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22:52:55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Бои за Великая Новосëлка Бої за Велика Новосілк Battle of Velyka Novosilka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돈바스 전역의 일부 2023년 6월 5일 ~ 2025년 1월 25일 장소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주 벨리카 노보실카 일대 교전국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지휘관 불명 불명 병력 우크라이나군 제4전차여단 제31기계화여단 제35해군보병여단 제36해군보병여단 제37해군보병여단 제68경보병여단제55포병여단 제110국토방위여단 우크라이나 의용군 제7대대 제8특수목적연대 러시아 연방군 제127차량화소총사단 제5차량화소총여단 제37차량화소총여단 제40해군보병여단 OBTF 카스카드 결과 러시아군의 승리
[clearfix]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의 일부로 시작하였으나 2024년 이후 러시아군 의 반격으로 진행중인 도네츠크주 볼노바하군 벨리카 노보실카 부근에서 벌어진 전투. 전체적으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2023년 6월 5일부터 자포리자주 북동부와 도네츠크주 남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투를 다루는 문서이다.영국 ITV 의 뉴스 보도 영상 2023년 6월 5일, 우크라이나군이 이웃한 자포리자 주 노보다리우카와 노보도네츠케 방면에 방어선의 약점을 확인하는 겸 강력한 공세를 가했다. 우크라이나군은 노보다리우카를 탈환했으나 손실을 입었다. 6월 8일 우크라이나군이 재차 공세를 가했다. <rowcolor=#fff> 06.05. 기준 자포리자 전선 지도
<rowcolor=#fff> 06.08. 기준 우크라이나 남부 전선 지도
노보도네츠케는 이제 북서쪽에서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받은 후 전투가 진행 중이다. <rowcolor=#fff> 06.11.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이 벨리카 노보실카 남동쪽에서 전진했다. <rowcolor=#fff> 06.12.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이 남부 전선에서 네스쿠치네와 블라호다트네를 탈환했다. 또한 우크라이나군은 이후 우로자이네 방면으로 공세를 가했다. 러시아군이 스트로제베에 반격을 가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마카리우카를 공격했다. <rowcolor=#fff> 06.13.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남부 전선에서 스트로제베(Storozheve)를 탈환했다. <rowcolor=#fff> 06.14.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6월 13일부터 러시아군의 마카리우카 방면 공세가 진행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군에게 격퇴되고 있다. 또한 이 공세 때문에 우크라이나의 진격도 함께 정체되고 있다.남부 전선의 리브노필이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탈환됐다. <rowcolor=#fff> 07.03. 기준 우크라이나 남부 전선 지도
<rowcolor=#fff> 07.17.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주말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남부 전선의 스타로마이오스케로 진격했다. <rowcolor=#fff> 07.19.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7월 27일, 우크라이나군이 스타로마이오르스케를 탈환했다. <rowcolor=#fff> 07.28.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8월 9일, 우크라이나군이 우로자이네에 진입했다. <rowcolor=#fff> 08.09.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08.12.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08.14. 기준 우크라이나 남부 전선 지도
<rowcolor=#fff> 08.14.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우로자히네로 전진했고, 우로자히네 남쪽 가장자리에서 전투가 벌어지고있다. <rowcolor=#fff> 08.16.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우로자이네 남쪽으로 더 진격했다. <rowcolor=#fff> 08.17.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09.07.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며칠간 포격이 증가한후 우크라이나군은 노보도네츠케로 진격을 시도하고있다. <rowcolor=#fff> 09.09.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부흘레다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노보마요르스케 북쪽으로 진격했으며 정착지에서 전투가 벌어지고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우로자이네 탈환 후 9월까지 거의 진격을 하지 못했고, 아예 9월에는 대반격이 시작된이후로 처음으로 남부전선에서 단 1개의 마을도 탈환하지 못했다. <rowcolor=#fff> 10.07.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프리유트네 북서쪽으로 소폭 진격했다. 우크라이나군은 9월에 이어 10월에도 단 1개의 마을도 탈환하지 못했다. <rowcolor=#fff> 11.09.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군은 레바드네와 그 남쪽의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11월에도 단 1개의 마을도 탈환하지 못했다.2.2. 러시아군의 공세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오히려 러시아군이 공세로 전환해 2024년 5월 들어 러시아군은 우로자이네에 재진입했고, 스타로마이스케도 서쪽과 남쪽에서 압박해 점령했다. 이후 11월에 동쪽의 부흘레다르를 점령한 러시아군이 벨리카 노보실카 북동쪽에 자리를 잡고 압박해 벨리카 노보실카 자체도 함락되었다. <rowcolor=#fff> 05.03. 기준 우로자이네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작년 우크라이나군의 탈환이후 처음으로 우로자이네에 재진입했다 <rowcolor=#fff> 05.18.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05.27.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스트로마요르스케를 대부분 장악했다. <rowcolor=#fff> 06.14.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6월 10일, 러시아군이 스트로마요르스케를 완전 점령했다.# <rowcolor=#fff> 07.13. 기준 벨리카 노보실리카 전선 지도
7월 13일, 러시아군이 우로자이네를 완전 점령했다. # # <rowcolor=#fff> 11.18.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벨리카 노보실카 남서쪽에서 비교적 안정을 유지한 후, 공세를 재개해 해당 지역의 우크라이나 요새의 첫 번째 주요 방어선에 접근했다. <rowcolor=#fff> 11.30.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부흘레다르로부터 서진한 러시아군이 벨리카노보실카 북쪽의 노비 코마르에 진입했다. 도시는 북쪽, 동쪽, 남서쪽으로 포위되고 있다.# <rowcolor=#fff> 12.5.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 군이 일시적으로 러시아군을 노비 코마르에서 몰아냈다. <rowcolor=#fff> 12.6.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rowcolor=#fff> 12.16.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이 노비 코마르에 재진입했고 마카리우카를 실질적으로 포위했다. <rowcolor=#fff> 12.24.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벨리카 노보실카 남쪽에서 마카리우카를 점령하고 스토로제베에 진입했다. <rowcolor=#fff> 01.16.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은 도시 바로 서남쪽의 네스쿠치네를 점령했다. 또한 북쪽의 노비 코마르를 점령, 수비 측의 모든 보급로를 차단했다. 이 지도가 나온 직후 브레미우카까지 점령되며 벨리카 노보실카는 80% 이상 포위되었다. 쿠라호베에 이어 벨리카 노보실카까지 함락된다면 도네츠크 남부 전역은 러시아의 완전한 승리로 귀결된다. <rowcolor=#fff> 01.23.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우크라이나 군은 사실상 완전히 포위되었고, 러시아 군이 시가지로 진입했다. 1월 25일 러시아군이 벨리카 노보실카의 마지막 거점에 진입, 사실상 승리했으며 뒤이어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로 전선이 밀려났다고 한다.# <rowcolor=#fff> 02.03. 기준 벨리카 노보실카 전선 지도
러시아군이 벨리카 노보실카를 완전히 점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