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3:22:0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022년 5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휴전 협상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 2월 · 3월 · 4월)
전선 및 전투 [첨자2]
하리코프 전선파일:ongo.png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보우챤스크 전투파일:ongo.png) · 쿠퍈스크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스타로벨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쉬키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야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보-크레멘나야 전선 전투파일:ongo.png · 스바토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베즈노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도네츠크 전선파일:ongo.png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ongo.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솝야르 전투파일:ongo.png · 토레츠크 전투파일:ongo.png · 니우요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크롭스크 전투파일:ongo.png)
남부 도네츠크 전선 (셀리도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크라인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로프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라호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글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도네츠크-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전선 전투파일:ongo.png)

오데사 전선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헤르손 전선파일:ongo.png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자포리자 전선파일:ongo.png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폴로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훌랴이폴레 전투파일:ongo.png )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크린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탈환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노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키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이르핀 전투 ·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파일:ongo.pn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파일:ongo.png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ongo.png · 쿠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
크리비리흐 공습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 아제르바이잔 항공 8243편 추락 사건 · 2025년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기타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나는 살고 싶다 · 광물 협정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025년 4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첨자2] 파일:ongo.png: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의 승리[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의 공걱, 파일:모호 아이콘.svg: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B]
}}}}}}}}} }}}}}}}}}

1. 개요2. 1일3. 2일4. 3일5. 4일6. 5일7. 6일8. 7일9. 8일10. 9일11. 10일12. 11일13. 12일14. 13일15. 14일16. 15일17. 16일18. 17일19. 18일20. 19일21. 20일22. 21일23. 22일24. 23일25. 24일26. 25일27. 26일28. 27일29. 28일30. 29일31. 30일32. 31일

1. 개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5월 전황을 정리한 문서다.

러시아 측과 우크라이나 측 양쪽 모두 거짓, 과장, 오해들을 담은 정보들이 여러 매체와 SNS 상에서 난무하고 있다. 이는 교전국 간에 벌어지고 있는 정보전의 부산물 혹은 공포에 떠는 시민에 의한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여기 인용된 정보도 실제 상황과는 상당히 다른 내용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1] 특히 AP통신이나 CNN 등 주요 언론이나 공식 기관의 SNS 및 트위터발 정보가 아닌 경우 쉽게 사실로 믿기 어려우며.[2] 여러 근거와 교차검증으로 확인된 사안들([검증됨]이 부착된 서술)을 제외하면 신뢰성을 담보하기는 어렵다.

특히 BBC, CNN, DW 등 서방 언론을 사칭한 조작된 친러 성향의 게시물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오보 전쟁을 부추기고 있다. 러시아는 가짜뉴스를 살포해 다양한 국제 언론 매체의 신용을 떨어뜨리고 있다. 러시아가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가짜 뉴스가 성행하고 있으며 BBC, CNN, 그리고 다른 뉴스 매체에서 온 것처럼 가장한 가짜 비디오, 보고서, 트윗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올라왔고, 일부는 심지어 많이 공유됐다. 이것의 배후에는 러시아가 있으며 러시아의 허위사실 공표 전쟁을 방조하는 것이 주된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들의 두 번째 목표는 (서방) 언론 매체의 신용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실시간 전황 지도 파악은 위키백과의 svg 파일에 상세하고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있고, 전선 변화를 gif로 나타낸 것도 있는데, 누구나 편집할 수 있다는 위키백과 특성상 교차검증이 필요하며 이 문서도 마찬가지다는

2. 1일

<rowcolor=#fff> 05.01.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RpiJEUWQAA6jU5.jpeg.jpg
<rowcolor=#fff> 05.0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3. 2일

<rowcolor=#fff> 05.02.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1651438651.jpg
<rowcolor=#fff> 05.01(동부 표준시). 기준 ISW의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RuiYd3XsAEyk-0.jpeg.jpg
<rowcolor=#fff> 05.0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파일:1651473495.gif
<rowcolor=#fff> 03.30 ~ 04.30 기준 이지움 전선 지도

4. 3일

<rowcolor=#fff> 05.03.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Rz6P16WUAItqei.jpeg.jpg
<rowcolor=#fff> 05.0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5. 4일

<rowcolor=#fff> 05.04.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1651596699.jpg
<rowcolor=#fff> 러시아 공영방송에서 나온 우크라이나전 승리 상황
파일:FR4z5ZqXsAAkuIU.jpeg.jpg
<rowcolor=#fff> 05.04.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파일:FR2OaNBXoAcTp9y.jpg
<rowcolor=#fff> 04.30. 기준 우크라이나군 vs 러시아군 전선 지도
상황도를 보면 동부에 BTG를 밀어넣은 탓에 헤르손과 하르키우 방면의 러시아군 전력이 심각하게 열세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하르키우 전선 쪽은 5월이 되면서 계속 러시아군이 밀리고 있는 상태다.

6. 5일

<rowcolor=#fff> 05.05.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R9C6q8XwAAIEtk.jpg
<rowcolor=#fff> 05.05. ISW 보고서의 이지움-도네츠크 돈바스 전선 지도
ISW는 우크라이나 방어는 동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진격을 크게 지연시켰으며 러시아군은 5월 4일 동부 우크라이나에서 여러 차례 공격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파일:FR-GP_2XwAAM8Uo.jpeg.jpg
<rowcolor=#fff> 05.05.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파일:279622099_5321323291277969_4335260558704954592_n.jpg

7. 6일

<rowcolor=#fff> 05.06.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DIn14agAA68Sa.jpeg.jpg
<rowcolor=#fff> 05.06.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8. 7일

<rowcolor=#fff> 05.07.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Ig07IWQAElWcB.jpeg.jpg
<rowcolor=#fff> 05.07.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9. 8일

<rowcolor=#fff> 05.08.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Nr_TBX0AAT8El.jpeg.jpg
<rowcolor=#fff> 05.08.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0. 9일

<rowcolor=#fff> 05.09.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Sp6MpX0AA073J.jpeg.jpg
<rowcolor=#fff> 05.0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1. 10일

<rowcolor=#fff> 05.10.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X36JYWUAAy7CL.jpeg.jpg
<rowcolor=#fff> 05.10.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2. 11일

<rowcolor=#fff> 05.11.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c3E-3XMAEYNEi.jpeg.jpg
<rowcolor=#fff> 05.1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3. 12일

<rowcolor=#fff> 05.12.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iO1i3XsAAx_o1.jpeg.jpg
<rowcolor=#fff> 05.1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4. 13일

<rowcolor=#fff> 05.13.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nRHk8XEAUD_kU.jpeg.jpg
<rowcolor=#fff> 05.1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5. 14일

<rowcolor=#fff> 05.14.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sgZJRX0AEwe80.jpeg.jpg
<rowcolor=#fff> 05.14.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파일:FSr62irWIAAcCcm.jpeg.jpg
<rowcolor=#fff> 05.14. 기준 화염병 공격을 받은 러시아의 모병 사무소 목록

16. 15일

<rowcolor=#fff> 05.15.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xkHzSWIAEHPtm.jpeg.jpg
<rowcolor=#fff> 05.15.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7. 16일

파일:FS1pmeYWQAEPlxF.jpeg.jpg
<rowcolor=#fff> 05.16.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2yS7oXoAA4GoU.jpeg.jpg
<rowcolor=#fff> 05.16.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8. 17일

파일:FS6wl1VXEAE4avJ.jpeg.jpg
<rowcolor=#fff> 05.17.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S7xfuKWAAYhJau.jpeg.jpg
<rowcolor=#fff> 05.17.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19. 18일

파일:FTABzCGX0AEWBP-.jpeg.jpg
<rowcolor=#fff> 05.18.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A9L-kWUAADD8c.jpeg.jpg
<rowcolor=#fff> 05.18.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0. 19일

파일:FTFD5OgWAAIYGWU.jpeg.jpg
<rowcolor=#fff> 05.19.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GTJ0PWUAA6tk-.jpeg.jpg
<rowcolor=#fff> 05.1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1. 20일

파일:FTKLv2EXwAYeW1f.jpeg.jpg
<rowcolor=#fff> 05.20.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LUPp5XEAINamu.jpeg.jpg
<rowcolor=#fff> 05.20.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2. 21일

파일:FTPb6I6XwAM4X7a.jpeg.jpg
<rowcolor=#fff> 05.21.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QmXk5WYAE3AMh.jpeg.jpg
<rowcolor=#fff> 05.2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3. 22일

파일:FTUkQ8tXoAI6Vzz.jpg
<rowcolor=#fff> 05.22.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Vy_S6XoAAKZkE.jpeg.jpg
<rowcolor=#fff> 05.22.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파일:1653209809.jpg
<rowcolor=#fff> 05.22. 기준 이지움-세베로도네츠크-포파스나 전선

24. 23일

파일:FTZm_NeWIAIM-ql.jpeg.jpg
<rowcolor=#fff> 05.23.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asdhMXsAA9t61.jpeg.jpg
<rowcolor=#fff> 05.23.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5. 24일

파일:FTefHoiWAAAffYb.jpeg.jpg
<rowcolor=#fff> 05.24.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f5tdzX0AEODLB.jpeg.jpg
<rowcolor=#fff> 05.24.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6. 25일

파일:FTj4IF6WAAIsvlG.jpeg.jpg
<rowcolor=#fff> 05.25.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lEY-tXoAAHywO.jpeg.jpg
<rowcolor=#fff> 05.25.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7. 26일

파일:FTpB1wEWQAEXqRe.jpeg.jpg
<rowcolor=#fff> 05.26.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qPewRXwAAXhgV.jpeg.jpg파일:FTqPpP6WUAEdYbx.jpeg.jpg
<rowcolor=#fff> 05.26.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8. 27일

파일:FTuMoHbWYBANK_c.jpg
<rowcolor=#fff> 05.27.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1653577350.jpg
<rowcolor=#fff> 05.24. 기준 우크라이나군-러시아군 교환비
파일:FTvZlJlXwAAIzro.jpeg.jpg
<rowcolor=#fff> 05.27.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9. 28일

파일:FTzaC_rXoAES_rK.jpeg.jpg
<rowcolor=#fff> 05.28.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0neTZXwAIvAjR.jpeg.jpg
<rowcolor=#fff> 05.28.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30. 29일

파일:FT4b6SjXEAIy0g6.jpeg.jpg
<rowcolor=#fff> 05.29.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56Gi_WQAEje2z.jpeg.jpg
<rowcolor=#fff> 05.29.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31. 30일

파일:FT9fznVWAAAxqdK.jpeg.jpg
<rowcolor=#fff> 05.30.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T-3GLbXwAA0woc.jpeg.jpg
<rowcolor=#fff> 05.30.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32. 31일

파일:FUC4iYZX0AMq-bX.jpeg.jpg
<rowcolor=#fff> 05.31. 기준 우크라이나 전선 지도
파일:FUEQ1ufWAAIQcRE.jpeg.jpg
<rowcolor=#fff> 05.31. 기준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황 분석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2년 6월|
⇒ 이어서 보기
]]


[1] 일부 정보들이 본 문서에 출처 표기 없이 기재되고 있다.[2] 심지어 AP통신, CNN도 잘못된 정보가 종종 확인되므로 꾸준한 교차검증이 필요하다. 즈미이니 섬 전투처럼 전 세계 커뮤니티에 퍼날려진 뒤 며칠 뒤에 사실은 항복해서 살아있다는 식으로 정정되는 해프닝도 발생했다.[3] 다게스탄 출신의 무슬림 억만장자이자 상원의원이다. 2011년에 FC 안지 마하치칼라를 사서 엄청난 투자를 했으나 몇 해 안되어 투자를 끊어버리고 2016년에 구단을 팔아버렸다. 2017년에 프랑스에서 돈세탁 혐의로 체포되기도 했으나, 많은 돈을 내고 가석방됐다.[4] атаман/ataman. 코사크의 선출된 지도자/수장을 의미하는 단어. 헤트만, 하트만, 호트만과 상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