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3:46:21

부평삼거리역

부평삼거리역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역명 표기
인천 1호선 부평삼거리
Bupyeongsamgeori
富平三거리 / 富平三岔路口 / [ruby(富平三, ruby=プピョンサム)]ゴリ
주소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 지하765 (십정동 592)
운영 기관
인천 1호선 인천교통공사
개업일
인천 1호선 1999년 10월 6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심도: 28.9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1])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I122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 지하765 (십정동 592) 소재.

2. 역 정보

파일:부평삼거리역.jpg
부평삼거리역 대합실
파일:부평삼거리역.png
역 안내도

부평삼거리에 역이 있어서 유래했다. 이 역이 건설될 당시에는 삼거리였지만, 개통 직전에 도로가 신설되어 사거리가 되었는데 역명은 "삼거리" 그대로 개통되어 지금까지 쓰고 있다. 물론 이거 가지고 태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서울특별시미아사거리역이 미아삼거리역이었던 시절과 비슷한 경우다. 단 부평삼거리는 훗날 평온로와 경인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바뀌었는데, 이곳도 지금의 부평사거리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으며, 2번 출구로 나오면 부평삼거리가 바로 보이고 부평삼거리역과도 바로 붙어있기 때문에 역명과 역의 위치 사이의 괴리감은 전혀 없어서, 개명될 일은 없어 보인다. 미아삼거리역이 미아사거리역으로 개명된 것과는 사뭇 대조적이다.

부평삼거리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왠지 이 역이 부평구의 중심부에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 역은 인구도 적은 부평구 끝자락인 십정동에 위치해있다.[2]

언덕에 역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승강장이 깊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역 양옆으로 야산이 있는 탓인지 역 이용객이 적다.(2009년 3월 기준으로 3,876명.) 언덕 이름이 "원통이고개"여서 상술한 공동묘지역 다음의 가칭은 "원통역"이었다. 이쪽은 정말 역명이 될 뻔했으나, 어감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라 역명 심의시에 반려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역 근처에 인천가족공원이라는 화장장공동묘지가 있다. 원래 이름이 "인천시립공설묘지"여서, 공사 당시에 부르던 최초의 가칭이 "공동묘지역"이었다. 물론 역명으로는 부적합한 이름이어서 현재의 역명으로 정해졌다. 심야에 지하철 이용하다가 "이번 역은 공동묘지, 공동묘지역입니다." 라는 안내방송을 들으면 꽤나 충격과 공포였을 수도. 인천시설공단에서 지금도 단계적으로 조성해나가는 인천가족공원이 지명도가 인천시 내에서는 높은 편이라, 장기적으로는 이 역의 이름도 인천가족공원역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현재는 "인천가족공원으로 가실 손님은 이번 역에서 내리시기 바랍니다." 라는 안내방송을 하고 있다.[3]

백운역까지는 걸어서 10분 이내. 다른 역 치고는 가까운 편이지만 직접적으로 환승되지는 않는다. 환승통로로 연결된다면 노원역 그 이상이 된다.

3.1. 출구 정보

파일:Incheonmetro1_icon.svg 부평삼거리역 출구 정보
1부평6동
인천가족공원
부평사거리
희망체육공원
2인천가족공원
인천보훈회관
부평삼거리
석촌근린공원
3동암역
십정2동행정복지센터
동암중학교
인천동암초등학교
4제일고등학교
인천혜광학교
부평사거리
희망공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59cce><bgcolor=#759cce> 연도 || 파일:Incheonmetro1_icon.svg ||<bgcolor=#759cce>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4,768명 비고
2001년 4,268명
2002년 4,118명
2003년 4,785명
2004년 4,322명
2005년 4,151명
2006년 4,275명
2007년 4,004명
2008년 3,887명
2009년 3,852명 }}}}}}}}}
2010년 4,306명
2011년 4,445명
2012년 4,654명
2013년 5,080명
2014년 5,314명
2015년 5,340명
2016년 5,279명
2017년 5,415명
2018년 5,175명
2019년 5,261명
2020년 3,966명
2021년 4,219명
2022년 4,621명
2023년 4,897명
출처
인천교통공사 자료실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5,261명으로, 인천 1호선에서 네 번째로 수요가 적은 역이다. 역대 이용객 추이를 봐도 2,000년 4,768명으로 시작하여 차츰차츰 이용객이 내려가 2008~2009년에는 3천 명대까지 줄었으나, 2010년의 급격한 유가상승 및 2010년 공항철도 완전 개통, 2012년 7호선 부평구청역 연장 및 수인선 송도역 연장으로 서울특별시, 안산시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자 이용객이 소폭 증가하여 2013년에 5천 명을 돌파한 이래 5년 연속 같은 선을 유지하고 있다.

유독 이 역의 이용객이 적은 이유는 역세권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소래산, 철마산 - 원적산, 계양산을 잇는 산줄기 언덕에 있기 때문이다.[4] 실제로 이 동네의 시가지는 폭이 약 300m밖에 되지 않으며, 그마저도 일부는 백운역과 중복된다. 또한 이곳은 인천가족공원부평농장으로 올라가는 입구이기도 하다. 추가로 역이 지하4층 깊은 곳에 있어 오르내리기 불편하다. 그러한 탓에 승객을 끌어올 수 있는 요소가 적기에 이용객이 적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그나마 주변에 인천제일고등학교가 있어서 인천제일고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부평삼거리역의 수요를 올려주고 있다.

5. 승강장

파일:부삼승강장.jpg 파일:부삼역명판.jpg
<rowcolor=#FFF> 승강장 부평삼거리역 역명판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구성된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동수
간석오거리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부평구청·계산·계양 방면
인천시청·인천터미널·원인재·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6. 둘러보기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엘리베이터로는 횡단할 수 없다.[2] 십정동의 대부분 지역은 행정구역 상으로만 부평구일 뿐 실제 생활권은 원인천에 속해있는 지역이기는 한데, 부평삼거리역의 경우 십정동에서도 동암산 동북쪽에 있는 곳으로, 원인천보다는 부평 쪽으로 지형이 열려 있는 구조를 띄고 있다. 동암산 북쪽 지역의 경우 다른 십정동 지역과 달리 부평 쪽으로 진입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고, 법정동 십정동의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부평삼거리역과 백운역이 있는 동암산 북쪽은 부평동 일부와 함께 행정동상으로 십정1동/십정2동이 아니라 부평3동에 속한다.[3] 홈페이지[4] 실제로 이곳의 산줄기가 부평과 원인천을 분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