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3:18:04

한국지리/알아두면 좋은 지역/영남 지방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지리/알아두면 좋은 지역
한국지리 - 알아두면 좋은 지역
파일:수도권 지도.svg
수도권
파일:강원도 지도.svg
강원도
파일:충청도 지도.svg
충청 지방
파일:전라도 지도.svg
호남 지방
파일:경상도 지도.svg
영남 지방
파일:제주도 지도.svg
제주 지방
파일:북한 행정구역 2021.png
북부 지방(북한 지역)

1. 개요

영남 지방은 경상도다.

2.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2.1.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편입

2023년 7월 1일 군위군대구광역시편입되었다.

100%가 아닌 이유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이 2023년 6월 11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이 2024년 1월 18일 시행되기 때문으로, 강원특별자치도와 전북특별자치도는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행정구역 변동이라 수능시험에는 강원도와 전라북도가 출제되기 더 좋기 때문이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이후부터 대구광역시는 군위군이 통합된 형태로 출제된다.

2025학년도 수능 연계 수능특강 EBSi 일부 인강에서는 2023년 7월 1일 군위군 편입 이전의 자료를 강의 PPT로 사용하고 있다.

3. 경상북도

남한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도.[3] 경북에서 배출한 광역시인 대구가 사과로 유명했던 것에서 엿볼 수 있듯 과수 농업의 비중이 타 지역보다 높다.

3.1.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3.2. 파일:포항시 CI.svg 포항시

3.3.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3.4.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3.5.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3.6. 파일:안동시 CI.svg 안동시

3.7.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3.8.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3.9.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3.10.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3.11. 파일:봉화군 CI.svg 봉화군

3.12. 파일:영양군 CI.svg 영양군

3.13. 파일:청송군 CI.svg 청송군

3.14.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3.15.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3.16.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3.17. 파일:영덕군 CI.svg 영덕군

3.18.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3.19. 파일:칠곡군 CI.svg 칠곡군

3.20. 파일:울릉군 CI.svg 울릉군

3.20.1. 울릉도

3.20.2. 파일:독도 깃발.svg 독도

4.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낙동강이 바다로 유입되는 곳으로 낙동강하굿둑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서쪽 강서구는 영역의 대부분이 김해평야라고 불리는 한국에 몇 없는 삼각주 지형이다. 또한 기후가 따뜻하며 눈이 잘 오지 않는다.

5.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6.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6.1.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

6.2.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6.3.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6.4.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6.5.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6.6. 파일:진주시 CI.svg 진주시

6.7.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6.8.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6.9.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6.10.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6.11.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6.12.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1] 어디까지나 타 지역 대비 높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대구의 공업이 지속적으로 경산, 영천, 칠곡이나 해외로 이전하면서 섬유산업은 현재 대구의 산업 비중 중 4~5위로 내려앉은 상태이다. 물론 이 4~5위라는 것도 타 지역의 섬유산업 비중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높기에 여전히 중요하다.[2] 더불어 '대구 특수형 기후'이라는 기후명이 따로 있을 정도일 뿐 만 아니라 대프리카라는 단어도 만들어질 정도.[3] 북한 지방까지 포함할 경우 함경남도가 면적이 가장 넓다.[4] 이 문제는 외국계 한국인과 재한 외국인의 인구 비율로 보고 풀면 되는데, 일단 외국인 노동자가 많은 곳은 창원, 외국인 혼인 이민자가 많은 곳은 봉화로 보면 유학생, 교환학생 비중이 높은 곳은 경산 외에는 나올 수가 없다.[5] 대한민국 동쪽땅끝 상징공원 및 한반도 동쪽 땅끝 표지석이 호미곶면이 아니라 3km 남쪽구룡포읍에 위치해 있다.[6] 고속열차로 이용하면 약 20분, 일반열차 및 도로교통을 이용하면 50 ~ 55분 정도 소요된다.[7] 엘리자베스 2세영국 국왕이 방문했던 곳이다. 여왕이 방문하고 버킹엄 궁전에서 직접 안동 사과를 주문했다. 만약 여왕이 더 살았다면 안동농협 이름으로 로열 워런트를 받을 생각까지 했다.[8] 안동댐, 임하댐 건설 이전까지 안동시의 주력 산업은 시멘트 공업이었다. 안동댐 준공으로 인한 담수로 인해 공장 일대가 수몰되어 시멘트 공장은 모조리 철거됐으며, 그 흔적은 이하역 일대에 있는, 단양군 매포읍 일대처럼 꼭대기가 발라당 까진 민둥산으로 알 수 있다.[9] 조령 외에도 이화령이라는 고개가 있으며 역시 괴산군과 연결된다.[10] 대전이야 너무 유명하니 제치고, 제천시, 영주시, 동해시, 익산시가 철도로 성장한 도시이다.[11] 영주지방철도청은 철도청 당시 대한민국에 5개밖에 없는 철도 지방총국이었다. 지금으로 치면 지역본부.[12] 영천에만 와이너리가 15곳이 있다.[13] 같은 팀에 속했던 김초희경기도 의정부시 출생이다.[14] 의성여고는 컬링부까지 있다.[15] 낙동강 본류와 내성천이 만나는 지점이 회룡포이다.[16] 다만 사계절의 강수비중이 매우 고르게 나타나는 편이긴 하다.[17]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이 위치해 있다.[18] 삼성전기 전장부품 연구소, 공장이 있고, 김해와 같이 전력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19] 여수, 서산은 정유와 석유화학 우세, 거제는 조선업 우세, 아산, 화성은 자동차, IT 우세, 광주는 자동차 우세이다.[20] 100만의 인구를 자랑한다.[21] 울산의 위성도시로는 양산 동부 지역인 웅상과 북부 지역인 상북면, 하북면이 해당되는데, 상북과 하북의 경우에는 부산보단 울산의 위성도시 성향이 강하다.[22] 2026년양산종합운동장역으로 연장 예정이다.[23] 통영시의 시가지가 읍면지역과 별도의 시군으로 분리되어 있었을 적에는 시가지 지역을 '충무시'로 불렀다.[24] SPP조선, 성동조선[25]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의 본사, 연구소, 공장이 입지해 있다.[26] A320의 윙렛 등 부품을 사천에서 제조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4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