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요타자동차 韓国トヨタ自動車 Toyota Motor Korea | ||
| ||
<colbgcolor=#1D1D1D><colcolor=#fff>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종류 | 주식회사 | |
설립일 | 2000년 3월 28일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 (수하동, 미래에셋센터원 서관 16층) | |
기업형태 | 중견기업 | |
대표 | 콘야마 마나부(今山学) | |
매출액 | 8,820억 8,830만원(2023년) | |
영업이익 | 541억 4,273만원(2023년) | |
당기순이익 | 410억 4,429만원(2023년) | |
모기업 | 토요타 그룹 | |
링크 | 토요타 | [1] |
렉서스 | [[https://www.lexus.co.kr/|]] |
[clearfix]
1. 개요
먼저 가치를 보는 당신
토요타 슬로건
토요타 슬로건
토요타의 대한민국 판매 법인으로, 토요타 그룹에서 100% 투자한 토요타의 자회사로 되어 있다. 현재 토요타 및 렉서스 차량을 수입 및 판매하고 있다.
일본차 브랜드 중에서도 ES의 꾸준한 인기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널리 대중화시킨 기업답게 가장 많이 팔리는 브랜드로, 토요타 및 렉서스의 전체 판매량 중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다. 실제로 2024년 기준 한국토요타가 판매하고 있는 일반 내연기관 모델은 5종(GR 86, GR 수프라, LS 500, LC 500{컨버터블 포함})만 남았다.
대한민국 시장에서도 꾸준하게 사회공헌 행사를 실천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국내 모범납세 법인으로 선정됐다.
2. 역사
대한민국에는 1960년대 중반에 신진자동차와의 기술제휴 형태로 진출했다. 원래 신진자동차는 미쓰비시 자동차와 기술제휴를 하려고 했었는데, 이 과정에서 신진자동차가 미쓰비시 자동차로부터 콜트 1500을 100대 들여오면서 특혜 논란에다가 폭리 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졌고[2], 이 와중에 대한민국 시장 진출에 뜻이 있었던 토요타가 잽싸게 신진자동차를 꼬드겨서 신진자동차가 토요타와 기술제휴를 하게 되었다는 후문이 있었다. 토요타의 차종을 넉다운 생산해 대한민국 시장에 판매하던 신진자동차는 당시 국내 자동차 시장을 사실상 독과점하는 지위에 있었지만, 1972년 저우언라이의 일명 저우 4원칙으로 인해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던 토요타는 예고도 없이 일방적으로 대한민국에서 내빼고 말았다.[3] 그 이후 한동안 대한민국 시장에 재진출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4]하지만 그 와중에도 대한민국 시장에 미련을 못버렸던 것인지 24년 후인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진세무역과 인치케이프 코리아라는 자동차 수입업체를 통해서 당시 일본에서 직접 수입해서 들여올 수 없었기에[5] 미국 켄터키 주 조지타운 현지공장에서 생산한 캠리와 아발론[6]을 들여와 대한민국 시장에 잠시 판매했었다.
그후 수입선 다변화 정책이 폐지돼 일본산 자동차 수입이 자유로워지자 2000년 3월, 28년만에 대한민국 재진출을 선언해 대한민국 현지 법인인 한국토요타자동차 주식회사를 설립한 다음 2001년부터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를 먼저 대한민국 시장에 런칭해 판매를 시작했다. ES의 폭발적인 인기로 매출을 많이 벌여들인 다음 2009년 10월 20일에 정식으로 토요타 브랜드를 대한민국에 재런칭해 캠리, 프리우스, 라브4 등을 먼저 들여와 다시 판매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 경쟁사인 현대자동차그룹도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대거 출시하고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도 약진하고 전기자동차 부문에서는 오히려 토요타가 밀리자 2020년대부터 한국토요타에서 전략을 수정하기에 이르는데, 현대기아가 내수에서 팔지 않는 PHEV 모델을 출시하고 카니발보다 조금 작은 알파드로 의전용 차량 수요를 공략하는 등의 틈새시장을 노리고 있다. # 이후 알파드가 예상 밖의 대히트를 치면서 상위 모델인 렉서스 LM까지 연달아 출격하며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후반기에 한국 시장 누적 판매량 30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
3. 역대 대표이사
- 야스노 히데아키 (2000~2003)
- 오기소 이치로 (2003~2006)
- 치기라 타이조 (2006~2010)
- 나카바야시 히사오 (2010~2014)
- 요시다 아키히사 (2014~2018)
- 타케무라 노부유키 (2018~2022)
- 콘야마 마나부 (2023~현재)
4. 역대 슬로건
4.1. 토요타
- Smile For Tomorrow (2009~2013)
- YOU ARE SO SMART (2014~2019)
- ENJOY YOUR STYLE (2019~2023)
- 먼저 가치를 보는 당신 (2023~현재)
4.2. 렉서스
- 완벽을 향한 끊임없는 추구 (2003?~2005)
- The Pursuit Of Perfection (2006~2013)
- 모두 순간이 감동이다 (2016~2017)
- EXPERIENCE AMAZING (2017~현재)
- Authentic Luxury (2023~현재)
5. 판매 차량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토요타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B0A1E><tablealign=center> | }}} | |||
차급 | 판매 차량 | 단종 차량 | ||||
<colbgcolor=#EB0A1E> 소형차 | <colbgcolor=#fff,#000> - | <colbgcolor=#fff,#000> 프리우스 C | ||||
준중형차 | 프리우스 | 코롤라 | ||||
중형차 | 캠리 | |||||
준대형차 | 크라운 크로스오버 | 아발론 | ||||
스포츠카 | GR 86, GR 수프라 | - | ||||
준중형 SUV | 라브4 | - | ||||
중형 SUV | - | FJ 크루저, 벤자 | ||||
준대형 SUV | 하이랜더 | - | ||||
MPV | 알파드, 시에나 | 프리우스 V |
||
현재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정식으로 판매 중인 차량들의 리스트.
(▼) : 한국토요타에서 출시한 이후 수입이 중단된 모델.
5.1. 토요타
- 승용차
- SUV
5.2. 렉서스
- 승용차
- MPV
- LM : 2세대(AW10)부터 수입중이다.
6. 전시장
6.1. 토요타
<rowcolor=#fff> 전시장명 | 주소 |
토요타 강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811(신사동) |
토요타 강동 |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1393(성내동) |
토요타 강서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479(등촌동) |
토요타 광주 |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148(쌍촌동) |
토요타 구리 | 경기도 구리시 한다리길 17(교문동) |
토요타 대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46(지산동) |
토요타 대전 | 대전광역시 서구 벌곡로 1358(가수원동) |
토요타 동대문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441-1(장안동) |
토요타 부산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대로 284(거제동) |
토요타 분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59(서현동) |
토요타 서대구 |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마로 64(본동) |
토요타 서초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97(서초동) |
토요타 수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231(신갈동) |
토요타 순천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지봉로 211(남가리) |
토요타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81(송현동) |
토요타 용산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92(한강로2가) |
토요타 울산 | 울산광역시 남구 화합로 24(여천동) |
토요타 원주 | 강원도 원주시 서원대로 432(단구동) |
토요타 인천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성리로 76(구월동) |
토요타 일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279(마두동) |
토요타 전주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621(덕진동2가) |
토요타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주서로 7661(이호2동) |
토요타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양로 116(봉암동) |
토요타 천안아산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627(업성동) |
토요타 평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361(관양동) |
토요타 포항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62(이동) |
토요타 해운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293(우동) |
6.2. 렉서스
<rowcolor=white> 전시장명 | 주소 |
렉서스 강남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12(대치동) |
렉서스 강북 |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173(미아동) |
렉서스 강서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395(등촌동) |
렉서스 강서 시승센터 |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66길 71(등촌동) |
렉서스 광주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881(쌍촌동) |
렉서스 광진 | 서울특별시 광진구 천호대로 690(구의동) |
렉서스 대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48(지산동) |
렉서스 대전 |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밭대로492번길 1(봉명동) |
렉서스 도산대로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77(신사동) |
렉서스 부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293(우동) |
렉서스 분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439번길 1(분당동) |
렉서스 서대구 |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마로 64(본동) |
렉서스 서초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12(서초동) |
렉서스 수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514-4(인계동) |
렉서스 순천 |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지봉로 211(남가리) |
렉서스 안양 시승센터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벌말로 60(관양동) |
렉서스 용산 | 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206(이태원동) |
렉서스 용인광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260(영덕동) |
렉서스 울산 | 울산광역시 남구 화합로 24(여천동) |
렉서스 원주 | 강원도 원주시 북원로 2569(우산동) |
렉서스 인천 | 인천광역시 남동구 성리로 76(구월동) |
렉서스 일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마로 512(풍동) |
렉서스 전주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621(덕진동2가) |
렉서스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주서로 7661(이호2동) |
렉서스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513(신안동) |
렉서스 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양로 156(봉암동) |
렉서스 천안아산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627(업성동) |
렉서스 판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378(백현동) |
렉서스 포항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62(이동) |
7. 여담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축구 종목 동메달 결정전이 벌어지기 직전엔 이런 현수막도 붙였었는데, 여기까지만 보면 그러려니 할 수 있겠으나 문제는 이 동메달 결정전이 바로 한일전이었다. 이미 4강전에서 브라질에 패해 3/4위전에 진출해버린 이상 대한민국이 메달을 따는 유일한 방법이 바로 일본 국대를 이겨버리는 것인데, 물론 개인차가 있겠지만 이 일로 인해 대한민국에선 여러 매체에서 기사까지 나오는 등 꽤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당시 나카야바시 히사오 한국토요타 사장은 "모기업이 일본 기업이긴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사업을 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을 응원한다"고 밝혔다.[7]
뿐만 아니라 2015년엔 해외에서 열리는 K-POP 콘서트인 CJ E&M의 "KCON"에 메인 협찬을 하기도 했으며 2016년에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아시아 최종예선전의 대한민국 국가 대표팀과 중국과의 경기 중 대한민국을 응원하기 위해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대한민국을 응원합니다'라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이런 식으로 잊을 만하면 적극적인 친한 행보를 보여 주목받는 편이다. 보는 입장에서는 당시 사장들의 일본인으로서 정체성등을 이유로 오히려 걱정스러운 시선을 보내기도 하는데 일본의 국민성을 따졌을때 기업인으로서의 옳은 자세가 무엇인지를 고려하면 아무 문제 없었으리라는 예상이 가능하다.[8] 태생이 일본 기업이라 이런 행보가 더욱 부각되는 측면이 있다.
수입차 치고는 제법 괜찮은 정비망[9]이 구축되어 있고, 고장 안 나기로 유명한 브랜드답게 정비/점검 예약 대기 기간도 짧은 편이다.[10] 단, 정기점검 패키지[11]인 토요타 SMS/렉서스 PMS의 경우 재구매 시 5% 할인이 있기는 하나 매년 불시에 가격을 올리면서 유효기간 끝나기 전에는 못 사게 한다며 차주들의 볼멘소리가 나오는 편.
토요타/렉서스 코리아 홈페이지에선 MC 플랫폼이나 K 플랫폼 탑재 차량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전륜구동 차량용인 TNGA-C, TNGA-K의 경우 후륜에 세미 트레일링 암 방식 멀티링크 서스펜션[12]을 사용해놓고서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사용한다고 표기해놓고 있다. 하체를 떠 보면 어퍼 A암과 로워 A암, 컨트롤 링크로 구성되는 더블 위시본이나, A암 중 1개 이상이 2개의 링크로 분할된 더블 위시본 방식의 멀티링크가 당연히 아니다. 트레일링 암 방식의 멀티링크는 더블 위시본에 비해서 성능적으로 뒤처지는 구성이므로 대놓고 허위·과대광고를 하는 셈.[13]
대한민국에서는 오토기어의 4세대 프리우스 하체 리뷰와 오토뷰의 7세대 ES 리뷰에서 각각 제조사의 더블 위시본 표기를 비판하고 대놓고 트레일링 암 방식의 멀티링크라고 지적/언급하고 있다. 미국이나 영국 등지에서도 더블 위시본 방식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이라고 과대표기를 하고 있다. 단, LM500h는 설계가 기존과는 많이 다르지만 어찌됐든 더블위시본은 맞다는 것이 중론. RX만 표기가 멀티링크로 되어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승용차 부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메르세데스-벤츠 | BMW | 미니 | 포르쉐 |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 BMW 코리아 | 포르쉐 코리아 | ||
폭스바겐 | 아우디 | 벤틀리 | 볼보 | |
폭스바겐그룹코리아 | 볼보자동차코리아 | |||
토요타 | 렉서스 | 혼다 | 폴스타 | |
한국토요타자동차 | 혼다코리아 | 폴스타코리아 | ||
포드 | 링컨 | 재규어 | 랜드로버 | |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 JLR 코리아 | |||
쉐보레 | 캐딜락 | GMC | 마세라티 | |
GM 한국사업장 | FMK | |||
- | ||||
지프 | 푸조 | DS 오토모빌 | - | |
스텔란티스 코리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상용차 부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볼보트럭 | 스카니아 | 만 | 메르세데스-벤츠 | |
볼보트럭코리아 | 스카니아코리아그룹 | 만트럭버스코리아 | 다임러 트럭 코리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준중형 | - | CT | |
중형 | IS · RC | HS | |
준대형 | ES | GS | |
대형 | LS | - | |
그랜드 투어러 | LC | SC | |
슈퍼카 | - | LFA | |
소형 SUV | LBX | - | |
준중형 SUV | UX | - | |
중형 SUV | NX · RZ | - | |
준대형 SUV | RX · TX · TZ(공개 예정) | - | |
대형 SUV | LX | - | |
오프로더 | GX | - | |
대형 MPV | LM | - | |
요트 | LY | - | |
콘셉트카 | |||
· · · · · | |||
다이하츠의 차량 | |||
히노의 차량 |
[1] 서브채널인 '토요타 주말농부' 채널이다.[2] 당시 제2의 새나라자동차 파동이라고 했었을 정도였다.[3] 이후 신진은 GM과 합작해 GM코리아(현재의 GM코리아와는 다른 곳)를 설립해 출시한 시보레 1700이 폭망한 이후 1976년 산업은행에 매각됐고 1978년 대우그룹에 인수된 이후 1983년 대우자동차로 사명을 바꾸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대우그룹이 파산하면서 2002년 GM에 인수된 이후 GM대우로 바뀌었다가 2011년 한국GM(쉐보레), 2022년 GM 한국사업장으로 이름을 바꿨다.[4] 다만 6년 후인 1978년에 토요타의 계열사인 히노자동차가 기아/아시아자동차와 기술제휴를 하면서 1998년까지 기술제휴 관계에 있었다. 그렇게 신진자동차와 대한민국을 배신하고 일방적으로 떠나 놓고는 계열사인 히노자동차를 통해 겨우 6년만에 대한민국 재진출을 꾀하려고 했었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시장에 미련이 남았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는데, 어찌보면 신진자동차를 배신하고 떠난 것을 한동안 후회하고 있었을지도 모르며,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여파로 이듬해인 2020년 닛산이 대한민국을 떠난 이후에도 쉽게 대한민국 시장 철수를 못하는 것도 아마 그 때의 트라우마로 인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5] 1996년부터 ~ 2.5L 디젤 세단/왜건이 허용되었지만, 일부를 제외하면 전부 내수용이었다.[6] 1996년 당시 가격으로 3,630~3,814만원이었는데 상당히 고가에 속했었다.[7] 이는 사장 개인의 돌출 행보가 아닌 대한민국에서 단순히 일본 기업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희석시키고 친한 행보를 보임으로서 언론 등에 자연스럽게 부각됨에 따라 인식 변화의 이미지 재고를 통해 판매량을 끌어올리려는 토요타의 전략적 기획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이러쿵저러쿵 말이 많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 보인 반응은 나쁘지 않았다.[8] 기업인으로서 고객을 상대하는 입장은 전통적으로 최선을 다해 고객을 위해야 한다는게 일본 저변에 깔린 인식이다. 대한민국에서 한국인에게 영업하는 사장이 한국인을 응원한다는 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마케팅의 일환으로서 이런 스탠스를 취해 실제로 영업실적이 개선된다면 사장 개인에게는 오히려 향후 고과에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평가되었지 마이너스가 될 일은 없다.[9] 수도권에 대다수가 몰려 있긴 하지만, 지방에서도 광역시와 각 도내에서 어지간히 큰 도시에는 센터가 있다. 현대자동차로 치면 하이테크센터 격인 판금도장 가능 센터 또한 각 도별로 최소 1개씩은 있다. 판금도장 가능 센터가 없는 강원특별자치도와 서비스센터 자체가 아예 없는 충청북도 빼고. 다행히도 수리망이 통합되어있어 아무 센터에서나 수리가 가능하다.[10] 하이브리드 배터리 10년 보증, 엔진오일 교체를 위해 1년에 1회는 의무적으로 센터에 방문해서 점검을 해야 하기에 센터 예약이 몰리는 시기에는 1~2주 가량 대기해야 한다.[11] 하이브리드 정기점검, 엔진오일, 오일필터, 드레인 플러그 가스켓 교환 합본으로, 1년에 1회씩 쓰라고 3회분을 묶어서 판다.[12] 트레일링 암과 어퍼 링크, 로워 링크, 컨트롤 링크의 추가적인 링크 3개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13] 트레일링 암과 3개의 가로 방향 링크로 구성된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E 링크'라고도 불리는 방식으로, 더블 위시본보다 훨씬 더 나중에 나와서 전륜구동 중형~준대형 차에서 널리 쓰이는 방식이긴 하다. 그러나 이러한 트레일링 암 방식의 멀티링크가 더블 위시본이나 더블 위시본 기반 멀티링크에 가지는 장점은 원가, 부피, 중량으로 차량 제조사가 차를 설계할 때 가지는 장점이지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최종 성능에서 주는 장점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