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강화군 | 군내버스 | ||
| 계양구 | 동화운수 | |||
| 남동구 | 부성여객 | 삼환운수 | 성원운수 | |
| 인천교통공사 | ||||
| 부평구 | 성산여객 | 강인교통 | 강인여객 | |
| 미래교통 | 청라교통 | 대인교통 | ||
| 태양여객 | ||||
| 서구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공영급행 | |
| 신동아교통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
| 삼성여객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 신강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 연수구 | 더월드교통 | 도영운수 | 성민버스 | |
| 중구 | 강화교통 | 미추홀교통 | 삼환교통 | |
| 송도버스 | 인천스마트 | 인천제물포교통 | ||
| 은혜교통 | 인강여객 | 신흥교통 | ||
| 영종운수 | ||||
| 범례 |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강인여객 계열사 | ||
| 동구와 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시내버스 | 검단버스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삼성여객 |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 신강교통 | 신동아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 공영버스 | 대곡교통 | ||||
|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 주식회사 마니교통 株式會社 摩尼交通 MANI TRANS Co., Ltd. | |
| | |
| 설립일 | 2017년 3월 22일 |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 박수응, 김영모 |
| 주요 주주 | 박수응: 50% 서정희: 50% (2023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 224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 2억원(2024년 기준) |
| 매출액 | 209억 5,???만 ?,???원(2023년 기준) |
| 영업이익 | -8억 6,???만 ?,???원(2024년 기준) |
| 순이익 | 6억 8,???만 ?,???원(2024년 기준) |
| 자산총액 | 247억 8,899만 8,979원(2023년 기준) |
| 부채총액 | 235억 5,983만 3,289원(2023년 기준) |
| 부채비율 | 1,916.73%(2023년 기준) |
| 전화번호 | 032-584-8523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20 (원창동) |
1. 개요
| |
| 간선버스 42번 |
마니교통은 인천광역시 서구의 시내버스 회사다.
세운교통의 광역버스 운영팀이 분리되어 출범했고 이후 영풍운수의 간선버스를 이관받았으며, 계열사로 마니버스와 신백승여행사를 두고 있다.
2. 역사
- 2017년 3월 22일에 ‘마니교통’으로 설립했다.
- 2017년 4월 1일에 세운교통으로부터 1400번, 9500번을 양도받았다.
- 2017년 4월 15일에 삼화고속으로부터 1000번을 양도받았다.
- 2017년 6월 10일에 삼화고속으로부터 1501번을 양도받았다.
- 2017년 9월 6일에 삼화고속으로부터 1500번을 양도받았다. 이후 11월에 1501번을 흡수했다.
- 2022년 5월 1일에 영풍운수로부터 7번, 42번, 47번, 81번을 양도받았다.
- 2024년 7월 8일에 광역버스용 자회사인 ‘마니버스’를 설립했다.
- 2024년 11월 1일에 광역버스를 자회사인 마니버스로 매각했다.
- 2025년 1월 1일에 간선버스 전 노선이 현금없는 인천버스로 전환되었다.
3. 상세
- 전신은 부일운수(現 세운교통)에 있다 본래 광역버스 다수의 노선은 삼화고속이 독점하고 있었으나, 지속적인 파업과 하락세를 겪게 되면서 여러 시내버스 업체에 노선을 매각하게 된다. 이 중 1400번과 9500번을 부일운수가 양도받게 되었고, 광역버스 지점을 별도로 설립한 것이 전신이다. 이후 부일운수가 광역버스 운영에서 철수하게 되면서 신백승여행사의 박수응 대표가 마니교통이라는 업체를 설립하여 양도받게 되었고, 추가로 1000번과 1500번을 양도받게 된 것.
- 이후 서구에 면허를 두었던 영풍운수가 202번을 제외한 육지 노선인 7번, 42번, 47번, 81번을 마니교통에 매각하게 되었다. 당시 인천광역시가 마니교통의 준공영제 참여를 거부하면서 잡음이 생겼으나, 결국 마니교통은 준공영제 참여를 했다. 영종운수 시절에 이 노선들을 운행하던 기사들은 고용승계되었다. 2023년 9월 2일에 석남영업소 노선들이 원창동으로 이전하면서 영종운수와의 교류는 완전히 사라졌다.
- 현재는 영풍운수가 운행했던 간선버스만 보유하고 있으며, 전 노선이 서구에 기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청라국제도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청라국제도시와 가정지구 등 신규 개발지역에서 구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이 대부분이다. 보유 노선 모두 서구에서 출발하여 경인선을 넘어 경인선 남쪽의 구도심(동인천역, 구월동)을 지나 인천광역시 남부의 신규택지(서창지구, 구월아시아드, 송도국제도시)까지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 출범 직후였던 2022년까지는 대부분의 차량이 영종운수 출신이었으나,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대차를 하게 되면서 현재 영종운수 출신 차량은 2019년식 ~ 2021년식이 전부이다. 동시에 영종운수에서는 해당 연식을 모두 마니교통에 넘겨주면서 전멸한 상황.
4. 차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종운수#s-4|4]]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영종운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9년에 출고된 개선형 저상버스는 삼환교통에 이어 인천에서 두 번째로 출고한 차량이며, 하이백 시트와 ZF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이다. 이 중 한 대는 화재가 났었는데, 특이하게 영풍운수 시절에 수리하는 과정에서 미개선형 차량으로 마개조에 가까운 수준으로 고치게 된 것. 해당 차량을 포함하여 총 7대가 출고되었고, 전 차량이 마니교통으로 이관되어 운행중이다.[2]
- 2020년에 출고된 에디슨 NEW e-화이버드는 인천 최초 출고분이다. 주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 도입하는 대용량 배터리 옵션으로[3], 초창기에는 송도제2차고지에서 충전했으나 이후 석남동(원창동)에 충전소를 마련하면서 충전 문제를 해결하였다. 총 8대가 출고되었으며, 전 차량이 마니교통으로 이관되었는데 이후 마니교통이 현대버스만 줄곧 출고하게 되면서 마니교통 유일의 KGM 차량이 되었다.
- 2021년에 딱 한 대의 신차를 도입했는데, 서울 지선버스 도색을 했던 현대 개선형 저상 시제차량을 도입했다. 영풍운수에서 출고했던 19년식 차량과 동일하게 하이백 시트와 무지개 손잡이가 장착되었으며, 동시에 영풍운수 출신의 14년식 블루시티가 대차되었다. 동년 12월에는 마니교통 최초의 자체 출고분인 현대 일렉시티II 3대를 출고하여 전량 42번에 투입하였다.
- 2023년부터는 전기 저상버스만 출고를 하고 있다. 7월에 등록한 차량은 현대 일렉시티II 전기버스이며, 이후로는 모두 현대 일렉시티II 수소전기버스로 출고중이다. 2024년에는 남아있던 영종운수 출신 구형차량을 대차하면서 11월부터 전 차량 저상화를 달성하게 되었다.
5. 영업소
|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 원창 |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20 (원창동 408-7) | 47, 81 | 본사[CNG] |
| 청라 | 인천광역시 서구 파랑로 105 (청라동 195-4) | 7, 42 |
6. 운행 노선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7 ♿ | 청라BRT차고지 | 청라파크자이더테라스 - 청라센텀로제비앙 - 청라하우스토리 - 청라롯데캐슬 - 청라자이 - 가원초등학교 - 신현초등학교 - 거북시장 - 서인천가구단지 - 인천의료원 - 도화e편한세상 - 제물포역 - 동산고 - 배다리삼거리 | 동인천역 | 17~23 |
| 42 ♿ | 청라BRT차고지 | 하나모터스 - 진솔인더스트리 - 반도유보라 - 해원중학교 - 남광하우스토리 - 청람중학교 - 청라센트럴에일린의뜰 - 린스트라우스 - 중흥S클래스2차 - 심곡천봉수교 - 가현초등학교 - 가정역 - 석남역 - 석남중학교 - 가정(루원시티)역 - 신현쇼핑 - 석남역(5번출구) - 미주탕 - 가좌고등학교 - 가좌초등학교 - 열우물테니스경기장 - 동암역 - 간석오거리역 - 길병원 - 예술회관역 -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 | 승기2교 | 16~22 |
| 47 ♿ | 마니교통차고지 | 원진운수차고지-봉수대로510번길 - 중봉로교차로 - 청라자이 - 청라루원더퍼스트 - 가정역 - 가정중앙시장역 - 강남시장 - 석남역 - 산곡역 - 부평구청 - 부평시장역 - 부평역 - 인천예림학교 - 일신주공 - 송내역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인천대공원 - 장수사거리 - 임광그대가.서창자이아파트 - 장서초등학교 - 인천서창동우체국 | 서창공영차고지 | 17~21 |
| 81 ♿ | 마니교통차고지 | 방죽사거리 - 이마트송림점 - 송림고개 - 도화e편한세상 - 주안역 - 시민공원역 - 신기.남부종합시장 - 청학사거리 - 연수역 - 연수고등학교 - 동막역 - 캠퍼스타운역 - 테크노파크역 - 송도누리공원 - 송도베르디움더퍼스트 → 인천송도유치원 → 송도2차고지입구 → 삼성바이오로직스 → 송도에듀포레푸르지오 → 이후 역순 | 송도2차고지입구 | 16~23 |
6.1. 과거 운행 노선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1000 | 석남경남아너스빌 | 거북시장 - 신현119안전센터 - 가정역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서울역 | 20~30 |
| 1400 | 인천터미널 | 길병원 - 간석오거리역 - 부평삼거리역 - 부평현대아파트 - 부평역 - 부평시장역 - 삭은다리한국지엠 - 갈산역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서울역 | 25~35 |
| 1500 | 롯데마트계양점 | 계양구청 - 이마트계양점 - 계산역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홈플러스작전점 - (→ 안남고등학교 → 태화아파트 →)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서울역 | 28~35 |
| 1501 | 계양구청 | 이마트 계양점 - 뉴서울아파트 - 계산역 - 작전역 - 홈플러스 작전점 - (→ 안남고 → 태화아파트 →) - 부평IC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목동교 - 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신촌오거리 - 충정로역 | 서울역 | 30~40 |
| 9500 | 부평역 | 부평시장역 - 삭은다리한국지엠 - 갈산역 - 작전역 - 경인교대입구역 - 계산역 - 임학지하차도앞사거리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김포대로 - 올림픽대로 -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30~40 |
7.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12##호 : 경인여객 → 영종운수 출신 면허[5]
- 인천 70 바 '''22##호 : 송도버스 → 영종운수 출신 면허
- 인천 70 바 24## ~ 25##호 : 영종운수 출신 면허
- 인천 73 아 12##, 14##호 : 영종운수 출신 면허 (서구 면허)
8. 현재 보유차량
8.1. 현대자동차
8.2. KGM커머셜
9. 과거 보유차량
9.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영풍]
- 현대 블루시티 CNG 하이브리드(초저상)[영풍]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10]
-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신백승]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신백승]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광역]
-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광역]
- 현대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광역]
9.2. 자일대우버스
10.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 50.00% | 대표이사 | |
| 50.00% | 이사 |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 신백승여행사 계열사 | ||
| 전세버스 회사 | 신백승여행사 | |
| 시내버스 회사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1] 주로 전기버스와 개선형 저상버스, 그리고 현대 NSAC 디젤 좌석형과 NEW BS106 등을 양도받았다.[2] 이 중 한 대는 시흥교통 취소분으로, 로우백 시트가 적용되었다.[3] 비슷한 시기에 출고한 관악교통과 옵션이 거의 동일하다. 중문 위의 손잡이까지 적용된 것까지 완벽하게.[CNG] 천연가스버스는 과거 선진여객 차고지가 있던 원창동CNG충전소를 사용한다. 간혹 청라BRT통합차고지로 가는 차량도 있다.[5] 1999년에 경인여객이 폐업하면서 영종운수가 인수한 면허다.[영풍] 전량 영종운수 출신 차량이다.[영풍] [영풍] [영풍] [10] 일부 전세버스 출신을 제외하면 대부분 삼화고속 출신이다.[신백승] 신백승여행사 출신 전세 버스 차량이다.[신백승] [광역] 마니버스 분사와 함께 전량 매각되었다.[광역] [광역] [영풍] [17] 부일운수로부터 양도받았으며, 대부분 삼화고속 출신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