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22:12:16

프리드리히 메르츠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7070 0%, #7A7979 20%, #7A7979 80%, #70707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콘라트 아데나워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어 빌리 브란트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콜 게르하르트 슈뢰더 앙겔라 메르켈
제9대 제10대
올라프 숄츠 프리드리히 메르츠
북독일 연방 수상 · 독일 제국 수상 · 바이마르 총리 · 나치 독일 총리 · 독일민주공화국 의장
독일 대통령
}}}}}}}}}
프리드리히 메르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흰색 로고.svg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당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콘라트 아데나워
제2대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제3대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어
제4대
라이너 바르첼
제5대
헬무트 콜
제6대
볼프강 쇼이블레
제7대
앙겔라 메르켈
제8대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제9대
아르민 라셰트
제10대
프리드리히 메르츠
}}}}}}}}} ||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장.svg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87구 88구 89구 90구 91구
올리버 크리셔[1] 클라우디아 몰 빌프리트 욀러스 토마스 라헬 게오르크 키펠스
92구 93구 94구 95구 96구
데틀레프 자이프 사나에 압디 스벤 레만 롤프 뮈체니히 카트린 울리히
97구 98구 99구 100구 101구
엘리자베트 빙켈마이어-베커 노르베르트 뢰트겐 카르스텐 브로데서 헤르만-요제프 테브로케 칼 라우터바흐
102구 103구 104구 105구 106구
헬게 린트 잉고 섀퍼 클라우스 비너 페터 바이어 토마스 야르촘벡
107구 108구 109구 110구 111구
안드레아스 림쿠스 헤르만 그뢰에 귄터 크링스 안스가 헤펠링 마르틴 플룸
112구 113구 114구 115구 116구
슈테판 루엔호프 라이너 켈너[2] 얀 디렌 배르벨 바스 마흐무트 외즈데미르
117구 118구 119구 120구 121구
디르크 푀펠 제바스티안 피들러 디르크 하이덴블루트 마티아스 하우어 프랑크 슈바베
122구 123구 124구 125구 126구
브라이언 닉홀츠 마르쿠스 퇸스 옌스 슈판 미하엘 게르데스 안네 쾨니히
127구 128구 129구 130구 131구
마크 헨리히만 안야 칼리첵 마리아 클라인-슈마잉크 헤닝 레바움 랄프 브링크하우스
132구 133구 134구 135구 136구
빕케 에스다 슈테판 슈바르체 아힘 포스트 위르겐 베르크한 크리스티안 하제
137구 138구 139구 140구 141구
카르스텐 린네만 티모 시자노스키 악셀 에체베리아 악셀 섀퍼 미셸 뮌테페링
142구 143구 144구 145구 146구
옌스 파익 자비네 포쉬만 올리버 카츠마렉 미하엘 테브스 한스-위르겐 티스
147구 148구 149구 150구
프리드리히 메르츠 폴커 클라인 플로리안 뮐러 파울 치미악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뤼디거 루카센 카이 고트샬크 파비안 야코비 마르틴 레너 요어크 슈나이더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미하엘 에스펜딜러 마티아스 헬페리히 로거 베캄프 하랄트 바이엘 오이겐 슈미트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요헨 하욱 슈테판 코이터 아르민 라셰트 세랍 귈러 아스트리트 팀머만-페히터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자비네 바이스 카타리나 도스 산토스 피른하버 미하엘 브라일만 케르스틴 피어레게 슈테판 나케
비례 21 비례 22 비례 23 비례 24 비례 25
올리버 폭트 케르스틴 라돔스키 후베르트 휘페 위르겐 하트 크리스티안 린트너
비례 26 비례 27 비례 28 비례 29 비례 30
마리-아그네스 슈트락-침머만 알렉산더 그라프 람스도르프[3] 마르코 부쉬만 요하네스 포겔 비잔 지르-사라이
비례 31 비례 32 비례 33 비례 34 비례 35
오토 프리케 라인하르트 후벤 프랑크 섀플러 니콜레 베스티히 칼하인츠 부젠
비례 36 비례 37 비례 38 비례 39 비례 40
마르쿠스 헤르브란트 베른트 로이터 칼-율리우스 크로넨베르크 카트린 헬링-플라 크리스티안 자우터
비례 41 비례 42 비례 43 비례 44
올라프 인 데어 벡 옌스 토이트리네 만프레트 토텐하우젠 카타리나 빌콤
비례 45 비례 46 비례 47 비례 48 비례 49
브리타 하셀만 이레네 미할리치 야노쉬 다멘 카타리나 드뢰게 펠릭스 바나착
비례 50 비례 51 비례 52 비례 53 비례 54
얀-니클라스 게젠휘스 울레 샤우브스 로빈 바게너 니케 슬라빅 라미야 카도르
비례 55 비례 56 비례 57 비례 58 비례 59
오펠리아 닉 막스 룩스 카이 게링 자라 나니 마익 아우센도르프
비례 60 비례 61 비례 62 비례 63 비례 64
샤히나 감비르 카트린 헤네베르거 안네-모니카 슈팔렉 마르쿠스 쿠르트 라우라 크라프트
비례 65 비례 66 비례 67 비례 68
자비네 그뤼츠마허 루카스 베너 안야 리버트 미하엘 자허
비례 69 비례 70
마티아스 비르크발트 카트린 포글러
비례 71 비례 72 비례 73 비례 74
자라 바겐크네히트 세빔 다델렌 안드레이 훙코 크리스티안 라이
비례 75 비례 76 비례 77 비례 78 비례 79
스벤야 슐체 제바스티안 하트만 케르스틴 그리제 디르크 비제 우도 쉬프너
비례 80 비례 81 비례 82 비례 83 비례 84
베른하르트 달드룹 나디네 헤젤하우스 베티나 룩 디트마 닐탄 다그마 안드레스
비례 85 비례 86 비례 87 비례 88 비례 89
제시카 로젠탈 볼프강 헬미히 귈리스탄 육셀 자라 라르캄프 네자하트 바라다리
비례 90 비례 91 비례 92 비례 93 비례 94
찬다 마르텐스 위르겐 코세 예-원 리 루이자 리치나-보데 다니엘 링커트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2년 의원직 사퇴하고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환경부 장관이 되었다. 미하엘 자허가 비례대표로 의원직 승계.[2] 2022년 사망. 비례대표로 다니엘 링커트가 의원직 승계[3] 2023년 의원직 사퇴하고 러시아 외교관으로 파견감. 카타리나 빌콤이 의원직 승계
}}}}}}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국민보수주의 · 기독교 민주주의 · 문화적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연관 이념 가족주의 · 독일 내셔널리즘(민족주의 · 특수한 길) · 우익대중주의 · 자유주의(경제적 자유주의 · 질서자유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과거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국가사회주의** · 프로이센 사회주의) · 군주주의(독일 제국) · 독일 낭만주의 · 반동주의(보수혁명) · 반유대주의 · 협동조합주의
연관 개념 공동체주의 · 기독교적 가르침 · 사회적 시장경제 · 온정주의 · 융커 · 폴크(Volk)
주요 정당 왕당파
개신교
독일 국가인민당 · 독일 보수당 · 독일 조국당 · 보수인민당 · 인민우파당 · 자유보수당
기독교사회당 · 기독교사회 인민봉사
가톨릭 기독교인민당 · 바이에른 인민당중앙당
전후 독일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독일을 위한 대안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인물 레오 폰 카프리비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볼프강 쇼이블레 · 빈프리트 크레치만 · 빌헬름 뢰프케 · 아르민 라셰트 ·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 앙겔라 메르켈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카를 슈미트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어 · 쿠르트 폰 슐라이허 · 콘라트 아데나워 ·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프란츠 폰 파펜 · 프리드리히 메르츠 · 하인리히 브뤼닝 · 헬무트 콜
언론 벨트 · 빌트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포쿠스)
단체 과거의 단체 자유군단 · 철모단
현재의 단체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재단(AfD) ·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CDU)
독일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나치즘은 독일 보수주의 전통과 구별되는 개념이므로 적지 않는다.
** 나치의 National socialism이 아니라 비스마르크State socialism이다. 다만 학계에서 일반적인 사회주의로 인정받지는 않는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선정 2025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2025
지도자 부문 #
키어 스타머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도널드 트럼프 마리아 코리나 마차도 일론 머스크
무함마드 유누스 하워드 러트닉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J. D. 밴스 레슈마 케왈라마니
프리드리히 메르츠 메긴 켈리 이재명 테레사 리베라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안드레아 비다우레 두마 보코 러셀 보우트 하비에르 밀레이 노아 아르가마니
같이 보기: 아이콘 부문, 예술가 부문, 거장 부문, 개척자 부문, 혁신가 부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사실상 군부 소속
공산국가의 수상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4차) 줘룽타이 이주호 (권한대행)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나나 구스망 (3차) 쏜싸이 씨판돈 나와프 살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안와르 이브라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무소속|
무소속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무소속|
무소속
]]
체링 토브가이 (2차) 박태성 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무소속|
무소속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2차) 로렌스 웡 (2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무소속|
무소속
]]
[[탈레반|
탈레반
]]
[[무소속|
무소속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살렘 살레 빈 브라이크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자파르 하산 압둘라 아리포프 (2차)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알푸라타인|
알푸라타인
]]
[[리쿠드|
리쿠드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베냐민 네타냐후 (6차) 나렌드라 모디 (3차)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아마나트|
아마나트
]]
이시바 시게루 (2차) 리창 올자스 벡테노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무소속|
무소속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훈 마넷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무소속|
무소속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태국인당|
태국인당
]]
아딜베크 카시말리예프 코히르 라술조다 패통탄 친나왓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무소속|
무소속
]]
셰바즈 샤리프 (2차) 무함마드 무스타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스위스의 총리는 행정부 소속이 아니며 명목상 정부수반이 없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주소이트 콘스탄틴 딕 스호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
요나스 가르 스퇴레 (2차) 메테 프레데릭센 (2차) 프리드리히 메르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단결|
신단결
]]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에비카 실리냐 미하일 미슈스틴 (2차) 마르첼 치올라쿠 (2차)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애국연합|
애국연합
]]
뤼크 프리당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브리기테 하스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이자벨 베로 아마데이 (권한대행) 밀로이코 스파이치 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Open VLD|
Open VLD
]]
로버트 아벨라 (2차) 공석 바르트 더베버르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무소속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알렉산드르 투르친 보랴나 크리슈토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유럽 발전을 위한 불가리아 시민|
GERB
]]
[[무소속|
무소속
]]
위날 위스텔 로센 젤랴즈코프 주로 마추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온건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울프 크리스테르손 빅토르 로시 페드로 산체스 (3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로베르트 피초 (4차) 로베르트 골로프 니콜 파시냔 (3차)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피어너 팔|
피어너 팔
]]
[[무소속|
무소속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미할 마틴 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에디 라마 (3차) 블라디미르 델바 (권한대행)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노동당(영국)|
노동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크리스텐 미할 키어 스타머 크리스티안 슈토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무소속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데니스 시미할 조르자 멜로니 이라클리 코바키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자결당|
자결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페트르 피알라 알빈 쿠르티 (2차)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알렉산드르 로젠베르크 루이스 몬테네그루 도날트 투스크 (3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민주운동|
민주운동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프랑수아 바이루 페테리 오르포 오르반 빅토르 (5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공산국가의 수상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마크 필립스 디콘 미첼 루스벨트 스케릿 (5차)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미아 모틀리 (2차) 필립 데이비스 조니 브리세뇨 (2차)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필립 조셉 피에르 랄프 곤살베스 (5차) 테런스 드루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개스턴 브라운 (3차) 앤드루 홀네스 (3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인민민족운동|
통일국민회의
]]
마크 카니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캄라 퍼사드비세사 (2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군부에 의해 임명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바 우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엘리자 은구라레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무소속|
무소속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알리 라민 제인 샘 마테카네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압둘 하미드 드베이바 크리스티앙 은차이 (3차) 압둘라예 마이가 (임시)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공정당|
공정당
]]
아지즈 아칸누시 (2차) 나빈 람굴람 (4차) 모크타르 울드 디제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무소속|
무소속
]]
마리아 벤빈다 레비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장 에마뉘엘 웨드라오고 (임시)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보우치라야 함무디 바요운 (3차) 아메리쿠 하무스 (2차) 우스만 송코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함자 압디 바레 다팔라 알하지 알리 (권한대행)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번영당|
번영당
]]
나디르 라르바우이 러셀 들라미니 (왕족) 아비 아머드 (2차)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무소속|
무소속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로비나 나반자 무스타파 아드불리 마누엘 오사 은수에 은수아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무소속|
무소속
]]
펠릭스 몰루아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알라마예 할리나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공화연합|
공화연합
]]
조셉 응구테 (2차)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로베르 뵈그레 맘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카심 마잘리와 (2차)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포르 냐싱베 사라 자파라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NZ 뉴질랜드의 자유연합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NZ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무소속|
무소속
]]
[[바누아투 지도자당|
바누아투 지도자당
]]
크리스토퍼 럭슨 달튼 타겔라기 (2차) 조섬 나팟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NZ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소유통합책임당|
소유통합책임당
]]
[[쿡 제도당|
쿡 제도당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제러마이아 머넬레 마크 브라운 (2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팡구당|
팡구당
]]
아이사케 에케 펠레티 테오 제임스 마라페 (2차)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인민동맹|
인민동맹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시티베니 람부카 (3차) 앤서니 앨버니지 (2차)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독일연방공화국 제10대 연방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
Friedrich Merz
파일:Friedrich Merz Bundeskanzler.jpg
<colbgcolor=#7A7979><colcolor=#fff> 본명 요아힘프리드리히 마르틴 요제프 메르츠
(Joachim-Friedrich Martin Josef Merz)
출생 1955년 11월 11일 ([age(1955-11-11)]세)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브릴론
재임기간 제10대 연방총리
2025년 5월 6일 ~ 현직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A7979><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요아힘 메르츠
어머니 폴라 메르츠
배우자 샤를로테 메르츠[1] (1981년~)
자녀 장녀 카롤라 메르츠, 장남 필리프 메르츠, 차녀 콘스탄츠 메르츠
학력 본 대학교 / 마르부르크 대학교 (법학)
종교 가톨릭
신체 198cm
소속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의원선수 5 (하원)
지역구 호흐자우어란트
약력 CDU/CSU 원내대표 (2000-2002, 2022-현직)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2022-현직)
}}}}}}}}}
1. 개요2. 상세3. 생애
3.1. 학창 시절과 정계입문 초기3.2. 메르켈과의 갈등, 그리고 정계 은퇴3.3. 정계 복귀와 2018년 기민련 대표 선거3.4. 2021년 1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선거3.5.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3.6. 2021년 12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선거3.7.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시절3.8. 독일 총리(메르츠 내각)
4. 정치 성향5. 논란6. 여담

1. 개요

독일연방공화국 제10대 연방총리 취임 선서
독일의 제10대 연방총리.

2. 상세

제10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당대표로, 전임 당대표인 앙겔라 메르켈이나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아르민 라셰트와는 달리 당내 강경파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유럽의회 의원, 기독교민주연합 부의장을 거쳐 2000년부터 2002년까지 CDU/CSU 원내대표를 역임했다. 하지만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의 당내 권력 투쟁에서 패한 후 한동안 민간 기업에서 활동하다가 2018년 유럽 난민 사태가 촉발시킨 반이민 여론에 힘입어 정계에 복귀했으나 당대표 경선에서 앙겔라 메르켈에게 패했다. 메르켈 퇴임 후 2021년 당대표 경선에 다시 도전하여 메르켈의 지원을 받은 아르민 라셰트와 '당내 온건 vs. 강경' 구도로 대결했으나 다시 낙방했다.

그러나 그후 총선에서 기민당이 패하고 연립정부 구성도 하지 못하며 야당으로 밀려나면서 아르민 라셰트 대표가 사임했고, 그 후임을 선출하는 당내 경선에서 마침내 당대표의 자리에 올랐다. 당대표 취임 후 제1야당의 선명성을 내세우며 정부를 견제하는 목소리를 내고, 사민당-자민당-녹색당의 3당 연정이 내부 갈등에 따른 지지율 하락을 겪으면서 자당을 지지율 1위 정당으로 이끌었다. 다만 극우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지지율을 높이며 추격해오면서 극우의 득세를 마냥 무시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는 중. 일단은 AfD와 그 어떤 협력도 하지 않겠다고 선을 긋고 있다. 그리고 2025년 총선에서 기민당이 제1당이 되고 사민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하여 2025년 5월 독일 총리에 취임했다.

3. 생애

3.1. 학창 시절과 정계입문 초기

1955년 11월 11일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브릴론(Brilon)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2007년 탈당할 때까지 판사이자 기독교민주연합 당원이었고, 모친은 위그노 조상을 둔 브릴론의 저명한 귀족가문 출신이었다. 1975년 아비투르 시험을 마친 후 육군에 입대해 복무했고, 본 대학교와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1972년 기독교민주연합의 청년 조직에 가입했고[2], 대학을 졸업한 후에는 판사와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1989년에 유럽의회 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1994년에는 호흐자우어란트 선거구[3]에 기민련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어 연방의회에 등원했고, 금융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등 금융 분야 전문가로 이름을 알렸다.

1998년에는 기민련 부대표로 선출되었고, 볼프강 쇼이블레 대표 체제에서 그림자 내각에 입각하는 등 쇼이블레의 총애를 받았다. 2000년에는 원내대표에 선출되었으나, 2002년 라이벌이자 당 대표인 앙겔라 메르켈에게 원내대표직을 넘겨준 후에 별다른 요직을 맡지 못하다가 2009년 선거에서는 불출마하고 정계를 떠나 민간 경제·금융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기업의 이사회 구성원을 지냈다.[4]

3.2. 메르켈과의 갈등, 그리고 정계 은퇴

헬무트 콜을 정계에서 은퇴시키고 볼프강 쇼이블레 대표를 물러나게 한 기부금 스캔들 이후 앙겔라 메르켈이 대표, 프리드리히 메르츠가 원내대표로 각각 선출되었다. 앙겔라 메르켈은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16년간 장기 집권에 성공한 지금과는 달리 당시만 해도 그저 얼굴마담 정도로 여겨졌고, 2002년 선거를 앞두고 메르츠가 소속된 안데스 그룹은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의 에드문트 슈토이버를 총리후보로 밀도록 메르켈을 압박했다.[5] 하지만 그렇게 나선 2002년 선거에서 게르하르트 슈뢰더가 이끄는 사민당에게 접전 끝에 다시 한번 패하면서 입지가 위축되었다.

이 일종의 쿠데타 시도에서 메르켈에게 안데스 그룹의 존재가 알려졌고, 선거 직후 메르켈은 메르츠를 원내부대표로 밀어내고 직접 원내대표직을 겸임하면서 당을 완전히 장악했고 메르츠의 자리는 사실상 사라졌다. 이로부터 3년 뒤인 2005년 선거에서 7년만에 승리를 거두고 사민당과 대연정을 구성하면서 총리직에 오른 메르켈은 메르츠를 아예 평의원으로 좌천시켰고, 메르츠는 결국 2009년 총선을 앞두고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계를 떠났다. 이후에도 메르켈과 지속적으로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다.

2018년 대표 선거 당시에는 그들이 함께 일할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메르츠가 주장했음에도 메르츠가 대표가 되면 메르켈이 물러날 수밖에 없으리라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을 정도.#

3.3. 정계 복귀와 2018년 기민련 대표 선거

2018년 기민련 대표 선거를 앞두고 전격적으로 정계 복귀를 선언한 메르츠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자신의 후계자로 지원하는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당 사무총장(이후 국방장관), 옌스 슈판 보건장관과 대결하게 되었다.

장기간의 공백에도 불구하고 볼프강 쇼이블레 연방의회 의장 등의 지원을 받으며 1차 투표에서 392표를 획득해 2위로 2차 투표에 진출했지만, 2차 투표에서 482:517로 접전 끝에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사무총장에게 패하면서 다시 한번 분루를 삼켜야 했다.

하지만 9년만의 정계복귀에도 메르켈의 후계자와 혈전을 펼치면서 존재감을 재확인한 점은 소득.

3.4. 2021년 1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선거

2018년 대표 선거에서 승리했던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대표는 2019년에 들어서면서 지도력 부족으로 당내 입지가 급격히 흔들리기 시작했고, 결국 튀링겐 주총리 선출 논란에 휩싸이며 2020년 2월 사의를 표명하게 되었다.

2018년 선거에 이어 두번째로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한 메르츠는 크람프-카렌바우어 재임 시절부터 총리후보 지지도 1위를 달리고 있던 상황에서 아르민 라셰트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총리, 노르베르트 뢰트겐 연방의회 외교위원장과 3파전으로 대표 선거를 치르게 된다.

여론조사에서 대체적으로 1위를 고수하던 메르츠는 2021년 1월 15일의 1차 투표에서 5표차로 아르민 라셰트를 꺾고 2차 투표에 진출했으나, 당초 목표로 했던 400명대의 대의원 확보에 실패한데다 1차 투표에서 탈락한 뢰트겐 위원장 지지표를 흡수하는 데 실패하면서 521:466로 패배하고 만다.

3.5.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원래 자신의 지역구였던 호흐자우어란트(Hochsauerlandkreis) 선거구에 출마, 지역구 현역 의원이었던 파트리크 젠스부르크(Patrick Sensburg)를 밀어내고 기민련의 공천을 받는데 성공했다.#

본선에서도 무난히 당선되어 12년만에 연방의회에 재입성했다. 하지만 이번 선거 전반의 기민련 득표율 감소는 메르츠 역시 피해가지 못했고, 2017년 선거 대비 지역구 득표율이 7.5%, 정당투표율은 8.2%나 감소[6]하는 씁쓸한 성적표를 받게 되었다.

3.6. 2021년 12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선거

선거 패배로 아르민 라셰트 대표가 당 대표직 사퇴를 선언한 가운데 당의 개편(당원의 선거 참여 등)을 주장하며 대표 선거에 출마할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으나, 당원 투표가 도입된 후 최종적으로 출마를 선언했다. 자신과 함께 2021년 1월 대표 선거에도 도전했던 노르베르트 뢰트겐 연방의회 외교위원장, 4차 메르켈 내각의 연방총리청 청장이었던 헬게 브라운과 경쟁하게 된 상황.

사실 간접 선거로 진행된 1월의 대표 선거에서도 간발의 차이로 패배했을 정도로 원래부터 기민련 내에서 메르츠의 지지 기반이 존재하고 있었던 데다가 2021년 총선에서 친메르켈 성향의 중도파 대표 아르민 라셰트가 선거를 말아먹고 그야말로 몰락하면서 반메르켈파의 수장이라 할 수 있는 메르츠의 기민련 당내 입지가 매우 커졌다. 현재 기민련 당원 대상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이번 대표 선거는 지난번과 달리 대의원의 간접 선거가 아니라 기민련 당원들의 직접 투표로 선출하기 때문에 여론조사 결과대로 메르츠의 승리가 매우 유력한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1차 선거에서 바로 과반을 획득하느냐, 아니면 간발의 차로 실패해 결선 투표로 가느냐 정도의 문제만 남아있는 셈.

결국 1차 투표에서 과반을 훌쩍 넘는 62.13%의 득표율로 압승해 결선 투표 없이 차기 대표로 내정되었고, 2022년 1월 22일 열릴 제34차 전당대회를 통해 공식 선출됐다.# 공교롭게도 자신을 정치적으로 몰락시킨 메르켈이 사라지자마자 정치적으로 완벽하게 부활한 셈.

3.7.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대표 시절

2022년 1월 22일, 전당대회를 통해 아르민 라셰트의 뒤를 이어 공식적으로 당 대표로 취임했다.#

대표 취임 이후 5일이 지난 27일, 현재 CDU/CSU 연방의회 원내대표를 맡고 있는 랄프 브링크하우스가 직을 포기하기로 하면서 원내대표 직까지 겸임할 예정이다. 아이러니하게도 20년전 메르켈 당시 대표가 메르츠를 원내대표에서 밀어낼 때랑 비슷한 모습이라는 분석.#

극우 정당인 AfD와 지방정부 차원에선 연정할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이 크게 논란이 되자 트위터를 통해 “다시 한번 분명히 말하건대 CDU는 AfD와 지방정부 수준에서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발언을 철회했다.#

2025년까지 기민련 지지율이 1위로 유지되고 집권 연정의 지지세가 지지부진할 경우 차기 독일 총리로 등극할 가능성이 꽤 있는 인물이긴 하나 정책적으로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자주 보이고 우파 색채가 진하기 때문에 내외부 견제가 강한 편이기도 하다. 또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총리인 헨드릭 뷔스트나 마르쿠스 죄더 기사련 대표도 유력한 경쟁자로 꼽히고 있다. 그리고 나이가 거의 70세인 고령인지라 마이너스 요인이다. 만일 메르츠가 총리가 된다면 재선 혹은 3선 시 80세를 눈앞에 두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4년 3월 22일 진행된 ZDF 여론조사에서 기사련 지지층뿐만 아니라 기민련 지지층에서조차 죄더 기사련 대표가 34%로 1등, 헨드릭 뷔스트 주총리가 29%로 2위였고 메르츠 현 대표는 20%로 3위에 그쳤다.

2024년 5월 7일 전당대회에서 89.8%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 당대표직을 연임하게 되었다.

2024년 9월 17일,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의 공동 발표에 따라 내년으로 예정된 연방의회 선거의 CDU/CSU 총리 후보자로 결정되었다.

2025년 2월, 일론 머스크의 독일 선거 개입을 비판하며 "이번 선거에서 일어난 일은 그냥 넘어갈 수 없다"며 "정치적 대응이 될 수도, 법적 대응일 수도 있다"고 발언했다.#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예상대로 기민련이 제1당이 되면서 사실상 차기 독일 총리행이 확정되었다. 하지만 과반 의석에는 미달하기 때문에 AfD를 제외한 모든 정당과 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고, 얼마 뒤 사민당과 연정할 것을 발표,# 4월 9일에 사민당과 연립정부 구성에 합의하였다.

그러나 5월 6일 하원에서 이루어진 총리 선출 투표에서 6표 차이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며 총리로 선출되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게 되었다. # 사민당과 CDU/CSU의 의석을 합치면 328석이므로 18표의 반란표가 발생한 셈이다.

다행히 1차 투표 결과가 나온 후 각 정당은 회의를 거쳐 이날 재투표 실시에 합의했고[7], 두 번째 표결에서 325표를 얻어 과반 확보에 성공했다. 투표를 더 미뤘다가는 정치적 불확실성만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3.8. 독일 총리(메르츠 내각)

2025년 5월 6일, 2차 투표 끝에 총리 인준안이 연방의회를 통과하면서 어렵사리 독일의 제10대 총리로 임기를 시작했다.

4. 정치 성향


5. 논란

6. 여담




[1] 지방법원 법원장이다.[2] 기민련 청년 조직에서 활동하던 중인 1979년에는 기민련 청년 조직의 남성 정치인 전용 비밀 조직인 안데스 그룹(기민련 청년 조직의 구성원들이 칠레 방문에서 귀국하는 중 결성한 것에서 유래)의 일원이 되었다.[3]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해있다.[4] 대표적인 경력으로는 2016년에 맡은 블랙록의 독일 법인장이 있다.[5] CDU/CSU 역사 내내 기사련이 총리후보를 낸 선거는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가 총리후보로 나선 1980년 선거와 이 선거가 전부였다.[6] 당시에는 파트리크 젠스부르크 전 의원이 후보로 나섰다.[7] AfD도 재투표 실시를 묵인했지만, 알리체 바이델은 당장 의회를 해산하고 재총선이나 하자며 비아냥거리는 등 극딜을 넣었다.[8] 정작 본인은 2020년 3월에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바 있다(...)[9] 아르민 라셰트는 11%(...)로 슈판과 뢰트겐에게도 밀렸다. 반대로 정계 엘리트들 중에서는 메르츠가 18%로 3위를 기록하고 라셰트가 35%로 1위를 기록.[10] 프랑스와 영국은 이미 타우러스와 동급의 위력인 스톰 섀도우 공대지 순항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바 있다.[11] 국경 상시 통제와 적법한 서류를 갖추지 못한 외국인은 망명 신청 여부와 무관하게 입국을 차단하는 내용이 뼈대다. 메르츠 대표는 “좌우 가리지 않고 앞만 보겠다. 누구의 도움을 받든 이민정책 변화는 당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