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7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군이 시장 헨나디 마체호라와 협상하여 마체호라의 시장 직이 유지되는 조건으로 전쟁이 발발한 지 사흘 만에 전투나 폭격 한번 없이 러시아에 점령당했다. 마체호라 시장은 친러 정당 지역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해 인생을 위한 야권연단 소속으로 시장에 당선된 전형적인 우크라이나 내 친러 인사이다. 우크라이나 보안국은 마체호라에게 반역 혐의를 걸었고, 3월 말에는 우크라이나 서부에서 마체호라의 딸이 체포되었다. #
다만, 러시아로 도망친 쿠퍈스크 주민들의 말을 들어보면, 주민 대부분이 3일만에 도시에 입성한 러시아 군들을 환영했다고 하고, 이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러시아군의 진격을 허가한 것으로 보인다.
7월 7일, 헨나디 마체호라 시장이 러시아군에게 체포되었다. 사유는 불명이나 하리코프 군민정청을 빨리 러시아화시키고자 토사구팽을 했거나, 그가 저지른 부정부패를 적발했다는 추측만 나왔다. #
9월 8일 우크라이나군이 쿠판스크 근처에 왔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점령 중인 러시아 군정청이 여자와 아이를 대피시켰다.
9월 9일 우크라이나군이 쿠판스크에 진입했다.
9월 10일 우크라이나군이 쿠판스크 시내 중앙병원을 점령했다. 탈환이 거의 완료된 듯하다.
9월 10일 오후 2시 경, 우크라이나군이 쿠퍈스크 시내 중심부의 옥상에서 찍은 영상과 위치를 공개함으로써 쿠퍈스크 해방이 확인되었다. ##
이번 쿠퍈스크 해방이 의미 있는 이유는 이곳이 이지움으로 향하는 거의 유일한 보급로이기 때문이다. 쿠퍈스크가 해방되면 이지움의 러시아군은 서쪽으로는 오스킬 강, 나머지 삼면으로는 우크라이나군에게 포위된다. 실제로 쿠퍈스크 해방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이지움에서 러시아군이 항복했다.
9월 16일까지 쿠퍈스크 서부는 우크라이나가, 동부는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다. 쿠퍈스크 시를 오스킬 강이 관통하고 있는데, 쿠퍈스크 서쪽에서 철수한 러시아군이 오스킬 강을 이어주는 교량을 끊어버렸기 때문. 우크라이나 오신트인 워모니터는 쿠퍈스크 지역에서 포격전이 벌어졌다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날 하르키우 아조우 부대(크라켄 부대)가 오스킬 강을 도하해 쿠퍈스크 시 동부를 러시아군으로부터 탈환했다고 밝히면서 쿠퍈스크 시 전체를 우크라이나군이 수복하게 되었다.#, #[4]
@War_Mapper에 따르면 러시아는 다시 오스킬 강을 건너서 카멘카에 공세를 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는 오스킬 강 서쪽에 있는 7개의 마을을 통제하거나 전투를 벌이고 있다.
<rowcolor=#fff> 04.12. 기준 카멘카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6일 동안 러시아군은 카멘카 남부와 오스킬강 변에 새로운 거점을 마련하는데 성공했다. #
<rowcolor=#fff> 04.12.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3월 중순 러시아군이 콜리시니키우카 북부와 그 동쪽의 몇몇 거점들을 재확보한 것이 확인되었다. 최근에 들어서 러시아 군은 흘루쉬키우카 근교 방면의 통제권을 확대했다. #
<rowcolor=#fff> 04.16. 기준 카멘카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4일 동안 러시아군은 카멘카의 새로운 지점들을 차지해 마을의 절반을 통제하고 있다. #
<rowcolor=#fff> 04.19. 기준 카멘카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러시아군은 드보루브키네 생태공원을 점령해 크라스노예 페르보예와 카멘카의 진지들을 연결했다. #
<rowcolor=#fff> 04.19.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4월초부터 러시아군은 말라야 샤프키브카 근교로 진군했다. 우크라이나군과의 충돌이 마을의 동쪽 외곽에서 이어지고 있다. #
<rowcolor=#fff> 04.29. 기준 카멘카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지난 며칠동안 러시아군은 카멘카를 완전히 차지했다. 우크라이나군은 북쪽의 다챠와 창고들, 마을 동북쪽의 진지들에 잔존하고 있다. #
<rowcolor=#fff> 04.29.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쿠퍈스크시를 향한 도로를 따라 남쪽에 구축된 요새들을 점령했다. 포위를 피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군은 스테포바 노보셀레브카에서 후퇴했다. #
<rowcolor=#fff> 05.24. 기준 쿠퍈스크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보우찬스크에서의 러시아군의 활동 증가에 맞춰서 (말라야 샤프키브카를 향한 4월의 진격이 막힌 후에)러시아군은 5월 동안 쿠퍈스크 축선에서의 활동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러시아군은 콘드라쇼브카에 진입하고 라드코프카에 다시 접근했으며(4월 말에 몇몇 정찰 작전이 수행되었다.) 쿠퍈스크 시 북서쪽 외곽에 접근했다. #
<rowcolor=#fff> 05.28. 기준 카멘카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국경을 넘어 스트로예프카에 진입해 마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으로서 새 축선을 열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카멘카 북서쪽 외곽에 위치한 참호들을 계속 차지해 나갔다. #
<rowcolor=#fff> 05.30. 기준 카멘카 전선 지도
@Suriyakmaps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스트로예프카를 완전히 점령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군은 이 마을 근처 국경에서 철수하기 시작했다. 추가적으로, 러시아군은 크라스노예 페르보예 북쪽에서 소폭 진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