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03:28:34

대검(몬스터 헌터 시리즈)/와일즈


파일:와일즈 로고.webp
몬스터 · 환경생물 · 등장인물 · 지형 · 무기 · 슬링어
특수 장비 · 스킬 · 퀘스트 · 조작 방법 · 평가
발매 전후 정보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무기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27px;margin-bottom:-12px"
파일:몬스터 헌터 대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한손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해머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슬래시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조충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라이트보우건 아이콘.png 원거리
(탄/화살)
파일:몬스터 헌터 태도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쌍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수렵피리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건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차지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활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헤비보우건 아이콘.png
}}}}}}}}}
대검
大剣 | Great Sword
파일:와일즈 대검 남.png 파일:와일즈 대검 여.png
1. 개요2. 조작 방법
2.1. 추천 콤보
3. 변경점4. 운용5. 총평
5.1. 장점5.2. 단점
6. 관련 스킬 목록
6.1. 무기 스킬6.2. 방어구 스킬
7. 추천 무기 목록8. 기타

1. 개요

무기 소개 영상: 대검
공격 속도나 이동은 느리지만 한 방의 위력이 강력합니다.
치고 빠지기나 가드 등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대검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조작 방법

버튼 역할
세로베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모으기가 필요 없는 참격. 세로베기에서는 모으기로 파생된다.
모으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길게 누르기
(모으기 파생) 모아베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놓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놓기
(모으기 파생) 태클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모으기시간과 위력이 비례하는 참격. 모아베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에서 강 모아베기로, 그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로 참 모아베기로 파생된다. 참 모아베기 첫 공격이 부드러운 부위에 맞으면 참 모아베기(강격)로 파생된다.
모으기 중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로 파생 가능한 태클은 몸이 움츠러들거나 날아가지 않는다. 저스트 태클에 성공하면 모으기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베어넘기기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넓은 범위를 베는 참격. 태클에서는 뛰어들어 베어넘기기로, 강 모아베기에서는 강 베어넘기기로 파생된다.
베어올리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제자리에서 높은 곳을 베는 참격.
상쇄 베어올리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길게 누르기로 모으기 후 버튼 놓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길게 누르기로 모으기 후 버튼 놓기
상쇄 효과가 있는 베어올리기 공격. 몬스터 공격에 대검으로 공격해 상쇄 대성공 시 추격 십자베기로 파생된다.
가드
파일:MHWs 버튼 R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키 R.png 길게 누르기
(가드 파생)
파일:MHWs 버튼 R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키 R.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대검을 꺼내 사용하는 가드. 집중 모드 중에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가드 중 파일:MHWs 버튼 세모.png으로 킥으로 파생된다.
집중 관통 베기
파일:MHWs 버튼 L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R1.png / 파일:MHWs 마우스 사이드 후.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키 시프트.png
상처에 효과적인 베어넘기기 공격. 상처나 약점에 맞으면 여러 번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베어넘기는 도중에 파일:MHWs 버튼 R1.png로 임의 타이밍에 피니시할 수 있다.
납도 중 집중 관통 베기
파일:MHWs 버튼 L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R1.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사이드 후.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키 시프트.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납도 중 집중 관통 베기는 공식 사이트의 조작법에 기재되어있지 않으며, 인게임에서 납도 중 집중 모드로 상처를 에임하고 집약공 + 베어올리기 커맨드를 동시에 입력하면 발동된다.

2.1. 추천 콤보

<colkeepall> 추천 콤보
참 모아베기를 이용한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놓기 (모아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놓기 (강 모아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놓기 (참 모아베기)
앞으로 크게 이동하는 공격의 연계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베어넘기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태클)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뛰어들어 베어넘기기)
위치가 바뀌지 않는 연계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베어넘기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베어올리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베어넘기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베어올리기)

3. 변경점

파일:와일즈대검_집중약점공격.gif
파일:와일즈대검_강화올려베기.gif
파일:와일즈대검_슬링어무기공격.gif
파일:와일즈대검_힘겨루기.gif

4. 운용

와일즈에서는 대검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기존의 저점 중시 운영과 새롭게 정립된 인파이팅 운영, 그리고 이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섞어 쓰는 운영법까지 나타나면서 대검의 운용 자체가 상당히 재미있어졌다는 호평이 많다. 그래서 발납 대검처럼 극단적인 케이스를 제외하면 아래의 여러 스타일들을 상황에 따라 적재적소에 얼마나 잘 쓰느냐가 대검 유저의 숙련도를 판가름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다만 세팅이 어느정도 끝난 후에는 발도 공격이 타당 150~250씩 박히기 시작하는데 이 시점부터 dps도 결코 낮지 않게 된다. 발도술 [기]의 지속시간이 발도 집약공 시작부터 끝까지 딱 지속되는 점도 있어서 아예 집중 빼 버리고, 발도 공격으로 상처생성 및 쇄인자격딜 누적+집약공 속성딜로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5. 총평

와일즈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은 무기로 꼽히고 있다. 다른 무기들의 구조적인 문제들이 속속히 드러나고 있는 상황에서 대검의 높은 완성도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화력 부분에서는 장식주의 변경, 육질의 상향평준화, 참 모아베기 배율의 변화 때문에 예전의 화끈했던 한방 화력에 비하면 대미지가 다소 줄어든 감이 있으나, 기존 대검의 문제점이였던 느린 모션으로 인한 공격의 큰 리스크, 가드의 예리도 소모, 느린 속도와 한방에 집중된 불안정한 딜링 구조로 등이 상쇄와 저스트 가드, 집중 모드를 통해 굉장히 보완되어 딜링과 탱킹 모두 소화 가능한 육각형 무기로 설계되었다.

특히 이번에 추가된 상쇄 기술은 대검의 전유물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상쇄 올려베기를 통한 카운터가 편리하게 설계되어 있어 모든 무기들 중 카운터를 치기가 매우 간편하다.

정리하자면 초보자도 숙련자도 모두 사용하기 좋은 성능의 고성능, 저난이도 무기. 하지만 구작 시리즈부터 필요했던 대검 운용 테크닉이나 태클, 저스트 가드, 상쇄 올려베기 등을 사용할 줄 아는 것과 사용할 줄 모르는 유저의 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이지 투 런, 하드 투 마스터 무기라고 할 수 있겠다.

5.1. 장점

5.2. 단점

6. 관련 스킬 목록

6.1. 무기 스킬

6.2. 방어구 스킬

7. 추천 무기 목록

월드 이후의 대검들은 대체로 속성 효율이 좋지 않아 속성치 배율이 높은 뛰어들어 베어넘기를 주력으로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깡댐이 높고 예리도가 괜찮은 무속성, 혹은 폭파, 수면, 마비 같은 특수 속성 대검을 사용하는게 좋다.

8. 기타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주인공격 무기로 취급된다. 헌터가 처음으로 무기를 받을 때 받는 무기가 대검이고, 소개 영상에서도 대검을 중점적으로 조명하고 있는 등 푸시를 많이 받았는데, 이전작인 라이즈가 뜬금없이 태도를 푸시하고 주인공격 무기로 태도를 선정하자 욕을 잔뜩 먹었던것과 달리 대검은 딱히 비난 여론은 보이지 않고 있다.[18]

대신 상쇄 올려베기의 소위 뽕맛이 끝내주다보니, 피하면 충분히 살 만한 공격을 카운터 치겠답시고 설치다가 수레를 타는 경우가 있어 이런 유저들에게는 비난의 눈초리가 가는 편이다.

라이즈에서 짤렸던 '구르기 발도' 테크닉이 부활했다. 전통적으로 대검의 시작 모션인 세로베기(종베기)는 굉장히 느린 모션을 자랑하는데, 구르기와 동시에 발도를 하면 대검의 발도 동작 일부가 생략된다. 이를 이용해 빠르게 세로베기를 시전하고 강모아베기로 연계할 수 있다.
[1] 상처 부위는 흉터가 생기며 이후 약점은 사라진다.[2] 풀충전시 몬스터는 피격 모션이 끝나서 행동할 수 있으므로 노 차지 참모아를 날리거나 혹은 상황을 봐서 차지하는 게 좋다.[3] 그러나 집중모드를 켠 상태에서는 접근성이 좋은 Shift가 집중 약점 공격으로 대체되어 납도 후 달리기를 할 수 없게 되는데다 실수로 사용할 경우 집중 약점 공격의 크고 딜레이가 긴 모션 때문에 치명적인 공격을 허용할 수 있다.[4] 초기 몬스터 헌터에서 있었던 모션으로, 이 시기에는 모아베기가 없어 종베기, 횡베기, 올려베기 3개의 콤보가 전부였다. 이후 대검에 모아베기가 생기고 난 이후로는 쓸 일이 없는 기술이 되었고, 퇴화흔처럼 쓰지는 않는데 남아만 있는 기술로 유지되는 중이였다.[5] 충전중에 구르기로 취소 가능.[6] 저스트 타이밍으로 상쇄시키지 않는다면 약간의 대미지를 입을 수 있다.[7] 얼핏 보면 그냥 재빠르게 돌진하여 공격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잘 보면 훅 슬링어의 줄이 걸리고 헌터가 돌진한다.[8] 올려베기를 모은 만큼 강해진다.[9] 쉽게 말해 모아베기 → 강 모아베기 → 참 모아베기가 아니라 모아베기 → 태클 (캔슬) → 강 모아베기 → 태클 (캔슬) → 참 모아베기, 또는 구르기 → 태클 → 강 모아베기 → 태클 (캔슬) → 참 모아베기가 가능하다.[10] 덕분에 기존 대검의 저점 중시형 스타일이 불만이었던 유저들 대다수가 대검을 잡게 되었다.[11] 상쇄나 힘겨루기 모두 단차나 상태이상 내성처럼 몬스터에게 연속으로 쓰는게 불가능하다.[12] 후반부 무아지경과 회피성능의 고어셋과 쇄인자격과 쇄인룡 세트 효과의 슈바르카셋을 모두 잘 활용할 수 있는 무기인 점도 호평이다.[13] 예를들어 슬래시액스는 집중3, 강화지속3, 고속변형3 등 필수 스킬을 채용하면 다른 공격 장식주가 들어갈 공간이 없다.[14] 다만 이런 답답함과는 달리, 오히려 딜을 넣기 위한 패턴 분석과 몬스터의 모션에 집중하게 되는 등 몬스터에 대한 분석을 가장 많이 활용 가능한 무기이기도 하다. 느린 만큼 모션 하나하나의 중요성이 타 무기보다 높고, 그것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패턴을 학습하게 되거나 이번작에 추가된 저스트가드, 집중 약점 공격, 상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면서 몬스터헌터 라는 게임에 대해 가장 빠르게 학습 가능한 무기다.[15] 상쇄 올려베기의 경우 모든 무기들 중 상쇄를 치기 간편하지만, 100% 즉발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공격을 예상하고 차지했다가 날리는 식으로 운용한다. 허나 다음 공격이 상쇄가 먹히지 않는 원거리 공격이나 장판, 브레스 기술일 경우 상쇄 올려베기를 구르기로 캔슬하고 뒤늦게 피하거나, 차징을 중지하고 허공에 올려베기를 날린 후 뒤늦게 가드하거나 납도하는 방법 뿐이다.[16] 집중 약점 공격은 어떻게든 상처에 명중만 하면 소경직이 발생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지만, 공격 전의 선딜레이, 공격 실패 시의 후딜레이도 큰 편이라 명중 실패 시의 리스크가 매우 크다. 그나마 구르기로 후딜레이를 어느정도 캔슬할 수는 있다.[17] 대검은 기초 공격력이 중요하지 상태이상이 중요한게 아니라서 대부분의 속성들이 덤으로 끼워주는 느낌이 강해 이런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무속성으로 만들더라도 유틸리티가 없어질 뿐 운용에는 크게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특속 대검을 만들고 싶다면 이론상으로는 수면 대검이 수면을 통한 수면참으로 가장 대미지를 높게 띄울 수 있지만 몬스터를 잠재운다는 특성상 다소 귀찮은 부분이 있고, 솔로 플레이 기준 아이루에게 네르스큐라 무기만 들려줘도 몬스터를 잘 재우는 편이라 굳이 수면 대검을 만들 필요는 없다. 마비의 경우는 2차 마비를 보기는 힘들지만 확실한 딜타임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가장 선호되는 타입이다. 폭파는 싱글에서는 나쁘지 않지만 멀티에서는 속성치가 높은 무기들과 겹칠 경우 폭파치를 미리 쌓아버려서 대검이 폭파를 주도하기 힘들어 사실상 무속성 무기로 봐야하며, 독은 잠깐 반짝했던 아이스본을 제외하면 전통적으로 비주류여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18] 사실 태도는 스토리나 컷신에서 몰아줘서 비판을 받았다기 보다는 다른 근접무기가 다소 초라해보일 만큼 지나치게 강해서 욕을 먹은 것이다. 미찬가지로 4세대의 조충곤 역시 타이틀 무기이자 신무기로서 차지액스와 함께 푸쉬를 받았으나 4에서는 다소 아쉬운 점이 많았던 것을 4G로 오며 버프받은 것이기도 했기에 라이즈 태도만큼의 욕을 먹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