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3년 소련과 나치 독일의 전투에 대한 내용은 쿠르스크 전투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슬로뱐스크 포위전 · 마리우폴 전투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일로바이스크 전투 · 데발체베 전투 · 아우디이우카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하르키우 전투 · 쿠퍈스크 전투 · 이지움 전투 · 스타로빌스크 전투 · 스바토베 전투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 · 크레민나 전투 · 루베즈노예 전투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리만 전투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슬로뱐스크 전투 · 시베르스크 전투 · 졸로테 전투 · 포파스나 전투 · 솔레다르 전투 · 바흐무트 전투 · 차시우야르 전투 · 토레츠크 전투 · 니우요크 전투 · 아우디이우카 전투 · 피스키 전투 · 오체레티네 전투 · 포크로우스크 전투 · 셀리도보 전투 · 우크라인스크 전투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마린카 전투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 · 쿠라호베 전투 · 부흘레다르 전투 · 마리우폴 포위전)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 (헤르손 전투 · 미콜라이우 전투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멜리토폴 전투 · 토크마크 전투· 베르댠스크 전투 · 에네르호다르 전투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 · 폴로히 전투 · 훌랴이폴레 전투 ) · 오데사 상륙전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오리히우 전투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 크린키 전투)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쿠르스크 전투(2024년))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 · 벨고로드 공습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 · 타간로크 공습 · 크림 대교 붕괴 사건 · 2023년 모스크바 공습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쿠르스크 전투(2024년) Бої в Курській області (серпень 2024) Бои в Курской облсти August 2024 Kursk Oblast incursion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 |
기간 | |
2024년 8월 6일~ 진행 중 | |
장소 | |
러시아 쿠르스크주 남서부 일대 | |
교전국 |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지휘관 | |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 알렉세이 듀민 압티 알라우디노프 |
병력 | |
제22기계화여단 제33기계화여단 제61기계화여단 제88기계화여단 제116기계화여단 제54정찰대대 제225강습대대 제82공중기동여단 제80공중강습여단 제95공중강습여단 제501해군보병대대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제103국토방위여단 제129국토방위여단 제101국토방위여단 제43포병여단 제44포병여단 제14UAV연대(나흐티갈 대대) 우크라이나 보안국 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국 조지아 민족군단 | 제18차량화소총사단 제47전차사단 제60차량화보병여단 제144근위차량화보병사단 러시아 공수군 제155근위해군보병여단 제810근위해군보병여단 러시아 국가근위대 러시아 연방보안국 바그너 그룹 아흐마트 스페츠나츠 퍄트나시카 여단 북부군집단 러시아 특수작전군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 |
피해규모 | |
337대 이상의 전투차량 손실 AIFV 1대 파괴 BMP-1 11대 파괴 1대 노획 2대유기 1대손상 BRDM-2 2대 노획 1대 유기 BTR-D 1대 유기 CV90 7대 파괴 1대 유기 1대 손상 스트라이커 장갑차 11대 파괴 4대 노획 2대 유기 3대 손상 M113 5대 파괴 4대 노획 2대유기 3대손상 마르더 1A3 3대 파괴 1대 유기 1대손상 VAB 3대 파괴 2대 유기 BMP-2 5대 파괴 1대 노획 BRM-1 1대 파괴 1대 노획 BTR-4 5대 파괴 2대 노획 FV432 1대 파괴 2대 노획 M2A2 3대 파괴 1대 노획 BTR-3 1대 파괴 BTR-60 4대 파괴 BTR-80 2대 파괴 MT-LB 2대 파괴 M577 4대 파괴 미상 장갑차 2대손상 M142 하이마스 1대 파괴 PT-91 1대 파괴 T-72AV 2대 파괴 T-72M1 1대 파괴 T-64BV 7대 파괴 챌린저 2 2대 파괴 포스 프로텍션 쿠거-H 8대 파괴 1대 노획 1대 유기 로셸 세네터 5대 파괴 2대 노획 3대 유기 코자크 9대 파괴 4대 유기 SBA 노바토르 1대 파괴 험비 2대 파괴 2대 노획 1대 유기 MaxxPro 2대 파괴 1대 손상[1] 부시마스터 PMV 2대 파괴 미상 군용차량 5대 파괴 레오파르트 1A5 1대 파괴 | 383대 이상의 전투차량 손실 Ka-52 2기 격추 BTR-70 1대 손실 BTR-82A 79대 손실 BMP-3 32대 손실 BMP-2 13대 손실 BMD-2 25대 손실 BMD-4 7대 손실 BTR-D 3대 손실 BTR-MDM 2대 손실 MT-LB 24대 손실 BRDM-2 1대 손실 미상장갑차 12대손실 GAZ 티그르 6대 손실 Z-STS 25대 손실 기타기동차량 5대손실 T-80BVM 15대 파괴 4대 노획 1대유기 T-72B3 6대 파괴 3대 노획 1대유기 2S1 1대 파괴 2S3 1대 파괴 2S5 2대 파괴 2S19 1대 파괴 1대 손상[2] T-90M 2대 노획 1대손상 T-55 1대 파괴 미상전차 5대 손실 D-30 1문 노획 MT-12 1문 노획 Ural-4320 1대 노획 2S6 1대 손상 9K37 부크 1대 파괴 1대손상 미상 대공미사일시스템 1대 파괴 |
결과 | |
교전 진행 중 | |
영향 | |
포크로우스크 전투에서 우크라이나군 수비 약화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와중 우크라이나군이 2024년 8월 6일에 본격적으로 개시한 러시아 쿠르스크주 공격 작전이다.러시아 본토 침투 자체는 이전인 2023년에도 자유 러시아 군단, 러시아 의용군단이 양동 작전의 일환으로 소규모로 이뤄진 적이 있지만, 영토 자체를 노리고서 여러 우크라이나군 부대를 주축으로 하는 침공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크라이나군 수뇌부는 이 작전에 대해서 철저한 엠바고를 걸어 대통령 젤렌스키와 총사령관 시르스키 외 극소수 참모들만 논의에 참여했고, 작전에 투입된 부대 지휘관들은 작전 개시 사흘 전, 일선의 장병은 하루 전에야 러시아 영토로 진입하는 작전에 대해 통보 받았으며, 미국도 침공 직후에 알았다고 한다.
2. 전개
|
<rowcolor=#fff> 08.06. 기준 바스브카 전선 지도 |
우크라이나군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러시아의 국경수비대는 우크라이나군이 국경수비대의 건물을 자폭 드론으로 공격하자 소총으로만 무장한 국경수비대 군인들은 장갑차를 몰고오는 우크라이나군에게 별 다른 저항없이 투항을 한 것으로 보인다.
8월 7일, 친러 오신트 한 곳이 우크라이나군이 2천 명가량의 인원을 투입하여 공격하고 있다고 알렸다. # 러시아는 전투 시작 후 36시간이 지난 후 쿠르스크 주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
|
<rowcolor=#fff> 08.08.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주의 90km²를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러시아군은 하르키우에서 북쪽으로 약 150km²를 점령했다.
- 이번 본토 공세는 이전의 공세보다 더 광범위하며 2개 라인의 대전차호와 참호를 통과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회의 과정에서 여러 대의 우크라이나군 소속 스트라이커 장갑차가 피격되는 자료화면을 공개하였다. 또한 폭격을 해 적군을 사살하는 등의 자료를 추가로 공개하며 적의 공격을 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8월 9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스크바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결과를 느껴야 한다고 발언했다. #
8월 10일 현재는 관련 정보의 양 자체가 부족하므로 정확한 전세 판단을 위해 수일이 더 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에서는 일단 우크라이나의 공격과 러시아의 수비가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
<rowcolor=#fff> 08.11.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에서 적어도 320km²(서울특별시 면적의 절반가량)의 영토를 점령했다. 몇몇 지역에는 상당한 크기의 회색지대가 잔존하는데, 전방 부대의 전진 이후 추가적인 교전과 완전 점령을 확정지으려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2.1. 우크라이나군의 진격
8월 12일,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내륙 30km 지점까지 진격했으며, 러시아가 열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8월 12일,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지역을 포위하기 시작했다.#
러시아군이 쿠르스크 지역에 있는 우크라이나군을 격퇴하는 데에 실패했다.#
수자 (수드자) 지역이 점령되었다고 한다.#,# 쿠르스크의 지역 주민들은 직접 수영하거나 속옷 차림으로 도망가야 했다고 증언하였다. # 8월 15일에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수자를 완전히 우크라이나군이 점령했다고 발표했다. #
2.2. 러시아군의 반격
8월 13일, 우크라이나는 쿠르스크 주의 1000㎢ 지역을 장악했다고 주장하였지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군을 격퇴했으며 우크라이나군은 2000명 이상을 잃었다고 러시아가 주장했다고 MBC가 보도했다. #아울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서방제 장거리 미사일로 러시아의 본토를 더 깊숙히 타격하게 해 달라고 호소했다. # 이에 대해 영국은 스톰 쉐도우 미사일을 쿠르스크 지역 타격에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고, 미국 또한 ATACMS 미사일 및 F-16 전투기를 쿠르스크 공세에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의 호소는 소득 없이 끝났다.# |
<rowcolor=#fff> 08.14.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솁투코프카 주변에서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또한 코로네보로의 공세를 재개해 도시 외곽에 도달했다. 더 남쪽에서는 플레코보를 점령하고 동쪽으로 15km 정도 떨어진 기리를 공격했다. 이제 우크라이나군이 점령한 영토는 약 380km²에 달하는데, 그러나 검증되지 않은 주장들에 따른다면 점령된 영토가 1,070km²가 되게 하는 지역들이 아직 많이 있다.
8월 15일 러시아군 제 810해병여단이 우크라이나군 전술 차량 여럿을 격파한 것이 확인되었다. #
러시아 당국은 쿠르스크 지역에서 수천 명의 민간인을 대피시키고 있다.#
8월 16일, 우크라이나군은 제488근위소총차량화소총연대와 아흐마트 부대 소속 러시아군 102명을 포로로 사로잡았다고 발표하였다. 이들은 쿠르스크 침공 이래 한 번의 전투에서 가장 많이 사로잡힌 숫자며, 러시아에 억류된 우크라이나군 포로 석방을 위한 협상 용도로 사용된다고 한다. # 우크라이나의 국영 통신사 우크린포름은 국경 검문소 전투에서 80 공중강습 "갈리시아" 여단이 50명 이상의 러시아군 포로를 잡은 영상을 공개했다. # 쿠르스크주 글루시코보 마을 인근 세임강 다리를 공격해 무너뜨렸다.#
|
<rowcolor=#fff> 08.17.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이 점령한 것으로 확인된 영토는 460km²에 달한다.
- 우크라이나군은 코로네보 동쪽에서 위치를 공고히 하는 것을 계속했고 국경 근처의 브네자프네를 점령했다.
|
<rowcolor=#fff> 08.17. 기준 수자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수자의 동부 교외 지역을 확보한 뒤 마르티노프카 남쪽에 진출했다.
- 우크라이나군은 보르키, 스팔노에, 쿠르페츠를 점령했다. 그들의 전진은 기리에서 중지됐다.
|
<rowcolor=#fff> 08.17. 기준 쿠르스크 서부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주 세임 강에 가설된 3개의 교량 중 하나를 파괴했다. 세 교량 모두가 파괴된다면, 강 남쪽의 러시아군은 (병참선이 단절되는) 중대한 위기를 맞게 된다. 세임 강 남부에 위치한 러시아의 영토는 약 700km² 정도이다.
|
<rowcolor=#fff> 08.20.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이 스나고스트와 서쪽의 영토를 점령했다는 증거가 나와 전진을 계속했음이 확인됐다.
- 우크라이나군은 주요 마을 중 하나인 코로네보에 진입했다.
- 남쪽에서 우크라이나군은 마르티노프카와 체르카스코에 페레치노에를 점령하고 말라야 로크냐를 공격했다.
8월 22일, AP통신은 단 2주만에 우크라이나군의 쿠르스크 공세가 눈에 띄게 둔화되었다는 기사를 냈다. 이는 러시아군이 2~4명으로 구성된 소규모 보병부대를 반복적으로 배치하는 새로운 전술을 채택하면서 드론을 통한 타격 효과가 눈에 띄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즈도 우크라이나군의 전진이 둔화되고 있으며 동시에 러시아군은 동부에서 진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엔 핵감시단은 쿠르스크 전투가 멈추지 않으면 체르노빌 수준의 재난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엔 국제원자력기구는 쿠르스크 원전 인근에서 드론 파편을 발견했다는 러시아의 주장에 따라 다음주에 원전 현장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지는 쿠르스크 공세로 인한 우크라이나군의 사기 진작이 오래가지는 않았으며, 러시아군이 도네츠크 방면에서 병력을 빼내지 않고 공세를 강화하여 포크롭스크가 무너지기 직전이라고 보도했다. #
8월 24일 러시아 국방부는 UAE 중재하에 쿠르스크에서 포획된 러시아군 115명을 우크라이군 포로와 1:1 교환을 했다고 밝혔다. #
타임지는 우크라이나의 쿠르스크 도박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포크롭스크에서 큰 승리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8월 27일 유엔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이 사찰을 위해 러시아 쿠르스크 원전에 도착하였다. 로이터는 우크라이나가 해당 시설을 공격했다는 비난에 아직까지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역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와 드론 공습을 가해 쿠르스크 공격에 대한 대가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8월 29일 포브스는 우크라이나가 쿠르스크 공격으로 당초 목표였던 러시아군의 병력을 분산하는데 실패했고 우크라이나의 병력 부족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보도했다.#
독일 기자 줄리안 뢰프케는 빌트 방송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에서는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동부에서 러시아군의 진격이 너무 빨라 맵핑이 따라갈 수 없다고 말했다.# 심지어 한국 언론도 이에 대해 보고할 정도로 심각해졌다.#
|
<rowcolor=#fff> 08.30.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의 쿠르스크 공세에서 검증된 점령지의 총 면적은 760km²[3]이지만, 진격속도는 초기 돌파 이후 둔화되었다.
<rowcolor=#fff> 08.30. 기준 크라스노옥탸브르스코예-쿨바키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침공 지역의 북서쪽에서 세임 강변에 있는 크라스노옥탸브르스코예를 점령했고 남서쪽으로는 쿨바키에 도달했다
|
<rowcolor=#fff> 08.30. 기준 수자-루스카야 코노펠카 전선 지도 |
- 우크라이나군은 수자 남동쪽 교외 마을들의 통제를 통합하고, 동쪽으로 더 진격하여 루스카야 코노펠카에 도달했다.
결국 9월 3일, 우크라이나 언론 키이우 인디펜던트마저 러시아가 쿠르스크 상황을 무시하고 동부전선 공세를 강화한 끝에 우크라이나군의 도네츠크 주 병참 허브인 포크로우스크 앞까지 진격했다고 보도했고, 여기서 계획이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9월 5일 쿠르스크 전투를 지휘하고 있는 올렉산드르 시르스키는 CNN과 가진 인터뷰에서, 쿠르스크 전투로 인해 러시아가 수만명의 병력을 그쪽으로 배치했고, 러시아군을 분산시키며 성공적이었다고 평했다. 또한 지난 6일동안 포크롭스크 방면에서 러시아군이 1m도 전진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9월 7일 ISW는 시르스키의 주장과 같이 한 군사블로거의 말을 인용하여 포크롭스크 방면의 공세가 둔화되었음을 확인해주었다. ISW는 러시아군이 포크롭스크 방면으로 공세를 계속 강화할 수 있고, 결국 포크롭스크를 포위할수도 있으나, 포크롭스크를 함락시키지는 못할 것이라고 보았다.# 뉴욕타임즈도 우크라이나군이 포크롭스크 방면에서 러시아군의 공세를 막아냈다고 보도했다.#
9월 8일, CNN의 보도에 따르면 특히 러시아군이 전력을 집중하는 동부 전선의 요충지 포크로우스크(러시아명 포크롭스크)에서는 주둔한 우크라이나군에서 사기가 떨어진 병사들이 진영을 이탈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고 한다.#
현지시간으로 9월 10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의 서쪽 측방에 대규모 반격을 가했다.#
9월 10일 ISW는 포크롭스크에서 싸우던 제15 차량화소총사단의 일부가 현재 쿠르스크에서 작전중임을 확인해주면서, 투입된 병력중에 기존 예비대 뿐 아니라 동부전선에서 싸우던 병력이 차출됨을 확인되었다.# 실제 ISW는 포크롭스크 방면 러시아의 공세가 둔화됨을 확인하였고 미국 국방부는 러시아가 쿠르스크에서 반격중이나 그 효과는 제한적(marginal)이라고 말했다.[4]
|
<rowcolor=#fff> 09.16.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rowcolor=#fff> 09.25.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이 점령한 쿠르스크 주 영토의 서쪽에서 더 많은 면적을 탈환했고, 우크라이나군은 더 서쪽의 베솔로예 주변에서 공세를 계속했다.
|
<rowcolor=#fff> 10.09.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모두 쿠르스크 전선에서 소규모 진격을 달성했다.
2.2.1. 우크라이나군 돌출부에 대한 포위
10월 15일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 보도에서 ISW(미국 전쟁연구소)는 우크라이나가 점령한 쿠르스크 주 영토의 46%를 잃었다는 시각적인 증거를 보았다고 밝혔고, 독립적인 분석가 에밀 카스테헬미의 분석에서도 최소 33%를 잃었다고 보도함에 따라 우크라이나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
<rowcolor=#fff> 10.19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쿠르스크에서 러시아군은 상당한 진격을 달성해 우크라이나군이 통제하는 영토 안으로 깊숙히 파고들었다. 빠른 진격의 영향으로, 쿠르스크 돌출부 북서부의 대규모 지역에서 전투가 진행 중이다.
|
<rowcolor=#fff> 11.10. 기준 쿠르스크 전선 지도 |
- 결국 20여일의 전투 끝에 러시아군은 쿠르스크 돌출부를 대부분 점령했다.
|
<rowcolor=#fff> 11.18. 기준 쿠르스크 북서부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스나고스트 강을 다리노 방면에서 건너고 나바이바나프카의 방어선을 사수하려는 우크라이나의 시도를 차단하며 우크라이나의 쿠르스크 지역에 대한 통제를 계속 소멸시켰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북서쪽의 회색지대를 정리하고 있다.
|
<rowcolor=#fff> 11.18. 기준 쿠르스크 남부 전선 지도 |
- 러시아군은 동남쪽에서 진격해서 플료하바의 거주지의 통제권을 확보했다.
3. 평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영토인 쿠르스크로 진공한 것에 대하여서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중 가장 유력한 가설은 쿠르스크를 공격해 러시아군이 돈바스나 여타 전선에서 병력을 차출시켜 쿠르스크를 방어하게 만들어 돈바스 전선의 압박을 줄이고, 러시아를 직접 침으로써 러시아 내부에 반전여론을 일으키려는 의도라는 설이다.[5]또한 당시에 우크라이나는 내부 반전여론 증대를 위해서 러시아 본토 타격을 위한 거점이 필요하였던 상태였는데, 작전의 무대인 쿠르스크 - 벨고로드 지역은 이미 우크라내 러시아 자유 군단등이 이미 공격하고 있던 상태였으며, 거기다 때마침 러시아의 하르키우 북부 대공세가 둔화되기 시작하자, 이 점을 노리고 쿠르스크를 공격한 것이 아니냐라는 말이 있었다.
그런데 러시아는 총동원령을 선포하거나, 돈바스에 대규모로 전개된 러시아군을 쿠르스크로 전면 재배치할 것이라는 우크라이나의 예측과는 달리, 체첸군과 810, 155 해군보병대 등, 본토에 주둔하던 일부 부대들을 우선적으로 쿠르스크로 파견시켜 방어를 했고, 이후에도 돈바스가 아닌 본토에 배치된 부대들을 중심으로 병력을 증원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항하면서 도리어 돈바스 지역에의 공세를 강화했는데, 이로 인해 도네츠크에서 러시아군을 방어하는 우크라군의 손실이 증가하여 도네츠크의 수비를 강화하기 위해 쿠르스크 병력을 다시 도네츠크로 재배치하는 주객전도가 발생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출처 <politico>.
가장 큰 문제는 이렇게 전진한 러시아 공세군이 포크로우스크를 위협하게 되었다는 사실이였는데 현재 우크라이나가 통제중인 도네츠크 중서부 지역은 포크로우스크를 통한 보급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약 포크로우스크가 함락되면 보급로 단절로 인해 방어가 어려워지고, 이 지역이 완전히 접수되면 러시아는 자포리자와 드니프로를 공격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돈바스 전선에 지원군을 보내는것도 어려운 것이, 쿠르스크 전투에 투입된 병력들은 우크라이나 북부에서 머물던 예비대[6]가 주축이라는 점이였는데, 이렇게 기존에 남아있던 예비대를 거의 다 쿠르스크로 보냈기 때문에 이제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돈바스를 지키려면 쿠르스크에서 물러나거나 타 전선에서 벙력을 차출해야 하고 이러면 그만큼 해당 전선이 취약해진다. 그렇다고 애써 점령한 쿠르스크 영토를 버리고 철수하는 것도 어려우니[7] 우크라이나에게는 큰 고민이 생긴 셈.
여기에 새로운 전선이 생기면서 동부전선과 남부전선으로 보낼 물자를 쿠르스크 방면에 따로 나눠서 보내야 하기 때문에 서방 지원 의존도가 높은 우크라이나에게는 제한된 물자를 더더욱 쪼개야 하는 상황인지라 매우 까다로울 수 밖에 없다.
특히 언급한 대로 정치적 이유로 쿠르스크 점령한 영토를 버리고 철수하는 것도 어려워서 쿠르스크에 장기간 주둔해야하며 그러게 되면 보급해야 물자의 양이 많아지지만 러시아군의 공습과 포격 등으로 후방인 수미의 우크라이나군 보급물자나 군수창고가 공격당하거나 도로나 철도가 파괴되는 등 우크라이나의 보급난이도가 올라가고 있어서 보급은 더욱더 어려워지는 상태다.
설상가상으로 공세 시작 약 한달 후 우크라이나군의 점령지는 약 1000km2 전후에서 교착 상태가 되었는데, 쿠르스크주의 핵심 인프라를 공략하기엔 부족한 수준이다.
거기다 쿠르스크 전투는 M142 HIMARS와 같은 서방 장비로 무장한 우크라이나 정예군들이 상당수인데, 이들이 기동방어에 필요한 동부전선 격전지에서 활약하는 대신 개활지에서 활공폭탄과 자폭드론에 의해 꾸준히 소모되는 구도[8]도 우크라이나에겐 좋은 시나리오가 아닌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돈바스 지역에 가해지던 압박을 풀어내기 위해 일종의 도박수를 던진 셈이었는데, 정작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달리 예비대에 여유가 있던 상황이라 자국에 주둔 중이던 다른 부대들을 파견해 지연전을 걸며 방어하여 전선을 교착시키는 와중에 정작 돈바스 일대의 공세를 강화하였고, 그 탓에 오히려 돈바스 방어의 핵심 요충지인 포크로우스크가 위협받으면서 돈바스 지역의 방어 난이도가 더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비록 포크롭스크로 향하는 러시아군의 진격이 둔화된 것은 사실이나, 러시아군이 정면으로 공세를 하는 대신 방향을 돌려 포크롭스크로 향하는 돌출부의 남쪽인 우크라인스크를 쳐서 오히려 우크라군의 돌출부를 제거하고 있어 러시아군의 진격자체가 멈추지도 않은 상태다.
거기다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정예 중의 정예를 모아 비수를 꽂으려 시도했으나, 이번엔 역으로 러시아가 지형의 이점을 살려 지연전과 소모전을 걸어 우크라이나의 정예를 소모시키고 있는 상황이기에, 우크라이나 입장에선 상당히 암울한 상황이 됐다.
우크라이나군 입장에서는 러시아 영토에서 전투하면 방공망의 기본적인 지원도 없이 러시아군의 드론과 폭격을 일방적으로 맞아가며 전투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불리해질 수밖에 없는데 그래서인지 우크라이나가 기습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보다 더 많은 인적 물적 손실을 입었다.
이후 러시아가 대규모 병력 동원 없이 쿠르스크의 우크라이나군을 압박하여 소모시키며 영토 50%를 탈환하며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더욱 암울해졌다.
4. 여담
4.1. 전문가들의 분석
-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객원교수인 마이클 클라크는 8월 10일 더 타임스에 게재한 기고문에서 이 반격은 인천 상륙 작전처럼 위험한 작전이지만 인천상륙작전과 달리 전쟁의 전황 자체를 뒤집을 수 없다고 평가했다.#
- 마이클 클라크는 또한 Sky News에서 쿠르스크 공세로 인해 돈바스가 위기에 처했다고 분석했다.#
- 러시아군은 영토에 진입한 우크라이나군을 방어하기 위해 드론 공격과 폭격으로 공중 지원 위주의 방어를 하고 있으며, 후방에서 병력을 끌어올지언정 전선의 군대를 돌리거나 예비대를 동원해서 대대적인 반격을 가하지는 않고 있다. 그에 따라 국경 지역에 러시아군 병력이 없어 우크라이나군은 꽤 수월하게 러시아 영내에 진입하였다. 하지만 이는 2023년 우크라이나 가을 공세와 다르게 명백히 적지인 러시아 영내에서 벌이는 공세기에 2022년 침공 초기 우크라이나 북부전선의 러시아군처럼 방어자의 제한된 대응만으로도 전과확대와 점령지 유지가 힘들어 러시아 영토에서의 전투는 기본적으로 방어자인 러시아에게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 임용한은 김태현의 SBS 라디오 방송에 출연하여, (위 RUSI의 평가를 두고) 인천상륙작전 당시 낙동강 전선에서 인민군의 인명 소진이 상당히 진행되었고 미군은 끊임없이 인력과 물자를 보급받았다면서 2024년의 우크라이나군의 상태는 당시 인민군에 비유할 것이지 유엔군에 빗댈수는 없다고 평하였다. 다만 전체적인 분석은 위 RUSI 분석과 대동소이하였다.
- 이 외에 휴전 분위기 조성은 전쟁 당사자가 아닌 외부 제3자의 시각에서 그렇게 원하기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며, 휴전론 분위기를 띄우기에 대해 일축했다. (김태현의 정치쇼) (유튜브 방송)
- 독일 연방군의 우크라이나 상황을 통합 분석하는 태스크포스 책임자인 크리스티안 프로이딩(Christian Freuding) 소장은 우크라이나군의 공세를 평가하면서 '우크라이나의 군사 지도부는 쿠르스크 지역에서 자신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감수하고 있는 위험을 잘 알고 있다'라고 호평했다.방송 영상
- 뉴욕 타임즈의 군사 전문 기자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쿠르스크 공격은 러시아의 동부전선 전력의 분화를 꾀하는 의도로 평가되나, 러시아는 전개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등의 적극적 대응보단 관리가능한 수준에서만 대응하며 여전히 동부전선 전력 증강에 더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보았다.#
- 미국의 윌리엄 번스 CIA 국장과 영국의 리처드 무어 MI6 국장은 쿠르스크 공세는 게임의 판세를 바꾸려는 대담한 시도로, 엄청난 전술적 성과를 거두었다며 호평했다. 특히나 우크라인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동시에 러시아인들에게 전쟁을 가져다 주었고, 지도부에게 이번 전쟁에 대한 의심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 포브스(기업)지의 분석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이번 쿠르스크 공격에서 자신들이 동원할수 있는 최고의 전력을 투입했는데 전투차량으로 스웨덴제의 CV90 보병 전투차와 Strv122 전차, 독일제 레오파르트 2A6 전차, 영국제 챌린저 2 전차를 동원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가 보유한 최고의 기갑 전력이다.#
4.2. 기타 정보
현재까지는 우크라이나의 계속되는 쿠르스크 공격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러시아군은 도네츠크주 포크로우스크 방면으로 공세를 강화해 니우-요르크 등을 점령했다고 했고 실제 러시아군이 2024년 8월 19일부로 니우요르크를 완전히 점령하면서 니우요크 전투는 러시아군의 승리한 것으로 밝혀졌다.##이탈리아 언론인 Il Fatto Quotidiano 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무기를 지원하는 대신 러시아의 영토 공격에 대해 허가하지 않았는데 이번 전투에서 이탈리아 무기를 사용하였다고 밝혀졌다. 이탈리아는 이 공격을 승인한 적이 없으며 이탈리아 헌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 사이에서 의문의 가스로 인한 군인들의 질식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양쪽 군대가 정말로 이 전투에서 화학무기를 시용하는 것인지 중공업과 가스 등을 주업으로 하는 쿠르스크의 지리적인 영향인지는 아직까지 불명하다.
쿠르스크 주 지방선거가 일부 연기되었고, 주지사 선거는 강행한다.#
러시아도 우크라이나가 공격을 할 것이라는 첩보를 받았지만, 총 참모장인 발레리 게라시모프가 무시했다고 하며, 이에 그의 경질설이 돌고 있다고 한다.#
한 우크라이나군 일행이 군에 입대하면 합법적으로 해외여행을 할 수 있다고 영상을 찍어 올렸다. 그러면서 격파당한 스트라이커 장갑차를 비추며 돌아오지 못한 아군이 좀 있긴 하다는 씁쓸한 말을 덧붙였다. #
이번 작전에 참여한 우크라이나 육군 제22기계화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때 쿠르스크 전투에 참전했던 소련군 제66근위소총사단의 후신이다. 제293소총사단으로 시작한 이 사단은 1943년 2월 7일에 제66근위소총사단으로 개칭되었다.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현재의 제22여단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는데, 제22기계화여단은 이번 쿠르스크 침공 작전의 주력 병력으로서 80여 년 만에 쿠르스크에서 다시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쿠르스크 지역에 원전인 쿠르스크 원자력 발전소(KNPP)와 가스 송유관이 있어서 UN이나 인권단체 등이 우크라이나군에게 공격을 중지할 것을 권고하였다. 특히 원전 코앞 주변에서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의 교전이 벌어지고 있어 더욱 상황을 우려하는 중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초반 러시아군이 체르노빌을 점령하였을 때에도 안전상의 이유로 우크라이나 원전 직원과 러시아군이 함께 원전을 관리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가 러시아군이 2022년 4월 초 북부 전선에서 철수하면서 체르노빌 원전에 주둔했던 러시아군도 철수했다.
2024년 봄에 쿠르스크 지역 안보 담당으로 임명된 알렉산드르 라핀 장군이 국경 지역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은 위원회를 해제했다고 한다.#
군사분석가들은 우크라이나가 1만 5천~3만 명의 병력을 이번 공세에 투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 쿠르스크주 진격 가능성을 러시아군이 수개월 전 예상했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4.3. 북한군 참전설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북한 참전 문서 참고하십시오.기사
북한의 전쟁 참여가 확인된 후 10월 말부터 북한군이 투입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1] 우크라이나군은 손상된 MaxxPro 장괴차를 구난차량으로 회수했다. #[2] 둘 다 아군 Ka-52의 공격으로 인해 발생한 손실이다.[3] 이는 부산광역시 전체 면적과 맞먹는다.[4] 이에 대해선 러시아군이 니우요르크를 완전히 점령하고 포크로우스크 근처까지 도달하는 등 성과를 얻자 포크로우스크 점령은 다음 기회를 노리는 것으로 결정하고 쿠르스크쪽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의견이 있다.[5] 실제로 이 작전을 지휘한 시르스키는 9월 5일 CNN인터뷰에서 러시아군이 타 전선에서 병력을 빼내었다는 말을 하면서 해당작전이 성공적이었다고 평하였으며, 이후 MI6 국장이나 CIA 국장 또한 우크라이나군의 사기를 끌어올린 작전이라고 평하였다.[6] 키이우 전투가 승리로 끝나고 러시아군이 공식적으로 북부전선에서 물러난 2022년 4월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북부에는 벨라루스 및 러시아군을 대비해 상당한 숫자의 부대들이 배치되어 있었다.[7] 이-팔 갈등, 서방국가의 피로감 등으로 낮아진 관심도와 선전행위를 위해서는 어떻게든 무언가 자신들이 전쟁을 이기고 있다고 선전을 할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퇴각하면 자신들의 실패를 대외적으로 홍보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게다가 11월에는 미국 대선까지 예정되어 있으니 더더욱이나 우크라이나에게 철수하는 것은 불가능한 선택지이다.[8] 아이러니한것은 쿠르스크 전투 초창기에는 이대로가면 이 정예병력도 돈바스에서 그냥 고기방패로 소모될 확률이 높으니 차라리 이들을 이용해 어느 방향으로든 공세를 해야한다라는 의견도 많았다는 점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