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0:03:28

토요타 코로나

파일:토요타 로고.svg
파일: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png
CORONA

1. 개요2. 역사
2.1. 1세대 (T10, 1957~1960)2.2. 2세대 (T20/T30, 1960~1964)2.3. 3세대 (T40/T50, 1964~1970)2.4. 4세대(T80/T90, 1970~1973)2.5. 5세대 (T100/T110/T120, 1973~1979)2.6. 6세대 (T130, 1978~1983)2.7. 7세대 (T140/T150/T160, 1982~1987)2.8. 8세대 (T170, 1987~1992)2.9. 9세대 (T190, 1992~1996)2.10. 10세대 (T210, 1996~2001)
3. 미디어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토요타에서 1957년부터 2003년까지 생산한 차량으로 국내에서는 신진 코로나로 판매된 적이 있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1~5세대 한정으로 토요페트 코로나(トヨペット・コロナ)라 불렸다.

2. 역사

2.1. 1세대 (T10, 1957~1960)

파일:1세대 코로나.png
일본의 2대 메이커인 토요타와 닛산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신차 개발을 계속하고 있었다. 코로나는 이러한 상황에서 1957년 5월에 닛산의 대항마로 출시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상품으로서 기획되고 있던 것은 2세대부터이다. 여기에는 당시 승용차 설계에 강한 발언력을 가지고 있던 택시 업계가 2세대의 완성을 기다리지 못해서 토요타는 개발과 출시를 서두르게 된 배경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부품을 활용해 급작된 차였다. 다만 토요타가 1950년대부터 연구를 계속해 온 모노코크 구조로 만들어진 점은 획기적이었다.

2.2. 2세대 (T20/T30, 1960~1964)

파일:1960_Toyopet_Corona_01.jpg
출처
1960년 3월에 출시되었다. 닛산 블루버드 타도를 목표로 개발된 본격적인 소형 승용차였다. 당시의 오펠 레코드를 방불케 하는 수준 높은 디자인은 여성 운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낮은 내구성, 가는 필러, 차체 강성에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택시 업계로부터 악평을 받아 닛산 블루버드의 우위는 계속되었고, 토요타는 승용차 메이커로서 일본 내 2위의 자리에 만족해야 했다.

2.3. 3세대 (T40/T50, 1964~1970)

파일:3세대 코로나.png
1964년 9월에 출시되었으며 이듬해인 1965년 11월에는 일본 최초의 해치백인 코로나 5도어 해치백도 출시되었다. 내구성 및 신뢰성 문제가 여전해서 닛산(닷슨) 블루버드에 완패했던 선대 모델들을 교훈 삼아 정말 와신상담하면서 만들었는데, 개통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메이신고속도로에서 자신있게 10만km 연속 고속주행 공개테스트를 실시하여 뛰어난 성능과 내구성 및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널리 알리면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당시 일본 내수 판매 1위를 달성하여 닛산 블루버드와의 경쟁(BC전쟁)에서 처음으로 압승을 거두었다.
파일:2세대 코로나.png
3세대 중기형[1]
일본 내수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크게 성공하면서 일본 자동차 수출 1위도 이 차종이 차지하였다. 1966년에는 전세계적으로 따져도 폭스바겐 비틀(1,295,834대) 다음으로 많이 생산된 차종(252,492대)으로 단일 차종 생산량 2위를 기록했었다.[2] 한마디로 2년 후에 등장한 코롤라와 함께 지금의 토요타를 만든 1등 공신이었다.
파일:신진 코로나.png
1966년부터 1972년까지 국내에서 신진자동차의 이름으로 판매된 코로나.

국내에서는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신진 코로나로 판매된 적이 있었으며 1960년대 중반~1970년대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한 승용차로 당시 대한민국의 도로 사진을 보면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승용차들 가운데 십중팔구는 코로나였다. 특히 택시로도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지금도 나이 지긋하신 분들 중에는 코로나를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1960년대 후반에 T60/T70형이라는 후속 모델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기존의 3세대 코로나도 여전히 수요가 있다보니 후속 모델로 준비했던 차종은 따로 코로나 윗급 차종인 코로나 마크 Ⅱ로 1968년에 출시하였으며 코로나 마크 2는 이후 토요타 마크 Ⅱ라는 코로나와는 별개의 독자적인 차종으로 발전하였다. 1968년에 코로나 마크 2가 출시 이후에도 기존 3세대 코로나도 여전히 인기가 있다 보니 상위 트림은 단종시키고 1500cc 4도어 세단 및 밴 같은 염가 트림만 남아서 1970년까지 꾸준히 생산되다가 4세대 T80형 코로나에게 바톤을 넘겨주고 단종되었다.

2.4. 4세대(T80/T90, 1970~1973)

파일:4세대 코로나.png
4세대 코로나로 계획되었던 T60/70이 코로나 마크 2라는 별개의 라인 업으로 출시되면서, 기존의 노후화 된 3세대 코로나를 대체하는 T60/T70의 아랫급 차종으로 다시 새로 개발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부터 1972년까지 신진자동차에서도 생산했으며 역시나 당시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었던 차종이었으나, 저우언라이저우 4원칙 때문에 중국 진출에 뜻이 있었던 토요타 자동차가 신진자동차와의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대한민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바람에 대한민국에서는 1972년에 갑자기 단종되는 불운을 맞이하였다. 그로 인하여 한때 코로나 덕분에 돈 방석에 앉았던 신진자동차는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여담으로 단종 1년 전인 1971년에는 진로에서 "집집마다 두꺼비의 幸運(행운)을!"이라는 문구와 함께 당시 26세였던 인기 탤런트 노주현을 모델로 내세워 경품 행사를 벌였는데 이 회사에서 내건 경품이 금두꺼비(1등, 3마리)가 당시 최신 승용차였던 4세대 코로나였으며, 은두꺼비(2등, 10마리)가 금성사 전기 냉장고, 복(福)두꺼비(3등, 20마리)가 같은 금성사의 흑백 텔레비전 수상기였다. 당시 신문 지면 광고

2.5. 5세대 (T100/T110/T120, 1973~1979)

파일:5세대 코로나.png
1973년 8월에 출시되었습니다. 일본 시장에서는 기존의 R형 OHV 엔진 대신 카리나와 같은 반구형 연소실을 갖춘 V형 크로스플로우 센터 플러그 2T OHV 엔진을 장착하여 최대 출력을 83마력에서 100마력으로 높였습니다. 해외 수출 사양은 이 세대까지 R형 엔진을 유지했습니다. 1976년 6월 일본 시장을 위해 페이스리프트가 출시되면서 모델 코드가 T120 시리즈로 변경되었지만 해외 수출 모델은 이전 T100 모델 코드를 유지했습니다.

1973년 12월부터 1976년 10월까지 35개월 연속 일본 소형 승용차 시장(1,400cc~2,000cc)에서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켰습니다. 마지막으로 '토요페트' 브랜드를 정면으로 내세운 코로나.

2.6. 6세대 (T130, 1978~1983)

파일:6세대 코로나.png
1978년 9월에 출시된 6세대는 5세대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당시 유행했던 사각형 헤드램프를 적용했습니다. 충격 흡수 범퍼도 새로운 우레탄 수지 디자인으로 교체되었습니다. 서스펜션은 시대에 맞춰 전면에는 스트럿형 코일 스프링, 후면에는 트레일링 링크 액슬형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도어 세단 모델은 이 세대에서 단종되었습니다. 1980년 8월에는 슬랜트 노즈 디자인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하드톱 및 리프트백 모델의 헤드램프는 불규칙적인 트윈 램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LPG 택시 모델은 1982년 8월까지 계속 생산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일본 국내에서도 그냥 '토요타 코로나'로 불린다.

2.7. 7세대 (T140[3]/T150[4]/T160[5], 1982~1987[6])

파일:코로나 T140.jpg
T140 후륜구동형 차량
파일:코로나 T150.jpg
T150 전륜구동형 차량
1982년 1월에 출시된 후륜구동 T140 시리즈 코로나는 닛산 블루버드(910 시리즈)와 경쟁하기 위해 세련된 이미지를 강조했습니다. 7세대부터 카리나 및 셀리카와 플랫폼을 공유했습니다. 특히 프레임리스 도어가 장착된 하드톱 세단은 A60 시리즈 셀리카를 기반으로 했으며 이전 세단 기반 모델보다 무게 중심이 낮아 코로나의 전통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더욱 스포티한 디자인이 탄생했습니다. 계기판도 셀리카와 동일한 디자인을 공유하여 코로나의 기존 이미지를 탈피하고 더욱 스포티한 느낌을 채택했습니다. 코로나 중에서 소유자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짧았던 T140 시리즈는 스포츠카에서 택시와 같은 상용 모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모델에 걸쳐 특이한 모델 수명을 누렸습니다. 또한 후륜구동을 특징으로 한 마지막 코로나였습니다. 하드톱 세단은 1985년 8월에, 세단과 왜건 밴은 1987년 12월에, 택시는 1998년 4월에 단종되었습니다.

1983년 1월에 출시된 T150 시리즈 코로나는 후륜 구동에서 전륜 구동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당시 토요타는 전륜 구동으로의 전환에 신중했기 때문에 후륜 구동의 T140 시리즈와 전륜 구동의 T150 시리즈를 병행 판매했습니다. 초기 리프트백 모델은 1S-LU 엔진만 장착되었으며, 4세대부터 전륜 구동으로 전환한 카리나와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했습니다. 차체 크기는 캠리보다 작아졌고, 이후에 출시된 카리나와 셀리카도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했습니다. 이 모델에는 주스 캔 5개를 담을 수 있는 쿨러 박스가 있는 에어컨이 장착되었습니다. 1983년 10월에는 6개의 가벼운 창문이 있는 4도어 세단이 추가되어 전륜 구동이 시리즈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엔진 변형에는 EFI가 있는 1.8L 고출력 1S-ELU, 1.5L 3A-LU 및 2.0L 2C-L 디젤이 포함되었습니다. 기화기가 장착된 1S-LU는 중앙 분사 1S-ILU(Ci)로 교체되었습니다. 4단 자동 변속기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1985년 8월에 사소한 변경 후 내외관이 개정되었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전에는 EX Saloon AD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전면 라미네이트 유리가 모든 등급에 채택되었습니다. DOHC 엔진 모델에는 2.0L 3S-GELU 엔진이 4도어 세단에 추가되었습니다. GT 시리즈(T160 시리즈)에는 캠리 비스타와 동일한 5러그 휠이 장착되었습니다. 1S-ELU 엔진이 장착된 스포티한 등급인 1800 SX-R도 추가되었습니다.

2.8. 8세대 (T170, 1987~1992)

파일:코로나 T170.jpg
사진속 차량은 1987년식 코로나 VIII 리프트백 사양이다.

1987년 12월 출시된 5도어 리프트백 모델은 "Sensational Feeling"의 약자인 "SF"라는 하위 이름을 얻었으며, 유럽에서는 카리나Ⅱ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습니다. 2,000cc 3S-GE형, 2,000cc 3S-FE형, 1,800cc 4S-Fi형, 1,500cc 5A-F형 등 4가지 가솔린 엔진 외에도 2,000cc 2C형 디젤 엔진이 장착되었습니다. 동시에 밴 또한 완전히 새롭게 설계되어 전륜 구동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밴의 엔진은 1.5L 3E 가솔린 엔진과 2.0L 2C 디젤 엔진으로, 스포티한 "GT" 모델의 마지막 모델이었습니다. 6세대 리프트백 이후 최초이자 마지막 전륜구동 5도어 "GT"인 "SF-GT" 5도어 세단은 최초이자 마지막 전륜구동 5도어 "GT" 모델이었습니다. 1989년 11월, 전면 그릴의 외관 디자인이 변경되어 루버가 수평에서 수직으로 바뀌어 더욱 강렬한 인상을 강조했습니다(밴 전면부는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후면 가니쉬와 테일램프도 수평으로 재설계되었으며, 후면 번호판은 범퍼 하단으로 이동했습니다. 1.8L와 1.5L 엔진은 EFI로 업그레이드되어 각각 4S-FE와 5A-FE 모델이 되었고, 2.0L GT는 무연 프리미엄 휘발유를 사용하여 165마력으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MX 등급은 스페셜 에디션 셀렉트 세단으로 대체되어 카탈로그 모델이 되었습니다.

1990년 5월, 토요타 자동차의 자동차 판매점 중 하나인 토요펫의 누적 판매 1천만 대를 기념하여 코로나 슈퍼 루미(Corona Super Lumi)가 출시되었습니다. 코로나 슈퍼 루미는 세단의 전장을 210mm 연장한 스트레치 리무진으로, 한정판으로 500대만 판매되었습니다.

상업용 밴모델은 1992년 11월까지 계속 생산되었습니다, 토요타 칼디나로 대체되었습니다.

2.9. 9세대 (T190, 1992~1996)

파일:9세대 코로나.png
1992년 2월 출시되었습니다. 유럽에서는 카리나 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영국 도요타 공장에서 현지 생산되었습니다. 차체 크기가 커지고 디자인이 더욱 곡선화되었습니다. 외관 치수가 확대되었고, E100 시리즈 코롤라와 유사한 둥근 디자인을 채택했습니다. GX(1.6/1.8/2.0 4WD/2.0 디젤/2.0 디젤 4WD), 셀렉트 세단(1.6/1.8/2.0, 4WD/2.0 디젤/2.0 디젤 4WD), EX 세단(1.6/1.8/2.0/2.0 4WD/2.0 디젤/2.0 디젤 4WD), EX 세단 G(1.8/2.0L)가 있었지만, GT와 같은 스포티한 등급은 단종되었습니다. 운전 학원 버전도 있었지만, "도요타 운전 학원 차량"(코로나 엠블럼은 도요타 CI 마크)으로 판매되었습니다.

1994년 2월에 사소한 변경이 있었습니다. 전면 그릴은 차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도색되었고, 측면 보호대는 도색되지 않았습니다. 전면 및 후면 범퍼에도 도색되지 않은 보호 몰딩이 적용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가로로 한 줄로 배열되었던 후면 가니쉬와 테일램프는 두 개로 분리되어 크기가 줄었습니다. 후면 번호판은 범퍼에서 트렁크 리드로 옮겨졌습니다.

2.10. 10세대 (T210, 1996~2001)

파일:1996 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 전면부.png<nopad> 파일:1997-01 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 전면부.png
Toyota Corona Premio
코로나는 1996년 1월 12일 최종 풀 모델 체인지를 거쳤습니다. 이름은 "코로나 프레미오"라는 하위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처음에는 일본에서만 판매되었습니다(나중에 대만으로 확장). 다음 모델은 "코로나"라는 이름을 삭제하고 "프레미오"로 변경하여 마지막 코로나 모델을 선보였습니다. 라인업은 4도어 세단으로만 구성되었으며, 이 마지막 코로나의 개발 목표는 안전성 강화와 비용 절감이었습니다. 모든 모델에는 조수석 에어백과 뒷좌석 중앙 3점식 안전벨트가 기본 사양으로 장착되었습니다. 안전 기능에는 "GOA" 충돌 안전 설계가 포함되었으며, 동절기용 모델에는 후방 안개등이 기본 사양으로 장착되었습니다. 안전 기능은 당시 기준을 뛰어넘었지만, 도어 패널과 기타 부품은 당시의 카리나와 공유했습니다. 내부 변경 사항으로는 글러브박스 잠금 장치가 제거되었고 차체 및 내장 색상 선택 폭이 훨씬 제한되었습니다. 엔진은 2.0L(3S-FE형), 1.8L(7A-FE형), 1.6L(4A-FE형), 2.0L 디젤 터보(2C-T형) 등 다양한 엔진이 탑재되었지만, 토요타 최초의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인 "D-4"(직접 분사 4행정) 2.0L(3S-FSE형) 145ps/20.0kg·m도 추가되어 처음에는 특별판(가죽 시트 등)으로 판매되었습니다.

1997년 12월, 외관 변경, 새로운 내장 색상, LCD 주행 거리계 및 트립 미터 추가, 뒷좌석 중앙 헤드레스트 추가 등 차량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디젤 엔진은 2.2L 터보(3C-TE형)로 변경되었고, 디젤 4륜 구동 차량의 변속기는 5단 수동에서 4단 자동 변속기로 변경되었으며, 직접 분사 엔진 모델은 공식 카탈로그 등급이 되었습니다.

2001년 11월 주문 중단으로 생산이 중단되었습니다. 그 후 재고가 있는 품목만 판매되었고, 판매는 한 달 후에 종료되었습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요타 코로나 프레미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미디어

4. 기타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B0A1E><tablealign=center>
파일:toyotalogowhite.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colbgcolor=#EB0A1E>초소형​차콤스 · 아이로드C+팟
경차아기아/위고 · 비츠 · 픽시스 에포크아이큐 · 픽시스(스페이스 · 조이 · 메가)
· 스파키 · 아이고 · e콤
소형차야리스 · 야리스(XP150) · GR 야리스 · 아쿠아/프리우스 C · 바이오스 · 글랜자/스타렛 · 벨타퍼블리카 · bB · 듀엣 · 코르사/터셀 · 윌비·윌 VS·윌 사이파 · 플라츠 · 솔루나 · 알렉스/코롤라 룬스 · 코롤라 루미온 · 어반 크루저(2008 ~ 2014) · 이스트 · 팟소 · 에티오스 · 모델 S · 타즈
준중형​차코롤라(악시오 · 필더 · 스포트 · 투어링)/레빈/프리우스 · 알리온 · 프로박스스프린터 · 스프린터 마리노 · 트레노-레빈 시리즈(AE86 · AE85) · 매트릭스 · 블레이드 · 코롤라 세레스 · 프레미오 · 석시드 · 프리우스 V/알파/플러스 · 오리스
중형차캠리 · bZ3마크 X · 코로나 · 1600GT · 오리온 · 어벤시스 · 마크 Ⅱ · 크레시다 · 크레스타 · 카리나 · 카리나 ED · 베로사 · 브레비스 · 프로그레 · 비스타 · 알테자 · 체이서 · 셉터 · 칼디나 · 코롤라 세레스 · 카발리에 · 코로나 엑시브 · 미라이(1세대) · 사이 · 캠리 솔라라 · 오리진 · 클래식 · 모델 A
준대형​차크라운 · 아발론 · 미라이(2세대) · bZ7프로나드 · 아리스토 · 윈덤 · 렉센
대형차센추리셀시오 · 크라운 마제스타 · 크라운 에이트
스포츠카GR 86 · GR 수프라세라 · 셀리카 · 소아라 · 스포츠 800 · MR 시리즈 · 2000GT · 카렌 · 파세오/사이노스 · 젤라스
레이스카GR010 하이브리드 · GT 레이싱 콘셉트7 · 87C · 88C · 88C-V · 89C-V · 90C-V · 91C-V · 92C-V · 93C-V · TS010 · 94C-V · GT-원 · TS030 · TS040 · TS050
경형 SUV아이고 X-
소형 SUVC-HR · C-HR+ · 러시 · 라이즈 · 어반 크루저 · 야리스 크로스 · 어반 크루저 타이소 · bZ3X · 어반 크루저(2025)카미 · 블리자드 · 볼츠 · 이조아
준중형 SUV라브4/와일드랜더 · bZ4X · 코롤라 크로스 · 어반 크루저/어반 크루저 하이라이더 · bZ5-
중형 SUV4러너 · 해리어 · 벤자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준대형 SUV랜드 크루저 프라도 · 하이랜더/크라운 크루거/크루거 · 포츄너 · 그랜드 하이랜더-
대형 SUV세쿼이아 · 랜드 크루저 · 센추리 SUV랜드 크루저 시그너스
오프로더랜드 크루저/J70블리자드 · FJ 크루저
경형 MPV루미탱크
소형 MPV시엔타 · 아반자 · 칼야 · 프로에이스 시티 베르소라움 · 펀 카고 · 나디아 · 포르테/스페이드 · 락티스 · 팟소 셋테 · 라이트 에이스 노아 · 타운 에이스 노아
준중형 MPV노아/복시 · 루미온 · 벨로즈입섬 · 위시 · 아이시스 · 코롤라 베르소 · 베르소 · 오파 · 가이아 · 에스콰이어
중형 MPV이노바/이노바 크리스타/이노바 하이크로스 · 프로에이스 베르소끼장 · 마크 X 지오
준대형 MPV알파드/벨파이어에스티마 · 시에나(1세대)
대형 MPV시에나(2세대 이후) · 크라운 벨파이어 · 그란비아 · 하이에이스그란에이스 · 레지우스 에이스
소형 픽업트럭-브리스카 · 스타우트 · 코로나 픽업 · 마크 II 픽업
중형 픽업트럭하이럭스 · 하이럭스 챔프 · 타코마크라운 픽업
대형 픽업트럭툰드라T100
소형 LCV 프로에이스 시티 · 타운 에이스 밴 · 픽시스 밴미니에이스 · 마스터 에이스 · 타라고 · 모델 F · 델리보이 · 퀵딜리버리 · 라이트 에이스 밴
중형 LCV 프로에이스-
대형 LCV 하이에이스 · 프로에이스 맥스레지우스 에이스
경형 트럭픽시스 트럭-
소형 트럭타운 에이스 트럭하이에이스 · 미니에이스 트럭 · 라이트 에이스 트럭
준중형 트럭다이나토요에이스
중형 트럭-BM
소형 버스하이에이스/커뮤터-
준중형 버스코스터-
준대형 버스소라-
택시 전용재팬 택시/컴포트홍콩 수출 사양명크라운 컴포트 · 크라운 세단
군용차고기동차메가 크루저 · J-603(2DW15L)
토요페트 브랜드 차량-크라운 · 코로나 · 마스터 · 마스터라인
일본 황실 의전차량센추리 로얄-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5951><tablealign=center>
파일:토요페트점.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밴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에포크 포르테 · 픽시스 메가 · 픽시스 조이
세단 미라이 ·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 코롤라 악시오 마크 Ⅱ · 코로나 · 코르사 · 아발론 · 프로나드[OT] · 프로그레 · 오리진 · 플라츠 · 셀시오 · 카디나 · 벨타 · 어벤시스 · 마크 X · EXiV · 프레미오
왜건/해치백 프리우스 알파 · 아쿠아 이스트 · 블레이드 · 오리스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소아라 · 사이노스
SUV 해리어 · C-HR · 라이즈 카미 · 러시 · 하이럭스 서프 · 뱅가드
MPV 알파드 · 에스콰이어 · 시엔타 오파 · 입섬 · 마크 X 지오 · 락티스 · 탱크
LCV/상용차 석시드 · 저팬 택시 그랜드 하이에이스 · 투어링 하이에이스 · 석시드 왜건 · 레지우스
오사카 토요페트 한정 토요타 하이에이스 왜건/밴/커뮤터 · 다이나/토요에이스 · 랜드 크루저 · 랜드 크루저 프라도 · 코스터 · 하이메딕 센추리 · 크라운 · 브레비스 · 알리온 · 하이럭스 서프 · 에스티마 · 이시스 · 퀵딜리버리
각주 [ 펼치기 · 접기 ]

[OT] 오키나와 토요페트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952C5><tablealign=center>
파일:넷츠점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6px; min-width:3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판매 차량 단종 · 판매 중단 차량
경차 픽시스 조이 · 픽시스 에포크 · 픽시스 트럭 · 픽시스 밴 · 픽시스 메가 픽시스 스페이스
세단 캠리 · 프리우스/프리우스 PHV 스타렛 세단 · 스프린터 · 스프린터 마리노 · 알테자 · 체이서 · 플라츠 · 아리스토 · 마크 Ⅱ(운전 면허차) · 크라운 컴포트(운전 면허차) · 퍼블리카 · 오리진 · 코로나 2도어 하드탑 · 어벤시스 · 사이
왜건/해치백 프리우스 알파 · 비츠 · 아쿠아 스타렛 해치백 · 알렉스/코롤라 룬스 · bB · 볼츠 · 스프린터 카리브 · 알테자 지타 · 스프린터 밴/스프린터 비즈니스 왜건 · 이스트 · 프로박스 · 코로나 밴 · WiLL 사이퍼 · 아이큐 · 오리스
스포츠카 86 · GR 수프라 스프린터 트루네오 · MR2 · MR-S · 세라
SUV 라브4 · C-HR · 라이즈 라브4 J · 크루거 · 하이럭스 서프[a]
MPV 탱크 · 스페이드 · 복시 · 벨파이어 · 시엔타 그란비아 · 위시 · 펀 카고 · 알파드 V · 입섬 · 라움
LCV/상용차 레지우스 에이스 · 라이트 에이스 라이트 에이스 노아 · 타운 에이스 · 미니에이스 · 델리보이
각주 [ 펼치기 · 접기 ]

[a] 오사카 넷츠점 한정
파일:토요타 로고.svg · 파일:Toyota_GR.svg · 파일:logo_01_pc.jpg · 파일:bz logo.png · 파일:크라운 로고.png
파일:Lexus-Logo-Wallpaper-2016.png · 파일:Lexus_F-division_logo.png · 파일:Lexus_LF_Concept_Logo.png
다이하츠의 차량
히노의 차량
사이언의 차량
}}}}}}}}}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현대 자메이카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B40A2D><colbgcolor=#007749> 자메이카 방위군 (1962 ~ 현재)
Jamaica Defence Force
장갑차 <colcolor=#000><colbgcolor=#000> 차륜장갑차 부시마스터 PMV, 캐딜락 게이지 코만도
차량 소형 토요타 랜드 크루저, 볼보 S90, 토요타 크라운, 토요타 코로나, 토요타 하이럭스, 토요타 캠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프라도
버스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하이에이스
트럭 토요타 다이나
}}}}}}}}}




[1] 3세대 후기형은 전조등과 라디에이터 그릴 주위를 두르는 곡선적인 사각형 테두리가 없어지고, 수평선 2개가 전조등 베젤 상하를 관통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2] 당시에 3위를 했던 차종은 포드 코티나(243,384대)로 9,108대 차이로 포드 코티나를 제쳤다. 포드 코티나는 1968년부터 대한민국에서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되면서 공교롭게도 대한민국에서 코로나와 정면으로 대결하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주은래 3원칙으로 토요타가 철수하기 이전까지는 코로나가 코티나를 상대로 압승을 거뒀었다.[3] 후륜구동 차량의 코드명.[4] 전(前)륜 구동 차량의 코드명[5] 코로나 쿠페의 코드명[6] 전륜구동 차량의 경우 1983년 출시되었고, 코로나 쿠페는 1985년 출시되어 1989년에 단종되었다.[7] 참고로,이 때 계속 나오는 음악은 분향미래일자다.[8] 이는 해당 차종이 신진을 통해 판매된 적이 있었던 대한민국에서도 이야깃거리가 되었다.[9] 이후 GMK, 새한자동차, 대우자동차, GM대우를 거쳐 현 한국GM 부평공장으로 이어졌다.