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2:37:14

쉐보레 임팔라

쉐보레 플래그십 세단 라인업
카프리스 임팔라 말리부
파일:쉐보레 로고.svg
파일:IPLMAIN.jpg
IMPALA

1. 개요2. 모델별 설명
2.1. 1세대 (1958)2.2. 2세대 (1959~1961)2.3. 3세대 (1962~1964)2.4. 4세대 (1965~1970)2.5. 5세대 (1971~1976)2.6. 6세대 (1977~1985)2.7. 7세대 (1994~1996)2.8. 8세대 (2000~2005)2.9. 9세대 (2005~2016)
2.9.1. 경찰차 사양
2.10. 10세대 (2013~2020)
3. 제원4. 미디어5. 둘러보기


Chevrolet Impala[1]

1. 개요

미국 GM 산하 쉐보레 브랜드의 차량으로. 1958년부터 2020년까지 생산한[2] 후륜구동 쿠페이자, 전륜구동 세단. 7세대 이후로 쿠페모델은 완전히 단종 되었다. 이전 원본 모델이 쉐보레의 머슬카 중 하나인 벨 에어였던만큼 초기 모델은 머슬카로 구분하기도 한다.

2. 모델별 설명

한 편의 임팔라 역사[3]
참고로 1~5세대 임팔라는 캐딜락 엘도라도와 여러 모로 비슷한 디자인이지만 캐딜락과는 엄연히 다른 차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캐딜락 엘도라도와는 촌수가 4촌 넘어가는 먼 친척 정도라 외형만 비슷한 차다.

많은 미국인들이 사랑하는 임팔라는 바로 1980년대까지 나온 클래식 임팔라들이다. 특히나 1958년~1964년에 나왔던 초창기 임팔라는 웬만한 머슬카 못지않은 중고가 가격대를 자랑하며, 많은 사람들이 갱 차량으로 언급하는 1964년식 임팔라는 이들 중에서 최고봉으로 꼽힌다.

2.1. 1세대 (1958)

파일:mtNtYnh.jpg
1958년쉐보레의 풀사이즈 후륜구동 대형차로 등장하였으며, 쉐보레 벨 에어의 파생형 모델로, 당시 쉐보레 브랜드의 시판차 중 가장 비싼 차였다.[4]

로우라이더로 굉장히 잘 개조되는 차량들 중 하나이다.[5]

2.2. 2세대 (1959~1961)

파일:SG3j8mu.jpg
위 사진은 1959년식 4도어 세단 모델이다. 불과 3년 남짓한 시간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세대로, 디자인만 보더라도 초기 중기 후기 모두 다르다. 특히 1959년형 차량의 경우 후면에서 보았을 때 갈매기 날개의 형상을 닮은 가로형 테일 핀이 특징이다. 매우 독특한 디자인이었기에 후면 디자인이 닮은 보트도 출시되었다.

바로 뒷 세대가 미국의 게토 문화를 대표하는 차량이기 때문에 이 세대는 다소 묻힌 바 있지만, 이 뒷 세대와 비슷하게도 로우라이더로 가장 잘 개조되는 모델이며, 클래식카 콜렉터들에게는 사랑받는 모델이다.[6]

2.3. 3세대 (1962~1964)

파일:JqjFZYh.jpg
위 사진은 1963년식 4도어 세단 모델이다. 임팔라 클래식 모델 중에는 제일 유명하고 또한 가장 선호되는 모델이며, 중고가 가격이 타 세대에 비하면 높은 편이다.[7] 또한 로우라이더로 가장 잘 개조되는 모델이기도 하다. [8]

출시된 지 60년이 다 되어감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웨스트 코스트와 강인한 게토 문화의 상징으로써 문화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힙합과 게토 문화에 꾸준히 등장한 만큼 미국에서는 갱스터 차량이라는 인식도 있다. 특히나 1964년식 임팔라는 닥터 드레, 아이스 큐브, 이지 이 등의 전설적인 웨스트코스트 갱스터 MC들의 곡의 뮤직 비디오에 나오기도 하는 등 90년대 미 서부의 힙합 문화를 상징하는 차량이기도 한다.[9] 3세대 임팔라는 발매 당시부터 흑인의 경제적 독립과 자유를 상징하는 자동차로써 블랙 커뮤니티에 큰 인기를 끌었는데, 여기에는 64 임팔라가 소수 인종이 좋은 차량을 가질 수 없던 차별을 끝낸 상징으로 비추어졌다는 배경이 있다.

또한, 임팔라 SS 트림이 처음 출시된 세대이다.

2.4. 4세대 (1965~1970)

파일:MIdBdjq.jpg
1965년에는 미국 베스트셀러를 차지하기도 했고, 포드 갤럭시 500, 플리머스 퓨리 등 당대 미제 대형차들과 경쟁하였다.

2.5. 5세대 (1971~1976)

파일:XVIit2J.jpg
캐딜락 엘도라도를 떠올리게 하는 앞부분과 쭉 뻗은 차체가 인상적이다. 포드 핀토 충돌 실험에 사용된 차이기도 했다.[10]

2.6. 6세대 (1977~1985)

파일:luQTX3Q.jpg
1985년 석유파동의 영향으로 무식하게 크고 기름을 많이 소비하던 대형차들의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임팔라도 덩치가 전 세대에 비해 상당히 작아졌다.

2.7. 7세대 (1994~1996)

파일:5HIxJjG.jpg
1994년카프리스에 강력한 V8 5.7리터 엔진[11]을 얹은 스포츠 모델의 이름으로 부활하였다가 이내 3년만에 단종되었다. 1990~2006년 당시 영화에서 크라운 빅토리아와 함께 많이 등장한 경찰차 모델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 차는 임팔라가 아니라 카프리스다.

역대 임팔라 중 가장 크기가 크다.
위쪽이 7세대, 아랫쪽이 10세대이다.
전장 전폭
5438mm 1956mm
5110mm 1855mm

2.8. 8세대 (2000~2005)

파일:fxcSAaj.jpg
2000년에 다시 부활하게 되는데, 이 때부터 임팔라는 후륜구동에서 전륜구동으로 변경되고, 주유구도 3세대처럼 왼쪽으로 바뀐데다 그레이드도 준대형차로 체급이 살짝 낮아지게 되었다. 사실 8세대 임팔라는 7세대 임팔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준대형 세단이자 말리부의 윗급 차종인 쉐보레 루미나를 대체하는 성격까지 가지고 있다. 토요타 캠리, 혼다 어코드, 현대 쏘나타 같은 중형차들 보다는 넓찍하면서도 한체급 위인 대형차의 크기에 버금가는 커다란 차체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값, 그리고 미국 정부의 막대한 플릿 구매 수요[12]를 무기로 늘 동급 상위의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상업적으로 성공하게 된다.

파워트레인은 기본형으로 V6 3.4 180마력이 있었고, 옵션으로 V6 3.8 200마력이 제공되었다. 그리고 2004년부터는 임팔라 SS 트림이 생겼는데, V6 3.8에 슈퍼차저가 적용되어, 240마력의 출력을 낸다. 변속기는 전 모델 4단 자동이다.

Grand Theft Auto IV에 나오는 Merit라는 차량은 이 차를 기반으로 했다.

2.9. 9세대 (2005~2016)

파일:IPL061.jpg 파일:IPL062.jpg
9세대 임팔라

2005년에 2006년형으로 출시되었다. 역시 전륜구동에 주유구도 왼쪽이다. 출시 초기에는 세 가지 엔진이 탑재되었는데, 3.5 V6 211마력, 3.9 V6 233마력, 5.3 V8 303마력이 있었다. 이 중 5.3 V8은 SS라는 트림으로 출시되었다. 변속기는 4단 자동변속기만 존재했었다. 그 후 2010년식에 와서는 SS트림이 단종되어 두 가지 엔진만 남게된다. 또 얼마 안가서 2년 뒤에는 이 두 엔진이 모두 삭제되고, 3.6 V6 302마력 엔진 한 가지로 대체된다. 변속기 또한 자동 6단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팔리는 10세대의 경우 경찰차의 비중이 적은 편이지만[13], 이 9세대 임팔라는 경찰차로 상당히 많이 납품되었다.[14]

파일:external/www.gmfleet.com/2016-gmfleet-chevy-impala-ltd-exterior-1-960x388.jpg
파일:external/www.gmfleet.com/2016-gmfleet-chevrolet-impala-police-exterior-1-960x388.jpg

10세대 임팔라가 판매되고 있는 와중에도 판매되고 있는데, 2014년식 이후로는 임팔라 리미티드(Limited)라는 이름으로 2016년까지 판매되고 있었다. 물론 일반 고객에게는 판매되지 않고, 주로 Fleet(플릿)이라고 불리는 렌트카, 경찰차 및 공공기관 납품 용도로만 판매된다.

일반용은 3.6리터 V6는 출력 300hp/6500rpm, 토크 262lb⋅ft/5300rpm이고, 경찰용은 3.6리터 SIDI V6는 에탄올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플렉스 퓨얼기능이 장착된다. 게다가 출력도 2마력이 더 높다.

파생형으로 몬테 카를로(Monte Carlo)가 존재했지만 8세대 임팔라의 페이스리프트에 불과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대한민국에서는 7세대 말리부와 함께 미군 부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미군MP 헌병대용 차량으로 많이 도입). 2000년대 말~2010년대 초에 많았으나, 점차 감소되는 추세였고 현재 거의 사라져 보기 힘들다.

2.9.1. 경찰차 사양

파일:2006-11 쉐보레 임팔라 9C1 전면부.jpg 파일:2016 쉐보레 임팔라 리미티드 9C1 전면부.jpg
<rowcolor=#fff,#fff> Chevrolet Impala 9C1 (9th Generat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쉐보레 임팔라 9C1/9세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임팔라 9C1/9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임팔라 9C1/9세대#|]][[쉐보레 임팔라 9C1/9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10세대 (2013~2020)

파일:IPL1.jpg 파일:IPL2.jpg
Chevrolet Impala (10th generat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쉐보레 임팔라/10세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임팔라/10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임팔라/10세대#|]][[쉐보레 임팔라/10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제원[15]

===# 7세대 #===
IMPALA/7세대
<colbgcolor=#cf9835><colcolor=#fff>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텍사스알링턴
차량형태 4도어 대형 세단
승차정원 5명
전장 5,435mm
전폭 1,970mm
전고 1,390mm
축거 2,945mm
윤거(전) 1,582mm
윤거(후) 1,593mm
공차중량 1,915kg
연료탱크 용량 87L
타이어 규격 255/50R17
플랫폼 GM B-바디(13세대)
구동방식 앞엔진 뒷바퀴굴림(FR)
전륜 현가장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과급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0~100km/h 최고속도 변속기
가솔린
쉐보레 스몰블럭
(LT1)
V형 8기통 자연흡기 5,733cc 264ps 45.6kgf·m 7.5초 240km/h 4단 자동[16]

===# 10세대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쉐보레 임팔라/10세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임팔라/10세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쉐보레 임팔라/10세대#|]][[쉐보레 임팔라/10세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미디어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F9835,#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CF9835>
파일:쉐보레 로고(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F9835,#CF9835>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초소형차 - 스파크 EV(이집트형)
경차 - 레치 · 비트해치백 · 비트세단 · 스파크 · 스파크 EV
소형차 넥시아(T250) · 아베오/세일/옵트라(3세대) · 코발트(2세대) · 오닉스 스프린트 · 슈피리어 · 몬자 · 베가 · 셰베트 ·
셰베트(남미형) · 마라조 · 메트로 · 코르사 ·
넥시아 · 라노스 · MW · 쉐비 ·
셀타 · 스프링고 EV · 클래식 · 애자일 ·
프리즈마 · 쉐비 말리부 · 볼트 EV
준중형차 멘로 · 몬자(중국형)/캐벌리어(멕시코형) · 라세티(동유럽형) 콜베어 · 레이크우드 · 피렌자 · 캐벌리어 ·
코르시카 · 베레타 · 스펙트럼 · 프리즘 ·
아스트라 · 코발트(1세대) · 옵트라(1~2세대) · 볼트 ·
크루즈 · 카시아 · 1700 · 노바 · 사이테이션
중형차 말리부 XL 시리즈 H · 시리즈 F · 시리즈 490 · 시리즈 D ·
시리즈 M 코퍼-쿨드 · 150 · 210 · 셰빌 ·
셰빌 그린브리어 · 셀러브리티 · 루미나 · 레코드 ·
2500
· 벡트라 · 엘 카미노 · 알레로 · 셰베어 ·
몬자(브라질형) · 에피카 · 말리부 클래식
준대형차 - 오팔라 · 코모도어 · 3800 / 4100 ·
오메가 · 루미나 · SS · 임팔라
대형차 - 시리즈 C 클래식 식스 · 라이트 식스 · 시리즈 FA ·
시리즈 FB · 시리즈 AA 캐피톨 · 시리즈 AB 내셔널
· 시리즈 AC 인터내셔널 · 시리즈 AD 유니버설 ·
시리즈 AE 인디펜던스 · 시리즈 BA 컨페더레이트 ·
시리즈 CA 이글/마스터 · 스탠다드 식스 · 마스터 ·
디럭스/스타일라인 · 스타일마스터 · 벨 에어 ·
벨 에어(캐나다) · 노매드 · 콘스탄티아 · 카프리스 ·
엘 카미노 · 플리트마스터 · 플리트라인 · 타운즈맨
· 뷰빌 · 브룩우드 · 킹스우드 · 파크우드 · 델레이
· 여맨 · 비스케인 · 제나토어
스포츠카・슈퍼카 콜벳 몬테 카를로 · 칼리브라 · 티그라 · SSR · 루미나 쿠페 · 카마로
소형 SUV 트랙커 · 트레일블레이저 · 그루브 · 시커 · 트랙스(2세대) · 스파크 EUV 크루즈 · 트랙커 · 트랙스(1세대) · 볼트 EUV
준중형 SUV 이쿼녹스 · 캡티바(2세대) 니바 · 캡티바 스포트
중형 SUV 블레이저 · 이쿼녹스 EV · 트레일블레이저 K5 블레이저 · S-10 블레이저 · 트레일블레이저 · 캡티바(1세대)
준대형 SUV 트래버스 · 블레이저 EV -
대형 SUV 타호 -
초대형 SUV 서버번 -
소형 픽업트럭 몬태나 · D-맥스 셰비 500 · SSR
중형 픽업트럭 콜로라도 · S10 맥스 LUV · S-10 픽업
대형 픽업트럭 실버라도 · 실버라도 EV AK 시리즈 · 태스크 포스 · 어드밴스 디자인 ·
C/K · 아발란치 · D-20 · 세리에 10
슈퍼 픽업 - 코디악
소형 MPV 스핀 로바 · 콤보 · 타쿠마
준중형 MPV - HHR · 메리바 · 타베라 · 올란도
중형 MPV - 아스트로 · 루미나 APV · 벤쳐 · 업랜더 · 자피라
경상용차 다마스 · 라보 · N300/무브 · N400/토르나도 밴 -
LCV 익스프레스(스타크래프트 밴) · 익스프레스 맥스 · 로우 캡 포워드 · 브라이트드롭 400 · 브라이트드롭 600 트래픽 · 그린브리어 · 셰비 밴 · 시티 익스프레스 · 쉐보레 스텝밴
트럭 로우 캡 포워드 타이탄 · 바이슨 · 브루인
버스 - BD50DL · 라이트 버스
경찰차 타호 PPV · 실버라도 SSV / PPV · 블레이저 EV PPV 임팔라 PPV · 카프리스 PPV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쉐보레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F9835,#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CF9835>
파일:쉐보레 로고(화이트).svg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경차 <colbgcolor=#FFFFFF,#222222> - <colbgcolor=#FFFFFF,#222222> 스파크, 스파크 EV
소형차 - 볼트 EV[i], 아베오
준중형차 - 볼트[i], 크루즈
중형차 - 말리부
준대형차 - 임팔라[i]
스포츠카 - 카마로[i]
슈퍼카 - 콜벳[i]
소형 SUV 트랙스 크로스오버, 트레일블레이저 트랙스, 볼트 EUV[i]
준중형 SUV - 이쿼녹스[i]
중형 SUV - 캡티바
준대형 SUV - 트래버스[i]
대형 SUV - 타호[i]
중형 픽업트럭 콜로라도[i] -
준중형 MPV - 올란도
기울어진 글씨: 한국 생산 차종
각주 [ 펼치기 · 접기 ]

[i] 수입 차종[i] [i] [i] [i] [i] [i] [i] [i] [i]
}}}}}}}}}
[ 캐딜락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
|| ||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FFF,#222222> - <colbgcolor=#FFFFFF,#222222> BLS, ATS, ATS-V, CT4
준대형차 CT5-V 블랙윙 스빌, STS, CTS, CTS-V
대형차 - 드 빌, DTS, CT6
준중형 SUV - XT4
중형 SUV - SRX(2세대), XT5
준대형 SUV 리릭 SRX(1세대), XT6
대형 SUV 에스컬레이드 -
[ GMC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9011D><tablebgcolor=#C9011D><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C9011D><tablealign=center><tablebgcolor=#C9011D>
파일:GMClogowhite.png
|| ||
||
차급 판매 차량 단종 차량
대형 픽업트럭 <colbgcolor=#FFFFFF,#222222> 시에라 <colbgcolor=#FFFFFF,#222222> -
[ 기타 단종된 브랜드별 차량 ]
[ 알페온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Alpheon(Black).png
|| ||
||
<colbgcolor=#000000> 차급 판매된 차량
준대형차 <colbgcolor=#FFFFFF,#222222> 알페온
[ 사브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234C><tablebgcolor=white,black><height=70><width=600>
||<tablebordercolor=white,black><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black>
파일:사브 오토모빌 로고.svg
|| ||
||
<colbgcolor=#0C234C> 차급 판매된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FFF,#222222> 900, 9-3
준대형차 9000, 9-5
||



[1] 이름의 유래가 영양의 한 종류인 임팔라이기 때문에 로고도 영양을 형상화시킨 모습이다.[2] 정확한 생산년도는 1958년~1985년, 1994년~1996년, 2000년~2020년[3] 국내에서 판매되기 시작한 10세대 모델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룬다.[4] 엠블럼이 캐딜락의 엠블럼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쉐보레 초기 엠블럼이다.[5] 다만 이는 3세대 임팔라보다는 덜하다.[6] 실제로 중고 가격은 3세대와의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하드탑으로만 봤을 땐 오히려 2세대가 더 가격이 높을 때도 있다. 물론 컨버터블 모델은 최소 5만 달러에서 10만 달러 이상이 들어간다.[7] 특히나 컨버터블 모델은 5만 달러 이상을 호가하는 경우도 많으며, 10만 달러를 넘게 호가할 때도 있다.[8] 한국에서는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더 하우스 오브 지엠에서 로우라이더로 개조된 차량을 전시한 적이 있었다.[9] 특히 이지 이의 히트곡인 Boyz-N-The-Hood의 첫 가사인 Cruzin' down the street in my 64의 영향이 컸다.[10] 물론 사진의 2도어가 아닌 4도어였다.[11] LT1 엔진, 쉐보레 콜벳 4세대 모델 후기형에 들어가던 엔진이다[12]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와 같이 공공기관용 및 경찰차용 수요로 판매되었다.[13] 홀덴에서 들여온 쉐보레 카프리스 PPV를 경찰차로 대체하는 바람에 10세대에 와서는 경찰차로서의 임팔라는 보기 힘들게 되었다.[14] 대표적으로 NYPD 경찰차로 쓰였으며 영화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의 닉 퓨리의 탈출 장면에도도 경찰차로 등장했다.[15] 7세대는 북미 내수형 기준, 10세대는 대한민국 사양 기준[16] GM 4L60-E[17] 1970~1990년대에 나온 쉐보레 경찰차들은 카프리스다. 비록 7세대 임팔라가 카프리스의 고성능형이긴 하지만, 경찰차로 납품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