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16:46:02

진 다하드


||<-2><tablealign=right><tablewidth=500><tablebordercolor=#68615E><tablebgcolor=#fff,#1c1d1f><bgcolor=#68615E><color=#fff> 진 다하드
ジン・ダハド
Jin Dahaad ||
파일:진다하드 와일즈 랜더링.png
별명 동봉룡(凍峰竜)[1]
종별 해룡종
분류
전투 BGM 서리를 찢는 얼음요새의 주인(霜烈なる氷塞の主)
등장 작품
MHWs

1. 개요2. 설정3. 특징 및 공략4. 장비 및 소재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진 다하드 인게임 아이콘
파일:진 다하드 와일즈 아이콘.png
MHWs
빙무의 절벽, 생태계의 정점에 군림하는 《동봉룡》. 거대한 몸집을 자랑하며, 냉각 기관의 기화열로 초저온을 만들어낸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해룡종 몬스터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 6차 PV에서 히라바미 무리에게 얼음 브레스를 뿜으며 처음 모습을 드러냈고, 이후 7차 PV에서 제대로 등장하며 이름이 공개되었다.

2. 설정

판 또는 칼날을 닮은 동성갑각들이 전신을 둘러싸고 있는 해룡종 몬스터.

소개 문구부터가 저렇게 큰 생물이 있을 줄 몰랐다고 놀라는 대사인 만큼, 크기가 무려 4560.89cm나 된다. 기존 시리즈 최대 크기의 해룡종이었던 라기아크루스 희소종을 능가하는 시리즈 사상 가장 큰 해룡종이며,[2] 히라바미와 함께 원종이 얼음 속성을 사용하는 최초의 해룡종이다.

2월 22일 스페셜 프로그램에서 공개된 빙무의 절벽 실기 플레이 영상에 잠시 모습을 비추었는데, 압도적 덩치에 걸맞게 일반 필드에 다 등장하지도 못하고 절벽에 상반신만 걸친 상태로 전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발바닥 한가운데 스파이크가 돋아나 있으며, 동시에 냉기를 내뿜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접지면을 얼려 절벽이나 부유석같은 지형을 타고 이동한다. 이 능력 덕분에 45m가 넘는 거대한 덩치에도 불구하고 도마뱀붙이마냥 자유자재로 수직벽을 타거나 거꾸로 매달려서 걸어다니기도.

몬스터 헌터 라이즈의 최종 보스들을 시작으로 아래턱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몬스터들이 여럿 생겼는데, 진 다하드 또한 입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함께 와일즈에서 생태계의 정점으로 등장한 다른 세 몬스터에 비해 유독 위상이 높은 묘사가 여럿 있다. 초대형 몬스터라는 분류다운 거대한 덩치에 등장인물들이 놀라는 묘사도 그렇고, 주위 환경의 열기와 냉기를 조절해 광역 폭발을 일으키는 구역 전체 범위의 필살기도 있다.[3] 하위에서는 주인공 헌터 일행이 이 녀석을 끝내 제압하지 못해서 지형을 붕괴시키고 진 다하드가 낙석에 깔린 틈을 타 도주하는데, 진 다하드가 바로 튀어나와 추격하고 간발의 차로 따돌린다. 비슷하게 새 부대와 별 부대가 합세해 격퇴했던 우드 투나 때보다 준비되어 있던 상황이었음에도 주인공 일행이 꽤나 고전한다.

상위 스토리에서는 아예 진 다하드가 활성화된 여파로 인해 연용맥이 얼어붙고 용등 에너지의 흐름이 막혀버렸다는 묘사까지 나온다.[4] 빙무의 절벽을 벗어나려고 한다면 그 자체로 토벌 대상이 될 수준의 고위험도 몬스터임은 분명하다.

이는 비단 인게임 뿐만 아니라 PV에서도 드러나는데, 7차 PV의 생태계의 정점들이 연속 등장하는 장면에서 레 다우, 우드 투나, 누 이그드라는 인게임 화면으로 각각 3초 언저리씩 등장하지만 진 다하드는 혼자 컷신도 나올 뿐 아니라, 무려 11초에 달하는 분량[5]으로 등장한다.

이외에도 전용 전투 BGM만 3개나 되는 등[6] 유별난 정성이 들어가 있다. 공들인 연출과 막대한 스케일, 알슈베르도와 마찬가지로 헌터 프로필(길드 카드) 획득을 위해서는 고룡종과 같은 수를 사냥해야 하는 등의 여러 면모로 팬덤에서는 고룡급 생물이리라고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3. 특징 및 공략

3.1. 몬스터 헌터 와일즈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대형 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min-width: 300px"
{{{#!folding [ 와일즈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font-size: clamp(85%, 1vw, 95%); max-width: 800px"
<keepall>
업데이트
<keepall>
}}}}}}}}}}}} ||

몬스터 헌터 와일즈 주인 몬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white>
[[경계의 모래 평원|
파일:경계의 모래 평원 아이콘.png
경계의 모래 평원
]]
[[주홍빛 숲|
파일:주홍빛 숲 아이콘.png
주홍빛 숲
]]
[[기름 솟는 계곡|
파일:기름 솟는 계곡 아이콘.png
기름 솟는 계곡
]]
[[빙무의 절벽|
파일:빙무의 절벽 아이콘.png
빙무의 절벽
]]
파일:레 다우 와일즈 아이콘.png
황뢰룡
레 다우
파일:우드 투나 와일즈 아이콘.png
파의룡
우드 투나
파일:누 이그드라 와일즈 아이콘.png
파일:진 다하드 와일즈 아이콘.png
동봉룡
진 다하드
}}}}}}}}}}}}
파일:진 다하드 1.jpg
파일:진 다하드 와일즈 아이콘.png
<colbgcolor=#353535><colcolor=white> 위험도 ★★★[하위] / ★★★★★★[상위]
크기 4,560.89cm[고정]
서식지 빙무의 절벽
빙무의 절벽에서 생태계의 정점으로 군림하는 몬스터.

진 다하드는 기상 이변 시기에 일반 필드에 출현하는데, 이 때는 퀘스트화가 불가능하다. 진 다하드가 상반신만 걸친 채 나와있는 곳으로 가서 때리다 보면 후퇴하며 맵에서 사라지는데, 이후 빙쇄의 동봉에 진 다하드가 출현했다는 소식과 함께 진 다하드를 토벌하러 갈 수 있게 된다.

토벌은 빙무의 절벽 내부의 전용 필드인 빙쇄의 동봉에서 이루어진다. 하위에서는 스토리상의 이벤트전으로만 싸워볼 수 있고, 본편 상위를 해금하고 헌랭 30을 달성해야 토벌 퀘스트를 수주할 수 있게 된다. 전형적인 거룡 전투지만 기존의 맵이동 - 공성병기 구도를 배제하고 무기를 사용해 수렵할 수 있어서 평이 좋다. 총 4개의 구역을 걸쳐 토벌이 진행된다. 2번째 맵에는 진 다하드의 주의를 끌 수 있는 히라바미 무리가 잠을 자고 있고, 3번째와 4번째 맵에는 낙석과 엄폐물 역할을 하는 얼음덩어리들이 있다.
육질표
부위 참격 타격 사격 <colbgcolor=pink><colcolor=#353535> 불 <colbgcolor=skyblue><colcolor=#353535> 물 <colbgcolor=Lemonchiffon><colcolor=#353535> 번개 <colbgcolor=lightcyan><colcolor=#353535> 얼음 <colbgcolor=MediumPurple><colcolor=#121212> 용
머리
(상처)
65
75
65
75
45
50
20
25
5 5 0 5

(약점[10])
95 95 50 20 5 5 0 5
60 60 45 10 5 5 0 5
몸통 30 30 20 5 5 5 0 5
앞다리 45 45 30 5 5 5 0 5
뒷다리 45 45 30 5 5 5 0 5
꼬리 55 55 45 10 5 5 0 5
동성갑각
허리
75 75 45 10 5 5 0 5
대동성갑각
노출전
1 1 1 0 0 0 0 0
대동성갑각
노출후
75 75 45 10 5 5 0 5
가슴
(약점[11])
75 75 50 20 5 5 0 5
부위 파괴
부위 부위 파괴 가능 유무
머리(동성갑각(머리)) 부위 파괴 가능
몸통 X
등 (대동성갑각) 부위 파괴 가능
앞다리 부위 파괴 가능
동성갑각(허리) 부위 파괴 가능
뒷다리 부위 파괴 가능
꼬리(동성갑각(꼬리)) 부위 파괴 가능, 절단 가능
머리, 등, 허리, 꼬리에는 육탄전 패턴마다 냉기를 분출시키며 열렸다 닫혔다 하는 동성갑각이 있으며 각 부위의 동성갑각을 파괴하면 그 부위는 더이상 냉기를 분출시키지 못해 공격 범위가 줄어든다. 단 등의 대동성갑각은 다른 세 군데의 동성갑각을 모두 부숴야만 육질이 연해진다. 가장 나중에 부서지는 만큼 패턴도 크게 약화되므로 일단 대동성갑각 파괴를 목표로 삼자.

주요 공격 패턴은 거대하고 육중한 몸을 이용한 육탄전과 여기에 따라오는 냉기분출, 그리고 다양한 거리를 커버하는 냉기브레스가 주를 이룬다. 크기에 비해 꽤나 빠르고 유연한데다가 연계로 사용하는 패턴이 많다. 대신 약점이 드러나는 공격이 많아 집중약점공격을 통해 움직임을 막고 딜을 넣는게 중요하다.

진 다하드는 무페토 지바처럼 적개심 기믹이 있어 가장 공격을 잘한 헌터 쪽에 레이저 포인터 표시가 뜨고 그 헌터를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이를 이용해 앞에서 탱킹해주면서 다른 헌터들이 다리를 수월하게 때릴 수 있도록 포지션을 잡아줄 수도 있다.

참고로 거대한 크기 때문에 구멍 함정은 통하지 않지만 그 대신 마비덫이 통한다. 아이스본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처럼 포획은 불가능하고[15] 프리딜을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어마어마하게 긴 몸과 자주 개방되는 약점 덕분에 쌍검의 공중회전연참[16]을 하면 엄청난 쾌감을 체험할 수 있다.가끔 리소스 문제 때문에 게임이 튕기기도 한다.

4. 장비 및 소재

4.1. 몬스터 헌터 와일즈

하위에서는 고유소재를 뱉지 않으며, 고유 무장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위 격퇴전에서 꼬리를 못먹었어도 아쉬워하지 말자. 이후 상위 토벌퀘스트부터 정상적으로 소재가 나온다.
다하딜라 α
파일:방어력_s.png 파일:화_s.png 파일:수_s.png 파일:뇌_s.png 파일:빙_s.png 파일:용_s.png 파일:소켓_s.png
300 -15 10 -5 10 -5 파일:3소켓_s.png×1 파일:1소켓_s.png×5
스킬 도전자 5/5 | 내진 3/3 | 약점 특효 2/5
속박 내성 2/3 | 환경 적응 2/2
시리즈
효과
동봉룡의 반역
(2) 속박 반격 I: 실 속박 상태, 동결 상태 회복시 또는 속박 공격에서 해방됐을 때, 힘 겨루기 후, 일정 시간 동안 공격력이 상승한다
그룹 스킬
주인의 긍지
(3) 격려: 선율 효과 등 일정 범위 안에 있는 동료에게 작용하는 효과를 발동 시, 일시적인 공격력 상승효과 추가 부여.)
다하딜라 β
파일:방어력_s.png 파일:화_s.png 파일:수_s.png 파일:뇌_s.png 파일:빙_s.png 파일:용_s.png 파일:소켓_s.png
300 -15 10 -5 10 -5 파일:3소켓_s.png×2 파일:2소켓_s.png×4 파일:1소켓_s.png×3
스킬 도전자 4/5 | 내진 1/3 | 약점 특효 1/5
속박 내성1/3 | 환경 적응 2/2
시리즈
효과
동봉룡의 반역
(2) 속박 반격 I: 실 속박 상태, 동결 상태 회복시 또는 속박 공격에서 해방됐을 때, 힘 겨루기 후, 일정 시간 동안 공격력이 상승한다
그룹 스킬
주인의 분노
(3) 돌파구: 상태 이상 중에 공격력이 상승한다

머리와 다리에 도전자가 달려있어 도전자를 챙길때 우선순위로 고려된다. 회심 면에서는 뇌악룡의 2세트 스킬로 혼신 유지를 계속 할 수 있고 혼신과 도전자를 같이 띄울수 있는 수호룡 안쟈나프 아종 방어구와 경쟁하는데 고점은 낮아지지만 6랭크 방어구라 방어력이 낮은 호뢰악룡 방어구에 비해 방어력이 높고, 슈바르카 등 다른 세트효과를 같이 챙기기 편하다는 점, 그리고 도전자 5를 찍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5. 기타

6. 관련 문서


[1](凍), 멧부리 (峰).[2] 라기아크루스 희소종은 3969.3cm이다. 4509.1cm인 제노-지바보다 약 50cm 더 길고, 4573.25cm인 맘-타로트보다 약 10cm 짧다. 진 다하드보다 큰 몬스터는 48m의 가이아델름, 49m의 고그마지오스, 58m의 나발데우스 등 명실상부한 초대형 몬스터들뿐이다. 다만 해룡종 골격의 특징 때문에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체감상으로는 제노-지바와 맘-타로트보다 훨씬 작게 느껴졌다는 의견이 많다. 길이만 본다면 다라 아마듈라가 440m로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서 가장 길지만, 257m인 조라-마그다라오스가 몬스터 헌터 시리즈에서 가장 큰 몬스터라고 불리는 것과 같은 이유라고 볼 수 있다.[3] 공격 직전의 정적이 무페토-지바의 제왕의 푸른 분노를 연상시킨다.[4] 나중에 밝혀지길, 이는 빙무의 절벽에서의 이상 기후인 눈보라가 지속되면서 이에 자극받은 진 다하드가 활성화하여 냉기를 방출, 이 둘이 시너지를 일으킨 결과 빙무의 절벽의 연용맥이 얼어붙고, 나아가 이어져 있는 세 지역은 황폐기가 지속되게 된 것.[5] 나머지 세 몬스터를 합친 분량보다도 많으며, 7차 PV에서 진 다하드보다 많은 분량을 가져가는 몬스터는 와일즈의 간판 몬스터알슈베르도밖에 없다.[6] 각각 빙쇄의 동봉의 1~2구역, 3구역, 4구역 BGM으로 각각 나뉘어있다.[하위] [상위] [고정] [10] 특정 행동시에만 출현[11] 특정 행동시에만 출현[12] 4인 멀티 플레이를 위해 4개씩 배치되어 있으나, 필살기 사용 주기가 얼음덩어리 회복 주기보다 빠르므로 2명 이상이 한 엄폐물에 같이 숨는 식으로 되도록 아끼는 편이 좋다.[13] 참고로 이 튜토리얼은 필살기를 맞고 실려간 뒤에 알려준다.[14] 필드에서도 식사를 하면 식사의 효과로 체력+150을 주기 때문에 부동복장을 입고 식사함으로써 필살기는 부동복장으로 버텨버리고 이후에 체력을 완전회복하는 변태같은 파훼법도 존재한다.[15] 본작은 어떤 몬스터든 간에 퀘스트 목표가 토벌이라면 조건이 충족되어도 포획되지 않도록 시스템 상으로 조치가 취해져 있다. 진 다하드 퀘스트의 목표는 토벌로 고정되어 있어서 포획할 수 없다.[16] 흔히 리바이베기라고 부르는 그것.[17] 진다(lose)와 하드(hard)로 나누고 반댓말로 바꾼 것.[18] hard의 뜻 중 단단한의 반대인 soft.[19] 레 다우는 별도의 이름 관련 별명이 없으나 아이콘이 원피스돈키호테 도플라밍고를 닮아 레황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20] 존재 자체만으로 주변에 이상 기후를 부르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볼 수 있다. 진 다하드의 존재가 눈보라를 부른다면 굳이 용유가 활성화된 이상 기후 시기에만 등장할 이유가 없다. 거기에 상위 스토리에서 보여준 진 다하드의 활성화는 이상해진 기후에 의해 자극을 받아서 반응한 결과다. 진 다하드는 주변 기후를 바꿀 수 있을 정도로 강할 뿐, 자의에 관계 없이 등장 자체만으로 주변 기후를 덮어버리는 고룡들과는 차이가 드러난다. 이베르카나가 신대륙에 등장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신대륙의 기온을 낮춰버리고 생태계를 교란시켰던 것과 비교하면 확연하다. 다만 고룡이냐 아니냐와는 별개로 위험도를 논한다면 가히 고룡에 버금가는 위험도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