이는 것은 물론, 용도의 폐허나 스자로 가는 길목을 보면 1000년 전 용도라 불리었던 엄청난 규모의 폐허를 볼 수 있다.[19] 발톱과 송곳니.[20] 서식 환경의 근본적인 차이 때문인지 등장하지 않는 몬스터도 일부 존재한다. 챠타카브라, 발라하라, 푸푸로포루 등은 출현하지 않는다. 다만 용곡의 터에서는 구분 없이 출현한다.[21] 참고로 용도의 폐허 가장 깊은 곳에 용등의 사원 입구로 보이는 장소가 존재한다. 와일즈의 다른 4지역을 상징하는 문양과, 로고의 용 그림 비슷한 그림이 그려져 있는 벽이 있으나, 파편으로 막혀있기에 이곳을 통해 사원 내부로 진입하는 건 불가능.[22] 果断(과단), 딱 잘라 용기 있게 결정함.[23] 몬스터와 격투를 벌이는 곳 한쪽 구석에서 맵 바깥쪽 절벽을 살펴보면 다라 아마듈라의 머리뼈가 튀어나와 있는 것도 볼 수 있다.[24] 원래는 사용하기 힘들 만큼 낡아 있었는데, 스자 사람들이 알려준 이후 젬마가 고쳤다.[25] "용곡 안전 확보"와 "문지기로서" 라는 이름의 퀘스트로, 각각 히라바미와 아자라칸을 2마리씩 상대하면 된다.[스포일러] 축제를 열 화력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인공적으로 날씨를 바꾸는 것에 성공했으나 예상외의 폭주사태가 벌어져 마을에 큰 위기가 닥치게 되었다는 아즈즈의 서사는 용도의 폐허 스토리의 축소판이나 다름없다. 인공적으로 자연을 주무른 응보를 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씨족장들도 사태가 진정된 후 자신들이 오만했음을 시인한다.[27] 여담으로 하얀 토마토는 실제로 존재하는 토마토다. 단지 실드의 토마토는 식사 장면에서 빠르게 지나가기에 보기 힘들지만 과육이 연한 파랑색으로 나온다. 수호룡들 또한 근육의 색이 푸른색인 것을 보면, 용유에 영향을 받은 동식물들 모두 고기나 속살이 모두 푸른색인 것으로 보인다.[28] 이 때문인지 마을 특산품으로 제작 가능한 장비인 실드 마을 장비는 각종 채취 횟수를 늘려주는 식생학 스킬을 3이나 올려준다.[29] 고작 식사 한번 하자고 마을 인원이 위험을 감수할까 라고 할수도 있는데, 수호자 마을은 바깥의 수호룡들에게 평생을 고통받다가 무기를 다룰 줄 아는 헌터의 등장으로 처음으로 반격에 나설 수 있게 되었고, 마을을 공격해 사상자를 냈던 최악의 골치거리인 알슈베르도잠재적인 위협까지 처치해줬으니 실드 입장에서 주인공 헌터는 그야말로 구세주나 다름없다.[30] 아이스본에서 알바트리온을 잡으러 가기 전에 식사하면 흔히 나오는 상황이다. 채소 요리가 속성 내성을 올려줘서, 6채소로 선택해서 주문하는데 나오는 건 늘 먹던 복붙요리가 나와 있다.(...)[31] 아티어 파츠의 경우 칼날, 판, 통, 장치를 선택할 수는 있지만 보너스와 속성은 정하지 못한다.[32] 실제로 단순히 잎채소와 고기를 같이 먹는게 아니라 잎 위에 두꺼운 고기 2장을 올려 접어서 먹는다. 고기의 크기가 잎채소 보다 훨씬 크고 재료도 단순히 잎채소 밑에 갈색 소스가 뿌려진 고기 2장을 올리는게 끝이고 거기다 정확히 절반으로 접어서 싸는 식이라 고기, 마늘과 고추, 쌈장 등등 고기 외 다양한 채소 내용물이 잎채소에 빈틈 없이 완전히 감싸지는 한국식 쌈과는 다른 형태다. 거기다 컷씬에서 타코부리토 처럼 베어 먹어서 한국식 쌈으로 인식한 국내 유저들에게 쌈을 베어먹는다며 화제가 되었다.[33] 상처 파괴시 40% 확률로 파괴 보수 소재를 1개 더 얻을 수 있다.[34] 처음 추가될 때는 프라이빗 로비의 참가자가 전부 먹을 수 있었는데 이는 버그였기에 수정되었다.[35] 500점 이상. 일본어로 플레이 중일 경우 S랭크.[36] 지나치게 낮은 점수를 받은 경우 처음으로 플레이하였음에도 스트랩을 주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다시 플레이해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