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10:30:36

성남 버스 9007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55b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성남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경기순환
직행좌석

심야
일반
마을
7대일
7영상
}}}}}}}}} ||


파일:성남 버스 9007_8779.jpg
파일:성남 9007번 현대차량.webp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수요4.3. 운행문제4.4. 판교 심야 버스의 본좌4.5.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성남시 CI_White.svg 성남시 직행좌석버스 90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남 9007 노선도.png
기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운중동먹거리촌)종점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6:00
막차22:50막차23:50
평일배차출퇴근 12분/평시 20분휴일배차25~35분
운수업체대원버스인가대수14대[1]
노선운중동먹거리촌 - 운중초등학교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판교청소년수련관·판교종합사회복지관 - 판교동행정복지센터 - 성내미육교·판교박물관 -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 - H스퀘어 - 판교역 - (→ 낙생육교 →) - 판교IC - 경부고속도로 - 반포IC - 서울고속터미널 - 반포대교 - 국군재정관리단 - 남산3호터널 → 롯데영프라자 → 서울시청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숭례문남대문시장 → 남산3호터널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소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방향 SK플래닛.판교디지털센터17:30, 17:50, 18:05, 18:10 / 고속터미널 직통
운중동먹거리촌 방향 없음

2. 개요

대원버스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67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2022년 10월 1일 기준

4.2. 수요

서판교 주민들, 특히 기점지 인근에 위치한 운중동, 판교동(1,2,3,5단지) 주민들이 사대문 안으로 갈 때는 이 노선이 아닌 9003, 4103번을 탄다.[3][4] 그럼에도 이 노선이 망하지 않은 이유는 처음 노선을 설계할 당시부터 서울 도심 → 판교테크노밸리로의 역출근 수요를 목표로 만들었기 때문인데, 실제로 퇴근 시간에 서울 방향 NC소프트 앞에서 보면 가축수송은 기본이고, 평일 평시에도 입석 정도는 깔고 낙생육교를 출발하는 편이다. 버스어플을 통해 잔여좌석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경기도-서울 광역버스와는 다르게 역방향으로 수요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침에는 서울역에서부터 만석이다(...) 서판교 지역에서는 언급한대로 9003, 4103번이 더 빠르기 때문에 정방향 수요는 9003, 4103번이 주로 담당하고, 판교 테크노밸리로 출퇴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9007번의 경우에는 오전엔 내려오는 차가 만석이고 오후 6시 이후엔 올라가는 차가 만석인 역방향 수요 중심 노선이다. 공공버스 전환 이후, 운행 배차간격이 줄어들면서 판교에서 고속터미널역간 수요가 많이 늘어났다.

이 노선의 수요 창출 구조는 판교 ~ 고속터미널(과 3·7·9호선 환승연계), 고속터미널 ~ 도심의 구간수요로 완벽하게 갈린다고 볼 수 있다. 후자, 즉 서울시내 수요가 의외로 상당히 큰 게, 지하철로는 4호선을 타고 한강로-동작대교 방향으로 우회하는 데다가 동작역에서의 환승(그것도 막장환승[5])이 필요한데 비해서, 버스로는 한 방이면서 직행좌석버스답게 그 사이의 녹사평대로 상의 몇몇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6] 빠르다. 고터의 수요 요인이 시외교통, 주변 반포 아파트단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파미에스트리트·고터몰 등 상권, 지하철 3·7·9호선 연계, 반포한강공원 등으로 많기도 하고.[7] 서울 시내의 구간수요로 수익을 내는 경기도 직좌버스의 비슷한 예로 광주의 3201번이 있는데, 이 노선도 서울역-양재역 간 수요가 많다.

4.3. 운행문제

버스 입석금지 시행과 함께 성남시에서는 이 노선이 판교테크노밸리를 관통하는 노선으로서 출퇴근 시간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되어 기존 1호터널 노선으로 서울시에 증차를 요청했는데 남산1호터널의 과밀이 문제가 되어서, 결국 3호터널 통과 노선으로 변경하여 증차가 합의되었다고 한다.[8]

그래서 8대에서 14대로 증차될 예정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노선만 변경되고 증차 약속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잠시 10대로 운행하다가 8월 중순엔 다시 8대로 줄였다. 2014년 11월 기준으로 평일에 9대, 주말/공휴일에는 단 3대(!)가 운행한다.

2020년 11월 7일부터 주말에 운행하는 버스 인가대수를 기존 3~4대에서 8~9대로 대폭 증차하였다.

2022년 10월 현재 평일 13대, 토요일 9대, 공휴일 8대로 운행중이다.

4.4. 판교 심야 버스의 본좌

서울역에서 11시 50분에 출발하고 강남 반포쪽을 거쳐가기 때문에 판교IC에 도착하는데만 무려 1시 조금 전에 도착한다. 반포, 고속터미널에서도 자정을 지나서 판교 지방으로 갈 수 있는 버스인데, 참고로 2021년부터는 신사역 강남역 양재역에서 9409번이 자정 넘어서도 이용이 가능한 진정한 판교행 심야 본좌가 등장했다. 한편 자정 넘어서는 판교역에서도 서판교쪽으로 가는 버스라서 동판교쪽에서 서판교로 집에 갈려는 서판교 주민들은 이 버스 막차 놓치면 대왕판교로의 정류장들에서 막차가 새벽1시 즈음 까지도 다니는 9409번을 이용하면 된다.

4.5. 일평균 승차량

평일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3,262
2015년2,520▽ 742
2016년3,250△ 730
2017년3,601△ 351
2018년3,773△ 172
2019년3,702▽ 71
2020년2,946▽ 756
2021년6,184△ 3,238
주말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863
2015년529▽ 334
2016년690△ 161
2017년631▽ 59
2018년1,022△ 391
2019년637▽ 385
2020년599▽ 38
2021년2,353△ 1,754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colbgcolor=#f00><colcolor=#fff>가평 · · · · ·
광명 · ·
광주 · · · · ·
구리 ·
김포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수원 · · · ·
시흥 ·
안성 ·
양주 · · ·
오산 ·
용인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이천 ·
파주 · ·
평택 ·
포천 · · ·
하남 · · · ·
화성 · · · · · · · · · ·
기타 · · · ·
}}}}}}}}} ||

[1] 퇴근 시간대 전세버스 4회 운행[2] 상행(판교->서울역 방면)만 해당[3] 9007번이 먼저 와도 타지 않는다. 반포대교가 워낙 막히는데다가 고속터미널, 판교테크노밸리로 돌아가기 때문에, 몇 분 더 기다렸다가 9003번, 4103번 타고 가는게 훨씬 빨리 간다.[4] 물론 대체노선이 전무한 서판교로 인근의 판교원마을 9,10,11,12 단지 주민들은 환승저항으로 인해 9007번을 이용하기도 한다.[5] 동작역은 4호선이 한강을 다리로 건너기 위해 지상으로 나와있고 9호선이 3기 지하철 계획 노선답게 심도가 깊다[6] 이 노선은 녹사평대로에서는 국군재정관리단 정류소(서울역 방면)/해방촌 정류소(판교 방면)에만 정차하는 반면 143번, 401번, 406번 등은 모든 정류장(도심 방향 5개, 한강 방향 4개)에 다 선다. 물론 운행 속도 역시 직행좌석버스라 일반시내버스에 비해 당연히 빠르다.[7] 직행좌석버스라 요금이 비싸서 시내구간 이용승객이 있을까 싶겠지만, 일단 택시보다는 훨씬 싸거니와 빠르고 편리한 이동에 이것만한 노선이 더 없기 때문에 이용객이 꽤 보인다.[8] 사실 5007번도 같이 변경될 예정이였지만, 민원으로 인해 7월 15일에 변경이 철회되었다.[9] 국군재정관리단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