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23:32:42

헤르손 전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헤르손에서의 공세에 대한 내용은 헤르손 공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전선 및 전투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 · 쿠퍈스크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스타로빌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파일:ongo.pn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베즈노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ongo.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시우야르 전투파일:ongo.png · 토레츠크 전투파일:ongo.png · 니우요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크로우스크 전투파일:ongo.png · 셀리도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크라인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라호베 전투파일:ongo.png · 부흘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폴로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훌랴이폴레 전투파일:ongo.png ) ·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ongo.png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ongo.png · 크린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흘루히우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쇼스트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체르니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노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키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호스토멜 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수미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ongo.png · 쿠르스크 전투(2024년)파일:ongo.png)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기타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나는 살고 싶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024년 12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첨자2] 파일:ongo.png: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의 승리[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모호 아이콘.svg: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B]
}}}}}}}}} }}}}}}}}}
헤르손 전투
Бої за Херсон
Бои за Херсон
Battle of Kherson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러시아군의 공세
2022년 2월 24일 ~ 3월 2일
우크라이나군의 탈환전
3월 18일 ~ 11월 11일[1]
장소
우크라이나 헤르손 주 헤르손 일대
교전국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지휘관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육군 남부작전사령관 안드리 코발추크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올렉산드르 타나우스키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제8근위제병협동군사령관 안드레이 모르드비체프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제49제병협동군 사령관 야코프 레잔체프
병력
우크라이나군
제59차량화보병여단
제60기계화여단
제63기계화여단
제128산악강습여단
제1전차여단
제17전차여단
제121영토방위여단
제129영토방위여단
제1특수작전여단
제80공수여단
우크라이나 해군보병대
제35해군보병여단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우크라이나 의용군단

러시아 연방군
제58제병협동군
제59혼성군
제42근위차량화소총사단
제22군단
제126해안방어여단
러시아 공수군
제7근위산악공수사단
제76공수사단
제98공수사단
제11공수여단
제31공수여단
결과
1차전: 러시아군의 승리
2차전: 우크라이나군의 승리
영향
러시아 헤르손주의 주도 상실, 우크라이나의 헤르손주 주도 탈환
러시아의 드니프로 강 서안 상실
피해규모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전사자, 민간인 사상자 300명 이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미상

1. 개요2. 배경3. 전개
3.1. 러시아군의 헤르손 공격전
3.1.1. 2월 24일3.1.2. 2월 25일3.1.3. 2월 26일3.1.4. 2월 27일3.1.5. 3월 1일3.1.6. 3월 2일
3.2. 우크라이나군의 헤르손 탈환전
3.2.1. 11월 11일3.2.2. 12월 24일
4. 의의5. 기타

[clearfix]

1. 개요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남부방면 공세 과정에서 헤르손 시와 인근 헤르손 주, 미콜라이우 주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헤르손 공세의 일부이다.

2. 배경

파일:1648735901.png
<rowcolor=#fff> 현지시각 03.31. 기준 자포리자 방면 (남부)/동부 접경지 전선지도
파일:1648735902.png
<rowcolor=#fff> 현지시각 03.31. 기준 미콜라이우-헤르손-크리비 리흐 방면 전선지도

헤르손은 우크라이나를 S자로 관통하는 드니프로 강 하류 지역에 위치한 도시이며 헤르손을 포함한 헤르손주는 크림 반도와 접경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몇 없는 자연방어선인 드니프로 강을 끼고 있으며 오데사, 미콜라이우 등의 주요도시로 향하는 교통의 요지로, 크림 반도의 러시아군이 북진하여 우크라이나 남부 해안의 대도시들을 점령을 수월히 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군사적 요지이다.

또한 같은 헤르손 주에 속하며 헤르손으로부터 동쪽으로 100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드니프로 강변 도시 노바 카호우카에는 카호우카 댐과 수력 발전소가 있다. 크림 반도가 이 댐에 의해 만들어진 카호우카 저수지의 물을 상수원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며, 전력 또한 카호우카 수력발전소에 의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2] 따라서 러시아가 향후 크림 반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적어도 이 댐이 있는 노바 카호우카와 강 건너편이 안정권에 들어올 정도의 영토는 확보해야 한다. 헤르손 전선 지도에서 러시아군이 미콜라이우 방면으로 집중하지 않고서 헤르손 북동쪽으로 전선을 멀리 치고 나간 이유도 아마 이것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댐의 상부는 대교로도 사용된다. 헤르손 앞의 안토노우 대교를 끊으면 100km가 더 걸리긴 하지만 카호우카 댐을 통해서 강을 건널 수 있어 자포리자로 돌아서 가는 것보다 훨씬 가깝다.

개전 초기에는 러시아군이 헤르손을 점령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크라이나군이 본격적으로 반격을 시작하여 점령을 시도 중이다. 우크라이나가 헤르손 지역을 탈환한다면 남부 전선은 우크라이나쪽이 크게 유리해질 수밖에 없고 더 나아가 북부 전선에 주둔했던 우크라이나군과 함께 양쪽으로 동부 전선까지 진격 및 반격할 계기가 생긴다. 또한 크림 반도쪽 러시아군도 견제할 수 있다.

남부와 동부로 진격하기 위해선 반드시 탈환해야 하는 지역인데 문제는 우크라이나 절반을 강으로 인해 나뉘어진 지형을 가지고 있어서 다리가 없으면 진격조차 못하기에 러시아군이 미리 다리에 폭탄을 설치한 전황이 포착되어서 자칫 진격이 지연되거나 막힐 가능성이 생겼다.[3] 또한 탈환작전이 시작된지 2주 이상 지났지만 아직까지 경합중일 정도로 시간이 크게 지체되고 있다. 물론 그 정도로 헤르손 지역이 매우 중요하다는 얘기이고 남부 전선에 큰 영향을 끼치는 전투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입장에선 헤르손을 잃으면 남부 전선 모두 밀릴 수밖에 없는 처지다.[4] 그리고 4월 이후로 러시아군이 밀리고 있기에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걸로 보인다.

8월 기준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 시 앞에 있는 안토노우 대교와 노바 카호우카의 교량들을 집중적으로 폭격한 탓에 러시아군이 고립될 위기에 빠졌다. 다만 우크라이나군이 아직까지 헤르손쪽으로 거의 진격을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이득을 본 것은 사실이다 그래도 향후 헤르손 전투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는 없다.[5]

10월 초 우크라이나군은 우크라이나 가을 공세로 다비디브 브리드를 수복하고, 밀로베 이북 북동쪽 전선 전면에서 50km 이상 탈환했다. 러시아군은 노바 카호우카 - 스타니슬라우로 잇는 선에서 방어선을 재구축 중이지만, 7월 이후 드니프로 강을 건너는 운송에 지속적으로 차질을 빚은 결과, 폰툰 부교와 헬기, 바지선을 이용한 수송으로는 현재까지도 수송량을 감당하기 쉽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국 10월 18일 러시아인의 철수가 시작됐다고 보도되기 시작했다.BBC 러시아가 임명한 블라디미르 살도 헤르손 임시 주지사는 주민 대피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11월 11일,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을 탈환하였다.

3. 전개

3.1. 러시아군의 헤르손 공격전

3.1.1. 2월 24일

전쟁 발발 몇 시간 전인 2월 24일 1시경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의 전투기들과 수송기 등이 공항에 착륙하여 점령하지 못하게 헤르손 공항의 운행을 중단시켰으며 활주로에 중장비를 배치하는 등 공항을 무력화시켰다. 전쟁 발발 약 5시간 후인 2월 24일 12시경(한국시간 오후 5시경) 러시아의 주요 공세 방향(북, 동, 남) 중 남부방면 공세가 시작되면서 크림 반도의 러시아군이 헤르손 주 내부로 진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국경 수비대와의 교전이 발발했다. 이 교전에서 우크라이나 국경 수비대는 3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러시아군은 헤르손 주의 카호우카를 함락시키고 드니프로 강변에 도달했으며 헤르손 주 동부의 노바 카호우카의 댐 일대를 장악하기 위해 도시를 포위하는 한편 드니프로 강을 건너기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

저녁이 되자, 러시아군은 드니프로 강을 건너 헤르손 시로 진입하기 위해 유일한 교량인 안토노우 대교의 확보를 시도하였으나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밀려나고 우크라이나군이 교량을 다시 확보하였다.

2022년 2월 24일 헤르손에서 러시아군이 기습당해 우크라이나군과 교전하는 것을 찍은 드론 영상이 3월 2일 공개됐다.영상

3.1.2. 2월 25일

러시아군은 다시 안토노우 대교를 확보하고 일부 기갑전력을 헤르손 시 남부로 전개시켰다. 러시아측은 헤르손 점령을 발표하였으나 우크라이나군의 방어에 다시 가로막혔으며 그날 밤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러시아군이 다시 교량 남쪽으로 퇴각하였다.

3.1.3. 2월 26일

전날부터 교량을 두고 전투를 벌였던 양측은 계속해서 전투를 이어갔다.

한국 시각 오후 7시경 결국 교량이 러시아군에게 넘어갔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이 교량은 본래 우크라이나군이 철수하면서 폭파되어야 했으나, 친러파인 담당자가 폭파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고스란히 러시아 측에 넘겨주었다고 한다.

3.1.4. 2월 27일

헤르손의 일부 지역이 러시아군 통제 하에 들어갔다.#

3.1.5. 3월 1일

헤르손이 러시아군에 완전히 포위되었다. 헤르손 시장에 따르면 헤르손으로 통하는 모든 도로가 차단되었다고 한다.#

3.1.6. 3월 2일

러시아군이 헤르손을 장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우크라이나군은 결국 3월 2일 헤르손에서 퇴각했고 헤르손 시장은 러시아군에 항복하였으며, 러시아의 군정청이 설치될 것이라고 했다.# 이로써 우크라이나 남부 전선에서는 사실상 러시아군이 우세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헤르손 함락 이후 우크라이나군은 주 방어선을 헤르손의 이웃도시인 미콜라이우로 이동시켰다.

이후에도 다시 우크라이나가 되찾았다는 등 계속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있으나, 우크라이나군이 이미 퇴각한 현재로서는 비무장 시민 저항을 제외하면 잔존 게릴라 정도가 유의미한 군사력으로 보인다. 마치 "저항군이 있으니 아프가니스탄은 아직 탈레반에 넘어가지 않았다"는 것과 동격.

러시아가 군정청을 설치한다고 한 이상 전쟁이 장기화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 '헤르손 인민 공화국'이라는 친러 괴뢰국을 만들 것이라는 예상도 현지에서 제기되었다.

3.2. 우크라이나군의 헤르손 탈환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손 전투/탈환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11월 11일

헤르손을 빼앗긴지 8개월 만에 우크라이나군이 도시 탈환에 성공했다.#

3.2.2. 12월 24일

러시아군이 헤르손시를 공습해 6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4. 의의

우크라이나군이 기나긴 대치 끝에 드니프로 강 서안 전역을 탈환하면서 러시아의 드니프로 강 서안 진출, 즉 오데사미콜라이우 진출이 불가능해졌으며, 이 때문에 개전 초기부터 목표로 삼았던 남부회랑 점령 완성이 어려워지면서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진출도 불가능해졌다.
또한 헤르손 일대가 수복되면서, 크림반도의 식수를 책임지는 노바 카호우카 댐 일대를 통제한다면 작년처럼 크림반도의 식수 위기가 찾아 올 수도 있다. 크림반도에 대한 직접적인 압박과 더불어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남부전선 안정화를 통해 추후 예상된 자포리자 전선과, 진행중인 동부 돈바스 공세에도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우크라이군이 드니프로 강을 도하할 방법이 마땅치 않은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포리자 전선에서 공세를 시작해서 진격할 것으로 추정된다.

5. 기타



[1] 러시아군의 철수 후, 헤르손을 우크라이나군이 탈환하였다.[2] 당연히 러시아가 2014년에 크림 반도를 뺏어간 이후에는 우크라이나측에서 물 공급을 끊어버렸다. 우리나라 언론에서는 러시아가 헤르손 진입 첫날 댐을 파괴했다고 기사를 썼는데,# 댐 파괴는 친러 반군과 러시아측의 가짜뉴스라고 한다.# 또 기사는 우크라이나가 2014년에 크림 반도를 뺏기자 댐을 지었다는데, 영문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1950년에 착공해서 마지막 발전기를 1956년에 설치했다고 한다.#[3] 정말로 다리를 모두 잃으면 자포리자 근처까지 돌아가야 한다.[4] 가뜩이나 자포리자쪽에서 진격하는 우크라이나군도 있어서 자칫 포위되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높아진다.[5] 단, 정말로 다리들을 모두 파괴할 경우, 남부쪽으로 어떻게 진격 및 탈환할지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6] 링크는 위키백과의 전쟁 틀을 흉내낸 패러디이다. 나무위키 버전으로 번안한 형태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