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7 19:56:48

신동아교통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강화군 군내버스
계양구 동화운수
남동구 부성여객 삼환운수 성원운수
인천교통공사
부평구 성산여객 강인교통 강인여객
미래교통 청라교통 대인교통
태양여객
서구 선진여객 세운교통 공영급행
신동아교통 마니교통 마니버스
삼성여객 수정관광 시영운수
신강교통 신화여객 원진운수
청룡교통 해성운수
연수구 더월드교통 도영운수 성민버스
중구 강화교통 미추홀교통 삼환교통
송도버스 인천스마트 인천제물포교통
은혜교통 인강여객 신흥교통
영종운수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강인여객 계열사
동구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 인천광역시 서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내버스 검단버스 마니교통 마니버스 삼성여객
선진여객 세운교통 수정관광 시영운수
신강교통 신동아교통 신화여객 원진운수
청룡교통 해성운수
공영버스 대곡교통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파일:1(2).jpg 파일:in518-ac.png
1번 518번
신동아교통(합)
Sindonga traffic
<nopad>
파일:신동아교통(합).svg
정식 명칭 <colbgcolor=#ffffff,#191919>신동아교통 합자회사
영문 명칭 Sindonga traffic LP.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92년 7월 2일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노승희, 장진수
기업 분류 중소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소재지 본사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227-10 (오류동)
신흥동지점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291번길 42 (신흥동3가)
연수지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312번길 268 (송도동)
강화지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

1. 개요2. 역사3. 운행 지역4. 특징
4.1. 회사 운영4.2. 차량 출고
4.2.1. 선진그룹4.2.2. 비선진그룹(신흥동지점)
5. 영업소6. 운행 노선
6.1. 선진그룹 소속
6.1.1. 본사(검단)6.1.2. 연수지점6.1.3. 강화지점
6.2. 비선진그룹
6.2.1. 신흥동지점
6.3. 과거 운행 노선
7. 면허 체계
7.1. 선진그룹 소속7.2. 비선진그룹(신흥동지점 소속)
8. 보유 차량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인천광역시 서구의 버스 회사. 선진그룹의 계열사이다.[1]

2. 역사

3. 운행 지역

4. 특징

4.1. 회사 운영

4.2. 차량 출고

4.2.1. 선진그룹

4.2.2. 비선진그룹(신흥동지점)

5. 영업소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본사
[선진]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227-10 (오류동 434-154) 1, 66, 92, 991 [13]
연수
[선진]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312번길 268 (송도동 323) M6405, M6439, M6450, M6461 [15]
강화
[선진]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 3000 [17]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신흥동지점
[비선진]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291번길 42 (신흥동3가 33-38) 516, 518, 520 [19]

6. 운행 노선

6.1. 선진그룹 소속

6.1.1. 본사(검단)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 뷰티풀파크버스공영차고지 검단지식산업센터 - 검단오류역 - 왕길동 - 검단사거리역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사거리 - 당하푸르지오 - 독정역 - 검암역 - 검바위역 - 공촌마을 - 인재개발원 - LH웨스턴블루힐 - 가정역 - 인천국민안전체험관(북측) - 신현쇼핑 - 석남역 - 산곡역 - 부평구청부원여중.동아아파트부평역부평시장역부평구청 부평역 13~17
66 금호어울림아파트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역 - 서곶지구대 - 인재개발원 - 공촌마을 - 교통연수원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화전초등학교 - 계양경찰서 → 신대진중앙아파트 → 오조산공원 → 계양구청 오조산공원 180~210
92 뷰티풀파크관리공단 트러스 - 검단산업지식센터 - 검단오류역 - 왕길동 - 검단사거리역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우저서원 걸포북변역 30~45
991 뷰티풀파크관리공단 공단사거리 - 검단오류역 - 오류왕길동행정복지센터 - 검단1교차로 - 완정사거리 - 마전동행정복지센터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신검단중앙역2번출구 - 인천이음초등학교 - 아라동행정복지센터(서부고용센터) → 유현사거리 → 검단신도시우미린리버포레 → 아라역4번출구 → 아라동행정복지센터(서부고용센터) 검단신도시우미린리버포레 15~22

6.1.2. 연수지점

<rowcolor=#00b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M6405 송도웰카운티 (인천대학교 ←) - 센트럴파크역 - 송도자이하버뷰 - 송도풍림아이원 - 한진아파트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선바위역우면산터널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곡도매시장 → 선바위역 → 이후 역순 강남역 10~20
M6439 인천터미널 구월아시아드 - 서창도서관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서창퍼스트뷰 - 비류대로 - 시흥대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우면산로서초역교대역강남역역삼역 → 도곡한신아파트 → 양재역경부고속도로 - 우면산로 → 이후 역순 역삼역 30~100
M6450 송도e편한세상 랜드마크시티센트럴더샵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센트럴파크역 - 인천대입구역 - 송도더샵센트럴시티 - 테크노파크역 - 캠퍼스타운역 - 아암대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우면산로 - 양재대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선릉역 삼성역 20~50
M6461 소래포구역종점 논현12.13단지 - 논현8단지 - 논현2동행정복지센터 - 논현3단지 - 논현주공1.2단지 - 도림육교 - 비류대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강남순환도로 - 사당역서초역교대역강남역역삼역양재역예술의전당사당역 → 이후 역순 역삼역 50~150

6.1.3. 강화지점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000 강화터미널 강화병원 - 성동검문소 - 김포대학입구 - 매수리마을 - 통진중고교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한강로사거리 - 걸포북변역 - 북변환승센터 - 사우역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신촌로터리 25~35

6.2. 비선진그룹

6.2.1. 신흥동지점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516 현광아파트 인천병무지청 - 인하대역 - 인하대정문 - 햑익풍림아이원 - 학익시장 - 인천지방법원 - 신동아아파트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주안역 → 인천가정법원 → 석바위시장 → 시민공원역 → 이후 역순 주안역 13~16
518 병무청종점 (← 학익풍림아이원 ← 인하대역 ← 학익풍림아이원 ← ) - 학익고등학교 - 신동아아파트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 → 주안역 → 인천가정법원 → 석바위시장 → 시민공원역 → 이후 역순 주안역 8~11
520 현광아파트 인천병무지청 - 학익고등학교 - 신동아아파트 - 관교여자중학교 - 신비마을아파트 → 인명여자고등학교 → 인천터미널 → 신비마을아파트 → 이후 역순 인천터미널 12~15

6.3. 과거 운행 노선

7. 면허 체계

7.1. 선진그룹 소속

7.2. 비선진그룹(신흥동지점 소속)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량

8.1.1. 현대자동차

8.1.2. 스카이웰

8.1.3. 자일대우버스

8.2. 과거 보유 차량

8.2.1. 자일대우버스

8.2.2. 현대자동차

8.2.3. 기아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파일:선진그룹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48d1a><colcolor=#fff> 지주회사
경기
인천
세종
시외버스
전세버스
택시
영훈교통
}}}}}}}}} ||

[1] 면허지는 강화군(간선, 광역), 남동구(지선), 연수구(광역급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중 지선버스를 제외한 노선은 선진그룹 산하에 있다.[2] 해당 시점부터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요금으로 전환되었다.[3] 비슷하게 아파트 명칭을 사명으로 따온 곳은 만수동 삼환아파트를 경유하는 삼환운수와 여기서 분사된 삼환교통삼환여객이 있다.[4] 다만 이쪽은 선진버스의 명분이 있어 선진 로고를 붙이고 다닌다. 차량만 보면 선진의 영향이 큰 것 같지만, 일산영업소에 한하여 신동아교통 지분이 계속 영향을 끼치는 셈.[5] 모두 스펀지 시트와 단색 손잡이가 적용되었다.[6] 18년식은 3대, 19년식은 5대이며 공영급행에서 이관될 때 면허가 전환되었다.[7] 22년식 리오네 3대도 모두 더월드교통 중고 차량이다.[8] 기존 차량은 모두 1번에 증차되었다.[9] 3000번에서 운행중인 차량은 모두 선진상운 시절에 출고된 것이다.[10] 다만 해성운수에서 출고한 3대는 모두 좌석형이지만, 이쪽은 입석형이다. 입석형으로써는 유일한 셈.[11] 최초는 삼환운수이며, 지선버스는 선진그룹 소속이 아니기 때문에 스카이웰을 출고하지 않았다.[선진] 선진그룹의 계열이다.[13] CNG 충전은 김포운수 대포리차고지에 위치한 충전소에서 한다.[선진] [15] CNG 충전은 항동7가차고지에서 한다.[선진] [17] CNG 충전은 인천 강화군 선원면 중앙로 219-1 소재 선진CNG충전소에서 한다.[비선진] 선진그룹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CNG 충전은 항동7가차고지에서 한다.[19] 가스 충전은 항동7가차고지에서 실시한다.[20] 1번과 17번을 인수받으면서 일부 유입되었으며, 현재도 1번에만 존재한다.[21] 1번과 17번을 인수한 후 발급받은 간선버스 면허로, 사실상 신동아교통(선진)의 주 면허다.[22] M6405번 인수와 함께 3대의 면허를 넘겨받았다.[23] M6405번이 인천선진교통 시절이던 소속 발급받았으며, 이후 인강여객으로부터 M6405번 인수와 함께 일부 유입되었다.[24] 127#호, 128#호는 미추홀교통 출신 면허이다. 모두 M버스를 양도받으면서 유입된 것으로, 미추홀교통에서 제물포교통이 분사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범주로 볼 수 있다.[민영제] 민영제 노선인 66번에서만 사용된다.[26] 면허 발급과 함께 72아 1097호(1588), 72아 1085호(1589), 72아 1113호(1590)가 말소되었다.[27] 92번의 한정면허 전환으로 발급받은 면허이다.[민영제] [29] 2025년 9월 29일부로 폐차말소 되었다.[30] M버스의 면허지가 연수구로 이전하면서 발급되었다. M6405번과 M6461번의 수소전기버스가 사용주이다.[31] 인강여객 M6405번 양도와 함께 유입되었다. 이 중 10##호와 11##호는 더월드교통, 선진여객 출신을 이관받으면서 기존 면허를 전환한 것이다.[32] 선진상운으로부터 3000번을 양도받으면서 유입되었고, 이후 간선버스 면허지를 강화군으로 이전하면서, 991번의 한정면허로도 발급되었다.[33] 대다수는 간선버스에서 운행중이지만, 4대만 신흥동지점에 존재한다.[34] 마을버스 시절부터 사용한 지선버스 주 면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