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4:35:20

광역급행버스 M7119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광역급행버스 심볼.svg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B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역
권역
시/군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 노선


2 남양주
4 성남
용인
화성
M4448[민]
M4449[예]
5 수원
안양
오산
평택
6 김포
M6117[민]

중구
연수구
남동구
M6410[민] 시흥
서구
7 고양
M7412[예] 광주
M7646[민]
파주
부산·울산권 거제
준공영제 예정 노선[예]
민영제 노선[민]
[[아웃 ○○ 노선|{{{#00BFFF
운행하는 지역의 면허가 아닌 노선}}}]]실제 면허지
}}}}}}}}} ||
파일:선진버스M71199525.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사건 사고6. 연계 철도역7. 일평균 승차인원8. 둘러보기

1. 개요

선진버스에서 운행중인 2012년 개통한 3기 광역급행버스 노선이며 7권역과 1권역을 이어주는 전국 19번째 광역급행버스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61.1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711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M7119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위시티3·4단지)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숭례문)
종점행 첫차 04:30 기점행 첫차 05:20
막차 23:30 막차 00:30
평일배차 10~20분 주말배차 20~25분
운수사명 선진버스 인가대수 11대[1][2]
경유 정류장
고양(위시티식사지구) 서울(숭례문)
위시티3.4단지 연세대앞
위시티입구 이대후문
숲속마을7.8단지 광화문역6번출구.광화문빌딩[A]
숲속마을2단지
백마마을5단지 신한은행본점[A]
강촌마을8단지 서울역(숭례문)[A]
마두역
백석동.요진와이시티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A]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파일:M7119 시간표 (24.10.02~).png

대광위 준공영제 전환 후 시간표.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시간표는 변동될 수 있다. 평일 첨두시간대에는 10분~15분 간격, 비첨두시간은 15~20분 간격으로, 주말/공휴일에는 20~2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준공영제 전환 이후에는 평일 배차간격도 소폭 단축되었지만, 특히 주말, 공휴일 배차간격이 이전 30~1시간대에서 20~25분으로 대폭 단축되었기 때문에 이전보다 이용하기 편해졌다.

05:30~07:40의 노란색 시간대는 예약제 버스이다. Miri 어플을 깔은 후 시간대를 골라 예약해야 하며, 예약 후 자리가 남으면 예약하지 않은 사람도 탑승할 수 있다. 특히 7시대 버스는 전부 예약되어 0석인 경우가 많으니 미리 예약해 놓는 것이 좋다.

5. 사건 사고

2025년 2월 3일에 고양시 일산동구에서 신호위반을 한 화물차와 추돌 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6. 연계 철도역

7. 일평균 승차인원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7119번
<rowcolor=#00B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증감폭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colbgcolor=#ee2737><colcolor=#fff>가평 · · · · · · ·
고양 ·
광명 · · ·
광주 · · · · · · · · ·
구리 · · ·
군포 ·
김포 · ·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수원 · · · · · · · ·
시흥 ·
안산
안성 · ·
양주 · · · · ·
양평 ·
연천
오산 · · ·
용인 · · · · ·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의왕
이천 ·
파주 · ·
평택 · ·
포천 · · · ·
하남 · · · · ·
화성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02574f>
파일:고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3300번: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colcolor=#0060b5,#49aaff> 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 주요 지역 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min-height: 26px"
{{{#!folding [ 서울특별시 방면 ]
파일:Seoulmetro1_icon.svg 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영등포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당산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
파일:Seoulmetro2_icon.svg 홍대입구, 합정
파일:Seoulmetro2_icon.svg 강남 (파일:Seoulmetro3_icon.svg 양재)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파일:AREX_icon.svg 김포공항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AREX_icon.svg DMC
상암, 수색
}}}}}}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방면 ]
||


[1] 예비차 1대, 수요대응형 버스로 운행하는 2대가 따로 있다.[2] 주말/공휴일 9대 운행[A] 편도운행[A] [A] [A] [7] 백 전 의원은 9600번, 9700번 노선 분리, 9712번 개통 시도, M7412번, M7613번 중산 연장 등 광역버스 사업에 이래저래 개입한 사람이다. 물론 국회의원이 자신의 지역구의 교통에 대해 관심이 많은 것은 칭찬받아 마땅하나 문제는 자신의 지역구만 생각해 버스를 운영하는 주체인 버스 회사나 고양시청, 그 노선이 지나는 다른 지역 사람들의 입장은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8] 기존 인천 신흥동지점 운영진으로, 500번대 노선 경영진이다.[9] 이 노선의 계속되는 개통 연기는 버스 회사고양시의 입장은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노선 개통에만 앞장선 백성운 의원과 명성운수신성교통 위주로 교통 정책을 펼치는 고양시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10] GBIS의 지역별 시내버스 검색 페이지에서는 여전히 고양시 노선으로 검색해야 조회되다가, 일자미상(2021년 1~4월 사이 추정)으로 김포시 노선으로 조회된다.[11] M버스는 국토교통부 관할이므로 아웃 김포 노선과 무관하다.[12] 본래는 풍동상가단지에 정차할 예정이었으나, 이렇게 되면 '백석동.요진와이시티' 정류장이 광역급행버스 7.5km 정류장 규정에 벗어나게 되어 숲속마을2단지 정류장에 정차한다.[13] 특히 주말/공휴일 배차간격이 30분~60분에서 최소 20분, 최대 25분으로 대폭 단축되었는데, 1000번, 1200번 수요를 분산할 것으로 보인다. M7106번, 1900번, 1100번 등 유사 노선의 파행 및 폐선으로 인해 주말에도 1000번과 1200번이 좌석이 얼마 남지 않거나, 만석이 생기는 일이 많았다.[14] 1000번, 1200번보다 이 노선의 선호도가 높다. 폐선된 M7106의 포지션을 이 노선이 이어받은 셈.[15] 일산으로 오다 보면 백석동과 마두역에서 식사동 방향으로 승차인원이 있다.[16] 1대가 조회되는 경우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