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 2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포파스나 전투 Battle of Popasna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동부 우크라이나 전역의 일부 | |
기간 | |
2022년 3월 3일 ~ 5월 7일 | |
장소 | |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포파스나 | |
교전 국가 및 세력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바그너 그룹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우크라이나 |
지휘관 | |
예브게니 프리고진 알렉세이 나긴 | 헤나디 슈체르바크† |
피해 | |
미상 | 미상 |
민간인 피해 불명 | |
결과 | |
러시아의 승리 |
[clearfix]
1. 개요
2022년 3월 3일부터 5월 7일까지 포파스나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2. 배경
포파스나는 돈바스 전쟁 당시부터 반란군의 주요 교통 허브 지역이었다.3. 상세
2022년 3월 3일, 루간스크 인민 민병대, 러시아군, 그리고 바그너 그룹과 우크라이나군 간의 치열한 전투가 시작되었다.4월 18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과 러시아가 병력을 북쪽으로 옮겨 크레민나를 점령했고 루비즈네를 따라 남쪽에서부터 공세를 진행했다.
5월 7일, 우크라이나측의 세르히 하이다이 루한스크 주지사는 텔레그램을 통해 도시의 절반이 점령당했다고 발표했고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완전 철수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측 블로거들은 이 공세의 성공을 마치 전선이 꽃처럼 피어나듯 확장되었다 하여 "포파스나의 꽃(flower of Popasna)"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