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수역 | ||
계양 방면부 평 ← 0.9 ㎞ | 인천 1호선 (I121) |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부평삼거리 1.1 ㎞ → |
역명 표기 | ||
인천 1호선 | 동수 Dongsu 東樹 / 东树 / [ruby(東樹, ruby=トンス)] | |
주소 | ||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 지하877 (부평동 686) | ||
운영 기관 | ||
인천 1호선 | 인천교통공사 | |
개업일 | ||
인천 1호선 | 1999년 10월 6일 | |
역사 구조 | ||
지하 4층 (심도: 32.4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1]) |
[clearfix]
1. 개요
인천 1호선 동수역 대합실 |
2. 역 정보
언덕에 역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승강장이 깊은 곳에 위치해 있다.2014년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이 역을 포함한 인천 도시철도의 모든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2014년 9월에 완료되었다.[2]
낸시 김의 안내방송 발음 덕분에 통수역으로 발음되었다고 한다. 귀를 기울여 듣지 않아도 This stop is Tongsu. 라고 들린다.[3]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사용할 경우 표기로도 Tongsu.
역명은 이 일대의 옛 지명에서 유래했다. 과거 이 일대는 고유어로 '동소정이, 동수정이, 동수재이' 등으로 불렀으며, 조선 시대에 이를 한자로 음차표기해 '동소정(東所井)'이라 불렀다. 그래서 조선 시대에는 이 일대의 행정구역이 부평도호부 동소정면(東所井面)이기도 했다.
이곳의 비공식 지명 삼릉을 따서 처음에는 가칭 삼릉역으로 부르기도 했다. 삼릉은 다름아닌 미쓰비시(三菱)의 한자 음역.
일제강점기 때 부평역에서 인천역 방향으로 인천 공원과 군부대, 쉐보레 공장을 포함한 땅에 히로나카 상공(弘中商工)의 제강공장과 일본 육군 조병창이 있었는데, 부평역 주변에는 조선인들과 일본인 종사자들을 위한 기숙사가 만들어졌고, 동수역 부근에 홍중사택이라고 이름이 붙은 조선인 종사자들을 위한 기숙사라고 이름붙은 매우 좁은 집으로 구성된 주택단지가 어마어마하게 있었는데[4], 해방 이전까지는 부평역 남부에서 안남로까지 전부 기숙사였을 정도로 매우 컸다.
그리고 1942년에 미쓰비시가 히로나카의 제강공장을 인수 하면서 주택단지 이름도 삼릉사택이라고 바꿨고, 이것이 해방 후에도 삼릉 줄사택 단지라고 전해져서 지명이 되었는데, 현재도 부평에 오래 거주한 분들은 동수역을 중심으로 부평 2동을 '삼릉'이라 부를 정도이다. 그러나 삼릉이라는 지명은 일본식 지명에 전범기업 이름이라 큰 반발이 있었고, 이에 전근대 지명을 뒤져내 동수역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근처에는 주택가 위주이다. 부평역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다.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을 갈 경우에는 2번 출구로 나와서 인천동수중학교 방향으로 쭉 걸어가면 된다. 부평역 1번 출구가 병원과 더 가깝지만 가는 길에 사거리 횡단보도가 있고, 부평역 인천 1호선 승강장이 깊숙한 곳에 있어 1번 출구로 나오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동수역에서 가는 것이 더 편리하다.
동수역 바로 북쪽에 2025년 입주를 목표로 e편한세상 부평역 센트럴파크가 공사 중이다. 또한, 2024년 11월 1, 2번 출구 방향으로 부평역 해링턴플레이스아파트가 완공될 예정이다. 정작 이름과는 다르게 왼쪽에 있는 동은 동수역과 가깝다. 경인선을 이용할 경우에는 부평역까지 오래 걸어가야 해서 인천 시내를 오갈때는 가까운 동수역에서 이용하는게 더 편해보인다.
3.1. 출구 정보
동수역 출구 정보 | |
1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인천예림학교 인천동수중학교 인천동수초등학교 부평6동행정복지센터 한국전력공사 부평전력지사 동소정사거리 부평남부체육센터 인천북부해바라기센터 |
2 | 인천성동학교 부평6동우체국 인천가족공원 부평사거리 |
3 | 희망공원 부평사거리 |
4 | 부평2동행정복지센터 인천부평남초등학교 부일여자중학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59cce><bgcolor=#759cce> 연도 || ||<bgcolor=#759cce>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4,841명 | 비고 | ||
2001년 | 5,368명 | ||||
2002년 | 5,571명 | ||||
2003년 | 7,006명 | ||||
2004년 | 6,728명 | ||||
2005년 | 6,529명 | ||||
2006년 | 7,173명 | ||||
2007년 | 6,495명 | ||||
2008년 | 6,441명 | ||||
2009년 | 6,334명 | }}}}}}}}} | |||
2010년 | 6,917명 | ||||
2011년 | 7,312명 | ||||
2012년 | 7,532명 | ||||
2013년 | 8,359명 | ||||
2014년 | 8,427명 | ||||
2015년 | 8,206명 | ||||
2016년 | 8,463명 | ||||
2017년 | 8,593명 | ||||
2018년 | 8,443명 | ||||
2019년 | 8,392명 | ||||
2020년 | 6,089명 | ||||
2021년 | 5,940명 | ||||
2022년 | 6,581명 | ||||
2023년 | 7,183명 | ||||
출처 | |||||
인천교통공사 자료실 |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8,392명으로 인천 1호선에서 중하위권을 차지한다. 사실 이 역의 역세권은 지극히 평범한 주택가로서, 경인로 위에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승객을 끌어올만한 어떤 요소도 없다. 게다가 역의 남쪽은 산비탈로 경인로를 조금만 벗어나면 바로 미개발지가 나오고, 남서쪽으로 400m 거리에 고개길 중 하나인 희망공원이 있다. 게다가 북동쪽으로 불과 600m 떨어진 위치에 지역의 대표역인 경인선 부평역이 있어서 역세권이 상당 부분 겹친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하루 평균 8천 명의 이용객이라면 어느 정도 선방한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유가 하락 등의 영향을 맞은 2010년대 중반에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는 점은 고무적인 결과이다.
5. 승강장
인천 1호선 승강장 |
역 안내도 |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구성된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부평 ↑ | |||
하 | ㅣ | ㅣ | 상 |
↓ 부평삼거리 |
상 | 인천1호선 | 부평·작전·계양 방면 |
하 | 인천시청·인천터미널·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6. 기타
드라마 너의 목소리가 들려 2화에 약 2분 30초간 등장했다. 박수하가 장혜성의 옥탑방 근처 가로등을 모두 고치고 들른 지하철 역이 동수역이다. 이후 지하철에 뛰어들어 자살하려는 고성빈을 박수하가 구한다. 박수하가 서 있던 승강장은 국제업무지구 방면, 고성빈이 서 있던 승강장은 맞은편인 계양 방면이다. 상대식 승강장이라 구하러 가는데 오래 걸릴지도 모른다.한때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 인기를 끌던 시절에는 대표 꼭지였던 혼자가 아니야의 보이지 않는 가상인물 '동수'와 엮는 사례도 있었다. 실제로 이용객 수가 많지 않은 승차량 중하위권 지하철역인지라 해당 꼭지의 보이지 않는 동수라는 캐릭터처럼 '존재감이 없는' 역으로 엮이기도 했다.
7. 둘러보기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계양 - 귤현 - 박촌 - 임학 - 계산 - 경인교대입구 - 작전 - 갈산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 - 동수 - 부평삼거리 - 간석오거리 - 인천시청 - 예술회관 - 인천터미널 - 문학경기장 - 선학 - 신연수 - 원인재 - 동춘 - 동막 - 캠퍼스타운 - 테크노파크 - 지식정보단지 - 인천대입구 - 센트럴파크 - 국제업무지구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37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74ea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부개(151), 백운(153), 동암(154) | ||
삼산체육관(757), 굴포천(758), 산곡(760) | |||
갈산(I117), 부평시장(I119), 동수(I121), 부평삼거리(I122) | |||
부평[미개통(GTX-B)] | |||
부평(152, I120) 1호선, 인천 1호선 | |||
부평구청(759, I118) 7호선, 인천 1호선 | |||
[미개통(GTX-B)] 2030년 개통 예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