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9:46:14

NASCAR

나스카 시리즈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나스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bb133e>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엉클 샘 · 충성의 맹세 · 컬럼비아 · 흰머리수리 · 아메리카들소
역사역사 전반 · 13개 식민지 · 미국 독립 전쟁 · 골드 러시 · 서부개척시대 · 아메리카 연합국 · 남북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광란의 20년대 · 대공황 ·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태평양 전쟁 · 진주만 공습) · 냉전 · 9.11 테러
정치합중국 · 백악관 · 캠프 데이비드 · 건국의 아버지들 · 미국 독립선언서 · 미국 국회의사당 · 헌법 · 정치 · 연방정부 · 연방 행정각부 · 의회 (미국 상원 · 미국 하원) · 정당 · 행정구역 ( · 해외영토 · 도시 목록 · 주요 도시 · 주요 도시권) · 대통령 (명단) · 부통령 · 하원의장 · 지정 생존자
치안과 사법사법 전반 · 대법원 · 미국의 경찰제도 (군사화) · 보안관 · SWAT · USMS (연방보안관) · 텍사스 레인저 · DEA · ATF · 국적법 · 금주법 · FBI · ADX 플로렌스 교도소 · 사형제도 · 총기규제 논란 · 마피아 · 갱스터
선거대선 (역대 대선) · 선거인단 · 중간선거
경제경제 (월 스트리트 · 뉴욕증권거래소 · 나스닥 · 대륙간거래소 · CME 그룹 · 실리콘밸리 · 러스트 벨트) · 주가 지수 · 미국의 10대 은행 · 대기업 · 미국제 · 달러 (연방준비제도) · 취업 · 근로기준법 · USMCA · 블랙 프라이데이
국방미합중국 국방부 (펜타곤) · 육군부 · 해군부 · 공군부 · MP · MAA · SF · CID · NCIS · AFOSI · CGIS · 미 육군 교정사령부 · 미군 · 편제 · 계급 · 역사 · 훈장 · 명예 훈장 · 퍼플 하트
문제점 · 감축 · 군가 · 인사명령 · 교육훈련 · 징병제(폐지) · 민주주의/밈 · 미군 vs 소련군 · 미군 vs 러시아군 · NATO군 vs 러시아군
장비 (제2차 세계 대전) · 군복 · 군장 · 물량 · 전투식량 · MRE · CCAR · 새뮤얼 콜트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존 브라우닝 · 유진 스토너 (AR-15 · AR-18 · AR-10 · M16 VS AK-47 · M4A1 vs HK416) · M72 LAW · 리볼버 . SAA · 레밍턴 롤링블럭 · 헨리 소총 · 윈체스터 M1866 · 콜트 · M4 셔먼 · M26 퍼싱 · M1 에이브람스 · M2 브래들리 · M270 MLRS · M142 HIMARS · F-86 · 스텔스기 · F-22 · B-29 · B-36 · B-52 · AH-1 · AH-64 · 핵실험/미국 (맨해튼 계획 · 트리니티 실험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 팻 맨 · 리틀 보이 · 비키니 섬 핵실험 · 네바다 핵실험장) · 핵가방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해안경비대 · 우주군 · 주방위군 · 합동참모본부 · 통합전투사령부 · USSOCOM · 해외 주둔 미군 (주한미군 · 주일미군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행정협정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람슈타인 공군기지) · AREA 51 · NATO · NORAD (산타 추적)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영미권 · 상임이사국 · G7 · G20 · Quad · IPEF · G2 · AUKUS · JUSCANZ · TIAR · 미소관계 · 미러관계 · 미영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미독관계 · 미국-캐나다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미국-뉴질랜드 관계 · 미일관계 · 한미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파이브 아이즈 · 미중러관계 · 대미관계 · 미국 제국주의 · 친미 · 미빠 · 반미 · 냉전 · 미국-중국 패권 경쟁 · 신냉전 · ESTA · G-CNMI ETA · 사전입국심사
교통아메리칸 항공 · 유나이티드 항공 · 델타항공 · 사우스웨스트 항공 · Trusted Traveler Programs (TSA PreCheck · 글로벌 엔트리 · NEXUS · SENTRI · FAST) · 교통 · 운전 · 신호등 · 주간고속도로 · 철도 (암트랙 · 아셀라 · 브라이트라인 · 텍사스 센트럴 철도 · 유니온 퍼시픽 · 캔자스 시티 서던 · BNSF · CSX · 노퍽 서던 · 그랜드 트렁크 · 마일 트레인 · 커뮤터 레일) · 그레이하운드 · 스쿨버스 · 차량 번호판 · 금문교 · 베이 브릿지 · 브루클린 대교 · 맨해튼교 · 윌리엄스버그 다리
문화문화 전반 · 스미스소니언 재단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 MoMA · 아메리카 원주민 · 개신교 (청교도 · 침례교) · 가톨릭 · 유대교 · 스포츠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로 스포츠 리그 결승전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 NASCAR · 인디카 시리즈 · 미국 그랑프리 · 마이애미 그랑프리 ·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 조깅) · 관광 (하와이 · 사이판 · ) · 세계유산 · 자유의 여신상 · 러시모어 산 · 워싱턴 기념비 · 링컨 기념관 · 타임스 스퀘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디즈니 파크 · 미키 마우스 · 스타워즈 시리즈 · 마블 시리즈 · · 브로드웨이 · 영화 (할리우드) · 미국 영웅주의 · 드라마 · 방송 · 만화 (슈퍼히어로물) · 애니메이션 · EGOT (에미상 · 그래미 어워드 · 아카데미 시상식 · 토니상) · 골든글로브 시상식 · 요리 · 서부극 (카우보이 · 로데오) · 코카콜라 (월드 오브 코카콜라) · 맥도날드 · iPhone · 인터넷 · 히피 · 로우라이더 · 힙합 · 팝 음악
언어영어 · 미국식 영어 · 미국 흑인 영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 라틴 문자
교육교육전반 · 대학입시 · TOEIC · TOEFL · SAT · ACT · GED · AP · GRE · 아이비 리그 · Big Three · ETS · 칼리지 보드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Common Application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IXL
지리스톤 마운틴 · 그랜드 캐니언
기타아메리칸 드림 · 생활정보 (사회보장번호 · 공휴일/미국 · 미국 단위계) · 급식 · 비자 · 미국인 · 시민권 · 영주권 · 미국 사회의 문제점 · 미국 쇠퇴론 · 마천루 (뉴욕의 마천루) · 천조국 · 'MURICA · OK Boomer
}}}}}}}}} ||


NASCAR 컵 시리즈
NASCAR 시작 선언 모음[1]
파일:Drivers-Daytona-500-International-Speedway-Florida-Beach-2018.jpg
NASCAR의 개막전, 데이토나 500.
NASCAR
파일:NASCAR_logo.png
정식 명칭 <colbgcolor=#ffffff,#191919>National Association for Stock Car Auto Racing, Inc.
관할
[[미국|]][[틀:국기|]][[틀:국기|]]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멕시코|]][[틀:국기|]][[틀:국기|]]
\ [[틀:깃발|
기 명칭
유럽연합
]][[유럽 연합|
유럽 연합
유럽연합
]][[틀:깃발|
문서명
유럽연합
]][2]
창설 1948년 2월 21일
드라이버 수 36~40명[3]
시리즈 NASCAR 컵 시리즈
NASCAR 엑스피니티 시리즈
NASCAR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

1. 개요2. 스톡카 레이스3. 특징4. 경기 방식5. 연간 대회 구성6. 사건/사고7. 레이스 카8. 트랙 목록
8.1. 쇼트트랙8.2. 중급8.3. 슈퍼 스피드웨이8.4. 로드 코스8.5. 스트리트 코스
9. 미국 내 위상10. 시리즈
10.1. NASCAR 컵 시리즈10.2. NASCAR 엑스피니티 시리즈
10.2.1. 드라이버
10.3. NASCAR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
10.3.1. 드라이버
11. 은퇴한 드라이버
11.1. NASCAR 명예의 전당11.2. NASCAR 75인의 위대한 드라이버
12. 게임

1. 개요

파일:18c01b23ff313c14f.jpg
NASCAR의 전통이자 상징적 축하 행사인 우승 후의 번아웃 세리머니
2023 데이토나 500 하이라이트 2023 고 보울링 엣 더 글렌[4] 하이라이트
Drivers, Start your Engines!
드라이버 여러분, 시동을 거십시오!
NASCAR 시작 선언[5]

공식 홈페이지.

National Association for Stock Car Auto Racing. 전미 스톡 자동차 경주 협회의 약어로 미국에서 스톡 자동차 경주 대회를 주최하는 가장 큰 공인단체이다.

그러나 보통 NASCAR라 하면 협회 자체가 아니라 이 협회에서 주최하는 스톡카[6] 레이스인 NASCAR Cup Series(나스카 컵 시리즈)를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스카 컵 시리즈는 미국을 대표하는 모터스포츠 그 자체로 그 위상과 인기는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오픈휠 포뮬러 레이스이자 미국판 F1이라 할 수 있는 인디카 시리즈조차 뛰어넘는 미국 최고의 레이스이며, 더 나아가 전 세계 최고봉의 스톡카 경주 시리즈다.

단순한 미국 내 최고의 레이스 정도가 아니라 레이스의 정점인 F1, 바이크 레이스의 정점인 모토GP와 더불어 사실상 모터스포츠 업계의 점유율을 셋이서 나눠먹고 있는 수준으로#, 전 세계 모터스포츠 중에서도 탑 시리즈에 들어가는 최상위 레이스다.#, #, #, #

레이서들의 연봉도 모터스포츠를 통틀어 F1, 모토GP와 함께 최고 수준이다. 전 세계 레이서 연봉 순위 최상위권은 F1, 모토GP, 나스카의 레이서들이 거의 독점하고 있을 정도.#, #

2. 스톡카 레이스

스톡 자동차란 일반 시판차를 개조한 자동차를 의미하며, NASCAR 대회 참가 차량은 최근 3년 내 미국에서 생산된 강철 차체의 세단형 자동차로 제한된다. 1948년 2월 21일에 설립되었으며, 플로리다 주 데이토나 비치에 본부를 두고 있다. 보통 NASCAR라 하면 이 전미 스톡 자동차 경주 협회에서 주최하는 종합 스톡 자동차 경주 대회를 일컫는다. 나스카에서 공인된 자동차 경주 대회로 미국의 38개 주, 캐나다, 그리고 멕시코에서 100개 이상의 경주로, 1,500개 이상의 자동차 경주 대회를 공인하고 있다.

NASCAR에서의 스톡 카(Stock Car) 개념은 계속 변화해왔다. 과거(1940~50년대)에는 개조 없이 시판되는 자동차를 스톡카라고 불렀다. NASCAR 자체가 본래 금주법 시대에 마피아들이 경찰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 빠르게 달리도록 불법 개조한 기성품 스톡카로 갱단끼리 주말에 레이싱 시합을 벌이던 것에서 시작되었지만, 단순한 마피아들 사이의 시합에서 마피아들의 위상이 높아져 정식 경기로 자리매김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 속도가 빨라지면서 안전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오늘날의 스톡 카는 엔진부터 섀시까지 NASCAR가 일일이 지정하기 때문에 겉보기엔 일반적인 양산차와 비슷하지만 내부 부품은 모두 평범한 양산차 부품이 아닌 경기용 부품이다. 경주에 쓰이는 차량이 NASCAR에서 동일한 규격에 따라 제작되어 모든 차량의 성능이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레이서의 기량이 상당히 중요시된다.

기본적인 섀시에서부터 엔진, 미션 등 모든 부분이 경주를 위해 완전 경주용 부품으로 이루어지니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제와서 NASCAR의 차량들은 '스톡 카'라고 부르기도 민망한 지경에 이르렀다.[7] 차량의 외관은 대부분 FRP로 제작된 4인승 쿠페 모양 껍데기에 불과해 드라이버가 창문으로 들어가야 하며, 심지어 헤드라이트 같은 부분은 스티커로 형태만 구현해 놓은 상태다.[8][9] 이 때문에 사실상 '미국 개조 자동차 경주대회'라고도 불린다. 내부는 쉐보레 5800 cc의 V8 OHV 엔진과[10] 폭 30cm 정도의 초광폭 타이어 등으로 개조되어 있다.

3. 특징

4. 경기 방식

경기 구성은 실로 간단하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F1이나 대부분의 레이싱의 경우 직선과 코너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서킷에서 경주 하는 반면, 나스카는 육상 경기장같은 타원형 트랙(Oval Track)에 30~40여대의 스톡 카가 최소 320km, 최대 960km를 달리는 경기다.[34] 먼저 도착하는 레이서가 승리하는 배틀. 그러나 시즌 내내 오벌 트랙에서만 달리는 것은 아니고, 왓킨스 글렌, 소노마 레이스웨이,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 등 일반적인 서킷에서도 개최된다. 포뮬러 1과 마찬가지로 연간 36회[35]의 레이스를 벌여 등수대로 얻은 포인트를 합산해 최종 순위를 가리는 레이스 방식이다.

5. 연간 대회 구성

2024년 현재 NASCAR의 컨스트럭터(제조사)는 포드, 쉐보레, 토요타 이렇게 3개이다.[36] 포드머스탱[37], 쉐보레카마로[38], 토요타캠리 모델이 주를 이루며[39], 규격이 다른 포드 머스탱, 쉐보레 카마로 스톡카를 쓴다. 이 외에도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는 포드 F-시리즈, 쉐보레 실버라도, 토요타 툰드라 등을 사용하므로 꼭 포드 머스탱, 쉐보레 카마로, 토요타 캠리만 쓴다고 보긴 어렵다.

NASCAR에는 여러 시리즈가 있는데 크게 전국적인 내셔널 시리즈와 지역 시리즈, 그리고 해외 시리즈가 있다. 내셔널 시리즈에는 NASCAR 컵 시리즈 (NASCAR Cup Series), NASCAR 엑스피니티 시리즈 (NASCAR Xfinity Series), NASCAR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NASCAR Craftsman Truck Series)의 3가지가, 지역 시리즈에는 K&N 동부/서부, 휠렌 모디파이드/서던 모디파이드 시리즈가 있다. 해외에서는 캐나다, 멕시코 등지에 시리즈가 있다.

나스카에 출전하는 드라이버들은 대개 어릴 때부터 스톡카 경주를 하면서 지역시리즈에 참가하게 된다. 지역시리즈에서 성과를 내면 내셔널시리즈의 팀이 스카웃을 해가서 트럭이나 엑스피니티 시리즈에 참가를 한다. 같은 과정을 컵 시리즈 팀이 해서 최고봉인 컵 시리즈에 참가하는 성장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상위 시리즈로 올라갈수록 기량이 높은 드라이버들만 모여서 컵 시리즈에 풀타임 참가하는 드라이버들은 전세계에서 스톡카 운전 실력이 30등 이내라고 보면 된다.

내셔널 시리즈의 개막전은 NASCAR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고, 게임덕후라면 세가의 데이토나 USA로 알고 있을 플로리다 주에 위치한 데이토나 경주장에서 열린다.

NASCAR 컵 시리즈는 미국 28개 도시에서 매년 2월부터 11월까지 약 9개월 동안 총 36전이 개최된다. 경주는 Oval Circuit, 즉 육상 트랙과 유사한 타원형 서킷에서 진행한다. 그리고 몇몇 라운드는 평범한 로드 서킷에서 개최된다. 타원형 경주장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이 보통인데, 관중 입장에서는 전체 경주 상황이 한눈에 들어오는 좁은 서킷에서 3~40여대의 차량이 개떼같이 몰려들어 언제든지 추월과 접촉이 다반사로 일어나는 박진감 넘치는 경주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2023년부터 시가지 서킷에서도 개최되고 있는데, 2023 그랜트 파크 220(2023 Grant Park 220)부터 그랜트 파크를 중심으로 미시간호변로 레이크쇼어 드라이브에서부터 최대 번화가 미시간애비뉴 사이 도로들을 12차례 회전하는 총 3.5km 코스를 3년간 개최 계약을 맺었다.#

6. 사건/사고

7. 레이스 카

NASCAR의 출전 차량은 현재 7개 세대로 분류되어 있다.

NASCAR/레이스 카 문서 참조.

8. 트랙 목록

8.1. 쇼트트랙

트랙 길이가 1마일(약 1.61 km)이 되지 않는 짧은 트랙들을 말한다.

8.2. 중급

트랙 길이가 1마일 (약 1.61 km) ~ 2마일 (약 3.22 km) 정도 되는 트랙들을 말한다.

8.3. 슈퍼 스피드웨이

NASCAR를 상징하는 오벌 서킷 중 트랙 길이가 2마일 (약 3.22 km)이 넘는 긴 트랙들을 말한다.

8.4. 로드 코스

오벌 트랙이 아닌 일반적인 서킷형 코스를 말한다.

8.5. 스트리트 코스

시가지의 일반 도로를 경기 기간 동안만 통제하고 경기를 개최하는 코스를 말한다.

9. 미국 내 위상

미국 동남부의 지역 오락 행사로 시작한 NASCAR는 현재 미국 내에서 시청률 기준으로 내셔널 풋볼 리그 (NFL) 다음으로 인기 있는 상업 스포츠로 성장하였고 국제적으로는 150개국에 중계 방송되고 있다. 또한 7,500만명의 팬이 연간 20억 달러 이상의 공인 제품을 구매하고 있을 정도로 전체 스포츠 팬들 중에서 브랜드 충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때문에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대부분이 NASCAR에 스폰서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 NASCAR의 대중적 위상은 모든 스포츠 리그를 통틀어서 NFL을 선두에 놓고 대학풋볼, MLB와 2위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종목으로 이들중 두 번째 정도이다. 미국 내 스포츠엔터테인먼트의 상위권은 어째 죄다 미국에서만 더욱 많은 인기를 누리는 경우가 많은 경우가 많은데, 이런 측면에서 미국인들과 비미국인들의 취향 차이를 엿볼 수 있다.

나스카 경기를 직접 관람하는 인파만 20만 ~ 30만 명에 이른다. 특히 나스카는 팬 중 85%가 중산층이고, 팬 중 70% 이상은 나스카를 후원하는 브랜드로 제품을 바꿀 만큼 마케팅 효과가 뛰어난 스포츠 대회로 꼽힌다. 경제 전문지 포츈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서 스폰서로 가장 참여하고 싶은 스포츠로 선정되기도 했다. 공화당의 정치인들은 시청자와 지지 계층이 겹치다 보니 나스카를 통한 정치 활동도 종종 한다. 조지 W. 부시는 2000년 7월 펩시 400, 2004년 데이토나 500 경기에서 그랜드 마셜로 활동했고, 도널드 트럼프는 2020년 데이토나 500에 에어포스 원을 타고 와 그랜드 마셜로서 "Drivers, start your engine"을 외쳤을 정도.

그러나 젊은 층에게는 위상이 좀처럼 높지 않을 뿐더러, 2018년 개막전 시청률은 2006년의 절반으로 줄어버릴 정도로 위기가 왔다. 포브스 기사. 이 때문에 비포장로에서 경기를 펼치거나, 오벌 서킷만이 아닌 일반적인 서킷에서 하는 경기를 늘리고 있다. 2023년 르망 24시의 번외 참전격인 '개러지 56'을 통해 개조된 나스카 차량을 출전시키고, F1 등 다른 시리즈의 드라이버를 나스카 차량에 태우는 트랙하우스 레이싱의 프로젝트 91 등 교류 시도도 늘어나고 있다.[41]

움직이는 광고판[42]인 차 한 대에 달라붙는 스폰서 비용이 연간 3500만 달러에 달한다. NASCAR의 TV 시청률은 미국 내 프로스포츠 중 NFL에 이어 두 번째고, 기업 스폰서십은 모든 프로스포츠를 통틀어 단연 최고다. 라이센스 상품으로만 매년 21억 달러를 벌어들인다. 2002년부터 라디오섁과 공동으로 스폰서십에 참여해온 삼성전자는 2006년에만 총 2500만 달러의 광고효과를 얻었다. 사족으로 경기용 차량에 부착된 수많은 스폰서 스티커 가운데 두산인프라코어가 붙여진 것도 간혹 찾아볼 수 있다.[43][44].

하지만 미식축구처럼 미국 외에는 인기가 그닥 시원찮은데, 오벌트랙 레이싱은 스피드와 빅 원같은 충돌이 많아 매우 국제적으로 이질적인 경기라서, 추월과 레이싱 스킬이 주로 나오는 서킷과 랠리에 익숙한 타국 사람들은 그냥 뱅글뱅글 돌기만 하는 레이싱이라는 편견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절대로 그냥 뱅글뱅글 돌기만 하는 레이싱은 절대로 아니다. 나스카 레이서들도 일반 레이서 수준의 드라이빙 스킬들을 갖춰야 한다. 그래서 컨스트럭터로 미국 브랜드인 포드와 쉐보레, 미국 내 생산공장이 많이 있는 토요타만 참가하는 이유이다.

정치적으로도 팬들의 공화당 지지 성향이 매우 강하며 백인팬의 비율이 94%에 이른다. Black Lives Matter 운동 이후 유일한 흑인 선수 버바 월러스[45]의 문제제기로 남부연합기가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관중들 사이에서 쉽게 목격된다. 이런 배경으로 Let's Go Brandon이라는 정치적인 구호가 탄생하기도 하였다.

NASCAR를 게임으로 즐기다가 프로로 데뷔한 선수도 있다. 바로 헨드릭 모터스포츠 팀의 컵 시리즈 24번 드라이버인 '윌리엄 바이런 (William Byron)' 선수.[46] 참조.


관련된 밈도 있다.

10. 시리즈

10.1. NASCAR 컵 시리즈

2019년까지는 몬스터 에너지가 타이틀 스폰서여서 몬스터 에너지 NASCAR 컵 시리즈라고 불렸으나, 2020년부터 타이틀 스폰서를 달지 않고 대신에 부시 맥주, 코카콜라, GEICO, 엑스피니티를 '프리미어 스폰서'로 정하면서 NASCAR 컵 시리즈라고 불리고 있다.

10.1.1. NASCAR/컵 시리즈 2020시즌

10.1.2. NASCAR/컵 시리즈 2022시즌

10.1.3. 팀 목록

10.1.3.1. 쉐보레
파일:TH_FullLogo_Black-298x250.webp
트랙하우스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No1.png 로스 채스테인파일:No.99.jpg 다니엘 수아레스


파일:1200px-Hendrick_Motorsports_Logo.svg.png
헨드릭 모터스포츠 드라이버
파일:8223660951930438680_1.png 카일 라슨파일:CE9.png 체이스 엘리엇파일:WB24.png 윌리엄 바이런파일:48 알렉스 보우먼


파일:JTG.png
JTG 도허티 레이싱
파일:AJ47.png 리키 스텐하우스 주니어


파일:Richard Childress Racing.png
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3 오스틴 딜런파일:8 카일 부시


파일:Spire Motorsports.png
스파이어 모터스포츠 드라이버
파일:7 저스틴 헤일리파일:스파이어 모터스포츠 71번.png 제인 스미스파일:77 카슨 호세바


파일:kaulig-racing-logo-443x199.webp
콜리그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16 분할 출전파일:31 대니얼 헴릭
10.1.3.2. 포드

파일:RFK.png
RFK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6 브래드 케셀로우스키파일:17 크리스 부셔


파일:스튜어트-하스 레이싱 로고 2024.png
스튜어트-하스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4 조시 베리파일:10 노아 그랙슨파일:14 체이스 브리스코파일:41 라이언 프리스


파일:Team_Penske_logo.svg.png
팀 펜스키 드라이버
파일:2 오스틴 신드릭파일:12 라이언 블레이니파일:22 조이 로가노


파일:fd5e15772534ec8980667c63c1eb8d83_XL.webp
프런트 로 모터스포츠 드라이버
파일:No34.webp 마이클 맥도웰파일:38 토드 길리랜드


파일:Wood_Brothers_Racing_Logo.png
우드 브라더스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21 해리슨 버튼


파일:rick_ware_racing_logo.png
릭 웨어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rick_ware_racing_15.png 분할 출전파일:rick_ware_racing_51.png 코리 라조이
10.1.3.3. 토요타
파일:joe-gibbs-racing-team-logo-443x134.webp
조 깁스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11 데니 햄린파일:19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파일:CB20.jpg 크리스토퍼 벨파일:nxs_54.webp 타이 깁스


파일:23XI 레이싱 로고.jpg
23XI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23 버바 월러스파일:45 타일러 레딕


파일:Legacy_Motor_Club_logo.png
레거시 모터 클럽 드라이버
파일:레거시 모터 클럽 42번.png 존 헌터 니메체크파일:legacy_motor_club_43.png 에릭 존스

10.1.4. 드라이버

파일:NASCAR_Cup_Series_logo.png
NASCAR 컵 시리즈 드라이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차량 번호 국적 한글 이름 로마자 이름 데뷔 스타트 우승 Top 5 Top 10
풀타임 드라이버
1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 채스테인 Ross Chastain 2017년 209 4 30 51
2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신드릭 Austin Cindric 2021년 101 2 8 18
3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딜런 Austin Dillon 2011년 394 4 22 77
4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베리[R] Josh Berry 2021년 34 0 3 7
5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라슨 Kyle Larson 2013년 352 27 113 175
6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드 케셀로우스키 Brad Keselowski 2008년 543 36 153 259
7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헤일리 Justin Haley 2019년 130 1 5 15
8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부시 Kyle Busch 2003년 700 63 248 378
9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엘리엇 Chase Elliott 2015년 308 19 100 163
10 파일:미국 국기.svg 노아 그랙슨 Noah Gragson 2021년 61 0 2 8
11 파일:미국 국기.svg 데니 햄린 Denny Hamlin 2005년 672 54 230 349
1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블레이니 Ryan Blaney 2014년 328 12 76 142
14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브리스코 Chase Briscoe 2021년 130 1 12 27
15 파일:미국 국기.svg 라일리 헙스트[A] Riley Herbst 2023년 7 0 0 2
15 파일:미국 국기.svg 카즈 그롤러[A][R] Kaz Grala 2020년 23 0 0 2
15 파일:미국 국기.svg 코디 웨어[A] Cody Ware 2016년 101 0 0 1
16 파일:미국 국기.svg A.J. 알멘딩거[B] A.J. Allmendinger 2006년 440 3 20 78
16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윌리엄스[B] Josh Williams 2022년 5 0 0 0
1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셰인 반 기스버겐[B] Shane van Gisbergen 2023년 6 1 1 2
16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크라우스[B] Derek Kraus 2024년 5 0 0 0
16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딜런[B] Ty Dillon 2014년 243 0 2 7
17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부셔 Chris Buescher 2015년 315 5 24 64
19 파일:미국 국기.svg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 Martin Truex Jr. 2004년 679 34 146 289
20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벨 Christopher Bell 2020년 166 9 38 74
21 파일:미국 국기.svg 해리슨 버튼 Harrison Burton 2021년 95 0 1 5
22 파일:미국 국기.svg 조이 로가노 Joey Logano 2008년 565 33 164 281
23 파일:미국 국기.svg 버바 월러스 Bubba Wallace 2016년 241 2 20 40
24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바이런 William Byron 2018년 238 13 48 95
31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헴릭 Daniel Hemric 2018년 69 0 1 6
34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맥도웰 Michael McDowell 2008년 487 2 11 43
38 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길리랜드 Todd Gilliland 2022년 94 0 1 10
41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프리스 Ryan Preece 2015년 173 0 4 13
42 파일:미국 국기.svg 존 헌터 니메체크 John Hunter Nemechek 2019년 63 0 0 6
43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존스 Erik Jones 2015년 275 3 37 89
45 파일:미국 국기.svg 타일러 레딕 Tyler Reddick 2019년 168 6 35 72
47 파일:미국 국기.svg 리키 스텐하우스 주니어 Ricky Stenhouse Jr. 2011년 422 3 24 59
48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보우먼 Alex Bowman 2014년 311 8 38 91
51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라조이 Corey LaJoie 2014년 258 0 4 9
54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깁스 Ty Gibbs 2022년 73 0 9 20
71 파일:미국 국기.svg 제인 스미스[R] Zane Smith 2022년 31 0 1 2
77 파일:미국 국기.svg 카슨 호세바[R] Carson Hocevar 2023년 31 0 0 2
99 파일:멕시코 국기.svg 다니엘 수아레스 Daniel Suárez 2017년 273 2 20 63
파트타임 드라이버
13 파일:미국 국기.svg A.J. 알멘딩거 A.J. Allmendinger 2006년 440 3 20 78
33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힐 Austin Hill 2022년 9 0 0 0
33 파일:호주 국기.svg 윌 브라운 Will Brown 2024년 1 0 0 0
33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딜런 Ty Dillon 2014년 243 0 2 7
36 파일:미국 국기.svg 카즈 그롤러[R] Kaz Grala 2020년 23 0 0 2
44 파일:미국 국기.svg J.J. 옐레이 J.J. Yeley 2004년 381 0 2 9
44 파일:미국 국기.svg 조이 게이스 Joey Gase 2014년 91 0 0 0
50[C]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Kamui Kobayashi 2023년 2 0 0 0
50[C]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하임 Corey Heim 2024년 3 0 0 0
50[C]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Juan Pablo Montoya 2006년 255 2 24 59
50[17]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딜런 Ty Dillon 2014년 243 0 2 7
60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레이건 David Ragan 2006년 477 2 16 43
60 파일:호주 국기.svg 캐머런 워터스 Cameron Waters 2024년 1 0 0 0
60 파일:미국 국기.svg 조이 핸드 Joey Hand 2021년 8 0 1 1
62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알프레도 Anthony Alfredo 2021년 49 0 0 2
62[18] 파일:미국 국기.svg 파커 레츨라프 Parker Retzlaff 2024년 0 0 0 0
66 파일:미국 국기.svg 티미 힐 Timmy Hill 2012년 142 0 0 0
66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스타 David Starr 2003년 18 0 0 0
66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빌리키 Josh Bilicki 2017년 98 0 0 1
66 파일:미국 국기.svg 채드 핀첨 Chad Finchum 2018년 7 0 0 0
78[19] 파일:미국 국기.svg B.J. 매클라우드 B.J. McLeod 2015년 141 0 0 2
84 파일:미국 국기.svg 지미 존슨 Jimmie Johnson 2001년 695 83 232 374
91 파일:국기.svg 미정 TBA ????년 ? ? ? ?
}}} ||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R] 올해의 루키 후보[A] 풀 시즌 36경기를 세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3경기는 라일리 헙스트가 출전했고, 25경기는 카즈 그롤러, 8경기는 코디 웨어가 출전한다.[A] [R] [A] [B] 풀 시즌 36경기를 다섯 명의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각 드라이버가 몇 경기씩 출전할지는 유동적이다.[B] [B] [B] [B] [R] [R] [R] [C] 23XI 레이싱 운영[C] [C] [17] 팀 아메리벳 운영[18] 쿡 아웃 400 한정 66번[19] 코카콜라 600, 브릭야드 400 한정 66번

10.1.5. 역대 챔피언

파일:NASCAR_Cup_Series_logo.png
NASCAR 컵 시리즈 챔피언
{{{#!folding [ 1세대 ] 1949 1950 1951 1952
레드 바이런
올즈모빌
빅 렉스포드
올즈모빌
허브 토머스
플리머스/허드슨/올즈모빌
팀 플록
허드슨
1953 1954 1955 1956
허브 토머스
허드슨
리 페티
크라이슬러/닷지/쉐보레
팀 플록
크라이슬러/쉐보레
벅 베이커
크라이슬러/닷지/포드
1957 1958 1959 1960
벅 베이커
쉐보레
리 페티
올즈모빌
리 페티
올즈모빌/플리머스
렉스 화이트
쉐보레/포드
1961 1962 1963 1964
네드 재럿
포드/쉐보레
조 웨덜리
폰티악/포드
조 웨덜리
머큐리/폰티악/크라이슬러
플리머스/닷지
리처드 페티
플리머스
}}} ||
{{{#!folding [ 2세대 ] 1965 1966 1967 1968~69
네드 재럿
포드
데이비드 피어슨
닷지
리처드 페티
플리머스
데이비드 피어슨
포드
1970 1971 1972 1973
바비 아이작
닷지
리처드 페티
플리머스
리처드 페티
닷지/플리머스
베니 파슨스
쉐보레/머큐리
1974~75 1976~77 1978 1979 1980
리처드 페티
닷지
케일 야보로
쉐보레
케일 야보로
올즈모빌
리처드 페티
쉐보레
데일 언하트
쉐보레/올즈모빌
}}} ||
{{{#!folding [ 3세대 ] 1981 1982 1983 1984 1985
대럴 월트립
쉐보레/뷰익
대럴 월트립
뷰익
바비 앨리슨
쉐보레/뷰익
테리 라보니
쉐보레
대럴 월트립
쉐보레
1986~87 1988 1989 1990~91
데일 언하트
쉐보레
빌 엘리엇
포드
러스티 월리스
폰티악
데일 언하트
쉐보레
}}} ||
{{{#!folding [ 4세대 ] 1992 1993~94 1995 1996
앨런 쿨위키
포드
데일 언하트
쉐보레
제프 고든
쉐보레
테리 라보니
쉐보레
1997~98 1999 2000 2001
제프 고든
쉐보레
데일 재럿
포드
바비 라보니
폰티악
제프 고든
쉐보레
2002 2003 2004 2005 2006~07
토니 스튜어트
폰티악
맷 켄세스
포드
커트 부시
포드
토니 스튜어트
쉐보레
지미 존슨
쉐보레
}}} ||
{{{#!folding [ 5세대 ] 2007~10 2011 2012
지미 존슨
쉐보레
토니 스튜어트
쉐보레
브래드 케셀로우스키
닷지
}}} ||
{{{#!folding [ 6세대 ] 2013 2014 2015 2016 2017
지미 존슨
쉐보레
케빈 하빅
쉐보레
카일 부시
토요타
지미 존슨
쉐보레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
토요타
2018 2019 2020 2021
조이 로가노
포드
카일 부시
토요타
체이스 엘리엇
쉐보레
카일 라슨
쉐보레
}}} ||
{{{#!folding [ 7세대 ] 2022 2023
조이 로가노
포드
라이언 블레이니
포드
}}} ||

10.2. NASCAR 엑스피니티 시리즈

10.2.1. 드라이버

파일:2023_Xfinity_Logo.png
NASCAR 엑스피니티 시리즈 드라이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차량 번호 국적 한글 이름 로마자 이름 데뷔 스타트 우승 Top 5 Top 10
풀타임 드라이버
00 파일:미국 국기.svg 콜 커스터 Cole Custer 2016년 147 13 57 98
1 파일:미국 국기.svg 샘 메이어 Sam Mayer 2021년 88 4 25 44
2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러브[R] Jesse Love 2024년 4 0 1 1
4 파일:미국 국기.svg 도슨 크램[R] Dawson Cram 2021년 16 0 0 0
5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알프레도 Anthony Alfredo 2020년 89 0 3 17
07 파일:미국 국기.svg 패트릭 에멀링[A] Patrick Emerling 2020년 36 0 0 0
07 파일:국기.svg 다닐 크비얏[A] Daniil Kvyat 2022년 1 0 0 0
7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얼가이어 Justin Allgaier 2008년 442 23 143 264
8 파일:미국 국기.svg 새미 스미스 Sammy Smith 2022년 46 1 7 21
9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존스 Brandon Jones 2015년 273 5 39 114
11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윌리엄스 Josh Williams 2016년 190 0 0 11
14 파일:멕시코 국기.svg 다니엘 수아레스[B] Daniel Suárez 2014년 87 3 33 56
14 파일:미국 국기.svg J.J. 옐레이[B] J.J. Yeley 2004년 388 0 15 48
15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리 디건[R] Hailie Deegan 2022년 5 0 0 0
16 파일:미국 국기.svg A.J. 알멘딩거 A.J. Allmendinger 2007년 102 17 50 70
18 파일:미국 국기.svg 셸든 크리드 Sheldon Creed 2017년 74 0 14 32
19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트루엑스[C] Ryan Truex 2010년 92 1 8 31
19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알미롤라[C] Aric Almirola 2005년 106 4 14 39
19 파일:미국 국기.svg 조 그래프 주니어[C] Joe Graf Jr. 2019년 126 0 0 5
19 파일:미국 국기.svg 테일러 그레이[C] Taylor Gray 2024년 0 0 0 0
19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소월릭[C] William Sawalich 2024년 0 0 0 0
20 파일:미국 국기.svg 존 헌터 니메체크[D] John Hunter Nemechek 2018년 104 10 35 63
20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알미롤라[D] Aric Almirola 2005년 106 4 14 39
21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힐 Austin hill 2019년 85 8 32 53
26 파일:미국 국기.svg 세이지 캐럼[E] Sage Karam 2021년 27 0 2 2
26 파일:미국 국기.svg 제프리 언하트[E] Jeffrey Earnhardt 2009년 169 0 2 6
26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하임[E] Corey Heim 2023년 6 0 0 1
26 파일:영국 국기.svg 에드 존스[E] Ed Jones 2024년 0 0 0 0
27 파일:미국 국기.svg 젭 버튼 Jeb Burton 2013년 146 2 14 37
28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시그 Kyle Sieg 2021년 53 0 0 2
29 파일:미국 국기.svg 블레인 퍼킨스 Blaine Perkins 2021년 47 0 0 1
31 파일:미국 국기.svg 파커 레츨라프 Parker Retzlaff 2022년 46 0 3 10
35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키 무니즈[F] Frankie Muniz 2024년 2 0 0 0
35 파일:캐나다 국기.svg 알렉스 라베[F] Alex Labbé 2016년 152 0 1 13
35 파일:일본 국기.svg 오가타 아키노리[F] Akinori Ogata 2018년 7 0 0 0
35 파일:미국 국기.svg 조이 게이스[F] Joey Gase 2011년 276 0 1 4
39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시그 Ryan Sieg 2013년 338 0 16 57
42 파일:미국 국기.svg 리랜드 허니맨[R] Leland Honeyman 2023년 12 0 0 0
4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엘리스 Ryan Ellis 2012년 102 0 0 0
44 파일:미국 국기.svg 브레넌 풀 Brennan Poole 2015년 128 0 9 37
48 파일:미국 국기.svg 파커 클리거먼 Parker Kligerman 2009년 93 0 11 39
51 파일:미국 국기.svg 제러미 클레먼츠 Jeremy Clements 2003년 468 2 6 38
78 파일:미국 국기.svg B.J. 매클라우드[G] B.J. McLeod 2015년 171 0 0 0
81 파일:미국 국기.svg 챈들러 스미스 Chandler Smith 2022년 40 2 12 18
91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웨더맨 Kyle Weatherman 2019년 113 0 0 3
9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셰인 밴 기스버겐[R] Shane van Gisbergen 2024년 4 0 1 2
98 파일:미국 국기.svg 라일리 헙스트 Riley Herbst 2018년 146 1 28 73
파트타임 드라이버
6 파일:미국 국기.svg 개럿 스미슬리 Garrett Smithley 2015년 162 0 1 5
10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다이 Daniel Dye 2023년 3 0 0 0
17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바이런 William Byron 2017년 38 4 14 24
17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라슨 Kyle Larson 2013년 114 14 56 80
17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엘리엇 Chase Elliott 2014년 83 5 35 67
17 파일:미국 국기.svg 보리스 새드 Boris Said 1998년 29 1 7 9
17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보우먼 Alex Bowman 2012년 55 1 7 17
24 파일:영국 국기.svg 에드 존스 Ed Jones 2024년 0 0 0 0
25 파일:국기.svg 미정 TBA ????년 ? ? ? ?
32 파일:미국 국기.svg 조던 앤더슨 Jordan Anderson 2015년 22 0 2 2
32 파일:미국 국기.svg 세이지 캐럼 Sage Karam 2021년 27 0 2 2
3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바거스 Ryan Vargas 2019년 68 0 0 2
36 파일:미국 국기.svg 내털리 데커 Natalie Decker 2021년 11 0 0 0
38 파일:미국 국기.svg C.J. 맥로글린 C.J. Mclaughlin 2019년 42 0 0 1
45 파일:미국 국기.svg 시저 배커렐라 Caesar Bacarella 2017년 29 0 0 1
45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드 페레즈 Brad Perez 2022년 7 0 0 0
47 파일:국기.svg 미정 TBA ????년 ? ? ? ?
50 파일:미국 국기.svg 프레스튼 파두스 Preston Pardus 2019년 23 0 0 3
53 파일:미국 국기.svg 조이 게이스 Joey Gase 2011년 276 0 1 4
66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스타 David Starr 2000년 258 0 1 3
74 파일:미국 국기.svg 스탠튼 배럿 Stanton Barrett 1992년 206 0 1 7
87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틴 그린 Austin Green 2024년 0 0 0 0
88 파일:미국 국기.svg 버바 폴라드 Bubba Pollard 2024년 0 0 0 0
88 파일:미국 국기.svg 카슨 크바필 Carson Kvapil 2024년 0 0 0 0
88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질리시 Connor Zilisch 2024년 0 0 0 0
92 파일:미국 국기.svg 조시 빌리키 Josh Bilicki 2016년 91 0 0 2
92 파일:미국 국기.svg 닉 레이츠 Nick Leitz 2023년 4 0 0 0
}}} ||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R] 올해의 루키 후보[R] [A] 풀 시즌 3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에멀링은 33경기 중 24경기, 크비얏은 1경기에 출전하며, 나머지 8경기에 누가 출전할지는 발표된 바가 없다.[A] [B] 풀 시즌 3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수아레스는 1라운드 한정으로 출전했고, 옐레이는 경기 단위로 계약하고 있어 남은 경기를 누가 출전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B] [R] [C] 풀 시즌 33경기를 네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각각의 드라이버가 몇 경기에 출전할지는 확정된 바가 없다.[C] [C] [C] [C] [D] 풀 시즌 33경기를 니메체크가 10경기, 알미롤라가 23경기로 나눠서 출전한다.[D] [E] 풀 시즌 3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각 드라이버별로 몇 경기씩 출전할지는 유동적이다.[E] [E] [E] [F] 풀 시즌 3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무니즈는 1라운드 한정으로 출전하고 오가타는 4경기에 출전하며, 게이스는 라운드 수가 특정되지 않았다. 남은 경기를 누가 출전할지는 발표된 바가 없다.[F] [F] [F] [R] [G] 풀 시즌 3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팀 오너인 매클라우드는 시즌 전체 스케줄을 소화하지 않으며, 남은 경기를 누가 출전할지는 발표된 바가 없다.[R]

10.3. NASCAR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

10.3.1. 드라이버

파일:2023_nascar_craftsman_logo.png
NASCAR 크래프트맨 트럭 시리즈 드라이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차량 번호 국적 한글 이름 로마자 이름 데뷔 스타트 우승 Top 5 Top 10
풀타임 드라이버
02 파일:미국 국기.svg 메이슨 매시 Mason Massey 2019년 18 0 0 0
2 파일:미국 국기.svg 닉 산체즈 Nick Sanchez 2023년 27 1 4 14
5 파일:미국 국기.svg 딘 톰슨 Dean Thompson 2021년 51 0 2 6
7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라조이[A] Corey LaJoie 2014년 5 0 0 1
7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부시[A] Kyle Busch 2001년 173 65 117 140
7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질리시[A] Connor Zilisch 2024년 0 0 0 0
7 파일:미국 국기.svg 새미 스미스[A] Sammy Smith 2023년 1 0 0 0
9 파일:미국 국기.svg 그랜트 엔핑거 Grant Enfinger 2010년 177 10 58 104
11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하임 Corey Heim 2021년 45 5 21 33
13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크 가르시아 Jake Garcia 2022년 31 0 3 9
15 파일:미국 국기.svg 태너 그레이 Tanner Gray 2019년 98 0 10 22
17 파일:미국 국기.svg 테일러 그레이 Taylor Gray 2021년 37 0 5 11
18 파일:미국 국기.svg 타일러 앵크럼 Tyler Ankrum 2018년 117 1 12 41
19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천 에키스 Christian Eckes 2018년 95 6 31 54
22 파일:캐나다 국기.svg 제이슨 화이트[B] Jason White 2018년 12 0 0 1
22 파일:미국 국기.svg 키스 맥기[B] Keith McGee 2021년 15 0 0 1
25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딜런 Ty Dillon 2011년 62 3 20 36
32 파일:미국 국기.svg 브렛 홈즈 Bret Holmes 2021년 40 0 2 3
33 파일:미국 국기.svg 로리스 앨런 Lawless Alan 2021년 57 0 0 1
38 파일:미국 국기.svg 레인 릭스[R] Layne Riggs 2022년 10 0 1 3
41 파일:미국 국기.svg 베일리 커리 Bayley Currey 2017년 48 0 3 6
42 파일:미국 국기.svg 맷 밀스 Matt Mills 2016년 27 0 1 1
43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다이 Daniel Dye 2023년 27 0 0 2
45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소터[C] Johnny Sauter 2003년 321 24 116 186
45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든 허니컷[C] Kaden Honeycutt 2022년 22 0 0 5
45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 채스테인[C] Ross Chastain 2011년 107 4 21 47
45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모색[C] Connor Mosack 2022년 3 0 0 0
46 파일:미국 국기.svg 새드 모핏[R] Thad Moffitt 2022년 8 0 0 0
52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튜어트 프리슨 Stewart Friesen 2016년 165 3 47 78
56 파일:미국 국기.svg 티미 힐 Timmy Hill 2013년 93 0 1 9
71 파일:미국 국기.svg 라자 카루스 Rajah Caruth 2022년 31 1 2 8
76 파일:미국 국기.svg 스펜서 보이드 Spencer Boyd 2016년 112 1 3 4
77 파일:미국 국기.svg 체이스 퍼디 Chase Purdy 2018년 79 0 3 16
88 파일:미국 국기.svg 맷 크래프튼 Matt Crafton 2000년 548 15 135 324
98 파일:미국 국기.svg 타이 마제스키 Ty Majeski 2019년 70 3 19 36
99 파일:미국 국기.svg 벤 로즈 Ben Rhodes 2014년 191 7 56 103
파트타임 드라이버
1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브라이딩거 Toni Breidinger 2023년 4 0 0 0
1 파일:미국 국기.svg 콜비 하워드 Colby Howard 2019년 52 0 1 4
1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소월릭 William Sawalich 2023년 7 0 0 3
1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벨 Christopher Bell 2015년 57 7 28 43
1 파일:영국 국기.svg 잭 호크스워스 Jack Hawksworth 2024년 0 0 0 0
1 파일:미국 국기.svg 브렌딘 퀸 Brenden Queen 2024년 0 0 0 0
04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로퍼 Cory Roper 2023년 47 0 1 3
04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코 안드레티 Marco Andretti 2023년 3 0 0 0
6 파일:미국 국기.svg 놈 베닝 Norm Benning 2002년 246 0 0 0
10 파일:미국 국기.svg 제니퍼 조 콥 Jennifer Jo Cobb 2008년 232 0 0 1
14 파일:미국 국기.svg 트레이 허친스 Trey Hutchens 2017년 11 0 0 0
21 파일:미국 국기.svg 메이슨 매지오 Mason Maggio 2022년 12 0 0 0
27 파일:미국 국기.svg 키스 맥기 Keith McGee 2021년 15 0 0 1
28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도잿 Brian Dauzat 2014년 21 0 0 2
36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허프 Ryan Huff 2020년 3 0 0 0
47 파일:국기.svg 미정 TBA ????년 ? ? ? ?
66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존스[R] Conner Jones 2023년 12 0 0 0
66 파일:미국 국기.svg 루크 펜하우스 Luke Fenhaus 2024년 0 0 0 0
66 파일:호주 국기.svg 캐머런 워터스 Cameron Waters 2024년 0 0 0 0
75 파일:미국 국기.svg 스테판 파슨스 Stefan Parsons 2018년 13 0 0 1
90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캐럴 Justin Carroll 2022년 4 0 0 0
91 파일:미국 국기.svg 잭 우드 Jack Wood 2021년 50 0 0 3
91 파일:미국 국기.svg 제인 스미스 Zane Smith 2018년 94 9 36 59
95 파일:미국 국기.svg 클레이 그린필드 Clay Greenfield 2010년 71 0 0 2
97 파일:미국 국기.svg 코디 로어바우 Codie Rohrbaugh 2018년 38 0 2 5
미정 파일:미국 국기.svg 코너 질리시 Connor Zilisch 2024년 0 0 0 0
미정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셰인 밴 기스버겐 Shane van Gisbergen 2023년 1 0 0 0
미정 파일:미국 국기.svg 데일 쿼터레이 Dale Quarterley 2023년 2 0 0 0
}}} ||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풀 시즌 2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23경기 중 라조이가 1경기, 부시가 5경기, 질리시가 2경기, 스미스가 4경기에 출전하며, 나머지 11경기를 누가 출전할지는 발표된 바가 없다.[A] [A] [A] [B] 풀 시즌 23경기를 여러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각 드라이버별로 몇 경기씩 출전할지는 유동적이며, 드라이버가 더 추가될 예정이다.[B] [R] 올해의 루키 후보[C] 풀 시즌 23경기를 네 드라이버가 나눠서 출전한다. 소터가 1경기, 허니컷이 12경기, 채스테인과 모색이 각각 5경기씩 출전한다.[C] [C] [C] [R] [R]

11. 은퇴한 드라이버

차량 은퇴 연도 한글이름 영어이름 은퇴 사유
#43
사진
파일:Richard Petty car.jpg
1991년 리처드 페티[47][48][49] Richard Petty
#3
사진
파일:Dale Earnhardt car.jpg
2001년 데일 언하트[50][51] Dale Earnhardt 사망 3분 27초
#25, #01
사진
파일:Jerry Nadeau 25car.jpg파일:Jerry Nadeau 01car.jpg
2001년 제리 나듀 Jerry Nadeau 사고[52]33초부터
#15, #87
사진
파일:raikkonen_no15.jpg파일:raikkonen_no87.jpg
2011년 키미 래이쾨넨 Kimi Raikkonen F1 복귀
#42, #12
사진
파일:JPM_no42.jpg파일:JPM_No12.jpg
2014년 후안 파블로 몬토야 Juan Pablo Montoya 인디카 시리즈 복귀
#24
사진
파일:Jeff Gordon.jpg
2015년 제프 고든 Jeff Gordon
#20, #14
사진
파일:Tony Stewart 20car.jpg파일:Tony Stewart 14car.jpg
2016년 토니 스튜어트[53] Tony Stewart
#8, #88
사진
파일:Dale Earnhardt Jr 8car.jpg파일:Dale Earnhardt Jr 88car.jpg
2017년 데일 언하트 주니어[54] Dale Earnhardt Jr. 사고 후유증 [55]
#19, #99
사진
파일:Carl Edwards 19 car.jpg파일:Carl Edwards 99 car.jpg
2017년 칼 에드워즈 Carl Edwards
#10, #7
사진
파일:danica patrick car.jpg
2018년 대니카 패트릭[56] Danica Patrick
#48
사진
파일:E31822FB-265D-4288-A71C-117F3D838247.jpg
2020년 지미 존슨 Jimmie Johnson 인디카 이적
#45
사진
파일:kurtbusch1.jpg
2022년 커트 부시 Kurt Busch 사고 후유증 [57]
#4
사진
파일:https___beyondtheflag.com_wp-content_uploads_getty-images_2023_03_1467140668.jpg
2023년 케빈 하빅 Kevin Harvick

11.1. NASCAR 명예의 전당

노스캐롤라이나 주 샬럿에 위치해 있다.
NASCAR 명예의 전당 헌액자
이름 직업 연도 이름 직업 연도
데일 언하트 드라이버, 팀 소유주 2010년 바비 앨리슨 드라이버 2011년
주니어 존슨 데이비드 피어슨
리처드 페티 드라이버, 팀 소유주, 해설자 네드 재럿 드라이버, 해설자
빌 프랑스 창립자 리 페티 드라이버, 팀 소유주
빌 프랑스 주니어 회장 버드 무어 팀 소유주, 엔지니어
리치 에반스 드라이버 2012년 벅 베이커 드라이버 2013년
케일 야보로 허브 토머스
글렌 우드 드라이버, 팀 소유주 코튼 오언스 드라이버, 팀 소유주
대럴 월트립 드라이버, 팀 소유주, 해설자 러스티 월리스 드라이버, 팀 소유주, 해설자
데일 인먼 크루 치프 레너드 우드 팀 소유주, 크루 치프
팀 플록 드라이버 2014년 프레드 로렌젠 드라이버 2015년
잭 인그램 웬델 스캇
파이어볼 로버츠 조 웨덜리
데일 재럿 드라이버, 해설자 렉스 화이트
모리스 페티 드라이버, 팀 소유주, 크루 치프, 엔지니어 빌 엘리엇 드라이버, 팀 소유주
제리 쿡 드라이버 2016년 마크 마틴 드라이버 2017년
바비 아이작 리처드 칠드레스 드라이버, 팀 소유주
테리 라보니 릭 헨드릭
커티스 터너 베니 파슨스 드라이버, 해설자
브루턴 스미스 회장 레이먼드 파크스 팀 소유주
레드 바이런 드라이버 2018년 데이비 앨리슨 드라이버 2019년
론 호나데이 주니어 앨런 쿨위키 드라이버, 팀 소유주
로버트 예이츠 팀 소유주, 엔지니어 제프 고든 드라이버, 팀 소유주, 해설자
레이 에버남 팀 소유주, 크루 치프, 해설자 로저 펜스키 팀 소유주 및 회장
켄 스콰이어 해설자 잭 러시 팀 소유주, 엔지니어
바비 라보니 드라이버 2020년 레드 파머 드라이버 2021년
버디 베이커 드라이버, 해설자
토니 스튜어트 드라이버, 팀 소유주 및 회장 마이크 스테파닉
조 깁스 팀 소유주
워델 윌슨 크루 치프, 엔지니어 데일 언하트 주니어 드라이버, 팀 소유주, 해설자
맷 켄세스 드라이버 2023년 도니 앨리슨 드라이버 2024년
허셸 맥그리프 지미 존슨 드라이버, 팀 소유주
커크 셸머다인 드라이버, 크루 치프 채드 크나우스 크루 치프

11.2. NASCAR 75인의 위대한 드라이버

NASCAR 75인의 위대한 드라이버
바비 앨리슨 데이비 앨리슨 샘 아드 벅 베이커 버디 베이커
그렉 비플 제프 보다인 닐 보넷 제프 버튼 커트 부시
카일 부시 레드 바이런 제리 쿡 데일 언하트 데일 언하트 주니어
랄프 언하트 칼 에드워즈 빌 엘리엇 체이스 엘리엇 리치 에반스
레드 파머 팀 플록 A.J. 포이트 해리 갠트 제프 고든
데니 햄린 케빈 하빅 레이 헨드릭 론 호나데이 주니어 잭 인그램
어니 어반 바비 아이작 데일 재럿 네드 재럿 지미 존슨
주니어 존슨 케이시 케인 맷 켄세스 브래드 케셀로우스키 앨런 쿨위키
바비 라보니 테리 라보니 랜디 라조이 카일 라슨 조이 로가노
프레드 로렌젠 타이니 런드 스털링 마를린 마크 마틴 허셸 맥그리프
라이언 뉴먼 코튼 오언스 마빈 팬치 베니 파슨스 데이비드 피어슨
리 페티 리처드 페티 래리 필립스 팀 리치먼드 파이어볼 로버츠
리키 러드 마이크 스테파닉 토니 스튜어트 마셜 티그 허브 토머스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 커티스 터너 러스티 월리스 대럴 월트립 조 웨덜리
밥 웰본 렉스 화이트 글렌 우드 케일 야보로 리로이 야보로

12. 게임

정식 라이선스 게임들은 Papyrus가 EA에게 권리를 넘겨준 후로부터 나스카 히트 시리즈가 나오기 전까진 오랫동안 평가가 좋지 않았다. 나스카를 게임으로 체험해보고 싶다면 정식 라이선스 게임보다는 최근 발매되는 레이싱 게임은 PC/게임기/모바일 막론하고 나스카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많으니 그 쪽부터 접근하는 것이 좋다.

* 정식 라이선스 게임
* 나스카 레이싱 : Papyrus에서 개발된 레이싱 게임. 1994년 첫작이 나왔으며 여러 시리즈를 발매했지만 EA가 나스카 라이센스를 독점하면서 NASCAR Racing 2003 season을 마지막으로 시리즈가 끊겼다. 그 중에서 NASCAR Racing 2003 Season은 적절한 그래픽과 물리엔진으로 하드코어 레이싱 게이머들 사이에서 지금도 회자될 정도로 유명한 명작 게임이라 출시된지 20년이 다되가는 지금까지도 모드가 출시되고 각지에서 온라인 시즌이 진행되고 있다. 여담으로, 이 게임은 초창기 레이서즈 클럽과도 관계가 있는 게임인데, 자체 리그가 꾸준히 개최되었고 레이서즈 클럽에서 개최되었던 멀티플레이어 리그 중 가장 오랫동안 이어졌다.
* EA 나스카 : EA 스포츠로 나온 게임. 1999년부터 만들기 시작. 2003년에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는데, 정작 독점으로 발매되기 시작한 뒤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좋은 평가는 못 들었고 결국 2009년에 연장 계약을 포기하고 단종을 결정하면서 명맥이 끊어졌다.
* 나스카 더 게임 : EA 다음으로 유테크닉스(Eutechnyx)[58]가 2010년부터 이어서 만들었다. 2014년부터는 더 게임을 떼고 나스카 '14, '15를 내놓았으나 이를 마지막으로 2015년 라이선스 권한을 HC2 그룹에 넘겼다.
* 나스카 히트 : 2015년 권한을 이어받은 HC2 그룹은 게임 전문 자회사인 듀젠베리 마틴 레이싱을 세우고 나스카 게임 제작에 잔뼈가 굵은 몬스터 게임즈에 나스카 히트 시리즈를 현재까지 만들게 하고 있다. 2017년 듀젠베리 마틴 레이싱은 704 게임즈[59]로 사명을 바꿨다. 모터스포츠 네트워크 그룹에서 관심을 가진 모양인지, 2018년 8월부터 주식을 매입하기 시작해 2019년 3월 704 게임즈의 모회사가 되었다. 704 게임즈는 나스카 게임 개발 라이선스를 2029년까지 계약했다고 한다.
* 나스카 21: 이그니션 : 모터스포츠 네트워크 그룹이 704 게임즈의 모회사가 된 이후, 기존의 나스카 히트 시리즈가 아닌 이그니션 시리즈로 이름을 바꿔 새롭게 발매되었다. 지난 나스카 히트 시리즈의 성공과 더불어 언리얼 엔진rFactor 2의 물리엔진이 조합된 게임이라 많은 팬들이 기대를 했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온갖 버그들의 대환장쇼가 벌어지고 있어 팬들은 크게 실망하거나 분노하고 있으며 스팀 평가는 이를 반영해서 매우 나쁜 편

[1] 그랜드 마셜들의 "Drivers, start your engines!!!"이라는 외침과 동시에 경주에 참가한 전 레이서들이 자신의 경주차에 시동을 거는 장면은 전율이 흐를 정도.[2] NASCAR Whelen Euro Series[3] 2016년 시즌부터 최대 드라이버 수를 43명에서 40명으로 줄임[4] 오벌 서킷인 데이토나 500와 대비되는 로드 코스다.[5] 나스카를 포함한 북미 레이스의 시작 선언이고, 데이토나 USA에서 레이스 시작 직전마다 들을 수 있는 문구이기도 하다. 다만 여기서는 예전 선언인 "Gentlemen, start your engines!"으로 호칭이 다르다.[6] 참고로 전 세계적으로 스톡카는 실루엣의 일종으로 보고 있으며, "오로지 상대를 이기기 위해서만 만들어진 경주용 자동차" 라고 정의하고 있다. 나스카가 특이한 거다. 엄밀히 말해서, 레이싱만을 위해서 만들어진 차량이나 부품들은 '스포츠 프로토타입', 줄여서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 르망 24시아우디 R18, 포르쉐 919 하이브리드, 토요타 TS050 하이브리드같은 LMP (르망 프로토타입)부터 시작해서 DTM이나 기타 투어링 경주에서 사용하는 차량들도 프로토타입 레이싱에 가깝다. 슈퍼레이스의 슈퍼6000 클래스의 경우에도 뒤에 나오는 나스카와 마찬가지로 껍데기만 GR수프라에 나머지의 부품은 철저히 경주용으로 이루어져 있다.[7] 지금의 스톡 카의 원뜻에 가까운 차량은 투어링 카그랜드 투어러.[8] 전조등이나 후미등같은 조명류를 스티커로만 구현해둔 이유는 안전 문제 때문이다. 사고가 빈번한 NASCAR 특성상 사고로 인해 차량 조명이 깨지면 워낙 차량이 고속으로 달리다 보니 파편이 사방으로 튄다. 이 파편들은 오벌 트랙 특성상 치울 시간도 부족하고, 트랙에 굴러다니는 파편들이 관중석은 물론 다른 차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티커로 대체한 것이다. 차체에서 나오는 FRP 파편도 영향을 많이 주는데 일반적인 수지로 이루어진 파편이다. 더구나 NASCAR의 경우 경기중 트랙에 가로등이 많이 설치되어 트랙 자체가 밝기 때문에 굳이 필요하지 않다.[9] 픽사의 애니메이션 "카"에 등장하는 주인공 라이트닝 맥퀸이 작중에서 NASCAR 레이싱카로 등장하는데, 애칭으로 "스티커"라고 불리기도 했다.[10] 겉만 보면 시대 착오적인 카뷰레터가 달린 올드 OHV 엔진으로 보이지만, 10000RPM에 850마력의 출력을 내기 위해 원본 엔진의 주철 블록이 아닌 알루미늄 블록으로 만들고, 단조 알루미늄은 기본에 티타늄, 공구강 같은 가볍지만 비싸고 절삭도 힘든 재질들로 부품을 만든다. 그리고 브랜드가 다른 포드와 토요타 차량들도 대회 규정상 저 엔진을 무조건 써야 한다. 단 엔진 서플라이어는 팀별로 다르다.[11] 제조사 (컨스트럭터) 중 승점을 가장 많이 모은 제조사에게 수여하는 것. WRC 등에서는 '매뉴팩쳐러 챔피언'이라고 부른다.[12] 참고로 제조사 개수 제한은 없다.[13] 가장 큰 이유라면 후술했듯이 차량 자체에 기술적 제한을 적용하는 부분일 것이다. 차량 자체의 기술력을 보여줄 수 있는 포뮬러 1과 같은 레이싱과는 달리 순전하게 드라이버의 기량에 의지한다는 점 때문에, 차량의 기술력을 과시하려는 여타 다른 해외 차량 제조업체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듯하다. 극한의 레이싱 환경을 극복해야 하는 랠리나 순간적인 스피드와 내구성을 중요시하는 (르망 24시를 포함한) WEC 등의 경기보다는 중요시하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14] 그런데 나스카 측에서 현대자동차에게 참가를 권유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협회 측은 토마스 쉬미에라 현대자동차 상품전략본부장을 만나 현대차의 2021년, 혹은 2022년 나스카 참가 권유를 했다는 것. 이에 현대차는 고액의 참가비용으로 인해 난감해 한다는 내용의 기사인데, 일단 현대 측은 고심 중인 것으로 나와있다출처.[15] 실제로 페르난도 알론소, 루이스 해밀턴, 키미 래이쾨넨, 로맹 그로장 등의 F1 출신 유명 드라이버들 중 NASCAR 차량 운전에 도전해본 이들은 나스카 드라이버들의 기량을 대단히 높이 평가한 바 있으며, 본인이 나스카에 도전할 경우 성공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말도 했다. 사실 그도 그럴 만한 게 기본적인 운용 조작 난이도가 꽤나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16] 사실 NASCAR의 차량과 포뮬러카의 실질적인 최고 속력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다. 둘 다 직진 코스에서 시속 300km는 가볍게 상회하기 때문이다. 다만 코너링으로 가면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NASCAR의 경우 대부분 오벌 트랙 형태의 서킷을 돌기 때문에 다운포스의 중요성이 포뮬러에 비해 높지 않기 때문에 코너링을 하기 위해서는 더욱 감속해야 한다. F1 차량은 약간의 조정을 거치면 오벌 트랙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NASCAR 차량의 경우 F1 서킷에서는 다운포스가 거의 없는, 속도만 빠른 로드카에 불과하다. 물론 앞에서도 말했듯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 차이를 떠나서 두 레이스의 이러한 차이 때문에 각기 요구되는 드라이빙 스킬이 제각기 다르다.[17] 이는 카(애니메이션)에서 잘 나온다. 초반부 다이노코 400이 한창 벌어질 때 칙 힉스가 옆의 경주차를 밀며 일어나는데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따로 없다.[18] 실제로 데이토나 500에서는 적어도 1번은 빅 원이 일어난다.[19] 아예 현장감을 느껴보시라고 생중계를 한다.[20] 문자 그대로 들이받고 튀기. 이니셜D에서 타치 토모유키가 사용한 바 있다.[21]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자동차 30~40대가 뛰는 쇼트트랙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괜히 레이스 초중반에 위험한 기술로 등수를 하나 올리는 것은 큰 의미도 없고 오히려 레이스 후반에 보복당해서 레이스를 망칠 가능성만 생긴다.[22] MLB에서 보복구가 암묵적으로 허용되는 것과 비슷하다.[23] 몇몇 경기들에서는 충돌의 여파로 차체가 대파되고 몇차례 데굴데굴 굴러간 후 멈추고 나면 차량은 온데간데없고 파쇄된 넝마 누더기, 그러니까 자동차'였던 것'이 덩그러니 남아있는데 드라이버가 멀쩡하게 그 안에서 나와 차량 상태를 보고 망연자실+허탈한 모습으로 서 있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24] 당시는 HANS라는 머리 고정 장치가 의무화되지 않았었던 때인데, HANS가 있었다면 사망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그래서 데일 언하트 사망사고 이후 HANS는 대부분의 모터스포츠 경기에 의무 적용되게 된다.[25] 다행히 라이언 뉴먼은 NASCAR의 안전장치 덕분에 사망하지 않았다. 대신 회복기 동안 파트타임 드라이버인 로스 채스테인이 대신 출전한다.[26] 한국인들에게는 듣보잡일지라도 미국인들은 "아, 그 회사? 잘 알지 당근"이라고 할 정도로 중견~대기업들이다.[27] 2번 드라이버 브래드 케셀로우스키의 핵심 스폰서였지만 2019년 이후로 계약은 끊겼고 2020년에는 코카콜라 600에서만 스폰서였다.[28] 카일 부시조 깁스 레이싱에 있던 시절의 메인 스폰서이다. 워낙 오랫동안 스폰서로 있었다 보니 부시에게 '캔디맨'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29] 마지막 랩, 즉 화이트 플래그가 나올 때 항상 크레딧 원 뱅크 광고가 나온다. 또한 맷 켄세스의 자동차에 새겨져 있기도 했다.[30] 11번 드라이버 데니 햄린의 메인 스폰서이다.[31] PENNZOIL 사는 22번 드라이버 조이 로가노에게 홍보하고 있고, 로가노의 차량에는 Shell 사의 로고도 달려있다.[32] 2013년 기사에 따르면 한 시즌 38경기에 대한 메인 스폰서 비용은 최대 3,500만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링크[33] 잘하고 유명한 드라이버일 수록 소수의 스폰서와 장기 계약으로 오랫동안 함께하기 때문에 리버리만 보고도 어떤 드라이버인지 쉽게 알아볼 수 있기는 하다.[34] 트랙간 규격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몇 바퀴 돌면 끝 이런게 아니라 달린 마일수로 따진다. 주로 400마일이 있으며 500마일, 600마일 경기도 존재한다. 다만 평균속도가 느린 로드 코스나 코스가 짧은 곳에서는 마일이 아닌 랩 수나 킬로미터로 따지기도 한다. 또한 저 숫자들이 경기 이름에 반영된다. 데이토나 500, 브릭야드 400처럼.[35] 컵 시리즈 기준. 트럭 시리즈는 23회, 엑스피니티 시리즈는 33회다.[36] 경주의 발상지가 미국이라 브랜드는 대부분 전형적인 미국산 토종 모델들이었다. 한때 크라이슬러 산하의 닷지차저, 챌린저제너럴 모터스폰티악 역시 NASCAR 컨스트럭터로 참가했었으나, 현재는 후술할 3대 메이커들이 베이스 모델을 석권하다시피 한다. 다만 차량에 사용되는 타이어는 미제 굳이어 사 제품을 단독으로 취급하고 있는 중.[37] 2018 시즌까진 포드 퓨전이었다. 포드는 전통적으로 포드 토러스를 썼으나 퓨전으로 한 번 바꿨다가 머스탱으로 변경.[38] 유난히 쉐보레는 차량 변화가 많았다. 쉐보레 몬테 카를로, 쉐보레 임팔라, 쉐보레 SS 등의 차량을 3, 4년마다 바꿔가면서 사용하다가 현재는 카마로로 바뀌었다. 카마로는 원래 엑스피니티 시리즈에서 사용했었는데, 컵 시리즈에서 쓸 세단이 모두 단종되자 컵 시리즈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규격은 다른데 카마로도 2023년 12월을 끝으로 생산 중단된 뒤, 쉐보레의 다음 나스카 카울 차로 무슨 모델이 쓰일지는 미정이다. 일단은 25년까지 계속 카마로 사용될 예정이다.[39] 엑스피니티 시리즈에서는 토요타 수프라 카울을 사용한다.[40] 크고 작은 사고들이 유별나게 많았던 장소로 악명높은 곳이다. 내려오는 도시전설에 의하면 서부개척 시절, 미 정부에 의해 삶의 터전을 잃고 내쫓겼던 이곳 출신 토착 원주민들의 서슬퍼런 원한이 서려있는 곳이기 때문이라는 카더라가 있다. 이곳에서 쫓겨난 원주민들 일부가 플로리다 원주민들이었던 세미노울 족의 일원이 되었다고 한다.[41] 프로젝트 91에 처음 참가한 키미 라이코넨은 예선 27위로 시작했으나 본선에서는 중상위권까지 순위를 높였다. 그러나 46랩째에 충돌에 휘말리며 아쉽게 리타이어로 마쳤다.[42] 미국에서 유니폼/차체 메이커 외 스폰서 부착이 성행하는 몇 안되는 종목이다. 야구나 아이스하키 등은 중간에 경기 중단이 많은 반면 나스카 등 모터스포츠는 체커기가 나오기 전까지는 계속 달려야 하므로 완전 중단이 없다. 그래서 같은 팀의 드라이버들이라도 스폰서에 따라 리버리가 달라지며, 거기다 개인 종목 특성상 무연고 투어리그라 입장수익도 보장되지 않으므로 스폰서 덕지덕지 붙이는 건 당연하다.[43] 14번 드라이버였던 토니 스튜어트 (Tony Stewart)의 차량에서 볼 수 있었다. 참고로 토니 스튜어트는 NASCAR 컵 시리즈에서 상위권을 차지했던 명 레이서였으며 2016년까지 현역으로 생활한 후 현재는 자신만의 NASCAR 팀인 스튜어트-하스 레이싱을 세워 운영 중이다.[44] 과거 조 깁스 레이싱 (Joe Gibbs Racing)의 차량에서 두산인프라코어의 스티커를 볼 수 있었다.[45] 남부연합기 금지를 주장해 인종차별로 인한 살해위협을 받았으며, 트위터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설전을 하기도 하였다.[46] 2015년 K&N 프로 시리즈에서 챔피언을 먹고 2016년 캠핑 월드 트럭, 2017년 엑스피니티 시리즈에서 차례로 올해의 신인상을 받고 2017년 시즌이 끝나기도 전에 컵 데뷔가 결정되었으며 2017년 엑스피니티 시리즈 챔피언이 되었다. 2018년 몬스터 에너지 컵 시리즈에 데뷔해 그 해 또 올해의 신인상을 받은 슈퍼루키 드라이버다.[47] 나스카의 전설이다. '더 킹'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 당장 한번만 우승해도 영광일 데이토나 500에서 7승을 따낸 전설적 드라이버다![48] 차량은 43번 플리머스 슈퍼버드 STP 리버리가 그를 대표하며, 현재는 에릭 존스가 사용하고 있다.[49] 총 200경기를 승리했다.[50] 리처드 페티와 쌍벽을 이루었던 전설의 드라이버. 2001년 데이토나 500에서 마지막 랩을 돌다 사고로 생을 마감한다.[51] 무엇보다도 당시는 HANS라는 머리 고정 장치가 의무화되지 않았었던 때라 HANS가 없었는데, HANS가 있었다면 사망하지 않을 수도 있었다. 그래서 데일 언하트 사망사고 이후 HANS는 대부분의 모터스포츠 경기에 의무 적용되게 된다.[52] 2001년 연습도중 사고로 갈비뼈, 폐 등등에 손상을 입은뒤 은퇴했다.[53] 현재 몬스터 에너지 컵 시리즈의 4번 드라이버 케빈 하빅, 10번 드라이버 애릭 알미롤라, 14번 드라이버 클린트 보이어, 41번 드라이버 커트 부시, 엑스피니티 시리즈의 00번 드라이버 콜 커스터가 소속된 Stewart Haas Racing의 사장으로서 일하고 있다.[54] 위의 3번 드라이버 데일 언하트의 아들. 아버지만큼 실력이 출중해서 우승을 많이 흽쓸었다.[55] 사고를 겪고 회복한 후 복귀했으나 뇌진탕 증세가 계속되어 은퇴하였다.[56] 시리즈 유일 여성 드라이버였으나 2018년에 은퇴.[57] 포코노에서 사고를 겪고 뇌진탕 증세로 결국 복귀하지 못하고 은퇴했다.[58] 라이드 투 헬: 레트리뷰션을 제작한 그 회사가 맞다.[59] 704는 본사가 위치한 노스캐롤라이나 샬럿의 지역 코드명을 따왔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