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1:56:58

슬래시액스/와일즈


파일:와일즈 로고.webp
몬스터 · 환경생물 · 등장인물 · 지형 · 무기
슬링어 · 스킬 · 퀘스트 · 조작 방법 · 발매 전 정보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무기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27px;margin-bottom:-12px"
파일:몬스터 헌터 대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한손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해머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슬래시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조충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라이트보우건 아이콘.png 원거리
(탄/화살)
파일:몬스터 헌터 태도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쌍검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수렵피리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건랜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차지액스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활 아이콘.png 파일:몬스터 헌터 헤비보우건 아이콘.png
}}}}}}}}}
슬래시액스
スラッシュアックス | Switch Axe
파일:와일즈 슬래시액스 남.png 파일:와일즈 슬래시액스 여.png
1. 개요2. 무기 특성3. 조작 방법
3.1. 추천 콤보
4. 썬브레이크 대비 차이점5. 운용6. 내부 데이터7. 총평
7.1. 장점7.2. 단점
8. 추천 스킬 목록9. 기타

1. 개요

무기 소개 영상: 슬래시액스
두 개의 모드를 변형시켜 공격하는 무기.
도끼 모드는 긴 리치를 자랑합니다.
검 모드는 날렵한 공격이 가능합니다.
'집중 모드'로 상처나 약점을 노려보세요.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슬래시액스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무기 특성

3. 조작 방법

버튼 역할(도끼 모드)
도끼: 세로베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도끼: 세로베기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도끼: 가로베기로 파생. 도끼: 가로베기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도끼: 나선충전베기로 파생. 도끼: 나선충전베기는 슬래시게이지 회복량이 많다.
파일:MHWs 버튼 L스틱 상.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중거리 앞을 공격하는 도끼: 돌진베기를 발동한다.
도끼: 휘두르기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도끼: 휘두르기 파생) 도끼: 강화 내려치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을 연타하면 도끼: 휘두르기를 지속할 수 있다. 도끼: 휘두르기를 두 번 이상 쓴 다음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도끼: 강화 내려치기로 파생되어 도끼 강화 상태로 넘어갈 수 있다.
파일:MHWs 버튼 L스틱 상.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을 누르면 장거리 앞을 공격하는 도끼: 돌진 세로베기를 발동한다.
도끼: 상쇄 베어올리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도끼: 상쇄 베어올리기 파생) 도끼: 추격 강화 내려치기
상쇄 대성공 시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도끼: 상쇄 베어올리기 파생) 도끼: 추격 변형베기
상쇄 대성공 시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키 R.png
상쇄 효과가 있는 베어올리기 공격. 상쇄 대성공 시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도끼: 추격 강화 내려치기로 파생. 도끼 강화 상태로 넘어갈 수 있다.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도끼: 추격 변형베기로 파생되어 검 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도끼: 베어내리기
콤보 중 파일:MHWs 버튼 L스틱 하.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키 S.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뒤로 이동하며 높은 곳을 공격한다.
변형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키 R.png
슬래시게이지가 30% 이상일 때 검 모드로 변형 가능. 파일:MHWs 버튼 L스틱.png +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도끼: 변형베기 사용 가능.
슬래시게이지가 부족할 때는 리로드가 사용된다.
집중 변형 연참
파일:MHWs 버튼 L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R1.png / 파일:MHWs 마우스 사이드 후.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키 시프트.png
(집중 변형 연참 파생) 속성해방 피니시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키 R.png
상처에 효과적인 비스듬히 베기. 상처에 맞으면 여러 번 연속 공격해 도끼 강화 피니시를 발동할 수 있다. 연속 공격 중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검 모드로 변형하며 속성해방 피니시를 발동한다.
버튼 역할(검 모드)
검: 세로베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검: 세로베기 후에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검: 우 베어올리기로 파생. 검: 우 베어올리기 후에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검: 좌 베어올리기로 파생. 파생 중 파일:MHWs 버튼 L스틱.png으로 위치를 조정하며 공격할 수 있다.
검: 2연 베기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검: 2연 베기 후에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을 누르면 검: 비천연격으로 파생. 각성 게이지를 많이 모을 수 있다.
검: 카운터 베어올리기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키 R.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몬스터의 공격에 맞춰 사용하면 몸이 움츠러들거나 날아가지 않는다. 성공하면 2연격이 되고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을 누르면 검: 비천연격으로 파생 가능.
속성해방 찌르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속성해방 찌르기 후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연타하면 속성해방 찌르기 피니시를 발동할 수 있다. 피니시 후 도끼 모드로 변형한다.
영거리 해방 찌르기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길게 누르기
고출력 상태에서만 몬스터에 달라붙어 속성해방 찌르기를 할 수 있다. 또한 달라붙은 후에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연타하여 영거리해방찌르기 피니시를 할 수 있다. 피니시 후에는 도끼 모드로 변형한다.
압축해방베기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키 R.png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검 모드의 강력한 공격. 고출력 상태일 경우 추가로 폭발 공격이 발생한다. 공격 후 도끼 모드로 변형한다.
풀 릴리스 슬래시
파일:MHWs 버튼 R2.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 파일:MHWs 키 R.png 길게 누르기 + 파일:MHWs 마우스 좌클릭.png + 파일:MHWs 마우스 우클릭.png
고출력 상태에서만 할 수 있는 강력한 공격. 속성해방 찌르기 후 파일:MHWs 버튼 R2.png으로도 파생할 수 있다. 공격 후에 도끼 모드로 변형한다.
변형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키 R.png
도끼 모드로 변형할 수 있다. 또, 파일:MHWs 버튼 L스틱.png +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검: 변형베기를 발동할 수 있다.
집중 변형 연참
파일:MHWs 버튼 L2.png + 파일:MHWs 버튼 R1.png / 파일:MHWs 마우스 사이드 후.png + 파일:MHWs 키 시프트.png
(집중 변형 연참 파생) 도끼 강화 피니시
파일:MHWs 버튼 R2.png / 파일:MHWs 키 R.png
상처에 효과적인 비스듬히 베기. 상처에 맞으면 여러 번 연속 공격해 속성해방 피니시를 발동할 수 있다. 연속 공격 중 파일:MHWs 버튼 R2.png을 누르면 도끼 모드로 변형하며 도끼 강화 피니시를 발동한다.

3.1. 추천 콤보

<colkeepall> 추천 콤보
슬래시게이지를 모으는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가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도끼: 나선충전베기)
도끼 모드의 슬래시게이지를 회복하는 기본 연계.
1콤보에 파일:MHWs 버튼 L스틱 상.png + 파일:MHWs 버튼 세모.png을 누르면 도끼: 돌진베기, 파일:MHWs 버튼 L스틱 상.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을 누르면 도끼: 돌진 세로베기에서도 2콤보로 이어지므로 공격 거리를 선택할 수 있다.
도끼 강화를 이용한 검 모드로 변형하는 연계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연타 (도끼: 휘두르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도끼: 강화 내려치기) → 파일:MHWs 버튼 R2.png (도끼: 변형 2연 베어올리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검: 3연 베기)
도끼 강화에서 검 모드로 변형하는 연계.
검 모드로 각성 게이지를 모으기 쉬운 연계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검: 2연 베기)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검: 비천연격)
검 모드로 각성 게이지를 모으기 쉬운 연계.
검 모드의 기본적인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검: 세로베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검: 우 베어올리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검: 좌 베어올리기)
검 모드 중 기본적인 연계. 파일:MHWs 버튼 L스틱.png을 눌러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격할 수 있다.
빈틈을 노린 강력한 연계
파일:MHWs 버튼 세모.png + 파일:MHWs 버튼 동그라미.png (속성해방 찌르기) → 파일:MHWs 버튼 세모.png 연타 (속성해방 피니시) → 파일:MHWs 버튼 R2.png (압축해방베기)
빈틈이 생겼을 때 사용하는 강력한 연계.

4. 썬브레이크 대비 차이점

운용이 편리했던 라이즈 버전보다는 이전 월드버전에 가깝되 라이즈에서 추가된 돌진 세로베기와 강변형베기 모션 등 라이즈 추가요소를 일부 계승한 형태를 띄고 있다.

4.1. 몬스터 헌터 와일즈

4.1.1. OBT 버전

월드 베이스 스타일에 라이즈의 신기술이 추가된 체계를 갖춰 월드 시절 슬액에 비해서 기술만 조금 달라졌을 뿐 플레이 방식에서는 큰 차이는 없는 양상을 띄었다. 그러나 오히려 라이즈에서 편입된 나선 충전 베기, 풀 릴리즈 슬래시 등은 무기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개선이 없는 도찐개찐에 이를 넘어서는 악영향까지 끼치는 등, 월드 슬액보다도 문제점 측면에서 더욱 심화된 성능을 가지고 베타 테스트에 등장한데다 피해량까지 심각하게 처참해서 '전 세계적인 만장일치'로 와일즈 베타 최악의 무기로 평가되었다.
전반적으로 월드 슬액에서 영거리 속성해방베기가 풀 릴리즈 슬래시로 대체된 단순한 운용 방식을 취하고 있다. 피해량을 뽑기위한 전투 플랜도 월드와 마찬가지라서 평소에는 도끼-검을 이용한 스탠딩 싸움을 하다가 대경직등의 딜타임에 풀릴슬을 최대한 많이 맞추고, 이를 많이 맞출수록 dps가 올라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문제는 풀릴슬의 문제점을 포함해 변경된 디테일한 부분들 때문에 월드보다 슬래시 게이지 고갈에 대한 압박이 훨씬 심하고, 라이즈 강변형베기의 잔재들 때문에 스탠딩 회피 싸움이 훨씬 어려워졌다는 점이 있다.[2] 때문에 실질적인 체감 성능은 대미지를 제외해도 월드보다도 성능이 떨어질 정도로 운영 난이도'만' 오른 양상을 보였다. 이로써 대대로 베타버전 극악무기군에 속하던 전통을 와일즈에서도 충실히 지켰다.[3]
문제점도 운영법도 기본적인 것은 월드와 똑같다. 스탠딩 전투 시 일반적인 공격템포가 몬스터의 딜레이 때 딱 1.5 또는 2.5 회를 칠 수 있을 정도로 굉장히 애매한 딜타임을 갖기 때문에 욕심을 내서 한대라도 더 때려서 몬스터보다 중립상태로 늦게가면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퍼니시(응징)[4]를 당한다. 이 때문에 1) "아슬아슬할 때까지 때린 후 극한의 집중력으로 아슬아슬한 정확도로 피한다." 또는 2) "한대 더 칠 여유가 있어보이나 손해를 보더라도 일단 참고 몬스터의 다음 대응을 보고 최대한 빨리 반응한다." 둘 중 하나의 선택을 그때 그때 골라가는 것이 주된 플레이 양상인데, 대부분 슬래시 액스 플레이를 실패하는 유저들의 경우 최대한 피해를 가능한한 몰아서 넣고자 하는 판단을 하게되는 1)을 선택해 몬스터의 공격을 피하지 못하는 함정에 빠지는 루프를 반복적으로 빙빙 돌게 되는 것. 이 점을 감안해 안정적으로 싸우면서, 단타 대미지를 많이 넣고자 하기 보다는 대경직 또는 큰기술 타이밍을 최대한 많이 잡아 풀릴슬을 많이 때리는 것이 관건이다.

위와 같은 특징 때문에 슬액은 '집중 약점 공격'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집중약점공격이 대미지나 보너스도 타 무기에 비해 좋은 편인데, 검각성 상태의 집약공 콤보는 대미지도 최상급인데 높은 확률로 풀릴슬 추가타까지 노릴 수 있어서 핵심적인 공격루트다. 도끼모드 집약공은 도끼강화와 다량의 슬래시 게이지를 충전할 수 있어서 게이지 방전 시 템포를 끌어올리는 매우 효율적인 기술이다.

월드에 비해서 큰 차이가 있는 점은 라이즈에서 하이퍼아머가 보강된 영거리 속성해방베기와 더불어, '도끼상쇄베기' '검 카운터 슬래시' 같이 유사시 사용할 수 있는 보완책이 마련되었다는 점이다. 본편에서 하이퍼아머 탑재가 예정된 풀릴슬도 포함해서 극한까지 쥐어짜는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월드 시절과는 달리 반격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주어진 것. 그러나 없느니만 못한 문제점을 다수 노출해서 많은 유저들이 불만을 토로했다. '상쇄'는 대검과 달리 후속 공격의 위력이 상당히 낮고, 대성공 발동 누적치도 낮으며, 모든 상쇄무기 중 유일하게 홀딩해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없는데다가 발동 속도조차 최하위권이라 극악의 난이도인데, 기존 도끼의 주력기였던 베어올리기를 희생하면서 얻은 기능이라 잃은게 훨씬 많으며, 검 카운터 슬래시는 발동 자체는 빠르지만 커맨드가 변형과 겹쳐 꼬이기 쉽고 피해 감쇄가 매우 저열한 수준이라 본편에서 대폭 상향이 예고되었다.
어쨋든 집중 약점 공격과 상쇄 및 다양하게 추가된 환경요소나 특수 기능을 이용하면 주요 피해기술을 사용할 기회가 월드보다는 좀 더 많아졌다는 점에서 플레이의 풍부함은 약간 늘어났다. 특히 베타의 보스몬스터 취급인 알슈베르도는 긴 후딜레이를 주는 기술을 다수 갖추어, 여전히 번거롭지만 더욱 번거롭던 영거리 속성해방베기보다는 덜한 풀릴슬을 스탠딩 싸움에서도 사용할 기회가 드러나기도 했다.

5. 운용

6. 내부 데이터

7. 총평

7.1. 장점

7.2. 단점

8. 추천 스킬 목록

9. 기타

전반적으로 검모드의 성능향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검모드에서의 단타 2,3번째 공격의 모션배율도 상승하였으며, 1차 베타에서는 매우 가치가 떨어지던 검 카운터슬래시의 성능을 상당히 크게 강화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1차 베타 기준 피해감소율은 체감상 일반적인 하이퍼아머의 감소율인 1/2 정도였으나 변경 후 1/3, 저스트 발동 시 무려 1/10로 감소한다고 한다. 와일즈의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판단되는 풀릴리즈 슬래시도 모션배율이 증가하며, 영거리 속성해방베기가 라이즈부터 하이퍼아머 판정을 받아 피해 감소와 넉백 무효 효과를 받았는데 풀릴리즈 슬래시도 발동 중 같은 효과를 받을 것으로 추측된다. 변형베기가 360도 발동가능하게 바뀌는 점과 더불어, 드디어 악명높은 '딸깍' 현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슬래시 게이지가 부족할 때 배터리를 충전하는 속칭 딸깍 모션 때문에 온갖 상황에서 얻어맞게 되는게 슬액의 악질적인 아이덴티티였는데 이제 이 이유없는 패널티를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게됬다. 한편, 해당 v점프 기사에는 스킬 고속변형(3)이 공개됬는데 1레벨당 공격속도와 피해량을 10%씩 올려준다.

[1] 정황상 도끼상쇄는 공격 판정이 나올 때 상쇄 판정이, 검카운터는 공격이 나오기 직전까지 카운터판정이 존재한다.[2] 특히 반강제되면서 헌터의 모션 딜레이를 극도로 올려버리는 배터리 충전용 '나선충전베기'를 억지로 써야되는 점이 심각했다.[3] 베타버전에서는 스킬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워 회피거리를 얻을 수 없기 때문.[4] 국내 격투 게임에서는 딜레이 캐치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