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15:11:18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파일: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소재
APTX4869 · 배경 · 특수장비 · 정보기관 · 수사기관 · 등장 차종(코고로가 빌린 렌터카) · 등장인물의 휴대전화 · 작중작
검은 조직(조직원) · 경찰청 · 경시청 · 도쿄지방검찰청 · 연방수사국(FBI) · 중앙정보국(CIA) · 비밀정보국(SIS) · 공안
소년 탐정단 · 경찰동기조 · 니치우리 TV · 도쿄 스피리츠 · 느와르 도쿄 · 빅 오사카
에피소드
검은 조직 시리즈 · 본청의 형사 시리즈 · 법정의 대결 · 나가노 현경 · 괴도 키드 스페셜
범인 및 피해자 목록(1996년~2005년 · 2006년~2015년 · 2016년~2025년)
추리 및 동기 · 캐릭터 · 스토리 · 비현실적 요소 및 오류
회차 목록 · 디지털 리마스터링 · 주제가
한국판(투니버스판) · 한국 방영 회차 목록
극장판 목록 · 범인 및 피해자 목록 · 극장판 퀴즈
에피소드 원 · 진홍의 수학여행 · 별빛의 마술사 · 탐정들의 성월야 · 작열의 은하철도
게임
우연히 만난 두 명의 명탐정(에피소드 목록) · 추억의 환상 · 지하유원지 살인사건 · 의혹의 호화열차
기타 드라마 · 소설 · OVA · 굿즈
스핀오프 및 콜라보
범인 한자와 씨(줄거리 · 애니메이션) · 제로의 일상(애니메이션) · 경찰학교편(애니메이션) · 명탐정 코난 특별편(사건 목록)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극장판) · 코난 실종사건
기타
명대사 · 코난이 찾은 명탐정 · 명탐정 코난 vs 소년탐정 김전일
출판(쇼가쿠칸일본 · 서울미디어코믹스한국) · 방송(ytv제작 · NTV키국 · KBS한국 · 투니버스한국 · 애니맥스한국 · 애니박스한국) | 나무위키 프로젝트
}}}}}}}}}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로고(고화질) 2.png
]] 극장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000,#fff> 1기 2기 3기 4기 5기
<rowcolor=#000,#fff> 6기 7기 8기 9기 10기
<rowcolor=#000,#fff>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rowcolor=#000,#fff>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rowcolor=#000,#fff>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rowcolor=#000,#fff>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미정
콜라보*1 TV스페셜*2
총집편*3
*1 타 작품과의 콜라보작. 국내 극장 개봉함. *2 일본 현지방송 특집 편성작(극장 미개봉). 국내 극장 개봉함. *3 특정 인물의 이야기. 국내 극장 개봉함. | 명탐정 코난 극장판 템플릿 보기 }}}}}}}}}
극장판 명탐정 코난
劇場版 名探偵コナン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로고(고화질) 2.png
현행 한국어 로고 (2012년 이후)
<colbgcolor=#a52a2a><colcolor=#ffff00> 장르 애니메이션, 범죄, 추리, 미스터리, 서스펜스, 코미디, 액션, 모험
원작 아오야마 고쇼명탐정 코난
시리즈 시작 명탐정 코난: 시한장치의 마천루 (1997년 / [age(1997-04-19)]주년, [dday(1997-04-19)]일째)
최근 작품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2025년)
예정 작품 (2026년)
1. 개요2. 특징
2.1. 작화2.2. 작화 변천사2.3. 아오야마 고쇼 담당 원화 장면2.4. 인트로2.5. 인기2.6. 성우2.7. 배경2.8. 기타 전통2.9. 제목 읽기 방식2.10. 작품 내적 특징
2.10.1. 오프닝 타이틀
2.10.1.1. 오프닝 타이틀 소개
2.10.2. 원작과의 관계2.10.3. 극장판 사이의 관계2.10.4. 쿠키(次回) 영상
3. 평가
3.1. 1~7기3.2. 8~14기3.3. 15~21기3.4. 22기~28기
4. 해외 개봉
4.1. 대한민국
4.1.1. 국내 흥행4.1.2. 로컬라이징4.1.3. TV 방영 현황4.1.4. OTT 공개 현황
4.2. 중국
5. 목록
5.1. 4DX로 재개봉, 동시개봉된 극장판5.2. IMAX로 동시개봉된 극장판5.3. Dolby Cinema로 동시개봉된 극장판
6. 줄거리7. 등장인물8. 주요 스태프9. 작품별 극장 흥행 성적10.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애니메이션상11. 기타 극장판12. TVA 연계 에피소드13. 주제가14. 퀴즈15. 엠블럼16. 원화 포스터17. 메인 포스터
17.1. 메인 포스터에 등장한 인물들
18. 여담19. 외부 링크20. 둘러보기21.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의 인기 애니메이션 명탐정 코난극장판 시리즈.

개봉일은 21기까지는 매년 4월 셋째주 토요일, 22기부터는 매년 4월 둘째주 금요일로, 4월 말 ~ 5월 초의 골든 위크를 타겟으로 개봉하고 있다.[1]

2025년 기준 누적 흥행 수입은 15억 6천만 달러. 일본 영화 역사상 두번째로 높은 박스오피스 수익을 올린 영화 프랜차이즈이며,[2] 이는 전세계 애니메이션 영화 프랜차이즈 중 흥행수입 17위에 해당하는 기록이기도 하다.

첫 작품은 저비용으로 제작되었으나 제작비를 웃도는 큰 흥행을 거두며 바로 연례 개봉 시리즈로 그 위상이 격상되었고, 이후 작품성과 흥행 모두에서 성공을 거두며 몇 년 만에 일본의 국민 시리즈로 성장하였다. 2010년대 후반 이후에는 작품성과는 별개로 그야말로 캐시카우 수준으로 돈을 벌어들이면서 일본의 문화를 알리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역 관광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3]

2024년 4월 30일자로 시리즈 누계 관객 동원수 1억 명을 돌파하였다. 이는 '도라에몽', '고질라' 시리즈에 이은 3번째 기록이며, 단 27 작품만의 돌파로 최속 기록을 겸한다. 출처

2. 특징

연례 개봉 시리즈로 1997년부터 코로나 사태로 인해 개봉이 1년 연기된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새로운 작품이 나오고 있다. 또한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들 중에서도 눈에 띄게 흥행도 잘 되고 퀄리티도 높은 편이며, 특히 연례 개봉 시리즈로 한정한다면 큰 격차로 흥행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외전이나 팬서비스 정도로 치부되는 애니메이션 극장판(특히 소년만화 장르)에서 이례적으로 코난 시리즈는 극장판 팬덤도 넓고 다양하며 아예 극장판 위주로만 감상하는 라이트한 팬층도 두텁다. 초창기에는 루팡 3세 시리즈가 한창 인기가 떨어졌을 때 사실상 그 대체재로 선정되어 루팡 3세의 애니메이터가 대거 참여하여 제작하던 시리즈였고[4], 이 영향으로 두 시리즈의 캐릭터가 동시에 나오는 콜라보 작품이 극장판으로 나온 적도 있다.

2.1. 작화

극장판 시리즈는 TV판과 스태프진이 다르다.[5] 작품성 측면에서 예전만 못하다는 최신 시리즈도 작화의 퀄리티는 기본적으로 우수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힘을 준 장면 단위로는 작화의 질이 확 오르는 경우가 많다. 다만 TV판과 동일하게 캐릭터 디자인 자체가 초기와는 다소 달라졌고, 선도 굵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이외에 루팡의 스태프가 다수 참여하였다 보니 배경과 작중에 등장하는 자동차나 총기류의 고증을 철저히 반영하는 루팡식 소품 주의가 도입되어 메카닉 작화에도 굉장히 공을 들인다. 루팡처럼 자동차 추격씬이 부각되는 작품이 꽤 많은 것도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사실 2010년대 이후 오히려 추리물로서는 구성이 엉망이 되고 액션 신이나 고난도 작화 신을 다수 투입하는 작화쇼 애니메이션이 되어가는 측면이 있다. 몇몇 중요 장면에서는 원작자인 아오야마 고쇼가 직접 작화를 담당하기도 한다. 중간중간 짧은 장면으로 지나가긴 하는데 작화 차이가 없는 건 아니라서 자세히 보면 알아볼 수 있다. 기본 스케치만 담당하고 실제 착색 작업은 다시 제작사에서 담당하는 방식이다.

2.2. 작화 변천사

2.3. 아오야마 고쇼 담당 원화 장면

2.4. 인트로

특히 극장판마다 나오는 인트로 부분은 고퀄리티를 보여주는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중에서도 퀄리티의 정점을 찍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극장판의 제목이 나오는 부분은 정말 화려하게 등장한다.[6] 한국 개봉판에서도 극장판 인트로만큼은 항상 깔끔하게 수정되어 나온다. 그래서 새로운 극장판이 개봉하기 전까지 오프닝 메인 타이틀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나올 것인지, 또 배경음으로 깔리는 명탐정 코난 특유의 메인 테마곡은 새 극장판에서 어떻게 편곡이 될 것인지 팬들 사이에서도 많은 얘기가 오간다. 극장판 자체의 평가가 점점 나락으로 가는 와중에도 오프닝에 대한 평가는 꾸준히 좋은 편이다.

2.5. 인기

애니메이션 극장판임에도 불구하고 성인들에게도 인기가 많고, 성인 관객들의 비중이 다른 애니메이션 극장판에 비해 많다. TV판, 원작은 안 봐도 매년 극장판은 꼬박 보러가는 성인 팬들도 많다고 한다. 그리고 그 성인 팬의 자식들도 같이 보게 되어 새로운 코난 세대로 유입되기도 한다고. 인기가 많은 만큼 일본에서는 극장판 시즌마다 트위터에서 스포 빌런들의 활동도 활발해지는데, 이들은 개봉 첫날 조조영화로 감상한 후 닉네임을 "범인은 (이름)" 등으로 짓고 극장판을 보러 간다고 하는 사람들의 트윗을 검색하여 답글을 다는 수법을 주로 쓴다. 이 수법을 쓰면 알림을 받는 것만으로도 스포일러를 당할 수 있기에 이들의 행보를 비판하는 인터넷 기사들도 많이 나오는 편. 코난은 스포일러가 굉장히 영향을 크게 끼치는 추리물 장르인 만큼 스포일러에 입는 피해도 크다.

2.6. 성우

성우는 TVA 성우진 그대로 고정 중이며 극장판마다 범인 혹은 그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물들에는 유명한 성우를 캐스팅하고 있다. 덕분에 성우 덕후들은 듣기만 해도 알만한 사람들이 많다. 외국인 캐릭터에 실제 외국인 성우를 기용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초창기에는 거의 없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명 연예인이 게스트로 출연하는 경우가 많이 늘어 매년 적어도 한 두명씩은 비중있는 역할로 출연한다. 좋은 평가를 받는 게스트도 물론 있으나 연예인 더빙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어색한 연기톤을 그대로 보여주는 안 좋은 케이스도 많다는게 문제다.

성우와 관련하여 한가지 재미있는 사항으로는 엑스트라 아역들을 들 수 있다. 한 두마디나 감탄사 정도를 담당하는 엑스트라 아역으로 일종의 더빙 체험 이벤트로 일반인 어린이들을 캐스팅하고 있는데[7], 일반인 어린이들인 만큼 그야말로 국어책 읽기가 무엇인지 진수를 보여준다. 성우에 관심 없는 사람들도 바로 눈치 챌 수 있을 정도다.

물론 한국 더빙판에서는 연예인 게스트나 일반인 어린이 더빙 체험이나 그런 거 없고 전문 성우들이 맡기 때문에 해당되는 내용은 아니다. 대부분은 투니버스 소속이 맡지만 가끔 타사 성우들이 참여할 때도 있다. 또한 본편에도 출연했던 성우들이 캐스팅되는 비율이 많다.

2.7. 배경

작중 배경 대부분은 실제 있는 곳을 사전 답사, 촬영하여 이를 토대로 작화한 것이다. 가상으로 명칭을 지어내더라도 일본 내에 실제 있는 곳을 모델로 삼는다. 그래서 코난에 나오는 장소는 거의 다 실제로 존재하는 장소이다.[8] 영화가 끝나면 크레딧이 나오는데, 배경이 된 장소들을 직접 촬영한 장면을 영화 속 주요 장면들과 함께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실제 배경과 영화 속 배경을 비교하는 것도 포인트. 영화에서 거의 흡사하게 묘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2기에선 한국에서도 로케를 했는데 다름 아닌 인천광역시파라다이스 시티송도였다. 다만 뒤의 23기가 아예 배경을 로케지로 삼은 것과 달리 배경 디자인의 모티브로 삼은 정도라 크레딧이 나오기 전까지는 크게 눈에 띄는 사항은 아니었다. 23기의 로케 장소는 싱가포르와 싱가포르의 랜드마크인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로, 감청의 권 자체가 호텔의 광고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

2.8. 기타 전통

2.9. 제목 읽기 방식

제목이 모두 'A의 B' 형식이고[9], B 부분에는 해당 단어를 영어로 바꾼 후리가나가 붙는 경우가 많다.

예외적으로 6기인 베이커가의 망령에서는 A 부분에 속하는 '街'를 Street로 읽었다. 5기의 '카운트다운'과 16기의 '스트라이커', 25기의 '할로윈', 27기의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의 '달러'는 처음부터 상응하는 한자 표기 없이 카타카나 표기만 있었으며, 19기의 '해바라기', 22기의 '집행인', 24기의 '탄환'은 영어화하지 않고 상용하는 발음 그대로 적었다.

2.10. 작품 내적 특징

2.10.1. 오프닝 타이틀

인트로 모음

메인 타이틀이 나온 후, 쿠도 신이치에도가와 코난이 되어버린 경위[11]모리 코고로의 추리의 진실이나 아가사 박사의 각종 발명품에 대한 설명을 해주어 원작을 모르는 사람도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다. 다만 10기 이후로는 일부 설명은 "말 안 해도 알겠지?" 같은 식으로 뛰어 넘는데[12] 뒤이어서 코난의 정체를 알고 있는 인물들[13] 혹은 해당 극장판의 메인이 되는 주요 캐릭터의 소개가 이어진다.[14] 이후 단골 멘트인 "몸은 작아졌어도 두뇌는 그대로, 미궁을 모르는 명탐정! 진실은 언제나 하나!"[15]를 끝으로 영화가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영화 초반에 작중의 누군가가 소개해주는 '가장 스케일이 크고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시설/이동수단'이, 높은 확률로 영화 최후반부에, 하필 관객들이 가장 붐빌 때 또는 주인공 일행들(특히 란이나 소년탐정단들)이 있을 때 폭파/붕괴/충돌/테러/적 습격 등의 위험에 처하게 되며 이를 코난[16]이 해결하는 스토리가 주가 된다. 추가로 영화 초반에 보여주는 뭔가 신기한 물건이나 장비[17] 혹은 초반에 누군가가 설명해주는 작중 무대의 어떤 첨단시설의 구조나 동작 원리가 앞서 말한 영화 마지막의 대사건의 해결의 열쇠가 될 때가 많다.

극장판마다 작은 퀴즈가 준비되어 있는데[18] 대부분은 일본어 다자레이기 때문에 한국에 들어올 때는, 한국적인 언어유희로 대체되거나 심한 경우 편집되기도 한다. 퀴즈는 아가사 박사가 내는 게 대다수지만[19] 그 외에도 (쿠도 신이치로 변장한) 괴도 키드[20][21], 미츠히코[22], 하이바라[23]가 낸 적도 있다.
2.10.1.1. 오프닝 타이틀 소개
대체로 국내판에서는 원판의 오프닝을 그대로 갖다가 한글로 수정해서 개봉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으나 가끔 원판이랑 국내판과 배경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다.
분류 설명
1기 검은 화면에 명탐정 코난 시한장치의 마천루라는 타이틀이 올라오며 전기 스파클이 튄다. 이는 2024년도에 자막판으로 재개봉한 버전도 똑같이 타이틀이 올라오며 전기 스파클이 튀는 방식이다. 일본판은 파란색 계열의 보라색으로 되어 있는 반면 리마스터링 버전의 경우 완전히 분홍색으로 바꿨다.
2기 바다 한 가운데 3D로 된 DETECTIVE CONAN 글자를 회전하며 보여주더니 불길에 휩싸이며 명탐정 코난 14번째 표적이라는 타이틀이 뜬다.[24]
3기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모리 코고로, 소년 탐정단, 아가사 박사, 메구레 쥬조가 모인 모습이 담긴 액자가 불길에 휩싸이더니 괴도 키드의 모자와 망토의 배경으로 바뀌며 명탐정 코난 세기말의 마술사라는 글자가 뜬다.
4기 수많은 영어 글자들 사이에 이번 극장판의 주요 인물들이 차례차례 등장하며 코난을 마지막으로 타이틀이 올라온다.
5기 웅장한 건물 가운데 모래시계가 놓여져있고 코난의 실루엣을 한 초록, 노랑, 빨간색의 유리창이 깨지면서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나오며 엠블럼 속 코난이 유리창의 색인 초록, 노랑, 빨강 순으로 색이 변하더니 시간이 멈춘 상태에서 엠블럼과 유리 파편이 움직이더니 엠블럼이 회전하면서 명탐정 코난: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타이틀이 나온다.[25]
6기 뒷배경으로 런던을 보여주며 반시계방향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시계가 비춰진다. 바늘이 12시에 다다랐을때 붉은 빛이 들어오고 엠블럼으로 바뀌면서 전기를 연상시키는 배경으로 전환되고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 타이틀이 나온다.[26][27]
7기 어떤 십자로를 계속 돌며 중간 중간 어느 불타는 가면이 나오다가 그 가면이 정면을 볼 때 십자 모양 쇠창살에 가려지고 타이틀이 나온다
8기 밤하늘 속 레이더에 괴도 키드가 포착되면서 엠블럼으로 바뀌고 전기 스파클과 함께 타이틀이 나온다.
9기
10기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17기
18기 주사위 여러개가 떨어지면서 엠블럼이 일어서고 총알이 벨트리 타워를 저격하면서 타이틀이 올라오는 방식이다.
19기 해바라기가 회전하면서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형성되더니 불길에 휩싸이며 키드의 카드가 여러장 떨어지면서 타이틀이 나오는 방식이다.
20기 처음에 토토 수족관 관람차 내부의 모습이 비춰지며 빨간색 배경 속의 DETECTIVE CONAN 엠블럼이 먼저 나타나고 부서지면서 토토 수족관에서 비춰지는 무지개색 빛에 둘러싸인 관람차가 드러나고 이어 The Darkest Nightmare 엠블럼이 나온 이후에 이번엔 유리가 깨지는 소리와 함께 큐라소의 오드아이가 나타나고 그녀의 뇌가 회전하면서 관람차가 스쳐가며 전기 스파크와 함께 타이틀이 드러나는 방식이다.
21기 여러 백인일수의 배경에 단풍잎이 날리며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등장하더니 여러 장의 카루타 카드에 떨어지면서 폭발과 함께 카드가 흩날리더니 폭포 배경에 여러 장의 단풍잎이 떨어지면서 타이틀이 뜬다. 반면 국내판은 앞부분은 동일하나 그냥 선홍색 배경에 타이틀이 뜬다.
22기 엣지 오브 오션의 건물들이 레이더망에 잡히며 파괴되면서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나오며 타이틀이 뜬다.
23기 블루 사파이어 조각들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마리나베이 샌즈호텔을 배경삼아 엠블럼이 나오고, 분수가 발사되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더니 수많은 주먹들이 배경을 박살내면서 타이틀이 나오는 방식이다.
24기 비색의 탄환 엠블럼을 구성하는 조각들이 계속 회전하다가 은총알이 뒤로 들어감과 동시에 이 극장판의 핵심인 리니어가 지나가는 터널을 묘사한 배경과 함께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나오고, 방금 뒤로 들어간 은탄환이 엠블럼을 치면서 무언가 깨지는 소리와 함께 엠블럼의 영어 글자만 남은 상태에서 배경이 회전하더니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이란 글자가 나온다. 자막판은 탄환 2개만 보여줬지만, 더빙판은 아예 따로 배경을 제작해 총알 3개가 계속해서 천천히 돌고 있는 배경이 나온다.
25기 사신이 낫을 들고 베어버림과 동시에 이번 극장판의 핵심인 목걸이 액체 폭탄이 회전하면서 시작되는 방식인데, 너무 오프닝을 대충 만든 거 같은 게 코난 극장판의 상징인 엠블럼도 안 나오고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도 마지막에 박쥐 떼가 지나가면서 생성하는 방식이다.
26기 바닷속으로 들어가면서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나오고, 잠수함이 지나감과 동시에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배경의 퍼시픽 부이의 일부를 보여주며 흑철의 어영이란 글자를 생성, 그 뒤에 약간 웨이브를 준 명탐정 코난 글자가 생기면서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이란 글자를 생성하게 된다. 자막판은 최종적으로 밤바다를 배경으로 삼았지만, 더빙판 및 자막판(영화관과 티빙 한정)은 낮의 바다를 배경으로 삼았다.
27기 도망치는 키드를 응시하는 코난의 장면에서 벚꽃잎이 흩날리더니 수많은 별들이 회전하면서 오릉곽의 문양이 나타난 후 칼로 무언가를 베는 묘사와 함께 이번 극장판의 엠블럼이 나오고, 먼저 "100만 달러의 오릉성(100만 달러의 펜타그램)"글자가 나온 후 금속 질감의 "명탐정 코난"이란 글자와 함께 빨간 배경에 칼날 두 개를 대각선으로 놔둔 상태에서 평행선으로 배치시켜 놓고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이란 글자가 완성되는 방식이다. 원본 영상이 그대로 송출되는 자막판에 비해, 화면 수정이 진행된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다소 짜깁기 영상 느낌이 난다.
28기 시점이 경시청 건물 위로 올라가며 원작 아오야마 고쇼 라는 자막이 뜨고 눈꽃이 휘몰아치더니 파란색,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광선과 함께 천문대 건물로 바뀌며 엠블럼이 나오고 파라볼라 안테나를 배경으로 야마토의 눈 상처와 함께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타이틀이 뜬다.

2.10.2. 원작과의 관계

코난 극장판에 대한 오해

원래는 4기까지는 원작과 동일한 세계관을 유지하다가 5기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부터는 원칙상으로 원작과는 별개의 흐름을 차용하는 패럴렐 월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는걸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는 모종의 이유로 한국에서만 돌던 가짜 루머다. 위의 글에 따르면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1~4기까지는 원작과 연계된 내용을 다루었으나, 5기부터 극장판만의 독자적인 내용을 전개한다'는 서술이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극장판 중에는 사실상 원작의 일부로 간주되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2기 '14번째 표적'의 모리 코고로의 사격 실력이 형사 시절 1, 2위를 다투었다는 내용은 경찰동기조 편에서 다시 언급되며, 3기 '세기말의 마술사'의 괴도 키드가 통천각에 등장했다는 내용은 키드vs공명 표적이 된 입술 편에서 다시 언급된다. 또한, 이 편에서 괴도 키드가 코난의 정체를 알고 있다는 것이 드러나는데, 이는 3기 '세기말의 마술사'가 원작과 잘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들어 원작과 극장판 간에 상호작용을 하는 내용들도 상당히 있고 갈수록 정사에 들어가는 내용이 늘어나서 갈수록 공유하는 사건이나 설정이 늘어가는 편이다. 사실상 정사와 패럴렐 월드를 구분 짓는 것이 의미가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다만 코난 작가 역시 극장판과 원작은 서로 미묘하게 다른 것도 있다고 하니 극장판 내용이 무조건 언급된다고 해서 무조건 정사라 보는 것도 어렵다.

즉 극장판에서 묘사된 스토리 그대로는 정사에 들어가지 않은 셈이다.

원작의 내용이 극장판에 반영된 경우는 ○, 극장판의 내용이 원작에 반영된 것은 ●표기.

극장판 중 현재까지 원작의 스토리에 반영된 극장판은 2기 '14번째 표적', 3기 '세기말의 마술사', 13기 '칠흑의 추적자', 16기 '11번째 스트라이커', 20기 '순흑의 악몽', 21기 '진홍의 연가', 25기 '할로윈의 신부'가 있다.

극장판 중 단순히 오리지널 캐릭터의 원작 역수입이 아닌 스토리에 영향을 준 작품으로는 13기 '칠흑의 추적자'와 21기 '진홍의 연가' 그리고 25기 '할로윈의 신부'가 있다. 특히 '할로윈의 신부'는 원작 사건 이후의 내용이 주 내용이므로 후에 원작에 언급될 가능성이 높았다. 결국 부서진 수도꼭지의 추억 에서 동기조와 어린 시절 신이치가 만난 과거 에피소드는 정사로 들어갔다.

이렇듯 극장판끼리의 상호 간에 있었던 일들을 무시하고 완전한 독자 노선을 가는건 아니다. 원작이랑 동일한 배경과 인물들이 등장하고 워낙 복잡한 관계로 엮여있어 원작과 완전히 상호배타적으로 가는것은 어렵다는 걸 작가나 각본가들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극장판에서 반영된 설정이나 캐릭터가 원작, 혹은 TVA판에 반영되는,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될 여지는 충분하다.

2.10.3. 극장판 사이의 관계

극장판 시리즈 내에서도 세계관이 공유되는 것으로 묘사가 된다. 5기에서 등장했던 인물 중 한 명이 '시한장치의 마천루' 에서 등장한 모리야 테이지의 제자라고 언급되거나 14기 '천공의 난파선' 에서 란이 8기 '은빛 날개의 마술사' 당시 있었던 일을 언급하는 것을 보면.. 다만, 핫토리 헤이지하쿠바 사구루가 서로 만난 적이 없는 관계가 되어버린 10기 '탐정들의 진혼가'[38]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모든 극장판에서 잠깐이나마 이전의 극장판을 언급하는 경우가 등장한다. 밑이 그 예시이다.

2.10.4. 쿠키(次回) 영상

쿠키 영상 모음(8기~24기)
쿠키 영상 모음(4기~26기)
27기 극장판 예고
28기 극장판 예고(자막)
28기 극장판 예고(더빙)
쿠키 영상 캡처
3기 극장판부터 크레딧 이후 언제나 보너스 영상이 나온다. 보너스 영상이 나가고 영화가 다 끝난 후 다음 극장판의 중요 소재 내지 핵심이 되는 키워드나 대사를 담은 예고 영상이 짤막하게 나온다. 한국 개봉 시에서는 한동안 삭제되어 나오지 않았다가 18기 이차원의 저격수에서 19기 극장판 '화염의 해바라기' 예고 영상이 나왔다. 그런데 19기 화염의 해바라기에서는 20기의 예고편이 등장하지 않았다. 20기 중심 스토리가 당시 시점으론 아직 국내에는 방영되지 않은 부분들을 다루고 있는 탓으로 보인다. 자막으로 개봉된 21기 진홍의 연가에선 22기의 예고편이 등장했고, 22기 제로의 집행인에선 23기 감청의 권의 예고편이 등장했다. 24기와 26기부터는 더빙되어 나온다.[42]

모든 편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구성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일단 크레딧 롤이 올라갈 때, 엔딩 곡이 흐르며 주무대가 된 장소[50]의 실제 모습이 나오고, 중반 쯤에는 인물들의 뒷 이야기가 나오는 경우도 있으며, 크레딧이 다 올라간 뒤에는 해당 극장판의 서사와 관련이 있는 쿠키 영상과 상술한 다음 극장판의 중요 소재 내지 핵심이 되는 키워드나 대사를 담은 예고 영상이 쿠키 영상으로 나온다.

3. 평가

TV 애니메이션 쪽의 전개는 기본적으로 추리에 힘을 싣고 있지만, 극장판은 추리와 액션을 조합한 형태를 취하며, 여타의 애니메이션 극장판들이 그러하듯 대체로 스케일이 크다. 그러나 추리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드는 데다가, 이러한 스케일이 큰 액션을 소화하는 게 성인이 아니라 초등학교 1학년생에 불과하다는 점, 가면 갈수록 단순히 스케일이 큰 액션이 아닌 비현실적인 무리수 액션이 되어가고 있다는 점은 코난 극장판이 작품성의 측면에서 제일 크게 비판받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전성기에는 작품성과 오락성을 모두 잡은 명작 시리즈로 평가를 받았다. 허나 지금의 최근작들은 앞서 특징에서도 언급되었듯이 무리한 액션이 많아져 스토리 진행이나 추리 면에서는 평가가 정말 낮아졌다. 여러 모로 퇴보한 셈이다. 다만, 제작비가 많이 투여되다보니 전반적인 액션의 퀄리티는 출중하게 나오는 편이다. 로맨스액션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만큼 추리 비중 또한 그 만큼 낮아졌다. 당장 추리가 사실상 아예 사라진 첫 작품인 20기부터 그 이후의 극장판들을 살펴보면 21기나 27기 정도를 제외하고 추리의 비중이 높은 작품이 아예 없다.

참고로 코난 극장판 시리즈는 대다수 평가 사이트의 별점, 평점을 그닥 참조할 수 없는 시리즈이다. 양덕후들에게는 애초에 인기가 별로 없는 작품이기도 하지만, 코난이 인기가 많은 동아시아권에서 여성팬들이 특정 캐릭터와 작품에 대한 애정만으로 무조건 별점을 만점을 찍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별점 사이트 하나가 아닌 여러 곳을 종합해서 본다면 참고할 만한 수준의 데이터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

각 시기별 평가를 간략하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짱구 극장판 시리즈의 평가 변화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짱구도 전성기를 맞고 쇠퇴하다가 암흑기에 돌입하고, 22기 이후로 부활했다. 그래서 팬덤내의 vs떡밥도 어느 정도 있는 듯.[53]

암흑기의 한가운데 그나마 좋은 평을 받은 수작이 있던 것도 비슷하다. 짱구에서는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가 그 작품이고, 코난 쪽에서는 순흑의 악몽진홍의 연가가 그 역할을 하는 셈이다. 짱구가 B급 음식편 이후로 작품성의 개선과 전성기의 부활이라는 평을 받듯이, 코난도 할로윈의 신부가 그와 비슷한 평을 받는 작품인데, 이후로 전성기 만큼은 아니더라도 작품성이 좋아졌다는 평을 받는다.[54]

이 시기별 평가 변화에 대한 자세한 서술은 아래 문단에 정리되어있다.

3.1. 1~7기

코다마 켄지가 바이폰을 잡은 작품들로 현재까지도 작품성이나 인기의 측면에서 늘 최상위권에 꼽히는 시기이다. 훌륭한 작화, 저마다의 다양한 추리와 탄탄한 스토리, 흥미로운 소재와 설득력 높은 주제 의식 등을 기반으로 하나같이 명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기 시한장치의 마천루와 2기 14번째 표적은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음에도 완성도 면에서 큰 호평을 받아 코난 극장판을 연례 개봉 시리즈로 확장시키는데 크게 일조하였다.[55]

국내에서는 개중에서도 3기 세기말의 마술사, 4기 눈동자 속의 암살자, 5기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6기 베이커가의 망령을 제일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짙다. 해당 작품들은 저마다의 다양한 추리와 탄탄한 스토리, 훌륭한 작화와 수준 높은 주제 의식 등을 기반으로 하나같이 명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해당 작품들이 나온 3~6기가 흔히 극장판 최고 전성기 시절이라 불린다.

특히 5기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6기 베이커가의 망령은 코난 극장판을 넘어 일본 애니메이션 전체에서도 톱급의 평가를 받는다. 개봉 당시 두 작품의 클라이막스의 임팩트가 워낙에 컸고[56] 요즘 작품들이 시각적 스케일은 더 클지 몰라도 대부분 소도구나 기계장치에 의존하는데 비해[57] 이쪽은 초기부터 깔려있던 복선을 마지막에 액션으로 회수하는 방식이여서 연출 자체도 높은 평을 받기 때문이다. 작화나 음악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평가가 높으며 이 시기만의 90년대 세기말 감성을 지금도 그리워하는 팬들이 굉장히 많다.

특히 5기는 라이벌 시리즈인[58] 크레용 신짱 극장판 중에서도 최고로 뽑히는 어른제국의 역습동시에 개봉해서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극장판 빅매치로 기억된다.[59] 또한 국내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베이커가의 망령은 그 다음 해인 2002년 작품이었는데, 라이벌인 짱구 극장판 시리즈의 역대 최고 작품 평가에서 어른제국의 역습과 비등한 평가를 받는 전국대합전도 그 해에 같이 개봉했다. 두 극장판 모두 시리즈 역대 최고 1, 2위를 다투는 작품이 2001년과 2002년에 연달아 개봉한 셈이다.

마지막인 7기 미궁의 십자로는 일본 국내에서는 다른 전성기 작품들과 동일한 수준의 높은 평가를 받지만, 한국 등 해외 팬들에게는 다른 코다마 켄지의 극장판에 비해 인기가 낮은 편이다. 핫토리 헤이지가 주연으로 등장하고 스케일 큰 액션이나 어드벤처 연출이 없는 점, 로맨스의 비중이 높아 잔잔하거나 루즈하게 느낄 수 있는 점은 차치하고라도, 사건 전개에 일본어 지식이 활용되고, 일본에서도 상당히 고풍적인 지역인 교토를 배경으로 하는 데다 일본사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으면 이해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작품 자체의 완성도가 괜찮음에도 일본과 한국 등 해외에서의 인지도나 인기에서 큰 차이가 나고 있다.

3.2. 8~14기

야마모토 야스이치로가 감독을 맡은 작품들로 이 시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말도 안 되는 상황 설정이 늘었다는 것이다. 그 정도가 가장 심했던 13기를 비롯해 대체적으로 큰 스케일의 소재가 많은 편이었는데,[60] 스토리 진행이 그 스케일을 못 받치면서 이야기가 좀 엉성해진 부분도 있다. 특히 11기 감벽의 관은 개봉 당시 코난 최악의 극장판이라는 악평을 받은 바 있고, 일본에서는 2024년 현재까지도 평가가 제일 낮은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61]

그래도 원래 코난 애니메이션을 담당하던 만큼 캐릭터에 대한 이해도 자체가 후임인 시즈노 코분 감독보다는 높기 때문에 캐릭터의 성격과 행동, 케미를 중심으로 호평을 받는 부분도 존재한다. 8기는 초, 중, 후반부가 각자 따로 놀며 스토리에서도 혹평을 받았지만 코난과 키드의 케미, 신이치를 향한 란의 마음을 잘 드러냈고 9기는 전작처럼 평이 좋지 못했으나 개그 캐릭터로만 쓰이던 모리 코고로의 진지한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기는 올스타라는 이벤트를 활용하여 추리와 오락적인 재미를 잘 잡아냈다는 평이 많으며, 가장 평가가 안 좋다는 11기도 소재 선정 자체는 매우 뛰어났고 여행물의 특성이 잘 들어나며 란과 소노코의 케미를 엿볼 수 있었다. 12기는 루즈하다는 평도 존재하긴 하나 음치이지만 절대음감이 있다는 코난의 특징, 나쁘지 않은 스토리, 그리고 음악을 잘 버무려 냈다. 13기는 스토리 진행 부분의 탄탄함과 연출, 검은 조직과의 대립에서 오는 긴장감은 역대 최고를 자랑했기에 현재까지도 팬들에게 전성기 이후로는 가장 평이 좋다. 14기는 상당히 적은 추리의 비중과 낮은 완성도, 전형적인 키드 캐빨물의 전개를 가져 혹평을 받기도 했지만 그래도 생물학 테러와 폭탄이라는 자극적인 요소를 새롭게 시도한 결과 괜찮은 오락 영화가 나왔다는 긍정적인 평도 받았다.

이 이후로는 추리 파트 자체가 거의 증발하고, 캐릭터에 대한 이해가 낮으면서 액션만 많은 극장판들이 나오면서 이 시기 극장판들을 재평가하는 팬들도 나오는 중이다.

3.3. 15~21기

야마모토 야스이치로가 총감독으로 물러난 후 시즈노 코분이 메가폰을 잡은 작품들이다.

작품성 측면에서 제일 크게 비판을 받았던 시기이지만 이 때부터 액션이 급격하게 강화된 덕분에 이 시기에 코난에 입문한 사람들은 코난을 그저 액션물로 인식해서 별 불만을 가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단 시즈노 코분이 액션 연출 전문 감독이다 보니 여기서는 그래도 실력을 보여주는 편. 액션 이외의 모든 기대를 끊으면 봐줄 만하긴 하다.

15기는 초반부와 후반부에서 전에 없던 강렬한 액션을 보여주기는 하나 동시에 상당히 비현실적이며, 주조연 캐릭터들 몇몇이 이해 불가능한 행보를 보여 준다. 16기 역시 초반 폭탄 해체 액션 신에서 15기의 단점을 그대로 답습했고, 범인의 트릭은 아이들의 장난 수준인데다 긴장감도 전 작품들만 못한 편. 17기는 등장인물들의 집단적인 이해 불가능한 행동, 대충대충 넘어가는 스토리, 그냥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는 여러 상황 설정들이 맞물려 사상 최악의 극장판이라는 평가를 받는 중이다. 18기 역시 엉망진창의 스토리와 낮은 완성도의 추리, 말도 안되는 클라이맥스로 망작이라는 욕을 먹었으며, 19기는 키드 팬들에게는 일부 좋은 평을 받았지만 추리의 완성도에서는 혹평을 받았다. 20기 순흑의 악몽은 액션에선 호평을 받았지만 거의 없다시피 한 추리 비중과[62] 개연성 면에서 비판받았다. 21기 진홍의 연가는 최근 극장판에서는 그런대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기는 했다.

3.4. 22기~28기

시즈노 코분 감독이 이끌다가 22기부터는 감독이 자주 바뀌고 있다.[63] 따라서 감독이 누구냐에 따라 극장판의 분위기나 평가가 계속해서 바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역대 감독의 인터뷰를 보면 애초에 7년 임기제는 없었고 1 ~ 3대 감독이 7년 동안 했던 건 단순히 우연이라고 한다. 단지 마침 7년 동안 했기 때문에 팬 사이에서 임기가 있는 거 아니냐는 추측이 돌았던 것이다.[64]

명탐정 코난 극장판 21기부터는 철저하게 상업영화로써의 성격이 강해졌다. 예술성이나 완성도를 강조하던 초기 명탐정 코난 극장판의 추세를 집어던지고, 작품성을 희생해서라도 어떻게든 돈을 1이라도 더 벌면 된다는 마인드로 연출이나 인기 캐릭터, 액션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다보니 판타지스러운 장면도 보인다. 그리고 중국 영화 시장에 개봉이 가능할 정도로 소재에 관해 자체검열을 하고 있다. 명탐정 코난 흥행에서 중국 흥행의 비중이 일본 영화 시장 흥행 비중의 50% 전후까지 성장하자 제작사 측에서 중국 시장을 의식해서 작품을 만들고 있다. 2025년 현재 명탐정 코난 극장판의 이런 전략은 철저하게 성공했다. 코난 극장판 작품들이 제작비의 10배는 기본이고 20배 이상을 순이익으로 남겨서 도호쇼가쿠간의 주력 매출원으로 성장했을 정도다. 게다가 주제가 역시 오케스트라를 동원해서 만들고, 명탐정 코난 극장판 주제가로 오케스트라 공연까지 투어로 진행하고 있을 정도로 코난의 판이 커졌다.

22기 제로의 집행인의 경우 전체적인 스토리의 개연성과 추리 부분에서 엉망진창이라고 다시 엄청난 비판을 받았고 죄 없는 민간인을 코난을 끌어들이기 위해 체포하는 모습을 보여준 아무로 토오루의 행적과 공안 미화, 과도한 밀어주기 등등 문제점이 쏟아져나왔다. 팬덤 사이에선 결국 침체기가 다시 돌아왔단 악평을 듣고 있다. 감청의 권 역시 추리, 스토리 진행 양쪽 요소를 모두 비판받으며 평가가 또 추락했다. 그나마 건질 건 스즈키 소노코의 로맨스 비중뿐.[65] 나쁜 의미로 정점을 다시 찍고 말았다. 24기 비색의 탄환 또한 전작들보다 그나마 낫다는 평가를 들었을 뿐 혹평을 받았다.

25기부터는 '캐빨물'이라는 비판은 여전하지만 캐릭터의 해석이나 활용, 스토리의 측면에서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평가가 그나마 나아지고 있다. 개중에서 어느 작품이 제일 좋았는지 팬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자주 오가고 있으며, 흥행 수입 또한 매년 전년의 수치를 갱신하고 있다.

25기 할로윈의 신부는 후반부의 무리수 액션이나 신파, 불꽃공 장면, 거의 없는 추리와 추리의 개연성 부분에서 비판을 받았지만, 반대로 매력적인 범인과 뇌절이라고 비판받은 경찰동기조의 적절한 활용, 연출의 측면에서 호평을 받았다.

26기 흑철의 어영은 검은 조직 조직원들의 무능, 축구공 활용 등과 스토리가 중구난방하다는 점 등에서 혹평을 받았지만, 여태까지 비중이 낮았던 캐릭터들의 비중을 높인 점, 키르, 등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그려낸 점, 원작의 여러 요소를 오마주 한 점 등에서 호평을 받으며 큰 차이로 전작의 흥행 기록을 갱신했다. 한국의 경우 13기 이후 14년 만에 흥행 기록을 갱신하기도 했다. 연출, 추리 요소, 작화, 스케일, 화제성 등 다방면으로 최근 극장판 중 가장 호평을 받은 극장판.

27기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또한 비현실적이거나 스케일이 너무 큰 할리우드식 액션, 지나치게 복잡한 스토리와 불완전한 복선 회수 등에서 혹평을 받으나 간만에 등장한 추리나 수수께끼의 요소, 빠른 전개 및 오락성 등에서 호평을 받으며 전작의 흥행 기록을 다시 갱신하고 있다.

28기 척안의 잔상은 OST가 작품과 잘 맞지 않았다는 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캐릭터 간 적절한 비중과 역할 분배, 그리고 추리 요소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4. 해외 개봉

4.1. 대한민국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구 로고.png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NEW 로고.png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로고(고화질) 2.png
<rowcolor=#000000,#ffffff> 구 로고 ( 6, 13 ~15 )[66] 리뉴얼 로고 ( 11, 22, 23, 24 )[67] 신 로고 ( 1~2, 7 ~ 12, 16 ~ )
한국에선 1기부터 5기까지의 극장판이 투니버스를 통해 방영되었고[68], 6기 베이커가의 망령이 롯데시네마를 통해 2008년에 처음 선을 보인 것을 기점으로 13기 칠흑의 추적자가 개봉한 2009년부터 CJ ENM이 수입과 배급을 맡아 매년 꾸준히 개봉해오고 있다.[69]

극장에서 내려간 작품의 경우 OTT로는 Laftel[70]TVING 쪽에서 볼 수 있고, TV에선 계열사 채널인 OCN과 투니버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영된다.[71]

현재까지 유일하게 국내 개봉을 하지 못한 작품은 2013년에 개봉한 17기 절해의 탐정으로, 해당 작품의 경우 해상자위대 배경에 욱일기까지 등장하여 국내에서는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개봉하지 못했다.[72] 2013년에는 대신에 9기 명탐정 코난: 수평선상의 음모를 개봉했으며, 이후 2014년 2월 초에 10기 명탐정 코난: 탐정들의 진혼가가 개봉한 것을 기점으로 이후부터 연초 겨울 시즌에는 TV 스페셜 내지 콜라보레이션 작품이나 미개봉되었던 극장판 등을 개봉하고 여름 시즌에 본 극장판을 개봉하는 구도가 만들어졌다. 이전까지는 17기 이외에 8~12기도 국내 미개봉 작품으로 남아있었지만, 13년 9기 개봉을 시작으로 18년 2월 11기가, 19년 2월 12기가 개봉하면서 유일한 국내 미개봉 작품이 되었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선 1년마다 두 작품씩 개봉되는 해도 있었는데, 2013년 1월에 은빛 날개의 마술사, 8월에 수평선상의 음모, 2014년 2월에 탐정들의 진혼가, 8월에 이차원의 저격수, 2018년 2월에 감벽의 관, 8월에 제로의 집행인, 2019년 2월에 전율의 악보, 7월에 감청의 권이 개봉했다. 그러다 2021년에는 비색의 탄환, 2022년에는 할로윈의 신부, 2023년에는 흑철의 어영 등 신작만 개봉하다가[73]2024년 신작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이 7월에 개봉하고 2024년 10월에 시한장치의 마천루가 최초로 국내 개봉이 확정되면서 다시 두 작품씩 개봉하게 되었다. 또한 이렇게 구작들의 재개봉을 거치면서 인트로의 제목 화면 수정 역시 원본에 준거한 형식으로 바뀌었다.

아래의 극장판들은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HE MOVIE를 제외하고 일본에서는 TV 스페셜로 방영되었으나, 국내에서는 극장판으로 상영된 것들이다. 진홍의 수학여행은 원래 TVA 였지만 국내에서는 극장판으로 상영되었다.
제목 국내 개봉일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HE MOVI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5월 29일
명탐정 코난: 코난 실종사건 - 사상 최악의 이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2월 12일
명탐정 코난: 에피소드 원 - 작아진 명탐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2월 8일
명탐정 코난: 진홍의 수학여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월 27일

4.1.1. 국내 흥행

국내 흥행에 있어서 여타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극장판은 물론이고 일본 애니메이션 전체를 통틀어서도 매우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처음으로 제 때 극장에 개봉한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가 66만명이라는 걸출한 스코어를 기록한 이후로 17기를 제외한 모든 작품들이 일본 개봉 후 3~4개월안에 개봉했고 24기의 경우 일본과 동시에 개봉하고 있다.

TVA 극장판 흥행력으로는 압도적인 시리즈이다. 13, 14, 15기가 모두 60만명 이상의 스코어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4~50만의 관객을 꾸준히 모으면서 포켓몬스터, 도라에몽, 짱구를 비롯한 TVA 극장판 시리즈와의 비교를 불허했고 그나마 코난 시리즈의 흥행력에 비교될만한 것이 요괴워치의 첫 극장판인 탄생의 비밀이다냥!도라에몽: 스탠바이미, 그리고 포켓몬빵 효과를 받은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가 각각 55만, 50만, 58만을 기록한 정도. 일본 애니메이션 전체의 국내 흥행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고있다. 지브리스튜디오 작품과 신카이 마코토의 바로 뒤를 잇는 흥행성적을 기록하는 것이 바로 코난 시리즈. 2021년에 개봉한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이 215만명을 돌파하면서 압도적인 TVA 극장판 흥행 1위를 차지하긴 했지만 이후 시리즈까지 흥행할지는 미지수이므로 코난의 꾸준한 흥행력에 비견될 TVA 극장판 시리즈는 아직 없다.

현재까지 코난 극장판 중 흥행에 실패했다고 볼 만 한 것은 2019년에 개봉한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과 2021년 개봉한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정도이다. 감청의 권의 경우 평소 성적의 절반 이하 수준인 21만 9천명으로 상영을 마감하고 말았는데, 물론 작품성 측면에서 매우 낮은 평가를 받긴 했지만 코난 극장판의 흥행 성적과 작품성은 별다른 연관이 없으므로, 단순히 개봉 시즌이 불운하게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과 겹쳐버려 흥행에 실패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2018년 겨울 개봉한 짱구는 못말려의 극장판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의 35만명에도 10만명 이상 뒤지는 수준이다. 구작품나 OVA의 극장상영이 아닌 작품이 짱구 시리즈의 관객수보다 뒤쳐진 것은 역대 최초. 이전까지 최저 관객을 기록했던 명탐정 코난: 이차원의 저격수가 기록한 39만 8천명조차 당시 짱구 극장판의 최고 관객수인 35만 3천 명보다 높았던 것을 기억하면 굉장히 큰 타격을 입은 셈.[74] 비색의 탄환의 경우 코로나 시국과 맞물려 관객 수가 20만 명 초반에 머물렀다.

그러다 2022년에 개봉한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가 40만이 넘는 관객수와 국내 개봉한 코난 극장판 매출액 1위를 기록하면서 부활의 신호탄을 알렸다. 그러나 짱구와 포켓몬스터는 흥행력 회복을 넘어 코난 이상의 흥행 성적을 찍는 바람에[75] 상대적으로는 이 둘에 밀리게 되었다.

이후 2023년 개봉한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이 개봉 2주차에 관객수 60만명을 돌파하며 전작 할로윈의 신부를 뛰어넘는 흥행을 기록하면서 전작에서 쏘아올린 부활의 신호를 이어가게 되었으며 이어 최종 80만 관객을 돌파해 14년만에 칠흑의 추적자의 기록을 깨고 국내 개봉 코난 극장판 관객수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다만 같은 해 개봉한 짱구 극장판의 경우 관객 수 90만을 돌파해 흥행력 기준에서는 역전된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

4.1.2. 로컬라이징

13기와 14기에서 지명 등의 일부 부분에 대한 로컬라이징을 포기한 사례를 제외하고는 어떻게든 대한민국 환경에 맞춰 현지화 작업을 거치는데 이를 두고 팬들 사이에서는 "명탐정 코난이 국내에서도 나름 인지도 있는 작품이니만큼 로컬라이징이 난해한 경우는 자막으로 상영하고 이를 사전에 고지하자."라는 식의 주장이 나오거나 "굳이 로컬라이징을 거칠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라며 로컬라이징 자체를 부정적으로 여기는 시선도 다수 존재한다. 그도 그럴 것이 창작물에서는 국적이 어떻게든 드러나는지라 무리한 현지화 시도는 되려 이질감을 빚어내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무턱대고 바꾸고 봤다가는 되려 극의 전개가 더욱 꼬이는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다른 작품 얘기지만, 키테레츠 대백과는 괴상한 로컬라이징 때문에 평가가 깎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향도 드디어 변화를 맞이한 모양으로 보인다. 2017년 6월 말, 일본의 전통 문화인 카루타가 등장하는지라 팬들 사이에선 국내 개봉 가능성이 낮다고 분류되고 있었던 21기 극장판 진홍의 연가의 국내 개봉 소식이 간접적으로 공개되었고 이후 투니버스 측을 통해 공개된 공식 예고편과 7월 24일 진행된 시사회를 통해 별도의 로컬라이징 및 더빙이 없는 자막판으로 개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8월 2일, 별도의 더빙이 없는 자막판으로 극장가에 최초로 정식 개봉되었다. 성우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더빙판은 극장가 상영 종료 후 VOD 서비스 시에 별도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로컬라이징은 불가능하다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진홍의 연가 영상 말미에 극장판 22기가 2018년 8월에 개봉할 것이란 예고 자막이 나간 것으로 보아 22기 역시 별 탈이 없는 한 내년 여름에 무난하게 국내로 입성할 것으로 보이며 이제 사실상 극장판의 로컬라이징 가능 여부는 국내 개봉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니라고 봐도 무방해진 듯하다. 이러한 전망을 뒷받침해주는 근거로는 진홍의 연가가 한참 극장가에서 상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CJ E&M 측이 7기 미궁의 십자로에 대한 저작권 관리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포착되었다는 점이다. 이로 미루어보건대 이제는 17기 마냥 욱일기 등 요소를 부각시키는 등의 논란이 터지는 게 아니고서야 매년 여름에 꾸준히 코난 극장판을 국내에서 만나볼 수 있을 듯하다. 그리고 제로의 집행인은 무사히 로컬라이징이 되어 더빙 개봉하였다.

결국 VOD를 통해 진홍의 연가미궁의 십자로가 로컬라이징이 없는 더빙작으로 공개되었다. 즉 이 두 작품에서는 우리나라 성우들도 일본 원판 이름으로 연기를 한다.

그런데, 23기 감청의 권은 원래 기존처럼 로컬라이징이 다 된 상태로 더빙이 되어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극장판 제작위원회 측에 의해 로컬 더빙 제작권한에 제재가 붙어 21기처럼 자막판만 개봉하고, 비로컬 더빙으로 VOD를 발매한다고 한다.[76] 앞서 말한 두 극장판과 감청의 권의 비로컬 더빙을 보면, 상당히 이질감이 크다. 미궁의 십자로와 진홍의 연가는 각각 교토와 오사카, 일본의 전통 시와 카루타가 등장하니 그러려니 하지만, 감청의 권은 싱가포르가 배경이라 애초에 왜색이 들어가지도 않았음에도 로컬라이징이 없는 더빙판으로 제공되는 것에 어이가 없다는 의견들이 분분하다.

24기 비색의 탄환도 올림픽과 일본 관광지 등 왜색이 다소 있어도 대한민국 지명으로 바꾸기에 무리는 없었으나, 전작과 마찬가지로 비로컬 더빙으로 개봉하였다.[77] 비로컬 더빙판이 극장에서 개봉한 것은 처음이다.

25기 할로윈의 신부는 현지화에 방해되는 요소도 거의 없고 이미 현지화가 된 본편 에피소드인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 명의 인질과 연계되는지라 현지화를 하지않을 이유가 하등 없었지만, 감청의 권부터 이어진 극장판 제작위원회 측의 현지화 불허 방침으로 역시 현지화되지 않았다.[78]

26기 흑철의 어영 역시 현지화에 방해되는 요소가 없었지만 로컬라이징이 되지 않았다. 이 극장판은 코난 역사상 전례없는 흥행 달성과 검은조직의 등장으로 이름만이라도 로컬라이징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극장판 제작위원회의 방침으로 역시 로컬라이징되지 않았는데, 영화 내적으로는 오랜만에 퀴즈가 로컬라이징되었을 뿐만 아니라[79] 문자나 컴퓨터 화면 등 일본어로 쓰여 있는 것을 TVA에 준하는 수준으로 한국어로 수정하는 등 일부 한국화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했다. 다만, 일본어 화면에 대한 한국어 수정을 더빙판 뿐만 아니라 자막판에도 적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27기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은 프롤로그의 실제 역사 내용, 일본도나 하코다테의 지형은 수정이 가능할지 몰라도 신선조 내용이 깊이 들어가 보물을 찾는 데 중요한 힌트가 된 히지카타 토시조의 과거 행적, 풍옥발구집, 마치다 쇼토쿠의 일기는 한국 역사로 전혀 바꿀 수 없었다. 즉, 7기, 21기처럼 일본의 역사를 소재로 다루고 있어 제작사의 요청 이전에 로컬라이징 자체가 불가능했다.

28기 척안의 잔상도 사법 거래나 경찰 및 검찰 조직 등 일본의 정치적 내용이 나왔으나 이미 TV 시리즈에서 충분히 로컬라이징되어 방영되고 있었기에 현지화에 별 무리가 없었으나 로컬라이징되지 않았다. 아가사 박사의 극장판 퀴즈는 이번에도 로컬라이징되었고, 주인공들의 대화체 역시 이름만 일본어일 뿐 한국어 TV 시리즈에서 로컬라이징하는 형태가 적용되는 개선이 이루어졌다.[80] 그러나 26기와는 달리 화면 수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한국어로 바꾸는 편이 나을 만한 부분에서도 대부분 한자 밑에 깨알같은 글씨로 한국어를 적어놓아 한국어 화면 수정은 다소 퇴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4년에 한국에서 최초 극장 개봉을 한 시한장치의 마천루는 비현지화 자막판으로만 상영되었다. 이전에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더빙판은 여전히 현지화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컬라이징은 TVA, 스페셜 극장판, 총집편을 제외하고는 모든 극장판은 불허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들로 봐선 제작위원회의 방침이 변경되지 않는 이상 현지화 극장판을 다시 보는 것은 힘들어 보인다.[81] 성우들의 말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극장판과 TVA는 제작팀이 다르기 때문에 별개로 취급되고, 현지화 문제 때문에 제작사끼리 마찰이 있었다고도 언급이 되었었다.[82]

코난 극장판은 인기 있는 시리즈인 만큼 원작이나 TVA를 챙겨 보지 않는 라이트 팬들도 한 번쯤 극장에 가서 보기도 한다. 그래서 원작 또는 자막판까지 보는 깊게 좋아하는 팬층이 아니면 한국어판 TVA에서 약 20년 정도를 로컬라이징 버전으로 방송하다 보니 투니버스 더빙판만 보는 팬층은 캐릭터들의 일본식 이름이 너무 어색하다는 평도 꽤 존재한다. 심지어 원판 이름을 몰라서 캐릭터들이 특정 인물을 언급할 때 "그게 누군데?"라며 혼란스러웠다는 반응도 있다.[83] 이렇다보니 팬들은 홍보용 극장판이라면 13기 칠흑의 추적자, 14기 천공의 난파선과 같이 캐릭터들의 이름은 신이치, 란이 아닌 남도일, 유미란으로 로컬라이징하고 지명 등 나머지 요소만 도쿄, 오사카로 원판 명칭 그대로 가는 것을 바라기도 한다. 이는 경쟁작인 소년탐정 김전일 때문에 이미 국내 팬들에게도 익숙해진 방식이라 이질감이 적고, 강수진, 김선혜, 우정신 등 한국어판 성우들도 이야기하고 있는 바이기도 하다.

투니버스 채널 팀장이 인터뷰를 통해 로컬라이징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밝혔는데, 극장판 IP가 글로벌화되면서 지역 설정이나 명칭을 통일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현지 장소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는 현지화의 어려움으로 로컬라이징을 진행하지 못하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최근 극장판은 현실의 일본 내 지역 묘사가 매우 뛰어난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한편으로, 로컬라이징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제작사인 쇼가쿠칸이 로컬라이징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처럼 완전 현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사실상 없지만, 척안의 잔상에서 한국어 정서와 위화감이 없도록 대사 번역의 안정화를 끝내 이루어낸 것을 보면, 투니버스에서도 주어진 환경에서 가능한 한 최대한의 노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84]

4.1.3. TV 방영 현황

<rowcolor=#fff,#1c1d1f> 기수 제목 최초 방영일 최근 편성일 채널 HD 여부 비고
<colbgcolor=#ffd700,black><colcolor=black,#ffd700> 01 시한장치의 마천루 2008-08-04 2025-09-24 22:00 투니버스 O[85]
02 14번째 표적 2008-08-11 2025-09-25 22:00 투니버스 O[86]
03 세기말의 마술사 2008-08-18 2025-09-26 23:00 투니버스 O[87]
04 눈동자 속의 암살자 2008-08-25 2025-09-05 23:00 투니버스 O[88]
05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2009-07-22 2025-09-06 22:00 투니버스 O[89]
06 베이커가의 망령 2008-12-○○ 2025-09-07 22:00 투니버스 O[90]
07 미궁의 십자로 2017-10-08 2025-08-18 01:50 OCN O [91]
08 은빛 날개의 마술사 2025-09-08 21:00 투니버스 O
09 수평선상의 음모 2013-12-○○ 2025-09-08 23:00 투니버스 O
10 탐정들의 진혼가 2025-09-09 22:00 투니버스 O
11 감벽의 관 2018-06-27 2025-09-10 22:00 투니버스 O
12 전율의 악보 2019-08-08 2025-09-11 22:00 투니버스 O
13 칠흑의 추적자 2025-09-12 23:00 투니버스 X[92]
14 천공의 난파선 2025-09-13 23:00 투니버스 O[93]
15 침묵의 15분 2025-09-14 22:00 투니버스 O[94]
16 11번째 스트라이커 2012-09-○○ 2025-09-15 21:00 투니버스 O
18 이차원의 저격수 2025-09-15 23:00 투니버스 O
19 화염의 해바라기 2016-06-27 2025-09-16 22:00 투니버스 O
20 순흑의 악몽 2017-02-01 2025-09-17 22:00 투니버스 O
21 진홍의 연가 2025-07-25 12:50 OCN Movies O [95]
22 제로의 집행인 2018-11-11[96] 2025-09-19 23:00 투니버스 O
23 감청의 권 2020-01-27 2025-09-20 23:00 투니버스 O
24 비색의 탄환 2022-06-01 2025-09-21 22:00 투니버스 O
25 할로윈의 신부 2023-07-05 2025-09-22 21:00 투니버스 O
26 흑철의 어영 2023-12-25 2025-09-22 23:00 투니버스 O
27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2025-07-12 2025-09-23 22:00 투니버스 O
28 척안의 잔상 (2026년 이후) 2025-07-24 22:50 투니버스 O [MINI]
갱신일: 2025년 9월 23일

투니버스에서 매일 밤시간대에 본편 극장판을 순서대로 방영하고 있다. 다만, 진홍의 연가진홍의 수학여행으로 대체 편성하고 있고, 미궁의 십자로는 2025년 6월부터 편성에 들어갔다가 8월 15일에 빠졌다. 2025년 8월 25일부터는 월요일에 2편을 연속으로 편성하고 있다.

4.1.4. OTT 공개 현황

4.1.4.1. TVING
CJ에서 수입을 하기 때문에 극장에서의 상영이 종료되고 6개월이 지나가면 티빙에 스트리밍이 업로드된다.

다만 일부 작품들은 더빙판과 자막판 중 하나만 지원한다. 또한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은 모든 극장판 중 유일하게 국내에서 볼 수 없다. 3~6기, 8~10기,13~18기는 더빙판만 제공하고 2015년 이후 국내 개봉한 1~2기, 7기, 11~12기, 19기 이후의 극장판은 더빙과 자막 모두 제공한다. 복잡하게 엉켜있는 이유는 국내 개봉이 일본판과 연계되어 순차적으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3기부터 5기의 경우 투니버스 등을 통해 TV 방영만 했을 뿐 정식으로 자막판을 개봉한 적이 없다. 8~10기, 14기의 경우 더빙판만 극장상영했다. 13기, 15~16기, 18기는 더빙, 자막 둘 다 상영했지만 판권이 만료된 것으로 추정된다. 개봉 당시 자막판이 인기가 없었기도 했고 현재 1기부터 순차적으로 자막판을 4K 리마스터링 버전으로 재수입 개봉 중이라 후순위로 밀린 듯 하다. 2025년 2월 14일 2기의 자막판이 개봉하면서 티빙에서 자막판을 볼 수 있게 되었다.

티빙 내에서도 실시간 인기 영화 순위권에 코난 극장판 몇 개 이상은 볼 수 있을 정도이며, 할리우드 영화 대작이나 국내 흥행작이 추가요금 없이 풀리는 때가 아니라면 상위권으로 올라올 정도로 티빙 내 고정 수요가 매우 탄탄한 편이다.

4.2. 중국

중국공산당검열 때문에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의 중국 개봉 여부는 매년 오락가락한다.

이렇게 개봉 금지된 작품이 있지만 VOD는 다 멀쩡히 서비스 중이다. 심지어 절해의 탐정까지. #
명탐정 코난 극장판 중국 영화 시장 개봉 허가 여부
개봉 허가 개봉 금지
(금지 사유)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2009) 명탐정 코난: 전율의 악보(2008)
(국가기간시설물 폭파 및 범죄 유발)[A]
명탐정 코난: 침묵의 15분(2011)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2010)
(테러리즘 유발)[A]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2015) 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2012)
(범죄 및 테러리즘 유발)[A]
명탐정 코난: 순흑의 악몽(2016)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2013)
(자위대 묘사)[101]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2018) 명탐정 코난: 이차원의 저격수(2014)
(-)[A][103]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2019)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2017)
(카루타 - 도박 소재)[104]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2021) -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2022)
명탐정 코난: 베이커가의 망령(2023)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2023)
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2024)

5. 목록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로고(고화질) 2.png
]] 극장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000,#fff> 1기 2기 3기 4기 5기
<rowcolor=#000,#fff> 6기 7기 8기 9기 10기
<rowcolor=#000,#fff>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rowcolor=#000,#fff>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rowcolor=#000,#fff>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rowcolor=#000,#fff>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미정
콜라보*1 TV스페셜*2
총집편*3
*1 타 작품과의 콜라보작. 국내 극장 개봉함. *2 일본 현지방송 특집 편성작(극장 미개봉). 국내 극장 개봉함. *3 특정 인물의 이야기. 국내 극장 개봉함. | 명탐정 코난 극장판 템플릿 보기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rowcolor=#fff,#1c1d1f> 기수 제목 개봉일 주요 소재 특징
<colbgcolor=#ffd700,black><colcolor=black,#ffd700> 01 시한장치의 마천루
時計じかけの摩天楼
The Time-Bombed Skyscraper
파일:일본 국기.svg 1997.04.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08.04.(TV 방영) 2024. 10.02(국내 개봉)
폭탄 테러, 건축 시리즈 첫 작품, 시라토리 닌자부로의 작중 첫 등장, 쿠도 신이치의 생일이 공개됨(5월 4일), 신이치의 지시로 란이 폭탄을 제거함.
02 14번째 표적
14番目の[ruby(標的, ruby=ターゲット)]
The Fourteenth Target
파일:일본 국기.svg 1998.04.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08.11.(TV 방영) 2025. 02.14.(국내 개봉)
연쇄 살인, 트럼프 모리 코고로가 형사를 그만둔 과거 공개.
03 세기말의 마술사
世紀末の魔術師
The Last Wizard of the Century
파일:일본 국기.svg 1999.0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08.18.
괴도 키드, 로마노프 왕조, 그리고리 라스푸틴 하이바라 아이핫토리 헤이지, 토야마 카즈하의 극장판 데뷔. 란이 코난의 정체를 의심함, 키드가 처음으로 신이치로 변장함.
04 눈동자 속의 암살자
瞳の中の暗殺者
Captured in Her Eyes
파일:일본 국기.svg 2000.04.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08.25.
기억 상실, 경찰, 트로피컬 랜드 코믹스 1권에 나온 둘의 마지막 데이트가 나옴.
05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天国へのカウントダウン
Countdown to Heaven
파일:일본 국기.svg 2001.04.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07.22.
검은 조직, 후지산, 탈출, 카운트다운, 초 세기 검은 조직의 첫 극장판 등장.
06 베이커가의 망령
ベイカー[ruby(街, ruby=ストリート)]の亡霊
The Phantom of Baker Street
파일:일본 국기.svg 2002.04.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05.01.
가상 게임, 셜록 홈즈, 19세기 런던, 잭 더 리퍼 유사쿠의 극장판 첫 등장[105], 범인을 처음부터 공개함, 현실과 가상에서 이중 스토리가 전개.
07 미궁의 십자로
迷宮の[ruby(十字路, ruby=クロスロード)]
Crossroad in the Ancient Capital
파일:일본 국기.svg 2003.04.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10.13.
교토, 검도,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무사시보 벤케이 핫토리 헤이지의 첫사랑이 나옴, 처음이자 마지막인 냉병기 액션, 아야노코지 후미마로의 작중 첫 등장, 아직까지 하나뿐인, 잠시나마 코난이 쿠도 신이치로 되돌아온 극장판.
08 은빛 날개의 마술사
銀翼の[ruby(奇術師, ruby=マジション)]
Magician of the Silver Sky
파일:일본 국기.svg 2004.0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01.24.
괴도 키드, 조제핀 드 보아르네, 비행기 최초의 공중 배경 극장판.
09 수평선상의 음모
水平線上の[ruby(陰謀, ruby=ストラテジー)]
Strategy Above the Depths
파일:일본 국기.svg 2005.04.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08.07.
호화여객선 처음으로 모리 코고로가 크게 활약함.
10 탐정들의 진혼가
探偵たちの[ruby(鎮魂歌, ruby=レクイエム)]
The Private Eyes' Requiem
파일:일본 국기.svg 2006.04.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02.13.
10주년, 올스타, 미라클 랜드, 인질, 추리 게임 이 다자레(썰렁) 퀴즈를 냄, 요코미조 쥬고의 극장판 데뷔, 미야모토 유미, 야마무라 미사오, 하쿠바 사구루의 간접적 데뷔.
11 감벽의 관
紺碧の[ruby(棺, ruby=ジョリー・ロジャー)]
Jolly Roger in the Deep Azure
파일:일본 국기.svg 2007.04.2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02.14.
남쪽의 섬, 트레저 헌팅, 앤 보니&메리 리드, 해저유적 소노코가 주연으로 활약.
12 전율의 악보
戦慄の[ruby(楽譜, ruby=フルスコア)]
Full Score of Fear
파일:일본 국기.svg 2008.04.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02.14.
클래식 음악, 절대음감, 콘서트 홀 신이치의 절대음감을 공개함.
13 칠흑의 추적자
漆黒の[ruby(追跡者, ruby=チェイサー)]
The Raven Chaser
파일:일본 국기.svg 2009.04.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07.29.
검은 조직, 칠석, 도쿄 타워, 별자리, 연쇄 살인 요코미조 산고 포함 지방 경찰 레귤러들의 극장판 데뷔, 베르무트, 키안티, 코른의 극장판 데뷔, 다쟈레(썰렁) 퀴즈가 처음으로 도움이 됨[106].
14 천공의 난파선
天空の[ruby(難破船, ruby=ロスト・シップ)]
The Lost Ship in the Sky
파일:일본 국기.svg 2010.0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07.21.
괴도 키드, 비행선, 하이재킹, 테러리스트, 생화학 테러 스즈키 지로키치의 극장판 데뷔, 코난과 키드의 첫 팀 플레이, 처음으로 네임드 사망자가 없음.
15 침묵의 15분
沈黙の[ruby(15分, ruby=クォーター)]
Quarter of Silence
파일:일본 국기.svg 2011.04.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08.03.
15주년, 겨울, 다이아몬드 더스트, 눈사태, 댐 최초의 겨울 배경의 극장판, 코난이 눈사태에 파묻힘. 코바야시 스미코가 짧게 등장. 17기 이후 '진실은 언제나 하나'의 포즈 정립.
16 11번째 스트라이커
11人目のストライカ
The Eleventh Striker
파일:일본 국기.svg 2012.04.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07.19.
축구, J리그, 폭탄 테러 실제 J리그 선수들이 등장함.
17 절해의 탐정
絶海の[ruby(探偵, ruby=プライベート・アイ)]
Private Eye in the Distant Sea
파일:일본 국기.svg 2013.04.20. 이지스함, 스파이, 해상자위대 코난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눈물을 흘림.
18 이차원의 저격수
異次元の[ruby(狙撃手, ruby=スナイパー)]
Dimensional Sniper
파일:일본 국기.svg 2014.04.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08.06.
네이비 씰, 주일미군, 저격, 벨트리 타워, 주사위, 은성 훈장 세라 마스미, FBI, 오키야 스바루의 극장판 데뷔, 이후 극장판 작품에서 나오는 폭죽 축구공의 첫 등장, 극장판 최초로 영어 더빙이 쓰임.
19 화염의 해바라기[107]
業火の向日葵
Sunflowers of Inferno
파일:일본 국기.svg 2015.04.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08.05.
괴도 키드, 빈센트 반 고흐, 해바라기, 화재 본래 살인 사건이 있었으나 삭제됨.
20 순흑의 악몽
純黒の[ruby(悪夢, ruby=ナイトメア)]
The Darkest Nightmare
파일:일본 국기.svg 2016.04.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08.03.
20주년, 검은 조직, 관람차, 아카이 슈이치, 아무로 토오루, 미즈나시 레나의 극장판 데뷔. 검은 조직의 2인자 이 언급됨.
21 진홍의 연가
から紅の[ruby(恋歌, ruby=ラブレター)]
The Crimson Love Letter
파일:일본 국기.svg 2017.04.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08.02.
단풍, 카루타, 로맨스 오오카 모미지, 이오리 무가, 핫토리 시즈카의 극장판 데뷔.
22 제로의 집행인
ゼロの執行人
Zero the Enforcer
파일:일본 국기.svg 2018.04.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08.08.
후루야 레이, 공안, 검찰, IoT 테러, 인공위성 코난 시리즈 역대 최초로 글로벌 박스오피스 1억 달러 돌파(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역대 11번째), 쿠로다 효우에의 극장판 데뷔, 15기 이후 처음으로 벽돌 배경이 안쓰임.
23 감청의 권
紺青の[ruby(拳, ruby=フィスト)]
The Fist of Blue Sapphire
파일:일본 국기.svg 2019.04.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07.24.
괴도 키드,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가라테, 해상강도 쿄고쿠 마코토의 극장판 데뷔, 극장판 최초의 해외 배경.
24 비색의 탄환
緋色の弾丸
The Scarlet Bullet
파일:세계 지도.svg 2021.04.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04.16.
아카이 슈이치, 나고야시, FBI, 초전도 리니어 열차 메리 세라, 하네다 슈키치의 극장판 데뷔.
범유행전염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코난 시리즈 최초로 개봉 연기
극장판 최초로 전세계 동시 개봉
25 할로윈의 신부
ハロウィンの花嫁
The Bride of Halloween
파일:일본 국기.svg 2022.04.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07.13.
경찰동기조, 할로윈, 시부야, 경시청, 국제 폭탄 테러 후루야 레이가 주역, 경찰동기조의 극장판 데뷔
26 흑철의 어영
黒鉄の[ruby(魚影, ruby=サブマリン)]
Black Iron Submarine
파일:일본 국기.svg 2023.04.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07.20.
하이바라 아이, 검은 조직, 잠수함, 하치조지마 & 하이바라 아이가 주역, 검은 조직
27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100万ドルの[ruby(五稜星, ruby=みちしるべ)]
The Million-dollar Pentagram
파일:일본 국기.svg 2024.04.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07.17
핫토리 헤이지, 괴도 키드, 하코다테, 도검 오키타 소시, 나카모리 아오코, 오니마루 타케시 극장판 데뷔, 쿠도 유키코 극장판 정식 데뷔,[108] 코난 시리즈 사상 최초 단일 극장판 일본 내 관객수 1000만명 돌파
28 척안의 잔상
隻眼の[ruby(殘像, ruby=フラッシュバック)]
One-Eyed Flashback
파일:일본 국기.svg 2025. 04.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07.16[109]
나가노 형사들, 목장, 곤충, 눈사태 모로후시 타카아키 극장판 데뷔
29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2026. 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적 하기와라 치하야 극장판 데뷔

5.1. 4DX로 재개봉, 동시개봉된 극장판

기수 제목 재개봉일
20 명탐정 코난: 순흑의 악몽
純黒の[ruby(悪夢, ruby=ナイトメア)]
파일:일본 국기.svg 2018.02.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06.27.
22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
ゼロの執行人
파일:일본 국기.svg 2018.1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01.09.
23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紺青の[ruby(拳, ruby=フィスト)]
파일:일본 국기.svg 2019.08.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11.26.
24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緋色の弾丸
파일:일본 국기.svg 2021.04.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04.16.
25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ハロウィンの花嫁
파일:일본 국기.svg 2022.04.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08.31.
26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黒鉄の[ruby(魚影, ruby=サブマリン)]
파일:일본 국기.svg 2023.04.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11.29.
27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100万ドルの[ruby(五稜星, ruby=みちしるべ)]
파일:일본 국기.svg 2024.04.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10.30.

5.2. IMAX로 동시개봉된 극장판

기수 제목 재개봉일
24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緋色の弾丸
파일:일본 국기.svg 2021.04.16.
25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ハロウィンの花嫁
파일:일본 국기.svg 2022.04.15.
26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黑鉄の漁影
파일:일본 국기.svg 2023.04.14.
27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100万ドルの五稜星
파일:일본 국기.svg 2024.04.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07.17[110]
28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隻眼の殘像
파일:일본 국기.svg 2025.04.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07.16

5.3. Dolby Cinema로 동시개봉된 극장판

기수 제목 재개봉일
24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緋色の弾丸
파일:일본 국기.svg 2021.04.16.
25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ハロウィンの花嫁
파일:일본 국기.svg 2022.04.15.
26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黑鉄の漁影
파일:일본 국기.svg 2023.04.14.
27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100万ドルの五稜星
파일:일본 국기.svg 2024.04.12.

6.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줄거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줄거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줄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탐정 코난/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주요 스태프

9. 작품별 극장 흥행 성적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일본 흥행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영화 제목 제작연도 감독 박스오피스 (단위: 일본 엔)
1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2020년 소토자키 하루오 404.3억 엔
2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년 미야자키 하야오 316.8억 엔
3위 너의 이름은. 2016년 신카이 마코토 251.7억 엔
4위 원피스 필름 레드 2022년 타니구치 고로 203.3억 엔
5위 모노노케 히메 1997년 미야자키 하야오 201.8억 엔
6위 하울의 움직이는 성 2004년 미야자키 하야오 196억 엔
7위 더 퍼스트 슬램덩크 2022년 이노우에 다케히코 163.4억 엔
8위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2024년 나가오카 치카 158억 엔
9위 벼랑 위의 포뇨 2008년 미야자키 하야오 155억 엔
10위 스즈메의 문단속 2022년 신카이 마코토 149.4억 엔
11위 날씨의 아이 2019년 신카이 마코토 142.3억 엔
12위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2023년 타치카와 유즈루 138.8억 엔
13위 극장판 주술회전 0 2021년 박성후 138억 엔
14위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2025년 시게하라 카츠야 122억 엔[상영중]
15위 바람이 분다 2013년 미야자키 하야오 120.2억 엔
16위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2024년 미츠나카 스스무 111.4억 엔
17위 신 에반게리온 극장판 𝄇 2021년 안노 히데아키 108.2억 엔
18위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2022년 미츠나카 스스무 97.8억 엔
19위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2019년 나가오카 치카 93.7억 엔
20위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2023년 미야자키 하야오 93.2억 엔

[상영중]

}}}}}}}}} ||


박스오피스(B.O.) 1위란 일본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가리킨다.
기수(연도) 제목 월드 B.O.[114] 일본 흥행 수입 한국 관객 수 월드 B.O. 기준
흥행 순위[115]
01(1997년) 시한장치의 마천루 $1,405,083 11억 엔 87,641명 (2024년)[4K자막] 27위
02(1998년) 14번째 표적 $14,528,588 18.5억 엔 79,182명 (2025년)[4K자막] 26위
03(1999년) 세기말의 마술사 $17,719,333 26억 엔(B.O. 1주 1위[118]) TV 방영 25위
04(2000년) 눈동자 속의 암살자 $25,455,861 25억 엔 TV 방영 21위
05(2001년)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29,555,701 29억 엔 TV 방영 19위
06(2002년) 베이커가의 망령 $35,926,093 34억 엔(B.O. 2주 연속 1위) 124,139명 (2008년)[119] 15위
07(2003년) 미궁의 십자로 $33,006,492 32억 엔(B.O. 3주 연속 1위) TV 방영 16위
08(2004년) 은빛 날개의 마술사 $28,430,972 28억 엔(B.O. 1주 1위) 176,495명 (2013년) 20위
09(2005년) 수평선상의 음모 $22,699,114 21.5억 엔(B.O. 1주 1위) 389,873명 (2013년) 24위
10(2006년) 탐정들의 진혼가 $30,848,980 30.3억 엔(B.O. 3주 연속 1위) 182,668명 (2014년) 18위
11(2007년) 감벽의 관 $26,834,266 25.3억 엔(B.O. 2주 연속 1위) 242,603명 (2018년) 21위
12(2008년) 전율의 악보 $24,576,215 24.2억 엔(B.O. 2주 연속 1위) 116,059명 (2019년)[자막] 23위
13(2009년) 칠흑의 추적자 $39,664,359 35억 엔(B.O. 3주 연속 1위) 661,550명 12위
14(2010년) 천공의 난파선 $31,944,609 32억 엔[121] 628,423명 17위
15(2011년) 침묵의 15분 $42,808,578 31.5억 엔(B.O. 1주 1위) 644,652명 11위
16(2012년) 11번째 스트라이커 $44,068,406 32.9억 엔(B.O. 1주 1위) 525,169명 9위
17(2013년) 절해의 탐정 $36,054,366 36.3억 엔(B.O. 4주 연속 1위) 미개봉[122] 14위
18(2014년) 이차원의 저격수 $39,424,975 41.1억 엔(B.O. 1주 1위[123]) 398,761명[124] 13위
19(2015년) 화염의 해바라기 $43,782,211 44.8억 엔[125] 471,319명 10위
20(2016년) 순흑의 악몽 $66,265,957 63.3억 엔(B.O. 3주 연속 1위) 522,344명 8위
21(2017년) 진홍의 연가 $63,144,805 68.9억 엔(B.O. 1주 1위) 450,705명[자막] 7위
22(2018년) 제로의 집행인 $108,105,223[127] 91.8억 엔(B.O. 7주 연속 1위)[128] 419,998명 4위
23(2019년) 감청의 권 $119,875,024 93.7억 엔(B.O. 3주 1위)[129] 220,631명[자막] 2위
24(2021년) 비색의 탄환 $102,637,492 76.5억 엔(B.O. 5주 연속 1위) 234,945명 6위
25(2022년) 할로윈의 신부 $102,767,033 97.8억 엔(B.O. 4주 연속 1위) 495,842명 5위
26(2023년) 흑철의 어영 $129,511,803 138.8억 엔(B.O. 2주 연속 1위) 801,511명 1위
27(2024년)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108,136,957 158억 엔(B.O. 6주 연속 1위) 740,116명 3위
28(2025년) 척안의 잔상 405,870명

원래 도호에서 매년 배급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 중 흥행 성적이 평균적으로 가장 앞섰던 것은 도라에몽이었고 그 뒤를 포켓몬스터,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가 잇는 식이었다.[131] 그러나 2013년 절해의 탐정부터 포켓몬스터를 따라잡더니 2015년 화염의 해바라기부터는 도라에몽도 눌러버리고 흥행 성적에서 1위로 올라섰으며, 2017년 이후로는 일본 국내 영화 흥행 순위권에 들어갈 정도로 위상이 상승했다. 2020년대 기준으로는 명탐정 코난 > 도라에몽 > 짱구는 못말려 순으로 흥행 성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기준으로 역대 최고 흥행작은 일본 기준 27기 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한국 기준 26기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이다.

2018년 제로의 집행인 이후 글로벌 흥행은 모조리 1억 미국 달러를 넘기고 있다.

10.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애니메이션상

2007년에 일본 영화계 최고 영화상인 일본 아카데미상을 주최하는 일본 아카데미상 협회가 일본 아카데미상 정식 상 부문에 애니메이션 작품상을 신설한 이래, 명탐정 코난 극장판은 2006년 개봉작 탐정들의 진혼가(10기)부터[132] 2011년 개봉작인 침묵의 15분(15기)까지 6년 연속으로 최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비록 최우수상은 한 번도 수상하지 못했지만, 최우수상에 노미네이트될 경우 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자동으로 받게 되기에, 코난 극장판은 2012년까지 6년 연속 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하게 되었다.[133] 전성기가 지났음에도 극장판 시리즈가 퀄리티 부분에서 여전히 높은 지지를 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 후에도 18기, 21~23기, 26기 극장판이 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11. 기타 극장판

12. TVA 연계 에피소드

17기인 절해의 탐정부터는 개봉 시기에 맞춰 TVA에서도 사건이 일어나기 28기인 척안의 잔상을 제외하고 전날의 에피소드를 방영해 주고 있으며, 척안의 잔상은 사건이 끝난 이후에 나온 에피스드 이다. 16기까지는 OVA를 따로 발매해 극장판과 간접적으로 이어지는 연관 에피소드를 송출해주었다.

13. 주제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주제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주제가#s-2.3|2.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주제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퀴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퀴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퀴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극장판/퀴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극장판의 단골멘트.[137]

15. 엠블럼

명탐정 코난 극장판 오프닝과 포스터 하단에 등장하며 극장판 4기부터 엠블럼에 코난이 추가되었다.
파일:시한장치의 마천루 엠블럼.webp 파일:14번째 표적 엠블럼.jpg 파일:세기말의 마술사 엠블럼.png
시한장치의 마천루 14번째 표적 세기말의 마술사
파일:눈동자 속의 암살자 엠블럼.png 파일: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엠블럼.png 파일:베이커가의 망령 엠블럼.png
눈동자 속의 암살자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베이커가의 망령
파일:미궁의 십자로 엠블럼.png 파일:은빛 날개의 마술사 엠블럼.png 파일:수평선상의 음모 엠블럼.png
미궁의 십자로 은빛 날개의 마술사 수평선상의 음모
파일:탐정들의 진혼가 엠블럼.png 파일:감벽의 관 엠블럼.png 파일:전율의 악보 엠블럼.png
탐정들의 진혼가 감벽의 관 전율의 악보
파일:칠흑의 추적자 엠블럼.jpg 파일:천공의 난파선 엠블럼.png 파일:침묵의 15분 엠블럼.png
칠흑의 추적자 천공의 난파선 침묵의 15분
파일:11번째 스트라이커 엠블럼.png 파일:절해의 탐정 엠블럼.png 파일:이차원의 저격수 엠블럼.png
11번째 스트라이커 절해의 탐정 이차원의 저격수
파일:화염의 해바라기 엠블럼.png 파일:순흑의 악몽 엠블럼.png 파일:진홍의 연가 엠블럼.png
화염의 해바라기 순흑의 악몽 진홍의 연가
파일:제로의 집행인 엠블럼.png 파일:감청의 권 엠블럼.png 파일:비색의 탄환 엠블럼.png
제로의 집행인 감청의 권 비색의 탄환
파일:할로윈의 신부 엠블럼.png 파일:흑철의어영 엠블럼.png 파일:100만 달러의 오릉성 엠블럼.png
할로윈의 신부 흑철의 어영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파일:척안의 잔상 엠블럼.png
척안의 잔상

16. 원화 포스터[138]

파일:베이커가의 망령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파일:명탐정 코난 미궁의 십자로 원화 포스터.jpg 파일:은빛날개의 마술사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베이커가의 망령 미궁의 십자로 ''''''
파일:수평선상의 음모 원화 포스터.png 파일:전율의 악보 원화 포스터.jpg 파일:칠흑의 추적자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수평선상의 음모 전율의 악보 칠흑의 추적자
파일:천공의 난파선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파일:침묵의 15분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파일: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 원화 포스터.jpg
천공의 난파선 침묵의 15분 ''''''
파일:절해의 탐정 원화 포스터.jpg 파일:이차원의 저격수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파일:화염의 해바라기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절해의 탐정 이차원의 저격수 화염의 해바라기
파일:순흑의 악몽 원화 포스터.jpg 파일:진홍의 연가 원화 포스터 한글 (사이즈 조정).png 파일:제로의 집행인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순흑의 악몽 원화 포스터 한글.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진홍의 연가 한글 원화 포스터.jpg }}}}}}}}} 제로의 집행인
순흑의 악몽 진홍의 연가
파일:감청원화.jpg 파일:비색의 탄환 원화 포스터.jpg 파일:할로윈의 신부 원화 포스터.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국내 원화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할로윈의 신부 원화 포스터 한글 (사이즈 조정).png }}}}}}}}}
감청의 권 비색의 탄환 할로윈의 신부
파일:흑철의 어영 원화 포스터 (사이즈 조정).png 파일:명탐정 코난 100달러의 오릉성 원화 포스터.jpg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28기 척안의 잔상 원화 티저 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흑철의 어영 원화 포스터 한글 (사이즈 조정).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00만달러의 펜타그램 한글 원화 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 28기 척안의 잔상 한글 원화 포스터.webp }}}}}}}}}
흑철의 어영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척안의 잔상

17. 메인 포스터

10기, 15기, 28기는 시그니처 복장을 입지 않았다. 여담으로 작중에서도 오프닝을 제외하고 시그니처 복장을 한번도 입지 않은 극장판은 3기, 9기~11기, 14기~26기, 28기이다.
파일:external/2.bp.blogspot.com/Detective-Conan-01.jpg 파일:명탐정 코난 14번째 표적 표지.jpg 파일:twolc.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시한장치의 마천루 (리마스터링) 개봉 포스터 NEW.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난 14번째 표적 리마스터 개봉 포스터 (업스케일링).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시한장치의 마천루 14번째 표적 세기말의 마술사
파일:명탐정 코난-눈동자 속의 암살자.jpg 파일: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포스터.jpg 파일:베이커가의 망령 원판.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베이커가의 망령 포스터 (업스케일링).jpg }}}}}}}}}
눈동자 속의 암살자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 베이커가의 망령
파일:미궁의 십자로 원판 포스터.jpg 파일:은빛날개의 마술사 일본 포스터.jpg 파일:명탐정코난: 수평선상의 음모 원화 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22290042_843142795860638_2135500158213901943_o.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uf/image/U01/ruliweb/50BC60A0437076002B?filename=1.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attachment/conan_9_korean_poster.jpg }}}}}}}}}
미궁의 십자로 은빛 날개의 마술사 수평선상의 음모
파일:탐정들의 진혼가 원판 고화질.jpg 파일:감벽의관포스터.jpg 파일:전율의 악보 원판 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attachment/1028620101_272072bd.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명탐정코난 감벽의관 한국메인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전율의 악보 국내 포스터.jpg }}}}}}}}}
탐정들의 진혼가 감벽의 관 전율의 악보
파일:칠흑의 추적자 원판.jpg 파일: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 원화 포스터.jpg 파일:침묵의 15분 원판.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83d352512398c6004c627f18a0df2a7ea3d771d63c14be86f4b04864415f1dbd.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0e11dc50e079465064bd62e502cbdba548b7744109d214dc329bb9e5a94ec5be.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9400be3b0b404b502650714ce4473cfb5bc0f0fdddc392b6f1723c11c0b33179.jpg }}}}}}}}}
칠흑의 추적자 천공의 난파선 침묵의 15분
파일: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 원화 포스터.jpg 파일:절해의 탐정 메인 포스터.jpg 파일:명탐정 코난: 이차원의 저격수 원화 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movie.phinf.naver.net/movie_image.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00619911a6c694149e2670ae387ae405fd25310976ac809aeb5b4d136243c92c.jpg }}}}}}}}}
11번째 스트라이커 절해의 탐정 이차원의 저격수
파일:화염의 해바라기 원판.jpg 파일:순흑의 악몽 원판.jpg 파일:진홍의 연가 원판 포스터.webp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화염의해바라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6c338ca808ae3e0ecce5ea35572ebf733baabdc29f054b49cf28da9a715d1b1a.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진홍의 연가 포스터2.jpg }}}}}}}}}
화염의 해바라기 순흑의 악몽 진홍의 연가
파일:제로의 집행인 원판.jpg 파일:Dw_n0lLUUAA2Hzd.jpg 파일:명탐정 코난 극장판24기 비색의 탄환 메인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yes24_02.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국내 공식 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 국내 공식포스터2.jpg }}}}}}}}}
제로의 집행인 감청의 권 비색의 탄환
파일:명코 할로윈의 신부 메인 포스터.jpg 파일:흑철 포스터.jpg 파일:명탐정 코난 100만 달러의 오릉성 메인 포스터.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국내 공식 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난 26기 흑철의 어영 메인 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00만달러의 펜타그램 고화질 한글 포스터.jpg }}}}}}}}}
할로윈의 신부 흑철의 어영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파일: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메인 포스터.webp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척안의 잔상 한국 공식 메인 포스터.jp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
척안의 잔상

17.1. 메인 포스터에 등장한 인물들

레귤러 캐릭터의 등장횟수를 정리하자면

18. 여담

19. 외부 링크

20. 둘러보기

일본의 연례 개봉 애니메이션 극장판
봄방학 골든 위크 여름방학
도라에몽 극장판 명탐정 코난 극장판 날아라 호빵맨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21. 관련 문서


[1] 항상 크레용 신짱과 개봉일이 겹치거나 일주일 이내의 차이를 두고 개봉하여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코로나 사태를 거치며 크레용 신짱 극장판은 8월 중에 공개되고 있다.[2] #. 1위는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이다. 다만 현재 두 시리즈 간의 차이가 약 4억 달러까지 좁혀진데다 코난 극장판이 매년 개봉할 때마다 큰 흥행을 보이는 중이라 근 2~3년 내에 역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3] 대표적으로 25기에 등장한 시부야, 26기의 주 배경이 된 하치조지마, 27기의 주 배경이 된 하코다테 등의 사례가 있다. 28기 극장판은 아예 해당 지역 관광과 공무원이 자신들이 몇십년 홍보 사업을 해온 것보다 코난 극장판 개봉으로 인한 홍보 효과가 더 크다고 언급할 정도.[4] 명탐정 코난이 TMS 엔터테인먼트의 간판 시리즈가 되면서 오히려 그쪽 스태프는 다 코난 극장판으로 밀어버리고 루팡 3세는 신인이 만들던 시기가 있기도 했다.[5] TV판은 매주 방영되어 제작 시간이 늘 부족한 데다가 해외 하청 비중까지 높아 작붕이 심한 에피소드도 다수 방영되는 등 극장판과 퀄리티 차이가 꽤 심하게 난다.[6] 일본판 한정 소소한 차이점으로, TV판 '명탐정 코난' 로고와 극장판 '명탐정 코난' 로고의 '코난' 부분 테두리 색깔이 서로 다른데, TV판은 하얀색이고 극장판은 노란색이다. 또한 '명탐정' 부분에 후리가나가 달려 있으며 '명탐정' 글자 위에 'DETECTIVE CONAN'표기가 없다. 이것은 극장판 1기 때부터 지금까지 동일하다.[7] 이 더빙체험은 4기 극장판인 눈동자 속의 암살자부터 시작되었으며, 24기 극장판 비색의 탄환에서는 코로나 사태의 영향으로 진행되지 않았다.[8] 심지어는 제로의 집행인에 나온 드론까지도 실제로 있는 드론이라고 한다.[9] 2기 '14번째 표적'과 16기 '11번째 스트라이커'의 경우 제목을 번역하면서 '의'가 빠진 것일 뿐, 원판을 직역하면 14번째의 표적, 11번째의 스트라이커가 된다.[10] 유일하게 한자로 쓰고 영어로 읽는 것이 아니라, 한자로 쓰고 다른 단어로 읽는 방식을 택했다.[11] 이 부분은 TVA 76화(코난 vs. 괴도 키드)와 129화(검은 조직에서 온 여자) 시작 전에도 들어가 있으며, 둘 다 스페셜 방송이다.[12] 주로 생략대상이 되는건 모리 코고로나 아가사 박사의 메카에 대한 것들이다.[13] 이때 맨 마지막에는 반드시 하이바라 아이가 나온다.[14] 인기 캐릭터를 주연으로 내세우는 요즘 극장판의 경우 코난의 정체를 아는 사람들의 설명은 거의 생략하고 주연 캐릭터 위주로만 설명이 나온다.[15] 이 대사는 TV 애니메이션 2화~30화 시작할 때마다 나왔던 대사이기도 하다.[16] + 해당 극장판의 또다른 주연들. 아카이, 아무로, 마코토, 키드, 핫토리 등등[17] 보통 아가사 박사의 발명품일 때가 많다.[18] 영화 개봉 전, 홍보물에 퀴즈가 미리 공개된다. 답은 영화 안에. 사실상 고정된 이벤트.[19] 더빙판에서는 '썰렁 퀴즈'로 표현된다.[20] 8기 은빛날개의 마술사[21] 10기 탐정들의 진혼가[22] 2기 14번째 표적[23] 15기 침묵의 15분, 18기 이차원의 저격수. 전자의 경우 아가사가 낸 퀴즈에 덧붙여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박사를 디스한 것이고, 후자는 아가사의 퀴즈가 도가 지나칠 정도로 썰렁했던지라 보다못한 본인이 새로 낸 것이다. 실제로 반응이 훨씬 좋기도 했고…[24] 코난 극장판에서 처음으로 3D가 비춰졌다. 3D연출이 본편에서 사용된건 미궁의 십자로 부터다.[25] 이때 모래시계는 카운트다운을 의미하고 유리창이 깨지는 것은 후반부 자동차 돌진 장면을 암시한다.[26] 런던이 비춰지는 것은 '올드타임 런던'을 타이틀이 나올때 전자배경이 나오는것은 인공지능을 의미한다.[27] 반시계방향으로 시곗바늘이 도는 시계는 코쿤 게임의 탈락자를 의미한다.[28] 유사쿠와 부부싸움해서 유키코가 귀국하고 코난을 데리고 집에 들어가는 씬.[29] 해당 에피소드의 범인이 자살하려고 일본도를 목에 들이밀고 만류하는 일행들한테 칼을 휘두르자 시즈카가 부채로 그것을 막는 장면.[30] 여기서도 피해자의 시체가 나가노 현, 군마 현의 관할구역 경계에 놓여서 야마토, 우에하라가 수사권을 놓고 야마무라랑 말다툼한다. 참고로 야마무라가 두 사람을 보고 어디서 보지 않았냐 하자 앙금이 생긴 칸스케가 짜증을 내면서 이 극장판 당시의 사건을 언급했다. 다르게 보면 야마무라는 이 당시 사건 수사 때 본인의 실수는 반성하지 않고 어물쩡 넘긴 듯 하다.[31] 마지막에 오키야 스바루가 목을 두드리고 아카이 슈이치의 목소리로 대답을 한다.[32] 당시 원작 만화에서 아카이 슈이치가 살아있다는 내용의 주홍색 시리즈가 연재되고 있었기에 이에 맞춰 넣은 이스터 에그였으나, 정작 국내 연재 일정상의 문제로 이 극장판에서 이 사실을 처음 아는 경우도 꽤 있었다.[33] 이 캐릭터의 존재를 시사한 장면이다.[34] 13기 '칠흑의 추적자', 17기 '절해의 탐정', 18기 '이차원의 저격수'에도 출연했으나 코난과의 대면 장면이 전혀 없었다.[35] 기존 극장판에서 쓰였던 아가사 박사가 코난한테 자기 정체를 감추라고 조언하는 씬, 코난이 자기 가명을 대는 씬, 란이 코난을 탐정 사무소로 데려가는 씬 외에도 사건 해결 이후 코고로가 코난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코난과 생활할 것을 승낙하는 씬이 나왔다.[36] 미정. 원작의 내용이 극장판에 반영된 경우인지, 극장판의 내용이 원작에 반영된 경우인지 아직 나오지 않았다.[37] 다만 전임 성우 이치조 미유키를 기리는 의도에서인지 해당 씬에는 목소리를 삽입하지 않았다.[38] 이 때의 하쿠바는 괴도 키드의 변장이었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핫토리는 하쿠바를 본 적이 있고, 하쿠바는 그게 기억에 없다는 설정으로 가는 게 맞을 텐데...[39] "전 제 스승처럼 제가 설계한 건물을 날리지는 않습니다."[40] 모리가 숫자와 관련된 연관을 지으며 다음은 자신 아니냐고 하자, 코난이 속으로 '그건 전에 있었잖아요...'라고 언급[41] 자신과 신이치가 체격과 외모가 비슷하다는 걸 이용해 맨얼굴로 변장했다. 따라서 가짜 얼굴이 아니기에 꼬집힌다고 해서 가짜 얼굴이 드러나지 않는다.[42] 25기는 다테 와타루의 국내판 성우를 아직 캐스팅하지 않은 상태이기에 원판 목소리 그대로 나온 것으로 추정.[43] TVA 3번째 오프닝에 나왔던 그 장면이다.[44] 직후 크로스오버작인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HE MOVIE 예고 영상이 나온다. 루팡 3세코난이 서로 대화를 하고있는 장면이 백미다.[45] 여담으로, 그동안 실사나 목소리로만 나온 것과 달리 최초로 작중 캐릭터가 직접 등장한 쿠키 영상이다.[46] 괴도 키드를 클로즈업한 장면은 명탐정 코난: 에피소드 원 - 작아진 명탐정의 말미에 나왔던 괴도 키드 등장 장면을 배경만 바꾼 것이다.[47] VOD 더빙판은 "닿아라, 아주 먼 그곳에!"[48] 검은조직과의 재회 편에서 진이 굴뚝으로 탈출한 쉐리와 마주치고 그녀의 어깨에 총을 쏘면서 나온 대사이다.[49] 바람과 감기 모두 일본어에서 '카제'로 발음이 같다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50] 예를 들어 교토나 하코다테 같이 관광지로 이름이 있는 경우가 주로 그러하다.[51] 2008년 한국에서 시험삼아 코난 극장판을 처음 개봉할 때 6년 전 작품인 베이커가의 망령을 선택한 것도 한국에서 모든 극장판 중 베이커가의 망령의 인기가 제일 높았기 때문이다.[52] 흔히 여사님 전성기때라고 불리는 하이바라 아이의 레전드 작화도 대부분 이 시기에 나오게 되었다.[53] 단적으로 시리즈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는 어른제국의 역습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같은 날 개봉했고 두번째로 좋은 평가를 받는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와 코난 극장판 시리즈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베이커가의 망령같은 날에 개봉했다! 실로 엄청난 우연.[54] 심지어 두 작품 모두 다음 극장판에 각 작품이 자랑하는 흥행 카드를 전면에 내세워 개봉했었다. 짱구는 노하라 히로시가 주역인 로봇아빠편을 개봉했었고, 코난도 다음 작품이 검은 조직을 내세운 흑철의 어영 이었다.[55] 이후 3기 세기말의 마술사를 통해 코난 극장판은 첫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하게 된다.[56] 5기는 자동차로 건물을 날아서 이동했고 6기는 열차 승합칸의 와인의 부력으로 충격을 줄여서 살아남는 등[57] 대부분 아카이 슈이치의 저격액션이나 아가사박사의 메카닉들의 액션을 합친 액션이다.[58] 개봉일도 겹치고 평가도 비슷하게 좋은 시리즈인 크레용 신짱 극장판 시리즈[59] 이 둘의 흥행성적은 모두 도라에몽노비타와 날개의 용자들에 밀렸다. 참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도 같은 해에 개봉했다.[60] 고등학생이 대형 여객기인 보잉 747을 조종하거나, 일반인이 대형 보트를 운전하거나, 도심 한복판에서 헬기가 기관총을 난사한다던가, 초대형 비행선이 납치당하는 등.[61] 단, 국내에서는 시간이 지나며 시즈노 코분 감독 및 그 후의 작품 몇몇이 이 보다도 나쁜 평을 받고 있어 재평가되는 경우도 있는 편이다.[62] 스토리 자체가 어떤 사건보다는 큐라소라는 인물과 검은 조직 위주로 진행되다 보니 추리할 것 자체가 없다.[63] 22,26기: 타치카와 유즈루, 23~24,27기: 나카오카 치카, 25기: 미츠나카 스스무[64] 이 임기제 루머 때문에 1년만 하고 물러난 타치카와 유즈루는 사고쳐서 쫓겨났다는 루머에 시달리기도 했다.[65] 이것만큼은 원작 이상으로 살려내서, 소노코 팬덤에게 앞머리 내린 짤방 하나만 남았다(...)[66] 6기는 영어 부제가 붙은 TVA와 동일한 로고를 사용했다.[67] 22, 23, 24기는 포스터는 신 로고가 쓰였지만 극장판 오프닝 타이틀 장면에선 리뉴얼 로고로 나온다.[68] 1~4기까지는 2008년 여름방학에 주당 한 편씩 방영했고, 5기는 2009년에, 동년 개봉할 예정이었던 칠흑의 추적자 개봉 홍보의 목적으로 기타 검은 조직 에피소드와 함께 따로 방영되었다. 참고로 4기까지는 한국어 로고가 송출되지 않았다. 5기인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은 최초 방영 시에 1~4기와 마찬가지로 수출판 영상을 사용했지만 최초로 한국어 로고가 사용되었다.[69] 다만 2009년, 2010년 개봉작인 13기, 14기는 에이원엔터테인먼트가 배급을 담당하였으며, 15기는 미디어데이가 배급을 맡았다. 이 때는 CJ ENM이 오히려 같은 시기 개봉하는 도라에몽 극장판의 배급을 맡기도 하였으나, 2012년 11번째 스트라이커부터는 배급까지 CJ가 담당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70] 흑철의 어영까지 올라온 상태이다.[71] OCN은 엔딩크레딧이 매우 높은 확률로 커트당한다.[72] 이후 연계 에피소드인 사라진 전통의 화과자는 X파일 시즌 3 31화를 통해 방영되었다. 극장판 본편과는 달리 문제되는 요소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73] 비색의 탄환부터는 극장판 연관 총집편도 같이 개봉하고 있다.[74] 다만 2019년에 불매운동의 여파로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은 아예 개봉조차 못했던 것을 생각하면 코난 극장판이 짱구 시리즈보다 흥행력을 잃었다고 보기는 어렵다.[75]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는 58만명,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의 66만명은 물론이고 80만명까지도 넘겼다. 물론 포켓몬스터의 경우 상술했듯이 포켓몬빵 효과를 받은 게 있다.[76] 당시 로컬 더빙 상영이 금지당했을 때는 이미 화면 수정, 로컬라이징, 더빙 녹음, 믹싱 작업 등이 모두 끝난 상태였다.[77] 다만 연계 TVA 에피소드가 코난 20기에 국내로 방영되었을 때, WSG SEOUL 개최라고 로컬라이징되었다.[78] 다만 연계 TVA 에피소드가 대한민국에서 더빙판 21기로 방영되었을 때, 시부야가 도심으로 로컬라이징되였다.[79] 23기 극장판은 완전히 로컬라이징 불가 방침을 일본 제작사에서 내려 퀴즈 역시 일본어 문제로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24기와 25기는 한자를 이용한 문제였으므로 로컬라이징을 할 필요가 없었다. 이번 작은 속담과 일상 표현을 활용해야 했기에 로컬라이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었고, 결국 퀴즈 로컬라이징은 이루어진 것이다.[80] 예시: '안기준 형'이라는 더빙판 대사에 맞게 '아무로 씨'가 아닌 '아무로 형'이라고 코난이 부른다.[81] 제작사 쪽이 다른 국가들의 현지화도 제제하는 분위기로 봐선 사실상 현지화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82] 현재 코난 극장판의 현지화가 금지된 이유로 중국의 불법 스트리밍 시청자들의 컴플레인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기도 하다.#[83] 역으로 자막판과 코믹스를 위주로 보는 팬들에게 한국어 더빙판 이름을 대면 그게 누구였더라?라며 혼란스러워하기도 한다. 그래도 입문은 더빙판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주연급 캐릭터들은 덜 헷갈려하는 편이다.[84] 비색의 탄환에서 하네다 슈키치미야모토 유미가 서로를 부르는 호칭이나 세라 마스미메리 세라를 부를 때 호칭이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를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유미땅(由美ッタン)'이나 '츄키치(チュ―キチ)'는 백 번 양보해서 원래 이 커플이 워낙 닭살이니(...) 오글거리는 느낌을 살리기 위해 유지할 수 있다고 하지만, '엄마'라고 번역해도 아무런 이상이 없을 '마마(ママ)'를 그대로 유지한 것은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는 매우 어색할 수밖에 없다. 척안의 잔상에서 우에하라 유이야마토 칸스케를 부르는 호칭인 '칸짱(敢ちゃん)'을 '칸스케'로 번역한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다.[85] 2025년 4월 21일 방영분부터.[86] 시한장치의 마천루와 비슷한 시기로 추정.[87] 2022년 하반기(일자 미확인)부터.[88] 2022년(일자 미확인)부터.[89] 2022년 11월 6일 이전(일자 미확인)부터.[90] 2016년 2월 14일 이전(일자 미확인)부터.[91] 투니버스는 2025년 8월 15일 23시 편성 취소 후부터 편성에서 제외되었다. 마지막 편성일은 7월 17일 22시.[92] 현재까지 이 작품만 SD 그대로 방영 중이다. 때문에 이 작품만 16:9 비율이 아닌걸 볼수있다.[93] 2025년 9월 13일 방영분부터.[94] 2025년 7월 28일 방영분부터.[95] 투니버스는 진홍의 수학여행 대체 편성 중. 2025-09-18 22:00.[96] 캐치온 최초방영. 투니버스는 2019년 2월 8일.[MINI] 미니무비 편성.[A] 이유들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전혀 일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시설물 폭파, 테러리즘 유발 등을 예로 들고 있는데 자기가 만든 건물들인 공공시설물을 죄다 폭파하고, 수중 레스토랑과 시설이 폭발하며, 타워 건물 한 쪽이 통째로 불타며, 배가 폭발하고 침몰하며, 도쿄 타워에 헬기 총질을 하고, 기차 다니는 터널과 댐을 폭파시키고, 비행기 추락시키는 걸로도 모자라 미술관에 불을 지르고, 대관람차에 폭탄 설치하고 총질하고, 정상회담장을 폭파하고 IOT 테러를 일으키며 인공위성 추락시키고,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을 파괴하고, 열차를 폭주시켜 올림픽 개막식장에 처박고, 시부야와 그 부근을 폭파시키려 하고 주변 관련 없는 사람들까지 모두 죽이려 하는 무자비를 일삼는 건 테러리즘이 아닌가? 절해의 탐정이야 한국과 함께 일제의 최대 피해자 중 하나인 중국이기에 납득이 되지만 나머지 영화들은 그저 구실만 갖다 붙였을 뿐 아마도 높으신 분의 호불호에 따른 입김에 의한 선택적 검열로 보인다.[A] 이유들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전혀 일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시설물 폭파, 테러리즘 유발 등을 예로 들고 있는데 도쿄 타워에 헬기 총질을 하고, 기차 다니는 터널과 댐을 폭파시키고, 비행기 추락시키는 걸로도 모자라 미술관에 불을 지르고, 대관람차에 폭탄 설치하고 총질하고, 정상회담장을 폭파하고 IOT 테러를 일으키며 인공위성 추락시키고,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을 파괴하고, 열차를 폭주시켜 올림픽 개막식장에 처박는건 테러리즘이 아닌가? 절해의 탐정이야 한국과 함께 일제의 최대 피해자 중 하나인 중국이기에 납득이 되지만 나머지 영화들은 그저 구실만 갖다 붙였을 뿐 아마도 높으신 분의 호불호에 따른 입김에 의한 선택적 검열로 보인다.[A] 이유들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전혀 일관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가 시설물 폭파, 테러리즘 유발 등을 예로 들고 있는데 도쿄 타워에 헬기 총질을 하고, 기차 다니는 터널과 댐을 폭파시키고, 비행기 추락시키는 걸로도 모자라 미술관에 불을 지르고, 대관람차에 폭탄 설치하고 총질하고, 정상회담장을 폭파하고 IOT 테러를 일으키며 인공위성 추락시키고,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을 파괴하고, 열차를 폭주시켜 올림픽 개막식장에 처박는건 테러리즘이 아닌가? 절해의 탐정이야 한국과 함께 일제의 최대 피해자 중 하나인 중국이기에 납득이 되지만 나머지 영화들은 그저 구실만 갖다 붙였을 뿐 아마도 높으신 분의 호불호에 따른 입김에 의한 선택적 검열로 보인다.[101] 한국과 미국과 캐나다와 호주와 뉴질랜드와 유럽 그리고 아시아 일부 국가도 마찬가지인만큼 유일하게 이견이 없다.[A] [103] 정확한 이유가 안나오는데 아마도 미군에 대한 자세한 묘사가 원인인 듯 하다. 실제로 미군에게 주는 훈장인 실버 스타가 나온다.[104] 카루타는 도박이 아닌데 어처구니가 없다고 밖에 할 말이 없다. 참고로 중국은 한국보다 왜색에 관대해서 왜색 때문에 개봉이 막힌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 왜색은 당당히 허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일전쟁에서 일본군중국인을 그렇게 많이 죽였어도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긴 것은 중국이니까!"라는 마인드로 넘어간다.[105] 쿠도 유키코는 가상 현실 게임 속 캐릭터로 등장.[106] 썰렁퀴즈의 주제는 비틀즈의 앨범인데, 중간에 계속 딱정벌레(비틀)의 등껍질에 붙어 있는 편의점 도시락 포장 테이프가 비틀즈의 정규 스튜디오 5집(Help!)을 의식해서 붙여진 V였다. 피해자가 비틀즈 세대였기 때문에 이 트릭을 써서 구조요청을 보냈고, 마침 아가세 박사도 비틀즈 세대라서 이해하고 구출할 수 있었다.[107] 원제는 업화의 해바라기.[108] 위의 베이커가의 망령 때랑 다르게 진짜 본인이 극장판에 나온 사례.[109] 원래 17일이었으나 하루 앞당겨졌다.[110] 7월 9일 공개전인 7월 5일에 일부 극장에서 IMAX로 예매 가능하는 등 해프닝이 있었다.[111] 2016년 7월 18일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이듬해 공개한 진홍의 연가의 엔딩 종반에 "In memory of 코우치 카즈나리"라는 추모의 문구를 올렸다.[112] 2004년에 그의 소속사 아파트에서 목매달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영화 각본으로서는 이 작품이 그의 마지막 작품이다.[113] 24기 이후에는 TV시리즈만 담당한다.[114] 오래된 작품들은 출처, 2015년 이후 작품들은 Numbers와 박스오피스 모조 자료.[115] 일본 박스오피스 기준과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본 엔화와 미국 달러화의 환율 변동과, 중국 영화 시장 개봉 여부에 따라 순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명탐정 코난 극장판은 중국공산당검열때문에 개봉 허가와 개봉 금지가 매번 번갈아 나온다.[4K자막] 과거 더빙판으로만 TV 방영했던 작품을 4K 리마스터링하여 자막판으로 국내 최초 극장 개봉.[4K자막] [118] 개봉 첫주엔 2위였다가 2주차에 1위를 차지했다.[119] 한국에서 개봉한 첫 명탐정 코난 극장판으로, 당시 일본에서 가장 흥행에 성공한 작품을 선택한 건 한국 흥행을 노리기 보단 사전 테스트를 위한 경향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날 시즌을 노려 개봉했으며, 이후 수입작들은 여름 방학 시즌에 맞춰 개봉한다.[자막] 자막판만 개봉, 더빙판은 추후 VOD 판매.[121]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라는 초대박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가 동시 개봉하는 바람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지 못하였다. 2위로 데뷔. 그러나 흥행 수입은 전후 작품들과 대동소이한 수준.[122] 알다시피 배경이 일본 제국 해군의 후신인 해상자위대인데다, 욱일기가 대놓고 등장한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 국내 개봉을 하지 않았으며 개봉한지 8년이 지났음에도 국내방영조차 되지 않았다. 다만 일본 현지를 통해 접한 관객들은 '너무 재미가 없어서 개봉하지 않은게 다행이다'는 의견도 많이 나왔다.[123] 초대박 작품인 겨울왕국이 일본에서 한창 위세를 떨치고 있을 때, 이차원의 저격수가 딱 한 번 주말 박스오피스 1위 자리에서 끌어내렸다. 다만, 흥행 수입 순위로는 겨울왕국이 더 앞섰는데, 겨울왕국이 3D 등으로 입장료가 더 비쌌기 때문이다.[124] 이 시기에 명량의 영향으로 코난은 물론 타 영화의 상영관 및 상영 횟수가 눈에 띌 정도로 줄었었다는걸 감안하면 선방한 관객수이다.[125] 개봉 첫 주엔 동시에 개봉한 '드래곤볼 극장판 - F의 부활'에 근소하게 밀려 2위를, 둘째 주부턴 드래곤볼 극장판을 제쳤지만 디즈니 실사영화 '신데렐라'에 밀리면서 주말 1위를 기록하지 못하였다. B.O. 1위를 기록하지 못한 마지막 코난 극장판이다.[자막] 자막판만 개봉, 더빙판은 로컬없이 따로 VOD 판매.[127] 명탐정 코난 시리즈 사상 최초 1억 달러 돌파.[128] 명탐정 코난 극장판 시리즈 역대 최장 B.O. 1위 기록이다.[129] 개봉 3주차에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밀려 2위를 기록하였다가, 4주차에 1위로 복귀하였다.[자막] [131] 요괴워치는 2014년부터 극장판을 만들기 시작했다. 극장판 2기까지는 도라에몽을 누를 정도로 흥행했으나 점점 추락하며 꼴찌로 밀려났다.[132] 일본 아카데미상은 전전년도 12월 초부터 전년도 11월 말 이내에 도쿄에서 개봉한 40분 이상의 영화와 애니메이션 작품 중 동일한 극장에서 1일 3회 이상, 2주 이상 계속 상영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후보작을 선정한다.[133] 2014년에 17기 절해의 탐정은 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하지 못했지만 같은 해에 나온 콜라보레이션 작품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HE MOVIE가 최우수 애니메이션상에 노미네이트되어 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134] 루팡 3세와의 콜라보레이션 작품. 이전에 TV스페셜로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을 제작한 적이 있었다.[135] 극장에서는 자막으로 개봉한 뒤, IPTV등에 VOD 서비스로 더빙판을 판매했다.[136] 카즈하의 "나,아기 갖고 싶어"란 발언이 나온 화이다.[137] 원래는 박사님 멘트지만 몇몇 극장판에서는 다른 인물이 퀴즈를 냈다.[138] 1~5기 / 10기, 11기는 공식 포스터가 없다. 1~5기는 팬아트로만 퍼져 있으며, 10기는 캐릭터 포스터, 11기는 그래픽 포스터로 대체되었다.[B] 눈만 나온다.[140] 칼에서 검은 형태의 사람이 비치는 모습으로 나온다.[141] 코난의 안경 오른쪽에 검은 형태의 모습으로 총을 겨누는 모습이 나오며, 오른쪽 아래에는 보트로 추격을 하는데 위쪽에는 코난과 란이, 아래쪽 보트에는 '' 부분 옆을 확대해 보면 범인의 형태가 보인다.[142] 그가 쓰고 다니는 가면만 나온다.[143] 일부 얼굴만 나온다.[144] 정체가 스포일러이기에 얼굴 부분이 까맣게 칠해져 있어서 얼굴이 나오지 않는다.[145] 사실은 스포일러가 변장한 상태라고 봐야 한다.[146] 7명 모두 특수부대와 같은 복장을 하고 있어서 얼굴이 나오지 않는다.[B] 눈만 나온다.[148] 포스터에서 눈만 나온다. 작중에서는 오키야 스바루의 모습으로 나오지만 포스터에 나온 그의 눈을 통해서 오키야 스바루아카이 슈이치라는 걸 알려준다.[149] 괴도 키드의 단안경에 비친 모습으로 나온다.[C] 사진속 모습으로 나온다.[C] [C] [153] 오드아이인 그녀의 눈만 나온다.[154] 4기, 7기, 8기, 9기에서 등장하지 못했다. 하이바라의 경우 등장하기 전인 1기, 2기에서 등장할 수 없었다.[155] 3기, 7기, 10기, 17기, 21기, 27기[156] 이중 13기, 14기는 포스터에는 등장하지 않고 본편에는 나온다.[157] 2기, 10기, 13기, 17기[158] 11기, 16기, 19기, 23기[159] 7기, 17기, 21기, 27기[160] 3기, 10기, 13기, 14기 포스터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본편에서는 나온다.[161] 2기, 4기, 22기[162] 정황상 코다마 켄지일 가능성이 크다.[163] 국내에서는 '세기말의 마술사'와 '은빛 날개의 마술사'에서 겹치지만 일본에서는 '世紀末の魔術師'와 '銀翼の奇術師'로 서로 다르다.[164] '절해의 탐정'의 탐정(探偵)하고 '탐정들의 진혼가'의 탐정들(探偵たち)은 다른 것으로 취급. 애초에 읽는 방법도 전자는 "프라이빗 아이(레이더)", 후자는 "たんてい(추리소설에 등장하는 그 직업)"로 다르다.[165] 다만 첫 번째와 마지막은 앞뒤 상황을 생략하고 한 마디로 요약한 것이기에 그래보이는 걸로 사실상 개그를 위한 왜곡이므로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 첫 번째는 후지산 그림을 생업으로 삼고 있었는데 고층 건물이 들어선 뒤 작업실에서는 그 건물이 후지산을 가리고 있어서 더 이상 후지산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됐고 몸이 이미 늙을대로 늙어서 장소를 바꿀수도 없는 노릇, 결국 자신의 생업을 망치게 했다는 이유로 원한은 품은 것이고 마지막은 그렇게 평소 스트레스가 쌓이고 쌓여 미각 장애를 앓게 되어 생업인 소믈리에를 포기해야 했다. 그렇게 고향으로 돌아가기 전에 자신에게 그동안 커다란 스트레스를 준 이들을 없애버리려고 했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