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17:40:28

수룡종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별명이 '수룡'인 어룡종}}}에 대한 내용은 [[가노토토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노토토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노토토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별명이 '수룡'인 어룡종: }}}[[가노토토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노토토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노토토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수룡종
獸竜種 | Brute Wyvern
파일:Deviljho_Render_001.png
수룡종의 일종인 이블조
1. 개요2. 특징
2.1. 기본 베이스2.2. 패턴2.3. 다양성2.4. 꾸준한 참전
3. 목록
3.1. 메인 시리즈
3.1.1. 토사룡 볼보로스
3.1.1.1. 빙쇄룡 볼보로스 아종
3.1.2. 공폭룡 이블조
3.1.2.1. 미친 이블조
3.1.3. 폭추룡 우라간킨
3.1.3.1. 강추룡 우라간킨 아종3.1.3.2. 보전 우라간킨
3.1.4. 미추룡 도볼베르크
3.1.4.1. 미부룡 도볼베르크 아종
3.1.5. 쇄룡 브라키디오스
3.1.5.1.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3.1.6. 참룡 디노발드
3.1.6.1. 류참룡 디노발드 아종3.1.6.2. 신멸인 디노발드
3.1.7. 만악룡 안쟈나프
3.1.7.1. 뇌악룡 안쟈나프 아종
3.1.8. 골추룡 라도발킨3.1.9. 맹우룡 버프바로3.1.10. 염미룡 케마트리스3.1.11. 소분룡 푸푸로포루
3.2.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3.2.1. 영룡 아비올그
3.2.1.1. 빙영룡 기아올그
3.2.1.1.1. 천이종 기아올그
3.2.2. 노모룡 가스라바즈라
3.2.2.1. 천이종 가스라바즈라
3.2.3. 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
3.3. 몬스터 헌터 온라인
3.3.1. 겁룡 치에롱
3.4.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3.4.1. 브라키디오스 폭빙종3.4.2. 도볼베르크 봉폭종3.4.3. 우라간킨 휘암종3.4.4. 우라간킨 호박종3.4.5. 우라간킨 수박종3.4.6. 볼보로스 아잣종3.4.7. 이블조 기행종3.4.8. 우라간킨 B.O.W.종
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1. 개요

몬스터 헌터 트라이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몬스터 생물종. 용반목 - 수각아목에 해당하는 몬스터가 수룡종이다. 이름 때문에 물에 사는 용족으로 착각했던 사람이 많으나 수룡종의 수는 물 수()가 아니라 짐승 수()다. 물에 사는 것은 해룡종이고, 수룡족은 이족보행형 용족 디자인이다.

2. 특징

2.1. 기본 베이스

티라노사우루스로 대표되는 대형 수각류의 모습을 한 몬스터들이다. 안쟈나프이블조의 실루엣은 완전히 티렉스이고, 특징적인 외모의 몬스터들도 골격은 이족보행 공룡의 구조를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한 뒷다리와 짧은 앞다리를 가지고, 날개는 없어 보통 돌진이나 다리를 쓰는 게 주 패턴이다. 벨로키랍토르 같은 소형 수각류의 모습을 한 몬스터는 조룡종으로 분류된다.

공통된 특징이라면 큰 몸집과 그에 비례하는 많은 체력량인데, 우선 크기의 경우 수룡종 중 가장 작은 편인 볼보로스도 상위권 크기의 비룡종에 버금가는 몸집을 자랑하며, 이블조도볼베르크, 디노발드 같은 대형종들은 무려 20m 이상으로 디아블로스 같은 대형 비룡급의 크기를 자랑한다. 그 때문인지 수룡종들과 싸울 때는 높은 체력 탓에 장기전이 되기 십상이다.

또 다른 특징이라면 엄청난 신체능력. 비행 능력은 없지만 각력과 크기 덕분에 자주 괴력을 발휘하는 종족인데, 대표적으로 그 덩치로 자기 몸길이의 몇 배가 넘는 거리를 뛰어오는 건 물론, 몬스터를 입으로 물고 이리저리 휘두르거나 몸통박치기로 들이받아 동체급 몬스터를 내동댕이치는 등, 대형 몬스터 기준으로도 괴력을 과시하는 경우가 많다.[1] 배변 활동도 다른 종보다 활발해 수룡종이 있는 곳은 거름탄을 얻기가 쉽다.

소형 몬스터는 딱히 등장하지 않았으나, 초식종케스토돈가스토돈, 달루토돈이 분류학적으론 수룡종이 포함된 수각아목에 속한다.[2] 그러나 이들은 초식이며 대형 몬스터만큼 큰 위협이 되지 않고 체구도 매우 작아서 초식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대체로 멋지고 개성적인 외형을 가진 몬스터가 많고 패턴의 개성도 강해 좋아하는 사람도 많지만 싫어하는 사람도 많은 호불호가 갈리는 종. 공통적으로 더럽게 많은 피통, 큰 덩치와 골격의 한계로 짧은 무기는 약점을 노리기가 힘든 점, 단단한 다리와 짧은 대경직 시간, 광속으로 발동하는 물기와 월드 이후엔 즉발에 가까운 포효 패턴,[3] 하술할 수룡 스텝이라고도 불리는 재빠른 백스텝 등으로 인해 한손검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종 전체를 싫어한다.

특히 참격무기로는 도통 깨지질 않는 엄청난 돌머리에 하루종일 돌진만 쫓아다녀야 하는 볼보로스, 키가 커서 때리기 어렵고 패턴도 빠른 안쟈나프, 하루종일 굴러만 다니는데다 전체적인 육질도 나쁘고, 체력도 많아 혐오 몬스터 최상위권인 우라간킨, 육질도 더러운데[4] 체력까지 끔찍하게 많은 도볼베르크, 엄청난 패턴 속도로 역대 간판몹 최고 난이도를 지닌 동시에 모내기의 달인 브라키디오스, 시도 때도 없이 난입해서 포효하고 넓은 공격범위로 날뛰는 버프바로는 패턴적으로 좋은 소리를 못 듣는 편이다.

사냥면에서 평가가 좋은 편인 몬스터는 디노발드, 아비오로그, 가스라바즈라가 있다. 다만 신멸인 디노발드는 묘하게 원종보다 브레스 비율이 높아 무한 침뱉기에 당해 치를 떠는 사람이 많다. 또한 월드 이후 이블조도 사냥하기 괜찮게 개편[5]되어서 패턴에 익숙하다면 적당한 긴장감을 지니면서 수렵을 즐길 수 있다. 아비오로그와 가스라바즈라는 딱히 모난 곳 없이 호평을 받지만, 천이종 가스라바즈라는 즉사기가 꽤나 많기에 난도가 매우 높아 다수 호불호가 갈린다.

2.2. 패턴

비룡종인 디아블로스에서 영향을 받아 브레스 같은 특수 공격은 잘 안 쓰는 대신, 강력한 신체능력을 이용한 육탄전에 특화된 묘사가 많다. 몬스터마다 조금씩 패턴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거대한 크기를 이용한 전진 휩쓸기, 꼬리치기, 철산고 등은 디아블로스에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커다란 덩치에 안 맞게 트리키한 패턴들도 많다. 흔히 수룡 스텝으로 불리는 특유의 움직임으로,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싸우던 도중 갑자기 뒤로 뛰어오르는 사이드 스탭을 쓰거나, 앞으로 크게 점프하는 등 초면에는 예측하기 힘든 움직임들을 많이 보인다. 게다가 몇몇 몬스터는 축회피에 이어 축맞춤-돌진 콤보를 쑤셔넣고 가까이 붙어 어깨치기로 마무리하는 '철산고 스타일'의 회피-2단 연속기라는 악랄한 패턴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거의 동일한 모션임에도 기존 패턴보다 발동시간이 빠른 급발진 패턴을 파생형으로 구사하는 경우가 있어서 디아블로스를 잡을 때 고전했다면 수룡종을 잡을 때도 똑같거나 더 심각하게 비참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아비올그는 수룡종 최초로 다리별로 육질 및 특성이 다르다는 기믹을 차용했는데, 이는 월드 이후 모든 수룡종들에게 적용됐다. 뒷다리 부위파괴 후 뒷다리 경직 시 대경직이 발생하며, 왼발과 오른발이 경직치를 공유하지 않고 따로 쌓인다는 특징을 공유한다.[6] 또한 수룡종의 첫 포효 패턴이 변화했는데, 기존의 전용 모션을 쓰지 않고 안쟈나프의 포효 모션을 사용한다. 문제는 이 모션이 헌터를 인식하고 적대상태에 들어가는 순간 무선딜로 바로 터져나오기 때문에 포효회피가 꽤나 까다롭다.

2.3. 다양성

기본적으로 수룡종 몬스터는 육탄전 위주로 싸우는 편이나, 각각의 생김새부터 알 수 있듯 굉장히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런 생김새에 따라 비슷한 육체파임에도 주무기가 되는 공격 스타일이 다양한 편이다.

이처럼 같은 골격임에도 엄청나게 다양한 패턴들을 가지고 있다. 정직하게 이빨로 물고 뒷발로 후려치고 머리로 찍는 안쟈나프이블조 등이 브레스를 쏘고 슈퍼점프를 구사하는 녀석들임에도 불구하고 그 두 패턴만 뺀다면 오히려 모티브가 된 육식공룡들의 실제 사냥 스타일과 가장 비슷하다고 느껴질 정도.

2.4. 꾸준한 참전

해룡종과 같이 트라이에서 처음 등장했으나, 골격 문제로 월드 이후 시리즈에서 참전에 난항을 겪는 해룡종이나 가짓수가 적어 힘들게 만들어도 몬스터를 많이 낼 수 없는 협각종, 양서종, 사룡종, 갑각종 등과 달리 골격의 프로그래밍이 간편한데다 몬스터의 추가도 꾸준히 이루어졌기에 모든 시리즈에 최소 두마리 이상은 꼭 참전하는 종이기도 하다. 특히 이블조, 브라키디오스의 경우엔 신작이 나올때마다 어지간하면 꼭 참전했을 수준이고, 수룡종이 가장 적게 참전한 라이즈에서도 안쟈나프, 볼보로스가 참전했다. 특히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 많이 참전했는데, 아이스본 까지 와서는 도볼베르크를 뺀 본가의 수룡종이 전원 참전한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몬스터까지 등장했다. 4G와 아이스본에선 전부 불참한 해룡종과 매우 비교되는 부분.

반면 라이즈에서는 생각보다 참전이 적은데, 신규 수룡종은 나오지 않고 볼보로스안쟈나프 둘만 참전했으며[7], 항상 꾸준히 참전하던 이블조도 라이즈에선 불참. 전작인 월드/아이스본에서는 도볼베르크를 뺀 나머지가 참전 및 신규 몬스터가 나온거에 비하면 굉장히 비교되는 부분이다. 대신이랄지 도스바기와 도스프로기같은 지상형 조룡종들이 수룡종 골격을 이용하여 리뉴얼된 패턴을 보여주고 있고, 월드때 참여 못한 해룡종이 많이 참전했다.

허나 2025년에 출시 예정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통해 충분한 등장과 동시에 해룡종과 균형있는 참전으로 나올 가능성이 컸고, 신규 수룡종 케마트리스[8]푸푸로포루가 공개되었다.

3. 목록

3.1. 메인 시리즈

3.1.1. 토사룡 볼보로스

파일:MHRise-Barroth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볼보로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로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로스#|]][[볼보로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 빙쇄룡 볼보로스 아종
파일:external/images.wikia.com/IceBarroth.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볼보로스 아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로스 아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로스 아종#|]][[볼보로스 아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공폭룡 이블조

파일:Deviljho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블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블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블조#|]][[이블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1. 미친 이블조
파일:savage deviljho world.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친 이블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친 이블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친 이블조#|]][[미친 이블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폭추룡 우라간킨

파일:MHW-Uragaan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라간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라간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라간킨#|]][[우라간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1. 강추룡 우라간킨 아종
파일:external/images.wikia.com/Uragaan_Subspecies_render.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라간킨 아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라간킨 아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우라간킨 아종#|]][[우라간킨 아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2. 보전 우라간킨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HGen-Crystalbeard_Uragaan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전 우라간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전 우라간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전 우라간킨#|]][[보전 우라간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 미추룡 도볼베르크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HGen-Duramboros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볼베르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볼베르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볼베르크#|]][[도볼베르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1. 미부룡 도볼베르크 아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볼베르크 아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볼베르크 아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볼베르크 아종#|]][[도볼베르크 아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 쇄룡 브라키디오스

파일:Brachydios world2.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브라키디오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라키디오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라키디오스#|]][[브라키디오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5.1.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파일: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CG일러스트.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사납게 터지는 브라키디오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참룡 디노발드

파일:MHWI-Glavenus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노발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노발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노발드#|]][[디노발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1. 류참룡 디노발드 아종
파일:MHWI-Acidic_Glavenus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노발드 아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노발드 아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디노발드 아종#|]][[디노발드 아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2. 신멸인 디노발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HGen-Hellblade_Glavenus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멸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멸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멸인#|]][[신멸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만악룡 안쟈나프

파일:안쟈임시일러.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쟈나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쟈나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쟈나프#|]][[안쟈나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1. 뇌악룡 안쟈나프 아종
파일:MHWI-Fulgur_Anjanath_Render_00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쟈나프 아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쟈나프 아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쟈나프 아종#|]][[안쟈나프 아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8. 골추룡 라도발킨

파일:라도발킨.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도발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도발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도발킨#|]][[라도발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9. 맹우룡 버프바로

파일:Banbaro.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버프바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프바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버프바로#|]][[버프바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0. 염미룡 케마트리스

파일:염미룡 케마트리스.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마트리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마트리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케마트리스#|]][[케마트리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1. 소분룡 푸푸로포루

파일:푸푸로포루 렌더링.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푸푸로포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푸푸로포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푸푸로포루#|]][[푸푸로포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3.2.1. 영룡 아비올그

파일:아비오로그.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비올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비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비올그#|]][[아비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1. 빙영룡 기아올그
파일:갸올그.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아올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아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아올그#|]][[기아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1.1. 천이종 기아올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이종 기아올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이종 기아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이종 기아올그#|]][[천이종 기아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노모룡 가스라바즈라

파일:FrontierGen-Gasurabazura_Render_002 (1).web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스라바즈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스라바즈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스라바즈라#|]][[가스라바즈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1. 천이종 가스라바즈라
파일:가스라바즈라.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이종 가스라바즈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이종 가스라바즈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이종 가스라바즈라#|]][[천이종 가스라바즈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

파일:FrontierGen-Starving_Deviljho_Custom_Render_001.web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몬스터 헌터 온라인

3.3.1. 겁룡 치에롱

파일:치에롱.web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에롱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에롱#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에롱#|]][[치에롱#|]]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몬스터 헌터 익스플로어

3.4.1. 브라키디오스 폭빙종

3.4.2. 도볼베르크 봉폭종

3.4.3. 우라간킨 휘암종

3.4.4. 우라간킨 호박종

3.4.5. 우라간킨 수박종

3.4.6. 볼보로스 아잣종

3.4.7. 이블조 기행종

3.4.8. 우라간킨 B.O.W.종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생물 유형
몬스터
파일:얀쿡크 와일즈 아이콘.png 조룡종 파일:리오레우스 와일즈 아이콘.png 비룡종 파일:이블조 월드 아이콘.png 수룡종 파일:라기아크루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 해룡종
파일:진오우거 월드 아이콘.png 아룡종 파일:가노토토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 어룡종 파일:가라라아자라 크로스 아이콘.png 사룡종 파일:크샬다오라 스토리즈2 아이콘.png 고룡종
파일:아프토노스 월드 아이콘.png 초식종 파일:라잔 월드 아이콘.png 아수종 파일:테츠카브라 스토리즈2 아이콘.png 양서종 파일:메르노스 월드 아이콘.png 익룡종
파일:다이묘자자미 스토리즈2 아이콘.png 갑각종 파일:랑고스타 와일즈 아이콘.png 갑충종 파일:네르스큐라 와일즈 아이콘.png 협각종 파일:누 이그드라 와일즈 아이콘.png 두족종
파일:어류 3G 아이콘.png 어류 파일:아이루 크로스 아이콘.png 수인종 파일:??? 크로스 아이콘.png종족 불명/기타
환경생물
파일:흔들흔들 월드 아이콘.png 월드 & 아이스본 파일:무지개색 인혼조 라이즈 아이콘.png 라이즈 & 선브레이크 파일:거품노래 부엉이 와일즈 아이콘.png와일즈
관련 문서: 아종 | 고룡급 생물 | 몬스터 목록 (생태수형도) | 절멸 및 미확인종 | 인조룡종 | 천이종 | 특수종

[1] 대표적으로 자주 충돌하는 어룡종과 비교하면 기동력은 밀리지만, 기습에 당해도 어룡종을 손쉽게 날려버리는 등 신체능력에선 우위에 있다. 다만 볼보로스와 디아블로스처럼 체격 차이가 크게 나면 힘싸움에서 패배하기도 한다. 또한 디노발드, 안쟈나프처럼 커다란 대형종은 디아블로스를 물어서 휘두르는게 가능하며, 그중 가장 강력한 이블조는 디아블로스를 일방적으로 압도하고 고룡종이나 라잔과 힘싸움을 한다.[2] 정작 케스토돈의 모티브가 된 후두류 공룡은 수각아목과 거리가 매우 멀지만.[3] 모든 수룡종들이 사용하지만, 패턴으로 쓰는 몬스터는 버프바로, 라도발킨, 안쟈나프, 우라간킨, 디노발드가 있는데, 앞의 셋은 몰라도 우라간킨과 디노발드의 경우 포효(대)이기 때문에 굉장히 골치 아프기로 악명이 높다.[4] 검사는 평소 못 때리는 혹만이 약점이다. 덩치도 크기 때문에 넘어트리는 것이 아니면 때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5] 가슴 쪽이 원래도 약점인데 부위파괴시 가장 연한 부위로 바뀌며, 일정량의 딜링을 부여하면 특수 카운터 패턴 때 반격으로 특수 대경직을 만들어낼 수 있어서 패턴이 익숙하다면 의외로 쉽게 잡힌다. 특히 아이스본의 미친 이블조라면 더욱 쉬운게, 일반 이블조는 카운터 모션 중에 데미지 50정도가 충족되어야 대경직이 나오는데, 미친 이블조는 카운터 모션 중 그냥 톡 치기만 해도 대경직을 알아서 먹는다.[6] 대경직이 발생하는 경직 횟수는 몬스터마다 다르다. 아예 뒷다리 부위파괴가 안 되는 종도 있다.[7] 소형 몬스터까지 꺼내보자면 버프바로같은 수룡종에 가까운 케스토돈 또한 라이즈에도 등장한다.[8] 신규 해룡종인 우드 투나와 함께 공개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